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694A -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694A
KR20110062694A KR1020090119489A KR20090119489A KR20110062694A KR 20110062694 A KR20110062694 A KR 20110062694A KR 1020090119489 A KR1020090119489 A KR 1020090119489A KR 20090119489 A KR20090119489 A KR 20090119489A KR 20110062694 A KR20110062694 A KR 2011006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motor
voltage
battery
main re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033B1 (ko
Inventor
송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033B1/ko
Priority to JP2010026994A priority patent/JP5552328B2/ja
Priority to US12/778,425 priority patent/US20110133549A1/en
Priority to DE102010028972.8A priority patent/DE102010028972B4/de
Priority to CN201010184982.6A priority patent/CN102085813B/zh
Publication of KR2011006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릴레이 오프시 발생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이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로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직류변환장치등과 같은 비파워트레인 부품들에 대한 보호 및 고장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주행을 위한 제1모터 및 제2모터; 제1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1인버터 및 제2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2인버터와;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및 제2인버터로 승압 또는 감압시켜 공급하고, 상기 제1인버터 또는 제2인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측으로 감압 또는 승압시켜 공급하는 전압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전압 컨버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 사이에 연결되되, 제1보조릴레이 및 제2보조릴레이를 매개로 연결되는 비파워트레인 부품인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모터, 구동, 릴레이, 인버터, 직류변환장치, 배터리, 컨버터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MOTOR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릴레이 오프시 발생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이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로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직류변환장치등과 같은 비파워트레인 부품들에 대한 보호 및 고장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가솔린 엔진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원을 보조 동력원으로 채택하여, 배기가스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미래형 차량을 말한다.
엔진이 비효율적인 주행환경일 때, 배터리 충방전에 의한 모터의 구동을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load leveling), 또한 감속시에는 브레이크에서 마찰열로 방출되는 운동에너지를 모터의 발전으로 전기로 전환하는 회생제동을 통해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져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동력 전달 계통상 모터의 연결 및 구동 여부에 따라 소프타 타입(Soft type)과 하드 타입(Hard tpye)으로 나누어진다.
기존의 하드 타입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첨부한 도 4를 참조로 살펴보면, 차량 주행을 위한 제1모터(M1) 및 제2모터(M2)와; 제1모터(M1)를 구동 제어하는 제1인버터(1) 및 제2모터(M2)를 구동 제어하는 제2인버터(2)와;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로부터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및 제2인버터(1,2)로 승압시켜 공급하고, 상기 제1인버터(1) 또는 제2인버터(2)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측으로 감압하여 공급하는 전압 컨버터(3)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전압 컨버터(3)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 및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와 전압 컨버터(3) 사이에 연결된 직류변환장치(4) 또는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7)로 대표되는 전기부하 또는 전원공급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류변환장치(4)는 에너지의 흐름이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전력변환장치를 통칭하고, 도 1에서 미설명부호 5,6,8은 각각 12V 보조배터리와, 12V 전장부하와, DC-링크 커패시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가 오프(OFF)되는 순간, 회전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에 의하여 DC-링크 커패시터(8)에 높은 전압(예: 600V)이 유기되고, 이 전압은 전압컨버터(3)를 통해 직류변환장치(4)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7) 등과 같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와 전압컨버터(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비파워트레인계 부품에 인가되는 바, 이에 직류변환장치(4)와 전동식 에에어컨 인버터(7) 등과 같은 부품의 최고 내전압 사양을 증대시켜야 하고, 그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재료 및 제조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동시에 시스템 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직류변환장치(4)의 고장시, 고전압 직류전원용 배터리(B)의 직류전원에 의한 2차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즉시 오프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지는 바, 이때 상기 제1 및 제2인버터(1,2)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결국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을 위한 제1모터(M1) 및 제2모터(M2)의 구동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엔진의 고속회전중에 발전기를 비롯하여 제1 및 제2모터(M1,M2)에 대한 제어 불능 상태로 인하여 발전기에 과도한 회전 및 역기전력이 유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터 회전부 고장 및 과전압 유기에 의한 인버터 소손 가능성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의 오프후에 차량이 정지된 경우에는 제1 및 제2모터(M1,M2)의 구동력이 상실된 상태이므로, 차량 기동이 불가능해지고, 차량 진단을 위한 림프홈 모드 진입도 불가능해져서, 결국 12V보조 배터리에 의한 12V 전원 공급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차량 기동이 불가능해져 견인을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직류변환장치(4)를 이용하여 고전압 배터리로 대표되는 직류전원 용 배터리(B)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가 온(ON)되고, 전압컨버터(3)와 제1 및 제2인버터(1,2)에도 고전압 전원이 인가되는 바, 이때 전압컨버터(3)와 제1 및 제2인버터(1,2)의 IGBT 오작동을 예방하기 위한 제어기의 제어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에 IGBT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에 전원을 인가하여 항시 IGBT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하지만, 이는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의 수명 단축 및 불필요한 부품을 항시 동작시켜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고, 특히 장시간 충전시에는 IGBT 오작동을 예방하기 위한 제어기의 수명 단축 및 오작동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메인릴레이 오프시 발생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이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로 인가되지 않도록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메인릴레이 사이에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 등과 같은 비파워트레인 부품들이 보조릴레이를 통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비파워트레인 부품들에 대한 보호 및 고장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고, 직류변환장치의 고장시에도 보조릴레이에 대한 제어를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차량 주행을 위한 제1모터 및 제2모터; 제1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1인버터 및 제2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2인버터와;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및 제2인버터로 승압 또는 감압시켜 공급하고, 상기 제1인버터 또는 제2인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측으로 감압 또는 승압시켜 공급하는 전압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전압 컨버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 사이에 연결되되, 제1보조릴레이 및 제2보조릴레이를 매개로 연결되는 비파워트레인 부품인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비파워트레인 부품과 파워트레인 부품인 제1 및 제2인버터간의 전기적 영향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에 대한 동작과, 제1 및 제2보조릴레이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비파워트레인 부품인 직류변환장치의 고장 유무 판정 단계와; 고장 판정시, 직류전원용 배터리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 사이에 연결되는 제1보조릴레이 및 제2보조릴레이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차량의 주행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와; 직류변환장치의 고장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이면, 제1 및 제2메인릴레이를 온으로 유지시켜 모터 구동이 계속 이루어 지게 하는 단계와; 직류변환장치의 고장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오프 중이면, 비상기능 버튼을 눌러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를 온시킨 후, 차량 운행이 임시로 이루어지도록 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를 오프시키는 순간, 제1 및 제2보조릴레이가 온된 상태라도, 직류변환장치에 인가되는 모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전압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기부하 및 전기공급장치인 직류변환장치가 고장이 아닌 경우, 직류변환장치를 통한 직류전원용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1 및 제2메인릴레이를 오프시키는 동시에 제1 및 제2보조릴레이를 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릴레이 오프시 발생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이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로 인가되지 않도록 보조릴레이를 채용함으로써, 직류변환장치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 등과 같은 비파워트레인 부품들에 대한 보호 및 고장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전압이 직류변환장치 등에 인가되지 않게 되어, 직류변환장치의 최대 내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고, 직류변환장치의 용량을 저 전압용으로 선택(기존 600V에서 300V로 다운됨)할 수 있어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직류변환장치의 고장시에도 메인릴레이 및 보조릴레이에 대한 제어를 통해 신속하게 A/S를 받을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파워트레인계 부품으로서, 차량 주행을 위한 제1모터(M1) 및 제2모터(M2)에 각각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1인버터(1) 및 제2인버터(2)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 인버터은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전압 컨버터(3)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압 컨버터(3)는 직류전원용 배터리(B)로부터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및 제2인버터(1,2)로 승압 또는 감압시켜 공급하거나, 상기 제1인버터(1) 또는 제2인버터(2)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직류전원용 배터리(B)측으로 감압 또는 승압시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전압 컨버터(3) 사이에는 배터리(B) 전원을 인가 또는 단속하기 위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가 배열되어 있다.
특히,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 사이에는 비파워트레인계 부품인 직류변환장치(4)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7) 등이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 사이에서 직류변환장치(4)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7)로 연결되는 라인상에는 제1보조릴레이(SR3) 및 제2보조릴레이(SR4)가 장착된다.
또한, 전기부하 또는 전원공급장치인 직류변환장치(4)와 같은 비파워트레인 부품과 파워트레인 부품인 제1 및 제2인버터(1,2)간의 전기적 영향을 차단하도록 제어기(미도시됨)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에 대한 동작과, 제1 및 제2보조릴레이(SR3,SR4)에 대한 동작이 제어된다.
첨부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의 고장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전기부하 또는 전원공급장치로 대표되는 비파워트레인 부품인 직류변환장치(4)의 고장시,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 사이에 연결되는 제1보조릴레이(SR3) 및 제2보조릴레이(SR4)가 오프된다.
이에,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가 오프되지 않더라도, 모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직류변환장치(4)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7) 등과 같은 비파워트레인 부품에 대한 보호 및 고장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오프시키는 순간, 제1 및 제2보조릴레이(SR3,SR4)가 온된 상태라도, 직류변환장치(4)에 인가되는 모터의 역기전 력에 의한 과전압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직류변환장치(4)와 전동식 에에어컨 인버터(7) 등과 같은 부품의 최고 내전압 사양을 기존의 600V 사양에서 300V 사양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제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류변환장치(4)의 고장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이면, 제1 및 제2보조릴레이(SR3,SR4)는 오프되지만,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온으로 유지시켜 직류전원용 배터리(B)의 전력에 의한 모터(M1,M2) 구동이 계속 이루어지게 한다.
반면, 상기 직류변환장치(4)의 고장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오프 중이면, 비상기능 버튼을 눌러서 차량의 비상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온시킨 후, 차량 운행이 임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가 A/S센터로 주행하여 갈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전기부하 및 전기공급장치인 직류변환장치(4)가 고장이 아닌 경우, 직류변환장치를 통한 직류전원용 배터리(B)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오프시키는 동시에 제1 및 제2보조릴레이(SR3,SR4)를 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직류변환장치(4)를 이용하여 고전압 배터리로 대표되는 직류전원용 배터리(B)에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충전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가 오프된 상태이므로 전압컨버터(3)와 제1 및 제2인버터(1,2)에 충전시의 고전압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기존에 전압컨버터(3)와 제1 및 제2인버 터(1,2)의 IGBT 오작동 예방을 위해 제어기가 IGBT 오프 제어를 실시하던 불필요한 로직을 배제시켜 제어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인버터
2 : 제2인버터
3 : 전압 컨버터
4 : 직류변환장치
M1 : 제1모터
M2 : 제2모터
B : 직류전원용 배터리
SR1 : 제1메인릴레이
SR2 : 제2메인릴레이
SR3 : 제1보조릴레이
SR4 : 제2보조릴레이

Claims (5)

  1. 차량 주행을 위한 제1모터(M1) 및 제2모터(M2);
    제1모터(M1)를 구동 제어하는 제1인버터(1) 및 제2모터(M2)를 구동 제어하는 제2인버터(2)와;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로부터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및 제2인버터(1,2)로 승압 또는 감압시켜 공급하고, 상기 제1인버터(1) 또는 제2인버터(2)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측으로 감압 또는 승압시켜 공급하는 전압 컨버터(3)와;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전압 컨버터(3)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
    상기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 사이에 연결되되, 제1보조릴레이(SR3) 및 제2보조릴레이(SR4)를 매개로 연결되는 비파워트레인 부품인 직류변환장치(4) 및 전동식 에어컨 인버터(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파워트레인 부품(4,7)과 파워트레인 부품인 제1 및 제2인버터(1,2)간의 전기적 영향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에 대한 동작과, 제1 및 제2보조릴레이(SR3,SR4)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3. 비파워트레인 부품인 직류변환장치(4)의 고장 유무 판정 단계와;
    고장 판정시, 직류전원용 배터리(B)와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 사이에 연결되는 제1보조릴레이(SR3) 및 제2보조릴레이(SR4)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차량의 주행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와;
    직류변환장치(4)의 고장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이면,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온으로 유지시켜 모터(M1,M2) 구동이 계속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와;
    직류변환장치(4)의 고장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오프 중이면, 비상기능 버튼을 눌러서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온시킨 후, 차량 운행이 임시로 이루어지도록 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오프시키는 순간, 제1 및 제2보조릴레이(SR3,SR4)가 온된 상태라도, 직류변환장치에 인가되는 모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전압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전기부하 및 전기공급장치인 직류변환장치(4)가 고장이 아닌 경우, 직류변환장치를 통한 직류전원용 배터리(B)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1 및 제2메인릴레이(SR1,SR2)를 오프시키는 동시에 제1 및 제2보조릴레이(SR3,SR4)를 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090119489A 2009-12-04 2009-12-04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14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489A KR101144033B1 (ko) 2009-12-04 2009-12-04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JP2010026994A JP5552328B2 (ja) 2009-12-04 2010-02-09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2/778,425 US20110133549A1 (en) 2009-12-04 2010-05-12 Motor drive system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10028972.8A DE102010028972B4 (de) 2009-12-04 2010-05-12 Motorantriebssystem für ein Hybridfahrzeu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CN201010184982.6A CN102085813B (zh) 2009-12-04 2010-05-20 用于混合动力车的电动机驱动系统及用于控制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489A KR101144033B1 (ko) 2009-12-04 2009-12-04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694A true KR20110062694A (ko) 2011-06-10
KR101144033B1 KR101144033B1 (ko) 2012-05-23

Family

ID=4397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489A KR101144033B1 (ko) 2009-12-04 2009-12-04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33549A1 (ko)
JP (1) JP5552328B2 (ko)
KR (1) KR101144033B1 (ko)
CN (1) CN102085813B (ko)
DE (1) DE102010028972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7435A (zh) * 2011-08-08 2014-04-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和车辆的控制方法
US10046648B2 (en) 2015-12-15 2018-08-14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6729B2 (en) * 2010-06-09 2013-09-1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ybrid electric power architecture for a vehicle
EP2733843B1 (en) * 2011-07-12 2017-08-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3039874A (ja) * 2011-08-16 2013-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車両
US20130051104A1 (en) * 2011-08-23 2013-02-28 Hitachi Koki Co., Ltd. Battery Adapter and Power Source Device Employing Same
CN104283485B (zh) 2013-07-09 2017-10-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电机控制系统和控制方法
US9481354B2 (en) * 2014-05-08 2016-11-01 Hyundai Motor Company Emergency operation method of hybrid vehicle
US10086703B2 (en) * 2014-12-31 201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driven accessories
JP6699362B2 (ja) * 2016-06-01 2020-05-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FR3053299B1 (fr) * 2016-06-30 2019-08-02 Renault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a puissance disponible sur une chaine de traction electrique d'un groupe motopropulseur hybride
CN109177733B (zh) * 2018-09-28 2022-06-2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控制装置、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032737B1 (en) * 2020-11-04 2023-10-04 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 Ltd.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after hybrid vehicle battery failure
JP2022156736A (ja) * 2021-03-31 2022-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プログラム及び車両制御方法
CN113954818B (zh) * 2021-09-29 2024-02-23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混动车跛行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模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334B2 (ja) * 1995-08-03 2002-0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制御装置
JP3540209B2 (ja) * 1999-08-25 2004-07-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3702749B2 (ja) * 2000-05-24 2005-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776348B2 (ja) * 2001-12-10 2006-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3567437B2 (ja) * 2002-03-28 2004-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駆動装置の給電装置
KR100461272B1 (ko) * 2002-07-23 2004-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원 단속장치
JP3763291B2 (ja) * 2002-07-24 2006-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装置の制御方法
CN100519258C (zh) * 2004-08-25 2009-07-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及其控制方法
JP2006278210A (ja) * 2005-03-30 2006-10-12 Toyota Motor Corp 故障診断装置および故障診断方法
JP4701821B2 (ja) * 2005-05-02 2011-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荷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JP2007228753A (ja) * 2006-02-24 2007-09-06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JP2007245999A (ja) * 2006-03-17 2007-09-27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
JP4548371B2 (ja) * 2006-03-23 2010-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装置
JP4245624B2 (ja) * 2006-09-20 2009-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4905204B2 (ja) 2007-03-22 2012-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荷駆動装置
JP4962184B2 (ja) * 2007-07-18 2012-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装置
JP2009171644A (ja) * 2008-01-10 2009-07-30 Toyota Motor Corp 車両の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315232B1 (ja) * 2008-03-17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JP2009232652A (ja) 2008-03-25 2009-10-08 Aisin Aw Co Ltd 回転電機制御システム及び当該回転電機制御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駆動システム
JP4450095B2 (ja) * 2008-07-11 2010-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4438887B1 (ja) * 2008-09-26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及び電動車両の充電制御方法
WO2010067417A1 (ja) * 2008-12-09 2010-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システム
EP2431211A1 (en) * 2009-05-13 2012-03-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vehicle in which same is installed
JP4957873B2 (ja) * 2009-08-07 2012-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952564B2 (en) * 2009-08-07 2015-02-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source system for electric powered vehicle
CN102574471B (zh) * 2009-09-09 2014-03-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的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124973B1 (ko) * 2009-12-03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고장 제어 방법
JP5144819B2 (ja) * 2010-05-12 2013-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7435A (zh) * 2011-08-08 2014-04-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和车辆的控制方法
CN103717435B (zh) * 2011-08-08 2016-05-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和车辆的控制方法
US10046648B2 (en) 2015-12-15 2018-08-14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2328B2 (ja) 2014-07-16
US20110133549A1 (en) 2011-06-09
KR101144033B1 (ko) 2012-05-23
JP2011116328A (ja) 2011-06-16
DE102010028972A1 (de) 2011-06-09
DE102010028972B4 (de) 2022-09-22
CN102085813A (zh) 2011-06-08
CN102085813B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03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방법
US9371005B2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managing same
KR101702160B1 (ko) 에너지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방법 및 장치
CN102421626B (zh) 电力转换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搭载该电力转换装置的车辆
KR20110062178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이의 고장 제어 방법
JP501028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8047317B2 (en) System, vehicle, and method
JP2010162996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2016510706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動作方法及び配置
JP5550788B2 (ja) ディーゼルハイブリッド車両システム
TWI616366B (zh) Work vehicle
EP2636556A1 (en) Train car system control device
JP2013051831A (ja) 電動車両の電源制御装置
JP5674086B2 (ja) ハイブリッド型建設機械
JP2015168293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2018174625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5675561B2 (ja) 電気自動車
JP5419745B2 (ja) 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6365054B2 (ja) 電動車両
WO2014041695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推進制御装置
KR20150008378A (ko) 절연 접촉기 천이 극성 제어
KR101854017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발전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5429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12v 보조배터리의 충전 전압 제어 방법
US7191857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900267B2 (ja) 電源装置およびリレーの溶着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