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510B1 - 다목적 지주 세트 - Google Patents

다목적 지주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510B1
KR100930510B1 KR1020090052931A KR20090052931A KR100930510B1 KR 100930510 B1 KR100930510 B1 KR 100930510B1 KR 1020090052931 A KR1020090052931 A KR 1020090052931A KR 20090052931 A KR20090052931 A KR 20090052931A KR 100930510 B1 KR100930510 B1 KR 10093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nder
pole
downwar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관
Original Assignee
영진산업안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산업안전(주) filed Critical 영진산업안전(주)
Priority to KR102009005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기둥(20)이 메인기둥(10) 위에 메인볼트(B1)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서브기둥(20)을 하우징(40)으로 감싼 상태에서 캡(50)으로 마감 처리하여 구성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과 조립성의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폴(P1)의 높이에 따라 메인기둥(10)과 서브기둥(20)의 높낮이를 크게 하든 작게 하든 메인볼트(B1)로서 간단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지주 세트에 관한 것이다.
메인기둥, 서브기둥, 메인볼트, 하우징, 캡, 폴, 다른 폴

Description

다목적 지주 세트{MULTI PURPOSE POST}
본 발명은 다목적 지주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브기둥이 메인기둥 위에 메인볼트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서브기둥을 하우징으로 감싼 상태에서 캡으로 마감 처리하여 구성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과 조립성의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폴의 높이에 따라 메인기둥과 서브기둥의 높낮이를 크게 하든 작게 하든 메인볼트로서 간단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다목적 지주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支柱)는 차량과 사람이 다니는 도로를 구획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펜스(Fence), 사람이 다니는 인도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볼라드(bollard) 또는 공원에 휴식공간으로 설치되는 벤치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이러한 지주를 활용한 고안으로서 2003.01.07 출원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0000412(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 이하 선출원이라 함)가 공고되어 있어, 이를 예로 들기로 한다.
도 1은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결합 상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를 나타내는 결합 상태도이고, 도 5는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벤치기둥이 볼라드로 사용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벤치기둥이 펜스기둥으로 사용된 사용 상태도이다.
선출원에 따른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는 각 기둥과 연결부위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연결돌기의 유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조립된 벤치기둥을 볼라드, 펜스기둥 등으로 재활용하여 간편한 조립으로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출원의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기둥(11)의 상측에 중간기둥(12)이 탑재되고, 중간기둥(12)의 상측에는 상부기둥(13)이 탑재된다.
또한, 각 기둥(1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벤치판(41)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링(22) 또는 기둥(10)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각 기둥(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끼움링(21)이 각 기둥(10)과 각 기둥(10) 사이에 부여된다.
그리고, 상부기둥(13)과 중간기둥(12)은 연결링(22)이나 끼움링(21)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끼움돌기(25)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링(22) 및 끼움링(21)은 그 중앙에 끼움돌기(25)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23)이 관통 형 성된다.
또한, 각 기둥(10)은 재료의 감량을 위해 그 중간에 감량공(28)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연결볼트(26)에 의해 일체 결합되고, 상부기둥(13)은 각각의 기둥(10)이 탑재되는 최상측에 위치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평평한 면이 아닌 원뿔이나 삼각뿔 등의 다른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링(22)의 측부에는 벤치판(41)과 연결되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의 연결돌기(24a)가 벤치판(41)의 하부에서 연결볼트(26)에 의해 결합되도록 벤치판(41)의 폭과 모양에 맞게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연결링(22)의 측부에 펜스대(42)를 연결시킬 경우 펜스대(42)가 끼움 결합되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의 연결돌기(24b)가 상기 펜스대(42)에 끼워질 수 있는 굵기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각 기둥(10)을 벤치기둥(32)으로 하여 지면에 부착된 하부기둥(11)의 상측으로 중간기둥(12)의 끼움돌기(25)에 끼움링(21)이 끼움 결합되어 탑재형성되고, 중간기둥(12)의 상측으로 상부기둥(13)의 끼움돌기(25)에 연결링(22)이 끼움 결합되면서 연결링(22)의 연결돌기(24a)에 벤치판(41)이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볼트(26)에 의해 볼트 결합된다.
아울러, 연결링(22)의 연결돌기(24a)는 1개의 벤치판(41)이 연결될 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연결링(22)에 1개의 연결돌기(24a)가 형성되고, 다수의 벤치판(41)이 연결될 때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부의 벤치판(41)에 연결되는 연결링(22)에는 1개의 연결돌기(24a)가 형성되면서 중간의 벤치판(41)에 연결되는 연결링(22)에는 양측 2개의 연결돌기(24a)가 형성된다.
또한, 벤치판(41)의 배열형태에 따라 연결링(22)의 연결돌기(24a) 개수와 모양 및 그 사이의 각은 달라지는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벤치판(41)이 원형으로 배열되면 연결링(22)의 양측에 2개의 연결돌기(24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출원의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에 사용되는 벤치기둥(32)은 볼라드(31)로 사용할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부착된 하부기둥(11)의 상측으로 중간기둥(12)의 끼움돌기(25)에 끼움링(21)이 끼움 결합되어 탑재 형성되고 중간기둥(12)의 상측으로 상부기둥(13)의 끼움돌기(25)에 끼움링(21)이 끼움 결합되어 차량통행방지용 지주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선출원의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의 벤치기둥(32)은 펜스기둥(33)으로도 사용이 가능한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부착된 하부기둥(11)의 상측으로 중간기둥(12)의 끼움돌기(25)에 펜스대(4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굵기의 연결돌기(24b)가 형성된 연결링(22)이 끼움 결합되어 탑재 형성되고, 중간기둥(12)의 상측으로 또 다른 중간기둥(12)의 끼움돌기(25)에 다른 연결링(22)이 끼움 결합되어 탑재 형성된다.
아울러, 중간기둥(12)의 상측으로 상부기둥(13)의 끼움돌기(25)에 또 다른 연결링(22)이 끼움 결합되어 상부기둥(13)이 탑재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펜스기둥(33)이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돌기(24b)에 펜스대(42)가 연결 형성되면서 일정한 형태를 이루게 되면 선출원의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는 펜스기둥(33)의 역할도 하게 된다.
그런데, 선출원에 따른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는 벤치기둥(32)이 볼라드(31), 펜스기둥(33)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상부기둥(13), 중간기둥(12), 하부기둥(11)이 두 개의 연결볼트(26)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연결볼트(26)를 끼워 넣는 조립이 어렵고(상하 구멍을 맞추어 조립하는 어려움이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 부품 교체시 연결볼트(26)를 해제하기가 극히 어려우며, 상부기둥(13), 중간기둥(12), 하부기둥(11)의 높이가 클 경우 더욱 긴 연결볼트(26)가 필요로 하는 등의 조립성 및 생산성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기둥이 메인기둥 위에 메인볼트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서브기둥을 하우징으로 감싼 상태에서 캡으로 마감 처리하여 구성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과 조립성으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폴의 높이에 따라 메인기둥과 서브기둥의 높낮이를 크게 하든 작게 하든 메인볼트로서 간단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지주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을 활용한 볼라드 기능 그리고 폴과 다른 폴을 활용한 펜스 나아가 기타 벤치에 이르까지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다목적 지주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는 상단에 하방향 결합홈 및 횡방향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면에 직립되는 메인기둥과, 상기 횡방향 관통공에 합치되는 횡방향 나사홈을 지니면서 상기 하방향 결합홈에 삽입되는 하방향 결합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방향 결합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에 하방향 스크류홈을 지닌 상방향 지지구를 구비한 서브기둥과, 상기 횡방향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횡방향 나사홈에 결합되는 메인볼트와, 상기 상방향 지지구를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방향 스크류홈에 합치되는 하방향 나사돌기를 지닌 캡으로 구성된 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브기둥이 메인기둥 위에 메인볼트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서브기둥을 하우징으로 감싼 상태에서 캡으로 마감 처리하여 구성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과 조립성의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폴의 높이에 따라 메인기둥과 서브기둥의 높낮이를 크게 하든 작게 하든 메인볼트로서 간단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기둥의 하방향 결합홈에 상방향 지지구의 하방향 결합구가 끼워짐과 동시에 횡방향 관통공을 경유하여 횡방향 나사홈에 메인볼트가 간단히 체결됨으로써 하방향 결합홈과 하방향 결합구의 끼워맞춤 결합 및 메인볼트에 의한 나사 조임으로 더욱 견고한 조립을 보장할 수 있고, 나아가 상방향 지지구의 높이 제 한을 둘 필요가 없어 폴의 높낮이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방향 지지구의 직경을 작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대신 하우징으로 상방향 지지구를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더불어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캡의 하방향 나사돌기를 상방향 지지구의 하방향 스크류홈에 조여줌으로써 간단하게 폴을 완성할 수 있고, 이러한 폴은 사람이 다니는 인도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토록 하는 볼라드로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폴을 기본으로 하면서 이러한 폴과 동일한 구성으로 된 다른 폴을 활용하여 펜스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언더 바 및 어퍼 바가 언더 회전구 및 언퍼 회전구에 의해 좌우 회동 가능하게 되어 도로의 굴곡 구간에 따라 폴과 다른 폴의 좌우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언더 바 및 어퍼 바가 언더 힌지축 및 어퍼 힌지축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되어 도로의 경사 구간에 따라 폴과 다른 폴의 상하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폴과 다른 폴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언더 바가 언더 삽입구와 언더 봉으로 분리 구성되고, 어퍼 바 역시 어퍼 삽입구와 어퍼 봉으로 분리 구성됨으로써, 폴과 다른 폴의 긴 간격에 맞추어 언더 봉 및 어퍼 봉을 별도로 제작한 후 언더 삽입구 및 어퍼 삽입구를 끼워맞춤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보장하면서도 조립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퍼 봉 및 언더 봉 사이에 2개 1조의 경사 바를 용접방식이 아닌 조립식으로 체결토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고, 나아가 펜스의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주연으로부터 상방향 지지구를 향하여 맞닿는 지지편을 구비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하우징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의 무게나 원자재 소비를 감안하여 빈 공간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을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초 파이프를 콘크리트에 매설한 상태에서 수직 고정홈을 기초 파이프에 합치시켜 조립성을 보장케 하고, 원판으로 메인기둥의 하부를 마감 처리토록 함으로써 외관상의 안정감과 미려함을 더부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둥(10), 서브기둥(20), 메인볼트(B1), 하우징(40) 및 캡(50)으로 이루어진 폴(P1)을 핵심구성으로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서브기둥(20)이 메인기둥(10) 위에 메인볼트(B1)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서브기둥(20)을 하우징(40)으로 감싼 상태에서 캡(50)으로 마감 처리하여 구성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과 조립성의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폴(P1)의 높이에 따라 메인기둥(10)과 서브기둥(20)의 높낮이를 크게 하든 작게 하든 메인볼트(B1)로서 간단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핵심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메인기둥(10)은 상단에 하방향 결합홈(11) 및 횡방향 관통공(12)을 구비하여 지면에 직립되고, 서브기둥(20)은 횡방향 관통공(12)에 합치되는 횡방향 나사홈(22)을 지니면서 하방향 결합홈(11)에 삽입되는 하방향 결합구(21)를 구비함과 동시에 하방향 결합구(2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에 하방향 스크류홈(24)을 지닌 상방향 지지구(23)를 구비하고, 메인볼트(B1)는 횡방향 관통공(12)을 경유하여 횡방향 나사홈(22)에 결합되고, 하우징(40)은 상방향 지지구(23)를 감싸며, 캡(50)은 하방향 스크류홈(24)에 합치되는 하방향 나사돌기(51)를 가진다.
메인기둥(10)은 지면 예를 들면, 콘크리트에 직접 매설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기초 파이프(91)를 통해 지면에 직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인기둥(10)의 하방향 결합홈(11)에 상방향 지지구(23)의 하방향 결합구(21)가 끼워짐과 동시에 횡방향 관통공(12)을 경유하여 횡방향 나사홈(22)에 메인볼트(B1)가 간단히 체결됨으로써 하방향 결합홈(11)과 하방향 결합구(21)의 끼워맞춤 결합 및 메인볼트(B1)에 의 한 나사 조임으로 견고한 조립을 보장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방향 지지구(23)의 높이 제한을 둘 필요가 없어 폴(P1)의 높낮이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케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방향 지지구(23)의 직경을 작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대신 하우징(40)으로 상방향 지지구(23)를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더불어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캡(50)의 하방향 나사돌기(51)를 상방향 지지구(23)의 하방향 스크류홈(24)에 조여줌으로써 간단하게 폴(P1)을 완성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폴(P1)은 사람이 다니는 인도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토록 하는 볼라드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P1)을 기본으로 하면서 이러한 폴(P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된 다른 폴(P2)을 활용하여 펜스를 완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P1)은 상방향 지지구(23)에 끼워져 하방향 결합구(21)의 상단에 안착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된 언더 결합편(61a)들에 횡방향으로 뚫려진 언더 힌지구멍(61b)을 구비한 언더 회전구(61)와, 상방향 지지구(23)에 끼워져 하우징(40)의 상단에 안착되며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된 어퍼 결합편(62a)들에 횡방향으로 뚫려진 어퍼 힌지구멍(62b)을 구비한 어퍼 회전구(62)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는 폴(P1)의 언더 힌지구멍(61b) 및 다른 폴(P2)의 언더 힌지구멍(61b)에 언더 힌지축(H1)으로 결합되어 상하좌우 회동 가능한 언더 바(71)를 포함하고, 폴(P1)의 어퍼 힌지구멍(62b) 및 다른 폴(P2)의 어퍼 힌지구멍(62b)에 어퍼 힌지축(H2)으로 결합되어 상하좌우 회동 가능한 어퍼 바(72)를 포함할 수 있다.
언더 바(71) 및 어퍼 바(72)가 언더 회전구(61) 및 언퍼 회전구에 의해 좌우 회동 가능하게 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굴곡 구간에 따라 폴(P1)과 다른 폴(P2)의 좌우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언더 바(71) 및 어퍼 바(72)가 언더 힌지축(H1) 및 어퍼 힌지축(H2)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경사 구간에 따라 폴(P1)과 다른 폴(P2)의 상하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폴(P1)과 다른 폴(P2)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언더 바(71)는 언더 결합편(61a)들 사이에 끼워져 언더 힌지구멍(61b)을 통해 삽입된 언더 힌지축(H1)에 결합되는 언더 힌지공(71b)을 지닌 언더 삽입구(71a)와, 이 언더 삽입구(71a)를 받아들이는 언더 봉(71c)을 포함한다.
그리고, 어퍼 바(72)는 어퍼 결합편(62a)들 사이에 끼워져 어퍼 힌지구멍(62b)을 통해 삽입된 어퍼 힌지축(H2)에 결합되는 어퍼 힌지공(72b)을 지닌 어퍼 삽입구(72a)와, 이 어퍼 삽입구(72a)를 받아들이는 어퍼 봉(72c)을 포함한다.
언더 바(71)가 언더 삽입구(71a)와 언더 봉(71c)으로 분리 구성되고, 어퍼 바(72) 역시 어퍼 삽입구(72a)와 어퍼 봉(72c)으로 분리 구성됨으로써, 폴(P1)과 다른 폴(P2)의 긴 간격에 맞추어 언더 봉(71c) 및 어퍼 봉(72c)을 별도로 제작한 후 언더 삽입구(71a) 및 어퍼 삽입구(72a)를 끼워맞춤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보장하면서도 조립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어퍼 봉(72c)은 하부 개방통로(72d)를 지닌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는 어퍼 봉(72c)의 천정에 맞닿도록 삽입되며 하부 개방통로(72d)를 향하여 나란히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통공(81d)을 지닌 고정편(81c)들을 구비한 좌측 고정구(81a) 및 우측 고정구(81b)를 포함하고, 언더 봉(71c)을 감싸면서 상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좌측 체결공(82c) 및 우측 체결공(82d)을 지닌 체결편(82b)들을 구비한 중앙 고정구(82a)를 포함하며, 좌측 체결공(82c) 및 우측 체결공(82d)에 끼워진 체결볼트(B3)에 각각 결합되어 좌측 고정구(81a) 및 우측 고정구(81b)의 통공(81d)에 끼워진 고정볼트(B2)에 각각 결합되는 2개 1조의 경사 바(7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봉(72c) 및 언더 봉(71c) 사이에 2개 1조의 경사 바(73)를 용접방식이 아닌 조립식으로 체결토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고, 나아가 펜스의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는 상방향 지지구(23)에 끼워져 언더 회전구(61) 및 어퍼 회전구(62) 위에 각각 안착되는 완충링(63)을 포함하여 언더 회전구(61) 및 어퍼 회전구(62)의 좌우 회전을 원활하게 일조할 수 있도록 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긴 구간에 펜스를 설치하고자 할 때 완충링(63) 대신 언더 회전구(61) 및 어퍼 회전구(62)를 더블로 세팅시켜 어퍼 바(72) 및 언더 바(71)의 연속 설치를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하우징(40)은 내주연으로부터 상방향 지지구(23)를 향하여 맞닿는 지지편(41)을 구비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하우징(4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의 무게나 원자재 소비에 비해 빈 공간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을 보장토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둥(10)은 하단에 수직 고정홈(13)을 구비하고, 수직 고정홈(13)에 끼워져 지면에 매립되는 기초 파이프(91)를 구비하며, 메인기둥(10)의 하부에 끼워져 지면에 맞닿는 원판(9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 파이프(91)를 지면 예를 들면, 콘크리트에 매설한 상태에서 수직 고정홈(13)을 기초 파이프(91)에 합치시켜 조립성을 보장케 하고, 원판(92)으로 메인기둥(10)의 하부를 마감 처리토록 함으로써 외관상의 안정감과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결합 상태도.
도 3 및 도 4는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를 나타내는 결합 상태도.
도 5는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벤치기둥이 볼라드로 사용된 사용 상태도.
도 6은 선출원에 따른 조립식 벤치의 벤치기둥이 펜스기둥으로 사용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 세트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기둥 11 : 하방향 결합홈
12 : 횡방향 관통공 13 : 수직 고정홈
20 : 서브기둥 21 : 하방향 결합구
22 : 횡방향 나사홈 23 : 상방향 지지구
24 : 하방향 스크류홈 B1 : 메인볼트
40 : 하우징 41 : 지지편
50 : 캡 51 : 하방향 나사돌기
61 : 언더 회전구 61a : 언더 결합편
61b : 언더 힌지구멍 62 : 어퍼 회전구
62a : 어퍼 결합편 62b : 어퍼 힌지구멍
63 : 완충링 H1 : 언더 힌지축
H2 : 어퍼 힌지축 71 : 언더 바
71a : 언더 삽입구 71b : 언더 힌지공
71c : 언더 봉 72 : 어퍼 바
72a : 어퍼 삽입구 72b : 어퍼 힌지공
72c : 어퍼 봉 72d : 하부 개방통로
73 : 경사 바 81a : 좌측 고정구
81b : 우측 고정구 81c : 고정편
81d : 통공 B2 : 고정볼트
82a : 중앙 고정구 82b : 체결편
82c : 좌측 체결공 82d : 우측 체결공
B3 : 체결볼트 91 : 기초 파이프
92 : 원판 P1 : 폴
P2 : 다른 폴

Claims (7)

  1. 삭제
  2. 상단에 하방향 결합홈(11) 및 횡방향 관통공(12)을 구비하여 지면에 직립되는 메인기둥(10)과, 상기 횡방향 관통공(12)에 합치되는 횡방향 나사홈(22)을 지니면서 상기 하방향 결합홈(11)에 삽입되는 하방향 결합구(21)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방향 결합구(2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에 하방향 스크류홈(24)을 지닌 상방향 지지구(23)를 구비한 서브기둥(20)과, 상기 횡방향 관통공(12)을 경유하여 상기 횡방향 나사홈(22)에 결합되는 메인볼트(B1)와, 상기 상방향 지지구(23)를 감싸는 하우징(40)과, 상기 하방향 스크류홈(24)에 합치되는 하방향 나사돌기(51)를 지닌 캡(50)으로 구성된 폴(P1)을 포함하고,
    상기 폴(P1)은 상기 상방향 지지구(23)에 끼워져 상기 하방향 결합구(21)의 상단에 안착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된 언더 결합편(61a)들에 횡방향으로 뚫려진 언더 힌지구멍(61b)을 구비한 언더 회전구(61)와, 상기 상방향 지지구(23)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40)의 상단에 안착되며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된 어퍼 결합편(62a)들에 횡방향으로 뚫려진 어퍼 힌지구멍(62b)을 구비한 어퍼 회전구(62)를 포함하고,
    상기 폴(P1)과 이격되는 지면에 직립되며 상기 폴(P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른 폴(P2)을 포함하고,
    상기 폴(P1)의 언더 힌지구멍(61b) 및 상기 다른 폴(P2)의 언더 힌지구멍(61b)에 언더 힌지축(H1)으로 결합되어 상하좌우 회동 가능한 언더 바(71)를 포함하고,
    상기 폴(P1)의 어퍼 힌지구멍(62b) 및 상기 다른 폴(P2)의 어퍼 힌지구멍(62b)에 어퍼 힌지축(H2)으로 결합되어 상하좌우 회동 가능한 어퍼 바(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주 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바(71)는 상기 언더 결합편(61a)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언더 힌지구멍(61b)을 통해 끼워진 상기 언더 힌지축(H1)에 결합되는 언더 힌지공(71b)을 지닌 언더 삽입구(71a)와, 상기 언더 삽입구(71a)를 받아들이는 언더 봉(71c)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72)는 상기 어퍼 결합편(62a)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어퍼 힌지구멍(62b)을 통해 끼워진 상기 어퍼 힌지축(H2)에 결합되는 어퍼 힌지공(72b)을 지닌 어퍼 삽입구(72a)와, 상기 어퍼 삽입구(72a)를 받아들이는 어퍼 봉(7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주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봉(72c)은 하부 개방통로(72d)를 지닌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 봉(72c)의 천정에 맞닿도록 삽입되며 상기 하부 개방통로(72d)를 향하여 나란히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통공(81d)을 지닌 고정편(81c)들을 구비한 좌측 고정구(81a) 및 우측 고정구(81b)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 봉(71c)을 감싸면서 상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좌측 체결공(82c) 및 우측 체결공(82d)을 지닌 체결편(82b)들을 구비한 중앙 고정구(82a)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체결공(82c) 및 우측 체결공(82d)에 끼워진 체결볼트(B3)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좌측 고정구(81a) 및 우측 고정구(81b)의 통공(81d)에 끼워진 고정볼트(B2)에 각각 결합되는 2개 1조의 경사 바(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주 세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은 내주연으로부터 상기 상방향 지지구(23)를 향하여 맞닿는 지지편(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주 세트.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향 지지구(23)에 끼워져 언더 회전구(61) 및 어퍼 회전구(62) 위에 각각 안착되는 완충링(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주 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둥(10)은 하단에 수직 고정홈(13)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고정홈(13)에 끼워져 지면에 매립되는 기초 파이프(91)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기둥(10)의 하부에 끼워져 지면에 맞닿는 원판(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주 세트.
KR1020090052931A 2009-06-15 2009-06-15 다목적 지주 세트 KR10093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31A KR100930510B1 (ko) 2009-06-15 2009-06-15 다목적 지주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31A KR100930510B1 (ko) 2009-06-15 2009-06-15 다목적 지주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510B1 true KR100930510B1 (ko) 2009-12-09

Family

ID=4168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31A KR100930510B1 (ko) 2009-06-15 2009-06-15 다목적 지주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2273897B1 (ko) * 2021-01-25 2021-07-06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조립식 차선분리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14Y1 (ko) * 1991-02-19 1993-05-19 이철우 조립식 주철제 방책
KR19990003461U (ko) * 1997-06-30 1999-01-25 이용남 조립식 난간
JP2001317232A (ja) 2000-05-09 2001-11-16 New Works Engineering:Kk ビーム材の連結固定具
KR200403458Y1 (ko) * 2005-09-14 2005-12-09 이건수 충격흡수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14Y1 (ko) * 1991-02-19 1993-05-19 이철우 조립식 주철제 방책
KR19990003461U (ko) * 1997-06-30 1999-01-25 이용남 조립식 난간
JP2001317232A (ja) 2000-05-09 2001-11-16 New Works Engineering:Kk ビーム材の連結固定具
KR200403458Y1 (ko) * 2005-09-14 2005-12-09 이건수 충격흡수 중앙분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2273897B1 (ko) * 2021-01-25 2021-07-06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조립식 차선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293B1 (ko)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과 확장형 모듈난간 데크로드 시스템
US8082934B1 (en) Umbrella anchoring device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100930510B1 (ko) 다목적 지주 세트
US20090152524A1 (en) Fence stabilization system
KR101850327B1 (ko)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KR101040824B1 (ko) 도로용 울타리
KR102156673B1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101299082B1 (ko) 각도조절형 펜스
KR101490492B1 (ko) 울타리용 연결 장치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100949908B1 (ko) 지주용 기초석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1266906B1 (ko) 펜스용 체결구
KR200295161Y1 (ko)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20100101753A (ko) 가로등 지주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102649897B1 (ko) 가로바아의 자유회동시공이 용이한 펜스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200077223A (ko) 경사지 시공이 용이한 펜스의 설치 조립체
KR102649895B1 (ko) 가로바아의 자유회동시공이 용이한 펜스조립체
KR200493037Y1 (ko) 펜스에 사용되는 목재기둥 고정판용 덮개
KR200406220Y1 (ko) 메쉬휀스용 지주
KR101266907B1 (ko) 펜스용 체결구를 이용한 펜스 설치방법
JP4559268B2 (ja) 手摺
KR101155622B1 (ko) 펜스용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