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075A -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 Google Patents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075A
KR20040070075A KR1020040005943A KR20040005943A KR20040070075A KR 20040070075 A KR20040070075 A KR 20040070075A KR 1020040005943 A KR1020040005943 A KR 1020040005943A KR 20040005943 A KR20040005943 A KR 20040005943A KR 20040070075 A KR20040070075 A KR 2004007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late
supports
horizontall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레이그 비에닉
Original Assignee
젬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젬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젬트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7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2Shelves made of glass or ceram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조립선반은 평평한 선반부재의 테두리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반대방향으로 향한 핀들을 포함한다. 핀들은 한 쌍의 경상(鏡像) 아답타내에 있는 다수의 슬롯에 고정된다. 각 아답타에는 슬롯과 함께 수직 활송로가 있다. 아답타에는 냉장고 내부의 수직 트랙의 슬롯에 걸기 위한 갈고리가 있어서 조립선반의 "거친" 높이조절 효과를 낸다. 그러나, 지지대의 핀을 활송로를 따라 움직여 선택된 아답타 슬롯에 고정함으로써 "미세한" 높이조절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냉장고 조립선반은 부분적으로 종래기술을 따른다. 즉, 한 쌍의 금속 지지대, 선택적으로 투명강화유리로 만들어지고 사출성형 밀봉된 평평한 선반부재, 지지대와 평평한 선반부재를 하나로 결합하는 주변부 또는 테두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지지대에 부속되는 한 쌍의 새로운 아답타를 포함한다. 각 아답타는 선택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되고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슬롯 및 활송로 또는 채널이 있는 후방 모서리 및 전방 모서리로 구성된다. 아답타의 후방 모서리에는 냉장고 내부의 후방벽에 고정된 종래기술을 따르는 수직 트랙의 수직 슬롯에 걸기 위한 갈고리가 포함된다. 역시 각 지지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기 또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돌기는 아답타의 슬롯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수직으로 배열되어있다. 또한, 조립선반의 폭을 가로질러 측정된 지지대 돌기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채널 사이의 거리와 같지만 아답타의 수직 슬롯의 지지모서리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다. 위와 같은 치수관계로 인하여 선반이 아답타로부터 실수 또는 사고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선반의 지지대가 활송로 또는 채널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아답타는 선반이 상하로 조절될 때 트랙의 슬롯에 걸리고 부착되는 갈고리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이 방법으로 선반은 아답타에서 절대로 완전히 떨어지지 않고 아답타는 트랙에서 의도적으로 행하지 않는 한 절대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지지대의 돌기 및 아답타의 활송로 및 슬롯과 관련하여, 지지대의 돌기가 활송로에 있을 때, 선반이 우연히 풀리면, 물건이 위에 있거나 없는 외팔보 선반의 무게로 외팔보 선반이 전방 및 하방으로 기울어지고, 자동적으로 지지대의 하단 돌기가 아답타의 슬롯에 걸리며, 슬롯의 지지 모서리에 떠받쳐져서, 외팔보 선반이 약간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이 방법으로 선반 전체와 위에 있는 물건은 떨어지지 않고, 전부는 아니라도 대부분의 물건은 유리 선반부재 위에 그대로 유지된다.
이 새로운 조립선반 및 한 쌍의 아답타는 제한된 수직방향 미끄럼운동 효과를 내서 선반들을 서로 다른 수직간격으로 배열되게 한다. 그러나 선반이 아답타로부터, 아답타가 냉장고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이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본 선반은 후술하는 자동잠금 기능으로, 선반의 높이조절 중에 발생하는 부주의 또는 사고로 인한 선반 및 조립선반 및 물건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한다.
위와 후술하는 본서에서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본질은 뒤에 오는 자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돌기가 있는 지지대 및 슬롯을 포함하는 활송로가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아답타로 구성되고, 종래의 선반트랙에 간단히 장착되어 쉽고 안전하게 미세한 또는 거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선반.
본 발명은 특히 냉장고를 위한 선반과 관련된 것이지만, 가구의 선반, 케비넷의 선반, 상점의 진열대와 같은 다양한 다른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냉장고 선반은 평평한 선반부재, 선반부재와 연결된 한 쌍의 금속 선반 지지대, 선택적으로 합성수지 사출성형으로 모서리를 밀봉하는 테두리 또는 주변부로 구성된다. 전형적인 지지대는 냉장고 내부의 뒤쪽 벽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된 수직 지지대 또는 채널 또는 트랙에 나있는 한 쌍의 슬롯에 수납되는 한 쌍의 갈고리로 구성된다. 선반은 수직 지지대를 따라서 선반지지대의 갈고리를 수직 지지대 또는 트랙에 걸었다 풀었다하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방법으로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선반에 물건이 없으면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무거운 물건이 평평한 선반부재 위에 놓여 있으면, 물건의 무게와 불균형으로 선반과 물건이 이탈 및 또는 추락하여 손상(파손, 엎질러짐 등)을 초래하는 일이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물건이 놓인 외팔보 선반의 갈고리가 냉장고 내부의 수직 트랙에 일부만 걸린 경우에는 기울어지게 되어 선반 자체는 떨어지지 않더라도 물건이 미끄러지고 떨어져서 파손된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 후방벽에 설치된 트랙에서 단계별 높이조절이 되도록 설계된 종래기술을 따르는 외팔보 선반에 물건이 올려져 있으면 조절 중에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활송로 및 슬롯으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아답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조립선반은 종래기술을 따르는 선반의 문제점을 제거하여 쉽고 안전하게 미세한 또는 거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도 1은 냉장고 내부의 후방벽에 고정된 슬롯이 있는 수직트랙, 강화유리 선반부재와 한 쌍의 금속 지지대가 사출성형 밀봉된 테두리로 일체화된 선반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조립선반, 각 지지대에 부속된 수직 배열되고 외부로 향한 한 쌍의 돌기, 돌기와 상호결합 및 지지되는 트랙의 슬롯에 갈고리로 걸린 한 쌍의 아답타의 수직 배열된 슬롯의 모서리를 도시한 냉장고의 투시도.
도 2는 사출성형 밀봉된 선반의 테두리가 강화유리 선반부재와 지지대를 일체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 1의 선 2-2를 따라 본 확대 부분 단면도.
도 3은 아답타쌍이 트랙에 걸리는 방법 및 지지대의 돌기가 아답타의 마주보고 수직인 활송로에 수납되어 선반의 높이조절효과를 내는 것을 도시한 도 1을 상방에서 본 확대 부분 평면도.
도 4는 하나의 갈고리가 나머지 두 개의 갈고리에서 갈라져 나온 후방 모서리를 따라 나있는 세 개의 갈고리, 전방 모서리를 따라 있는 활송로 또는 채널, 전방 및 후방 모서리 사이에서 활송로에 부분적으로 뚫려있는 수직으로 등간격 배열된 다수의 슬롯을 도시한 아답타 중 하나를 후방에서 본 투시도.
도 5는 각 슬롯이 부분적으로 활송로에서부터 뻗어있는 하부 변환 모서리 및수평으로 배치된 지지 모서리에 있는 단부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아답타의 측면도.
도 6은 아답타 중 하나가 트랙 중 하나의 슬롯에 걸린 것과 지지대 중 하나의 한 쌍의 돌기가 아답타의 한 쌍의 슬롯의 지지 모서리에 안착된 것을 도시한 도 1의 선 6-6을 따라 본 확대 부분 단면도.
도 7은 지지대의 돌기가 활송로 내부에 있는 중에 부주의 또는 사고로 선반이 도시된 상부위치로부터 풀리거나 떨어질 때 자동적으로 선반이 오게되는 하부위치를 도시한 도 6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아답타 중 하나의 활송로 중 하나의 사이에 있는 슬롯의 변환 모서리, 선반이 도 7의 상부위치에서 도 7의 하부위치로 기울어져서 결과적으로 선반이 자동적으로 후자의 위치에서 잠겨질 때 지지대의 하단돌기가 변환 모서리를 따라 움직여 가는 것을 도시한 도 6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냉장고 내부의 후방벽을 따라 슬롯이 있는 트랙, 강화유리 선반부재의 주변모서리와 하나가 된 사출성형 밀봉된 테두리가 있는 선반, 선반이 한 쌍의 금속 지지대에서 내부 및 외부로 미끄러지는 효과를 내기 위한 채널이 있는 테두리, 수직으로 배치되고 외측으로 향한 한 쌍의 돌기가 있는 지지대, 트랙의 슬롯에 걸린 한 쌍의 아답타의 수직 배열된 슬롯의 모서리에 결합 및 지지되는 돌기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조립선반을 도시한 냉장고의 투시도.
도 10은 선반의 테두리가 지지대 중 하나와 미끄럼 연결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 9의 선 10-10을 따라 본 확대 부분 단면도.
*부호설명*
R : 냉장고 15 : 선반
C : 냉장고 내부 16,17 : 지지대
10 : 조립선반 18 : 선반부재
11 : 트랙 21,22 : 핀 또는 돌기 또는 서포트
14 : 슬롯 또는 슬릿 30,40 : 아답타
15 : 선반 41 : 활송로 또는 채널
50 : 슬롯 또는 서포트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냉장고 조립선반은 도 1에서 냉장고(R)의 내부(C)와 함께 일반적으로 참조번호(10)를 지정하여 도시되었다. 냉장고 내부의 후방벽(13)에 부착된 또는 하나로 형성된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평행부재 또는 트랙(11,12)이 있다. 각 트랙(11,12)은 길이방향으로 좁고 길쭉한 다수의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슬롯(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슬롯(14)은 1994년11월8일에 Bird et al에게 승인된 미국특허 제 5,362,145호에서 공개된 방식의 종래기술을 따르는 선반 갈고리를 수직으로 수납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따르는 조립선반은 선반의 타선반 및 또는 냉장고 내부의 천장 및 바닥에 대한 단계별 높이조절효과를 위해서 갈고리를 선반의 슬롯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고 다시 걸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로, 종래 갈고리 및 종래 트랙사이의 이러한 완전분리방식의 결점은 부주의 또는 사고로 인한 선반 및 또는 물건의 추락 및 이로 인한 손상 또는 파손으로 귀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냉장고 조립선반은 이러한 점을 개선했다.
조립선반(10)은 강화유리로 만든 선반부재(18)의 주변부에 사출성형으로 밀봉하여 합친 마주보고 평행한 금속 지지대(16,17)로 구성된 선반(15), 종래기술을 따르는 공개된 방법으로 형성된 테두리 또는 주변부(20)(도 2)를 포함한다. 각 지지대(16,17)는 서로 일정한 축간거리로 수직 배열된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한다(도 6). 지지대의 돌기(21,22)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도 3), 후술하는 목적 및 기능을 위하여 양단부면 사이에서 측정된 최대 유효거리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조립선반(10)은 상대되는 지지대(11,12)에 좌우대칭 조립을 위한 경상(鏡像)의 차이 외에는 동일한 한 쌍의 아답타(30,40)(도 1)를 포함한다.
각 아답타(30,40)(도 4 내지 6 및 8)는 한 조각의 비교적 강한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비교적 곧은 형상의 전방 모서리(31) 및 상부 모서리(32) 및 하부 모서리(33)를 포함한다. 전방 모서리(31)의 반대편에 있는 후방 모서리(34)는 비교적 불균일한 형상이고 상부 갈고리(35) 및 하부 갈고리(36) 및 중앙 갈고리(37) 형태의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갈고리(35 내지 37)는 부분적으로 슬롯(38)으로 구성된다. 갈고리(35,36)는 공통 수직면(도 3,4)위에 놓여있고, 갈고리(37)는 갈고리(35,36)의 면에서 평행한 면으로 갈라져 나와있다(도 3). 고정탭(39)(도 5)은 후방으로 돌출해 있고 하부 모서리(33)는 트랙(11,12)의 슬릿(14)의 하부 모서리(도 6)에 안착된다. 갈고리(35 내지 37) 및 고정탭(39)은 트랙(11,12)의 슬릿(14)과 종래기술을 따른 구조로 연결되어서 고정효과를 낸다(도 6). 그러나 아답타(30,40)의 수직 상방 운동에서는 슬롯(38)이 트랙(11,12)에서 연결이 풀리고 아답타(30,40)의 분리 및 또는 재조립을 가능하게 하여 트랙(11,12)을 따라서 조립선반(10)의 "거친" 높이조절효과를 낸다.
각 아답타(30,40)는 전방 모서리(31)에 인접하고 이에 평행한 수직 활송로 또는 채널(41)이 제공된다. 각 활송로(41)는 일반적인 U형상의 횡단면(도 8)을 갖고 전방 모서리(31)에 인접한 제 1다리(42)(도 8) 및 제 2다리(43) 및 그 사이의 만곡부(44)로 구성된다. 다리(42,43)는 만곡부(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벌어져있다(도 8). 활송로(41)의 최소 횡폭(W)(도 8)은 핀(21,22)의 직경(D)(도 8)에 상당해서 상호 수직미끄럼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각 아답타(30,40)의 다리(43)는 각 아답타(30,40)의 중앙벽(45)에 융화되어 있다(도 5). 슬롯 또는 구멍(50)형태의 수직 배열된 동일한 다수의 지지수단(50)은 상부 모서리(32) 및 하부 모서리(33) 사이의 중앙부(45)를 따라서 형성되어있다. 각 슬롯(50)은 전방 수직 모서리(51) 및 후방 수직 모서리(52) 및 약간 굽은 상부 모서리(53)를 포함한다. 모서리(51,52)는 서로 평행하고 아답타(30,40)의 전방 모서리(31)와 평행하다. 각 슬롯(50)의 하부 모서리는 지지대(16,17)의 돌기(21,22)를 지탱하는 수단인 수평인 하단 모서리(54)를 포함한다. 굽은 변환 모서리(55)는 모서리(51)에서 모서리(54)로 뻗어있는데, 활송로(41)(도 8)의 만곡부(44)(도 8)의 중간점에서 시작하여 다리(43)(도 8)를 지나서 지지 모서리(54)와 합쳐지는 부분(부호없음)에서 끝난다.
아답타(30,40)의 변환 모서리(55)의 목적 및 기능은 지지대(16,17)의 돌기 또는 핀(21,22)이 활송로(41)에서 밑으로 슬롯(50)의 지지 모서리(54) 위에 쉽게 들어가게 하고 같은 방법으로 반대방향으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게 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될, 선반(15)이 트랙(11,12)에 조립 또는 "미세" 높이조절을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한 대로, 지지대의 핀(21,22)은 서로 거리(D1)만큼 떨어져있고 거리(D1)는 인접한 아답타(30,40)의 활송로(41)의 만곡부(44)사이에서 측정된 유효거리(D2)(도 3) 보다 약간 작다. 거리(D1,D2)사이의 약간의 거리차이로 인하여, 핀 또는 돌기(21,22)는 활송로(41)에서 상하로 용이하게 움직인다. 예를 들어, 아답타(30,40)가 갈고리(35 내지 37)를 통하여 트랙(11)의 슬릿(14) 중 세 개와 연결되어 "거친" 위치조절효과를 낸다고 가정하면, 선반(15)의 핀(21,22)은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활송로(41)(도 3)에 안내되어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도 1). 선반(15)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선반(15)은 트랙(11,12)으로 밀려들어가고 핀(21,22)이 슬롯(50)의 상부 모서리(53)에 연결되어 아래로 안내된다. 그후 선반(15)은 아래로 눌려져서 핀(21,22)이 슬롯(50)의 지지 모서리(54)에 안착된다. 활송로(41)는 서로 마주보기 때문에(도 3), 다리(43)는 아답타(30,40)의 전방 모서리(31)로부터 멀어지고 내부(C)로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진다. 따라서, 핀(21,22)이 활송로(41)에서부터 내부로 움직이는 동안, 핀(21,22)은 활송로(41)의 만곡한 벽(44)을 가로질러 측정된 최외곽거리(D2)로부터 수평으로 인접한 지지 모서리(54)사이의 최장거리(D3)까지 점차 좁아지는 모서리(55)(도 8)를 따라 움직인다. 이 방법으로, 수평으로 인접한 슬롯(50)의 변환 모서리(55)가 선반(15)의 지지대(16,17)의 핀(21,22)을 활송로(41)에서부터 지지 모서리(54) 위까지 접하여 안내하고, 반대로 지지 모서리(54)로부터 활송로(41)(도 3)까지 멀어진다.
상기한대로, 선반(15)이 아답타(30,40)에서 위치조절 될 때, 특히 지지대(16,17)의 핀(21,22)이 슬롯(50) 및 활송로(41)에서 움직일 때, 선반(15)은아답타(30,40) 및 또는 트랙(11,12)으로부터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높이조절 중에는 핀(21,22)이 항상 아답타(30,40)의 슬롯(50) 또는 활송로(41)(도 3)와 접촉해있기 때문에 "미세" 높이조절 중에 선반(15)이, 위에 물건이 있건 없건, 부주의로 추락하거나 기울어지는 일은 없다. 이러한 일은 핀(21,22)이 활송로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선반이 수직으로 내려와서 모든 네 개의 돌기(21,22)가 할송로(41)에서 제거될 때에만, 선반(15)은 냉장고 바닥까지 내려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점쇄선으로 외곽선을 표시한 선반(15')이 위로부터 사람이 선반(15')을 붙들고 있는 위치로 삽입되어 도 3 및 8에 도시된 대로, 돌기(21',22')가 활송로의 중앙에 들어간 위치까지 수직으로 미끄러져 내온다. 선반(15')의 위에 물건이 없다면, 자체 중량(Wt)만이 하방으로 작용하여 축운동 및 또는 기울어지는 효과를 낸다. 만약 선반(15')이 풀린다면, 자체 중량(Wt)에 작용하는 중력으로, 수직으로 추락하기 시작할 것이다. 그러나, 선반(15')이 외팔보 구조이므로, 궤적(A)의 곡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시계방향으로 축운동하여 기울어질 것이고, 상부 돌기(21')가 활송로(41,41)의 전방 다리(42)에 지탱되고, 돌기(22')가 양활송로(41,41)의 후방 다리(43)에 지탱되게 된다. 만약 슬롯(50)이 만곡부(44) 안에 있지 않았다면, 선반(15')은 돌기(21',22')가 활송로(41,41)의 전방 및 후방 다리(42,43)에 지탱하여 약간 걸리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거의 확실히 계속 미끄러져 내려가서 바닥까지 떨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슬롯(50,50)이 활송로(41,41)의 중앙부(44)에서 시작하는 모서리(55)(도 8)를 포함하므로, 하단돌기(22")(도 7)가 결국 내부 다리(43)가 없는 슬롯(50) 중 하나에 도달하고, 돌기(22")가 아답터(30,40)의 수평으로 정렬한 슬롯(50)으로 점차 들어가서 결국 변환 모서리(55) 위에 오고, 변환 모서리는 하단 돌기(22")를 지지 모서리(54) 위로 유도하여, 선반(15")은 더 이상 기울어지거나 도시된 위치를 넘어서 내려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아답타(30,40)는 트랙(11,12)의 선택된 슬롯(14)에 위치하여 조립선반(10)의 "거친" 조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선반(15)이 아답타(30,40)로부터 분리되는 걱정 없이 선반(15)이 아답타(30,40)의 활송로(41)를 따라 다수의 원하는 위치 중 어떠한 곳으로도 미세 조절될 수 있다. 도 7의 선반(15")과 같은 최악의 경우, 선반(15")은 아답타(30,40)에서 떨어지지 않을 것이고, 도 7에 도시된 것 이상 기울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기능은 중요하다. 이런 일은 선반(15")위에 물건이 있는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는데, 사람이 한 손으로는 물건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선반(15")을 붙들어서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아답타(30,40)는 선택적으로 비교적 강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지만, 합성 중합 플라스틱소재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금속소재로 만들어진 개별적인 지지대(16,17) 대신에, 지지대(16,17) 및 돌기(21,22)는 미국특허 제 5,273,354호의 도 2에 공개된 것처럼 사출성형 밀봉으로 테두리(20)와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지지대(16,17) 및 돌기(21,22)는 각각 하나의 플라스틱소재로 성형되어, 미국특허 제 5,273,354호의 도 4에 공개된 대로, 사출성형 밀봉된 테두리(20)로 평평한 강화유리판(18)과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또 다른 새로운 냉장고 조립선반이 도 9,10에 참조번호(10"')을 지정하여 도시되었다. 냉장고 조립선반(10"')의 모든 구조와 구성요소는 도 1,2의 조립선반(10)과 동일하며 참조번호 및 참조글자는 같고 단지 악센트부호가 있다.
냉장고 조립선반(10"')는 도 9에 냉장고(R"')의 내부(C"')와 함께 도시되었다. 한 쌍의 수평 배열되고 수직 배치된 평행한 트랙(11"',12"')이 내부(C"')의 후방벽(13"')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각 트랙(11"',12"')은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좁고 긴 다수의 슬롯(14"')을 포함한다. 트랙의 슬롯에는 선반을 트랙의 슬롯에서 완전히 빼거나 다시 걸기 위한 갈고리를 수직으로 수납하여, 타선반 및 또는 냉장고 내부의 천장 및 바닥에 대해서 선반의 단계별 높이조절효과를 낸다.
조립선반(10"')은 미국특허 제 5,362,149호에 설명된 방식으로 사출성형 밀봉된 테두리(20"')(도 10)로 강화유리 선반부재(18"')의 주변 모서리와 하나로 합쳐진 마주보고 평행한 금속 지지대(16"',17"')로 구성된 선반(15"')을 포함한다. 각 지지대(16"',17"')는 조립선반(10)에서 설명한 방식대로 서로 및 아답타(30"',40"')에서 거리를 두고 배열된 한 쌍의 돌기(21"',22"')를 포함하다.
조립선반(10"')은 선반(15"') 및 테두리(20"') 및 금속 지지대(16"',17"')에 연결수단(60)이 제공되어 선반(15"')이 지지대(16"',17"')에 대하여 수평미끄럼운동 효과를 내는 점에서 조립선반(10)과 다르다. 연결수단(60)은 테두리(20"')의 각 양측(66.67)에 외부로 난 일반적인 V형태의 채널(61)을 포함한다. 채널(61)은 외부로 나있고 이곳에 각 금속 지지대(16"',17"')에 형성된 일반적인 V형태의 길게 뻗은 리브(62)를 수납한다. 지지대(16"',17"')의 리브(62,62)는 서로를 향해있고 테두리(20"')의 양측(66,67)의 채널(61) 중 하나와 밀접한 미끄럼관계에 있다. 채널(61)은 내부(C"')의 후방벽(13"')에 근접한 단부에서 개방되어있고 반대편 단부는 닫혀있다(도 9). 이런 구조는 선반(10"')을 지지대(16"',17"')에 삽입하기 위해서 앞으로 밀거나 제거하기 위해서 뒤로 당겨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조립선반(10"')은 따라서 미끄럼가능하고 일체로 되어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조립선반(10)과 동일하다.
Maytag, Amana, General Electric, Whirlpool, Frigidaire, Sub Zero, Viking, Camco 등의 이름 하에 팔리는 냉장고들을 조사함으로써, 냉장고 제작자들이 개별화된 선반조절이나 선반부착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그룹의 냉장고들의 지지대(11,12) 및 슬롯(14)은 수량, 모양, 크기, 방향, 간격등에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조립선반(10,10',10",10"')은 이런 냉장고 중 어떠한 것 및 아답타(30,40)의 갈고리(35 내지 37)(도 4 내지 6)의 크기, 형태, 수량, 방향, 수직 간격등을 간단히 바꾸면 어떠한 선반트랙의 변형예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가 본서에 명확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첨부된 청구항으로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소소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돌기가 있는 지지대 및 슬롯을 포함하는 활송로가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아답타로 구성된 조립선반은 종래의 선반트랙에 그대로 또는 아답타의 간단한 변경으로 부착되어 쉽고 안전하게 미세한 또는 거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71)

  1. 서로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관계로 배치된 한 쌍의 제 1 및 2부재로 구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에 있어서,
    각 쌍의 제 1부재는 서로 수직 배치되고 횡으로 배열된 관계이고 각 제 1부재는 수직 배치된 활송로를 갖고있고, 상기 활송로는 사이가 제 1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각 제 1부재는 또한 상기 각 활송로에 뚫려있는 수직배열된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마주보는 활송로에 배열된 서포트 사이의 제 2의 유효길이는 상기 제 1거리와 다른 제 2 유효거리로 정의하고, 각 제 2부재는 최소한 한 쌍의 서포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부재의 서포트 사이의 제 3유효거리는 상기 제 1 및 2거리 사이에 있고, 이로써, 상기 제 2부재쌍의 서포트가 상기 활송로 내에 있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 중의 하나의 위에 있고 선반이 상기 제 2부재에 부속해있을 때, 상기 제 2부재쌍이 상호 수직으로 미끄럼 가능하거나 미끄럼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1부재를 수직 서포트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 제 1항에 있어서, 횡으로 배치되고 수직으로 위치된 관계의 한 쌍의 제 3부재, 제 1부재 하나를 제 3부재에 연결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 제 1항에 있어서, 횡으로 배치되고 수직으로 위치된 관계의 한 쌍의 제 3부재, 제 1부재 하나를 제 3부재에 단계별로 연결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와 상기 제 2부재를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유리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유리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가 금속임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2.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가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가지고 있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모서리 중 하나에서 떨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3.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가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가지고 있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슬롯의 모서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각 서포트가 수평 모서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각 서포트가 수평 모서리로 구성되고, 각 수평 모서리 및 활송로 사이의 변환벽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활송로가 한 쌍의 다리벽 사이의 만곡한 벽으로 구성된 U 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각 서포트가 상기 다리벽 중 하나와 인접한 모서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활송로가 한 쌍의 다리벽 사이의 만곡한 벽으로 구성된 U 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각 서포트가 상기 다리벽중 하나와 인접한 모서리로 구성되고, 만곡한 벽 및 상기 각 모서리 사이에 뻗은 다리벽으로 구성된 변환 모서리를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활송로가 한 쌍의 다리벽 사이의 만곡한 벽으로 구성된 U 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각 서포트가 상기 다리벽 중 가장 안쪽에 뻗어 있는 하나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의 안쪽에 뻗어있는 부분은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0.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는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져있고,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사이에서 제 2부재의 서포트쌍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1.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는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져있고,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사이에서 제 2부재의 서포트쌍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수단, 상기 변환수단은 모서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2.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는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져있고,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사이에서 제 2부재의 서포트쌍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수단, 각 제 1부재 및 후방 모서리를 따라서 각 제 1부재를 수직 서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3.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는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져있고,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사이에서 제 2부재의 서포트쌍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수단, 각 제 1부재 및 후방 모서리를 따라서 각 제 1부재를 수직 서포트에 갈고리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4.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는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져있고,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사이에서 제 2부재의 서포트쌍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수단, 상기 각 변환수단은 슬롯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5. 제 1항에 있어서, 각 제 1부재는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고, 각 제 1부재의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져있고, 활송로 및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사이에서 제 2부재의 서포트쌍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수단, 상기 각 변환수단은 슬롯으로 구성되고,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각 슬롯의 모서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를 상기 제 2부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2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를 상기 제 2부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를 상기 제 2부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7.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를 상기 제 2부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39.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0.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2. 서로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관계로 배치된 한 쌍의 제 1 및 2부재로 구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에 있어서,
    각 쌍의 제 1부재가 서로 수직으로 배치 및 횡으로 배열되고, 각 제 1부재가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 및 전방 모서리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활송로를 가지고 있고, 상기 활송로의 사이는 제 1거리만큼 떨어져있고, 각 제 1부재는 또한상기 각 활송로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마주보는 활송로의 배열된 서포트 사이의 제 2유효길이는 상기 제 1거리와 다른 제 2유효거리를 정의하고, 제 1부재의 각 서포트 및 인접한 활송로 사이에 뻗어있는 변환벽, 수평으로 인접한 제 1부재의 서포트는 상기 제 1거리에서 상기 제 2거리로 점진적으로 작아진 제 3거리를 정의하고, 각 제 2부재는 최소한 한 쌍의 수직 배열된 서포트를 갖고, 선반은 상기 제 2부재에서 시작하여 지지된 물건이 있는 면으로 수평으로 외팔보 형식으로 뻗어있고, 상기 제 2부재의 서포트쌍 사이의 제 4유효거리는 상기 제 1 및 2거리의 사이에 있고, 상기 제 2부재쌍의 서포트가 상기 활송로 안에 위치한 동시에 상기 서포트 중 하나 위에 있을 때, 상기 제 2부재쌍은 상호 수직으로 미끄럼 가능 및 미끄럼 불가능하고, 상기 제 2부재의 수직배열된 서포트는 수직 활송로에 직각으로 위치해있고, 부주의 또는 사고로 상기 외팔보 선반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 2부재의 수직 배열된 서포트 중 최하단 서포트가 수평으로 마주보는 변환벽을 따라 자동적으로 움직여서 제 2부재의 최하단 서포트가 한 쌍의 수평으로 배열된 제 1부재의 서포트에 안착하여 가울어진 선반이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3. 제 42항에 있어서, 횡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3부재, 제 1부재 하나를 제 3부재 하나에 연결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4. 제 42항에 있어서, 횡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3부재, 제 1부재 하나를 제 3부재 하나에 단계별로 연결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5.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와 상기 제 2부재를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6.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7.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8.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49.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가 슬롯의 모서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0.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각 서포트가 수평 모서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1.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활송로가 한 쌍의 다리벽 사이의 만곡한 벽으로 구성된 U 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각 서포트가 상기 다리벽 중 가장 안쪽에 뻗어 있는 하나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의 안쪽에 뻗어있는 부분은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2.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의 다수의 서포트 및 변환벽이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3.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를 상기 제 2부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4.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5.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6.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7.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를 상기 제 2부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8.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59.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0.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1.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를 상기 제 2부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재를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에 합치기 위한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3.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제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4.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 및 최소한 두 모퉁이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최소한 상기 판재의 주변 모서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밀봉하여 상기 모퉁이와 근접하게 상기 제 2부재와 합치는 중합밀봉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5. 서로 수직 미끄럼 관계로 배치된 한 쌍의 제 1 및 2부재로 구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에 있어서,
    각 쌍의 제 1부재는 수직으로 배치 및 횡으로 배열되고, 각 제 1부재는 수직으로 배치된 활송로를 갖고, 상기 활송로 사이는 제 1거리만큼 떨어져있고, 각 제 1부재는 또한 상기 각 활송로에 뚫린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마주보는 활송로에 배열된 서포트 사이의 제 2유효길이는 상기 제 1거리와 다른 제 2유효거리를 정의하고, 각 제 2부재는 최소한 한 쌍의 서포트를 갖고, 상기 제 2부재의 서포트쌍 사이의 제 3유효거리는 상기 제 1 및 2거리 사이에 있고, 상기 제 2부재의 서포트쌍이 상기 활송로와 상기 서포트 위에 있고 선반이 상기 제 2부재에 부속되어있을 때 상기 제 2부재쌍이 상호 수직으로 미끄럼 가능 또는 미끄럼 불가능하고, 상기 선반을 상기 제 2부재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6. 제 65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1부재를 수직 서포트에 고정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7. 제 65항에 있어서, 횡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3부재, 제 1부재 하나를 제 3부재 하나에 연결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8. 제 65항에 있어서, 횡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3부재, 제 1부재 하나를 제 3부재 하나에 단계별로 연결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69.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선반의 주변 모서리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측방 주변부로 되어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미끄럼 수단이 상기 측방 주변부와 미끄러지는 관계의 상기 제 2부재의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70.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주변 모서리를 갖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주변 모서리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중합방법, 상기 중합된 주변부와 미끄러지는 관계에 있는 상기 제 2부재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상기 미끄럼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71.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최소한 측방 주변부만 부분적으로 테두리된 주변 모서리를 갖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와 미끄러지는 관계에 있는 상기 제 2부재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상기 미끄럼 수단, 서로 미끄러지는 관계에 있는 리브 및 채널로 구성된 상기 미끄러지는 수단의 부분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KR1020040005943A 2003-01-31 2004-01-30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KR20040070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55,102 2003-01-31
US10/355,102 US6966267B2 (en) 2003-01-31 2003-01-31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075A true KR20040070075A (ko) 2004-08-06

Family

ID=3265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943A KR20040070075A (ko) 2003-01-31 2004-01-30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6267B2 (ko)
EP (1) EP1443291A1 (ko)
KR (1) KR20040070075A (ko)
CA (1) CA2455721A1 (ko)
MX (1) MXPA040008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344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0498159C (zh) * 2004-09-20 2009-06-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的隔板调节装置
DE102005021566A1 (de) * 2005-05-10 2006-11-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Innenbehälter für ein Kältegerät
US7476186B1 (en) * 2007-02-22 2009-01-13 Brunswick Corporation Exercise apparatus with platform adjustment mechanism
US20080241814A1 (en) * 2007-03-30 2008-10-02 Seidl Lon D Variable Configuration Desk Having Worksurface Locking Feature
US9250010B2 (en) * 2009-01-16 2016-02-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f with glass receiving slot
US8567734B2 (en) * 2009-09-14 2013-10-29 Underground Devices, Inc Cable support system
FR2956455B1 (fr) 2010-02-15 2012-06-22 Hmy Ensemble pour fixation notamment de panneaux
US9004427B2 (en) * 2012-02-22 2015-04-14 Alcoa Inc. Mounting and hinge assembly for a shelf
ES2731439T3 (es) * 2012-07-09 2019-11-15 Syma Intercontinental Sa Dispositivo de sujeción para la unión desprendible de dos piezas perfiladas
DE102014101999A1 (de) * 2014-02-18 2015-08-20 Karl Storz Gmbh & Co. Kg Gerätewagen
US9456692B2 (en) 2014-10-09 2016-10-04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Multi-piece shelf bracket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US10258818B2 (en) * 2015-05-28 2019-04-16 Gym Rax International, Inc. Multi-axial pivoting anchor
JP7015708B2 (ja) * 2018-02-21 2022-02-03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1655654S (ko) * 2019-03-26 2020-03-23
US10722050B1 (en) 2019-08-15 2020-07-28 Target Brands, Inc. Retail display unit with mounting bracket assembly
US20230144852A1 (en) * 2020-03-21 2023-05-11 Gordon Hassman Refrigerator Shelve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40A (en) 1896-10-20 Shelving
USRE19798E (en) 1935-12-31 Refrigerator structure
US648857A (en) * 1899-10-17 1900-05-01 Frank K Moyer Filter-cleaner.
US984857A (en) 1910-10-04 1911-02-21 Richard Schuftan Shelf-frame with vertically-adjustable shelves.
US2841459A (en) 1957-03-26 1958-07-01 Gen Motors Corp Vertically adjustable refrigerator shelves
US3261585A (en) * 1960-04-20 1966-07-19 Victory Metal Mfg Company Pilaster adapter
US3172715A (en) 1963-02-14 1965-03-09 Gen Motors Corp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US3299839A (en) 1965-10-14 1967-01-24 Nordbak Carl Shelf device
US3316044A (en) 1965-10-14 1967-04-25 Gen Electric Apparatus for adjusting vertically spaced shelves
US3479974A (en) 1967-08-07 1969-11-25 Hirsh Co Knockdown steel shelving
US3536015A (en) 1968-12-16 1970-10-27 Gen Fireproofing Co The Shelf mounting
US3702137A (en) 1970-06-04 1972-11-07 Aurora Equipment Co Latching mechanism
US3834659A (en) 1973-03-09 1974-09-10 Tiffany Industries Shelf support structure
US3888440A (en) 1974-04-08 1975-06-10 Unistrut Corp Support arrangement
US3984163A (en) * 1975-12-22 1976-10-05 General Electric Company Cantilever sliding shelf including a shelf removal notch on one side only
US4221443A (en) * 1978-05-30 1980-09-09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Fully exposed shelf standard
US4250815A (en) 1978-08-04 1981-02-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antilevered shelf and supporting means
DE8337031U1 (de) * 1983-12-23 1984-03-15 Koch, Wolfgang, 7800 Freiburg Ablage fuer zeitschriften, buecher od.dgl.
GB8528740D0 (en) * 1985-11-21 1985-12-24 M & G Metalworkers Ltd Shelving &c systems
US4934645A (en) * 1989-03-20 1990-06-19 Rtc Industries, Inc. Shelving assembly
US5088607A (en) * 1990-03-12 1992-02-18 Sara Lee Corporation Pull-out tray assembly for an integrated modular store fixture system
US5403084A (en) * 1991-03-07 1995-04-04 Donnelly Corporation Molded refrigerator shelf with snap-in slide
US5362145A (en) 1991-03-07 1994-11-08 Donnelly Corporation Molded refrigerator shelf
US5441338A (en) * 1991-03-07 1995-08-15 Donnelly Corporation Snap-on shelf
US5273354A (en) 1991-03-07 1993-12-28 Donnelly Corporation Molded refrigerator shelf and support bracket
US5735222A (en) * 1994-02-18 1998-04-07 Webb; Sharon L. Vertically adjustable detachable keyboard tray
US5921411A (en) * 1997-06-09 1999-07-13 Merl; Milton J. Shelf assembly
US5913584A (en) * 1997-09-23 1999-06-2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US5975318A (en) * 1998-02-13 1999-11-02 Display Technologies, Inc. Display shelf assembly and bracket useful therein
US7048131B2 (en) * 1998-04-09 2006-05-23 Gay Kenneth F Open frame shelf assembly
US6065821A (en) 1998-05-15 2000-05-23 Maytag Corporation Vertically adjustable shelf and support rail arrangement for use in a cabinet
US6168032B1 (en) * 1998-07-02 2001-01-02 Milton J. Merl Shelf construction
US6584916B1 (en) * 1998-12-11 2003-07-01 Versatile Products Llc Support and related shelf
US6675725B2 (en) * 1998-12-11 2004-01-13 Versatile Products Llc Shelf and shelf support
US6196141B1 (en) 1999-02-22 2001-03-06 Herron, Iii Warren L. Vertically stabilized adjustable shelf bracket assembly
US6227636B1 (en) 1999-11-15 2001-05-08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f and serving tra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5721A1 (en) 2004-07-31
US6966267B2 (en) 2005-11-22
MXPA04000880A (es) 2004-08-09
US20040149181A1 (en) 2004-08-05
EP1443291A1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0075A (ko)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KR20040070000A (ko) 안전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MXPA05008019A (es) Parrillas verticalmente ajustables en el alojamiento del compartimiento de un refrigerador.
US3984163A (en) Cantilever sliding shelf including a shelf removal notch on one side only
US6726040B1 (en) Sectional rack with drawers
US6745906B1 (en) Adjustable width display rack
AU2012323804B2 (en) Device for storing utensils, especially tools
EP0055549A2 (en) Display of merchandise
US6325221B2 (en) Merchandising display track device of multiple-piece construction
EP1174060A1 (en) Product carrier tray with support member
MXPA05008017A (es) Parilas verticalmente ajustables en el alojamiento del compartimiento de un refrigerador.
US4307671A (en) Merchandise shelving display
MXPA05007999A (es) Parillas verticalmente ajustables en el alojamiento del compartimiento de un refrigerador.
US20040020884A1 (en)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US20170245641A1 (en) Adjustable shelf riser
EP0931985B1 (en) Tray support for a baking oven
EP3141850B1 (en) A shelf system
US5407085A (en) Display rack
KR102574030B1 (ko) 액자 받침대
US4478338A (en) Display device of the type having racks arranged in shingled fashion
EP3173717A1 (en) Household refrigerating device with a transport securing element
US20200315342A1 (en) Adjustable shelving assembly
EP0153156A2 (en) Furniture element and furniture incorporating it
KR200163583Y1 (ko) 진열선반
EP1186266A1 (en) Product carrier tray with support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