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926A -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5926A KR20110065926A KR1020090122626A KR20090122626A KR20110065926A KR 20110065926 A KR20110065926 A KR 20110065926A KR 1020090122626 A KR1020090122626 A KR 1020090122626A KR 20090122626 A KR20090122626 A KR 20090122626A KR 20110065926 A KR20110065926 A KR 20110065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jube
- weight
- tea
- concentrate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title abstract 3
- 230000001624 sedative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
- 240000003584 Ziziphus jujuba Species 0.000 title 1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abstract 3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abstract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02936 tranquiliz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6010040984 Sleep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32 sed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6010002855 Anxie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666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031 Glucose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VYFYYTLLBUKUHU-UHFFFAOYSA-N dopamine Chemical compound NCCC1=CC=C(O)C(O)=C1 VYFYYTLLBUKU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ZAYGJVTTNCVMB-UHFFFAOYSA-N serotonin Chemical compound C1=C(O)C=C2C(CCN)=CNC2=C1 QZAYGJVTTNCV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SVUOLADPCWQTTE-UHFFFAOYSA-N 1H-1,2-benzodiazepine Chemical compound N1N=CC=CC2=CC=CC=C12 SVUOLADPCWQTT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7085 5-hydroxytryptamine receptor family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19276 5-hydroxytryptamine receptor family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4070 Ambi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869 Anxiety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839 Autonomic nervous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WCRAEMEVRGPNT-UHFFFAOYSA-N Buspirone Chemical compound C1C(=O)N(CCCCN2CCN(CC2)C=2N=CC=CN=2)C(=O)CC21CCCC2 QWCRAEMEVRGP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NTSCNMPPGJYLG-UHFFFAOYSA-N Chlordiazepoxide Chemical compound O=N=1CC(NC)=NC2=CC=C(Cl)C=C2C=1C1=CC=CC=C1 ANTSCNMPPGJY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82 Chlordiazepox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904 Convul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335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5554 Dopamine receptor family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50004812 Dopamine receptor family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87 Dyskinesi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30 Essential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20 Hippocamp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88 Pil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6279 Seroton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ZAFYATHCZYHLPB-UHFFFAOYSA-N Zolpidem Chemical compound N1=C2C=CC(C)=CN2C(CC(=O)N(C)C)=C1C1=CC=C(C)C=C1 ZAFYATHCZYHLP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94 advers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30013930 alkal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9 anxioly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557 benzodiazep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95 buspir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1 charge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61 convul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638 dop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17 effect on sleep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146 gastrointestin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75 lax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41 lax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457 movemen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418 red dat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2 ster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2 st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475 zolpidem Drug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추의 과육 뿐만 아니라 대추씨의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임으로써, 부작용이 없이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차는 대추씨를 분쇄하고 추출하여 대추씨의 추출효율을 높임으로 인해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가 뛰어나며, 천연소재로서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씁쓸한 맛을 내는 대추씨가 포함되어 있지만 숙성과정을 거침으로 인해 맛과 향이 우수해 꿀이나 설탕을 추가적으로 넣지 않고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추차는 과립 분말 또는 액상 형태로 제조되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추차, 불면증, 신경안정 효과, 과립 분말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추의 과육 뿐만 아니라 대추씨의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임으로써, 부작용이 없이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장애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현대인에게 빈번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활리듬을 깨뜨려 사회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불면은 사회적인 문제나 직업적 요인이 15~20% 정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현대인의 사회활동과 밀정한 관계를 갖고 있다.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중에서 73.4%가 불면증을 경험하였으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3월), 치료가 필요한 수면장애 환자가 약 8%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국수면학회 2000년 8월).
이러한 불면을 치료하기 위해 진정제로 개발된 바비투레이트(babiturate)계통의 약물은 불안치료에 효과적인 약재로 소개되어 사용되었으나 치료지수가 낮아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중독 등의 부작용이 있다.
그리고, 클로르디아즈에폭사이드(chlordiazepoxide) 등의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계 약물이 진정제로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많은 유도체가 진정제로 개발되어 있다. 이들 약물은 불안증상을 경감시키는 항불안효과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태성 고혈압과 자율신경계의 장애, 위장관 장애, 운동장애, 금단시의 경련유발 등의 부작용이 있다.
또한, 아자스피로데칸디온(azaspirodecanedione)계 약물인 부스피론(buspirone) 의 경우는 도파민(dopamine) 수용체와 해마에 있는 세로토닌(serotonine) 수용체에 작용하므로 기존의 벤조디아제핀계에 비해 운동장애 등의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지만, 약리효과가 2, 3주 지연되어 나타나고, 또 도파민계에 작용하는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미국 수면제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엠비엔(Ambien, Monsanto사)은 수면효과가 8시간 지속되어 아침에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전통 한약재를 비롯한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간이나 신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불면증 및 수면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천연소재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추는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생약으로 소화, 완화제, 강장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대추는 갖가지 독을 해독, 중화하고 몸의 염증을 없애 주며 허약한 체질을 튼튼하게 해 주는 효과가 높아 한방에서는 으뜸가는 보약의 하나로 여 겨왔다. 대추의 자양건위, 보간, 강장, 생진안면, 약독완화 등의 약효 등에 대해 최근의 임상적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대추는 과육만을 섭취하고 씨는 대부분 버려지는 형국이다. 하지만 최근 대추씨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대추씨 안에 진정 효과가 있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대추는 감미가 강하며, 가용성당류가 약 10~42%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맛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대추차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대추차는 건조된 대추를 세척하고, 세척한 대추를 100 ℃ 끓는 물에 삶아서 과즙이 우러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한 대추차는 대추의 유용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마실 때마다 대추를 끓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등록 0852293호에는 대추를 세척하는 단계, 대추에서 씨를 제거하는 단계, 오븐에 넣고 가열하여 굽는단계, 건조시키는 단계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추차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대추차는 분쇄된 대추를 온수에 넣고 바로 음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대추차를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진정 효능이 있는 대추씨의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분쇄된 대추 분말을 온수에 넣고 몇분 안에 마시는 것이므로 대추의 유용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추의 과육 뿐만 아니라 대추씨의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이므로, 부작용이 없이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추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 상기 세척한 대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40~60중량부를 공급하며 맷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분쇄 단계; 상기 분쇄된 대추와 정제수의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8~12중량부를 혼합하여 50~55℃의 온도에서 24~30 시간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대추액을 얻는 단계; 상기 숙성된 대추액을 80~85℃의 온도에서 8~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대추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대추 추출액을 60~65℃의 온도에서 18~20 시간 동안 농축하여 대추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 대추 농축물을 과립화하는 과립화 단계; 및 상기 과립화된 대추 농축물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의 온도에서 6~8 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 단계; 를 포함하는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추 농축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대추 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수결정포도당 390~41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차는 대추씨를 분쇄하고 추출하여 대추씨의 추출효율을 높임으로 인해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가 뛰어나며, 천연소재로서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추차는 씁쓸한 맛을 내는 대추씨가 포함되어 있지만 숙성과정을 거침으로 인해 맛과 향이 우수해 꿀이나 설탕을 추가적으로 넣지 않고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추차는 과립 분말 또는 액상 형태로 제조되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대추를 끓는 물에 삶아서 과즙이 우러나도록 하여 대추차를 마셨지만, 대추의 유용성분이 대추 표피에 차단되어 제대로 우러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대추의 과육을 분말화하여 대추차에 사용한 예는 있지만, 대추씨를 분말화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대추차로 사용한 예는 없었다.
본 발명자는 대추의 과육 뿐만 아니라 대추씨를 분말화하고 추출함으로 대추씨의 진정 효능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대추차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의 제조방법은,
대추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
상기 세척한 대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40~60중량부를 공급하며 맷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분쇄 단계;
상기 분쇄된 대추와 정제수의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8~12중량부를 혼합하여 50~55℃ 에서 24~30 시간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대추액을 얻는 단계;
상기 숙성된 대추액을 80~85℃ 에서 8~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대추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대추 추출액을 60~65℃ 에서 18~20 시간 동안 농축하여 대추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 대추 농축물을 과립화하는 과립화 단계; 및
상기 과립화된 대추 농축물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 에서 6~8 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추는 갈매나무(Rhamnace)과의 지지푸스(Zizyphus)속 낙엽, 활엽, 향목의 열매이다.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스테롤, 알칼로이드, 사포닌, 비타민, 세로토닌, 유기산, 지방산류, 폴리페놀, 히드록시메틸푸프푸랄,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류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 대추는 불안증, 우울증, 스트레스는 물론 불 면증 해소에도 도움을 주며,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에게 부작용 없는 천연 신경 안정제로 충분한 식품이다.
상기 세척 단계 이전에, 대추를 엄선해서 구입하며 벌레먹은 대추를 선별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선별된 대추를 깨끗한 물에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대추의 과육 뿐만 아니라 대추씨도 포함하여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추씨를 분쇄하기 위해서는 일반 분쇄기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맷돌 분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한 대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40~60중량부를 공급하면서 맷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며, 정제수를 40중량부 미만 공급하면 분쇄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충분히 냉각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60중량부 초과 공급하면 대추의 양에 비해 정제수가 너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된 대추액을 얻는 단계는 상기 분쇄된 대추와 정제수의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8~12중량부를 혼합하여 50~55℃ 에서 24~30 시간 동안 숙성기에서 숙성시켜 숙성된 대추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며, 엿기름이 8중량부 미만 혼합되면 대추차에 씁쓸한 맛이 나는 문제가 있으며, 12중량부 초과 혼합되면 대추차가 너무 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숙성기는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상기 분쇄된 대추는 분쇄된 대추 과육과 분쇄된 대추씨가 모두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대추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상기 숙성된 대추액을 추출기를 이용하여 80~85℃ 에서 8~10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하면 대추의 유용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85℃ 초과의 온도에서 추출하면 대추의 영양성분 중 일부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된 대추액에는 분쇄된 대추 과육 뿐만 아니라 분쇄된 대추씨가 분말 상태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숙성된 대추액을 추출시 대추씨의 신경안정 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추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추출기는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상기 추출시 물은 추가적으로 넣지 않아도 된다.
상기 대추 농축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대추 추출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65℃ 에서 18~20시간 동안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8시간 미만 농축하면 원하는 목표인 고형분 60%의 농축물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20시간 초과 농축하면 다음 단계인 과립화 단계에서 과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농축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농축기는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상기 과립화 단계는 상기 대추 농축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 분말화하는 단계로서, 대추차를 과립 분말화하면 소비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대추차를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과립화된 대추차를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 에서 6~8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된 과립 분말 형태의 대추차를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다.
상기 과립 분말 형태의 대추차를 티백에 넣고 봉하여 티백 형태의 대추차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차는 과립 분말 형태의 대추차를 온수에 넣어서 마실 수도 있고, 티백 형태의 대추차를 온수에 넣어서 마실 수도 있다.
상기 과립화 단계에서 과립화가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대추 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수결정포도당 390~410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과립화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차는 상기 대추 농축물을 유리병이나 파우치 팩 형태로 포장하여 판매할 수도 있으며, 상기 대추 농축물을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로 제조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대추 농축물 100중량부에 홍삼 엑기스 3~7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과립화함으로 홍삼의 영양성분이 함유된 대추차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충북 보은에서 대추를 엄선 구입하고 선별한 후 깨끗한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한 대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중량부를 공급하면서 맷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이때 상기 대추는 대추씨가 포함된 상태로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대추와 정제수의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숙성기에서 50~55℃의 온도로 24 시간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대추액을 얻었으며, 상기 숙성된 대추액을 추출기에서 80~85℃의 온도로 8 시간 동안 추출하여 대추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대추 추출액을 농축기에서 60~65℃의 온도로 20 시간 동안 농축하여 고형분 60%의 대추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대추 농축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하였으며, 상기 과립화된 대추차를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 에서 8 시 간 동안 건조하여 과립 분말 상태의 대추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이 충북 보은에서 대추를 구입하고, 상기 대추를 세척 후 세척된 대추에서 씨를 제거하였다. 상기 씨가 제거된 대추를 오븐에 넣고 9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꺼내서 27℃에서 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대추를 분쇄하여 분말 상태의 대추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제조방법 중 대추씨를 제거하여 버리고 대추 과육만을 분쇄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과립 분말 상태의 대추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제조방법 중 대추 과육만을 분쇄하고 대추씨는 분쇄하지 않는 상태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과립 분말 상태의 대추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제조방법 중 숙성시키는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과립 분말 상태의 대추차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성인 남, 여 40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분말 상태의 대추차(1포: 5g)를 1주일 동안 하루 두번(아침시간, 저녁시간) 온수에 넣어 마시도록 한 후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 신경안정 효과 | 불면증 개선 효과 | 부작용(명) |
실시예 1 (대추씨 분쇄 포함 및 숙성, 추출) |
4.5 | 4.4 | 0 |
비교예 1 (대추씨 불포함 및 숙성, 추출 없음) |
2.8 | 2.6 | 0 |
비교예 2 (대추씨 불포함 및 숙성, 추출) |
2.9 | 2.8 | 0 |
비교예 3 (대추씨 미분쇄 포함 및 숙성, 추출) |
3.6 |
3.4 |
0 |
(1:효과 없음, 2:미미한 효과, 3:다소 효과, 4:상당한 효과, 5:탁월한 효과)
상기 표 1의 실험결과를 볼 때, 실시예 1의 대추차의 경우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가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추씨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대추차는 실시예 1의 대추차에 비해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 을 알 수 있다. 이로인해 대추씨 안에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의 대추차는 대추씨가 포함되어 있지만 분쇄되지 않은 상태의 대추씨를 추출한 것으로, 실시예 1의 대추차에 비해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추씨를 분쇄하여 추출하는 방법은 대추씨의 신경안정 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추차를 일주일 동안 마시면서 고혈압, 위장장애, 간 또는 신장에 대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예 2]
성인 남, 여 30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4의 분말 상태의 대추차(1포: 5g)를 온수에 넣어 마시도록 한 후 맛과 향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구분 | 맛 | 향 |
실시예 1 (대추씨 분쇄 포함 및 숙성, 추출) |
4.6 | 4.5 |
비교예 1 (대추씨 불포함 및 숙성, 추출 없음) |
4.4 | 4.2 |
비교예 4 (대추씨 분쇄 포함 및 숙성단계 생략) |
3.7 | 3.8 |
(1점:매우 나쁘다 2점:나쁘다 3점:보통 4점:좋다 5점:매우 좋다)
상기 표 2의 실험결과를 볼 때, 실시예 1의 대추차는 씁쓸한 맛을 내는 대추씨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맛과 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대추씨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대추차와 비교할 때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의 대추차는 숙성단계를 거치지 않음으로 인해 실시예 1의 대추차보다 맛과 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추차는 꿀이나 설탕을 추가적으로 넣지 않아도 씁쓸한 맛을 느끼지 않으면서 마실 수 있으며, 부작용 없이 신경안정 효과 및 불면증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 대추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상기 세척한 대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40~60중량부를 공급하며 맷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분쇄 단계;상기 분쇄된 대추와 정제수의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8~12중량부를 혼합하여 50~55℃의 온도에서 24~30 시간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대추액을 얻는 단계;상기 숙성된 대추액을 80~85℃의 온도에서 8~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대추 추출액을 얻는 단계;상기 대추 추출액을 60~65℃의 온도에서 18~20 시간 동안 농축하여 대추 농축물을 얻는 단계;상기 대추 농축물을 과립화하는 과립화 단계; 및상기 과립화된 대추 농축물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의 온도에서 6~8 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추 농축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상기 대추 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수결정포도당 390~410중량부를 혼합 하는 혼합 단계; 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626A KR101115431B1 (ko) | 2009-12-10 | 2009-12-10 |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626A KR101115431B1 (ko) | 2009-12-10 | 2009-12-10 |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5926A true KR20110065926A (ko) | 2011-06-16 |
KR101115431B1 KR101115431B1 (ko) | 2012-02-20 |
Family
ID=4439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2626A KR101115431B1 (ko) | 2009-12-10 | 2009-12-10 |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543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40215A (zh) * | 2018-07-12 | 2018-11-06 | 山东中科婀娇时代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美容红枣黑枸杞枣核茶的制备方法 |
KR102199529B1 (ko) * | 2020-08-10 | 2021-01-07 | 경산시 | 대추감주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2556A (ko) | 2018-12-31 | 2020-07-08 |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대추차의 제조방법 |
KR20200137842A (ko) | 2019-05-31 | 2020-12-09 | 장사창 | 대추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차 |
KR102472776B1 (ko) | 2020-08-28 | 2022-12-0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돋움 | 풋내가 제거된 대추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1410A (ko) * | 2007-08-27 | 2009-03-04 | 전현철 | 피로할 때 마시는 대추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KR20090050136A (ko) * | 2007-11-15 | 2009-05-20 | 전현철 | 대추버섯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KR20090057341A (ko) * | 2007-12-02 | 2009-06-05 | 전현철 |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2009
- 2009-12-10 KR KR1020090122626A patent/KR10111543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40215A (zh) * | 2018-07-12 | 2018-11-06 | 山东中科婀娇时代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美容红枣黑枸杞枣核茶的制备方法 |
KR102199529B1 (ko) * | 2020-08-10 | 2021-01-07 | 경산시 | 대추감주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5431B1 (ko) | 2012-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21567C (zh) | 一种速溶普洱茶及其制备方法 | |
KR101115431B1 (ko) |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 |
CN102960815A (zh) | 一种即冲型甘麦大枣饮料 | |
CN105961765A (zh) | 一种提高记忆速溶咖啡及其制备方法 | |
KR101616955B1 (ko) | 청보리잎 또는 흑마늘 성분을 포함한 인스턴트 커피와 커피 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 |
CN105961754A (zh) | 一种提高免疫速溶咖啡及其制备方法 | |
KR101009941B1 (ko) | 돌외에 함유된 돌외 사포닌을 이용한 음료, 캡슐 및 앰플의제조방법 | |
KR20160006070A (ko) |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저카페인 커피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커피의 제조 방법 | |
CN104770489A (zh) | 一种具有抗氧化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06974025A (zh) | 一种绿色降火类饮品及制备方法 | |
CN105961764A (zh) | 一种健脾养胃速溶咖啡及其制备方法 | |
CN105961756A (zh) | 一种延缓衰老速溶咖啡及其制备方法 | |
CN102423070A (zh) | 纳豆胶囊及其制备方法 | |
CN102423093B (zh) | 一种竹叶菜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4222400A (zh) | 醒酒护肝、宁心安神的普洱茶膏及其加工方法 | |
KR20080103748A (ko) | 천년초 음료의 제조방법 | |
CN105380267B (zh) | 一种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 |
CN109619259A (zh) | 一种西瓜牛奶糖果及其制备方法 | |
CN106819252A (zh) | 降血脂养颜美容茶及其制备方法 | |
CN105961762A (zh) | 一种减肥瘦身速溶咖啡及其制备方法 | |
KR20040036273A (ko) | 한약재와 정제 포도당을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제조방법 및 그 제품 | |
KR101157508B1 (ko) |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CN106173082A (zh) | 一种清热消炎麦香苦荞茶饮及其制备方法 | |
CN106389592A (zh) | 红景天与咖啡的提取物制备及其应用 | |
CN105961757A (zh) | 一种宁心安神速溶咖啡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