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341A -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7341A KR20090057341A KR1020070124066A KR20070124066A KR20090057341A KR 20090057341 A KR20090057341 A KR 20090057341A KR 1020070124066 A KR1020070124066 A KR 1020070124066A KR 20070124066 A KR20070124066 A KR 20070124066A KR 20090057341 A KR20090057341 A KR 200900573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jube
- ocher
- leaf
- composition
- leaves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8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title 1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4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103
- 241000544066 Stev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0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50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5000008529 Ziziph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 coumarin, flavone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IKGXIBQEEMLURG-NVPNHPEK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NVPNHPEK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16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30003944 flavon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1949 flavon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
- BJEPYKJPYRNKOW-REOHCLBHSA-N (S)-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C(O)=O BJEPYKJPYRNKOW-REOHCLBH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102000016938 Catalase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08010053835 Catal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8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BJEPYKJPYRNKOW-UHFFFAOYSA-N alpha-hydroxy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02000030523 Catechol oxidase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10031396 Catechol oxid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1397173 Kali <angiosper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10029541 Lacc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30013930 alkalo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010051210 beta-Fructofuranosid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1073 inverta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DCXYFEDJOCDNAF-UHFFFAOYSA-N Asparagine Natural products OC(=O)C(N)CC(N)=O DCXYFEDJOCDNA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DCXYFEDJOCDNAF-REOHCLBHSA-N L-asparag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N)=O DCXYFEDJOCDNAF-REOHCLBH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KZSNJWFQEVHDMF-UHFFFAOYSA-N Valine Natural products CC(C)C(N)C(O)=O KZSNJWFQEVHDM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9582 asparag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60001230 asparag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5772 leuc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930 prol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4393 val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102 metabolic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GAMYVSCDDLXAQW-AOIWZFSPSA-N Thermopsosid Natural products O(C)c1c(O)ccc(C=2Oc3c(c(O)cc(O[C@H]4[C@H](O)[C@@H](O)[C@H](O)[C@H](CO)O4)c3)C(=O)C=2)c1 GAMYVSCDDLXAQW-AOIWZFSP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LJMYIDDQXHKNR-UHFFFAOYSA-K 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O.O.[Na+].[Na+].[Na+].[O-]C(=O)CC(O)(CC([O-])=O)C([O-])=O NLJMYIDDQXHKNR-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3
- VHBFFQKBGNRLFZ-UHFFFAOYSA-N vitamin p Natural products O1C2=CC=CC=C2C(=O)C=C1C1=CC=CC=C1 VHBFFQKBGNRLF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447437 Gerre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1656 zin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51
- 241000322338 Loeseliastrum Species 0.000 claims 1
- 150000003797 alkalo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1
- 206010033546 Pallor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047339 Salicornia brachystachya Species 0.000 abstract 1
- 229960004106 cit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66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6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5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6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8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6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35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6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4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9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06010047623 Vitamin C de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734 clay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08000010233 scurvy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102 tricarboxylic acid cycl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9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8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3738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ZYGHJZDHTFUPRJ-UHFFFAOYSA-N benzo-alpha-pyrone Natural products C1=CC=C2OC(=O)C=CC2=C1 ZYGHJZDHTFUP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1671 coum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150000004775 coumar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213 flav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3975 potassium Drug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419 protea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2177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4356 Hyste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29216 Nerv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808 connectiv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8000012839 conver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33 feldsp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900 i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VGIBGUSAECPPNB-UHFFFAOYSA-L nonaaluminum;magnesium;tripotassium;1,3-dioxido-2,4,5-trioxa-1,3-disilabicyclo[1.1.1]pentane;iron(2+);oxygen(2-);fluoride;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2].[O-2].[O-2].[O-2].[O-2].[F-].[Mg+2].[Al+3].[Al+3].[Al+3].[Al+3].[Al+3].[Al+3].[Al+3].[Al+3].[Al+3].[K+].[K+].[K+].[Fe+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 VGIBGUSAECPPN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5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SFLSHLFXELFNJZ-QMMMGPOBSA-N (-)-norepinephrine Chemical compound NC[C@H](O)C1=CC=C(O)C(O)=C1 SFLSHLFXELFNJZ-QMMMGPOBSA-N 0.000 description 4
- PHIQHXFUZVPYII-ZCFIWIBFSA-N (R)-carnitine Chemical compound C[N+](C)(C)C[C@H](O)CC([O-])=O PHIQHXFUZVPYII-ZCFIWIBF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08000032843 H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UMBMVFBXHLACL-UHFFFAOYSA-N Melanin Chemical compound O=C1C(=O)C(C2=CNC3=C(C(C(=O)C4=C32)=O)C)=C2C4=CNC2=C1C XUMBMVFBXHLA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6545 Ziziphus maurit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UCTWMZQNUQWSLP-UHFFFAOYSA-N adrenaline Chemical compound CNCC(O)C1=CC=C(O)C(O)=C1 UCTWMZQNUQWS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4203 carnitin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22 kaoli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858 neurotransmitt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XNHXLLTXMVWPM-UHFFFAOYSA-N pyridoxine Chemical compound CC1=NC=C(CO)C(CO)=C1O LXNHXLLTXMVW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434 Actinidi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436 Actinidia deli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67854 Bourreria suc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5374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465 Prot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038 Ziziphus mauri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73 agricul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ENHQHLEOONYIE-UKMVMLAPSA-N all-trans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UKMVMLAPSA-N 0.000 description 3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TUPZEYHYWIEDIH-WAIFQNFQ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2(C)C TUPZEYHYWIEDIH-WAIFQNFQ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1848 dysente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472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98 goet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AEIXRCIKZIZYPM-UHFFFAOYSA-M hydroxy(oxo)iron Chemical compound [O][Fe]O AEIXRCIKZIZYPM-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284 iro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91250 magnesium supplem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70 mitochondri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748 norepinephr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SFLSHLFXELFNJZ-UHFFFAOYSA-N norepinephrine Natural products NCC(O)C1=CC=C(O)C(O)=C1 SFLSHLFXELFNJ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36 packaging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572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21 transfer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3
- 244000298697 Actinidia deli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146 Agaricus augus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730 Amygdal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99147 Ananas com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383 Angina Pecto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69837 Artemisia dub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770 Ascorbic Acid De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157 Azot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32059 Carica parv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84 Ce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335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SIKJAQJRHWYJAI-UHFFFAOYSA-N Indole Chemical compound C1=CC=C2NC=CC2=C1 SIKJAQJRHWYJ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7439 Metal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907 Mushroom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UHFFFAOYSA-N N-Pteroyl-L-glutaminsaeure Natural products C=1N=C2NC(N)=NC(=O)C2=NC=1CNC1=CC=C(C(=O)NC(CCC(O)=O)C(O)=O)C=C1 OVBPIULPVIDE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1176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316 Oxido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854 Oxido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557 Palpita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100 Rham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UEDUENGHJMELGK-HYDKPPNVSA-N Stevi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UEDUENGHJMELGK-HYDKPPNVSA-N 0.000 description 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102000019197 Superoxide Dismu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2715 Superoxide dismu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FEWJPZIEWOKRBE-UHFFFAOYSA-N 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H+].[H+].[O-]C(=O)C(O)C(O)C([O-])=O FEWJPZIEWOKR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6 Tho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909 Tilia x europa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RTQHJPVMGBUCF-XVFCMESISA-N Uridin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1N1C(=O)NC(=O)C=C1 DRTQHJPVMGBUCF-XVFCMESI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48 Vitamin K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66 anti-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65 blood leve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NAQSUUGMSOBHW-UHFFFAOYSA-H calc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C(=O)CC(O)(CC([O-])=O)C([O-])=O.[O-]C(=O)CC(O)(CC([O-])=O)C([O-])=O FNAQSUUGMSOBHW-UHFFFAOYSA-H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54 calc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256 calc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919 chlor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19 chlorite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QBWCMBCROVPCKQ-UHFFFAOYSA-N 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OCl=O QBWCMBCROVPC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MDZKJHQSJHYOHJ-UHFFFAOYSA-N crataegolic acid Natural products C1C(O)C(O)C(C)(C)C2CCC3(C)C4(C)CCC5(C(O)=O)CCC(C)(C)CC5C4=CCC3C21C MDZKJHQSJHYOH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13 diox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VYFYYTLLBUKUHU-UHFFFAOYSA-N dopamine Chemical compound NCCC1=CC=C(O)C(O)=C1 VYFYYTLLBUKU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663 drug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53 efflor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51 gastr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79 gibb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92 hornblen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 XLYOFNOQVPJJN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7 hypn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532 hypothyroid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89 hypothyroid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7 kidne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6 lantha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127 lea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DZKJHQSJHYOHJ-LLICELPBSA-N maslinic acid Chemical compound C1[C@@H](O)[C@H](O)C(C)(C)[C@@H]2CC[C@@]3(C)[C@]4(C)CC[C@@]5(C(O)=O)CCC(C)(C)C[C@H]5C4=CC[C@@H]3[C@]21C MDZKJHQSJHYOHJ-LLICELPB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21 medic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57 oxygen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HUZOJHMOBOZST-UHFFFAOYSA-N phylloquino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1=C(C)C(=O)c2ccccc2C1=O)C SHUZOJHMOBOZ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82 potass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224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RADKZDMFGJYCBB-UHFFFAOYSA-N pyridoxal hydrochloride Natural products CC1=NC=C(CO)C(C=O)=C1O RADKZDMFGJYC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55 sodium asc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790 sod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83 sod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13618 stevios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OHHNJQXIOPOJSC-UHFFFAOYSA-N stevioside Natural products CC1(CCCC2(C)C3(C)CCC4(CC3(CCC12C)CC4=C)OC5OC(CO)C(O)C(O)C5OC6OC(CO)C(O)C(O)C6O)C(=O)OC7OC(CO)C(O)C(O)C7O OHHNJQXIOPOJ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2 stevios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117 substance-relate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906 tart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975 tart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ZGDMQKNWNREIO-UHFFFAOYSA-N tetra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l)Cl VZGDMQKNWNRE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7 tricalc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9852 ur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4883 vaso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8 vitamin B6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26 vitamin B6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8 vitamin 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2 vitamin 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21 vitamin K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1671 vitamin b6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6010 vitamin k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BZWTSHAFILOTE-SOUVJXGZSA-N (2R,3S,4S)-leucocyanid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H](O)[C@@H]2O)=CC=C(O)C(O)=C1 SBZWTSHAFILOTE-SOUVJXGZSA-N 0.000 description 1
- CJGSNPCDEYCMDA-UHFFFAOYSA-N 2-[(dimethylamino)methyl]-4-fluoro-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N(C)CC1=CC(F)=CC(C)=C1O CJGSNPCDEYCMD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CSXGCZMEPXKIW-UHFFFAOYSA-N 3-hydroxy-4-[(4-methyl-2-nitrophenyl)diazenyl]-N-(3-nitrophenyl)naphthalene-2-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1ccc(N=Nc2c(O)c(cc3ccccc23)C(=O)Nc2cccc(c2)[N+]([O-])=O)c(c1)[N+]([O-])=O MCSXGCZMEPXK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087 Abdominal pain upp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3409 Acaro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WXUGNUFCNYMFK-UHFFFAOYSA-N Acet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O)OC(=O)CC(O)(C(O)=O)CC(O)=O WWXUGNUFCNYM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FCVZKFJHRCLCC-MTYXOXLRSA-N Alphitolic acid Natural products CC(=C)[C@@H]1CC[C@@]2(CC[C@]3(C)[C@@H](CC[C@@H]4[C@@]5(C)C[C@@H](O)[C@@H](O)C(C)(C)[C@@H]5CC[C@@]34C)[C@@H]12)C(=O)O PFCVZKFJHRCLCC-MTYXOXLR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27 Alzheim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860 Anus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30 Armoracia rust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91 Armoracia rust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2167 Ascorbige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OMSJCIOTCFHSIT-UHFFFAOYSA-N Ascorbigen A Natural products C1=CC=C2C(CC3(O)C(=O)OC4C3(O)OCC4O)=CNC2=C1 OMSJCIOTCFHS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340 Asparagus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36 Bromus ma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2 Calc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HPQYMZQTOCNFJ-UHFFFAOYSA-N Calcium cation Chemical compound [Ca+2] BHPQYMZQTOC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1 Cerebr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631 Choler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544 Cicatrix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YASYEJJMZJALEJ-UHFFFAOYSA-N Citric acid monohydrate Chemical compound O.OC(=O)CC(O)(C(O)=O)CC(O)=O YASYEJJMZJAL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235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60 Citrus x paradis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418 Electrolyte imbal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970 Ephelid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08 Eriobotrya japo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508 Eriobotry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61 Esophage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30 Fatty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7700 Fragaria ves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80 Heart fail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708 Hepatic ste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VGLGOZIDCSQPN-PVHGPHFFSA-N Heroin Chemical compound O([C@H]1[C@H](C=C[C@H]23)OC(C)=O)C4=C5[C@@]12CCN(C)[C@@H]3CC5=CC=C4OC(C)=O GVGLGOZIDCSQPN-PVHGPHFFSA-N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150 Hypercholesterol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10 Hyperpha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850 Hyperthyroid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1 L-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69 L-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QIVBCDIJIAJPQS-VIFPVBQESA-N L-tryptopha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O)=CNC2=C1 QIVBCDIJIAJPQS-VIFPVBQESA-N 0.000 description 1
- HMXJLDJMSRBOCV-UHFFFAOYSA-N Leucocyanidin Natural products OC1C(OC2C(O)C(Oc3cc(O)cc(O)c23)c4ccc(O)c(O)c4)c5c(O)cc(O)cc5OC1c6ccc(O)c(O)c6 HMXJLDJMSRBO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826 Mangifera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228 Mangifera in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14 Mental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79 Mentha X vertici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899 Mentha su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36 Mentha x rotund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01 Muscle Cramp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40 Night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YDNKGUBLIKNAM-UHFFFAOYSA-N Oxyallobutulin Natural products C1CC(=O)C(C)(C)C2CCC3(C)C4(C)CCC5(CO)CCC(C(=C)C)C5C4CCC3C21C JYDNKGUBLIKN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34 Paulownia toment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59 Phoenix dactyl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04275 Phoenix dactyl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633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08269 Psi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634 Rect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47727 Scab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65 Sciatic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UGBHKTXTAQXES-UHFFFAOYSA-N Selenium Chemical compound [Se] BUGBHKTXTAQX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84 Spondias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92 Stevia rebaud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71567 Struthion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2674 Swel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41724 Tetraodont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IVBCDIJIAJPQS-UHFFFAOYSA-N Tryptophan Natural products C1=CC=C2C(CC(N)C(O)=O)=CNC2=C1 QIVBCDIJIAJP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386 Typhoi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865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EHOTFFKMJEONL-UHFFFAOYSA-N Uric Acid Chemical compound N1C(=O)NC(=O)C2=C1NC(=O)N2 LEHOTFFKMJEO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VWHNULVHGKJHS-UHFFFAOYSA-N Uric acid Natural products N1C(=O)NC(=O)C2NC(=O)NC21 TVWHNULVHGKJ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798 Uterine leiomy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316 Vitamin 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QYSXJUFSXHHAJI-XFEUOLMDSA-N Vitamin D3 Natural products C1(/[C@@H]2CC[C@@H]([C@]2(CCC1)C)[C@H](C)CCCC(C)C)=C/C=C1\C[C@@H](O)CCC1=C QYSXJUFSXHHAJI-XFEUOLMD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583 acet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70 adrenal cortex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93174 agav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6 alcoh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43 anhydrous cit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4 animal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531 ano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4 anti-oxid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9 antido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86 aqueous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MSJCIOTCFHSIT-KNUOEEMSSA-N ascorbigen Chemical compound C1=CC=C2C(CC3(O)C(=O)O[C@H]4[C@]3(O)OC[C@@H]4O)=CNC2=C1 OMSJCIOTCFHSIT-KNUOEEMS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71 behavioral problem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RTQHJPVMGBUCF-PSQAKQOGSA-N beta-L-uridine Natural products O[C@H]1[C@@H](O)[C@H](CO)O[C@@H]1N1C(=O)NC(=O)C=C1 DRTQHJPVMGBUCF-PSQAKQOGSA-N 0.000 description 1
- FVWJYYTZTCVBKE-ROUWMTJPSA-N betulin Chemical compound C1C[C@H](O)C(C)(C)[C@@H]2CC[C@@]3(C)[C@]4(C)CC[C@@]5(CO)CC[C@@H](C(=C)C)[C@@H]5[C@H]4CC[C@@H]3[C@]21C FVWJYYTZTCVBKE-ROUWMTJPSA-N 0.000 description 1
- MVIRREHRVZLANQ-UHFFFAOYSA-N betulin Natural products CC(=O)OC1CCC2(C)C(CCC3(C)C2CC=C4C5C(CCC5(CO)CCC34C)C(=C)C)C1(C)C MVIRREHRVZLA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3 bile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42 bi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55 blood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1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58 bra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6 calcium ascorb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7036 calcium asc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2 calcium ascorb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4 calc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LORRZQTHNGFTI-ZZMNMWMASA-L calcium-L-ascorbate Chemical compound [Ca+2].OC[C@H](O)[C@H]1OC(=O)C(O)=C1[O-].OC[C@H](O)[C@H]1OC(=O)C(O)=C1[O-] BLORRZQTHNGFTI-ZZMNMWMA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14 cal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748 carbonate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5 carcino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522 cellular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78 chinese medicin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883 cholelith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32 chronic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79 cold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2 colon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387 congenital coronary artery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639 coronary artery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38 cu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428 decreased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68 dent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69 diamorph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638 dop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74 dry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781 dry mou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49 energy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104 epidemic louse-borne typh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101 esophage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38 esophag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4 essential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050 ester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533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4 eyel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706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5 fatty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58 fer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2 flavo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600 folk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2 fresh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0 gallston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80 healthy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5 hear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48 hear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32 hemopoi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3 hepato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34 high fructose corn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60 huma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64 hum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9 hydr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3 hypoten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ZOUSPYUWWUPPK-UHFFFAOYSA-N indole Natural products CC1=CC=CC2=C1C=CN2 PZOUSPYUWWUPP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KJUIXBNRJVNHR-UHFFFAOYSA-N indolenine Natural products C1=CC=C2CC=NC2=C1 RKJUIXBNRJVN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000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603 inherited susceptibility to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3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CVXZQOKBHXGRU-UHFFFAOYSA-N iodine(1+) Chemical compound [I+] OCVXZQOKBHXG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22 irr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SBZWTSHAFILOTE-UHFFFAOYSA-N leucocianidol Natural products OC1C(O)C2=C(O)C=C(O)C=C2OC1C1=CC=C(O)C(O)=C1 SBZWTSHAFILOT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6558 leucocyanid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358 magnesium asc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AIOKQVJVNPDJKA-ZZMNMWMASA-L magnesium;(2r)-2-[(1s)-1,2-dihydroxyethyl]-4-hydroxy-5-oxo-2h-furan-3-olate Chemical compound [Mg+2].OC[C@H](O)[C@H]1OC(=O)C(O)=C1[O-].OC[C@H](O)[C@H]1OC(=O)C(O)=C1[O-] AIOKQVJVNPDJKA-ZZMNMWMA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690 ma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78 mass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45 menopau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9 molas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240 nasophary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22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93 oils an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98 organs belonging to the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64 oss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30 over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61 over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9 oxidative DNA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477 pH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675 pannicu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7 parasympathetic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49 pear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9 peripheral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6 peripheral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0 pharyn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2558 protein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18 protein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49 recognition of polle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038 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64 rec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75 rect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1 rice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687 scab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7 scar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9 sele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32 silic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PPASLZSBLFJQEF-RKJRWTFHSA-M sodium ascorbate Substances [Na+].OC[C@@H](O)[C@H]1OC(=O)C(O)=C1[O-] PPASLZSBLFJQEF-RKJRWTFH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8 sodium ascorb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PPASLZSBLFJQEF-RXSVEWSESA-M sodium-L-ascorbate Chemical compound [Na+].OC[C@H](O)[C@H]1OC(=O)C(O)=C1[O-] PPASLZSBLFJQEF-RXSVEWSE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214 soft drin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4 squa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03 stamin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0 steatosis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1 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04 subcutaneous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2 sugar substitu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72 sun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89 sympa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367 tarta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JBQYATWDVHIOAR-UHFFFAOYSA-N tellanylidenegermanium Chemical compound [Te]=[Ge] JBQYATWDVHIO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WMISRWJRUSYEX-SZKNIZGXSA-N terbinaf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2C(CN(C\C=C\C#CC(C)(C)C)C)=CC=CC2=C1 BWMISRWJRUSYEX-SZKNIZGX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7 thiam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1 thiam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47 tinea ped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67 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97 typhoid fe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393 typh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97 ulce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DRTQHJPVMGBUCF-UHFFFAOYSA-N uracil arab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CO)OC1N1C(=O)NC(=O)C=C1 DRTQHJPVMGBUC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269 u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145 urid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LEONUFNNVUYDNQ-UHFFFAOYSA-N vanadium atom Chemical compound [V] LEONUFNNVUY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167 vascula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553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0 vitamin 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1 vitamin b complex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8 vitamin d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60 voc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16 vomi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38 yellow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or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심코 버리는 푸르고 싱싱하게 윤기나는 청정(淸淨)대추나무잎(Leaf)을 가공하여 새로운 가치(價値)를 개발하는 것과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개발하는 것과 대추나무잎(Leaf)에 부족한 성분을 보충하는 새로운 조성물을 조성하여 더 많은 가치(價値)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대추잎, 대추 과육, 구연산, 비타민C, 스테비아잎, 함 초를 총중량 100%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이다.
또한, 황토(黃土) 대추(紅棗)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 채취 및 저장하는 기술, 세척하는 기술, 절단하는 기술, 지장(地漿) 수를 조성하는 기술, 찌(蒸)고 데치는 기술, 혼합하는 기술, 가압 파쇄 전이 성형하는 기술, 숙성 건조하는 기술, 분쇄 선별하는 기술, 살균하는 기술, 주입하는 기술, 포장하는 기술, 추출하는 기술, 여과하는 기술, 농축하는 기술, 살균하는 기술, 주입 포장하는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이다.
황토(黃土) 대추 잎(Loess jujube Leaf), 지장 수(黃土 地漿 水 황토 수용액), 기능(機能하는 구실이나 작용), 고온순간살균법(H T S T), 맛(味) 좋은(Flavorous), 새콤달콤(甘 酸 달고, 시고), 비말 동반(Entrainment 기포로 달아남), 포장(包藏 위생 저장용), 포장(包裝 운반용), 침출(浸出) 차, 액상(飮料) 차.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심코 버리는 대추나무잎에서 새로운 가치(價値)를 창출하여 새로운 소득(所得)을 개발하는 것으로 대추를 수확할 때 떨어지는 대추나무잎을 바람으로 분리하여 대추만 수확하고 버려지는 푸르고 싱싱하게 윤기나는 귀한 청정(淸淨)대추나무잎(Leaf)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분야와 소득으로 이어지는 기술분야와 새로운 용도(用途)를 개발하는 기술분야와 대추나무잎(Leaf)에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개발하는 기술분야와 대추나무잎(Leaf)에 부족한 성분을 보충(補充)하여 새로운 변신으로 더 많은 가치(價値)를 창출하는 기술분야를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단계별 기술로 하기에 제시한다.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의 단계별 기술분야는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분야,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분야, 채취 및 저장하는 기술분야, 세척하는 기술분야, 절단하는 기술분야, 지장(地漿) 수를 조성하는 기술분야, 찌(蒸)고 데치는 기술분야, 혼합하는 기술분야, 가압 파쇄 전이 성형하는 기술분야, 숙성 건조하는 기술분야, 분쇄 선별하는 기술분야, 살균하는 기술분야, 주입하는 기술분야, 포장하는 기술분야, 추출하는 기술분야, 여과하는 기술분야, 농축하는 기술분야, 살균하는 기술분야, 주입 포장하는 기술분야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이다.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 조성물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 채취기술, 세척하는 기술, 절단기술, 지장(地漿) 수 조성 기술, 찌(蒸)고 데치는 기술, 혼합기술, 파쇄 가압 전이 성형기술, 숙성건조기술, 분쇄선별기술, 살균기술, 주입기술, 포장기술, 추출기술, 여과기술, 농축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의 배경기술이다.
본 발명은 무심코 버리는 자원에서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여, 과수농가에서는 다수확을 위하여 봄이면 나무 다듬기를 매년 계속하는 필수의 작업으로 대추나무의 다듬기를 가을철 대추 수확 시기에 다듬기를 실시하여 대추도 수확하고 대추나무잎도 채취하여 자원을 확보하는 새로운 기술로, 지금까지는 대추를 수확할 때 떨어지는 대추나무잎(葉)을 바람으로 분리하여 대추만 수확하고 버리는 자원으로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았던 대추나무잎, 푸르고 싱싱하게 윤기나는 청정(淸淨)대추나무잎(Leaf)에는 사포닌과 쿠마린, 플라본, 글리코사이드, 무실리지, 비타민C, 등이 있고 루틴이 1.6%를 함유하여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기능과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항산화 기능이 강한 귀중한 약재인 대추나무잎을 황토(黃土) 지장수로 가공하여 새로운 가치에 의한 용도(用途)를 개발하는 기술분야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선정하고, 대추나무잎(Leaf)에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개발하는 기술분야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선정하고, 대추나무잎(Leaf)에 부족한 성분을 보충(補充)하여 새로운 가치(價値)를 창출하는 기술분야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선정하여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별 독립된 기술을 공정에 의하여 하기에 제시한다.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의 단계별 독립된 기술적 과제는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 채취 및 저장하는 기술적 과제,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 절단하는 기술적 과제, 지장(地漿) 수를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찌(蒸)고 데치는 기술적 과제, 혼합하는 기술적 과제, 가압 파쇄 전이 성형하는 기술적 과제, 숙성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 분쇄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 주입하는 기술적 과제,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 추출하는 기술적 과제, 여과하는 기술적 과제, 농축하는 기술적 과제,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 주입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목적에 부합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연결하여 기술적 단계를 구성하고 과제별 특성(特性)과 방법을 공정별로 설정하여 단계별 독립기술을 과제 해결 기술로 아래의 공정(Manufacturing)의 순서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지구촌 인간과 수천 년을 함께하면서 풍부한 영양과 특수한 기능이 있지만 가치를 개발하지 못하여 버려지는 대추나무잎은 잎과 잎이 어긋나고 밑이 약간 넓은 난형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잎 윗면은 초록(草綠) 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고 잎(葉)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葉托)이 있고, 사포닌, 쿠마린, 플라본, 글리코사이드, 무실리지(Mucilage), 비타민C를 함유(含有) 하고, 알칼로이드로서 코크라유린, 이소보르딘, 노리소보르딘, 아시밀로빈, 유지핀, 유지린, 아비세닌 등이 들어있고, 루틴이 1.6%나 들어 있는 대추나무잎(葉)을 주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 오기 전에 나무에서 채취한 푸르고 싱싱하게 윤기나는 청정(淸淨)대추나무잎으로 선별(選別)하고,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C, 비타민P를 다양하게 함유(含有)하고, 칼슘, 인, 철분, 마그네슘, 칼륨 등 36가지의 무기질(無機質)을 함유(含有)하면서 유기산, 사과산, 아스파트산, 글라이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산, 알라닌, 발린, 로이신, 프롤린 등 16종의 아미노산을 함유(含有)하여 자양(滋養), 강장(强壯), 진해(鎭海), 해독의 기능(機能)과 양질의 칼로리로 피로회복疲勞 fatigue)과 항산화기능(抗酸化 Antioxidanteffect)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고 조성물의 조직을 결속하는 응집(凝集)력을 가지는 대추 과육을 대추나무잎을 보조하는 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를 맞지 않고 수확하여 태양에서 건조한 대추를 선별(選別)하고, 살아있는 생명체로 한 스푼에 2억 마리 정도의 미생물이 살아 있는 미생물의 대단위 집단으로 카탈라아제, 프로테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아제 등과 50여 종의 효소(酵素)를 함유(含有)하면서 이산화 규소, 알루미나, 탄산칼슘(石灰),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칼리 등을 함유하는 황토(黃土)를 선정하여 지장(地漿) 수(水)를 선별(選別)하고, 젖산 축적을 막아 신속한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하고 항산화(抗酸化)를 촉진하는 구연산 사이클의 기능과 새콤한 대중적(大衆的)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구연산을 선정(選定 Choice)하고,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생리적 대사기능의 조절과 항산화 및 신속한 피로회복과 대중적 향미개선과 성인병 예방 치료를 위 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 Choice)하여 이미 이취가 없고 순도 96%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풍부한 무기질(無機質)로 대추의 부족한 아연(Sex Mineral)공급과 대중적 향미로 중화 개선하는 첨가물로 함 초를 선정(選定)하여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 초분을 선별(選別)하고, 항산화 촉진과 대중적 월드 향미 개선과 저칼로리를 위하여 스테비아잎을 선정(選定)하여 싱싱하고 푸른 스테비아잎과 줄기를 선별(選別)하여 조성물의 원료로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대추잎 80 내지 16중량%, 찐 대추 과육 16 내지 70중량% , 구연산 1 내지 4중량%, 비타민C 1 내지 4중량%, 데친 스테비아잎 1.5 내지 5.2중량%, 함 초 0.5 내지 0.8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채취 및 저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서리가 오기 7 내지 15일 전에 대추나무 다듬기를 하여 얻어지는 잎과 대추나무열매 수확시 대추와 같이 떨어지는 잎과 열매를 분리하여 각각 채취하고, 잎은 선별하여 거물 망에 10 내지 15㎏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고 대추나무잎의 품온이 1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장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수확한 대추는 태양에 자연건조한 것으로 선별(選別)하여 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대추를 조성하고, 대추와 잎을 동시에 채취하여 채취비용을 최소화하고, 스테비아잎은 싱싱한 상층부위의 잎 과 줄기를 같이 절단하여 채취하고 거물 망에 10 내지 15㎏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스테비아를 조성하고, 청정지역 깊은 산속 표토(表土) 30㎝를 제거하고 진한 황적색의 0.02㎜ 내지 0.05㎜ 황토(黃土)를 채취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황토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4공정은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대추나무잎을 48시간 이내에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저장 대추를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를 조성하고, 저장 스테비아잎을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절단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대추나무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 내지 4㎜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세척 대추는 씨를 제거(除去)하여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 내지 4㎜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스테비아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 내지 4㎜로 절단하여 절단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지장(地漿) 수를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황토(黃土)를 동력 3상 5마력 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황토(黃土)를 조성하고, 분쇄 황토(黃土)를 생수 80 내지 90중량%와 혼합하여 10 내지 20%의 황토수용액을 조성하고 황토수용액을 2 내지 6시간 자동으로 휘저어 24시간 침전(沈澱)시키어 황토와 황토(黃土) 수(水)를 분리하여 상층부 60 내지 80%를 채취하여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조성하여 10%, 20%를 구분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찌(蒸)고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한 10 내지 2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에 2 내지 4%의 비타민C+6 내지 8%의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황토 지장 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황토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110±5℃으로 가열하여 절단 대추나무잎과 스테비아잎을 20 내지 40초간 데쳐 신속하게 냉각수로 냉각하여 채반에 건지어 푸른 색상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잎을 조성하고, 2중으로 된 찜 솥에 밑물로 10 내지 2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찜 솥의 80% 정도 넣고 찜 솥 위의 찜통을 놓고 찜통 속에 절단 대추 과육을 넣고 130±5℃으로 찜 솥을 가열하여 8 내지 10분간 절단 대추를 쪄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여 신속하게 냉풍으로 냉각하여 신선한 황토(黃土)의 풍미를 가지는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냉각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저장용으로 조성하고, 비 수확시기를 대비하여 수확기에는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와 찐 대추 과육을 대량으로 가공하여 40℃ 이하의 건조실에 서 온풍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이하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과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찐 건조 대추 과육을 비 수확기(收穫期)를 대비하여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혼합하는 기술적 과제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함 초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민C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구연산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0 내지 15분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스테비아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대추 과육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 내지 20분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 내지 25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과 비 수확기에는 저장원료를 사용하는데 1차는 혼합은 수확기와 동일하게 하고 2차는 저장용 원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건조 대추 과육,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제7공정에서 저장한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서서히 주입하면서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 내지 20분간 혼합하여 수분함량 70 내지 80%의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 내지 25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가압 파쇄 전이 성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파쇄기로 3 내지 5㎏/㎠ 압력을 가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 파쇄되고 서로 전이되어 압축에 의한 2 내지 4㎜로 성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부피를 압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숙성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30 내지 35℃의 건조실에 시간마다 상하교류로 10 내지 15시간 서서히 균일하게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숙성건조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분쇄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분쇄기로 1 내지 3㎜로 분쇄하고, 1 내지 3㎜로 선별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선별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2공정은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선별 혼합조성물을 고온순간살균법(H T S T)을 응용(應用) 한 다용도(多用途) 다관(多管) 살균기(殺菌器)로 스크루 회전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에 따라 85 내지 90℃에서 30 내지 60초로 상업적 살균하여 향미(香味)를 보존(保存)하는 상업살균으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조성한 기술적 단계다.
제13공정은 주입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천 또는 여과지에 0.5 내지 5g씩 자동(自動) 포장기(包裝機)로 주입하여 1회용 티백 또는 1회용 2중 티백 또는 1회용 삼각 티백 또는 1회용 원형(圓形) 티백에 주입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1회용 티백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4공정은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1회용 티백 또는 1회용 2중 티백 또는 1회용 삼각 티백 또는 1회용 원형(圓形) 티백을 은박지 및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컵(盞 Cup)으로 방향(防香) 방습포장(防濕包藏)으로 포장(包裝)하고 검사한 후에 1 내지 500 티백으로 상자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냉, 온수 겸용으로 음용 할 수 있는 향토와 풀잎의 조화로운 풍미를 느끼는 흑갈색의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침출(浸出)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제15공정은 추출하는 기술적 과제로, 제10공정에서 조성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자동추출탱크에 넣고, 넣은 혼합물의 중량을 기 준으로 90 내지 110배의 알코올 30 내지 60%의 용매로 120 내지 130℃에서 10 내지 15㎏/㎠(壓力)으로 150 내지 200분간 자동으로 추출(抽出)하고 계절에 따라 용매(溶媒)의 비율과 용매(溶媒)의 알코올함량을 조절하여 추출로 발생하는 향미의 변화를 방지(防止)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추출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6공정은 여과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추출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10마력으로 1차 150 메쉬(Mesh)의 자동 흡입 여과기(濾過機)를 통하여 여과하고 2차로 200 메쉬(Mesh)의 자동 흡입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하고 3차로 2차 여과액(濾過液)을 12 내지 24시간 침전 여과(濾過)하는 방식들을 원칙으로 하나, 용도에 따라서 1차 또는 2차만 여과(濾過)하여 침전물을 최소화하는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여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7공정은 농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여과 혼합조성물을 1 내지 10-3 Torr의 자동농축기에 넣고 교반기의 회전(回轉)을 가감하여 비말 동반 손실을 억제하면서 5 내지 50 Brix로 농축(濃縮)하면서 알코올을 회수시키고 설탕(雪糖)과 과당이 없는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농축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8공정은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농축 혼합조성물을 고온순간살균법(H T S T)을 응용(應用)한 다용도(多用途) 다관(多管) 살균기(殺菌器)로 스크루 회전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에 따라 85 내지 90℃에서 30 내지 45초 살균으로 살균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조성한 기술적 단계다
제19공정은 주입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순도(純度)에 따라 유리 앰플(Ampoule)이나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은박 주머니(Pouch)에 5 내지 250㎖로 자동으로 포장(包藏)하는 방법과 내열성 병에 50 내지 2000㎖로 자동으로 포장(包藏)하여 냉각으로 진공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6 내지 20개씩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상품으로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마시는 맑은 흑갈색을 바탕으로 하는 황토의 풍미를 느끼며 풀잎의 조화로운 향미의 새콤달콤한 대중적(大衆的) 월드 향미를 특징(特徵)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액상(飮料)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組成物)에 사용된 원료(原料)의 특성(特性) 및 기능(技能)적 효과(效果)와 조성물(組成物)의 혼합을 통하여 상승(上昇)하는 기호와 기능적 효과(效果)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 조성물(組成物) 원료(原料)의 기능(技能)적 특성(特性) 및 효과(效果).
1. 황토(黃土, Loess)와 지장(地漿) 수.
일반적으로 황토(黃土)라 함은 크기로 0.02㎜ 내지 0.05㎜. 조립질(組粒質)과 중립질(中粒質)의 먼지를 포함하고. 점토 크기(0.005㎜ 이하)의 입자 5 내지 10% 정도 함유하는 퇴적물을 말하며 뢰스(loess) 라고도 한다. 빙하 퇴적점토와 함께 스텝 기후하의 체르노좀 등의 비옥한 토양의 모체가 되고 황토색을 표현하는 영어 단어는 Ocher(황토색)로 표현한다.
일반적 황토의 성분 화학조성으로 보면 실리카(SiO 2) 60 내지 65%, 철분 5 내지 6%, 알루미나(AI 2O3) 10 내지 13%, 마그네슘 (Mg)과 나트륨(Na) 2% 내외, 칼리 1.5%, 석회 8% 내외다.
중국 본토인 황하(黃河 Yellow River) 유역에 널리 분포하는데, 그 밖에 미국의 미시시피강 유역, 유럽 중앙부 등에도 분포한다. 중국 본토의 황토는 북서부에 있는 사막으로부터 편서풍에 의하여 운반되어 퇴적된 것이며, 그 밖의 것은 빙하가 후퇴한 뒤의 퇴적물이 바람에 운반된 것으로 한반도의 남쪽과 북쪽의 입자 크기 차이가 나는 것은 중국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분리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황토(黃土)의 구체적 크기
처음 채취상태에서 일반적으로 0.02㎜ 내지 0.05㎜(20μ 내지 50μ)이며, 0.005㎜(5μ)이하의 점토질은 전체에서 10% 이내의 비중이다.(μ=1000분의1㎜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미크론=마이크론이라 한다. 참고로 황사의 크기는 2.5 내지 10 마이크론 정도임)
황토(黃土)의 화학적 성분 표 1
황토(黃土)의 화학조성은 이산화 규소 (실리카, SiO 2) 60 내지 65%, 알루미나(AI 2O3) 10 내지 13%, 탄산칼슘(석회) 8%, 철분 5%, 마그네슘 3%, 나트륨 2%, 칼리 1.5% 정도이고, 광물조성 석영 60 내지 70%, 장석과 운모 10 내지 20%, 탄산 광염 물 5 내지 35%, 실트 2 내지 5% 정도이다.
황토(黃土)의 구체적 성질
황토는 지표의 약 10%를 덮고 있고 가는(微細) 모래로 되어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이 함유되어 있어 쉽게 부서지지 않고 끈기를 지니고 있으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석영(石英), 운모(雲母), 방해석(方解石) 철분과 함께 산화작용을 받아 황색, 자색, 적색, 회색, 미 녹색 등 다채로운 색깔을 나타낸다.
황토(黃土)는 가는 모래로 되어 있고, 다량의 탄산칼슘을 함유하여 끈기를 지닌다. 철분이 산화과정에서 황, 적, 자, 회, 미 녹색 등의 색깔을 내게 되고, 색깔에 관여하는 철분은 5% 내외의 비중이므로 황토의 색깔로서 성분이나 품질을 논하기는 어렵다. 공(孔) 극이 절반에 달하는 벌집 구조이다. 구멍이 조밀하게 형성하고 있으니까 산소가 잘 통하고 오염물질을 잘 흡착한다.
황토(黃土) 속의 효소(酵素)
황토를 살아있는 생명체로 한 스푼에 2억 마리 정도의 미생물이 살아 있는 미생물의 대단위 집단을 연상시킨다. 효소의 종류는 1,300여 종류에, 흙 속에서 활성이 이루어지는 효소(酵素)는 50여 종, 그 중에 주요 효소로는 아래 4가지로 볼 수 있다.
황토(黃土)에는 카탈라아제, 디페놀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 등 우리 몸에 유익한 효소와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피부를 건강하고 탄력 있게 도와주고, 카탈라아제는 인체의 노화를 촉진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하거나 희석시키고, 디페놀옥시다아제는 흙의 산화력과 분해력을 강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황토(黃土)에는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하는 프로테아제는 흙 속을 정화하는 기능을 하는데 암이나 종기, 부패한 세포를 분해합니다. 민간요법에서 곪은 상처를 치료하고 체내 독소를 풀기 위해 황토를 활용하는 것은 우리 선조의 이유 있는 지혜(智慧)다.
황토(黃土)의 탁월한 원적외선 효과 황토는 원적외선의 방출효과가 일반 점토에 비해 700여 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황토에 대한 관심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황토의 원적외선은 혈액 및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미용, 두통, 요통, 냉 대하, 신경통, 관절염, 고혈압, 간질환 그리고 다이어트에 가장 큰 적인 비만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황토(黃土)의 기능 중 피부와 관련해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해독력과 자정(自淨)력, 흡착력 세 가지입니다. 피부 재생효과와 노폐물 제거, 화장독을 흡착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입니다. 흡착력 성분 덕분에 황토 팩을 쓰면 피부 노폐물이 팩에 달라붙어 떨어져 나가면서 자연스럽게 피부 모공이 청소된다는 것이죠.
황토(黃土)는 실리카(SIO 2), 알루미나(Al 2O3), 철분,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비와 다양한 효소들로 조성된 황토는 동, 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 하므로 일명 황토를 살아있는 생명체라 부릅니다.
황토(黃土)의 효능은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불면증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질병치료에 다양한 방식으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나아가 노화지체에 도움을 줍니다.
황토(黃土)를 다른 방법으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효과를 보실 수도 있지만, 바쁜 생활 속에서 간편하게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은 자면서 할 수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황토(黃土)에 다른 자료의 의하면 황토성분 분석은 북위 24 내지 55˚ 사이에 위치하며 황토 한 스푼에 2억 오천 마리의 미생물이 서식한다. 그 미생물 속에는 산화물 분해 효소인 카타라제(과산화수소, 과산화 지질을 분해함)라는 효모 활동이 매우 풍부합니다.
황토(黃土) 속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종류에는 근류 박테리아, 페니실린 균, 바브렌균(메주발효균), 스치브균(일산화탄소를 탄산가스로 만드는 균)이 있으며 다양한 세정력, 분해력, 제독(除毒)력, 해독력, 인체의 자연 치유력을 도와주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황토(黃土) 속의 미생물을 추출하여 항암, 항균작용을 하는 각종 항생제를 만들고 있다.
황토(黃土) 속의 효소성분은 카타르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 등이 있으며 이들의 역할은 독소를 제거하며 분해력과 흡착력이 탁월하고 정화(洗淨)력이 뛰어납니다. 황토 흙속의 성분이 3%밖에 밝혀지지 않은 현실에서 현대인들은 흙과 더욱 가까워져야 하고 나머지 97% 속에는 현재 밝혀진 물질보다 더욱 획기적이고 온 인류가 깜짝 놀랄 수 있는 신비의 물질이 살아 숨 쉴지도 모른다고 지적하고 있다.
황토(黃土)는 또한 인체에 축척 된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시켜 피부가 활력을 되잖으며 피로 스트레스 해소, 숙취제거 등 활력을 주는 건강과 젊음의 에너지로, 해독작용 체내 독소를 풀어주는 작용, 정혈작용 피를 깨끗이 하는 작용, 소염작용 염증을 삭여 주는 작용, 생산 작용 파괴된 인체의 세포를 빠른 속도로 회복시켜주는 작용, 체질개선 산성체질을 약알칼리로 바꾸는 작용, 항균작용 병균을 이기는 작용, 항암작용 각종 암에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 황토(풍화 토)의 구성광물 및 화학성분에 대한 연구로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학과와 농림수산부 축산기술연구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적갈색 내지 황갈색을 띠는 풍화 토, 소위 황토(黃土)에 대하여 대표적 모임에 따른 발표로 황토(黃土) 그 구성광물과 화학성분 등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황토의 구성광물로는 점토광물이 약 40 내지 80%로 다량 함유되며, 그 외에 석영, 장석, 각섬석, 침 철석, 깁 사이트 등의 여러 광물이 포함되는 것이 나타났다.
황토(黃土)의 점토광물로는 커오리 나이트, 할로니 사이트, 일 라이트, 수산화 층간 버미큘라이트(H I V), 운모 버미큘라이트 혼합층 광물, 녹니석 등이 주로 포함되는 것이 나타났다. 모암에 따라 황토(黃土) 중 구성광물의 조합과 함량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화강암에 있어서도 쥐라기 화강암의 것이 상대적으로 많은 카오린 광물을 포함하고, 백악기 화강암은 상대적으로 H I V와 일 라이트가 다량 포함되는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적색에 가까운 황토(黃土)에서는 카오리 나이트와 H I V가 많으며, 황색에 가까운 황토에서는 일 라이트와 할로니 사이트가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된다.
각 모암과 비교하여 황토(黃土)의 주 화학성분은 Al 2O3, Fe 2O3, H2O 등이 많아지고, Ca, Mg, Na 등은 다소 적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미량성분에 있어서 황토에는 P, S, Zr, Sr, Ba, Rb, Ce 등이 대체로 많은 함량을 보이며, 다음으로는 Li, V, Cr, Zn, Co, Ni, Cu, Y, Nb, La, Nd, Pb, Th 등이 약 10ppm 이상으로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황토(黃土)는 대부분 미량 원소들이 각 모암의 성분에 비교해서 황토에서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황토의 주성분과 미량성분은 모암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나지만, 모암의 성분 차이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는 유사한 범위를 나타냈다.
우리나라에서 황색 내지 적갈색 풍화 토인 소위 황토(黃土)는 황토방, 황토침대, 찜질방 등 우리 생활환경의 다방 면에서 요즘 유행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바다에 발생한 적조의 퇴치에도 황토(黃土)가 이미 사용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여러 용도로 이용되는 황토는 가까운 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황색 내지 적갈색의 풍화 토를 의미한다. 즉 우리나라의 황토는 암석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아 변질하고 토양으로 된 풍화 잔류 토(풍화 토)를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황토(黃土)는 풍화 잔류토의 의미를 말한다. 이와 같이 황토(黃土)는 토양의 일종이다. 황토를 포함하는 토양에 관련된 연구들로는 농학적 측면에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환경학적 측면에서 토양 오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토양의 구성광물과 화학성분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잘 눈에 띄지 않는다. 특히 황토(黃土)를 주대상으로 한 구성광물 및 화학성분에 대한 연구는 자세히 이루어진 바는 없는 것 같다. 최근 황토(黃土)에 대한 다방면의 이용도에 비하여 황토(黃土) 자체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황토(黃土)의 산상 및 분포 연구결과.
황토는 우리나라 거의 전 지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우리의 기후조건하에서 암석이 풍화된 잔류토양으로 토양 단면의 B층 토양에 주로 해당된다. 모암의 종류와 장소에 따라 산출상태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지표면에서 유기물을 다량 함유한 것일수록 검은 색을 띠고, 풍화작용이 덜 진행된 약간 깊은 부분에서는 황색에 가까운 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 황토의 일반적인 토양 단면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암 색의 표토 층을 제외하고는 상부에 적갈색을 띠는 부분과 그 아래에 담황색 및 황갈색을 띠는 부분이 나타나고 그 아래에 풍화 암 및 경질 모암의 순서로 나타난다.
상부 적갈색 풍화토의 색상은 시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Reddish brown에 해당되는 2.5YR 4/8, 5YR 4/6의 색상이 많고, 일부 brown에 해당되는 7.5YR 4/6도 포함된다. 이들은 하부의 풍화 토보다는 약간 붉고 짙은 색상을 보인다. 하부 풍화 토는 Yellowish brown에 해당되는 10YR 6/4와 orange의 7.5YR 6/8 등이 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는 상부 층을 적갈색 토, 하부 층을 황갈색 토로 통일하여 기술한다.
적황색 토양 소위 황토는 비교적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고지대 및 급경사지역, 하천 등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지역적으로는 경기, 충남, 전북, 전남의 서해안 지역에서 황토의 두께 및 분포 면적이 크게 나타나며, 반면에 강원 및 경북의 동해안 지역에서는 황토의 발달이 비교적 빈약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지체구조와 연관되는 것으로 동해안 지역은 상대적으로 융기에 의해 침식속도가 풍화속도보다 빠르며, 반면에 서해안 지역은 풍화작용의 지속기간이 줄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지질에 따른 황토의 산출상태는 화강암, 편마암, 석회암 지역에서 대체로 잘 발달하고, 반면에 퇴적암층, 산성 화산암 지역에서는 미약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암석의 성질에 따른 화학적 풍화작용의 저항성에 관계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성광물의 형성과 화학성분에 대하여. 적갈색 내지 황갈색을 띠는 풍화 토, 소위 황토(黃土)에 대하여 대표적 모암에 따른 그 구성광물과 화학성분 등을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모암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모암에 따라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성분과 화학성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며 결국 황토의 특성에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황토(黃土)의 구성광물은 석영, 장석, 점토광물, 침철석, 깁 사이트 등도 포함하지만, 그 중에서 점토광물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오래전부터 황토는 고가옥의 벽, 바닥, 부엌 아궁이 등의 건축재료, 적 벽돌, 토기, 기와 등의 요업원료, 논의 객토용 즉 토양 개량, 양어장 바닥, 외양간 바닥 깔개 등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고급 아파트의 바닥 및 벽 재료, 황토욕탕, 황토침대, 의약용, 적조제거용 등 그 용도가 매우 많다. 그러나
이러한 용도는 황토(黃土)의 가소성, 흡착성, 흡수 및 탈수, 현 탁성, 이온교환성 등의 특성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의 근본은 그 함량과 광물학적 특성으로 보아 점토광물이 가장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점토광물은 다른 광물에 비해 가장 활성도가 높으며, 가소성, 이온교환, 흡착, 촉매, 혼탁, 높은 표면적, 전자파의 흡수 및 방출 등의 다양한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황토(黃土)에 포함된 점토광물의 성질을 이해한다면 황토가 여러 용도로 이용되는 이유는 어렵지 않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황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효과적 이용을 위해서는 구성광물에 대한 검토 및 연구가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황토(黃土)에 대한 결론은 우리나라에서 적갈색 내지 황갈색을 띠는 풍화 토 소위 황토(黃土)에 대하여 대표적 모암에 따른 그 구성광물과 화학성분 등을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토(黃土)의 구성광물로는 석영과 장석과 함께, 카오린 광물, 일 라이트, 수산화 층간 버미큘라이트(H I V), 운모 버미큘라이트 혼합층 광물, 녹니석 등의 점토광물이 다량 함유되고, 각섬석, 침철석, 깁 사이트 등이 소량 포함된다.
2) 간접적으로 추정한 황토 중의 점토광물 함량은 약 40 내지 80%의 범위로 다량 함유되어, 점토 광물이 황토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황토(黃土) 중의 카오린 광물은 튜브 상의 할로니 사이트와 불규칙한 외형의 카오리 나이트가 혼합되어 나타나며, 상부 층인 적갈색 황토에서는 카오리 나이트가 아주 우세하고 반면에 하부의 황갈색 시료에서는 할로니 사이트가 비교적 많이 포함된다.
4) 모암에 따라 황토(黃土)의 구성광물이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쥐라기 화강암과 백악기 화강암에서 쥐라기 화강암의 것이 상대적으로 많은 카오린 광물을 포함하고, 백악기 화강암은 상대적으로 H I V와 일 라이트가 다량 포함되는 차이를 나타냈다.
5) 황토(黃土)의 구성광물은 모암 중의 장석과 운모 등의 광물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아 일 라이트, 할로니 사이트, 운모 버미큘 라이트 혼합층 광물, H I V등으로 변화되고 최종적으로 카오리 나이트로 변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황토 중의 이러한 광물조합은 모암의 종류 및 성질, 풍화기간, 풍화조건 등에 좌우되어 여러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6) 모암과 황토(黃土)와 화학성분을 비교해 보면 Al 2O3, Fe 2O3, H2O 등이 황토에서 많아지고, Ca, Mg, Na 등은 다소 적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황토의 주 화학 성분도 모암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나지만, 모암의 성분 차이에 비하여 유사한 범위를 나타낸다.
7) 황토(黃土)에서 P, S, Zr, Ba, Rb, Ce 등이 대체로 많은 함량을 보이고 있으며, 다음으로 Li, V, Cr, Zn, Co, Ni, Cu, Y, Nb, La, Nd, Pb, Th 등이 약 10ppm 이상으로 포함되었다. 미량성분에 있어서 Co를 제외한 대부분의 원소들이 각 모암의 성분에 비교해서 황토에서 각 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미량성분들도 모암의 종류에 따라 황토 중의 함량이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모암의 성분 차이에 비하여 유사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황토(黃土)의 효능으로 황토는 우리 민족의 문화·역사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데 그 중 황토벽과 황토온돌방의 초가집이 우리 조상의 황토문화를 대표하며 선조님들은 황토(黃土)를 단순한 흙의 범주를 뛰어넘어 주거와 식생활에까지 이용했고 건강요법으로도 활용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황토를 이용해 흙집을 짓고 살아왔으며 황토에 농작물을 경작했으며 황토로 그릇을 굽고, 각종 질병 치료에도 활용했으며 최근에는 건축 재료와 양어장 정화제, 적조 제거, 가축사료 첨가제, 황토방, 황토침대 등 용도가 더 다양해졌다.
황토(黃土)를 질병 치료용으로 사용한 기록으로는 조선시대 산해경에는 특히 소나 말의 질병이나 옴과 종기를 낫게 하는데 황토요법이 사용되었으며 본초강목과 향약집성방에는 아궁이 속의 흙을 부인의 어지러움이나 토혈, 중풍치료제로 썼다는 기록이 있으며 상사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황토를 은단 같이 만들어 먹였다고 전하며, 복어의 독을 없애는 데도 황토가 이용되었는데 복어를 먹고 죽어가는 사람을 오동잎, 비파 잎, 뽕잎, 박하 잎 등을 바닥에 깐 뒤 여기에 눕히고 황토로 몸을 덮어 하룻밤을 지내게 하면 치료되었다고 한다.
태종 때 함경도에서는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이 부족하자 사람들이 진흙으로 떡을 만들어 먹고 기근을 면했으며 또 선조 왕 때의 대기근에서도 황해도 봉산 땅에서 부드러운 진흙 70%에 싸라기 30%를 섞어 떡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황토(黃土)는 화상 치료에도 특효를 발휘하는데 온몸에 중화상을 입은 사람은 얼굴을 제외한 몸 전체를 땅에 묻고 황토(黃土) 수를 먹이면 화상이 치료됐다.
이 밖에도 황토(黃土)를 이용한 건강요법으로는 지장 수 요법, 욕 법, 목욕 법, 찜질요법, 마사지요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황토방은 옛날 시골의 황토 온돌방에서 지혜를 얻은 것으로 황토를 깐 방바닥을 따뜻하게 가열하여 그 위에 누워 있으면 황토로부터 원적외선이 나와 피부와 건강에 좋다.
본초강목에서는 흙을 61종으로 나누어 그 각각의 약성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약성이 강한 흙은 황토라고 하며 황토를 독성이 있는 약재들과 섞으면 독성이 중화되며, 독성이 있는 약재들에서는 황토의 성분이 그 약재의 성분을 높여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산해경에서도 흙에 대해 나와 있는데 소나 말의 질병치료나 종기를 낫게 하는 황토(黃土) 요법이 사용되었으며 황토를 생과 사의 매개물로 다루어 황토(黃土) 수(지장(地漿) 수)를 죽지 않는 물로 비유하고 있다. 지장(地漿) 수는 황토(黃土) 속을 3자가량 파고 그 속에서 나오는 물을 휘저었다가 가라앉힌 맑은 물로 한방에서는 유명한 해독제(解毒劑)로 사용했다.
옛 왕가에서는 비밀리에 황실 양명 술이 전해지고 있는데 뒷날 세상 사람들을 구하는데 황토(黃土)가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또한, 왕과 왕자들이 피로할 때 쉴 수 있도록 3평 정도의 방을 만들 피로회복 실로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한다.
흙에 비친 선조님들의 지혜는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황토(黃土) 방과 약탕기를 들 수 있다. 황토(黃土) 방에서 잠을 자고 황토(黃土) 부엌에서 끼니를 장만하고 황토(黃土) 마당을 가로질러 곡식을 갈무리하는 황토(黃土) 밭으로 이어지는 흙과의 삶이 선조님들의 지혜로운 삶이었다. 흙으로 만든 약탕기의 경우 열 침투력이 어떠한 타용기보다 약 8배 이상 깊숙이 침투되어 약효 추출이 뛰어남으로 아직도 널리 애용되고 있는 것이다.
흙을 이용한 민간요법으로는 배가 아플 때 황토(黃土)로 빚은 기와를 불에 달구어 배 위에 올려놓기도 하고, 감기약으로 배의 속을 파내고 꿀과 생강을 넣어 껍질에 참 종이를 싸서 흙으로 발라 화덕에 굽어 그 즙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시골에서는 상처가 나면 흙가루를 상처에 발라 약으로 대신하였으며, 가축이 병들면 약으로 황토(黃土)를 먹였다.
예로부터 황토(黃土)는 우리 조상님들의 생활과 뗄 수 없는 존재였기 때문에 황토를 활용한 치료법들이 고서적들에 남아 있고 민간에도 황토(黃土) 요법들이 많이 전해오는데 선조님들의 지혜를 통하여 황토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알아보자.
팔만대장경 고려 때 조판 된 팔만대장경이 그 정확성과 정교함을 보존하고 있는 것은 바닷물에 적셔 말린 산 벚나무를 재료를 하였다는 점과 보관 장소인 장경각 내부가 황토(黃土)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며 황토(黃土)의 기운을 충분히 받은 팔만대장경은 습도조절과 완벽한 통풍조절로 변질 되지 않고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다.
220년 동안 보관되어온 규장각 조선후기 정조가 창경궁에 설치한 규장각은 역대 국왕들의 정치기구이자 어제와 도서를 보관, 관리하는 기구이며 1776년에 설치되어 현재 서울대학교에 보관된 규장각의 도서가 지금까지도 연구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도 황토(黃土)의 기운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룡 간의 효능 중국과 우리나라의 종합의학사전 본초강목, 한약집성 방에는 복룡 간의 효험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복룡 간은 아궁이 속의 흙을 말하며 이는 부인의 어지러움이나 토혈 및 중풍 치료제로 쓰였다. 아궁이에서 주방 일을 하던 옛날 여인들에게 암이나 기타 질병이 없었던 것도 복룡 간의 효험 때문으로 보고 있다.
임금님의 병을 치료하는 황토(黃土)방 왕실의 양명 술에는 뒷날 세상 사람들을 구하는데 황토가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특히 온천을 개발하여 눈병을 치료했던 세종, 세조 임금은 황토(黃土)를 민간에 알리게 했으며 왕과 왕자들이 피로할 때 쉴 수 있도록 3평 정도의 황토(黃土)를 궁내에 만들어 피로회복 실로 사용했다고 하고 좋은 황토(黃土)와 산수가 좋은 속리산에 왕들이 비접한 것은 황토(黃土)와 깊은 관계가 있다.
원기를 북돋게 하는 황토방 고려시대 나이 많은 재상이나 병자의 치료 방으로 쓰기 시작한 황토(黃土)방은 아예 임금을 위한 황토방을 따로 만들어 많은 궁녀를 거느리는데 기를 북돋게 하였고 광해군은 황토방에서 지병인 종기를 치료하였고 강화도령 철종은 상사병을 치유(심신을 안정하게 하는 물질) 하였고 세종대왕도 몸이 불편할 때 황토(黃土)방을 이용하였다.
지금도 창경궁(서울 안국동)에서 임금님이 거처하시던 황토(黃土) 온돌방을 공개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많은 궁녀를 거느릴 수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황토(黃土)를 이용한 민간요법으로 5가지로 구분하여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고 황토를 이용하는 지혜는 생활문화 속에 넓고 깊게 자리 잡아 우리의 독립된 문화를 창조했다.
1. 황토(黃土) 집, 황토방. 황토 집은 시멘트 집과는 달리 습도 조절과 통기성이 좋고 열전도율도 높아 건강에 좋으며 삶의 질을 한 차원 높이는 집이다. 건축공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황토 흙으로 벽돌을 만들어 쌓는 경우와 둘째 중앙에 졸 대 등을 세운 뒤 양쪽에 황토를 붙이거나 셋째 벽체의 거푸집을 만들고 그 속에 황토 반죽을 쏟는 방식이다.
2. 황토(黃土) 목욕ㆍ찜질. 황토목욕이나 황토 찜질은 체내의 노폐물을 없애고 독소를 중화시키며 오장을 튼튼하게 하고 신경통에 효능이 좋다. 습진이나 무좀, 요통,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 황토 목욕 법은 황토요법 중 제일 꼽으며 일종의 몸 대청소로서 여름에 하면 좋다. 먼저, 황토를 부대에 담아 45℃의 물에 두어 번 휘저어 푼 다음 5분 동안 몸을 담그면 된다. 이때 나오면 1시간이 지나도 땀이 계속 나오는데 이것은 황토의 기가 몸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3. 황토(黃土) 구이. 음식을 황토에 싸서 구워 먹는 것을 황토구이라고 하는데 감자나 고구마, 닭이나 오리를 진흙에 발라 구워 먹었던 방식으로 기름기가 빠져나와 그냥 구워 먹는 것보다 맛도 담백하고 건강에도 좋다.
4. 황토(黃土) 지장 수. 지장 수는 황토를 거른 물로 맑은 물이 담긴 항아리에 황토를 넣은 베 보자기를 넣어두고 5시간 정도 지나면 가라앉은 흙 위로 떠오르는 엷은 노란색 물이다. 눈에 눈곱이 끼거나 가벼운 안질에 이 물로 눈을 씻으면 효험이 있으며 피부에도 좋아 이 물로 세안을 하면 피부가 고와진다.
5. 황토(黃土) 마사지. 여성들의 미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황토마사지는 작은 가제주머니에 죽염이나 볶은 소금, 레몬즙, 황토를 섞어 반죽한 것을 집어넣어 반죽은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한다. 작용이 있는데 음이온은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나무가 많은 숲이나 바닷가에 가면 기분이 평온해 지는데 이것은 음이온의 효과입니다.
황토(黃土)의 대표적인 효능. 독을 풀고 혈액순환, 피로회복, 노화예방의 효능. 해독작용과 신진대사, 불면증, 피로회복, 무더위의 구토와 설사, 타박상, 옹저(癰疽)독, 이질, 버섯중독, 물고기중독, 육 고기 중독, 약초 및 채소중독, 노화예방에 탁월하다.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서는 황토(黃土)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호 황토 즉 좋은 황토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설사와 적 백 이질, 열독으로 뱃속이 비트는 것 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모든 약에 중독된 것, 고기에 중독된 것, 입이 벌어지지 않은 조피(川椒) 열매에 중독된 것, 버섯에 중독된 것을 푼다. 소와 말의 고기나 간을 먹고 중독된 것을 푼다. 땅 위에서 밑으로 3자 깊이까지의 흙은 다 거름이라고 하고 3자 깊이 아래에 있는 것을 흙이라고 한다.
위에 있는 나쁜 것을 버리고 다른 물이 스며들지 않은 흙을 참 흙이라고 한다. 땅은 만물의 독을 빨아들인다. 그러므로 옹 저(癰疽 종기), 발 배(發背), 갑자기 생긴 병, 급 황(急黃)과 열이 성한 것을 치료한다.
또한, 황토(黃土) 흙을 휘저어서 가라앉힌 물을 지장 수(地漿 水)라고 하는데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누런 흙물을 말한다. 성질은 차고 독은 없다. 중독되어 안타깝게 답답한 것[煩悶]을 푼다. 또한, 여러 가지 중독도 푼다. 산에는 독버섯이 있는데 이것을 모르고 삶아 먹으면 반드시 생명이 위험하다. 또한, 신나무버섯(楓樹菌)을 먹으면 계속 웃다가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오직 이 물을 마셔야 낫지 다른 약으로는 살릴 수 없다. 누런 흙이 있는 땅[黃土 地]에 구덩이를 파고 그 속에 물을 붓고 흐리게 휘저은 다음 조금 있다가 윗물을 떠서 마신다.
북한에서 펴낸 책에 황토에 관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황토(黃土)는 땅 위에서 1미터 밑에 있는 깨끗한 진흙이다. 대체로 잿빛 누른 색을 띤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중초((中焦 위 속)를 중화시키고 해독한다. 옛날에는 더위를 먹어 토하고 설사하는데, 적 백 이질, 부스럼, 약물중독, 고기 및 버섯 중독 등에 썼다. 지금은 황토를 약으로 잘 쓰지 않는다.
※황토(黃土)와 효모(酵母)
우리나라 황토는 오래전부터 서 황토(西 黃土)를 좋은 약용으로 평가하고 있고※, 황토는 수만 년 전에 중국에서 황사로 우리나라에 쌓일 때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포지가 구분되고 산맥의 높이에 따라 성분이 다르게 구성되어 서쪽바람으로 이동한 황※토는 서쪽을 향하는 산에 많이 쌓이고 해질 때 가지 많은 햇빛을 받아 미생물의 발육이 왕성하고 원적외선을 많이 받아 좋은 성질의 황토를 가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남 황토와 북 황토는 약효가 작다 하여 피하고 있고, 토함산 부는 황토 황토(黃土) 백 년, 지리산 흙 천년 황토(黃土), 경남 양상 2천 년 황토(黃土), 약효로는 2천 년 황토(黃土)를 사용하고 황토(黃土)가 오래된 황토(黃土)일수록 원적외선 함량이 많아 좋은 것으로 분류하고, 원적외선은 태양광선이 내뿜는 적외선에 속하는 광선이다. 원적외선은 98%가 지층(黃土) 속에 저장되고 2%는 식물의 탄소 동화작용에 활용된다.
흙은 성분과 색깔에 따라 적토, 황토, 흙, 백토 등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황토(黃土)가 인체의 생리작용과 가장 잘 맞는다 하고, 황토에는 카탈라아제, 프로테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아제 등 인체에 유익한 효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카탈라아제는 흙이 갖고 있는 효소 중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면서 노화 현상을 불러오는 과산화지질이라는 체내 독소를 중화 내지 희석시킴으로써 노화를 억제하고 젊음을 유지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황토(黃土)가 오랜 시간 지구에 존재하면서 지구의 환경과 직간접으로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연 속에 있는 효모(미생물)를 함유하여 서로 공존(共存)하여 지속하고 있다. 토양의 토착 균 효모(酵母)로는 과일의 효모가 토양에 들어가 휴면(休眠)하는 것을 1881년 한센이 주장 발표하였고, 이 효모(酵母)는 부식 질이 많은 토양(黃土)에서 서식하면서 공존하도록 배려되어 휴면하다가 조건이 변화하면 번식한다.
2. 대추(紅棗 jujube, Chinese date.)와 대추(紅棗) 잎(Leaf)
대추나무는 식물분류학적으로 갈매 나무 과 대추나무속에 속하는 교목 성 과수로서 중국계 대추(학명 Zizyphus jujuba Miller, 영명 Chinese jujube)와 인도계 대추(학명 Zizyphus mauritiana L A M., 영명 Indian jujube) 등이 있고.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리고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 내지 2.5㎝에 달하며 빨갛게 익히면 단맛이 있다. 또한,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말려 건과(乾果)로서 과자, 요리 및 약용으로 쓰인다.
대추(紅棗)나무의 열매. 그 색이 붉다 하여 홍조(紅棗)라고도 하는데 홍조는 태양에서 건조한 것이라야 양질의 대추가 된다. 과육에는 주로 당분이 있으며 점액질, 능금 산, 주석산 등도 들어 있다. 씨에는 베툴린, 베투릭 산, 지방 등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는 이뇨 강장, 건 위 진정, 건 위 자양의 약재로 널리 쓰인다. 주산지는 충청북도의 보은이다.
대추(紅棗) 재배사는 중국의 경우 4000여 년 혹은 기원전 10세기 등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단연 가장 오래된 과수로 인정되며 우리나라의 전래에 관한 사실도 확증할 수 없으나 고대 낙랑에 관한 기록에 낙랑에 대추와 밤이 많이 생산된다고 하였고 삼국지 부여 조에서도 5과(李 杏 棗 桃 栗)가 생산된다고 하였으며 서기 530년에서 550년경에 저술된 제민요술(齊民要術)에서도 전쟁 비상식량으로 대추 초와 대추 포에 관한 기록이 있어서 역사가 매우 오래됐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식품으로 이용되었던 시기는 고려시대라고 보는 견해가 많으며 또한 대추의 종류에 관한 기록은 농서 등에 대부분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일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실의 일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대추 주산지는 고려시대까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조선 초기에는 충청도의 보은 충주 청풍 단양 음성 영춘 목천 온양과 전라도의 광산 창평 및 경상도의 경산 하양 개령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추(紅棗)의 대표적 성분은 서당, 점액질(粘液質), 사과산, 포도 산 등이고 지지핀산(Zizyphic acid), 지방유, 정유 등의 기름 성분도 들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대추(紅棗)는 여성들한테 흔한 정신적, 심리적 갈등으로 인한 히스테리 증세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크다. 또 속이 답답하고 잠이 잘 오지 않는 불면증에 대추와 파를 함께 쓰기도 한다.
대추(紅棗)는 특히 비위 기능이 약하고 몸이 차며 신경쇠약 등이 걸리기 쉬운 소음 체질에 좋은 약이다. 북한에서는 대추(紅棗)나무 잎(葉) 달인 물을 고혈압 치료에 써서 거의 90% 치료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한다.
흔히 야무지고 빈틈없는 사람을 일러 대추(紅棗)씨 같다는 말을 한다. 대추씨는 최면, 신경 안정, 강장 효과가 있는 외에 불면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더 강하므로 대추(紅棗)씨를 약으로 많이 쓴다.
마른 대추(紅棗)의 영양 대추 100g 당 에너지 281 ㎉, 수분 23.2%, 단백질 2.6g, 지질 2.1g, 탄수화물의 당질 70.7g 섬유소 2.9g, 회분 1.4g, 무기질의 칼슘 51㎎, 인 67㎎, 철 3.3㎎, 나트륨 8㎎, 비타민A 14 I.U, B₁0.21㎎, B₂0.36㎎, 니아신 0.5㎎, C 6.0㎎, 베타카로틴, 비타민 B복합체, 사과산, 주석산, 지지핀산, 정유 등이 있고, 생대추에는 비타민C가 60㎎%이상이나 들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른 대추(紅棗)의 주성분은 60%의 당질로서 과당이 주로 포함되어 있고 대추씨에는 5%의 단백질과 8%의 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대추 과실 가운데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당질로 생과는 과중의 24 내지 31% 건과는 58 내지 65% 정도가 단당류와 다당류로 되어 있어서 일반 과실 종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
마른 대추(紅棗)의 수용성 추출액 가운데 당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본산과 중국산 대추가 주로 과당 포도당 올리고당으로 조성되어 83.4 내지 76.4%를 차지하고 있다. 아라비난 (arabinan)과 갈락트로난(galactronan)은 각각 소량씩 함유되어 있고 설탕은 중국에서만 8% 정도 들어 있는데 일본산 대추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약리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하는 배당체(配糖體)의 구성성분이면서 대추(紅棗)에만 함유되어 있는 대추 당(zizyphoside)이 상당량 들어 있다.
대추(紅棗)에는 아미노산은 라이신(Lysine) 아스파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아스파라진(Asparagine) 글루타민산(Glutamicacid)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로이신(Leucine) 프롤린(Prol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대추(紅棗)의 신맛은 주로 사과산(Malic acid)이며 소량의 타닌을 함유하고 있다. 대추는 비타민도 비교적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건조 대추(紅棗) 100g중 비타민A 69 I.U, 비타민B1 0.23㎎ 비타민B2 0.57㎎ 비타민C 188 내지 544㎎ 비타민P 354 내지 888㎎ 정도이다.
그 밖에도 비타민B6 비타민K등도 풍부하게 함유(含有)되어 있다. 특히 비타민P 가운데는 루틴(Rutin)과 플라본(Flavone) 및 플라본 글리코사이드(Flavone Glycoside)가 들어 있어서 약리효과가 높고, 사포닌(Saponin)도 대추(紅棗)의 주요 성분으로서 과실, 종자, 잎, 줄기, 뿌리 등 대추(紅棗) 전체에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도 과실에는 에피카테친(Epicatechin) 로코시아니딘(Leucocyanidin) 트리메칠로레진산(Trimethylolag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의 쿠마로이레이트(Comaroylate)의 일종인 베튜로닌산(Betulonic acid) 오레아노린산(Oleanolic acid) 마스린산(Maslinic acid) 쿠마로일마스린산(Comaroyl Maslinic acid) 알피토린산(Alphitolic acid) 하이드록시우르소린산(Hydroxyursonic acid) 등이 있다.
대추(紅棗)는 열매뿐만이 아니라 대추(紅棗) 잎과 뿌리 등의 모든 부위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영양성분 및 약리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잎에는 여러 가지 약리(藥理)성분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즉 사포닌, 쿠마린, 플라본, 글리코사이드, 무실리지(Mucilage), 비타민C, 루틴 1.6% 들어 있고, 또한 알칼로이드로서 코크라유린, 이소보르딘, 노리소보르딘, 아시밀로빈, 유지핀, 유지린, 아비세닌 등을 함유하고 있는 귀중한 자원이지만 지금까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대추(紅棗)의 성분 대추의 약효 한약 재료로도 많이 쓰이며 약을 달일 때 대추 몇 알씩을 넣으라는 처방은 흔히 우리가 받아온 처방으로 자양강장의 효능이 있어 복용범위가 극히 넓고, 효과가 크다고 한다.
한방적 효능으로 비(脾), 위(胃), 심(心), 폐(肺)를 보하고 진액(津液)을 불려주며 완화작용을 한다. 생강과 함께 쓰며 영위(營衛)를 조화시킨다. 약리실험에서 강장 작용, 간 보호 작용이 밝혀졌다. 비 허 설사(脾虛泄瀉), 이질, 영위 불화營爲 不和), 복통,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림, 장조증(臟燥證), 마른기침, 입안이 마르는 데 등에 쓴다. 하루 6 내지 12g를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지어서 먹는다.
약성은 온난해서 독성이 없으며 질병이 있으면 이를 치료하고 건강한 경우에는 신체를 자양해서 식욕증진 안면촉진 약성 조화의 효능을 발휘하며 약 맛도 좋다. 대추(紅棗)에는 위의 허한 증을 치료한다.
그리고 대추(紅棗)에는 지사효과와 구토가 심할 때에는 구토를 멎게 하는 효과도 있다. 다른 약재의 열성과 독성을 완화하는 성질이 있어 많은 곳에 같이 넣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추에는 중기를 보하고 진액을 생성시켜 위장의 기능을 돕는 작용이 있다. 또 양 혈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각종 약 독을 해독시키는 효능도 크다.
대추(紅棗)를 오랫동안 복용하면 체력을 증강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장수를 누리게 한다. 현대 약리학 연구에서도 대추는 강장 작용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단백질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성분이 있어 간장을 보호하면서 근육에 힘을 증강하는 것으로 밝혀졌던 것이다.
또한, 진정과 최면,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고 혈압을 내리게 하며 기침을 진정시키는 등의 약리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추(紅棗)는 빈혈이나 고지혈증, 권태와 무력 등 여러 가지의 질병 치료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특히 대추(紅棗)에는 대량의 무기질이 함유돼 있어 늘 복용하면 피부를 매끈하고 깨끗하게 하며 혈색이 건강하고 얼굴을 아름답게 하는 효능이 있다. 대추(紅棗)에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많이 함유하고 있고, 14가지로 아미노산과 6가지의 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다 여러 가지의 영양성분과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C, 비타민P등이 다양하게 함유돼 있다. 칼슘, 인, 철분, 마그네슘, 칼륨 등 36가지의 무기질이 함유돼 있고 유기산이나 사과산 등 많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아연의 함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마른 대추(紅棗)에는 비타민C가 생대추에 비하여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추(紅棗)를 보고 안 먹으면 늙는다는 말이 있는데 그럴만한 근거가 확실히 있다. 대추는 수천 년 동안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식품으로 알려져 왔다. 그것을 뒷받침하는 사실들이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본초경소론 등에 다음과 같이 소개되고 있다.
대추(紅棗)는 위장을 튼튼히 하는 힘이 있어 상식(常食)함이 좋고 경맥을 도와서 그 부족을 보한다. 속을 편안하게 하며 비장을 보하고 진액과 기운 부족을 낫게 하며 온갖 약의 성질을 조화 한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면서 늙지 않게 된다. 이러한 여러 문헌에 소개된 대추의 효능은 과학적으로 충분히 입증되고 있다.
대추(紅棗)의 성분을 보면 여러 영양소를 골고루 가지고 있고 열량도 높아 자양강장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약물의 작용을 완화하는 독성과 자극성을 덜어 주고 약을 먹기 좋게 하는 향미의 특성이 있다. 대부분의 한약에 대추와 생강을 넣어서 달여먹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그래서 대추는 완화 강장제로 이용되어 왔다.
대추(紅棗)를 이용한 전통 식품으로는 인삼, 대추 차, 대추미음, 대추인절미, 대추 전 병, 대추주악, 약식, 폐백용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대추가 가지고 있는 비타민류나 식이성 섬유,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등은 노화 방지와 항암 효과도 있다.
대추(紅棗)를 부부 화합의 묘약이라고 하는데 대추(紅棗)를 달인 차에 꿀을 섞어 매일 마시면 강장. 강정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대추는 많이 먹어도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입에 맞도록 적당히 달여서 마시면 된다. 특히 여성이 신경이 날카롭고 히스테리가 있을 때에 대추 10개, 감초 3g, 밀 10g를 같이 섞어 물을 넣고 달여서 마시면 신경질이 없어지고 천하태평의 성질을 가진다는 한방의 처방도 있다.
약리작용에서 실험동물(mouse)에게 대추의 전제(煎劑)를 3주간 계속 위에 주입하면 체중이 대조군(群)보다 뚜렷하게 증가 되었고, 유영시험에서도 수영시간이 대조 그룹보다 뚜렷하게 길었다. 이것은 대추(紅棗)가 근력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사염화탄소로 간을 손상시킨 시험동물(Rabbit)에게 대추의 전제(煎劑)를 1주일간 계속 투여하면 혈청의 총 Protein과 알부민이 대조군(群)에 비하여 뚜렷이 증가 되었다. 이상의 실험에서 대추(紅棗)에는 간장보호, 근력강화, 체중을 증가하는 효능이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신경안정의 효과 대추(紅棗)의 단맛은 신경안정 효과가 있다. 밤에 잠을 잘못 자거나 꿈을 많이 꾸는 사람, 신경질이 심한 사람에게 좋다. 신경이 예민한 수험생이 대추(紅棗) 탕을 꾸준히 마시면 긴장이 풀리고 머리가 맑아져 기억력이 좋아진다.
감기 예방에는 대추(紅棗)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성질이 있으며, 내장을 튼튼하게 보호한다. 몸이 차서 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은 꿀을 탄 대추(紅棗) 탕을 자주 먹으면 몸이 따뜻해지고 감기에 잘 걸리지 않는다. 간 기능 보호 내장을 편안하게 하며 간 기능을 활성화하고 담즙 분비를 촉진하고 해독 성분이 있어 술과 담배로 나빠진 간을 치료한다.
성인병(成人病)과 노화(老化) 예방, 대추(紅棗)의 사포닌은 콜레스테롤을 녹이는 작용을 한다. 특히 비타민C와 비타민P가 함께 들어 있어 피를 맑게 해주고 산성화를 막는다. 비타민C와 비타민P는 콜라겐의 합성(合成)과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활발하게 해주는데, 콜라겐은 세포의 젊음을 유지시켜주는 작용을 하며 기쁘거나 흥분할 때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은 교감신경을 자극해 노화(老化)를 막는다. 특히 비타민P는 비타민C의 작용을 도와 혈관을 튼튼하게 해 동맥경화와 뇌출혈 같은 혈류질환을 예방한다.
대추(紅棗)에 대한 결론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대추는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속을 편안하게 하고 오장을 보호한다. 오래 먹으면 안색이 좋아지고 몸이 가벼워지면서 늙지 않게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대추는 오래전부터 노화를 막는 음식으로 여겨져 노인들에게 특히 권해왔다.
대추(紅棗)에는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와 사포닌, 포도당, 과당, 다당, 유기산, 칼슘, 인 등 36종의 다양한 무기원소가 들어 있다. 특히 비타민C와 비타민P가 풍부한데 비타민P는 비타민C의 작용을 도와 노화를 막고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줘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
또한, 내장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기운이 있어,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이나 갱년기 장애로 정력이 감퇴 되는 사람이 대추(紅棗) 탕을 꾸준히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비장과 위장이 허약해 식욕부진, 소화불량, 설사 같은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으며, 간질환이나 복통 등 내장 관련 질병에도 좋다. 신경안정 효과가 있어 히스테리나 불면증, 스트레스를 없애준다.
예로부터 대추(紅棗)는 쇠약한 내장의 기능을 골고루 회복시키고 전신을 튼튼하게 해주는 것은 물론 신경을 안정시키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대추의 단맛은 긴장을 풀어주는 신경안정작용이 있기 때문에 밤에 잠을 못 자고 꿈을 많이 꾸는 사람이나 히스테리증상으로 화를 잘 내고 짜증을 자주 부리는 사람에게 좋다.
특히 신경이 예민한 연구원이나 수험생에게 대추(紅棗) 탕을 꾸준히 마시게 하면 정신피로를 쉽게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를 맑게 해주고 기억력을 증진시켜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한방에서는 자양, 강장, 진해,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기력부족, 전신통증, 불면증, 근육 경련, 약물중독 등에 쓴다.
또한, 대(紅棗)추에는 당질과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수시복용하면 피로회복이나 야맹증, 설사방지에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紅棗)를 보고도 먹지 않으면 늙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추는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관법 생대추(紅棗)의 저장조건으로는 온도가 3 내지 4℃가 바람직하고 습도는 85 내지 90%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마른 대추 저장은 단기 저장용(대추 중량의 40 내지 50%)이나 장기 저장용(중량의 35 내지 40%)으로 건조하여 비닐 포장을 완전히 밀폐시켜 5℃ 이하의 건 냉한 곳에 저장해 둔다.
대추(紅棗)의 자료를 요약하면, 대추(紅棗)는 갈매나뭇과(Rhamnaceae)의 낙엽, 활엽, 향 목의 열매로서 원산지는 북아프리카와 서유럽이며, 주산지는 중국이다. 대추는 껍질이 적색을 띠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길·흉사, 예식에 올려졌으며 생식 및 요리를 통해 식용되고 있다.
생 대추(紅棗)는 저장성이 낮기 때문에 주로 건조하여 사용한다. 열매가 많이 열리는 대추는 풍요와 다산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어, 특히 다 남(多 男)을 기원하는 상징물로서 폐백에 쓰인다.
대추(紅棗)는 100g당 94㎉, 말린 것 289㎉의 높은 열량의 알칼리 식품이다.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와 사포닌, 포도당, 과당, 다당, 유기산, 칼슘, 인 등 36종의 다양한 무기원소가 들어 있다. 특히 비타민C와 P가 풍부한데 비타민P는 비타민C의 작용을 도와 노화를 막고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줘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
대추(紅棗) 나무의 줄기에 가시가 있으나 오래되면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밑이 약간 넓은 난형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보인다. 잎 윗면은 연한 초록 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이 있고. 여름에 더위를 먹어 밥을 먹지 못할 때 대추(紅棗)잎을 찧어 즙을 내 물에 타서 마시면 효과가 있으며, 혈압강하제 역할을 하여 고혈압을 예방할 수도 있다고 한다.
대추(紅棗) 잎(Leaf)의 성분은 대추(紅棗) 잎에는 여러 가지 약리(藥理)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즉 사포닌, 쿠마린, 플라본, 글리코사이드, 무실리지(Mucilage), 비타민C, 루틴이 들어 있고, 또한 알칼로이드로서 코크라유린, 이소보르딘, 노리소보르딘, 아시밀로빈, 유지핀, 유지린, 아비세닌 등이 있고, 선조님들은 감나무 잎과 같이 귀한 탕제(湯劑)로 이용했다.
고혈압에는 대추(紅棗) 잎은 100g에 물 한사발을 넣고 진하게 다려 하루 3번씩 식전에 복용하고 고혈압에 마른 대추잎을 가루로 갈아 1 내지 2g씩 소주잔에 물을 타서 먹거나 가루로 먹는다.
대추(紅棗)나무 잎에는 혈압을 낮추는 루틴이 1.6% 정도 들어 있고, 그밖에 몇 가지 사포닌과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비타민T, 비타민B6, 비타민K등이 많이 들어 있다.
대추는 여성들에게 흔한 정신적, 심리적 갈등으로 인한 히스테리 증세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크다. 또 속이 답답하고 잠이 잘 오지 않는 불면증에 대추와 파를 함께 넣어 쓰기도 한다. 특히 비위 기능이 약하고 몸이 차며, 신경쇠약 등이 걸리기 쉬운 소음체질에 좋으므로 장기간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를 할 수 있다.
최근 일본에서 대추(紅棗)에 제2 정보전달 물질인 C A M P 라는 물질이 다른 어떤 식물보다 많이 들어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C A M P는 인체 내의 면역력을 크게 늘려주는 물질로, 종양세포에 C A M P를 투여하면 정상세포로 회복될 수 있다고 한다.
항암 본초에는 대추(紅棗) 30g과 짚신나물 40g을 진하게 달여 하루 여섯 번에 나누어 복용한 뒤, 위암을 치료하는데 상당한 효과를 보았다고 적혀 있다. 또한, 항문 암과 폐암으로 피를 토하는데 대추와 반 묘 등을 쓴다고 했다.
3. 스테비아(stevia).
쌍떡잎식물(雙子葉植物) 초롱꽃 목 국화(菊花)과의 여러해살이 풀(허브) 학명 Stevia Rebaudiana, 분류 국화과. 원산지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국경 산간지, 자생지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 크기 높이 70 내지 100㎝. 스테비아의 잎에는 단맛 물질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함유하는 21세기의 천연 감미료로 세계가 주목하고 추출 발효물질로 미생물을 번식 토양정화에 이용하고자 국내 외 학자 및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의 성분은 설탕의 약 200 내지 300배의 단맛이 있고, 칼로리도 설탕의 90분의 1로 낮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천연감미료로 강력한 항산화작용(녹차의 5 내지 7배)으로 악성 활성산소로 인한 현대인의 성인병(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비만 등)을 억제한다.
스테비아 형태 및 성상,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에서 자란다. 뿌리는 원뿌리의 발달이 분명하지 않고 많은 곁뿌리와 막 뿌리가 있다. 생육 후기에는 굵은 뿌리가 발달해서 저장 기능이 생긴다. 뿌리 가까이 있는 숨은 눈에서 새 가지가 자라 해마다 새로운 줄기를 이룬다. 줄기는 곧게 서며 월동 중 줄기의 기능이 없어진다.
줄기 마디에 잎이 달리며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돋는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길이 4 내지 10㎝, 나비 약 2.5㎝이다. 가는 톱니와 굴곡이 있고 잎맥은 3개이다. 잎자루는 없으며 포기 전체에 잔털이 난다.
꽃은 1송이에 5 내지 6개의 관상화가 모여서 피며, 자가 불화합성의 성질이 있다. 단일 식물이므로 단일 조건에서 꽃이 빨리 핀다. 종자는 결실률이 낮고 매우 작다. 종자 앞 끝에 부채 살 모양의 관 모가 있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로 한다. 수확은 1년에 1 내지 2회 할 수 있으며 9월 상순과 중순이 적기이다.
현대 천연 단맛 물질 대두, 파라과이에서는 옛날부터 스테비아 잎을 감미료로 이용해 왔는데 요즘 높은 열량의 설탕을 과다하게 섭취함에 따라 비만 및 성인병이 문제가 되고, 또한 식품 및 의약품에 첨가물로 필요한 인공합성 단맛 물질이 발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에 따라 합성 감미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단맛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어 새로운 단맛 자원으로 스테비아가 대두하게 되었다.
최근 합성감미료인 사카린의 유해성이 문제가 되자 다시 시선을 끌게 되었다. 감미료로 가치가 인정되어 차, 청량음료, 껌, 간장 등 다양한 감미료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는 1973년에 일본으로부터 처음 들여왔으며 1976년에 100 내지 300M/T를 일본에 건조 잎으로 수출하였다.
작물 시험장에서 설탕 대체용 개발을 위하여 시험 재배를 해 한국에서 육성한 품종으로는 수원 2호(단맛 성분 12.2%)와 수원 11호(23%)가 있다.
친환경 농업 우수성 스테비아 농자재, 스테비아로 100년 전의 토지로 돌아갈 수 있다. 농약이나 다이옥신 등에 의해 독으로 되어버린 농지에 농업 자재인 스테비아 농축액과 스테비아 분말을 사용하여 스테비아 힘으로 농약이나 다이옥신을 제대로 분해하여 원래의 자연적인 논과 밭으로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농산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농지까지 정화하는 자재는 일찍이 없었다. 농업 자재로는 스테비아 농축액과 분말 모두가 이용되어 각종 야채, 과일, 쌀 등의 재배에 당도를 높이고 수확량 증가 보존기간 향상이란 면에서 놀랄만한 효과를 올리고 있다.
스테비아 농산물의 브랜드는 시장에서도 환영받고 있으며 높은 평가로 인해 고가에 거래되며 친환경 스테비아 농법은 급속도로 확산 되고 있다. 스테비아 농산물이 전국에 재배되어 맛있는 농산물이 만들어짐에 따라 농가가 윤택해지고 농업과 식량에 혁명을 가져와 농업이 발전하고 국민 모두가 스테비아 농산물을 드시면 건강한 식생활이 되고 건강한 식생활은 건강한 체력의 밑바탕이 이루어져 사회 및 국가 의료비 절감을 가져와 모두가 덕을 보는 결과를 나타내는 농업혁명으로 농산물의 경쟁력은 상승하고 농가의 소득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결과에 대하여 연구자 관계자 국민 모두의 꿈이 있고 이 꿈이 실현되기를 국민의 한 사람으로 바랍니다.
4. 구연산(Citric acid)
구연산(枸祁酸)은 과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고 레몬이나 미성숙 매실(梅實) 감귤 종류에 많다. 1953년 영국의 한스 클렙스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젖산 축적을 막아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한다는 구연산 사이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구연산(Citric acid)은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T C A cycle)에서 젖산(乳酸)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하여 조기에 피로회복을 하고, 정신안정 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吸收率)을 높여 준다.
구연산은 세포 속에서 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신진대사를 촉진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항체(抗體) 능력이 증가 되는 알칼리성 혈액을 갖게 한다.
매실 속에 있는 구연산은 직접 에너지대사에 관여하여 피로회복이나 신체에 활력을 주게 된다. 또 구연산은 철분과 결합하여 철분이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비타민C와 함께 상승기능이 있고, 구연산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식물의 대사물질로서 감귤류에서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유기산이다.
상쾌한 신맛을 나타내는 산 미제, pH조절제, 산화 방지제, 세제, 수렴제 등으로 식품, 의약, 산업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음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1784년 레몬즙에서 최초로 결정체로 분리되었으며 그 후 글리세롤에서 합성을 하였고 현재는 전분이나 당밀, 조당 등을 곰팡이나 효모에 의하여 발효하여 만들고 있다.
구연산은 물 분자의 함유 여부에 따라 함수 구연산(Monohydrate)과 무수 구연산(Anhydrous)으로 구분되며,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칼슘, 구연산 칼륨 등의 염과 구연산 트리 에테르, 구연산 아세틸 등의 구연산 에스테르 등의 형태로도 이용된다.
구연산은 F D A에서 G R A 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규정을 한 안전한 식품 첨가물이어서 그 염 및 에스테르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미국 F D A와 F A O, W H O (식량농업기구 세계보건기구) 전문위원회에 의하여 깊이 연구되어 왔으며, 구연산은 독성이 극히 낮으며 적당한 양을 섭취할 경우 건강에 해가 없다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미국 F D A는 구연산과 구연산의 일반염류를 G R A 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F A O, W H O 전문위원회의 10차 보고서에서는 구연산과 구연산 칼슘, 구연산 칼륨, 구연산 나트륨 등은 인체에 대하여 독성이 없다고 규정지어 일일섭취량에 아무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연산 사이클
T C A는 Tri Carboxyl Acid의 약자로 구연산을 의미하며 T C A사이클을 구연산 회로 또는 발견한 생화학자의 이름을 따서 크랩스 회로라고도 한다.
T C A사이클은 피로회복과 노화방지에 관한 구연산의 의학적 연구로 1953년 영국의 HANS KLEBS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내 젖산 축척을 막아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한다는 구연산 크리브스 사이클 이론으로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구연산은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이 에너지로 변화는 과정에서 젖산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하여 조기에 피로물질을 없애고 정신안정 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을 높여 준다. 그런데 구연산 사이클이 순조롭게 들어가지 않고 불안정한 연소에 의해 혈액 속에 유산이 축적되어 세포의 노화 질병의 근원인 어깨 결림, 변비 통, 요통 등의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피로의 원인 물질인 유산이 쌓이면 혈액이 산성화되어 쉽게 피로가 온다. 구연산에는 유산을 분해하여 피로를 없애주며, 산성화된 인체를 약알칼리성으로 개선하여 성인병을 예방한다.
산소가 충분히 세포에서 공급 이용되지 못하면 흡사 공기가 부족하여 장작불이 꺼지는 것처럼, 세포의 생명력도 약해진다. 모든 성인병은 결국 세포의 생명력이 약해져 생긴다. 간세포가 약해지면 간염, 췌장 세포가 약해지면 당뇨병, 혈관 세포가 약해지면 중풍, 심장병, 고혈압 등 혈관계 질환, 조직세포의 극단적으로 약해졌을 때 암, 이와 같이 모든 만성 퇴행성 질병은 세포의 건강과 관련되어 있고, 그러므로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촉진을 위해서는 산소의 이용 상태가 매우 중요해 진다.
공기 중의 산소는 호흡을 통해 혈액에 흡수되며 혈액과 더불어 몸을 만드는 기본 단위인 세포로 운반된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려면 무엇보다 생명을 좌우하는 혈액의 질을 무시하고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맑은 혈액은 신선한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한다.
구연산은 세포 안에서 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이루어 항체능력이 향상된 약알칼리성 혈액을 갖게 한다.
혈류가 좋고 깨끗한 혈액으로 약알칼리성 체질을 유지하며 세포의 재생능력을 촉진하는 구연산의 섭취는 건강 식단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약알칼리성 혈액은 칼슘을 많이 포함한 혈액으로 혈류가 좋은 깨끗한 혈액으로 항체 체질을 갖게 하며, 산성(酸 毒化) 혈액은 칼슘이 부족한 혈액이며 혈류가 나쁘고 탁한 혈액으로 성인병 발병률이 높은 반 건강 체질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연산은 약이 아니고 식품이면서 인체에 다음과 같은 도움을 준다.
1) 구연산을 섭취하면 크리브스 사이클의 출발물질이 되어 신진대사가 원활하여 짐과 동시에 인체 피로물질을 신속히 배출하고 혈액을 맑게 하여 순환을 도우며, 음식물의 완전 소화흡수, 자연치유력에 또한 최대한 도움을 준다.
2) 유산이 체내에 축적되면 세포가 노화되어 동맥경화증, 고혈압, 간장병, 류머티스성 등과 같은 성인병 및 노화현상을 촉진한다. 그러나 구연산으로 유산을 억제하면 칼슘 이온의 작용으로 유산을 분해하므로 성인병, 노화방지에 아주 좋다.
3) 혈액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하는, 즉 혈액을 맑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자연히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므로 신체의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활동하게 한다. 인체 내 젖산 등의 피로물질을 분해하여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자연치유력을 최대한으로 해준다.
4) 만성신장병으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 부종, 고혈압, 전해질이상,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그 정도가 심해 요독증에 이를 경우 신장의 기능을 최대로 증진시켜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도와주며 면역능력을 증진시킨다.
5) 좌골신경통, 요통 등의 통증을 완화해 주는데, 이는 약알칼리로 체질개선이 되기 때문이며, 맑은 혈액으로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자연 치유력이 최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6) 숙취에 효과적이며 간 기능을 강화시킨다. 또한, 산성 혈액을 정화하여 강한 체질, 항체체질로 바꾸는 작용을 한다.
또 다른 이룬. T C A사이클. 구연산 사이클 이론은 인체 내에서 과일의 주성분인 구연산이라는 유기산에서 출발하여 여러 가지 유기산이 세포막에서 차례로 돌아가면서 생화학반응을 일으켜 우리 몸의 생존에너지 물질인 A T P 및 기타물질을 생성시킨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유기산 사이클이 순조롭게 회전되지 못하면 피로상태가 겹치고 신진대사가 원활치 못하여 동작이 우둔해지고 어깨 결림, 요통 같은 증세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예컨대 전분은 여러 가지 소화단계를 거쳐 구연산이 되는데 이때 약간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따라서 중간대사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구연산을 투입하면 소화 및 대사과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아끼게 돼 피로가 덜 생기게 되고 속도에 있어서도 구연산 복용 후 아주 이른 시간 안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누구나 구연산 함유음료를 먹으면 피로가 빨리 회복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 구연산은 일부 연구에 따르면 콜레라, 장티푸스, 인플루엔자, 파라티푸스, 발진티푸스, 이질균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인체에 필요한 대장균은 죽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병원성 식중독의 회복에 좋다. 물론 구연산의 농도가 진해야 하므로 음료수 몇 병 먹는다고 해서 산뜻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 다른 이룬. T C A사이클. 구연산은 레몬, 매실, 귤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구연산의 보고라 할 수 있다. 구연산은 위액과 파르틴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입맛을 당기게 할 뿐 아니라 식품에 붙은 세균을 살균시켜 소화불량, 위장병을 없애준다. 또한, 장내의 활동이 원활해지고 장벽을 깨끗이 청소해줌으로 변비를 없애준다.
구연산 속에는 안디오텐신이란 변환효소가 있는데, 이 효소는 혈관의 수축작용에 관계하여 혈압을 낮춰준다. 이 효소의 혈압강하 작용은 혈압을 모두 낮춰주는데 획기적이다. 계속 술을 마시게 되면 알코올성 지방의 축적량이 많아져 간이 부어오르는 지방간이 된다. 구연산은 간장에 해로운 중성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고 독소를 분해시켜 간장을 보호한다.
구연산에는 부신피질호르몬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술독과 담배로 인한 일산화탄소를 분해한다. 구연산은 정혈과 살균작용이 뛰어나므로 나쁜 피를 맑게 정화시켜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와 혈액순환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알레르기와 가려움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기미가 생기는 것은 과산화지질이 피부세포막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구연산은 과산화 지질을 억제하고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기미의 원인인 멜라닌 색소를 배출시켜 버린다. 허리나 어깨가 아픈 것은 근육에 젖산이 고여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이다. 식초, 구연산은 젖산을 분해시켜 근육을 유연하게 할 뿐 아니라 통증을 없애는 부신호르몬을 분비시켜 요통, 어깨 결림을 없앤다.
구연산은 과일의 신맛을 내는 유기산 속에 있고, 대표적인 과일은 사과, 귤, 레몬, 복숭아, 매실, 자두, 살구, 키위, 딸기, 포도, 오렌지, 구아바, 망고, 앵두, 버찌, 자몽, 파인애플, 라임 등
5. 비타민C(Ascorbic acid)
비타민C는 강력한 생물학적 환원제로 작용하고 콜라겐 형성, 도파민, 노에피네프린, 트립토판 등 신경전달물질의 합성, 카르니틴과 스테로이드 합성, 철의 흡수, 면역기능, 상처회복과 그밖에 엽산,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콜레스테롤, 포도당 대사에도 관여한다.
비타민C가 결핍되면 모세혈관이 쉽게 파열되고 피부, 점막, 내장기관, 근육에서 출혈이 생기며 체중감소, 면역기능감소, 상처회복지연, 고지혈증 빈혈 등이 나타난다.
비타민C의 급원은 채소와 과일류이며 특히 높은 식품으로는 풋고추, 고추 잎, 피만, 케일, 양배추, 시금치 등의 야채와 키위, 오렌지, 딸기, 토마토 등 과일이 있다.
우리나라 국민 1인 1일당 비타민C 섭취권장량의 155%로 평균치를 보면 충분하나 아직도 조사대상 가구의 21.5%가 권장량의 75% 미만을 섭취하는 것으로 보아 도시 저소득층과 노인의 경우 비타민C의 섭취가 불량하리라 예상된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C 권장량은 남녀 구별 없이 70㎎으로 설정되었다. 임신부에게는 15㎎을 추가로 권장하며 수유(授乳)부에게는 권장량을 90㎎으로 권장(勸)하고 있다. 영아(兒)를 위한 비타민C 권장량은 35㎎, 1 내지 9세는 40㎎, 10 내지 15세는 50㎎, 16 내지 19세 이상 활동하는 성인은 70㎎으로 설정하였다.
비타민(Vitamin)C의 구체적인 기능으로 비타민은 우리 체내에서 생리적 대사기능의 조절로서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체내에서 물질대사를 위한 촉매 작용을 하며 분해나 합성의 화학반응을 원활하게 하도록 촉진하여 생리기능의 조절을 한다.
이렇게 중요하고 꼭 필요한 것이지만 체내에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식물에서 섭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유기화합물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신체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기 위한 에너지원으로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의 영양소가 있다.
이것들은 인간의 신체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인데 이들 영양소의 생체 내에서의 대사를 촉진하고 영양원으로서의 역할을 보조하는 일은 비타민이 담당하고 있다. 비타민의 활동이 있어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3대 영양소가 순조롭게 생체 내에서 작용하며 뼈와 피 그리고 근육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비타민은 이와 같이 미량이기는 하지만 생체 내에서의 화학반응을 원활히 하는 윤활유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윤활유가 감소하거나 없어지거나 하면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한다.
비타민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며 생명도 좌우하는 필수영양소라는 것은 많은 연구에 의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그리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해명됨에 따라 생체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생명현상으로 연결 지어지는 것으로 되고 있다.
폴란드의 훔크라는 과학자에 의해 1912년 비타민이라고 명명한 후 현재 약 20종류의 비타민이 발견되었다. 비타민(Vitamin)을 나타내는 단위로는 ㎎과 I.U(국제단위, International Unit)로 나타낸다.
비타민(Vitamin)은 생명(生命)을 뜻하는 비타(Vita)와 유기 영양 물질인 아미네(Amine)라는 두 단어에서 유래했다. 이름에서부터 생기가 넘치는 비타민은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동시에 피부에도 없어서는 안 되는 최고의 유기화합물이다.
최근 노화를 막고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서 비타민C를 복용하고 바르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이는 비타민C가 노화의 주범인 유해산소를 없애서 인체의 노화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비타민C의 대표적인 기능은 피부를 하얗게 하는 미백 효과이다. 또한, 멜라닌 색소의 과도한 생성을 막아서 기미나 주근깨의 생성을 완화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도 탁월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을 만들어 주름을 없애 피부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C는 먹는 것보다 바르는 것이 20배나 더 많이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다는 것이 미국 위스콘신대학 예방의학 교실의 연구 결과로 밝혀졌다.
그래서인지 누구나 한번쯤은 오이나 키위 등을 정성스레 얼굴에 붙이고 누워있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망스럽게도 이런 노력에도 천연 팩에서 공급되는 영양소는 분자가 너무 커서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되기가 어렵다.
특히 순수한 비타민C는 공기와 열 등에 의해 쉽게 파괴되므로 천연 팩으로는 거의 흡수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충고. 하지만, 화장품으로 만들어진 비타민C는 L-Ascorbic Acid의 상태로 피부에 흡수하면 순수 비타민C로 인식이 되므로, 불안정한 비타민C를 안정적으로 피부에서 효과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비타민C는 흡수 대사는 정맥주사의 경우 30분 후에 최고의 혈중 농도에 달하며, 4 시간 후에는 소변과 호흡기를 통해 체외로 배설된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흡수하는 것이 혈중 농도의 유지를 위해 중요하다. 예를 들면, 하루에 6g의 비타민C를 복용할 경우 아침, 저녁 3g 씩 복용하는 것보다는 1.5g 씩 4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경구투여 때 입, 위, 소장 등 소화기의 점막을 통해 흡수된다. 1회 투여량이 많을수록 흡수율은 떨어진다. 예를 들면 250㎎을 투여했을 때는 80%가 흡수되지만, 2,000㎎을 투여했을 경우는 50%밖에 흡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타민C를 경구 투여할 경우 개인에 따라 흡수량이 다르다. 어떤 사람은 하루에 1,000㎎ 정도도 흡수하지 못하지만, 개인에 따라서는 하루에 30,000㎎ 이상을 흡수하는 사람도 있다. 이를 각 개인이 흡수할 수 있는 비타민C의 장 내성 한계라 한다. 비타민C의 장 내성 한계는 계속하여 복용할 경우 양이 증가 될 수 있다.
천연의 Ascorbic acid는 대부분 Indole(인돌 낮은 온도에서 녹는 무색 결정의 화합물, 향료, 시약 따위에 씀)과 결합하여 Ascorbigen(아스코르빈 결합상태)이라는 상태로 존재한다. 즉, 천연원료의 비타민C는 염의 상태로 신맛이 없다.
비타민C를 경구 투여하는 경우, 흡수를 늘리고 소화기에 대한 자극을 없도록 하기 위해 미네랄들과 에스테르(Esterify)화 하고, 에스테르화 된 비타민C는 흡수도 빠르고, 위장 관에 자극(刺戟)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궤양 때문에 자극성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도 복용이 가능하다. 칼슘과 에스테르화 되었다면 Calcium Ascorbate, 나트륨과 에스테르화 되었다면 Sodium Ascorbate, 마그네슘과 에스테르화 되었다면 Magnesium Ascorbate라 불린다.
기능적으로 비타민C는 혈관, 근육, 인대, 뼈 등의 중요한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 합성에 필수성분이다. 콜라겐이란 체내 단백질의 연결물질로서 결합조직을 뜻한다. 피부, 뼈, 인대 등 모든 조직은 결합조직이 완전해야 튼튼할 수 있다. 괴혈병은 세포와 세포 사이에 섬유아세포는 있으나, 콜라겐 섬유가 없는 상태이다.
이때 비타민C를 투여하면 몇 시간 내에 콜라겐이 생성된다. 따라서 비타민C는 치아의 구조, 뼈의 형성, 모세혈관 벽들의 정상적 유지와 관계가 깊다. 괴혈병 상태에서는 이 모든 균형이 깨어진다. 괴혈병이란 세포 간의 콜라겐 조직이 무너지면서,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출혈은 피하조직에 압력이 떨어지면서 모세혈관 벽이 약해져 파괴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비타민C가 부족하면 뼈는 부서지고, 성장이 정지되며, 정상의 조직들은 석회화된 연골이 연결조직으로 치환된다. 조혈작용의 부진으로 빈혈이 나타난다. 비타민C는 철분의 흡수에도 영향을 미친다. 치아의 상아질 부분 구조가 달라지고, 잇몸이 스펀지(sponge)화 되며 출혈을 일으킨다.
세포와 세포 사이의 결합조직을 튼튼히 해주므로 상처나 화상의 치유를 빠르게 하며, 동맥혈관 벽의 세포들을 건강하게 해주므로 심박동을 일정하게 해주고, 부서지기 쉬운 말초혈관을 튼튼히 해준다.
비타민C는 Norepinephrine(노르에피네프린 생화학물질)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도 관여한다. 신경전달물질은 감정 조절을 위한 뇌의 기능을 위한 필수성분이다. 지방을 에너지로 바꾸기 위해서, 지방은 세포조직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로 옮기어 태워져야 한다.
지방을 미토콘드리아로 옮기는 역할은 카르니틴(Carnitine)이라는 조그만 분자로 구성된 단백질이 담당한다. 비타민C는 카르니틴의 합성에도 필요한 성분이다.
최근의 연구결과는 콜레스테롤이 담즙 산으로 대사될 때도 비타민C가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대사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조절 및 담석이나 소화력에도 관계가 깊을 수 있다.
이 비타민은 항산화제이다. 비타민C의 항산화 작용이란 자신은 산화되면서 상대방을 환원시켜주는 역할이다. 즉 이미 산화된 철, 구리 같은 물질을 환원시키면서 비타민C 자신은 산화된다.
이 과정은 산화되어 못쓰게 된 것을 없애버리고, 철분이나 구리 등의 성분이 장내에서 산화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이다. 또한,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E의 재생에 관여한다.
비타민C는 살아있는 모든 식물 세포에 존재한다. 씨로부터 발아되어 성장하면서 식물체의 각 부분에 축적시킨다. 모든 동물의 조직에도 존재하나 사람과 몇 종류의 동물은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하므로 음식으로 섭취하여야 한다.
결핍증(괴혈병 Scurvy)에 관하여 1700년대 영국해군은 오렌지, 레몬 등 비타민C가 충분한 음식을 섭취하여 괴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비타민C의 분리는 1930년대 초반이 되어서야 가능해졌다.
괴혈병 증상은 쉽게 출혈하거나, 발 적, 탈모 및 치아가 쉽게 빠지며, 관절통과 부종이 나타난다. 이런 증상들은 혈관, 결합조직, 뼈 등, 콜라겐(Collagen)을 함유하는 조직들이 약해지는 현상이다.
비타민C 부족의 초기증상은 지방을 운반하여주는 카르니틴(Carnitine) 부족으로 지방을 태워주는 능력부족 때문에 에너지 생성이 저하되면서, 또는 신경전달물질인(Norepinephrine) 부족으로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괴혈병은 문명화된 나라에서는 거의 없으나, 어린 시절 지나친 편식 때문에 발병하는 경우가 있다.
질병의 예방에 관하여 건강한 사람이 괴혈병을 예방하기 위한 비타민C의 양은 많은 량이 아니다. 하지만, 비타민C에 대한 많은 정보는 만성질환의 예방에 필요한 성분으로 기초적인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에 관하여 비타민C 효능에 대한 12번의 실험결과 중, 7번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결과는 많은 양의 비타민C를 복용한 사람들은 심장병과 뇌졸중의 위험이 적었다는 것이다. 실험은 최소 3년에서부터 20년까지 진행되었으며, 대상자 수는 700명에서부터 87,000명까지였다.
100㎎/day은 90㎎/day 보다는 훨씬 많은 양이다. 그러나 이 정도의 양이라면 비타민C의 함유량이 많은 음식을 섭취할 경우 측정이 불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타민C는 대부분 1정당 1,000㎎이다. 실험결과를 이해하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한 실험 중, 6번의 실험은 혈중 비타민C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액 중 비타민C의 농도가 낮은 사람들은 심혈관계질환과 뇌졸중위험이 계속 진행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는 전원생활을 하는 2,000명의 일본인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C를 검출하였다.
혈중 비타민C의 양이 가장 높은 1/4의 사람들은 가장 낮은 1/4의 사람들에 비하여 심혈관계질환 및 뇌졸중에 대한 위험이 59%나 적었다고 한다. 또한, 일주일에 야채를 6 내지 7일 동안 계속 섭취하는 사람들은 일주일에 2일 이내로 섭취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위험성이 58%나 적었다고 한다.
암(Cancer)에 관하여 신선한 과일과 야채의 섭취는 각종 암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하고 있다. 유명한 연구기관들도 하루에 5번 신선한 야채와 과일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대조실험 연구진들도 암 예방에 비타민C의 중요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과량의 비타민C 섭취는 구강, 목, 성대, 식도, 위, 직장, 폐암의 발생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대조실험 결과는 비타민C 섭취량이 하루 86㎎까지는 영향이 없지만, 하루 섭취량이 110㎎ 정도가 되면 확실히 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였으며, 또 다른 대조실험에서는 870명을 25년 이상 관찰한 결과, 하루 비타민C 섭취량이 83㎎ 이상인 사람들은 하루에 63㎎ 이하를 섭취한 사람들보다 폐암 발병률이 64%나 적었다고 한다.
대부분의 대조실험결과는 유방암과 비타민C 섭취량과는 관계가 없었다고 보고되었는데, 최근 두 실험에서는 음식으로 섭취된 비타민C가 유방암의 억제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간호협회의 한 연구는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갱년기이전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하루에 205㎎의 비타민C를 섭취한 여성들이 하루에 70㎎을 섭취한 여성들보다 유방암 발생위험이 63%나 낮았다고 하며, 스웨덴의 한 연구는 비만인 여성들의 경우 하루에 110㎎의 비타민C를 복용한 사람들은 31㎎을 복용한 사람들보다 39% 유방암 위험을 줄일 수 있었다고 하였다.
관측할만한 연구소의 보고에 의하면 비타민C 섭취 증가는 위에서 발암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위암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비타민C는 세균(Hericobacter pylori)을 박멸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반대로 이 세균은 위암발병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위액분비를 증가시켜서 비타민C 농도를 떨어뜨린다고 하였다.
백내장(Cataracts)에 대하여 나이가 들어가면서 세포와 조직이 노화되어 기능이 떨어지듯, 눈의 수정체도 탁해지면서 백내장으로 진행된다. 심하면 실명할 수 있기에 미리 예방할 수 있다면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한다.
수정체에 비타민C의 농도가 떨어지면 백내장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한다. 몇몇 연구에 의하면, 비타민C 섭취량을 증가시켜 혈중 비타민C의 양을 증가시키면 백내장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이때 섭취된 비타민C의 양은 하루 300㎎ 이상을 몇 년간 복용하였을 때이다.
납중독(Lead Toxicity)에 관하여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유나 페인트로부터 인체 내로 납이 유입되는 일이 종종 있다. 특히 유아기나 임신부에게 납중독은 대단히 위험하다. 납중독은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학습능력의 부족, 행동의 이상, 낮은 I Q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성인에게는 신기능의 저하, 혈압상승 등의 독성이 나타난다.
연구에 의하면 747명의 노인들에게 하루 109㎎ 이하로 비타민C를 투여한 그룹의 혈중 납의 함량은 비타민C를 그 이상으로 투여한 그룹보다 높았다고 한다. 더욱 광범위하게 19,578명(그중 4,214명은 6세에서부터 16세)을 대상으로 행해진 다른 연구에서는 혈중 비타민C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혈중 납의 농도는 확실히 저하된다고 보고하였다.
질병의 치료에 관하여 비타민 용량 표시는 일일권장량(R D A: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을 많이 사용한다. 비타민의 일일권장량이란 결핍증을 막기 위한 양이다. 즉 각기병을 예방하기 위한 비타민 B-1(Thiamin)의 양이나, 괴혈병을 예방하기 위한 비타민C의 양은 일일권장량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특정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목적으로 처방할 때는 일일권장량의 몇십 배 또는 몇 백배로 사용한다.
치매(Alzheimer)에 관하여 최근 존 홉킨스 의과대학 뇌신경과 연구팀이 4,740명을 대상으로 비타민C와 비타민E를 투여하여 치매예방에 대하여 5년간 연구한 결과가 발표되었다.
연구는 비타민C 1,000㎎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비타민E 1,000I.U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 비타민C 1,000㎎과 비타민E 1,000I.U를 같이 투여한 군 등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결과는 비타민C 1,000㎎만을 투여한 군과, 비타민E 1,000I.U를 투여한 군은 모두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비타민C 1,000㎎과 비타민E 1,000I.U를 같이 투여한 군은 치매예방 효과가 78%나 되었다.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하는 초기에는 Free Radical(유리기)을 많이 생성시키면서 자신의 뇌세포를 파괴한다. 유리기는 세포의 지용성 성분에 부착하여 파괴 작용을 하거나, 세포의 수용성 성분에 부착하여 파괴 작용을 한다. 뇌세포(Neuron)는 특히 유리 기의 공격에 약하다.
비타민C는 수용성, 비타민E는 지용성 항산화제로 유리 기의 공격을 막아주며, 인체 내에서 서로 상승작용을 한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비타민C는 비타민E를 재생시키는 역할도 한다.
심혈관계질환에 대하여 혈관확장(Vasodilation) 혈관의 탄력과 확장작용은 심장질환 및 뇌졸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혈액순환부족으로 심장근육에 이상이 생기면 심장마비 증상으로, 뇌혈관에 이상이 발생하면 뇌졸중의 증상으로, 관상동맥에 이상이 발생하면 협심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비타민C의 투여는 동맥경화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협심증, 심근경색,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들의 혈관을 확장시켜주므로 도움을 준다. 혈관확장을 위한 비타민C의 일일용량은 500㎎으로 되어있다.
고혈압; 높은 혈압은 심장에 부담을 주므로 심혈관계질환으로 이어지기 쉽다. 고혈압인 사람들에게 비타민C를 4주 동안 투여한 결과 혈압이 9% 떨어졌다. 하루에 투여된 비타민C의 양은 500㎎이었으며, 특징적인 것은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모두 고혈압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감기(Common Cold)에 대하여 1970년 Linus Pauling은 과량의 비타민C 복용은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감기의 전염으로부터 보호하여준다. 라는 이론을 발표하였고, 이 이론은 대중적으로 확산했다. 어떤 연구에서는 소식(적은 양의 식사)을 하거나 마라톤을 하는 사람들에게 과량의 비타민C 복용은 감기예방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감기를 앓는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심한 고통의 증상을 피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하루 2g이상의 복용은 항알레르기 효과와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헤로인(Heroin) 금단현상의 해결에 대하여 2004년 5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제33차 국제 분자 교정학회 학술대회(Nutritional Medicine To day)에 연사로 참석한 Alexander Schauss, Ph. D.교수는 비타민C 정맥주사로 마약중독자의 금단 증세를 없앤다고 발표하였다.
식품 속에 비타민C의 함량(㎎/100g) 평균기준. 녹차 500㎎, 고추(잎) 200 내지 300㎎, 케일(kale) 186㎎, 대추&피망 100㎎, 아스파라거스 90㎎, 쑥 75㎎, 시금치 64㎎, 딸기 52㎎, 조선무 40 내지 50㎎, 쑥갓&연근 45㎎, 왜무 45㎎, 파인애플 45㎎, 냉이 36㎎, 호 배추 32㎎, 김&연시&귤&오이 30㎎, 밤&배추 28㎎, 양배추 27㎎, 마늘종 22㎎, 콩나물& 파&갓 16㎎, 숙주나물 14㎎, 복숭아&바나나 10㎎, 사과&포도 10㎎ 미만, 마늘 7㎎, 수박 5㎎다.
6. 함 초(鹹草, 鹽草)
학명 Saliconia herbacea L(퉁퉁 마디), 과명 명아주 과, 생약 함 초(鹹草), 속명 퉁퉁 마디, 심지(三枝), 염 초(鹽草), 복 초(福草), 신 초(神草), 염 니 초라고도 한다.
분포지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염전 주변, 개화기 8 내지 9월, 꽃의 색은 황록색, 결실기는 9 내지 10월, 열매 길이 2밀리미터, 지름 15밀리미터의 까맣고 둥근 열매, 높이는 10 내지 30센티미터의 한해살이풀, 채취 봄, 여름, 가을, 가공법은 날로 즙을 짜거나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낸다.
함 초(鹹 草)의 성분(단위: ㎎/100g) 칼슘(Ca) 417.84, 요오드(I) 8.12, 염소(Cl) 8.23, 마그네슘(Mg) 304, 구리(Cu) 0.55, 비타민(B1) 0.11, 칼륨(K) 940, 니켈(Ni) 0.78, 비타민(B2) 0.14, 철(Fe) 50.63, 크롬(Cr) 0.14, 비타민C 3.90, 인(Fe) 64.4, 코발트(Co) 0.12, 비타민 E 0.15, 망간(Mn) 2.7, 바나듐(V) 0.10, Niacin 0.52, 아연(Zn) 1.9, 나트륨(Na) 5.23, Folic acid 0.08. 등이다.
함 초(鹹 草)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우리말로는 퉁퉁 마디라고 부르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바닷물과 가까운 개펄이나 염전 주변에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에 마디가 많고 가지가 1 내지 2번 갈라지며 잎과 가지의 구별이 없다. 잎은 다육질로 살이 찌고 진한 녹색인데 가을철이면 빨갛게 변한다. 꽃은 8 내지 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납작하고 둥근 열매가 10월에 익는다.
함 초(鹹 草)는 그 이름대로 맛이 몹시 짜다. 함 초는 거의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로 바닷물이 함유하는 대부분의 유, 무기질의 성분이 있기 때문에 주요한 기능성 약재로 사용한다.
중국 최고의 의학책인 신농본초경에는 함 초로 일본의 대화본초 기록은 신 초(神 草) 또는 복 초(福草) 염 초(鹽 草)로 기록되어 있는 이 풀은 몸 안에 쌓인 독소와 숙변(배변, 배뇨)을 없애고, 암, 궁 근종, 축 농 고혈압, 저혈압, 요통, 당뇨병, 기관지천식, 갑상선기능저하, 갑상선 기능항진, 피부병·관절염 등 갖가지 난치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놀라운 약초이다.
함 초(鹹 草)는 육지에 자라면서도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 성분이 농축되어 들어 있다. 바닷물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요도, 인 등 수십 가지의 미량 원소와 갖가지 독소와 효소로 녹아 있는데 함 초는 인체에 유익한 미량 원소와 효소를 흡수하면서 자란다.
바닷물 1톤 속에 1그램이 들어 있는 효소는 바닷물 속의 갖가지 유기질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함 초에는 이 바닷물의 효소가 다량 농축되어 있는데 이 효소가 사람의 몸 안에 쌓인 갖가지 독소를 없애고 숙변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육지에서 생육하는 수많은 식물 중에 함 초는 아연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고, 아연은 생식기의 기능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남녀의 기를 증진시키고 함 초의 수많은 유익한 성분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 항산화(antioxidant)
1. 유해산소의 생성원리
인체에는 약 60조의 세포가 하나하나의 혈액으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산소로써 영양분을 연소(酸化)시켜 에너지를 얻는다. 즉 산소는 동물이나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조직과 세포가 활동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지만, 인체대사 과정 중에서 불가피하게 활성 산소가 만들어진다. 산소는 호흡을 통해 체내에 들어와 95%는 에너지로 사용되고 2 내지 5%는 산소대사 찌꺼기로 체내에 남는 유해산소로 변하는데 이것이 활성산소(有害酸素)다.
다시 말하면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 조건 중 가장 중요한 조건은 산소를 필요로 하는 조건이다. 사람에게 있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지만 우리 신체가 영양분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호흡으로 흡입된 산소는 물로 변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활성산소라고 불리는 매우 공격성이 강한 산소분자가 생성되어 진다.
즉 분자 형태의 산소는 주위로부터 전자를 취하려고 힘쓰게 되면서 전자공여자(Electron donor)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전자공여자는 분자 형태의 수소(H 2)가 된다. 이 같은 산소와 수소 간의 전자공여와 수여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호흡을 하는 과정을 통해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결국 물(H 2O)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전자공여자로 활약하는 수소는 탄수화물과 지방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며, 전자수여자인 산소는 순환기를 통해 전달된다. 이 같은 활성산소는 외부에서 침입한 균이나 이물을 처리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 경우도 있으나, 지나치게 많은 양의 활성산소가 발생하게 되면 세포 바깥으로 유출되어 체내 유독 물질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불안정한 상태로 남아 있는 산소가 유산소 대사(Aerobicmetabo -lism)를 과정에서 과다하면 세포막과 세포 내용물에 손상을 주는 반응성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으로 일컬어지는 유해성 물질이 발생하여 해로운 산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혈액을 통하여 우리 몸을 순환하는 동안 세포 속에서 과산화 성 이온(supe -roxideanion)이나 과산화수소(hydrogenperoxide) 또는 하이드록실기(hydroxylrad -ical)와 같은 반응성 산소들은 지방질, 탄수화물, 단백질 그리고 세포 내에 있는 D N A 등을 손상시킬 수 있는 유해성 물질로 작용하게 된다.
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휴식 때보다 많은 산소를 소모하게 되므로 유산소 대사 과정이 활발해지면서 더욱 많은 반응성 산소(自由基, Free Radicals)가 생성되어 진다. 운동으로 인해 지질 과산화(Lipid peeroxidation), 단백질 산화(Protein oxidation) 그리고 산화성 D N A 손상(Oxidative D N A damage)과 같은 산화 스트레스 지수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산화 스트레스는 운동 방식이나 강도,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활성산소의 유해성은 우리 몸의 D N A와 생체조직을 손상 또는 파괴하며, 순환계, 신경, 면역기능에 장애를 일으켜 노화, 피부질환, 암, 스트레스, 알레르기, 두통, 피로, 만성피로, 미네랄의 불균형, 각종 성인병의 원인 등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 대두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활성산소의 유해성을 중화시키는 물질을 항산화제라고 한다.
2. 항산화(Antioxidant)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 O D) 작용.
항산화(antioxidant)는 자유기(自由 基, Free Radicals)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한 자유기(自由基, Free Radicals)의 작용을 못 하게 하여 소멸하게 하는 작용을 항산화(Antioxidant)기능 또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 O D) 작용 이하고 한다.
항산화(Antioxidant)작용은 자유기(自由基, Free Radicals)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심장질환, 암, 기타 노화와 관련된 여러 문제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주는 항산화 작용을 가진 성분은 비타민C, 비타민E, 베타-카로틴(몸 안에서 비타민A로 바뀜), 그리고 광물질 셀레늄입니다.
비타민C는 비타민E가 항산화효과를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양소이다. 한국 사람들의 가장 중요한 비타민C 급원은 귤, 감, 딸기 등의 과일과 감자, 배추김치, 풋고추 등이다. 비타민C는 가공과 조리중 쉽게 손실되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주스와 같은 산성식품에서는 비타민C파괴가 적다.
이와 같은 항산화제를 많이 함유한 과일과 야채를 적정량 섭취하는 사람들은 심혈관계질환, 일부 암, 백내장의 발생률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과일과 야채에는 항산화제가 풍부하다.
베타카로틴은 당근, 호박, 시금치 등 녹황색 채소에 풍부한 색소인데, 인체 내에서 비타민A로 전환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의 항산화기능이 높은 영양소이고,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면서 항산화기능이 큰 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각종 만성질환을 예방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나. 본 발명으로 조성된 조성물의 효과(效果).
본 발명은 대추(紅棗)나무잎과 대추(紅棗) 과육의 혼합조성물(混合組成物)로 원료가 서로 보완적 기능(機能)으로 효과를 극대화시키어 새로운 가치를 형성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수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용도가 없어 버리거나 낙엽으로 거름이 되는 대추(紅棗)나무잎에 새로운 용도에 가치를 개발하여 차(茶))의 원료로 사용하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진 최대의 효과로 대추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을 제공한 것은 발명이 가져야 하는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효과와 의무는 본 발명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의 가치적 평가에 의한 자(尺)대가 된다.
본 발명은 용도가 없어 버리거나 낙엽으로 거름이 되는 대추(紅棗)나무잎을 사용하므로 생산원가에 의한 상품의 경쟁력이 강화되어 높은 경제성(經濟性)을 가지는 것은 본 발명의 기치를 나타내는 효과다.
본 발명은 황토(黃土)의 풍미를 느끼는 차로서 시대적 요구를 충적하는 건강지향적 상품으로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대추나무잎과 대추(紅棗) 과육의 쓴맛을 중화 개선하여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香味)를 가지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시중에 유통하고 있는 과립 대추 차와 액상 대추(紅棗) 차는 보통 1잔의 용량을 7 내지 15g으로 하지만 본 발명으로 조성된 황토 대추 잎 침출 차는 한잔에 0.5 내지 5g으로 진한 향미를 줄길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가치를 나타내는 효과이고, 3성(경쟁, 수익, 사업) 나타내는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은 냉 온 겸용으로 계절적 수요를 극복한 것은 사계절이 있는 우리의 환경에 필요를 충족시키는 효과(效果)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결과다.
본 발명은 휴대(携帶)하기에 편리한 천(布)이나 여과지(濾過紙)에 담아 위생적이고 편리한 침출(浸出) 차의 조성물(組成物)을 조성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다.
본 발명은 과일에 대중적 향미를 가지도록 설탕 포도당 과당 물엿을 사용하지 않는 저칼로리의 스테비아와 단맛을 낸 것은 웰빙 문화에 부합하는 조성물로 다양한 고객(顧客)층을 확보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업성을 나타내는 기술적 효과다.
본 발명의 차가 가져야 하는 전통적 문화의 가치인 피로회복을 촉진하는 구연산(사이클기능)과 비타민C를 첨가하여 상승시키는 효과는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다.
본 발명은 황토(黃土)의 풍미(風味)를 느끼면서 남녀노소 모두에게 즐거움을 주는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창출한 것은 본 발명의 체험적(體驗的) 실험(實驗) 결과(結果)에 의한 기술적 효과로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은 무기질(無機質)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적 요구에 30여 종의 무기질을 함유한 대추나무잎과 대추(紅棗) 과육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시대적 문화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로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진 결과다.
본 발명은 구연산 사이클(T C A)과 비타민의 항산화(抗酸化)가 서로 협조(協調)하여 효과(效果)의 증대를 나타내는 구성(構成)과 배합비율(配合比率)은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원료는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생활 속의 원료들로 구성하여 기능적 효과와 안전성을 홍보하지 않아도 원료의 이름으로 구매(購買)의 욕구(欲求)를 촉진(促進)하는 동기가 되고, 구매욕구 촉진은 사업(事業) 성공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생활 속의 질병(成人病)을 예방(豫防) 치료(治療)하는 항산화(抗酸化) 기능(機能)을 가진 친환경의 기능성 원료만으로 조성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대인에게 고통을 주는 성인병(成人病)을 예방 치료 보조할 수 있는 기능적 성분(成分)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組成物)을 구성(構成)하는 기술적 특성에 의하여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남녀노소 인종(人種)과 문화와 종교(宗敎)에 관계없이 누구나 마시는 원료와 향미의 조성물로 이것은 오대양 육대주의 지구촌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고객(顧客)층으로 다양한 고객층은 사업적 가치(價値)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의 대추나무잎과 대추(紅棗) 과육을 데치고 찌는 것과, 혼합, 가압 전이 성형 숙성건조로 추출 여과 농축으로 이루어진 기술적 특성은, 성분을 전이 정착시키고 조직 속에 기공(氣孔)에 의한 수로(水路)를 제공하여 부피를 압축(壓縮)하고 진한 농도의 침출(浸出) 차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티백 침출 차의 혁명적(革命的) 효과다.
본 발명은 조성물의 부피(容積)를 압축 대추(紅棗) 과육에 의하여서 성형결속(成形結束) 하므로 침출 차의 티백에 정량 주입과 생산 손실(損失 Loss)을 방지하고 효율은 높이는 결과로 효율을 높이는 것은 이익을 증대하는 효과로,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결과다.
본 발명의 액상(飮料) 차는 수성(水性)과 지성(脂性)의 성분을 용출(溶出)시키는 기술적 기능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함유한 5 내지 50 Brix로 순도로 조절하여 다양한 용기에 의한 생활(生活) 속의 음료(飮料)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새로운 포장방법은 원형(圓形) 티백을 일회용 잔(盞 Cup)에 포장(包藏) 하여 야회(夜會) 및 자동판매(自動販賣)기용으로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친환경(親環境) 침출(浸出) 차의 혁명적 변신(變身)으로 자동판매기의 위생상태를 높이는 결과로 위대한 기술성에 의한 효과다.
본 발명의 액상 차는 순도 50 Brix의 유리 앰플(Ampoule)로 포장으로 남자는 주머니에 여성은 핸드백 속에 휴대(携帶)할 수 있도록 한 대추나무잎과 대추(紅棗) 과육의 새로운 변신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대추나무잎과 대추(紅棗) 과육에 부족한 성분을 첨가물로 첨가하여 대중적 향미로 개선(改善)한 것은 기능(技能)적 변신에 의한 가치(價値)의 상승과 황토의 풍미를 느끼는 새콤달콤한 향미는 기호의 변신에 의한 사회적(社會的) 가치를 제공(提供)하는 결과로 시대적 욕구를 충족(充足)하고 문화적 가치(價値)에 편성된 사회적 의무(義務)를 다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가와 사회에 공헌(貢獻)하는 시대적 가치는 본 발명이 가지는 기술적 특성(特性)에 의한 효과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에 의하여 조성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의 관능검사 결과는 표2와 같다.
상기의 관능검사는 남녀 각각 10명씩 20명으로 구성된 시음 인이 점심을 먹고 30분 지난 다음 관능 검사용 제품으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 일회용 침출 차와 시중에 유통하는 과립 차 각각 500개씩, 황토(黃土) 대추 잎 액상(飮料) 차 조성물 1,000㎖ 40개(2상자)와 190㎖ 갠 대추음료 100개를 같은 장소에 정수 및 냉각기와 휴지 및 일회용 1000컵을 제공하고 2사람씩 자유로운 시음한 결과를 설문지에 대답한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관능검사로 제시한 상품의 표기사항을 직접보고 판단 한 결과로 황토(黃土) 대추 차 조성물은 보존제가 없고 시중 상품에는 보존제가 있는 것으로 표기된 표기에 대한 평가가 작용한 결과로 상기의 검사 결과가 나온 것으로 평가된다.
관능검사 제품 중 설탕과 과당 등의 유무에 관계된 결과로 비만에 대한 반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홍보의사에 무응답은 대기업 제품에 대한 거부로 생각되고 구입에 대한 질문은 향미에 대한 결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參考文獻)
식품공업 (세문사) 양한철
비타민C가 보이면 건강이 보인다 이왕재
식품가공학 (신광출판사) 장학길 이영택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 식품 (효일) 노완섭 허석현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적 홍원식 추천
발명의 실시(實施)를 위한 구체적(具體的)인 내용은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설명(說明)하기 위하여 제공(提供)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具體的)인 내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範圍)가 한정(限定)하는 것은 아니다.
1. 황토(黃土) 대추 잎 침출(浸出)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지구촌 인간과 수천 년을 함께하면서 풍부한 영양과 특수한 기능이 있지만 가치를 개발하지 못하여 버려지는 대추나무잎은 잎과 잎이 어긋나고 밑이 약간 넓은 난형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잎 윗면은 초록(草綠) 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고 잎(葉)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葉托)이 있고, 사포닌, 쿠마린, 플라본, 글리코사이드, 무실리지(Mucilage), 비타민C를 함유(含有)하고, 알칼로이드로서 코크라유린, 이소보르딘, 노리소보르딘, 아시밀로빈, 유지핀, 유지린, 아비세닌 등이 들어있고, 루틴이 1.6%나 들어 있는 대추나무잎(葉)을 주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 오기 전에 나무에서 채취한 푸르고 싱싱하게 윤기나는 청정(淸淨)대추나무잎으로 선별(選別)하고,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C, 비타민P를 다양하게 함유(含有)하고, 칼슘, 인, 철분, 마그네슘, 칼륨 등 36가지의 무기질(無機質)을 함유(含有)하면서 유기산, 사과산, 아스파트산, 글라이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산, 알라닌, 발린, 로이신, 프롤린 등 16종의 아미노산을 함유(含有)하여 자양(滋養), 강장(强壯), 진해(鎭海), 해독의 기능(機能)과 양질의 칼로리 로 피로회복疲勞 fatigue)과 항산화기능(抗酸化 Antioxidanteffect)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고 조성물의 조직을 결속하는 응집(凝集)력을 가지는 대추 과육을 대추나무잎을 보조하는 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를 맞지 않고 수확하여 태양에서 건조한 대추를 선별(選別)하고, 살아있는 생명체로 한 스푼에 2억 마리 정도의 미생물이 살아 있는 미생물의 대단위 집단으로 카탈라아제, 프로테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아제 등과 50여 종의 효소(酵素)를 함유(含有)하면서 이산화 규소, 알루미나, 탄산칼슘(石灰),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칼리 등을 함유하는 황토(黃土)를 선정하여 지장(地漿) 수(水)를 선별(選別)하고, 젖산 축적을 막아 신속한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하고 항산화(抗酸化)를 촉진하는 구연산 사이클의 기능과 새콤한 대중적(大衆的)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구연산을 선정(選定 Choice)하고,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생리적 대사기능의 조절과 항산화 및 신속한 피로회복과 대중적 향미개선과 성인병 예방 치료를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 Choice)하여 이미 이취가 없고 순도 96%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풍부한 무기질(無機質)로 대추의 부족한 아연(Sex Mineral)공급과 대중적 향미로 중화 개선하는 첨가물로 함 초를 선정(選定)하여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 초분을 선별(選別)하고, 항산화 촉진과 대중적 월드 향미 개선과 저칼로리를 위하여 스테비아잎을 선정(選定)하여 싱싱하고 푸른 스테비아잎과 줄기를 선별(選別)하여 조성물의 원료로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황 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대추잎 73중량%, 찐 대추 과육 16중량% , 구연산 3중량%, 비타민C 3중량%, 데친 스테비아잎 4.5중량%, 함 초 0.5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채취 및 저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서리가 오기 10일 전에 대추나무 다듬기를 하여 얻어지는 잎과 대추나무열매 수확시 대추와 같이 떨어지는 잎과 열매를 분리하여 각각 채취하고, 잎은 선별하여 거물 망에 15㎏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고 대추나무잎의 품온이 1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장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수확한 대추는 태양에 자연건조한 것으로 선별(選別)하여 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대추를 조성하고, 대추와 잎을 동시에 채취하여 채취비용을 최소화하고, 스테비아잎은 싱싱한 상층부위의 잎과 줄기를 같이 절단하여 채취하고 거물 망에 15㎏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스테비아를 조성하고, 청정지역 깊은 산속 표토(表土) 30㎝를 제거하고 진한 황적색의 0.02㎜ 내지 0.05㎜ 황토(黃土)를 채취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황토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4공정은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대추나무잎을 48시간 이내에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저장 대추를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를 조성하고, 저장 스테비아잎을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절단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대추나무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세척 대추는 씨를 제거(除去)하여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스테비아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로 절단하여 절단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지장(地漿) 수를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황토(黃土)를 동력 3상 5마력 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황토(黃土)를 조성하고, 분쇄 황토(黃土)를 생수 80중량%와 혼합하여 20%의 황토수용액을 조성하고 황토수용액을 6시간 자동으로 휘저어 24시간 침전(沈澱)시키어 황토와 황토(黃土) 수(水)를 분리하여 상층부의 80% 채취하여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조성하여 20%를 구분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찌(蒸)고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한 2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에 4%의 비타민C+6%의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황토 지장 혼합수용액 을 조성하고 황토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110±5℃으로 가열하여 절단 대추나무잎과 스테비아잎을 30초간 데쳐 신속하게 냉각수로 냉각(冷覺)하여 채반에 건지어 푸른 색상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잎을 조성하고, 2중으로 된 찜 솥에 밑물로 2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찜 솥의 80% 정도 넣고 찜 솥 위의 찜통을 놓고 찜통 속에 절단 대추 과육을 넣고 130±5℃으로 찜 솥을 가열하여 8분간 절단 대추를 쪄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여 신속하게 냉풍으로 냉각하여 신선한 황토(黃土)의 풍미를 가지는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냉각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저장용으로 조성하고, 비 수확 시기를 대비하여 수확기에는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와 찐 대추 과육을 대량으로 가공하여 40℃ 이하의 건조실에서 온풍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이하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과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찐 건조 대추 과육을 비 수확기(收穫期)를 대비하여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혼합하는 기술적 과제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함 초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민C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구연산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분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스테비아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대추 과육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분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5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과 비 수확기에는 저장원료를 사용하는데 1차는 혼합은 수확기와 동일하게 하고 2차는 저장용 원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건조 대추 과육,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제7공정에서 저장한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서서히 주입하면서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분간 혼합하여 수분함량 80%의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5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가압 파쇄 전이 성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파쇄기로 5㎏/㎠ 압력을 가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 파쇄되고 서로 전이되어 압축에 의한 2㎜로 성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부피를 압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숙성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35℃의 건조실에 시간마다 상하교류로 10시간 서서히 균일하게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숙성건조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분쇄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분쇄기로 2㎜로 분쇄하고, 2㎜로 선별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선별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2공정은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선별 혼합조성물을 고온순간살균법(H T S T)을 응용(應用) 한 다용도(多用途) 다관(多管) 살균기(殺菌器)로 스크루 회전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에 따라 85℃에서 60초로 상업적 살균하여 향미(香味)를 보존(保存)하는 상업살균으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조성한 기술적 단계다.
제13공정은 주입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천 또는 여과지에 1.5g씩 자동(自動) 포장기(包裝機)로 주입하여 1회용 2중 티백에 주입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1회용 티백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4공정은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1회용 2중 티백을 은박지 및 폴리에틸렌필름으로 방향(防香) 방습포장(防濕包藏)으로 포장(包裝)하고 검사한 후에 100 티백으로 상자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냉, 온수 겸용으로 음용 할 수 있는 향토와 풀잎의 조화로운 풍미를 느끼는 흑갈색의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침출(浸出)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2. 황토(黃土) 대추 잎 액상(飮料)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지구촌 인간과 수천 년을 함께하면서 풍부한 영양과 특수한 기능이 있지만 가치를 개발하지 못하여 버려지는 대추나무잎은 잎과 잎이 어긋나고 밑이 약간 넓은 난형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잎 윗면은 초록(草綠) 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고 잎(葉)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葉托)이 있고, 사포닌, 쿠마린, 플라본, 글리코사이드, 무실리지(Mucilage), 비타민C를 함유(含有)하고, 알칼로이드로서 코크라유린, 이소보르딘, 노리소보르딘, 아시밀로빈, 유지핀, 유지린, 아비세닌 등이 들어있고, 루틴이 1.6%나 들어 있는 대추나무잎(葉)을 주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 오기 전에 나무에서 채취한 푸르고 싱싱하게 윤기나는 청정(淸淨)대추나무잎으로 선별(選別)하고,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C, 비타민P를 다양하게 함유(含有)하고, 칼슘, 인, 철분, 마그네슘, 칼륨 등 36가지의 무기질(無機質)을 함유(含有)하면서 유기산, 사과산, 아스파트산, 글라이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산, 알라닌, 발린, 로이신, 프롤린 등 16종의 아미노산을 함유(含有)하여 자양(滋養), 강장(强壯), 진해(鎭海), 해독의 기능(機能)과 양질의 칼로리 로 피로회복疲勞 fatigue)과 항산화기능(抗酸化 Antioxidanteffect)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고 조성물의 조직을 결속하는 응집(凝集)력을 가지는 대추 과육을 대추나무잎을 보조하는 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를 맞지 않고 수확하여 태양에서 건조한 대추를 선별(選別)하고, 살아있는 생명체로 한 스푼에 2억 마리 정도의 미생물이 살아 있는 미생물의 대단위 집단으로 카탈라아제, 프로테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아제 등과 50여 종의 효소(酵素)를 함유(含有)하면서 이산화 규소, 알루미나, 탄산칼슘(石灰),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칼리 등을 함유하는 황토(黃土)를 선정하여 지장(地漿) 수(水)를 선별(選別)하고, 젖산 축적을 막아 신속한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하고 항산화(抗酸化)를 촉진하는 구연산 사이클의 기능과 새콤한 대중적(大衆的)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구연산을 선정(選定 Choice)하고,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생리적 대사기능의 조절과 항산화 및 신속한 피로회복과 대중적 향미개선과 성인병 예방 치료를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 Choice)하여 이미 이취가 없고 순도 96%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풍부한 무기질(無機質)로 대추의 부족한 아연(Sex Mineral)공급과 대중적 향미로 중화 개선하는 첨가물로 함 초를 선정(選定)하여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 초분을 선별(選別)하고, 항산화 촉진과 대중적 월드 향미 개선과 저칼로리를 위하여 스테비아잎을 선정(選定)하여 싱싱하고 푸른 스테비아잎과 줄기를 선별(選別)하여 조성물의 원료로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황 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대추잎 56중량%, 찐 대추 과육 30중량% , 구연산 4중량%, 비타민C 4중량%, 데친 스테비아잎 5.2중량%, 함 초 0.8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채취 및 저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서리가 오기 15일 전에 대추나무 다듬기를 하여 얻어지는 잎과 대추나무열매 수확시 대추와 같이 떨어지는 잎과 열매를 분리하여 각각 채취하고, 잎은 선별하여 거물 망에 10㎏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고 대추나무잎의 품온이 1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장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수확한 대추는 태양에 자연건조한 것으로 선별(選別)하여 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대추를 조성하고, 대추와 잎을 동시에 채취하여 채취비용을 최소화하고, 스테비아잎은 싱싱한 상층부위의 잎과 줄기를 같이 절단하여 채취하고 거물 망에 10㎏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스테비아를 조성하고, 청정지역 깊은 산속 표토(表土) 30㎝를 제거하고 진한 황적색의 0.02㎜ 내지 0.05㎜ 황토(黃土)를 채취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황토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4공정은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대추나무잎을 48시간 이내에 4%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저장 대추를 4%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를 조성하고, 저장 스테비아잎을 4%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절단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대추나무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4㎜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세척 대추는 씨를 제거(除去)하여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4㎜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스테비아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4㎜로 절단하여 절단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지장(地漿) 수를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황토(黃土)를 동력 3상 5마력 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황토(黃土)를 조성하고, 분쇄 황토(黃土)를 생수 90중량%와 혼합하여 10%의 황토수용액을 조성하고 황토수용액을 2시간 자동으로 휘저어 24시간 침전(沈澱)시키어 황토와 황토(黃土) 수(水)를 분리하여 상층부 80%를 채취하여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조성하여 10%를 구분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찌(蒸)고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한 1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에 2%의 비타민C+8%의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황토 지장 혼합수용액 을 조성하고 황토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110±5℃으로 가열하여 절단 대추나무잎과 스테비아잎을 20초간 데쳐 신속하게 냉각수로 냉각하여 채반에 건지어 푸른 색상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잎을 조성하고, 2중으로 된 찜 솥에 밑물로 1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찜 솥의 80% 정도 넣고 찜 솥 위의 찜통을 놓고 찜통 속에 절단 대추 과육을 넣고 130±5℃으로 찜 솥을 가열하여 10분간 절단 대추를 쪄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여 신속하게 냉풍으로 냉각하여 신선한 황토(黃土)의 풍미를 가지는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냉각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저장용으로 조성하고, 비 수확시기를 대비하여 수확기에는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와 찐 대추 과육을 대량으로 가공하여 40℃ 이하의 건조실에서 온풍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이하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과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찐 건조 대추 과육을 비 수확기(收穫期)를 대비하여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혼합하는 기술적 과제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함 초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민C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구연산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0분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스테비아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대추 과육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분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과 비 수확기에는 저장원료를 사용하는데 1차는 혼합은 수확기와 동일하게 하고 2차는 저장용 원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건조 대추 과육,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제7공정에서 저장한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서서히 주입하면서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분간 혼합하여 수분함량 70%의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가압 파쇄 전이 성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파쇄기로 3㎏/㎠ 압력을 가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 파쇄되고 서로 전이되어 압축에 의한 4㎜로 성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부피를 압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숙성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30℃의 건조실에 시간마다 상하교류로 15시간 서서히 균일하게 숙성건조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추출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자동추출탱크에 넣고, 넣은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10배의 알코올 30%의 용매로 130℃에서 15㎏/㎠(壓力)으로 200분간 자동으로 추출(抽出)하고 계절에 따라 용매(溶媒)의 비율과 용매(溶媒)의 알코올함량을 조절하여 추출로 발생하는 향미의 변화를 방지(防止)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추출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2공정은 여과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추출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10마력으로 1차 150 메쉬(Mesh)의 자동 흡입 여과기(濾過機)를 통하여 여과하여 침전물을 최소화하는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여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3공정은 농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여과 혼합조성물을 10-3 Torr의 자동농축기에 넣고 교반기의 회전(回轉)을 가감하여 비말 동반 손실을 억제하면서 10 Brix로 농축(濃縮)하면서 알코올을 회수시키고 설탕(雪糖)과 과당이 없는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농축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4공정은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농축 혼합조성물을 고온순간살균법(H T S T)을 응용(應用)한 다용도(多用途) 다관(多管) 살균기(殺菌器)로 스크루 회전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에 따라 90℃에서 30초 살균으로 살균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조성한 기술적 단계다
제15공정은 주입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순도(純度)에 따라 자동으로 포장(包藏)하는 방법으로 내열성 병에 1,000㎖로 자동으로 포장(包藏)하여 냉각으로 진공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20개씩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상품으로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마시는 맑은 흑갈색을 바탕으로 하는 황토(黃土)의 풍미를 느끼며 풀잎의 조화로운 향미의 새콤달콤한 대중적(大衆的) 월드 향미를 특징(特徵)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액상(飮料)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明細書)에 첨부하는 도면(圖面)은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技術的) 사상(思想)을 이해시키는 역할(役割)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은 기재(記載)된 사항(事項)에만 한정(限定)하는 해석(解釋)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황토(黃土) 대추 잎 침출(浸出)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도 2는 황토(黃土) 대추 잎 액상(飮料)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laims (19)
-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대추잎 80 내지 16중량%, 찐 대추 과육 16 내지 70중량% , 구연산 1 내지 4중량%, 비타민C 1 내지 4중량%, 데친 스테비아잎 1.5 내지 5.2중량%, 함 초 0.5 내지 0.8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는 황토 대추 잎 차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원료를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지구촌 인간과 수천 년을 함께하면서 풍부한 영양과 특수한 기능이 있지만 가치를 개발하지 못하여 버려지는 대추나무잎은 잎과 잎이 어긋나고 밑이 약간 넓은 난형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잎 윗면은 초록(草綠) 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고 잎(葉)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葉托)이 있고, 사포닌, 쿠마린, 플라본, 글리코사이드, 무실리지(Mucilage), 비타민C를 함유(含有)하고, 알칼로이드로서 코크라유린, 이소보르딘, 노리소보르딘, 아시밀로빈, 유지핀, 유지린, 아비세닌 등이 들어있고, 루틴이 1.6%나 들어 있는 대추나무잎(葉)을 주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 오기 전에 나무에서 채취한 푸르고 싱싱하게 윤기나는 청정(淸淨) 대추나무잎으로 선별(選別)하고,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C, 비타민P를 다양하게 함유(含有)하고, 칼슘, 인, 철분, 마그네슘, 칼륨 등 36가지의 무기질(無機質)을 함유(含有)하면서 유기산, 사과산, 아스파트산, 글라이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산, 알라닌, 발린, 로이신, 프롤린 등 16종의 아미노산을 함유(含有)하여 자양(滋養), 강장(强壯), 진해(鎭海), 해독의 기능(機能)과 양질의 칼로리로 피로회복疲勞 fatigue)과 항산화기능(抗酸化 Antioxidanteffect)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고 조성물의 조직을 결속하는 응집(凝集)력을 가지는 대추 과육을 대추나무잎을 보조하는 원료로 선정(選定)하여 서리를 맞지 않고 수확하여 태양에서 건조한 대추를 선별(選別)하고, 살아있는 생명체로 한 스푼에 2억 마리 정도의 미생물이 살아 있는 미생물의 대단위 집단으로 카탈라아제, 프로테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아제 등과 50여 종의 효소(酵素)를 함유(含有)하면서 이산화 규소, 알루미나, 탄산칼슘(石灰),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칼리 등을 함유하는 황토(黃土)를 선정하여 지장(地漿) 수(水)를 선별(選別)하고, 젖산 축적을 막아 신속한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하고 항산화(抗酸化)를 촉진하는 구연산 사이클의 기능과 새콤한 대중적(大衆的)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구연산을 선정(選定 Choice)하고,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생리적 대사기능의 조절과 항산화 및 신속한 피로회복과 대중적 향미개선과 성인병 예방 치료를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 Choice)하여 이미 이취가 없고 순도 96%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풍부한 무기질(無機質)로 대추의 부족한 아연(Sex Mineral)공급과 대중적 향미로 중화 개선하는 첨가물로 함 초를 선정(選定)하여 이미 이취가 없는 순도 95% 이상의 함 초분을 선별(選別)하고, 항산화 촉진과 대중적 월드 향미 개선과 저칼로리를 위하여 스테비아잎을 선정(選定)하여 싱싱하고 푸른 스테비아잎과 줄기를 선별 (選別)하여 조성물의 원료로 선정 선별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2공정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대추잎 80 내지 16중량%, 찐 대추 과육 16 내지 70중량% , 구연산 1 내지 4중량%, 비타민C 1 내지 4중량%, 데친 스테비아잎 1.5 내지 5.2중량%, 함 초 0.5 내지 0.8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組成物)의 배합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단계와; 제3공정은 채취 및 저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서리가 오기 7 내지 15일 전에 대추나무 다듬기를 하여 얻어지는 잎과 대추나무열매 수확시 대추와 같이 떨어지는 잎과 열매를 분리하여 각각 채취하고, 잎은 선별하여 거물 망에 10 내지 15㎏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고 대추나무잎의 품온이 1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장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수확한 대추는 태양에 자연건조한 것으로 선별(選別)하여 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대추를 조성하고, 대추와 잎을 동시에 채취하여 채취비용을 최소화하고, 스테비아잎은 싱싱한 상층부위의 잎과 줄기를 같이 절단하여 채취하고 거물 망에 10 내지 15㎏씩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스테비아를 조성하고, 청정지역 깊은 산속 표토(表土) 30㎝를 제거하고 진한 황적색의 0.02㎜ 내지 0.05㎜ 황토(黃土)를 채취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 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저장 황토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4공정은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대추나무잎을 48시간 이내에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저장 대추를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대추를 조성하고, 저장 스테비아잎을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로 다시 세척하여 이물질과 염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세척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5공정은 절단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대추나무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 내지 4㎜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나무잎을 조성하고 세척 대추는 씨를 제거(除去)하여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 내지 4㎜로 절단하여 절단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스테비아잎을 동력 3상 5마력 절단기로 2 내지 4㎜로 절단하여 절단 스테비아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6공정은 지장(地漿) 수를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저장 황토(黃土)를 동력 3상 5마력 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황토(黃土)를 조성하고, 분쇄 황토(黃土)를 생수 80 내지 90중량%와 혼합하여 10 내지 20%의 황토수용액을 조성하고 황토수용액을 2 내지 6시간 자동으로 휘저어 24시간 침전(沈澱)시키어 황토와 황토(黃土) 수(水)를 분리하여 상층부 60 내지 80%를 채취하여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조성하여 10%, 20%를 구분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7공정은 찌(蒸)고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한 10 내지 2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에 2 내지 4%의 비타민C+6 내지 8%의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황토 지장 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황토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110±5℃으로 가열하여 절단 대추나무잎과 스테비아잎을 20 내지 40초간 데쳐 신속하게 냉각수로 냉각하여 채반에 건지어 푸른 색상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잎을 조성하고, 2중으로 된 찜 솥에 밑물로 10 내지 20%의 황토(黃土) 지장(地漿) 수(水)를 찜 솥의 80% 정도 넣고 찜 솥 위의 찜통을 놓고 찜통 속에 절단 대추 과육을 넣고 130±5℃으로 찜 솥을 가열하여 8 내지 10분간 절단 대추를 쪄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여 신속하게 냉풍으로 냉각하여 신선한 황토(黃土)의 풍미를 가지는 찐 대추 과육을 조성하고,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냉각하여 불투명한 밀폐용기에 담아 저장용으로 조성하고, 비 수확시기를 대비하여 수확기에는 데친 대추나무잎과 데친 스테비아와 찐 대추 과육을 대량으로 가공하여 40℃ 이하의 건조실에서 온풍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이하로 밀폐용기에 담아 5℃ 이하의 저온고에 저장하여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과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찐 건조 대추 과육을 비 수확기(收穫期)를 대비하여 저장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8공정은 혼합하는 기술적 과제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함 초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민C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구연산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0 내지 15분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대추나무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스테비아잎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대추 과육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 내지 20분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 내지 25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과 비 수확기에는 저장원 료를 사용하는데 1차는 혼합은 수확기와 동일하게 하고 2차는 저장용 원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대추나무잎,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찐 건조 대추 과육,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데친 건조 스테비아와 제7공정에서 저장한 데친 황토(黃土) 지장(地漿) 혼합수용액을 서서히 주입하면서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 내지 20분간 혼합하여 수분함량 70 내지 80%의 2차 혼합물을 조성하고,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20 내지 25분간 3차 혼합하여 함 초 비타민C 구연산 스테비아잎 대추 과육 대추나무잎의 혼합물 이하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9공정은 가압 파쇄 전이 성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파쇄기로 3 내지 5㎏/㎠ 압력을 가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 파쇄되고 서로 전이되어 압축에 의한 2 내지 4㎜로 성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부피를 압축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0공정은 숙성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성형 혼합조성물을 30 내지 35℃의 건조실에 시간마다 상하교류로 10 내지 15시간 서서히 균일하게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숙성건조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을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1공정은 분쇄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분쇄기로 1 내지 3㎜로 분쇄하고, 1 내지 3㎜로 선별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선별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2공정은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선별 혼합조성물을 고온순간살균법(H T S T)을 응용(應用) 한 다용도(多用途) 다관(多管) 살균기(殺菌器)로 스크루 회전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에 따라 85 내지 90℃에서 30 내지 60초로 상업적 살균하여 향미(香味)를 보존(保存)하는 상업살균으로 새콤 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조성한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3공정은 주입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천 또는 여과지에 0.5 내지 5g씩 자동(自動) 포장기(包裝機)로 주입하여 1회용 티백 또는 1회용 2중 티백 또는 1회용 삼각 티백 또는 1회용 원형(圓形) 티백에 주입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1회용 티백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침출(浸出)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4공정은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혼합조성물의 1회용 티백 또는 1회용 2중 티백 또는 1회용 삼각 티백 또는 1회용 원형(圓形) 티백을 은박지 및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컵(盞 Cup)으로 방향(防香) 방습포장(防濕包藏)으로 포장(包裝)하고 검사한 후에 1 내지 500 티백으로 상자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냉, 온수 겸용으로 음용 할 수 있는 향토와 풀잎의 조화로운 풍미를 느끼는 흑갈색의 새콤달콤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침출(浸出)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5공정은 추출하는 기술적 과제로, 제10공정에서 조성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건조 혼합조성물을 자동추출탱크에 넣고, 넣은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110배의 알코올 30 내지 60%의 용매로 120 내지 130℃에서 10 내지 15㎏/㎠(壓力)으로 150 내지 200분간 자동으로 추출(抽出)하고 계절에 따라 용매(溶媒)의 비율과 용매(溶媒)의 알코올함량을 조절하여 추출로 발생하는 향미의 변화를 방지(防止)하여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추출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6공정은 여과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추출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10마력으로 1차 150 메쉬(Mesh)의 자동 흡입 여과기(濾過機)를 통하여 여과하고 2차로 200 메쉬(Mesh)의 자동 흡입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하고 3차로 2차 여과액(濾過液)을 12 내지 24시간 침전 여과(濾過)하는 방식들을 원칙으로 하나, 용도에 따라서 1차 또는 2차만 여과(濾過)하여 침전물을 최소화하는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여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7공정은 농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여과 혼합조성물을 1 내지 10-3 Torr의 자동농축기에 넣고 교반기의 회전(回轉)을 가감하여 비말 동반 손실을 억제하면서 5 내지 50 Brix로 농축(濃縮)하면서 알코올을 회수시키고 설탕(雪糖)과 과당이 없는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농축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8공정은 살균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농축 혼합조성물을 고온순간살균법(H T S T)을 응용(應用)한 다용도(多用途) 다관(多管) 살균기(殺菌器)로 스크루 회전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에 따라 85 내지 90℃에서 30 내지 45초 살균으로 살균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조성한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황토(黃土) 대추 잎 액상(飮料)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으로 제19공정은 주입 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새콤달콤한 황토(黃土) 대추 잎 살균 혼합조성물을 순도(純度)에 따라 유리 앰플(Ampoule)이나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은박 주머니(Pouch)에 5 내지 250㎖로 자동으로 포장(包藏)하는 방법과 내열성 병에 50 내지 2000㎖로 자동으로 포장(包藏)하여 냉각으로 진공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6 내지 20개씩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상품으로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마시는 맑은 흑갈색을 바탕으로 하는 황토의 풍미를 느끼며 풀잎의 조화로운 향미의 새콤달콤한 대중적(大衆的) 월드 향미를 특징(特徵)으로 하는 황토(黃土) 대추 잎 액상(飮料) 차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4066A KR20090057341A (ko) | 2007-12-02 | 2007-12-02 |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4066A KR20090057341A (ko) | 2007-12-02 | 2007-12-02 |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7341A true KR20090057341A (ko) | 2009-06-05 |
Family
ID=4098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4066A KR20090057341A (ko) | 2007-12-02 | 2007-12-02 |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734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990972A (zh) * | 2010-11-18 | 2011-03-30 | 蒋清校 | 一种枣尖茶的加工方法及其低温烘烤设备 |
KR101115431B1 (ko) * | 2009-12-10 | 2012-02-20 | 노은미리 |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
-
2007
- 2007-12-02 KR KR1020070124066A patent/KR2009005734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5431B1 (ko) * | 2009-12-10 | 2012-02-20 | 노은미리 | 신경안정 효능을 갖는 대추차 및 그 제조방법 |
CN101990972A (zh) * | 2010-11-18 | 2011-03-30 | 蒋清校 | 一种枣尖茶的加工方法及其低温烘烤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40392A (ko) |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 |
KR20090032158A (ko) |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703897B1 (ko) | 약초 성분을 주원료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100082689A (ko) |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14322A (ko) | 피곤할 때 마시는 새콤달콤한 솔잎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1136576B1 (ko) |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1182039B1 (ko) | 천연 초와 천연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구기자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974356B1 (ko) | 새콤달콤한 동백꽃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1253342B1 (ko) |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57342A (ko) |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간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50136A (ko) | 대추버섯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18876A (ko) | 새콤달콤한 쿠르쿠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884844B1 (ko) |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090057341A (ko) |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122319A (ko) | 고소한 메생이 티백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 차의 제조방법 | |
KR20090022208A (ko) |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100082688A (ko) |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21410A (ko) | 피로할 때 마시는 대추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100072143A (ko) |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956863B1 (ko) | 운지버섯 및 콜라겐을 함유하는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 |
KR20090050931A (ko) | 동백(冬柏)꽃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18874A (ko) | 고혈압 환자가 마시는 새콤달콤한 진 코 침출 및 액상 티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14254A (ko) |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60064038A (ko) | 감동의 차 새콤달콤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녹차(과일침출 차) | |
KR20090057345A (ko) |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