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888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888A
KR20110067888A KR1020090124666A KR20090124666A KR20110067888A KR 20110067888 A KR20110067888 A KR 20110067888A KR 1020090124666 A KR1020090124666 A KR 1020090124666A KR 20090124666 A KR20090124666 A KR 20090124666A KR 20110067888 A KR20110067888 A KR 2011006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target
relative humidity
hot ai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204B1 (ko
Inventor
박혜용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204B1/ko
Priority to PCT/KR2010/008888 priority patent/WO2011074840A2/ko
Priority to US13/515,198 priority patent/US8966785B2/en
Priority to CN201080057033.XA priority patent/CN102656315B/zh
Publication of KR2011006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대상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목표습도결정단계 및 상기 목표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 캐비닛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포량에 관계없이 각 포에 함유된 수분양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목표습도결정단계 및 상기 목표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코스에 따라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상대습도,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 중에 적어도 하나에 따라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건조가 완료되는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경우에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초기의 상대습도를 감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게 되므로, 포량에 관계없이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각 포에 남아 있는 함수량에 편차가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14)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캐비닛(10), 수용공간(12)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도 5 참조, 22),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수분발생장치(도 2 참조, 30) 및 공기공급장치(22)와 수분발생 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을 구비한다.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 등을 구비한다. 지지대(16)는 의류가 움직임 없이 정적인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풍,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의류가 거치되며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을 가하는 무빙행어(moving hanger)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류는 수용공간(12) 내에 구비되는 무빙행어(50)가 거치된다. 무빙행어(50)는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의류에 공기, 열풍,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이 가해진다면 의류의 리프레쉬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도 3은 무빙행어(5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무빙행어(5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빙행어(50)는 옷걸이(200)에 거치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한 행어바(250), 행어바(250)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80)를 포함한 다. 행어바(250)에는 옷걸이(200)가 거치되는 경우에 위치를 고정하는 옷걸이홈(251)이 다수개 구비된다. 지지부(280)는 무빙행어 프레임(213)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무빙행어 프레임(213)은 캐비닛(10)의 내부 천장의 위쪽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구비된다. 행어바(250)의 양단부에는 지지부리브(254)를 구비하여, 지지부리브(254)가 지지부(280)의 단부를 감싸면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수납되는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리프레쉬는 물론이고 의류의 건조효율에 있어서도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빙행어(50)는 모터(230), 모터(230)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행어바(250)의 수평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변환부(260), 모터(23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동력변환부(26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4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40)는 모터(230)에 구비되는 주동풀리(241), 주동풀리(241)와 벨트(243)로 연결되는 종동풀리(242) 및 종동풀리(242)의 중심에 결합하는 회전축(24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244)은 무빙행어 프레임(213)에 구비되는 베어링하우징(27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행어바(250)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슬롯(252)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행어바(250)의 상부에 슬롯하우징(253)을 구비하고, 슬롯하우징(253)의 대락 중앙부에 슬롯(252)을 구비한다. 또한, 동력변환부(260)는 슬롯(252)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부(263), 회전축(244)에 결합하는 축 결합부(261) 및 슬롯삽입부(263)와 축 결합부(261)를 이어주는 회전암(2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26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214)에 의해 감싸지며, 커버(214)는 무빙행어 프레임(213)과 슬롯하우징(25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모터(230)가 회전하게 되면 종동풀리(242)가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풀리(242)에 결합된 회전축(244)도 회전하게 되고, 슬롯삽입부(263)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운동을 할 것이다.
한편, 행어바(250)에 구비된 슬롯(252)은 행어바(2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되며, 나아가 그 길이가 슬롯연결부(263)의 회전궤적 지름보다 더 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슬롯(252)은 슬롯삽입부(263)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슬롯(250)에 결합된 행어바(250)는 수평방향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캐비닛(10)에는 공기공급장치(22) 및 수분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을 구비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아래에 위치하며, 내부에 공기공급장치(22) 및 수분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5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기계실(2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편의상 도 5에서 캐비닛(10)은 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1)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공급장치(22), 수분발생장치(30)를 포함한 주요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5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22)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에 해당하는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전기식 히터 등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저온 건조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리프레쉬 또는 건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온에 의해 의류 에 변형 또는 파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도 5 참조, 21A))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A)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유입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유입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A)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배출덕트(33) 및 공기배출구(도 1 참조, 21B)를 통하여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A)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A)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이하, '스팀'이라 한다)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분발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수분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분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물공급탱크(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탱크는 바람직하게 기계실(2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모듈(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공급탱크는 도어모듈(6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공급탱크를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분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노즐(도 1 및 도 2 참조, 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수분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어방법은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단계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건조단계는 별도의 코스, 예를 들어 건조코스로 설정되거나, 또는 다른 코스 중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의류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의류의 건조완료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습 도센서를 활용하게 된다. 즉, 습도센서에 의해 의류를 거치고 나온 공기 중의 습도량을 감지하여 의류의 건조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총 의류 중에 포함된 수분의 양(함수량)이 일정한 경우에도 수용공간에 포함된 의류의 양(포량)에 따라 공기의 상대습도량이 변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함수량이 일정한 경우에도 의류의 양이 많을수록 공기의 상대습도가 높아지며, 의류의 양이 적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아짐을 알게 되었다. 이는 의류의 양이 많아질수록 의류와 공기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의류에 포함된 수분이 공기 중으로 분산될 기회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의류의 건조완료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목표상대습도를 코스에 따라 일률적으로 결정하고 의류의 건조를 진행하게 되면, 목표상대습도에 도달한 경우에도 의류의 양에 따라 실제로 각 의류에 남아 있는 수분의 양에는 편차가 심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의류의 양에 관계없이 남아 있는 수분의 양이 편차가 없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대상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S610),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목표습도결정단계(S630) 및 목표상대습도에 따라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S6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 중 에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이어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대상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게 된다(S610). 이는 의류를 향하여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서 또는 열풍 공급의 초기에 의류가 포함된 공간의 상대습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대습도에 의하여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스에 따라 일률적으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게 되면, 의류의 양에 따라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의류에 포함된 수분의 양에 편차가 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는 코스에 따라 일률적으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단계의 초기에 먼저 의류가 포함된 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는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함에 있어서 건조단계의 초기에 측정된 상대습도를 인자로 삼게 되므로,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의류의 양에 따른 남아 있는 수분의 양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감지하게 된다. 습도센서는 의류를 거치고 나온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것이 바람직하므로, 공기유입구(21A)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풍을 공급함과 동시에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감지하게 되면, 습도센서에서 감지되는 값들이 정확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는 열풍공급과 동시에 습도센서를 기동하여 감지하게 되므로, 습도센서가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열풍을 공급하고 나서 소정시간동안 습도센서를 안정화시 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안정화 단계는 3 내지 5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는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소정시간동안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측정된 습도값으로 결정하게 된다.
상대습도를 측정한 다음, 제어부는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게 된다(S630). 제어부는 측정된 상대습도값에 따라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게 되며, 나아가 선택된 코스에 따라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측정된 상대습도값에서 소정치의 차이(A)를 가지는 값을 목표상대습도값으로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건조단계의 초기에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60% 라면, 목표상대습도값은 60%에서 A를 뺀 값으로 결정된다.
한편, 상기 소정치(A)는 선택된 코스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력건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A값은 비교적 큰 수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다림질용 코스에서는 건조단계에 이어서 사용자가 다림질을 할 것이 예상되므로 A값은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준건조의 경우에 A값은 강력건조보다는 작고 다림질용 코스에 비해서는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한 다음, 제어부는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제어부는 열풍을 공급함과 동시에 습도센서에 의해 공기의 상대습도를 계속해서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는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대습도가 목표상대습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공급장치의 구동을 멈추고 건조단계를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건조단계의 초기에 감지된 상대습도값에 따라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여 열풍을 공급하게 되면, 의류의 건조가 지나치게 이루어지거나(과건조) 또는 충분히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가 끝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너무 높은 경우에 목표상대습도값도 비교적 높게 되어 의류가 충분히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가 종료될 수 있다. 반대로, 초기에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 목표상대습도값은 너무 낮게 설정되어 의류의 과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건조 및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목표상대습도가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변화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의 주위온도/내부온도, 공기의 상대습도, 대상물의 포량/포질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과건조 및 건조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은 경우를 방지하는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의류의 과건조 및 건조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은 경우를 방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목표습도결정단계(S630)에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단계(S631)와 목표최대습도 및/또는 목표최저습도를 결정하는 단계(S633)를 더 포함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목표최대습도는 건조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목표최저습도는 과건조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는 초기에 측정된 상대습도값과 관계없이 선택 된 코스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최대습도는 다림질용코스, 표준건조, 강력건조 순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목표최저습도도 마찬가지로 다림질용코스, 표준건조, 강력건조 순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코스 내에서 목표최대습도는 목표최저습도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열풍공급을 시작(S651)하여 측정된 상대습도를 계속해서 또는 주기적으로 목표습도와 비교하게 된다(S653). 이 경우, 측정된 습도값이 목표상대습도 이하인 경우에 제어부는 열풍공급단계를 종료하지 않고, 측정된 습도값을 다시 목표최대습도값과 비교하게 된다(S655).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에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비교적 높아서 목표상대습도값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상태에서 건조가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목표상대습도 이하인 경우에도 목표최대습도의 이하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제어부는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목표상대습도 이하이며, 나아가 목표최대습도 이하인 경우에 열풍공급을 종료(S657)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목표상대습도 이상인 경우에 측정된 상대습도값을 목표최저습도와 비교하게 된다(S659). 이는 초기에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비교적 낮아서 목표상대습도가 너무 낮게 설정되는 경우에 목표상대습도에 도달하기에 앞서서 코스에 따라 설정된 목표최저습도에 도달하게 되면 열풍공급단계를 종료하여 의류의 과건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목표상대습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도 측정된 상대습도값이 목표최저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열풍공급을 중단하고 열풍공급단계를 완료(S657)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제어방법은 건조가 완료되는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경우에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초기의 상대습도를 감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게 되므로, 포량에 관계없이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각 포에 남아 있는 함수량에 편차가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무빙행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기계실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도 6에서 목표습도결정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및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열풍공급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25)

  1. 대상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목표습도결정단계;
    상기 목표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선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습도결정단계는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습도결정단계에서 상기 목표상대습도는 상기 측정된 상대습도에서 소정치의 차이를 가지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치는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습도결정단계는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는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는 상기 측정된 상대습도와 관계없이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상대습도, 상기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 도 중에 적어도 하나에 따라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상대습도를 달성한 경우에 상기 목표최대습도의 달성여부에 따라 종료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최대습도를 달성하는 경우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상대습도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목표최저습도의 달성여부에 따라 종료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상대습도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목표최저습도를 달성하게 되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측정단계에 앞서서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단계는 3 내지 5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소정시간 동안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측정습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선택된 코스에 따라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목표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상대습도,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 중에 적어도 하나에 따라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상대습도는 주위온도, 습도, 대상물의 포량, 대상물의 포질 중에 적어도 하나의 인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는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최대습도 및 목표최저습도는 상기 측정된 상대습도와 관계없이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상대습도를 달성한 경우에 상기 목표최대습도의 달성여부에 따라 종료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 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최대습도를 달성하는 경우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상대습도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목표최저습도의 달성여부에 따라 종료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목표상대습도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목표최저습도를 달성하게 되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124666A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9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66A KR101191204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0/008888 WO2011074840A2 (ko) 2009-12-15 2010-12-1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3/515,198 US8966785B2 (en) 2009-12-15 2010-12-13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arget relative humidity
CN201080057033.XA CN102656315B (zh) 2009-12-15 2010-12-13 用于根据目标相对湿度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66A KR101191204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88A true KR20110067888A (ko) 2011-06-22
KR101191204B1 KR101191204B1 (ko) 2012-10-15

Family

ID=4416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666A KR101191204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66785B2 (ko)
KR (1) KR101191204B1 (ko)
CN (1) CN102656315B (ko)
WO (1) WO2011074840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16B1 (ko) * 2010-01-11 2012-05-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의류건조기의 건조 방법
WO2018217033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18217029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21010608A1 (ko) * 2019-07-17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900160B2 (en) 2017-05-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7271B (zh) * 2016-09-30 2018-05-01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干衣机、干衣机中衣物的湿度值计算方法及其装置
RU2758299C1 (ru) * 2018-04-03 2021-10-28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110761060A (zh) * 2018-07-27 2020-02-07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衣物保存设备的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32000B (zh) * 2019-11-22 2022-07-15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衣物护理机及其控制方法
KR20210111546A (ko) * 2020-03-03 2021-09-13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수 제어 기능이 구비된 가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113403820B (zh) * 2021-06-21 2023-11-1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干衣方法、装置及空调器
US20240076821A1 (en) * 2022-09-02 2024-03-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with humidity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5992B (en) * 1993-03-08 1997-01-08 Europ Gas Turbines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or materials
US6141887A (en) * 1997-03-13 2000-11-0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the dryness of clothing articles
US5899005A (en) * 1997-03-13 1999-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dryness of clothing articles
US6405453B1 (en) * 2001-06-01 2002-06-18 Cissell Manufacturing, Inc. Material drying arrangement
KR100556806B1 (ko) 2004-05-13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신호처리방법
KR100577248B1 (ko) * 2004-06-14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건조장치의 건조행정 제어방법
KR100638221B1 (ko) 2005-05-06 200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건조기의 건조 제어 방법
CN1888290A (zh) 2005-06-29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自动干燥洗衣机的控制方法
CN1966841A (zh) 2005-11-14 2007-05-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自动干燥装置的干燥控制方法
EP1790769B1 (en) * 2005-11-23 2010-04-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tumble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16B1 (ko) * 2010-01-11 2012-05-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의류건조기의 건조 방법
WO2018217033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18217029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28748A (ko) * 2017-05-2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0597815B2 (en) 2017-05-24 2020-03-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774461B2 (en) 2017-05-24 2020-09-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900160B2 (en) 2017-05-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1010608A1 (ko) * 2019-07-17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5037A1 (en) 2012-11-15
WO2011074840A2 (ko) 2011-06-23
WO2011074840A3 (ko) 2011-12-22
KR101191204B1 (ko) 2012-10-15
CN102656315B (zh) 2015-08-19
US8966785B2 (en) 2015-03-03
CN102656315A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20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4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7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7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AU2011239089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17679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19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4361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9120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4777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8638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138427A (ko) 의류 처리장치
KR2011006788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761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97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5500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77460B1 (ko) 의류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KR101366275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