KR102574030B1 - 액자 받침대 - Google Patents

액자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030B1
KR102574030B1 KR1020210006004A KR20210006004A KR102574030B1 KR 102574030 B1 KR102574030 B1 KR 102574030B1 KR 1020210006004 A KR1020210006004 A KR 1020210006004A KR 20210006004 A KR20210006004 A KR 20210006004A KR 102574030 B1 KR102574030 B1 KR 10257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rame
support bar
hole
lower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419A (ko
Inventor
배해철
신옥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프로
Priority to KR102021000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0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액자(1)에 결합하여 액자(1)를 다양한 각도로 기울기를 조절하여 세운 상태로 전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액자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받침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구멍(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자(1)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바(20)로 구성됨으로, 테두리부재(2)에 구멍(3)이 형성되어 벽에 걸어서 전시하도록 된 액자(1)에 간단하여 결합하여, 액자(1)를 데스크 등에 세워서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자 받침대{picture frame stand}
본 발명은 액자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액자에 결합하여 액자를 다양한 각도의 기울기로 조절하여 세운 상태로 전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액자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전시할 때 사용되는 액자는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전면에 사진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벽에 걸어서 전시하거나, 데스크 등의 상면에 세운 상태로 전시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액자(1) 중에서 벽에 걸어 전시하는 액자(1)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둘레부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재(2)가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부재(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프로파일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후측면에는 구멍(3)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3)을 벽에 있는 고리나 못 등에 걸어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액자(1)는 데스크 등에 세워 전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89003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액자(1)에 결합하여 액자(1)를 다양한 각도로 기울기를 조절하여 세운 상태로 전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액자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레부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재(2)가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재(2)의 후측면에는 구멍(3)이 형성된 액자(1)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구멍(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자(1)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바(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 양측에는 고정부재(13)가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를 상기 액자(1)의 구멍(3)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재(13)가 구멍(3)에 걸려 하부지지바(10)가 구멍(3)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지지바(10)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가이드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바(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12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단이 상기 액자(1)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공(12a)과 슬라이드부(21)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드부(21)가 상기 가이드공(12a)에 슬라이드는 가능하되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공(12a)의 상면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2b)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전단부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b)에 걸리는 결합돌기(21a)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액자(1)가 상기 상부지지바(20)의 지지부(22)에 밀착되어 지지부(22)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결합돌기(21a)가 걸림돌기(12b)에 걸려 슬라이드부(21)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받침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구멍(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자(1)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바(20)로 구성됨으로, 테두리부재(2)에 구멍(3)이 형성되어 벽에 걸어서 전시하도록 된 액자(1)에 간단하여 결합하여, 액자(1)를 데스크 등에 세워서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자를 도시한 후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액자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받침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받침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받침대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받침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액자(1)는 둘레부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재(2)가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재(2)의 후측면에는 구멍(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액자(1)는 구멍(3)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받침대는 상기 구멍(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자(1)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액자 받침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구멍(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자(1)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바(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바(10)는 적절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의 삽입부(11)와, 상기 삽입부(11)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사각관체 형상의 지지부(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바(10)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사각형의 가이드공(12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12a)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 양측에는 고정부재(13)가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부(22)의 전단부에서 삽입부(11)의 중간부까지 연장된 관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는 후단부가 상기 관통공(14)의 후측둘레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13)의 전단부가 탄성적으로 상기 하부지지바(10)의 내외측으로 출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3)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멍(3)에 걸리는 걸림부(13a)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부재(13)를 인접방향으로 눌러 걸림부(13a)가 하부지지바(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 즉, 상기 삽입부(11)를 상기 구멍(3)에 삽입한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를 놓으면, 고정부재(13)가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부(13a)가 구멍(3)에 결합되어,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가 적절한 각도범위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2)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지지바(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12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단이 상기 액자(1)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1)는 상기 가이드공(12a)에 대응되는 사각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21)를 가이드공(12a)에 삽입하면, 슬라이드부(21)가 가이드공(12a)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는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21)는 상하방향의 폭이 가이드공(12a)의 상하방향 폭에 비해 조금 좁게 형성되어, 슬라이드부(21)가 가이드공(12a)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12a)의 상면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2b)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전단부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b)에 걸리는 결합돌기(21a)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21)가 가이드공(12a)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21)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결합돌기(21a)가 걸림돌기(12b)에 걸려 슬라이드부(21)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22)는 상단이 후방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벤딩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21)를 상기 하부지지바(10)의 가이드공(12a)의 후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액자(1)의 후측면이 지지부(22)에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기울이면, 액자(1)의 후측면이 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되어 세워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부(21)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지지부(22)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액자(1)가 수직에 가깝게 세워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자(1)가 상기 상부지지바(20)의 지지부(22)에 밀착됨에 따라, 상부지지바(20)의 지지부(22)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도 8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1a)가 걸림돌기(12b)에 걸려 슬라이드부(2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액자(1)에 의해 상부지지바(2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의도치 않게 액자(1)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자 받침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구멍(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자(1)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바(20)로 구성됨으로, 테두리부재(2)에 구멍(3)이 형성되어 벽에 걸어서 전시하도록 된 액자(1)에 간단하여 결합하여, 액자(1)를 데스크 등에 세워서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 양측에는 고정부재(13)가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를 상기 액자(1)의 구멍(3)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재(13)가 구멍(3)에 걸려 하부지지바(10)가 구멍(3)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함으로, 상기 하부지지바(10)를 구멍(3)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12a)의 상면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2b)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전단부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b)에 걸리는 결합돌기(21a)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액자(1)가 상기 상부지지바(20)의 지지부(22)에 밀착되어 지지부(22)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결합돌기(21a)가 걸림돌기(12b)에 걸려 슬라이드부(21)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 액자(1)를 상부지지바(20)에 지지한 상태에서 액자(1)의 무게에 의해 상부지지바(20)가 후방으로 밀려서, 의도하지 않게 액자(1)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액자 10. 하부지지바
20. 상부지지바

Claims (5)

  1. 둘레부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재(2)가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재(2)의 후측면에는 구멍(3)이 형성된 액자(1)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구멍(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자(1)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바(2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바(10)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가이드공(12a)을 형성하고,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 양측에는 고정부재(13)가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지바(10)의 전단부를 상기 액자(1)의 구멍(3)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재(13)가 구멍(3)에 걸려 하부지지바(10)가 구멍(3)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상부지지바(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12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단이 상기 액자(1)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2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공(12a)과 슬라이드부(21)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21)가 상기 가이드공(12a)에 슬라이드는 가능하되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12a)의 상면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2b)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전단부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b)에 걸리는 결합돌기(21a)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액자(1)가 상기 상부지지바(20)의 지지부(22)에 밀착되어 지지부(22)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결합돌기(21a)가 걸림돌기(12b)에 걸려 슬라이드부(21)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받침대.
KR1020210006004A 2021-01-15 2021-01-15 액자 받침대 KR10257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004A KR102574030B1 (ko) 2021-01-15 2021-01-15 액자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004A KR102574030B1 (ko) 2021-01-15 2021-01-15 액자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419A KR20220103419A (ko) 2022-07-22
KR102574030B1 true KR102574030B1 (ko) 2023-09-04

Family

ID=8260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004A KR102574030B1 (ko) 2021-01-15 2021-01-15 액자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557A (ko) 2022-09-23 2024-04-01 주식회사 아프로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액자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798B2 (ja) * 1991-10-17 2000-05-08 光洋精工株式会社 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85108Y1 (ko) * 1999-07-21 2000-06-15 이누리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739Y2 (ja) * 1993-04-14 1999-07-12 株式会社サン美術工芸 額用裏板の止着装置
JP3037798U (ja) * 1996-11-15 1997-05-20 株式会社ニチエイ 額用スタンド
KR101890032B1 (ko) 2016-11-02 2018-08-20 박현재 액자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798B2 (ja) * 1991-10-17 2000-05-08 光洋精工株式会社 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85108Y1 (ko) * 1999-07-21 2000-06-15 이누리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419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73268U (zh) 一种手持式吸尘器用收纳座及吸尘器套件
US9351590B1 (en) Adjustable depth wire divider for gondola shelving
KR200207575Y1 (ko) 스탠드를 구비한 골프백
US20160198850A1 (en) Boot rack
KR102574030B1 (ko) 액자 받침대
CN109843393A (zh) 用于锻炼器械的管形架外凸横档
US7963405B2 (en) Shoe rack
KR960013284A (ko) 선반 구조물
KR20040070075A (ko)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US6338216B1 (en) Interlocking crossbar easel
KR20160096558A (ko) 해먹 시스템
KR102137569B1 (ko)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
KR20120109836A (ko) 옷걸이용 행거
US20070138113A1 (en) Angled rack for supporting footwear
US3002629A (en) Display clip
US3586411A (en) Display rack
EP2074908A1 (en) Shoe Rack
KR200465305Y1 (ko) 스탠드형 옷걸이
JP2006345951A (ja) 収納棚
KR100949574B1 (ko) 쇼케이스용 선반 경사구조체
KR200337046Y1 (ko) 턱선반을 구비한 서가
KR20110008822U (ko) 전시대
KR200388324Y1 (ko) 낚시 받침대
KR200476051Y1 (ko) 옷걸이가 구비되는 의자
KR20200001091A (ko) 각도 조절형 신발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