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00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005B1
KR101155005B1 KR1020090124671A KR20090124671A KR101155005B1 KR 101155005 B1 KR101155005 B1 KR 101155005B1 KR 1020090124671 A KR1020090124671 A KR 1020090124671A KR 20090124671 A KR20090124671 A KR 20090124671A KR 101155005 B1 KR101155005 B1 KR 10115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water
air
clothes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893A (ko
Inventor
박혜용
유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0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응축수를 집수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응축수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 캐비닛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응축수를 집수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응축수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저장탱크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도 저장탱크로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저장탱크의 물이 넘치는 경우에 물이 역류할 수 있는 유로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14)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캐비닛(10), 수용공간(12)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도 5 참조, 22),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수분발생장치(도 2 참조, 30) 및 공기공급장치(22)와 수분발생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을 구비한다.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 등을 구비한다. 지지대(16)는 의류가 움직임 없이 정적인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풍,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의류가 거치되며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을 가하는 무빙행어(moving hanger)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류는 수용공간(12) 내에 구비되는 무빙행어(50)가 거치된다. 무빙행어(50)는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의류에 공기, 열풍,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이 가해진다면 의류의 리프레쉬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도 3은 무빙행어(5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무빙행어(5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빙행어(50)는 옷걸이(200)에 거치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한 행어바(250), 행어바(250)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80)를 포함한다. 행어바(250)에는 옷걸이(200)가 거치되는 경우에 위치를 고정하는 옷걸이홈(251)이 다수개 구비된다. 지지부(280)는 무빙행어 프레임(213)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무빙행어 프레임(213)은 캐비닛(10)의 내부 천장의 위쪽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구비된다. 행어바(250)의 양단부에는 지지부리브(254)를 구비하여, 지지부리브(254)가 지지부(280)의 단부를 감싸면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수납되는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리프레쉬는 물론이고 의류의 건조효율에 있어서도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빙행어(50)는 모터(230), 모터(230)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행어바(250)의 수평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변환부(260), 모터(23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동력변환부(26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4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40)는 모터(230)에 구비되는 주동풀리(241), 주동풀리(241)와 벨트(243)로 연결되는 종동풀리(242) 및 종동풀리(242)의 중심에 결합하는 회전축(24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244)은 무빙행어 프레임(213)에 구비되는 베어링하우징(27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행어바(250)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슬롯(252)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행어바(250)의 상부에 슬롯하우징(253)을 구비하고, 슬롯하우징(253)의 대락 중앙부에 슬롯(252)을 구비한다. 또한, 동력변환부(260)는 슬롯(252)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부(263), 회전축(244)에 결합하는 축 결합부(261) 및 슬롯삽입부(263)와 축 결합부(261)를 이어주는 회전암(2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26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214)에 의해 감싸지며, 커버(214)는 무빙행어 프레임(213)과 슬롯하우징(25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모터(230)가 회전하게 되면 종동풀리(242)가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풀리(242)에 결합된 회전축(244)도 회전하게 되고, 슬롯삽입부(263)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운동을 할 것이다.
한편, 행어바(250)에 구비된 슬롯(252)은 행어바(2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되며, 나아가 그 길이가 슬롯연결부(263)의 회전궤적 지름보다 더 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슬롯(252)은 슬롯삽입부(263)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슬롯(250)에 결합된 행어바(250)는 수평방향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캐비닛(10)에는 공기공급장치(22) 및 수분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을 구비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아래에 위치하며, 내부에 공기공급장치(22) 및 수분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5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기계실(2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편의상 도 5에서 캐비닛(10)은 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1)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공급장치(22), 수분발생장치(30)를 포함한 주요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5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22)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에 해당하는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전기식 히터 등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저온 건조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리프레쉬 또는 건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온에 의해 의류에 변형 또는 파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 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도 5 참조, 21A)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A)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유입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유입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A)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배출덕트(33) 및 공기배출구(21B)를 통하여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A)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A)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이하, '스팀'이라 한다)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분발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수분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분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물공급탱크(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탱크는 바람직하게 기계실(2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모듈(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공급탱크는 도어모듈(6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공급탱크를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분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노즐(도 1 및 도 2 참조, 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수분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공기공급장치(22)에서 응축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80)가 의류처리장치에 수납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20)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모듈(60)에서 도어패널(62)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캐비닛(10)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1)만을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모듈(60)은 기계실(2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어모듈(60)은 기계실(20)의 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어모듈(60)은 공기공급장치(22)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저장탱크(80)를 수용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분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탱크(미도시)도 구비할 수 있다.
도어모듈(60)은 저장탱크(80)가 수용되는 수용부(63)를 구비하는 도어패널(62)과, 도어패널(62)이 회동하여 닫히는 경우에 수용부(63)를 수용하는 데코부(64)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패널(62)은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저장탱크(80)에 응축수가 가득 차게 되면 사용자는 도어패널(62)을 회동시켜 개방함으로써 저장탱크(80)를 꺼내어 응축수를 버리고 다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데코부(64)는 캐비닛(10)에 장착되며, 도어패널(62)이 회동하여 닫히는 경우에 도어패널(62)의 수용부(63)를 감싸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도어모듈(60)의 수용부(63)에 수용되는 저장탱크(80)를 도시한 사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장탱크(80)는 물이 수용되는 바디부(840)와 손잡이(812)를 구비한 헤드부(810)와 베이스부(850)를 구비한다.
헤드부(81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812), 저장탱크(80)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홀(817) 및 저장탱크(80)의 내부에 저수된 응축수를 버릴 수 있는 배수홀(미도시)을 구비한다. 배수홀은 커버(819)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열리게 된다.
한편, 저장탱크(80)는 도어모듈(60)에 안착되어 도어모듈(60)이 회동하는 경우에 연동하여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캐비닛(10)에는 저장탱크(80)가 회동하는 경우에 저장탱크(80)의 유입홀(817)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응축수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3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탱크(80)의 유입홀(817)에는 노즐어셈블리(30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8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저장탱크(80)의 유입홀(817)에 구비된 연결부재(82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820)는 주위를 따라 구비된 걸림턱(822)에 의해 저장탱크(80)의 유입홀(817)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걸림턱(822)의 내측에는 연결부재(8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823)를 다수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820)는 저장탱크(8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824)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824)에는 노즐어셈블리(300)의 단부(노즐어셈블리(300)의 노즐(312)를 의미함)가 삽입되는 슬릿(825)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82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828)가 저장탱크(8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데, 가이드부(82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응축수가 역류하는 경우에 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연결부재(820)는 노즐어셈블리(300)에 의해 저장탱크(80)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저장탱크(80)의 내부에 응축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 응축수가 역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노즐어셈블리(300)의 단부가 연결부재(820)의 슬릿(825)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응축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의 역할을 하게 되며, 나아가 노즐어셈블리(300)가 삽입된 슬릿(825)의 나머지 영역이 저장탱크(80) 내부의 응축수가 역류하도록 하는 역류유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저장탱크(80)에서 역류한 물은 후술하는 집수통(70)으로 집수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저장탱크(80)의 연결부재(820)에 연결되는 노즐어셈블리(3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노즐어셈블리(300)는 응측수를 공급하는 노즐부(310) 및 노즐부(310)를 고정하는 노즐홀더(330)를 포함한다.
노즐홀더(330)는 노즐부(310)를 고정하며 캐비닛(10)에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홀더(330)는 데코부(64)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홀더(330)는 내부에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하우징(332), 노즐부(310)와 연결되어 응축수를 공급하는 공급관(338)을 포함한다. 노즐부(310)는 노즐(312)과 커버(316)를 구비하는데, 노즐(312)과 커브(316)는 별개로 구비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구비되어 노즐홀더(330)의 하우징(332)의 상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노즐부(310)의 커버(316)가 하우징(332)의 덮개 역할을 하게 된다. 노즐(312)은 공급관(338)과 연결되어 배수펌프(도 5 참조, 72)를 통하여 펌핑된 응축수가 공급관(338), 노즐(312)을 통하여 저장탱크(80)로 공급된다.
한편, 노즐홀더(330)의 하우징(332)은 그 내부에 소정의 체적을 구비하여 저장탱크(80)에서 물이 역류하는 경우에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집수통(70)으로 보내게 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32)은 개구부(336)를 구비하여 노즐(312)이 개구부(336)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나아가 연결부재(820)의 가이드부(828)가 개구부(336)를 통하여 하우징(332)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저장탱크(80)에서 연결부재(820)를 통하여 역류하는 물은 가이드부(828)를 통하여 하우징(332)의 내부로 모이게 되며, 하우징(332)의 하부에 구비된 역류관(340)을 통하여 집수통(70)으로 집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공기공급장치(22)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통(70)을 구비하고, 배수펌프(72)에 의해 집수통(70)에 집수된 응축수를 저장탱크(80)로 펌핑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탱크(80)에서 역류한 물은 집수통으로 모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는 저장탱크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도 저장탱크로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 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저장탱크의 물이 넘치는 경우에 물이 역류할 수 있는 유로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무빙행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기계실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어모듈의 도어패널이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체크밸브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노즐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다.

Claims (9)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응축수를 집수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응축수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는 상기 노즐어셈블리에서 응축수가 공급되는 공급유로와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역류하는 역류유로가 구별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노즐어셈블리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어셈블리는 물을 공급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를 고정하는 노즐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홀더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가 안착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패널을 포함하는 도어부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패널이 안착되는 데코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홀더는 상기 데코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응축된 수분을 집수하는 집수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저장탱크에서 역류한 물은 상기 집수통으로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 치.
KR1020090124671A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KR10115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71A KR101155005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71A KR101155005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93A KR20110067893A (ko) 2011-06-22
KR101155005B1 true KR101155005B1 (ko) 2012-06-14

Family

ID=4440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671A KR101155005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584B1 (ko) 2014-12-19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804A (ko) * 2008-03-21 200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90115015A (ko)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804A (ko) * 2008-03-21 200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90115015A (ko)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93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6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95383B1 (ko) 의류처리장치
US8539694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15500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9120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67754A (ko) 의류 처리장치
KR10210595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9120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6876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4777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8752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8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5500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6788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6783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401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2742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35882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