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906B1 - 펜스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펜스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906B1
KR101266906B1 KR1020120040048A KR20120040048A KR101266906B1 KR 101266906 B1 KR101266906 B1 KR 101266906B1 KR 1020120040048 A KR1020120040048 A KR 1020120040048A KR 20120040048 A KR20120040048 A KR 20120040048A KR 101266906 B1 KR101266906 B1 KR 10126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upling
fastener
couple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721A (ko
Inventor
김원환
Original Assignee
김원환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환,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filed Critical 김원환
Priority to KR102012004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9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펜스를 구성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를 세로부재에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펜스 설치의 정확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는, 펜스의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부와, 내측으로 가로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가로부재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가로부재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펜스용 체결구{Fastener for fences}
본 발명은 펜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펜스를 구성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를 세로부재에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펜스 설치의 정확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fense)는 차도나 인도를 구분하여 사람의 통행 또는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설치되거나, 공원의 산책로나 등산로의 주변에 설치되어 안전한 산책 및 등산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펜스는 일반적으로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지주 역할을 하는 다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사이에 다층으로 연결 설치되는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펜스는 대부분 지면에 세로부재를 고정 설치한 후, 세로부재의 양측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구를 결합시킨 다음, 체결구의 내측으로 가로부재를 삽입 결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데, 이러한 설치방법은 단순히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구를 세로부재의 외측에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 세로부재와 체결구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파손될 우려가 상당히 높으므로 펜스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펜스는 평지나 직선도로에 설치할 때에는 용이하나 경사진 곳이나 굴곡이 있는 장소에 설치할 때에는 경사각도 및 굴곡 각도에 따라 체결구 및 가로부재를 세로부재에 연결 설치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188호에는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방에 슬라이드 홈(11)을 가지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와 지주(10)의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대(20)와; 상기 가로대(20)를 지주(10)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2개 1조로 형성되어 가로대(20)의 끝단을 고정하는 연결구(30)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연결대(31)의 중앙에는 가로대(20)의 결합봉(21)이 삽입하는 안착홈을 가지는 결합부(32)를 형성하고, 지주(10)의 슬라이드 홈(11)에 삽입하는 고정대(40)와 연결대(31)를 체결볼트(50)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연결구(30)에서 가로대(20)가 전, 후와 상, 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경사진 곳이나 굴곡진 곳에 난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난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10)에 별도의 슬라이드 홈(11)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기존의 난간 또는 펜스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체결볼트(50)에 의해서만 연결구(30)와 고정대(40)를 지주(10)에 고정시키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므로 난간 또는 펜스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로대(20)를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구(30)의 구성은 대부분 볼베어링과 같은 구조를 차용하여 연결부위에 힘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지지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펜스를 구성하는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를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정부재를 세로부재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어 펜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스용 체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지지부재의 내측에 가로부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펜스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체결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를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계단과 같은 경사진 곳이나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체결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는,
펜스의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부와, 내측으로 가로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가로부재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가로부재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세로부재에 체결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및 돌출부에는 지지부재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는 결합부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결합부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펜스를 구성하는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를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정부재를 세로부재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어 펜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체결구를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부품 파손시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설치된 펜스에도 별다른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지지부재의 내측에 가로부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펜스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를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계단과 같은 경사진 곳이나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된 펜스의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a),(b)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지지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5b, 5c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 중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계단에 설치된 펜스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고정부재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지지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a, 12b, 12c, 12d는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한 펜스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된 펜스의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의 (a),(b)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지지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5b, 5c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 중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계단에 설치된 펜스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고정부재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지지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a, 12b, 12c, 12d는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한 펜스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펜스를 구성하는 가로부재(60)와 세로부재(70)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1)를 세로부재(70)에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펜스 설치의 정확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100)는 펜스를 구성하는 세로부재(70)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부재(200) 및 펜스를 구성하는 가로부재(60)를 세로부재(70)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부재(200)는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그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가로부재(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세로부재(70)와 가로부재(6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1)를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00)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체결구(1)의 파손시에도 파손된 부품 즉, 고정부재(100) 또는 지지부재(200)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200)를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시키므로 펜스를 설치하는 경우 지지부재(200)에 가로부재(6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단순한 슬라이드 결합만으로 가로부재(60)를 세로부재(70)에 견고히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펜스 설치 작업시간을 줄이고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로 분리 구성되는데, 상기 제1고정부재(110)는 세로부재(70)의 일측면에 삽입 고정되고, 제2고정부재(120)는 세로부재(70)의 타측면, 즉 제1고정부재(110)가 결합되는 반대편에 삽입 고정되어 세로부재(70)의 내측으로 삽입된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의 단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의 단부가 세로부재(70)의 내측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고정부재(100)와 세로부재(70) 사이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설치된 펜스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세로부재(70)와 가로부재(60) 및 체결구(1) 사이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는 각각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과, 제1 및 제2삽입부(114)(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은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를 세로부재(70)에 결합시키는 경우 세로부재(7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측면으로부터 지지부재(200)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114)(124)는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세로부재(70)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은 지지부재(200)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112a,122a)과 하판(112b,122b), 2단으로 형성되는데, 상판(112a,122a)의 크기가 하판(112b,122b)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하판(112b,122b)은 세로부재(70)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판(112a,122a)은 세로부재(7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판(112a,122a)과 세로부재(7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지지부재(200)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112a,122a)의 크기를 하판(112b,122b)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110)에 형성되는 제1삽입부(114)의 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116a)가 형성되는 체결부재(1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120)에 형성되는 제2삽입부(124)에는 내주면에 암나사(126a)가 형성된 체결홈(126)이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110) 또는 제2고정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체결부재(116)가 체결홈(126)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는 세로부재(70)의 내측에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110) 또는 제2고정부재(120)를 체결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를 세로부재(7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0)는 도 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210)와 가로부재 삽입부(220)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210)는 세로부재(70)에 결합된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지지부재(200)가 고정부재(100)에 의해 세로부재(7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가로부재 삽입부(220)는 결합부(210) 상에 돌출 형성되어 내측으로 가로부재(6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210)에는 슬라이드 홈(212)이 형성되어 세로부재(70)와 제1 또는 제2고정부재(110)(120)의 상판(112a,112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지지부재(200)가 제1 또는 제2슬라이드판(112)(122)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홈(212)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부(210)의 저면 부분은 평평하게 이루어져 세로부재(70)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210)에는 체결공(214)이 형성되어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된 지지부재(200)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230)에 의해 세로부재(7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부재(200)의 결합력에 부가하여 세로부재(7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 삽입부(22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가로부재(6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상단부에는 슬릿(222)이 형성되어 가로부재 삽입부(220)의 내측으로 가로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에 삽입된 가로부재(60)를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가로부재 삽입부(220)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 가로부재(60)를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 삽입부(220)는 펜스를 구성하는 가로부재(6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 중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200)를 제1지지부재(240)와 제2지지부재(250)로 분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고정부재(100) 및 세로부재(7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00)를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로부재(70)에 결합되는 가로부재(60)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계단 등의 경사가 진 곳이나,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240)는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지지부재(200)가 고정부재(100)에 의해 세로부재(70)에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242)와 힌지결합부(244)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는 세로부재(70)에 결합된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제1지지부재(240)가 고정부재(100)에 의해 세로부재(7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힌지결합부(244)는 결합부(242) 상에 돌출 형성되어 제2지지부재(250)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2지지부재(250)는 그 내측으로 가로부재(60)가 삽입 설치되어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지지부재(24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세로부재(70)에 결합되는 가로부재(60)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7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252)와 가로부재 삽입부(254)로 구성된다.
즉, 상기 힌지부(252)에는 제2힌지공(252a)이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240)의 힌지결합부(244)에 형성되는 제1힌지공(244a)을 통해 고정핀 등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제2지지부재(250)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면이 경사지거나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가로부재 삽입부(254)는 힌지부(252)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되,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가로부재(6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상단부에는 슬릿(254a)이 형성되어 가로부재 삽입부(254)의 내측으로 가로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에 삽입된 가로부재(60)를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지지부재(240)의 결합부(242)에는 슬라이드 홈(242a)이 형성되어 세로부재(70)와 제1 또는 제2고정부재(110)(120)의 상판(112a,122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지지부재(200)가 제1 또는 제2슬라이드판(112)(122)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홈(242a)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부(242)의 저면 부분은 평평하게 이루어져 세로부재(70)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42)에 형성되는 체결공(242b)을 통해 체결수단(230)을 결합시켜 제1지지부재(240)를 세로부재(7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가로부재 삽입부(254)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 가로부재(60)를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및 가로부재 삽입부(254)의 단면 형상을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지면에 지주 역할을 하는 세로부재(70)를 일정 간격으로 매설한다.
그 후, 지면에 매설된 세로부재(70)의 양 측면에 고정부재(100)를 삽입 결합시키기 위한 삽입공(72)을 형성시키는데,(삽입공 형성단계(S12)) 이때, 상기 삽입공(72)은 가로부재(60)가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펜스가 설치되는 지면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세로부재(7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공(72)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부재(70)에 형성된 삽입공(72)을 통해 고정부재(100)를 삽입 결합시키는데, 세로부재(7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72)에 각각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를 삽입한 후(고정부재 삽입단계(S14)), 제1고정부재(110) 또는 제2고정부재(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고정부재 체결단계(S16)) 수나사(116a)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110)의 체결부재(116)가 암나사(126a)가 형성된 제2고정부재(120)의 체결홈(126)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고정부재 설치단계(S10))
이때,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의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은 세로부재(7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하판(112b)(122b)은 세로부재(7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판(112a)(122a)은 세로부재(7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다음,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부재(60)를 지지부재(200)의 가로부재 삽입부(220)에 삽입 결합시킨 상태에서 지지부재(200)를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슬라이드 결합시킨다.(지지부재 결합단계(S20))
즉,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12)을 세로부재(7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결합시키면 상판(112a)(122a)과 세로부재(7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지지부재(200)를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홈(212)은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의 상판(112a)(122a) 및 하판(112b)(122b)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한 깊이 및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부재(200)가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에 슬라이드 결합되었을 때, 결합부(210)의 저면이 세로부재(70)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홈(212)과 제1 및 제2슬라이드판(112)(122)의 상판(112a)(122a) 및 하판(112b)(122b)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완벽히 밀착됨으로써 슬라이드 결합만으로도 지지부재(200)가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에 견고히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230)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에 형성된 체결공(214)을 통해 지지부재(200)를 세로부재(70)에 체결 고정시킬 수도 있는데(지지부재 체결단계(S30)), 이는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에 슬라이드 결합된 지지부재(200)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1)를 이용하여 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지지부재(200)가 제1 및 제2지지부재(240)(250)로 이루어진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지지부재(240)를 제1 및 제2고정부재(110)(120)에 슬라이드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2지지부재(250)를 제1지지부재(240)에 힌지 결합시키는 과정이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펜스 설치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한 펜스의 설치방법은 펜스를 새로 설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펜스의 경우에도 체결구(1)만을 교체하여 다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경제적이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100)에 지지부재(200)를 슬라이드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00)를 세로부재(70)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부재(20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130)와 돌출부(140)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부(130)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체결공(132)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230)에 의해 세로부재(7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부(140)는 몸체부(13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재(200)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는 제1결합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30)의 내측에는 제2결합홈(134)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142)(134)은 고정부재(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부재(200)를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30)와 돌출부(140)에는 지지부재(200)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 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지지부재(200)는 고정부재(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260), 가로부재 결합부(270) 및 연결부(28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2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부재(100)에 결합된 지지부재(200)가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0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단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결합부(260)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상단(262)과 하단(26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단(262)은 고정부재(100)의 돌출부(140) 안쪽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142)에 끼움 결합되고, 하단(264)은 몸체부(130)의 안쪽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134)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60)가 고정부재(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된 경우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결합홈(142)(134) 또한 결합부(260)의 상단(262) 및 하단(264)과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삽입된 결합부(260)를 지지하면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가로부재 결합부(27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가로부재(6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일측 단부에 슬릿(2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 결합부(270)에는 결합홀(274)이 더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결합홀(274)은 가로부재 결합부(270)의 외측으로 회사의 로고나 광고문구 등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 연결부(280)는 결합부(260)와 가로부재 결합부(270)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50)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60)가 고정부재(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후술하겠지만, 지지부재(200)를 고정부재(100)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연결부(280)가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50)을 통과하도록 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1)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연결부(280)가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50)을 통과하도록 하여 지지부재(200)를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시킨다.
다음,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에 슬라이드 결합된 지지부재(200)의 가로부재 결합부(270)를 상부로 들어올려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60)가 고정부재(100)의 돌출부(140) 및 몸체부(130)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홈(142) 및 제2결합홈(134)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그 후,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의 몸체부(130)에 형성된 체결공(132)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수단(230)을 이용하여 고정부재(100)를 세로부재(70)에 견고히 결합시킨 후, 펜스가 설치되는 지면의 경사를 고려하여 지지부재(200)의 가로부재 결합부(270)를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지지부재(200)의 가로부재 결합부(270)를 통해 가로부재(60)를 끼움 결합시킨 후 고정하면 펜스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체결구에 의하면, 펜스를 구성하는 세로부재(70)와 가로부재(6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1)를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00)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정부재(100)를 세로부재(70)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세로부재(70)와 가로부재(60)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어 펜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결구(1)를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00)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부품 파손시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설치된 펜스에도 별다른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00)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지지부재(200)의 내측에 가로부재(6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구(1)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펜스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지부재(200)를 고정부재(1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단과 같은 경사진 곳이나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펜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펜스를 구성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를 세로부재에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펜스 설치의 정확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1 : 체결구 60 : 가로부재
70 : 세로부재 100 : 고정부재
110 : 제1고정부재 112 : 제1슬라이드판
112a, 122a : 상판 112b, 122b : 하판
114 : 제1삽입부 116 : 체결부재
116a : 수나사 120 : 제2고정부재
122 : 제2슬라이드판 124 : 제2삽입부
126 : 체결홈 126a : 암나사
130 : 몸체부 132 : 체결공
134 : 제2결합홈 140 : 돌출부
142 : 제1결합홈 150, 212, 242a : 슬라이드홈
200 : 지지부재 210, 242, 260 : 결합부
214, 242b : 체결공 220, 254 : 가로부재 삽입부
222, 254a, 272 : 슬릿 230 : 체결수단
240 : 제1지지부재 244 : 힌지결합부
244a : 제1힌지공 250 : 제2지지부재
252 : 힌지부 252a : 제2힌지공
262 : 상단 264 : 하단
270 : 가로부재 결합부 274 : 결합홀
280 : 연결부

Claims (3)

  1. 펜스의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부와, 내측으로 가로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가로부재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가로부재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세로부재에 체결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및 돌출부에는 지지부재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체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는 결합부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결합부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체결구.
KR1020120040048A 2012-04-18 2012-04-18 펜스용 체결구 KR10126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048A KR101266906B1 (ko) 2012-04-18 2012-04-18 펜스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048A KR101266906B1 (ko) 2012-04-18 2012-04-18 펜스용 체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377A Division KR101155622B1 (ko) 2011-08-30 2011-08-30 펜스용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721A KR20130024721A (ko) 2013-03-08
KR101266906B1 true KR101266906B1 (ko) 2013-05-23

Family

ID=4817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048A KR101266906B1 (ko) 2012-04-18 2012-04-18 펜스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14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원탑 회전횡대가 구비된 증설용 추락방지 안전난간
KR102343819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대양건설 회전횡대가 구비된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242Y1 (ko) 2007-12-14 2008-06-02 이재문 보도 및 차도 분리용 펜스
KR101067250B1 (ko)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242Y1 (ko) 2007-12-14 2008-06-02 이재문 보도 및 차도 분리용 펜스
KR101067250B1 (ko)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14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원탑 회전횡대가 구비된 증설용 추락방지 안전난간
KR102343819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대양건설 회전횡대가 구비된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721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9181T3 (es) Sistema de fijacion de un poste con base unica y metodo de montaje de dicho sistema.
US9027909B1 (en) Rackable screwless fencing system
KR101177528B1 (ko) 관절형 완충 난간
US8522505B2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AU2012202022B2 (en) Modular Pedestrian Tunnel
US7677535B1 (en) Railing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US20060180729A1 (en) Leg support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US20150090531A1 (en) Assembled a-shaped ladder
CA2870710A1 (en) Fence rail and bracket system
AU2008258172A1 (en) A sliding door arrangement
US8534024B2 (en) Modular stage, kit for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2011241B1 (ko) 경사지에 설치 가능한 조립식 울타리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101266906B1 (ko) 펜스용 체결구
KR10134892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101266907B1 (ko)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한 펜스 설치방법
KR101155622B1 (ko) 펜스용 체결구
KR101299082B1 (ko) 각도조절형 펜스
CN109138513B (zh) 一种凉亭建筑系统
KR20150010510A (ko) 울타리용 연결 장치
US11002038B2 (en) Fence safety and anti-theft system
KR100930510B1 (ko) 다목적 지주 세트
ES2960776T3 (es) Cerca modular prefabricada con conectores conformados ventajosam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