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032B1 - 액자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액자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032B1
KR101890032B1 KR1020160145768A KR20160145768A KR101890032B1 KR 101890032 B1 KR101890032 B1 KR 101890032B1 KR 1020160145768 A KR1020160145768 A KR 1020160145768A KR 20160145768 A KR20160145768 A KR 20160145768A KR 101890032 B1 KR101890032 B1 KR 101890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rame
legs
st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189A (ko
Inventor
박현재
Original Assignee
박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재 filed Critical 박현재
Priority to KR102016014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0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상 등에 비치되는 액자 후면의 뒷판에 장착되어 액자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상태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액자의 뒷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성함에 있어 상단에 내측으로 감겨져 말리는 관체형의 다리 삽지부를 두고 이 다리 삽지부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리 장착 안내공을 두도록 하여 다리 양단의 삽지단부가 외향의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액자의 지지상태에서 다리에 과도한 벌림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다리가 다리 삽지부를 이완시키는 쪽이 아닌 감겨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지도록 하여 다리 삽지부가 더욱 조여지도록 유도함으로써 다리의 과도한 외력에 의해 다리 삽지부가 벌어져 다리의 결속이 무단으로 해제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리장착용 절개부의 측면 상 하측에 각각 받침용 걸림홈 및 절첩용 걸림홈을 두어 다리의 받침위치와 접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자용 받침대{THE SUPPORTER FOR FRAME }
본 발명은 탁상 등에 비치되는 액자 후면의 뒷판에 장착되어 액자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상태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액자의 뒷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성함에 있어 상단에 내측으로 감겨져 말리는 관체형의 다리 삽지부를 두고 이 다리 삽지부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리 장착 안내공을 두도록 하여 다리 양단의 삽지단부가 외향의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액자의 지지상태에서 다리에 과도한 벌림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다리가 다리 삽지부를 이완시키는 쪽이 아닌 감겨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지도록 하여 다리 삽지부가 더욱 조여지도록 유도함으로써 다리의 과도한 외력에 의해 다리 삽지부가 벌어져 다리의 결속이 무단으로 해제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리장착용 절개부의 측면 상 하측에 각각 받침용 걸림홈 및 절첩용 걸림홈을 두어 다리의 받침위치와 접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액자 특히 탁상용 액자는 내부에 사진이나 그림을 내장시키고 그 후면에 별도의 뒷판을 통해 밀봉시키고, 일정 각도로 탁상에 입설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내지 도 9은 종래의 탁상용 액자의 받침대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종래의 받침대(S)는 탁상용 액자(F)의 뒷판에 고정되는 고정편(1)을 구성함에 있어,
본체(2)의 상단에 외측으로 감겨져 말리는 관체형의 다리 삽지부(3)를 두고 이 다리 삽지부(3)의 양 단부에 벌림 제한턱(5)을 가진 다리장착용 절개부(4)를 두고 이에 도록 다리(6) 양단의 삽지단부(6')가 내향의 탄성 수축력을 갖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받침대(S)는 도 8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액자(F)의 뒷판에 적용 설치되어 액자를 소정 각도로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도 8은 액자(F)를 지지하고 있는 측면 상태도로서 다리 삽지부(3)에 삽지단부(6')가 끼워지고 이 삽지단부(6')에서 연장되는 직선의 다리는 벌림 제한턱(5)에 닿아 있는 상태로서 더 다리가 더 이상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자의 받침상태에서 액자에 누르는 상태의 외력이나 뒤로 미는 예상치 못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9의 요부 확대부분에서와 같이 다리(6)가 화살표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더 벌어지면서 다리가 벌림 제한턱(5)을 위로 밀어 주게 된다.
이로 인해 외향으로 말려있는 다리 삽지부(3)에는 풀려 이완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어 관체형으로 말린 다리 삽지부(3)는 화살표 방향으로 가상선에서와 같이 내경이 커지는 형태로 변형되거나 심하면 구멍의 형태를 가질 수 없도록 벌어지게 되어 다리의 삽지단부(6')를 끼워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받침대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기존의 받침대는 받침 위치나 접음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별도의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것이어서 받침 상태에서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다리 접힘이 가능하게 되고 도 9에서와 같이 접혀있는 상태에서 쉽게 다리가 펼쳐질 가능성이 있어 취급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액자용 받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액자의 지지상태에서 다리에 과도한 벌림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다리가 다리 삽지부를 이완시키는 쪽이 아닌 감겨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지도록 하여 다리 삽지부가 더욱 조여지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다리의 받침위치와 접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액자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자의 뒷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성함에 있어 상단에 내측으로 감겨져 말리는 관체형의 다리 삽지부를 두고 이 다리 삽지부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리 장착 안내공을 두도록 하여 다리 양단의 삽지단부가 외향의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 장착 안내공의 측면 상 하측에 각각 받침용 걸림 홈 및 절첩용 걸림홈을 두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리의 벌어짐 방향이 다리 삽지부의 말린 끝단이 감겨지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액자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다리에 과도한 외력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다리 삽지부가 더욱 감겨지는 방향으로 조여지게 됨으로써 다리와 고정편의 결속이 더욱 강화되어 조립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걸림 홈을 통해 다리의 받침위치와 접힘 위치를 구분되게 세팅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편의 종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측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편에 다리가 결합 절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는 요부도.
도 5는 액자를 받치고 있는 다리와 다리 삽지부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절첩된 다리와 다리 삽지부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액자 받침에 적용된 기존의 고정편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고정편이 적용된 기존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측 단면 예시도.
도 9는 도 7의 고정편이 적용된 기존 받침대의 다리가 절첩된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서,
공지의 탁상용 액자(F)와 결합되어 액자(F)를 입설 상태로 지지시켜주기 위한 받침대(1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편(21)의 상단에 내측으로 감겨져 관체형으로 구성되는 다리 삽지부(20)와;
상기 다리 삽지부(20)의 중간부에 외향으로 절개 구성되 는 다리 장착 안내공(30)과;
상기 다리 장착 안내공(30)의 상연부에 구성되는 벌림 제한 면(40)과;
상기 다리 장착 안내공(30)의 양 측면 상 하측에 각각 요입 구비되는 받침용 걸림 홈(50) 및 절첩용 걸림홈(51)과;
상기 다리 장착 안내공(30)의 양 측단으로 개방되는 구멍을 통해 외향의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결합 장착되는 삽지단부(61)를 구비하는 다리(6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받침대(10)는 특정의 소재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작의 편의성과 중량, 경제성 등을 감안하면 금속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받침대(10)는 도 3에서와 같이 액자(F)의 뒷판에 고정편(2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리(60)를 오므려 삽지단부(61)를 다리장착 안내공(30)의 양측 구멍으로 집어넣은 후 누름력을 제거하면 다리의 자체적인 탄발력으로 삽지단부(61)의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편(21)에 다리(60)가 결합 지지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은 다리의 절첩 상태에서는 도 4에서 보아 좌측의 다리가 절첩용 걸림홈(51)에 걸려 있는 상태로서 다리가 액자(F)의 뒷판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액자를 받쳐주기 위하여 다리를 펼치게 되면 삽지단부(61)가 다리 삽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접첩용 걸림홈(51)에 걸려있던 다리는 접첩용 걸림홈(51)에서 벗어나면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다리가 액자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서 다리(60)는 도 5에서와 같이 벌림 제한면(40)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벌림이 억제되는 상태이며 그 중 도 4에서 보아 우측의 다리는 받침용 걸림 홈(50)에 걸려 지게 되어 다리의 벌림 위치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F: 액자
10: 받침대
20: 다리 삽지부
21: 고정편
30: 다리장착 안내공
40: 벌림 제한면
50: 받침용 걸림홈
51: 절첩용 걸림홈
60: 다리
61: 삽지단부

Claims (2)

  1. 고정편(21)의 상단에 내측으로 감겨져 관체형으로 구성되는 다리 삽지부(20)와; 상기 다리 삽지부(20)의 중간부에 외향으로 절개 구성되 는 다리 장착 안내공(30)과; 상기 다리 장착 안내공(30)의 상연부에 구성되는 벌림 제한 면(40)과; 상기 다리 장착 안내공(30)의 양 측단으로 개방되는 구멍을 통해 외향의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결합 장착되는 삽지단부(61)를 구비하는 다리(6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며 탁상용 액자(F)를 입설 상태로 지지시켜주기 위한 공지의 받침대(10)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장착 안내공(30)의 양 측면 상 하측에 각각 받침용 걸림 홈(50) 및 절첩용 걸림홈(51)을 요입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받침대.
  2. 삭제
KR1020160145768A 2016-11-02 2016-11-02 액자용 받침대 KR10189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768A KR101890032B1 (ko) 2016-11-02 2016-11-02 액자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768A KR101890032B1 (ko) 2016-11-02 2016-11-02 액자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89A KR20180048189A (ko) 2018-05-10
KR101890032B1 true KR101890032B1 (ko) 2018-08-20

Family

ID=6218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768A KR101890032B1 (ko) 2016-11-02 2016-11-02 액자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0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419A (ko) 2021-01-15 2022-07-22 주식회사 아프로 액자 받침대
KR20240041557A (ko) 2022-09-23 2024-04-01 주식회사 아프로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액자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985Y1 (ko) 2001-05-30 2001-10-17 정길호 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985Y1 (ko) 2001-05-30 2001-10-17 정길호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419A (ko) 2021-01-15 2022-07-22 주식회사 아프로 액자 받침대
KR20240041557A (ko) 2022-09-23 2024-04-01 주식회사 아프로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액자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89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078B2 (en) Foldable furniture device
KR200464934Y1 (ko) 휴대용 풋레스트
KR101890032B1 (ko) 액자용 받침대
US2817567A (en) Folding furniture
US20060051159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foldable structure
KR200471815Y1 (ko)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US5555576A (en) Sectional folding bed
KR20150120263A (ko) 자동으로 펼쳐지는 지지체
US6698363B2 (en) Extendable table
US2778700A (en) Collapsible leg assemblies for table top
KR200399434Y1 (ko)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
KR20100134250A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JP2001224439A (ja) 折畳み作業台
KR20130107771A (ko) 접이식 옷걸이
KR20170002746U (ko) 자동으로 밖으로 뒤집히는 우산
US20060272913A1 (en) Folding frame for a case
KR200445283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482825Y1 (ko) 절첩다리용 회전 브래킷
JP3245023U (ja) 伸縮式突っ張りポール具
JP2019017677A (ja) アイロン台
JP3224930U (ja) ベルトバックル用固定部材
KR200312322Y1 (ko) 접이식 탁자
TWI693904B (zh) 折合桌
KR102240234B1 (ko) 이중독서대
CN215015454U (zh) 一种行军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