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349A -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349A
KR20110065349A KR1020100121119A KR20100121119A KR20110065349A KR 20110065349 A KR20110065349 A KR 20110065349A KR 1020100121119 A KR1020100121119 A KR 1020100121119A KR 20100121119 A KR20100121119 A KR 20100121119A KR 20110065349 A KR20110065349 A KR 20110065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int
serial number
processing
pri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017B1 (ko
Inventor
타케시 호소카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순서성을 갖는 숫자나 알파벳이 갱신되는 것에 맞춰, 순서성을 갖는 숫자나 알파벳 이외의 인쇄 내용의 일부도 갱신되는 복수의 인쇄물을,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입력된 연번 정보 및 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인쇄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연번 정보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갱신하는 연번 처리를 행하는 연번 처리 수단과,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63a)과, 연번 처리된 인쇄 정보의 임의 정보를 편집 처리하기 위한 편집 수단(3)과, 입력 및 편집된 인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5)과, 편집 처리를 위해, 연번 처리가 2회 이상 실행된 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기억한 적어도 2 이상의 인쇄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 정보에 있어서의 상이한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 내용이 상이한 복수매의 인쇄물을 연속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숫자나 알파벳의 부분만이 상이한 복수매의 인쇄물을 작성하는 경우, 인쇄물을 1매 인쇄할 때마다, 대상이 되는 숫자나 알파벳을 카운트업(또는 카운트다운)하여 인쇄하는, 소위 「연번(serial number) 기능(넘버링 처리 기능)」을 가진 인쇄 장치(테이프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인쇄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1호실」, 「2호실」, 「3호실」…과 같이, 소정의 문자열(문자)에 대하여 1씩 증가시킨 숫자를 부가한 인쇄물이나, 「A조」, 「B조」, 「C조」와 같이, 소정의 문자열에 대하여, 알파벳 순으로 알파벳을 부가한 인쇄물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08577호
그런데, 복수의 인쇄물을 작성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순서성을 갖는 숫자나 알파벳을 카운트업(또는 카운트다운)하여, 당해 부분만이 상이한 복수의 인쇄물을 작성하는 것 이외에, 순서성을 갖는 숫자나 알파벳 이외의 인쇄 내용의 일부가 상이한 복수의 인쇄물을 작성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순서성을 갖는 숫자나 알파벳을 카운트업(또는 카운트다운)하고, 게다가, 인쇄 내용 중의 일부의 문자열이 상이한 인쇄물을 복수매 작성하고 싶은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경우, 상기의 인쇄 장치에서는, 유저가, 전회 입력한 인쇄 내용의 변경 대상이 되는 문자열을 소거하고(삭제하고), 새로이 소망하는 문자열을 재입력한다는 작업을 반복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 되어, 매우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순서성을 갖는 숫자나 알파벳이 갱신되는 것에 맞춰, 순서성을 갖는 숫자나 알파벳 이외의 인쇄 내용의 일부도 갱신되는 복수의 인쇄물을, 간단히 작성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된 연번 정보 및 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인쇄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연번 정보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갱신하는 연번 처리를 행하는 연번 처리 수단과,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연번 처리된 인쇄 정보의 임의 정보를 편집 처리하기 위한 편집 수단과, 입력 및 편집된 인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편집 처리를 위해, 연번 처리가 2회 이상 실행된 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기억한 적어도 2 이상의 인쇄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 정보에 있어서의 상이한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된 연번 정보 및 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인쇄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연번 정보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갱신하는 연번 처리를 행하는 연번 처리 스텝과,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연번 처리된 인쇄 정보의 임의 정보를 편집 처리하기 위한 편집 스텝과, 편집 처리를 위해, 연번 처리가 2회 이상 실행된 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기억한 적어도 2 이상의 인쇄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 정보에 있어서의 상이한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번 처리를 2회 이상 행한 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과거에 연번 처리 대상이 된 복수의 인쇄 정보를 비교하여, 이들 임의 정보의 상이한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연번 정보에 더하여 당해 연번 정보 이외의 인쇄 내용(임의 정보)의 일부도 상이한 복수매의 인쇄물을 작성하는 경우, 유저는, 그 내용을 편집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갱신하고 싶은 부분을 매회 수작업으로 소거한다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복수의 인쇄물을 간단히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교에 있어서,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 학생마다, 학교명, 학년, 클래스, 학생 번호(학생 개인을 식별하는 번호) 및, 학생 이름이 들어간 인쇄물을 작성할 때, 연번 처리에 의해 학생 번호를 갱신하면서, 3매째 이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학생 이름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 이름 부분의 편집을 간단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좋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번 정보에 더하여, 연번 정보 이외의 인쇄 내용의 일부가 상이한 복수매의 인쇄물을 간단하게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매체를 테이프 형상 부재로 한 경우,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이용할 수 있어, 인쇄 내용의 일부가 상이한 복수매의 라벨을 작성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억 수단은, 일련의 연번 처리에 있어서, 과거 2회의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억 수단은, 일련의 연번 처리에 있어서, 가장 최근의 과거 2회의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억 수단은, 일련의 연번 처리에 있어서, 최초로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 및, 최후에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비교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를 과거 2회분만 기억해 둠으로써, 과거의 인쇄 정보를 모두 축적 보존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하는 기억 용량(기억 영역)을 줄일 수 있어, 메모리 등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과거 2회분의 인쇄 정보의 비교에 의해 임의 정보의 상이한 부분을 특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과거의 인쇄 정보 모두를 비교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쇄 정보의 비교에 관한 처리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함께, 비교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기억하는 과거 2회분의 인쇄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가장 최근의 과거 2회의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즉, 최후에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와, 그 전에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나, 최초 및 최후에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인쇄 정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인쇄 수단에 대한 인쇄 지시가 되었을 때,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의 인쇄 매수를 설정하기 위한 인쇄 매수 설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지시가 되었을 때, 즉 실제로 인쇄하기 직전에, 유저가 인쇄 매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유저가 소망하는 매수의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지시를 행하기 전에, 미리 인쇄 매수를 설정하는 경우, 인쇄 매수의 설정 망각이나 설정 미스(예를 들면, 이전에 설정한 매수가 그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등에 의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매수의 인쇄물을 인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덮개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인쇄 내용의 일부가 상이한 복수매의 라벨을 작성하는 경우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인쇄 내용의 일부가 상이한 3매의 라벨의 도(a) 및, 이들을 작성하는 경우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화면 천이도(遷移圖)(b)이다.
(발명을 행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테이프 형상 부재(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함으로써 라벨(인쇄물)을 작성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개폐 덮개(4)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장치 케이스(2)에 의해 외장이 형성되고, 장치 케이스(2)의 전부(前部) 상면에는 각종 입력키를 구비한 키보드(3)(편집 수단)가 배치됨과 함께, 후부 상면에는, 그 왼쪽부에 개폐 덮개(4)가 부착되고, 그 오른쪽부에는 표시 화면(5)(표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 덮개(4)의 내측에는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6)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C)는, 개폐 덮개(4)를 개방한 상태로 카트리지 장착부(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개폐 덮개(4)에는 이것을 닫은 상태에서 테이프 카트리지(C)의 장착/비장착을 시인(視認)하기 위한 엿보기창(7)이 형성되어 있다.
키보드(3)에는, 문자키군(3a) 및, 각종 동작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키군(3b)이 배열되어 있다. 문자키군(3a)은, JIS 배열에 기초한 풀 키(full key) 구성이며, 조작하는 키수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시프트키를 구비하는 등, 일반의 워드프로세서 등과 동일하다. 기능키군(3b)에는, [인쇄]키(11), 커서 키(12), [선택]키(13), [연번]키(14)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 키 입력은, 일반적인 키보드와 동일하게, 키 입력마다 개별적으로 키를 형성해도 좋고, 시프트키 등과 조합하여 보다 적은 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인쇄]키(11)는, 인쇄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커서 키(12)는, 상하 좌우 키([↑], [↓], [←], [→])로 이루어지며, 커서 이동이나 스크롤 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선택]키(13)는, 선택 후보(선택지)의 선택 및 확정 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연번]키(14)는,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숫자나 알파벳의 초기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이하, 입력한 숫자나 알파벳을 간추려 「연번 정보」라고 칭함). 또한, 연번 처리란, [연번]키(14)를 조작하여 유저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중의 숫자 또는 알파벳의 부분(연번 정보)을, 라벨(L)(도 4(a) 참조)을 1매 인쇄할 때마다,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갱신하는 처리를 말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텍스트란, 문자(문자열), 숫자, 알파벳, 기호, 간이 도형 등의 캐릭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표시 화면(5)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 화면(5)은, 유저가 키보드(3)에 의해 소망하는 텍스트나 화상 등을 입력하여, 텍스트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시인(확인)하거나 할 때에 이용된다.
장치 케이스(2)의 좌측부에는, 카트리지 장착부(6)와 외부를 연통하는 테이프 배출구(21)가 형성되고, 이 테이프 배출구(21)에는, 내보낸 인쇄 테이프(T)를 절단하기 위한 테이프 커터(22)(풀 커터(52) 및 하프(half) 커터(54), 도 2 참조)가 면하고 있다. 그리고, 테이프 배출구(21)로부터 인쇄가 끝난 인쇄 테이프(T)가 소정 길이만큼 내보내져, 이송을 일단 정지시킨 상태에서, 이 인쇄가 끝난 인쇄 테이프(T)를 테이프 커터(22)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라벨(L)을 작성한다.
한편,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헤드 커버(25) 내에 서멀(thermal) 타입의 인쇄 헤드(26)가 내장된 헤드 유닛(24)과, 인쇄 헤드(26)에 대치되는 플래튼(platen) 구동축(27)과, 후술의 잉크 리본(R)을 권취(reel-in)하는 권취 구동축(28)과, 후술의 테이프 릴(reel;32)의 위치 결정 돌기(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아래 쪽에는, 플래튼 구동축(27) 및 권취 구동축(28)을 회전시키는 테이프 이송 모터(30)(도 2 참조)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는, 카트리지 케이스(31) 내부의 상부 중앙부에, 일정한 폭(4mm∼48mm 정도)의 인쇄 테이프(T)를 감은 테이프 릴(32)과, 오른쪽 하부에 잉크 리본(R)을 감은 리본 릴(33)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인쇄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은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릴(32)의 왼쪽 하부에는 상기 헤드 유닛(24)이 끼워넣어지기 위한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34)에 헤드 유닛(24)이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당해 헤드 유닛(24)에 내장된 인쇄 헤드(26)에 대하여, 인쇄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겹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플래튼 구동축(27)에 감합(engagement)되어 회전 구동하는 플래튼 롤러(3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본 릴(33)에 근접하여 리본 권취 릴(36)이 배치되어, 리본 릴(33)로부터 풀려나온 잉크 리본(R)이, 헤드 커버(2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리본 권취 릴(36)에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면, 헤드 커버(25)에 관통공(34)이, 위치 결정 돌기(29)에 테이프 릴(32)의 중심 구멍이, 권취 구동축(28)에 리본 권취 릴(36)의 중심 구멍이 각각 끼워넣어져, 인쇄 테이프(T) 및 잉크 리본(R)을 사이에 두고 인쇄 헤드(26)가 플래튼 롤러(35)에 맞닿아 인쇄가 가능해진다. 그 후, 유저가 표시 화면(5)의 편집 결과를 확인하면서 키보드(3)에 의해 소망하는 텍스트나 화상을 입력하여, 인쇄를 지시하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테이프 이송 모터(30)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C)로부터 인쇄 테이프(T)를 풀어내고, 인쇄 헤드(26)의 발열 소자를 선택적으로 발열시킴으로써 인쇄 테이프(T)에 소망하는 인쇄를 행한다. 인쇄 테이프(T)의 인쇄가 끝난 부분은 테이프 배출구(21)로부터 수시로 외부에 내보내져, 인쇄를 완료하면, 테이프 이송 모터(30)는, 여백분을 포함하는 테이프 길이의 위치까지 인쇄 테이프(T)의 이송을 행한 후, 그 이송을 정지한다(그 후, 절단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인쇄 테이프(T)는, 이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기록 테이프(Ta)와, 이 점착제층에 의해 기록 테이프(Ta)에 접착된 박리 테이프(T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 테이프(T)는, 기록 테이프(Ta)를 외측으로 하고, 그리고 박리 테이프(Tb)를 내측으로 하여 롤 형상으로 감겨져 카트리지 케이스(3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인쇄 테이프(T)는, 테이프 종별(테이프 폭, 테이프의 바탕색, 바탕 모양, 재질(질감) 등)이 상이한 복수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으며, 각 카트리지 케이스(31)에는, 이 중 1 종류의 인쇄 테이프(T) 및 잉크 리본(R)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31)의 이면에는 테이프 카트리지(C)의 종별을 특정하는 복수의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구멍에 대응하여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이들을 검출하는 테이프 식별 센서(마이크로 스위치 등)(37)(도 2 참조)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프 식별 센서(37)에 의해 복수의 구멍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테이프 종별을 판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제어 블록도를 참조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조작부(41), 검출부(42), 인쇄부(43)(인쇄 수단), 절단부(44), 구동부(45) 및, 이들 각부와 접속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갖고 있다.
조작부(41)는, 키보드(3) 상의 문자키군(3a)이나 기능키군(3b)으로부터의 정보의 입력·편집 처리나 설정 및, 이들 각종 정보의 표시 화면(5)으로의 표시 등,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또한, 청구항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수단은, 제어부(40) 및 표시 화면(5)을,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는 것이다.
검출부(42)는, 전술한 테이프 식별 센서(37)을 가져, 인쇄 테이프(T)(테이프 카트리지(C))의 종별을 검출한다. 인쇄부(43)는, 인쇄 헤드(26) 및 테이프 이송 모터(30)을 가져, 인쇄 테이프(T) 및 잉크 리본(R)을 반송하면서 인쇄 테이프(T) 상에, 생성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인쇄를 행한다.
절단부(44)는, 인쇄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Ta)와 박리 테이프(Tb)의 양쪽 모두를 절단하는 풀 커터(52) 및 이것을 구동하는 풀 커터 모터(51)와, 인쇄 테이프(T)의 기록 테이프(Ta)만을 절단하는 하프 커터(54) 및 이것을 구동하는 하프 커터 모터(5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풀 커터(52) 및 하프 커터(54)에 의해, 인쇄부(43)에서 인쇄 처리가 끝난 인쇄 테이프(T)를 소정의 길이가 되도록 절단하여, 라벨(L)을 작성한다. 구동부(45)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55), 헤드 드라이버(56), 테이프 이송 모터 드라이버(57) 및 커터 모터 드라이버(58)을 가져, 각부를 구동한다.
제어부(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1), ROM(Read Only Memory)(62), RAM(Random Access Memory)(63) 및, 입출력 제어 장치(이하, 「IOC : Input Output Controller」라고 칭함)(64)를 구비하고, 이들은 서로 내부 버스(6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OM(62)은, 인쇄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CPU(61)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RAM(63)은, CPU(6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RAM(63)은,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기억 수단)을 갖고 있다.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에는, 인쇄 처리 후에 행해지는 연번 처리에 있어서, 당해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연번 정보 및 연번 정보 이외의 텍스트(이하, 「임의 텍스트(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정보)가 기억된다. 바꿔 말하면, 인쇄 처리에 의해 라벨(L)에 인쇄한 인쇄 정보(인쇄 내용)가 기억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CPU(61)는, ROM(62) 내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IOC(64)를 통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 내의 각부로부터 각종 신호·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된 각종 신호·데이터에 기초하여 RAM(63) 내의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고, IOC(64)를 통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각부에 각종 신호·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입력 편집 처리나 인쇄 절단 처리의 제어를 행한다.
그런데, 전술한 연번 처리를 행함으로써, 연번 정보만이 상이한 복수매의 라벨(L)을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연번 정보에 더하여, 연번 정보 이외의 텍스트(임의 텍스트)의 일부가 상이한 복수매의 라벨(L)을 작성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유저가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트 부분을 소거한 후, 새로운 텍스트를 재입력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 되어,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연번 처리가 2회 이상 실행된 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당해 인쇄 정보의 임의 텍스트의 일부를 자동적으로 소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연번 정보에 더하여, 임의 텍스트의 일부가 상이한 복수매의 라벨(L)을 작성하는 경우의, 테이프 인쇄 장치(1)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유저에 의해 임의 텍스트 및 연번 정보로 이루어지는 인쇄 정보가 입력되고(S01), [인쇄]키(11)의 누름에 의해 인쇄가 지시되면(S02), CPU(61)(테이프 인쇄 장치(1))는, 동일 내용(임의 텍스트 및 연번 정보 모두가 동일)의 라벨(L)의 인쇄 매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하, 인쇄 매수 설정 화면)을 표시할지 아닐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인쇄 매수 설정 화면 표시 플래그(flag) 상태(당해 플래그가 「ON(디폴트 설정)」인가 「OFF」인가)에 의해 행해진다.
인쇄 매수 설정 화면 표시 플래그가 「ON」인 경우(S03; Yes), CPU(61)는, 인쇄 매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S04, 인쇄 매수 설정 수단). 이 인쇄 매수 설정 화면에서, 유저에 의해 소망하는 인쇄 매수가 설정(선택)되면, CPU(61)는, 인쇄 정보에 기초하는 라벨(L)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S05). 한편, 인쇄 매수 설정 화면 표시 플래그가 「OFF」인 경우(S03; No), CPU(61)는, 인쇄 매수 설정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S05). 또한, S05의 인쇄 처리에 있어서, CPU(61)는, 인쇄 처리 회수, 즉 실제로 인쇄한 라벨(L)의 인쇄 매수를 카운트한다.
이어서, CPU(61)는, 실제로 인쇄한 라벨(L)의 인쇄 매수가 설정된 인쇄 매수에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실제의 인쇄 매수가 설정된 인쇄 매수 미만의 경우(S06; No), CPU(61)는, 실제의 인쇄 매수가 설정된 인쇄 매수가 될 때까지, S05 이후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실제의 인쇄 매수가 설정된 인쇄 매수가 된 경우(S06; Yes), CPU(61)는, 인쇄 정보에 대하여 연번 처리를 실행한다(S07, 연번 처리 수단).
이 연번 처리에서는, CPU(61)는, 우선, 당해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인쇄 처리된 인쇄 정보)를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에 기억한 후, 연번 처리를 실행하여 연번 정보만을 갱신한 인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에는, 가장 최근의 과거 2회분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가 기억된다. 즉, 연번 처리가 1회 실행된 시점에서는, 1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가 기억되고, 연번 처리가 2회 실행된 시점에서는, 1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 및 2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연번 처리가 3회 실행된 시점에서는, 2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 및 3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가 기억된다.
이어서, 연번 처리 종료 후, CPU(61)는, 현 시점에서 실행된 연번 처리 회수가 2회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현 시점에서 실행된 연번 처리 회수가 2회 미만(1회)의 경우(S08; No), CPU(61)는, S07의 연번 처리에 의해 연번 정보만이 갱신된 인쇄 정보를 표시 화면(5)(텍스트 입력 화면)에 표시한다(S12). 이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인쇄 정보의 임의 텍스트가 편집되면(S13; Yes), CPU(61)는, 인쇄 매수 설정 화면 표시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S14). 그 후, 유저에 의해 인쇄가 지시되면, CPU(61)는 S02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S12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인쇄 정보의 임의 텍스트가 편집되지 않고(S13; No), 유저에 의해 인쇄가 지시되면, CPU(61)는 인쇄 매수 설정 화면 표시 플래그를 변경하지 않고, S02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현 시점에서 실행된 연번 처리 회수가 2회 이상의 경우(S08; Yes), CPU(61)는,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에 기억된 2개의 인쇄 정보(가장 최근의 과거 2회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비교한다(S09). 비교의 결과, 인쇄 정보의 임의 텍스트 부분(연번 정보 이외의 부분)이 동일한 경우(S10; No), CPU(61)는, S07의 연번 처리에 의해 연번 정보만이 갱신된 인쇄 정보를 표시 화면(5)에 표시한다(S12). 그 후, CPU(61)는, 유저의 조작(지시)에 기초하여 S13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비교의 결과, 인쇄 정보의 임의 텍스트 부분(연번 정보 이외의 부분)에 있어 상이한 부분이 있는 경우(S10; Yes), CPU(61)는, S07의 연번 처리에 의해 연번 정보를 갱신한 인쇄 정보의 임의 텍스트 부분에 있어서, 상기의 비교 결과에서 상이한 부분에 상당하는 텍스트(캐릭터)를 소거하여 표시 화면(5)에 표시한다(S12). 그 후, CPU(61)는, 유저의 조작(지시)에 기초하여 S13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S08의 처리에 있어서, 비교 기준이 되는 연번 처리 회수를 2회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사전에 비교 기준이 되는 연번 처리 회수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실제로 실행된 연번 처리 회수가, 설정된 연번 처리 회수 미만이면, S08; No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고, 지정된 연번 처리 회수 이상이면, S08; Yes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의해, 인쇄 내용의 일부가 상이한 3매의 라벨(L)을 작성하는 경우의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작성하는 라벨(L)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학생 번호(학생 개인을 식별하는 번호)」의 부분(71) 및, 「학생 이름」의 부분(72)이 상이한 3매의 라벨(L(La∼Lc))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3매의 라벨(L(La∼Lc))을 작성하는 경우의 화면 천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4(b)의 화면 천이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b)의 참조 번호 M은, 입력된 텍스트가 몇 행째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행의 첫머리 마크이다.
우선, 화면(D01)은, 유저에 의해 1행째에 「학교명」, 「학년」, 「클래스」 및 「학생 번호」로서, 「장미 초등학교 1학년 4반 1번」이, 2행째에 「학생 이름」으로서, 「아오키」가 입력된 상태의 텍스트 입력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01). 여기에서 「학생 번호」로서 입력된 「1(음영 부분)」은, [연번]키(14)의 누름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서 입력된 연번 정보의 초기값이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D01), 유저에 의해 [인쇄]키(11)가 눌러지면, 동일 내용의 라벨(L)의 인쇄 매수를 선택하는 인쇄 매수 설정 화면으로 천이된다(D02). 여기에서는, 인쇄 매수 설정 화면 표시 플래그는 「ON(디폴트 설정)」 상태이기 때문에, 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02, S03; Yes, S04의 순서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유저에 의해 「1매」가 선택된 상태에서 (반전 표시된(highlighted) 상태), [선택]키(13)가 눌러지면, 인쇄 매수를 「1매」로 확정함과 함께, 인쇄 실행 화면으로 천이하여(D03), D01의 표시 내용의 라벨(L), 즉 도 4(a)의 라벨(La)이 인쇄된다(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05). 그리고, 인쇄 종료 후, 연번 처리에 의해 「학생 번호」가 「2」로 갱신된 텍스트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D04). 여기에서는, 설정된 인쇄 매수(1매)의 라벨(L)의 인쇄 처리가 완료되고, 그리고 최초의 연번 처리(1회째의 연번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06; Yes, S07, S08; No, S12의 순서로 처리가 실행된다.
이 상태(D04)에서, 유저에 의해, 「아오키」가 소거되어 「이토」가 입력된 후(D05 및 D06), [인쇄]키(11)가 눌러지면, 인쇄 실행 화면으로 천이되어, D06의 표시 내용의 라벨(L), 즉 도 4(a)의 라벨(Lb)이 인쇄된다(D07). 여기에서는, 유저에 의해 「학생 이름(임의 텍스트 부분)」이 편집된 후에 인쇄가 지시되기 때문에, 인쇄 매수 설정 화면 표시 플래그는 「OFF」상태로 되어 있어, 인쇄 매수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일 없이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13; Yes, S14, S02, S03; No, S05의 순서로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인쇄 종료 후, 연번 처리에 의해 「학생 번호」가 「3」으로 갱신됨과 함께, 「학생 이름(이토)」이 소거된 텍스트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D08). 즉, 화면(D08)을 표시할 때, 1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1매째의 라벨(La)의 내용)와, 2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2매째의 라벨(Lb)의 내용)가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에 기억되어 있어, 양자의 비교의 결과, 「아오키」와 「이토」가 상이한 부분이라고 판정되기 때문에, 화면(D08)에는, 본래라면 표시되어야 할 「이토」가 소거되어 표시된다. 즉, 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06; Yes, S07, S08; Yes, S09, S10; Yes, S11, S12의 순서로 처리가 행해진다.
이어서, 이 상태(D08)에서, 유저에 의해 「우에다」가 입력된 후(D09), [인쇄]키(11)가 눌러지면, 인쇄 실행 화면으로 천이하여, D09의 표시 내용의 라벨(L), 즉 도 4(a)의 라벨(Lc)이 인쇄된다(D10). 즉, 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13; Yes, S14, S02, S03; No, S05의 순서로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인쇄 종료 후, 연번 처리에 의해 「학생 번호」가 「4」로 갱신됨과 함께, 「학생 이름(우에다)」이 소거된 텍스트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D11). 즉, 화면(D11)을 표시할 때, 2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었던 인쇄 정보(2매째의 라벨(Lb)의 내용)와, 3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었던 인쇄 정보(3매째의 라벨(Lc)의 내용)가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에 기억되어 있어, 양자의 비교의 결과, 「이토」와 「우에다」가 상이한 부분이라고 판정되기 때문에, 화면(D11)에는, 본래라면 표시되어야 할 「우에다」가 소거되어 표시된다. 즉, 도 3의 플로우 차트의 S06; Yes, S07, S08; Yes, S09, S10; Yes, S11, S12의 순서로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따르면, 연번 처리를 2회 이상 행한 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과거에 연번 처리 대상이 된 복수의 인쇄 정보를 비교하여, 이들 임의 텍스트(임의 정보)의 상이한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연번 정보에 더하여, 당해 연번 정보 이외의 텍스트의 일부가 상이한 복수매의 라벨(L)을 작성하는 경우, 유저는, 결과적으로 복수매의 라벨(L)을 간단하고, 그리고 효율 좋게 작성(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교에 있어서,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 학생마다, 학교명, 학년, 클래스, 학생 번호(학생 개인을 식별하는 번호) 및, 학생 이름이 들어간 라벨(L)(예를 들면, 도 4(a)의 라벨(La∼Lc) 등)을 작성할 때, 연번 처리에 의해 학생 번호를 갱신하면서, 3매째 이후의 인쇄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학생 이름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 이름 부분의 편집을 간단하고, 그리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에, 비교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를 과거 2회분만 기억해 둠으로써, 과거의 인쇄 정보를 모두 축적 보존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하는 기억 용량(기억 영역)을 줄일 수 있어, 메모리 등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과거 2회분의 인쇄 정보의 비교에 의해 임의 텍스트가 상이한 부분을 특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과거의 인쇄 정보의 모두를 비교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쇄 정보의 비교에 관한 처리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인쇄 지시를 행했을 때, 즉 실제로 인쇄하기 직전에, 유저가 인쇄 매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유저가 소망하는 매수의 라벨(L)을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지시를 행하기 전에, 미리 인쇄 매수를 설정하는 경우, 인쇄 매수의 설정 망각이나 설정 미스(예를 들면, 이전에 설정한 매수가 그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등에 의해,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매수의 라벨(L)을 인쇄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정보 기억 영역(63a)에 기억하는 인쇄 정보로서, 가장 최근의 과거 2회의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를 기억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련의 라벨 작성 처리에 있어서, 최초로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 및, 최후에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쇄 정보를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즉, 연번 처리가 1회 실행된 시점에서는, 1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기억하고, 연번 처리가 2회 실행된 시점에서는, 1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 및 2번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기억하고, 연번 처리가 3회 실행된 시점에서는, 1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 및 3회째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과거 2회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를 기억하고, 이들 2개의 인쇄 정보의 비교에 의해 임의 텍스트가 상이한 부분을 특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과거의 연번 처리 대상이 된 인쇄 정보 모두를 기억하여, 이들 모든 인쇄 정보의 비교에 의해 임의 텍스트의 상이한 부분을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각종 처리(인쇄 정보의 입력이나 편집, 표시에 관한 처리 및, 연번 처리 등)를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지 않고,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구성이나 처리 공정 등에 대해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도 가능하다.
1 : 테이프 인쇄 장치 
3 : 키보드 
5 : 표시 화면 
14 : 연번 키 
40 : 제어부
43 : 인쇄부 
63a : 인쇄 정보 기억 영역 
L : 라벨

Claims (7)

  1. 입력된 연번(serial number) 정보 및 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인쇄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연번 정보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갱신하는 연번 처리를 행하는 연번 처리 수단과,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상기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연번 처리된 상기 인쇄 정보의 상기 임의 정보를 편집 처리하기 위한 편집 수단과,
    입력 및 편집된 상기 인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편집 처리를 위해, 상기 연번 처리가 2회 이상 실행된 후의 상기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기억한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인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임의 정보에 있어서의 상이한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
    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일련의 연번 처리에 있어서, 과거 2회의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상기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일련의 연번 처리에 있어서, 가장 최근의 과거 2회의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상기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일련의 연번 처리에 있어서, 최초로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상기 인쇄 정보 및, 최후에 실행된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된 상기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에 대하여 인쇄 지시가 되었을 때, 인쇄 대상이 되는 상기 인쇄 정보의 인쇄 매수를 설정하기 위한 인쇄 매수 설정 수단
    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입력된 연번 정보 및 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인쇄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연번 정보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갱신하는 연번 처리를 행하는 연번 처리 스텝과,
    연번 처리의 대상이 되는 상기 인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연번 처리된 상기 인쇄 정보의 상기 임의 정보를 편집 처리하기 위한 편집 스텝과,
    상기 편집 처리를 위해, 상기 연번 처리가 2회 이상 실행된 후의 상기 인쇄 정보를 표시할 때, 기억한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인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임의 정보에 있어서의 상이한 부분을 소거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스텝
    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121119A 2009-12-07 2010-12-01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5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7155A JP5375568B2 (ja) 2009-12-07 2009-12-07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9-277155 2009-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349A true KR20110065349A (ko) 2011-06-15
KR101225017B1 KR101225017B1 (ko) 2013-01-22

Family

ID=4379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119A KR101225017B1 (ko) 2009-12-07 2010-12-01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7794B2 (ko)
EP (1) EP2332730A3 (ko)
JP (1) JP5375568B2 (ko)
KR (1) KR101225017B1 (ko)
CN (1) CN102087587B (ko)
TW (1) TWI4091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729B2 (ja) * 2012-11-30 2016-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025053B2 (ja) * 2013-02-14 2016-1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613654B2 (ja) * 2015-06-24 2019-12-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印刷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571999B (zh) * 2019-09-28 2022-09-13 森大(深圳)技术有限公司 多生产线打印任务自适应匹配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215A (ja) 1991-11-29 1993-06-18 Sharp Corp 枠編集機能付き文書処理装置
JP2985910B2 (ja) * 1992-01-08 1999-1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JPH05342201A (ja) * 1992-06-05 1993-12-24 Nec Corp 文書処理方式
JP2642020B2 (ja) * 1992-07-10 1997-08-20 チノン株式会社 ラベル印字装置
JPH07276746A (ja) * 1994-04-07 1995-10-24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刷装置
JP2973836B2 (ja) * 1994-10-06 1999-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JPH08329077A (ja) * 1995-05-31 1996-12-13 Toshiba Corp 添削処理方法
JP3090002B2 (ja) * 1995-09-12 2000-09-18 マ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3693429B2 (ja) 1996-08-20 2005-09-07 株式会社キングジム テープ印刷装置
JPH10217551A (ja) * 1997-02-04 1998-08-18 Max Co Ltd テーププリンタ
JP2000076231A (ja) * 1998-08-31 2000-03-14 Brother Ind Ltd 出力画像データ作成用記録媒体,出力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3945165B2 (ja) 2001-01-15 2007-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キストデータ処理装置
US7040822B2 (en) * 2003-06-04 2006-05-09 Hellermanntyton Corporation Portable printing system
JP4770109B2 (ja) * 2003-07-16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供給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供給方法
JP4483379B2 (ja) * 2004-03-31 2010-06-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877565A (zh) * 2006-07-06 2006-12-13 北京北大方正电子有限公司 一种对页面描述文件自动添加可变文字的方法
JP2008282209A (ja) * 2007-05-10 2008-11-20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情報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443613B2 (ja) * 2008-02-22 2010-03-3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87794B2 (en) 2013-11-19
US20110134454A1 (en) 2011-06-09
CN102087587A (zh) 2011-06-08
CN102087587B (zh) 2013-11-13
TW201132508A (en) 2011-10-01
KR101225017B1 (ko) 2013-01-22
EP2332730A2 (en) 2011-06-15
JP2011116069A (ja) 2011-06-16
TWI409177B (zh) 2013-09-21
JP5375568B2 (ja) 2013-12-25
EP2332730A3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2133B2 (en) Cable label forming apparatus, tape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forming cable label for cable label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5092614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418667B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tape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as well as character input method
KR10122501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909867B2 (ja) ラベル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ラベルデータ処理方法
US20140199105A1 (en) Printing apparatus, tape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KR101248923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단락 배치 결정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EP1201444B1 (en) A label printer
US8797582B2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in the tape printing apparatus
US8472037B2 (en) Documentation apparatus and tape printing apparatus
JP2009048480A (ja) テキスト処理装置、テープ印刷装置、テキスト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109575B2 (ja) 情報処理装置、テープ印刷装置、情報処理装置の文字列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86897B2 (ja) 文字処理装置、文字処理装置の文字判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39652B2 (en) Label crea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label creat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JP2011104797A (ja) 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146272A (ja) 文字処理装置、テープ印刷装置、文字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240391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58564B2 (ja) キャラクタ出力装置、テープ印刷装置、キャラクタ出力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661660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2010221632A (ja) テープ印刷装置、テープ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