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644A -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644A
KR20110061644A KR1020117009619A KR20117009619A KR20110061644A KR 20110061644 A KR20110061644 A KR 20110061644A KR 1020117009619 A KR1020117009619 A KR 1020117009619A KR 20117009619 A KR20117009619 A KR 20117009619A KR 20110061644 A KR20110061644 A KR 2011006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movement
sensor
recognized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740B1 (ko
Inventor
마사유끼 고또
마꼬또 호소이
히데까즈 이또
시게후미 야마다
요시히로 다까마쯔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손가락 센서를 이용한 조작으로,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휴대 단말기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손가락 센서와,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의 조작 지시에 상당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손가락 센서로부터 손가락이 분리된 것의 인식과, 상기 손가락 센서에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과의 기간이 인간의 신체적 제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보다도 짧은 경우에, 상기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 및, 상기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으로부터 다음에 손가락이 분리된 것의 인식까지의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의 인식을, 상기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INPUT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지문 센서를 사용한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의 시큐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지문 인증을 위한 지문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가 널리 이용되도록 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지문 센서가 달린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지문 인증에 의해 인증되지 않으면, 로그인 등의 중요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삼자에게 정보의 누설 등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지문 센서 중에는, 지문 인증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조작 입력을 위해 이용되는 것이 있다. 지문 센서에 터치 패널과 같은 조작 입력의 기능을 갖게 하여, 드래그나 더블 탭 등의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버튼 조작만의 조작에 비교하여, 휴대 단말기의 이용자는, WEB 브라우저 등의 고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5507호 공보
지문 센서를 지문 인증 외에, 조작 입력에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지문 센서에 검지됨으로써, 휴대 단말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지문 센서가, 이용자의 손가락이 지문 센서 상에 놓여있는지의 여부나, 손가락이 지문 센서 상을 이동한 거리와 방향을 검출할 수 있지만, 이용자의 의도적으로 지문 센서를 만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면, 이용자가 지문 센서에 주의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를 손에 든 상황에서, 손가락이 지문 센서에 닿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지문 센서에 검지되고, 정보 처리 장치에 인식되어,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개시된 기술은,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지문 센서 등의 검지 수단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휴대 단말기는,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로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지문 센서와, 상기 지문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의 조작 지시에 상당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지문 센서로부터 손가락이 분리된 것이 검출되고 나서, 상기 지문 센서에 손가락이 놓인 것이 검출될 때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길이보다도 짧은 경우에, 다음에 상기 지문 센서에 손가락이 놓인 것을 나타내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검출되어도, 그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에 닿은 경우에 검출되는 특징적인 사상에 기초하여,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검출 결과를 배제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되고, 쾌적한 유저빌리티가 얻어진다.
도 1은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중, 처리 1의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중, 처리 2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중, 처리 3의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중, 처리 4의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4에 계속되는 처리 5 내지 8의 플로우차트.
도 9는 휴대 전화기의 핑거 포인터 설정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지문 센서에 손가락이 놓여져 있지 않은 경우의 커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는 의도적으로 지문 센서(4)에 닿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b는 의도적으로 드래그 동작을 행한 경우에 검출되는 이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c는 의도적으로 드래그 동작을 행한 경우의 커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a는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닿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b는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닿은 경우에 얻어지는 지문의 상(像)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c는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닿은 경우에 검출되는 이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d는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닿은 경우의 커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a는 인간이 더블 탭 동작을 행한 경우의 타임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b는 손가락의 미묘한 움직임에 의해서 더블 탭이 오인식된 경우의 타임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c는 손가락의 미묘한 움직임에 의해서 더블 탭이 오인식되는 경우에 검출되는 이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a는 인간이 더블 탭 동작을 행한 경우의 타임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b는 손가락의 미묘한 움직임에 의해서 더블 탭이 오인식된 경우의 타임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c는 손가락의 미묘한 움직임에 의해서 더블 탭이 오인식되는 경우에 검출되는 이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개시하는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원이 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을 행하지만, 본원이 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형 정보 단말기 등의 각종 기기를 포함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서, 참조 부호 1은 디스플레이, 참조 부호 2는 조작키, 참조 부호 3은 멀티 커서키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B)에서, 참조 부호 4는 지문 센서, 참조 부호 5는 카메라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는, 상부 케이스(13)와 하부 케이스(14)로 이루어지는 접이형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와 조작키(2)와 멀티 커서키(3)로 이루어지는 표면측과, 지문 센서(4)와 카메라(5)로 이루어지는 이면측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3)에는, 표면측에 디스플레이(1)와 이면측에 카메라(5)를 수용하고, 하부 케이스(14)에는, 표면측에 조작키(2)와 멀티 커서키(3)와, 이면측에 지문 센서(4)를 수용하고 있다. 지문 센서(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에 비해 사이즈가 매우 작고, 길이 방향으로 10㎜ 정도의 크기이다.
여기서, 지문 센서가 휴대 전화기의 이면에 위치함으로써, 이용자의 손가락이 의도하지 않고 지문 센서(4)에 닿음으로써 생기는 오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지문 센서가 휴대 전화기의 이면에 위치함으로써, 이용자는 휴대 전화기를 한쪽 손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지문 센서에 손가락을 닿게 할 수 있다. 지문 센서(4)는, 8㎳마다 얻어지는 지문의 화상을 패턴 매칭함으로써, 손가락의 움직임의 방향과 크기를 검출한다. 인간이 손가락을 움직이는 속도는, 최대로 20㎝/s 정도이므로, 길이 방향 10㎜ 정도의 지문 센서(4)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이어도, 8㎳ 간격으로 얻어진 화상에는, 지문의 패턴이 일치하는 부분이 포함된다. 그리고, 지문의 패턴이 일치하는 부분이 검출되면, 그들의 화상이 얻어지는 사이에, 손가락이 어느 방향으로 얼만큼 이동한 것인지를 산출할 수 있다.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전혀 닿지 않은 경우에는, 지문 센서(4)에 의해서 얻어지는 각 화상에는 지문의 상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의 이동은 검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1) 상에 표시되는 커서는, 도 10과 같이 정지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용자가, 의도적으로 지문 센서(4)를 만지는 경우에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문 센서(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손가락이 놓여지고, 이 상태에서 드래그 조작 등이 행해진다. 여기서,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조작이 행해졌다고 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문 센서(4)에서 종방향의 이동량이 연속적으로 검출되고, 디스플레이(1) 상에 표시되는 커서는, 도 11c과 같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지문 센서가 휴대 전화기의 이면에 위치함으로써, 한쪽 손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지문 센서에 손가락을 닿게 할 수 있는 한편,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이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쥔 경우에, 이용자의 손가락이 의도하지 않고 지문 센서(4)의 단부에 닿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지문 센서(4)에서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문의 상을 포함하는 화상이 연속해서 얻어지지만, 손가락을 지문 센서에 대하여 슬라이드시키지 않은 경우라도, 의도하지 않고 지문 센서에 손가락이 닿은 것에 의한 손가락의 미묘한 움직임, 예를 들면, 수직 방향의 미소한 움직임에 의해서 각 화상에 상위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각 화상에 상위가 있으면, 지문 센서(4)는,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차분을 손가락의 이동으로서 검출한다. 그 결과,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의도하고 있지 않은 것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1) 상에 표시되는 커서가 이동하게 된다고 하는 오작동이 생겼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손가락이 의도하지 않고 지문 센서(4)에 닿았기 때문에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서는, 인간의 신체적인 제약을 초과한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그 움직임과, 그 움직임으로부터 생기는 일련의 동작을 무시한다.
예를 들면, 인간이 의도적으로 지문 센서로부터 손가락을 분리한 후, 다시, 손가락을 놓은 경우, 손가락의 올림과 내림 동작이 포함되므로, 지문 센서(4)로부터 손가락을 분리하고 나서, 다음의 조작을 위해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닿을 때까지 최저라도 80㎳ 정도를 요한다.
도 13a는, 인간이 「손가락 놓음(1회째)」로부터 「손가락 분리(1회째)」에 이르는 슬라이드 동작을 행한 후, 다음의 동작, 예를 들면, 탭ㆍ더블 탭ㆍ슬라이드 등을 행하기 위해 「손가락 놓음(2회째)」를 행하는 경우의 타임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올림과 내림 동작에는, 인간에게는 신체적인 제약에 수반하는 최저한의 시간이 필요하며,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째의 손가락 분리가 검출되고 나서 2회째의 손가락 놓음이 검출될 때까지, 150㎳를 요하고 있다.
한편, 손가락이 의도하지 않고 지문 센서(4)에 닿은 것에 의해, 손가락 놓음이나 손가락의 이동이 인식되는 오인식의 경우, 지문 센서가 80㎳보다 짧은 간격으로 손가락 분리와 손가락 놓음을 검출하였다면, 인간에게는 신체적인 제약에 수반하는 최저한의 시간을 하회하는 것이므로, 그 검출 결과는 오인식인 것으로 판단하고, 손가락의 움직임으로서는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b는,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에 닿아 오인식된 경우의, 지문 센서의 출력을 도시하는 타임 차트이다. 도 13b에서, 「손가락 놓음(1회째)」의 오인식 후, 「손가락 분리(1회째)」의 오인식과, 「손가락 놓음(2회째)」의 오인식의 간격은 40㎳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서는, 손가락 분리로부터 다음의 손가락 놓음까지의 시간이 80㎳보다도 짧으면, 그 다음에 검출되는 「손가락 놓음(2회째)」, 및, 「손가락 놓음(2회째)」에 계속되는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에 닿은 것에 의한 오인식의 결과를, 손가락의 움직임으로서 오검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손가락 놓음(1회째)」의 오인식에 대해서는 「손가락 분리(1회째)」의 오인식과의 간격이 떨어져 있으므로, 손가락의 움직임으로서 오검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지만, 「손가락 놓음(2회째)」, 및, 「손가락 분리(2회째)」의 각각의 입력만을 무시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놓음(2회째)」에 계속되는 입력에 대해서도 무시함으로써,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에 닿아 오인식된 것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c에 도시한 예에서는, 「손가락 분리(1회째)」의 오인식으로부터 「손가락 놓음(2회째)」의 오인식까지의 시간이 34㎳밖에 없기 때문에, 「손가락 분리(1회째)」, 「손가락 놓음(2회째)」, 및, 다음의 손가락 분리까지의 이벤트가 무시되고, 이에 의해,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손가락의 지문 센서에의 접촉에 의한 오인식이, 손가락의 움직임으로서 오검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오인식이 손가락의 움직임으로서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분리로부터 손가락 놓음까지의 시간이 아니라, 손가락 놓음로부터 다음의 손가락 놓음까지 시간을 계측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인간이 더블 탭 동작을 행하는 경우, 손가락의 올림과 내림이 필요하게 되므로, 1회째의 탭을 위해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닿고 나서, 2회째의 탭을 위해 손가락이 지문 센서(4)에 닿을 때까지 최저라도 120㎳ 정도를 요한다.
도 14a는, 인간이 더블 탭 동작을 행한 경우의 타임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1회째의 손가락 놓음이 검출되고 나서 2회째의 손가락 놓음이 검출될 때까지, 160㎳를 요하고 있다. 또한, 도 14a에서는, 1회째의 손가락 놓음의 후의 손가락 분리의 타이밍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한편, 의도하지 않고 지문 센서(4)에 닿은 손가락의 미묘한 움직임에 의해서 더블 탭이 오인식되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올림과 내림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1회째의 손가락 놓음으로부터, 2회째의 손가락 놓음까지 요하는 시간은, 120㎳보다도 짧아진다.
도 14b는, 손가락의 미묘한 움직임에 의해서 더블 탭이 오인식된 경우의 타임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1회째의 손가락 놓음이 검출되고 나서 2회째의 손가락 놓음이 검출될 때까지, 80㎳밖에 요하지 않는다. 또한, 도 14b에서도, 1회째의 손가락 놓음 후의 손가락 분리의 타이밍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서는, 손가락 놓음으로부터 120㎳가 경과될 때까지 검출된 다른 손가락 놓음을 무시함으로써, 더블 탭의 오인식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도 14c에 도시한 예에서는, 2회째의 손가락 놓음이, 1회째의 손가락 놓음으로부터 76㎳밖에 경과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시되고, 이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더블 탭의 오인식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서는, 손가락의 이동량(속도)이나 이동량 차(가속도), 손가락의 이동 방향 등을 감시하여, 인간에게는 신체적인 제약을 초과하는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그 움직임을 무시함으로써, 각종 조작의 오인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 더블 탭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임계값으로서 80㎳나 120㎳라고 하는 값을 나타냈지만, 이들은 인간에게는 신체적인 제약에 수반하는 예이며, 지문 센서(4)의 특성이나 이용자의 운동 능력 등에 맞춰서 이들의 값을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입력 제어에 관한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조작 입력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참조 부호 3은 멀티 커서키, 참조 부호 4는 지문 센서, 참조 부호 6은 지문 센서 드라이버, 참조 부호 7은 키 드라이버, 참조 부호 8은 래퍼, 참조 부호 9는 프레임 워크, 참조 부호 10은 어플리케이션, 참조 부호 11은 포인터계 어플리케이션, 참조 부호 12는 키계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지문 센서 드라이버(6)는, 지문 센서(4)에 의해 검출하는 손가락의 화상 정보를 기초로, 손가락의 동작을 판단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를 래퍼(8)에 통지한다. 그 이벤트에는, 상하 좌우측 키 이벤트, 좌표 이벤트, 우측 클릭 이벤트, 센서 터치 이벤트 등이 포함된다. 상하 좌우측 키 이벤트는, 이용자가 손가락으로 지문 센서(4)를 터지하여 움직였을 경우에서의 손가락의 방향을 상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한 이벤트이다. 좌표는, 이용자가 손가락으로 지문 센서(4)를 터치하여 움직였을 경우에서의 방향이나 이동량을 상대 좌표(이동 좌표)로 변환한 이벤트이다. 우측 클릭은, 지문 센서(4)를 탭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이다. 센서 터치는, 지문 센서(4)에 손가락이 닿았을 때, 손가락이 분리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이벤트이다.
키 드라이버(7)는, 멀티 커서키(3)의 상하 좌우, 결정키가 눌려지면, 눌려진 키를 나타내는 이벤트를 프레임 워크(9) 경유로 어플리케이션(10)에 통지한다.
래퍼(8)는, 지문 센서 드라이버(6)로부터 통지되는 좌표 이벤트, 상하 좌우측 키 이벤트 등에 대하여, 이용자가 위화감 없이 조작할 수 있는 보정을 하여, 프레임 워크(9) 경유로 어플리케이션(10)에 통지한다. 또한, 래퍼(8)는, 지문 센서 드라이버(6)로부터 통지되는 우측 클릭 이벤트나 센서 터치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10)이 필요한 이벤트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래퍼(8)는, 지문 센서 드라이버(6)로부터 통지되는 센서 터치 이벤트와 좌표 이벤트를, 드래그 조작을 나타내는 드래그키 이벤트로 변환하여, 프레임 워크(9) 경유로 어플리케이션(10)에 통지한다. 또한, 래퍼(8)는, 연속해서 검출된 우측 클릭 이벤트를 더블 탭 이벤트(결정키 이벤트)로 변환하여, 프레임 워크(9) 경유로 어플리케이션(10)에 통지한다.
또한, 래퍼(8)는,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실행한다.
프레임 워크(9)는, 래퍼(8)로부터 통지된 이벤트를, 도 9의 핑거 포인터 설정 화면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필터링한다. 즉, 프레임 워크(9)는, 핑거 포인터 설정 화면에 있어서 [1] 모든 기능 유효가 선택된 경우에는, 래퍼(8)로부터 통지된 이벤트를 항상 어플리케이션(10)에 통지한다. 또한, 프레임 워크(9)는, 핑거 포인터 설정 화면에 있어서 [2] 풀 브라우저/i어플리케이션 유효가 선택된 경우에는, 래퍼(8)로부터 통지된 이벤트를 WEB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만 통지한다. 또한, 프레임 워크(9)는, 핑거 포인터 설정 화면에 있어서 [3] 무효가 선택된 경우에는, 래퍼(8)로부터 통지된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10)에 통지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10) 중, 포인터계 어플리케이션(11)은, 프레임 워크(9) 경유로 래퍼(8)와 키 드라이버(7)로부터 통지되는 각종 이벤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어플리케이션(10) 중, 키계 어플리케이션(12)은, 프레임 워크(9) 경유로 키 드라이버(7)로부터 통지되는 각종 이벤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래퍼(8)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래퍼(8)는, 지문 센서 드라이버(6)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한다(스텝 S1). 다음으로, 지문 센서 드라이버(6)로부터 수신한 이벤트마다 처리를 분류한다(스텝 S2). 구체적으로는, 좌표 이벤트를 수신하면 스텝 S3으로, 키 이벤트를 수신하면 스텝 S4로, 우측 클릭 이벤트를 수신하면 스텝 S9로, 센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면 스텝 S5로 천이한다.
수신한 이벤트가 좌표 이벤트이면, 래퍼(8)는,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미설정이면(스텝 S3 부정), 스텝 S12로 천이한다. 한편,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3 긍정),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를 해제하고(스텝 S6), 그 후에 스텝 S12로 천이한다.
계속해서, 래퍼(8)는, 통지 불가 플래그가 OFF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OFF이면(스텝 S12 긍정), 스텝 S13으로 천이한다. 한편, 통지 불가 플래그가 ON인 경우, 즉,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는(스텝 S12 부정), 좌표 이벤트를 폐기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4).
통지 불가 플래그가 OFF이었던 경우, 래퍼(8)는, 좌표 이벤트가 나타내는 좌표를 각도로 변환한다(스텝 S13). 구체적으로는, 래퍼(8)는, 좌표 이벤트가 나타내는 좌표와 원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각도를,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면, 통지된 좌표가, (1, 0)이면, 각도로서 0도가 산출되고, 통지된 좌표가, (1, -1)이면, 각도로서 45도가 산출되고, 통지된 좌표가, (0, 1)이면, 각도로서 270도가 산출된다.
그리고, 래퍼(8)는, 산출한 각도를, 전회 통지된 좌표에 기초하여 산출한 각도와 비교하고, 각도가 180±α도 변화하고 있고, 각도가 180±α도 변화하는 것이 연속해서 m회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5). 여기서, 이들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는(스텝 S15 긍정), 래퍼(8)는, 통지 불가 플래그를 ON으로 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9).
즉, 손가락의 반전 이동이 몇 번이나 연속해서 검출되는 것은, 인간의 능력으로부터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상이 검출된 경우는, 래퍼(8)는,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검출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위에의 이벤트의 통지를 중단한다.
한편, 스텝 S15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래퍼(8)는, 스텝 S13에서 산출한 각도를, 전회 통지된 좌표에 기초하여 산출한 각도와 비교하고, 각도가 90±β도 변화하고 있고, 각도가 90±β도 변화하는 것이 연속해서 z회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6). 여기서, 이들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는(스텝 S16 긍정), 래퍼(8)는, 통지 불가 플래그를 ON으로 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9).
즉, 수직 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이동이 몇 번이나 연속해서 검출되는 것은, 인간의 능력으로부터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상이 검출된 경우는, 래퍼(8)는,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검출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위에의 이벤트의 통지를 중단한다.
한편, 스텝 S16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래퍼(8)는, 금회의 좌표 이벤트에서 통지된 이동량과 전회의 좌표 이벤트에서 통지된 이동량과의 차인 이동량 차가 임계값 n 이상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18). 여기서, 이동량 차가 n 이상이면(스텝 S18 긍정), 래퍼(8)는, 통지 불가 플래그를 ON으로 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9).
즉, 이동량 차가 임계값 n 이상으로 되는 것은, 인간의 능력으로부터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상이 검출된 경우는, 래퍼(8)는,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검출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위에의 이벤트의 통지를 중단한다.
한편, 스텝 S18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래퍼(8)는, 처리 1로 천이한다.
또한, 스텝 S1에서 수신한 이벤트가 키 이벤트이면, 래퍼(8)는,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미설정이면(스텝 S4 부정), 스텝 S8로 천이한다. 한편,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4 긍정),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를 해제하고(스텝 S7), 그 후에 스텝 S8로 천이한다.
계속해서, 래퍼(8)는, 통지 불가 플래그가 OFF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OFF이면(스텝 S8 긍정), 처리 4로 천이한다. 한편, 통지 불가 플래그가 ON인 경우, 즉,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는(스텝 S8 부정), 키 이벤트를 폐기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0).
또한, 스텝 S1에서 수신한 이벤트가 우측 클릭 이벤트이면, 래퍼(8)는, 통지 불가 플래그가 OFF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OFF이면(스텝 S9 긍정), 처리 2로 천이한다. 한편, 통지 불가 플래그가 ON인 경우, 즉,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는(스텝 S9 부정), 우측 클릭 이벤트를 폐기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1).
또한, 스텝 S1에서 수신한 이벤트가 센서 터치 이벤트이면, 래퍼(8)는, 통지 불가 플래그를 OFF로 설정하고(스텝 S5), 처리 3으로 천이한다. 즉, 이 경우, 래퍼(8)는,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의 검출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위에의 이벤트의 통지를 재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처리 1의 플로우차트이다. 래퍼(8)는, 좌표 이벤트의 X 좌표와 보정값 a, b로부터, 보정 좌표 X=통지된 X 좌표×보정값 a÷보정값 b라고 하는 계산식에 의해 보정 좌표 X를 계산한다. 또한, 좌표 이벤트의 Y 좌표와 보정값 a, b로부터, 보정 좌표 Y=통지된 Y 좌표×보정값 a÷보정값 b라고 하는 계산식에 의해 보정 좌표 Y를 계산한다(스텝 S20).
그리고, 래퍼(8)는, 계산된 보정 좌표 X, Y로 좌표 이벤트로서 프레임 워크(9)에 통지한다(스텝 S21).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처리 2의 플로우차트이다. 래퍼(8)는, 우측 클릭 이벤트가, 우측 클릭 Down키(지문 센서(4)에 손가락이 터치하였을 때를 나타냄)이면(스텝 S22 긍정), 스텝 S24로 천이한다. 한편, 우측 클릭 이벤트가 우측 클릭 Up키(지문 센서(4)에 손가락이 터치하여, 바로 분리하였을 때를 나타냄)이면, 그 이벤트는 불필요하므로 폐기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23).
우측 클릭 이벤트가 우측 클릭 Down키이었던 경우, 래퍼(8)는, 더블 탭을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인 더블 탭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4). 여기서, 더블 탭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금회의 우측 클릭 이벤트가 1회째의 탭인 경우는(스텝 S24 부정), 래퍼(8)는, 더블 탭 감시 타이머에 타이머값 N을 설정한다(스텝 S25). 타이머값 N은, 2개의 연속하는 탭을 더블 탭으로 간주하는 간격의 최대값이다.
스텝 S24에서 더블 탭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 래퍼(8)는, 또한, 더블 탭 유효 감시 타이머에 타이머값 M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26). 더블 탭 유효 감시 타이머는, 탭 Down(손가락 놓음)로부터 다음 탭 Down(손가락 놓음)까지의 간격을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이며, 타임아웃 시에 더블 탭 유효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 타이머값 M은, 인간이 연속해서 탭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탭 Down(손가락 놓음)의 간격의 최소값이며, 예를 들면, 120㎳이다.
스텝 S24에서 더블 탭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 즉, 해당하는 이벤트가 더블 탭에서의 2회째의 탭에 상당하는 경우(스텝 S24 긍정), 래퍼(8)는, 더블 탭 감시 타이머를 해제한다(스텝 S27).
그리고, 더블 탭 유효 플래그가 ON인 경우, 즉, 더블 탭 유효 감시 타이머가 이미 타임아웃되어 있는 경우는(스텝 S28긍정), 더블 탭 이벤트(결정키 이벤트)를 프레임 워크(9)에 통지한다(스텝 S29). 계속해서, 래퍼(8)는, 더블 탭 유효 플래그를 OFF로 설정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30).
한편, 더블 탭 유효 플래그가 OFF인 경우, 즉, 전회의 탭 Down(손가락 놓음)로부터 타이머값 M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스텝 S28 부정), 래퍼(8)는, 더블 탭 이벤트(결정키 이벤트)를 통지하지 않고,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처리 3의 플로우차트이다. 래퍼(8)는, 센서 터치 이벤트가, 손가락이 놓여 있는 상태(지문 센서에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 여기서, 손가락이 놓여 있는 상태가 아니면, 즉, 손가락이 분리된 상태가 검출된 경우는(스텝 S31 부정), 래퍼(8)는,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32 긍정),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를 해제하고(스텝 S33), 프레임 워크(9)에 드래그 OFF(드래그 종료)를 통지한다(스텝 S34).
계속해서, 래퍼(8)는, 센서 터치 감시 타이머에 타이머값 K를 설정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35). 센서 터치 감시 타이머는, 손가락 분리로부터 손가락 놓음까지의 간격을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타이머값 K는, 인간이 연속해서 탭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손가락 분리로부터 손가락 놓음까지의 시간의 최소값이며, 예를 들면, 80㎳이다.
한편 스텝 S31에서 손가락이 놓여 있는 상태이었던 경우, 즉, 손가락 놓음의 상태가 검출된 경우(스텝 S31 긍정), 래퍼(8)는,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를 설정한다(스텝 S36). 드래그 모드 감시 타이머는, 단순한 탭이나 손가락 놓음을 드래그 조작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머이며, 타임아웃한 경우, 프레임 워크(9)에 드래그 ON(드래그 개시)을 통지한다.
계속해서, 래퍼(8)는, 센서 터치 감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37 긍정), 통지 불가 플래그를 ON으로 하여, 상위에의 이벤트의 통지를 중단한다(스텝 S38). 그리고, 래퍼(8)는,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처리 4의 플로우차트이다. 래퍼(8)는, 키 이벤트의 종별을 판단하고(스텝 S40), 처리를 분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키 Down이라면 스텝 S41로, 하측 키 Down이라면 스텝 S43으로, 좌측 키 Down이라면 스텝 S45로, 우측 키 Down이라면 스텝 S47로, 상측 키 Up이라면 스텝 S49로, 하측 키 Up이라면 스텝 S52로, 좌측 키 Up이라면 스텝 S55로, 우측 키 Up이라면 스텝 S58로 각각 천이한다.
상측 키 Down의 경우, 래퍼(8)는, 상측 키 이벤트가 통지된 수를 감시하기 위해, 상측 키 카운터를 갱신(+1)한다(스텝 S41). 그리고, 상측 키 이벤트가 일정 시간 이내에 계속해서 통지된 것을 감시하기 위해, 상측 키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측 키 타이머가 설정 완료된 경우, 타이머의 재설정을 행하고(스텝 S42), 처리 5로 천이한다. 상측 키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경우, 상측 키 카운터는, 0으로 클리어된다.
하측 키 Down의 경우, 래퍼(8)는, 하측 키 이벤트가 통지된 수를 감시하기 위해, 하측 키 카운터를 갱신(+1)한다(스텝 S43). 그리고, 하측 키 이벤트가 일정 시간 이내에 계속해서 통지된 것을 감시하기 위해, 하측 키 타이머를 설정하고, 하측 키 타이머가 설정 완료된 경우, 타이머의 재설정을 행하고(스텝 S44), 처리 6으로 천이한다. 하측 키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경우, 하측 키 카운터는, 0으로 클리어된다.
좌측 키 Down의 경우, 래퍼(8)는, 좌측 키 이벤트가 통지된 수를 감시하기 위해, 좌측 키 카운터를 갱신(+1)한다(스텝 S45). 그리고, 좌측 키 이벤트가 일정 시간 이내에 계속해서 통지된 것을 감시하기 위해, 좌측 키 타이머를 설정하고, 좌측 키 타이머가 설정 완료된 경우, 타이머의 재설정을 행하고(스텝 S46), 처리 7로 천이한다. 좌측 키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경우, 좌측 키 카운터는, 0으로 클리어된다.
우측 키 Down의 경우, 래퍼(8)는, 우측 키 이벤트가 통지된 수를 감시하기 위해, 우측 키 카운터를 갱신(+1)한다(스텝 S47). 그리고, 우측 키 이벤트가 일정 시간 이내에 계속해서 통지된 것을 감시하기 위해, 우측 키 타이머를 설정하고, 우측 키 타이머가 설정 완료된 경우, 타이머의 재설정을 행하고(스텝 S48), 처리 8로 천이한다. 우측 키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경우, 우측 키 카운터는, 0으로 클리어된다.
상측 키 Up의 경우, 래퍼(8)는, 프레임 워크(9)에 상측 키 Up를 통지하고(스텝 S49), 상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50), 상측 키 타이머를 해제한다(스텝 S51).
하측 키 Up의 경우, 래퍼(8)는, 프레임 워크(9)에 하측 키 Up를 통지하고(스텝 S52), 하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53), 하측 키 타이머를 해제한다(스텝 S54).
좌측 키 Up의 경우, 래퍼(8)는, 프레임 워크(9)에 좌측 키 Up를 통지하고(스텝 S55), 좌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56), 좌측 키 타이머를 해제한다(스텝 S57).
우측 키 Up의 경우, 래퍼(8)는, 프레임 워크(9)에 우측 키 Up를 통지하고(스텝 S58), 우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59), 우측 키 타이머를 해제한다(스텝 S60).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처리 4에 계속되는, 처리 5∼8의 플로우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A)가 처리 5에 상당하고, 도 8의 (B)가 처리 6에 상당하고, 도 8의 (C)가 처리 7에 상당하고, 도 8의 (D)가 처리 8에 상당한다.
처리 5에 있어서, 래퍼(8)는, 상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 아니면(스텝 S61 부정), 상측 키 이벤트를 폐기하여 프레임 워크(9)에는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스텝 S62). 한편, 상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면(스텝 S61 긍정), 상측 키 타이머를 해제하고(스텝 S63), 상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64), 프레임 워크(9)에 상측 키 Down을 통지한다(스텝 S65).
처리 6에 있어서, 래퍼(8)는, 하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 아니면(스텝 S66 부정), 하측 키 이벤트를 폐기하여 프레임 워크(9)에는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스텝 S67). 한편, 하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면(스텝 S66 긍정), 하측 키 타이머를 해제하고(스텝 S68), 하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69), 프레임 워크(9)에 하측 키 Down을 통지한다(스텝 S70).
처리 7에 있어서, 래퍼(8)는, 좌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 아니면(스텝 S71 부정), 좌측 키 이벤트를 폐기하여 프레임 워크(9)에는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스텝 S72). 한편, 좌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면(스텝 S71 긍정), 좌측 키 타이머를 해제하고(스텝 S73), 좌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74), 프레임 워크(9)에 좌측 키 Down을 통지한다(스텝 S75).
처리 8에 있어서, 래퍼(8)는, 우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 아니면(스텝 S76 부정), 우측 키 이벤트를 폐기하여 프레임 워크(9)에는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스텝 S77). 한편, 우측 키 카운터가 임계값 T 이상이면(스텝 S76 긍정), 우측 키 타이머를 해제하고(스텝 S78), 우측 키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하고(스텝 S79), 프레임 워크(9)에 우측 키 Down을 통지한다(스텝 S80).
도 9는, 휴대 전화기의 핑거 포인터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핑거 포인터 설정 화면의 모든 풀 다운은, [1]에서 [3]까지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며, 화면 아래의 등록을 누르면 선택한 내용이 설정된다. 「핑거 포인터」의 풀 다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포인터의 이동 속도」는, 지문 센서로부터 통지되는 상하 좌우측 키나 좌표의 보정하는 보정량을 선택하기 위한 풀 다운이며, [1] 빠르다, [2] 표준, [3] 느리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예를 들면, 빠르다라고 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지문 센서에서 손가락을 조금 미끄러뜨리는 것만으로, 브라우저 등에서의 포인터의 이동이 빨라진다. 도 4의 플로우차트에 기재되어 있는 스텝 S20의 보정값 a 및 b는, 이 풀 다운의 선택에 의해 변한다. 예를 들면, 「빠르다」, 「표준」, 「느리다」의 선택에 의해, 보정값 a 및 b가, 각각, 「4/2」, 「3/2」, 「1/1」로 되고, 포인터의 이동이, 2배, 1.5배, 1배로 된다. 또한, 보정값 a 및 b가 각각의 수치를 갖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도 8의 플로우차트에 기재되어 있는 스텝 S61, 스텝 S66, 스텝 S71, 스텝 S76의 임계값 T도, 「포인터의 이동 속도」의 선택에 의해 변한다. 예를 들면, 「빠르다」, 「표준」, 「느리다」의 선택에 의해, 임계값 T가, 각각, 「5」, 「10」, 「15」로 된다. 또한, 임계값 T는, 상하 좌우에서 각각의 수치를 갖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더블 탭의 속도」는, 더블 탭에서의 1회째의 탭에서 2회째의 탭까지의 간격을 선택하기 위한 풀 다운이며, [1] 빠르다, [2] 표준, [3] 느리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도 5의 플로우차트에 기재되어 있는 스텝 S25의 더블 탭 감시 타이머값 N은, 이 풀 다운의 선택에 의해 변한다. 예를 들면, 「빠르다」, 「표준」, 「느리다」의 선택에 의해, 타이머값 N이, 각각, 「200㎳」, 「300㎳」, 「400㎳」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도하지 않고 손가락이 지문 센서에 접촉한 경우에 검출되는 특징적인 사상에 기초하여,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검출 결과를 배제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1 : 디스플레이
2 : 조작키
3 : 멀티 커서키
4 : 지문 센서
5 : 카메라
6 : 지문 센서 드라이버
7 : 키 드라이버
8 : 래퍼
9 : 프레임 워크
10 : 어플리케이션
11 : 포인터계 어플리케이션
12 : 키계 어플리케이션
13 : 상부 케이스
14 : 하부 케이스

Claims (12)

  1. 휴대 단말기로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상기 손가락의 접촉 및 이동을 인식하는 손가락 센서와,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의 조작 지시에 상당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손가락 센서로부터 손가락이 분리된 것의 인식과, 상기 손가락 센서에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의 기간이 인간의 신체적 제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보다도 짧은 경우에, 상기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 및, 상기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으로부터 다음에 손가락이 분리된 것의 인식까지의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의 인식을, 상기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손가락 센서에 손가락 놓인 것이 인식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손가락 센서에 손가락 놓인 것을 나타내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되어도, 그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손가락 센서에서 인식된 손가락의 이동량 차가 소정의 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손가락 센서에서 손가락의 이동 방향이 반전되는 움직임이 복수회 인식된 경우에,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손가락 센서에서 손가락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복수회 인식된 경우에,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표면측에 대해, 이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자가 한쪽 손으로 유지하여 참조하였을 때에, 집게 손가락의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입력 제어 방법으로서,
    손가락 센서가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인식 스텝에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의 조작 지시에 상당하는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변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 스텝은, 상기 손가락 센서로부터 손가락이 분리된 것이 인식되고 나서, 상기 손가락 센서에 손가락 놓인 것이 인식될 때까지의 기간이 인간의 신체적 제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보다도 짧은 경우에, 상기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 및, 상기 손가락 놓인 것의 인식으로부터 다음에 손가락이 분리된 것의 인식까지의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의 인식을, 상기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스텝은, 상기 손가락 센서에 손가락 놓인 것이 인식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손가락 센서에 손가락 놓인 것을 나타내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되어도, 그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스텝은, 상기 손가락 센서에서 인식된 손가락의 이동량 차가 소정의 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스텝은, 상기 손가락 센서에서 손가락의 이동 방향이 반전되는 움직임이 복수회 인식된 경우에,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스텝은, 상기 손가락 센서에서 손가락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복수회 인식된 경우에, 상기 손가락 센서에 의해서 인식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KR1020117009619A 2008-10-28 2008-10-28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 KR101222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9570 WO2010049997A1 (ja) 2008-10-28 2008-10-28 携帯端末および入力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644A true KR20110061644A (ko) 2011-06-09
KR101222740B1 KR101222740B1 (ko) 2013-01-15

Family

ID=4212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619A KR101222740B1 (ko) 2008-10-28 2008-10-28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00956B2 (ko)
EP (1) EP2352074B1 (ko)
JP (1) JP5120460B2 (ko)
KR (1) KR101222740B1 (ko)
CN (1) CN102203696B (ko)
WO (1) WO2010049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4798B2 (en) * 2008-12-15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s, interactions, and common ground in a surface computing environment
US10146989B2 (en) * 2009-09-09 2018-12-04 Htc Corporation Methods for controlling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8638994B2 (en) 2011-04-21 2014-01-28 Authentec, Inc. Electronic device for collecting finger data and displaying a finger movement trace and related methods
US9542040B2 (en) * 2013-03-15 2017-01-10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for detection and rejection of pointer contacts in interactive input systems
JP6241230B2 (ja) * 2013-11-28 2017-12-06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05836B1 (ko) 2014-01-29 2021-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JP2016024580A (ja) * 2014-07-18 2016-02-0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TWI557649B (zh) 2014-08-01 2016-11-11 神盾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指紋辨識裝置控制方法
US9727151B2 (en) * 2015-04-16 2017-08-08 Google Inc. Avoiding accidental cursor movement when contacting a surface of a trackpad
US10785441B2 (en) 2016-03-07 2020-09-22 Sony Corporation Runn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on display device not having touch capability using remote controller having at least a touch sensitive surface
US9807444B2 (en) * 2016-03-07 2017-10-31 Sony Corporation Runn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on display device not having touch capability using a remote controller not having any touch sensitive surface
CN109643174B (zh) * 2016-08-24 2022-09-13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存储介质和信息处理系统
JP6298584B1 (ja) * 2016-10-12 2018-03-2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端末装置および画面ステートとパワーステートを制御する方法
CN107422975A (zh) * 2017-07-25 2017-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7027108B2 (ja) * 2017-10-12 2022-03-01 Fcnt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678900B2 (en) * 2018-06-20 2020-06-09 Lenovo (Singapore) Pte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a biometric reader
JP2021026673A (ja) * 2019-08-08 2021-02-22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237B2 (ja) * 1990-08-22 1995-12-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US5880411A (en) * 1992-06-08 1999-03-09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US5828773A (en) * 1996-01-26 1998-10-27 Harris Corporation Fingerprint sensing method with finger position indication
JP4443638B2 (ja) * 1996-04-09 2010-03-3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座標検出装置とその信号送出方法
JP3562266B2 (ja) * 1997-11-10 2004-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6421453B1 (en) * 1998-05-15 2002-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r recognition employing behavioral passwords
US6509847B1 (en) * 1999-09-01 2003-01-21 Gateway, Inc. Pressure password input device and method
US7054470B2 (en) * 1999-12-02 2006-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ortion characterization in fingerprint and palm-print image sequences and using this distortion as a behavioral biometrics
JP2001265507A (ja) 2000-03-17 2001-09-28 Canon Inc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
CN1357810A (zh) * 2000-12-06 2002-07-10 腾研科技股份有限公司 浏览器界面操作装置及其浏览方法
JP4187451B2 (ja) * 2002-03-15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個人認証用デバイスと携帯端末装置
JP2005115801A (ja) * 2003-10-10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JP3924558B2 (ja) * 2003-11-17 2007-06-06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採取装置
JP2005190127A (ja) * 2003-12-25 2005-07-14 ▼しょう▲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ダブルタップ動作の識別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1704871B (zh) * 2004-05-31 2010-04-28 深圳市朗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式数码设备及其输入方法
JP4210936B2 (ja) * 2004-07-08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DE102004046857B4 (de) * 2004-09-27 2006-09-21 Siemens Ag Verfahren zur Eingabe von Zeichen auf einer Tastatur
JP4348702B2 (ja) * 2004-09-29 2009-10-21 日本電気株式会社 平面4指画像判定装置、平面4指画像判定方法及び平面4指画像判定プログラム
JP2006107366A (ja) * 2004-10-08 2006-04-20 Fujitsu Ltd 生体情報入力装置,生体認証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060097983A1 (en) * 2004-10-25 2006-05-11 Nokia Corporation Tapping input on an electronic device
JP3991065B2 (ja) * 2004-11-10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誤操作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機器、誤操作検出方法、並びに機器評価方法
US7852317B2 (en) * 2005-01-12 2010-12-14 Thinkoptics, Inc. Handheld device for handheld vision based absolute pointing system
US8002711B2 (en) * 2005-03-18 2011-08-23 Respiron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stress
WO2006135203A1 (en) * 2005-06-15 2006-12-21 Lg Electronics Inc.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KR100683249B1 (ko) * 2005-06-16 2007-02-15 주식회사 애트랩 접촉센서 및 이의 신호 발생 방법
KR101011572B1 (ko) * 2005-10-18 2011-01-27 오쎈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유연회로를 포함하는 핑거 센서 및 관련 방법
US20070120828A1 (en) * 2005-11-30 2007-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with two-stage keys for navigation
JP2007304646A (ja) * 2006-05-08 2007-11-22 Sharp Corp 指動作検知制御電子機器
US20090169070A1 (en) * 2007-12-28 2009-07-02 Apple Inc.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person's fingerpr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9997A1 (ja) 2010-05-06
KR101222740B1 (ko) 2013-01-15
US20110193727A1 (en) 2011-08-11
JPWO2010049997A1 (ja) 2012-03-29
EP2352074B1 (en) 2016-03-16
CN102203696A (zh) 2011-09-28
EP2352074A4 (en) 2014-02-12
CN102203696B (zh) 2015-03-25
US9000956B2 (en) 2015-04-07
EP2352074A1 (en) 2011-08-03
JP5120460B2 (ja)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740B1 (ko) 휴대 단말기 및 입력 제어 방법
JP528785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制御方法
US8577100B2 (en) Remote input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EP256576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same
JP5823400B2 (ja) 複数のタッチセンサを用いたui提供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携帯端末機
KR20130099717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602996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ased on touch operations
CN104731496B (zh) 解锁方法与电子装置
JP6350261B2 (ja) オブジェクト操作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方法
US201401256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4536682A (zh) 单手操作移动终端的信息采集方法、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6557222A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终端
WO20130720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zooming action
EP214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JP2014056519A (ja) 携帯端末装置、誤操作判定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080999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224960B2 (ja) 携帯電話機
JP2007102415A (ja) 2つの入力モードを有する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への指令入力方法
CN109634417B (zh) 一种处理方法及电子设备
Guesgen et al. Gestural control of household appliances for the physically impaired
JP5152639B2 (ja) 文字入力・機能操作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6099228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89273B2 (ja) 携帯端末装置
JP2013222322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タッチパネルにおける表示方法
KR101403845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