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872A -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872A
KR20110055872A KR1020090112484A KR20090112484A KR20110055872A KR 20110055872 A KR20110055872 A KR 20110055872A KR 1020090112484 A KR1020090112484 A KR 1020090112484A KR 20090112484 A KR20090112484 A KR 20090112484A KR 20110055872 A KR20110055872 A KR 2011005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mbosis
extract
ging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ginger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628B1 (ko
Inventor
옥민호
이정옥
강소희
손정덕
김종훈
임지웅
나용호
오유나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한화제약주식회사
양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11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28B1/ko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제약주식회사, 양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MX2012005635A priority patent/MX2012005635A/es
Priority to EP10831803.1A priority patent/EP2510933B1/en
Priority to CN2010800523860A priority patent/CN102665747A/zh
Priority to US13/510,767 priority patent/US20120301562A1/en
Priority to EP13188806.7A priority patent/EP2687263B1/en
Priority to BR112012011960A priority patent/BR112012011960A2/pt
Priority to PCT/KR2010/008182 priority patent/WO2011062436A2/ko
Priority to JP2012539814A priority patent/JP2013511513A/ja
Publication of KR2011005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28B1/ko
Priority to US14/282,175 priority patent/US20140255529A1/en
Priority to PH12016501584A priority patent/PH120165015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에 의한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 및 조정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등의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물 및 조정제물은 시험관 내에서 다양한 응집유도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생체 내 급격한 혈전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므로, 혈전색전증 등과 같이 혈액순환 장애로 수반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생강나무, 혈행개선, 혈전 질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rombosis}
본 발명은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에 의한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상처부위의 치료와 혈액의 손실을 막기 위한 생체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혈소판과 혈장의 응고, 섬유소 분해, 그리고 응고억제라고 하는 복잡한 과정의 조절과 균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이러한 평형상태가 깨지면 혈액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 혈전 질환이 생성되고, 조직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게 된다.
혈전증 (thrombosis)은 혈관 안쪽에 덩어리가 생기거나 혈전이 생겨서 혈액의 흐름이 막힌 것을 말한다. 혈관에 상처가 생기면 혈관은 수축하게 되며, 상처부로 드러나게 된 콜라겐 섬유 (collagen gibrers)에 혈소판이 달라붙어 혈관 수축 물질인 세로토닌(serotonin)과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adenosine diphosphate. ADP) 그리고 Thromboxane A2를 방출 한다. ADP는 더 많은 혈소판들이 달라붙게 하며, Thromboxane A2는 혈소판들이 응집되도록 작용하여 혈관은 수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차적으로 지혈된 후에는 혈액응고 작용 (blood coagulation)이 이루어 진다. 지혈 후 생성된 피브린(fibrin)은 섬유소 용해작용(fibrinolysis)에 의해 용해되는데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와 Urokinase (UK)는 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전환시켜 피브린을 분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혈액응집 (blood coagulation)과 섬유소분해(fibrinolysis)는 정상의 경우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이 균형이 깨질 경우 혈관 내에 섬유소 덩어리가 침착되고 혈액 순환장애가 발생하는 혈전증이 일어나게 된다 (Nesheim M., Chest., 2003 Sep;124:33S-9S).
혈전증은 동맥 혈전증 (atherothrombotic diseases), 정맥 혈전증 (Phlebothbombosis), 간문맥 혈전증 (hepatic protal vein thrombitis), 폐동맥 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만성정맥허혈 (chronic limb ischemia), 하지정맥류(Varicose vein), 심부정맥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diseases), 협심증 (angina pectoris),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뇌출혈 (cerebral hemorrhage)등을 일으키며, 또한 감염 또는 혈관의 손상, 수술 후의 합병증, 응고성 질환 등을 일으킨다.
현재 혈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는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형성된 혈전을 치료하기 위한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항혈소판제제인 아스피린은 효과는 뛰어나지만 위장관 출혈과 소화성 궤양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외의 항응고제나 고지혈증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들은 대부분 경구투여가 불가능하며, 혈전에 대한 선택성이 적어 장기간 복용시 용혈현상, 면역반응, 발열, 알러지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과 효능미비에도 불구하고, 시판되고 있는 치료제의 가격이 매우 고가로서 환자들이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혈소판의 활성화 및 응고의 억제, 혈전의 용해 활성 등의 혈전생성 저해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지며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는 녹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이다. 높이는 2-3 m 정도 자라고, 개화기는 3-4 월이며 결실기는 9 월이다. 열매로 기름을 짜서 부인들의 머릿기름으로 썼으며, 잎이나 가지를 꺾으면 생강 냄새가 난다고 하여 생강나무라 부르고, 개동백나무 혹은 황매목이라고도 불린다. 활혈(活血), 서근(舒筋),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으며, 타박상 어혈종통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로 찧어서 상처부위에 붙인다. 주로 복통에 쓰며 해열제, 기침약으로도 쓴다. 민간에서는 해열제, 기침약으로 잎과 싹을 차처럼 달여 마신다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한국민간약도감, 박종희 2005, 향약대사전).
생강나무의 성분에 대한 연구로서는 권학철 등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2, p.417-422, 1999)이 악티폴린(actifolin), 플루비아틸올(pluviatilol), 다이하이드로마타이레시놀(5,6-dihydromatairesinol), (+)-시린가레시놀((+)-syringaresinol), 트란스 페룰로일-디메톡시라리시레시놀(9-O-trans-feruloyl-5,5-dimethoxylariciresinol) 등을 분리하였다. 각 분리된 성분의 효능 으로는 암세포 살해작용, 항염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Planta Medica, 69, 610-616, 2003;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2, p.417-422, 1999).
상기 문헌 중 생강나무 추출물에 대한 혈소판 응집저해, 혈전 생성 저해, 치료 및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나 교시도 이루어진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혈행개선제를 연구하던 중 생강나무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저해 효능, 생체 내 혈전 생성 저해 및 예방 효능이 매우 뛰어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견을 기초로 안출된 것으로서,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에 의한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혈행개선에 의한 혈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가지, 잎 또는 그 혼합물을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5의 저급알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1 내지 C5의 저급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인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30 내지 95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조추출물은 30 내지 95 ℃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3의 저급알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부탄올로 재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3의 저급알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조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순으로 재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추출물 : 물은 1 : 5 내지 25의 부피 비율로 혼합 현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생체 내 혈전 생성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혈전 질환은 동맥 혈전증, 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폐동맥 색전증, 만성정맥허혈, 하지정맥류, 심부정맥혈전증, 협심증, 뇌경색, 뇌출혈, 수술 후의 혈관 합병증, 및 응고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혈행개선에 의한 혈전 질환의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은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은 시험관 내에서 다양한 응집유도에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생체내 급격한 혈전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므로, 혈전색전증등과 같이 혈액순환 장애로 수반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생강나무의 지상부, 더욱 구체적으로 잎과 가지는 채취한 것, 양식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을 위한 용매는 물, C1 내지 C5의 저급알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자들은 생강나무 가지와 잎을 물로 씻어 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하고 건조한 후, 생강나무 시료 중량의 약 5 내지 50 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5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50 내지 95 ℃에서 1 시간 내지 7 일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2 내지 5 회, 바람직하게는 3 회 반복 수행한다. 또는, 이러한 물 또는 저급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부탄올로 재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하여 생강나무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중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의 약 0.1 내지 100 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 회 내지 10 회, 바람직하게는 2 회 내지 5 회 비극성용매로 추출, 분리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Harborne. J.B., Phytochemical medthods :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정으로 수득된 생강나무 조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생강나무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에 n-부탄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유기용매 를 극성이 낮은 용매부터 극성이 높은 용매 순으로, 바람직하게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 감압농축하여 생강나무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법으로 얻어진 생강나무 추출물,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0.1 내지 99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 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이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인산일수소칼슘, 인산이수소칼슘,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결정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미결정 셀룰로오즈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유동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 일 0.00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혈전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생강나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일반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혈전생성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g을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리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 린, 아스파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 생강나무 조추출물의 제조
강원도 지역에서 채취한 생강나무 가지와 잎을 물로 씻어 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분쇄하고 추출용기에 생강나무 가지 및 잎 각각 25 g과 7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 총 500 ㎖를 가하여 환류 냉각하면서 70 ℃에서 3 시간씩 3 회 반복하여 가열추출한 다음,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그 여액을 40 ℃의 수욕 상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생강나무 잔가지 조추출물 6.4 g 및 생강나무 잎 조 추출물 7.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생강나무 조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강나무 잎과 가지 각각의 조추출물 5 g을 50 ㎖의 정제수에 현탁한 후, 50 ㎖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각 3 회 실시하여 각 용매 분획을 얻었으며, 이를 감압농축하여 생강나무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생강나무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 측정
1-1. 실험동물 및 세척 혈소판 (washed platelet) 준비
쥐(rat)를 에틸 에테르 (ethyl ether)로 마취하고, 항응고제 0.15 M 소듐 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를 혈액과 1 : 9 (v/v)의 비율이 되도록 함유한 주사기로 복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Platelet rich plasma (PRP)는 200 x g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의 PRP를 얻었고, 계속하여 800 x g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고, 침전된 혈손을 세척 완충액 (washing buffer. 137 mM NaCl, 2.9 mM KCl, 1 mM MgCl2, 5 mM glucose, 12 mM NaHCO3, 0.34 mM Na2HPO4, 1 mM EDTA, 20 mM HEPES, 0.25 % BSA, pH 7.4)로 2 회 세척한 후 현탁 완충액 (suspension buffer. 137 mM NaCl, 2.9 mM KCl, 1 mM MgCl2, 5 mM glucose, 12 mM NaHCO3, 0.34 mM Na2HPO4, 20 mM HEPES, 0.25 % BSA, pH 7.4)에 현탁시켜서 세척 혈소판을 준비하였다. 혈소판 응집 저해능에 사용한 세척 혈소판 세포 계수기 (cell counter. Hema-vet HV950FS, Drew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혈소판 수를 계측하고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혈 소판이 3 x 108 혈소판/㎖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혈소판은 저온에서 응집되므로 이상의 실험은 상온에서 실행하였다.
1-2. 혈소판 응집 정도 측정
쥐의 혈소판 응집 저해능은 Aggregometer (Chrono-Log Co., Ltd., Havertown, PA, USA)를 이용한 탁도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세척 혈소판을 37 ℃에서 3 분간 배양시킨 후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하고 2 분후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물질 ADP(22 μM), 콜라겐(20 ㎍/㎖)으로 응집을 유도하였으며, 10 분간 측정한 후 저해정도를 계산하였다. 저해정도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하였다.
저해정도 = [(A - B) / A] × 100
A : control의 aggregation %
B : sample 처리시의 aggregation %
생강나무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
작용제 저해 (%)
최종 농도 콜라겐 ADP

아스피린
0.1 mg/㎖ 18.52 15.91
1 mg/㎖ 51.85 52.27
10 mg/㎖ 94.44 93.18

생강나무 가지
0.1 mg/㎖ -7.41 15.91
0.3 mg/㎖ 83.33 68.18
1 mg/㎖ 87.04 81.82

생강나무 잎
0.1 mg/㎖ 7.41 9.09
0.3 mg/㎖ 57.41 54.55
1 mg/㎖ 88.89 95.45
상기에서 보듯이, 생강나무 가지 추출물의 콜라겐에 의하여 유도된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의 경우, 0.1 mg/㎖, 0.3 mg/㎖, 1 mg/㎖에서 각각 -7.41, 83.33, 87.04 %를 나타냈으며, 이때 IC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50 %) 값이 0.28 ㎍/㎖ 로 매우 낮게 확인되었다. 또한 생강나무 추출물의 ADP 에 의하여 유도된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의 경우, 0.1 mg/㎖, 0.3 mg/㎖, 1 mg/㎖에서 각각 15.91, 68.18, 81.82 %를 나타냈으며, 이때 IC50 값이 0.26 ㎍/㎖ 로 매주 낮게 확인되었다. 생강나무잎 추출물의 콜라겐에 의하여 유도된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의 경우, 0.1 mg/㎖, 0.3 mg/㎖, 1 mg/㎖에서 각각 7.41, 57.41, 88.89 %를 나타냈으며, 이때 IC50 값이 0.28 ㎍/㎖ 로 대체로 낮게 확인되었다. 또한 생강나무 추출물의 ADP 에 의하여 유도된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의 경우, 0.1 mg/㎖, 0.3 mg/㎖, 1 mg/㎖에서 각각 9.09, 54.55, 95.45 %를 나타냈으며, 이때 IC50 값이 0.28 ㎍/㎖ 로 대체로 낮게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생강나무 가지 및 잎 추출물은 현재 혈전생성 저해제로 사용중인 아스피린보다 효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IC50은 혈소판 응집을 50 % 저해하는 농도의 값으로서, 값이 작을수록 저해력이 높다.
상기 결과는 생강나무 가지 및 잎 추출물의 콜라겐, ADP 에 의하여 유도된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 1 및 도 2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생강나무 추출물의 혈전색전증 저해 효능 측정
동물의 실험적 혈전 유도는 Diminno 등의 실험방법에 준하였다. 마우스 꼬리정맥에 혈소판 응집유도제를 주사하면 짧은 시간 내에 폐동맥에 대량의 혈전형성이 유도되어 동물이 사망하게 되는데 이것을 회복할 수 있는지를 관찰함으로써 혈전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한다. 혈소판응집유도제 콜라겐 (collagen. Chrono-Log)과 에피네프린 (epinephrine. Chrono-Log) 혼합용액(20 ㎍/mouse + 2 ㎍/mouse)이 200 ㎕ 생리식염수에 함유되도록 조제하여 마우스 꼬리정맥에 주사하였다. 항혈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혈소판 응집 유도제를 주사하기 1 시간 전에 약제현탁액 또는 생리식염수를 체중에 비례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항혈전 효과는 혈소판 응집 유도제 주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우스 뒷다리의 마비나 사망으로부터 보호된 실험동물 수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주사 후 15 분 이상 마비의 지속, 사망 또는 마비로부터의 회복여부를 관찰하여 시료의 항혈전 효과를 판정하였다. 생존율(%)은 각 그룹별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하였다.
생존율 (%) = (D / C) × 100
C : 콜라겐의 투여가 정확히 이루어진 개체수
D : C 개체수 중 생존한 개체수
생강나무 추출물의 혈전색전증 저해 효과
1차 2차 3차 합 (D/C) 생존율 (%)
대조군 5/17 3/24 5/14 13/55 23
아스피린 15/19 9/20 9/19 33/58 56
생강나무 가지 14/19 8/18 7/20 29/57 51
생강나무 잎 13/20 4/17 10/19 27/56 48
상기에서 보듯이 생강나무가지, 잎 추출물의 혈전색전증 저해 효과의 경우, 생존율 (%)이 각각 51, 48 % 를 나타냈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25 ~ 30 % 정도 높은 생존율로 생강나무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혈전색전증에 상당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 생강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생강나무 조추출물의 세포독성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혈관동맥평활근세포를 MEM (minimum essential medium)과 10 % FBS (Fetal bovine serum) 용액과 혼합하여 24 시간 동안 5 % CO2/37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안정화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강나무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진탕시킨 후 2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MTS 용액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promega)을 넣어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은 세포의 생존에 어떠한 영향도 관찰할 수 없었으며 매우 안전한 약물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통계처리
시험결과의 유의성은 실험결과를 스투던트 t-테스트 및 일원본산 분석 (one-way ANOVA test)를 통하여 p가 0.05 이하인 경우 유의한 차이로 판정하였다.
아래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생강나무 추출물 분말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생강나무 추출물 분말 1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캅셀제의 제조
생강나무 추출물 분말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생강나무 추출물 분말 1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794 ㎎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2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 액제의 제조
생강나무 추출물 분말 1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당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당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 ㎖로 조절하고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6 : 건강 음료의 제조
생강나무 추출물 분말 1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물 적당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고 멸균된 2 ℓ의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혈소판 응집 유도제로서 콜라겐을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혈소판 응집 유도제로서 ADP를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생강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 정도를 측정한 도면이다.

Claims (10)

  1.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나무는 가지, 잎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5의 저급알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30 내지 95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3의 저급알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부탄올로 재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3의 저급알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조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순으로 재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은 생체 내 혈전생성 억제 및 예방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전 질환은 동맥 혈전증, 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폐동맥 색전증, 만성정맥허혈, 하지정맥류, 심부정맥혈전증, 협심증, 뇌경색, 및 뇌출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90112484A 2009-11-20 2009-11-20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103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84A KR101039628B1 (ko) 2009-11-20 2009-11-20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EP10831803.1A EP2510933B1 (en) 2009-11-20 2010-11-19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ntaining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as active ingredient
CN2010800523860A CN102665747A (zh) 2009-11-20 2010-11-19 含有三桠乌药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改善血液循环的组合物
US13/510,767 US20120301562A1 (en) 2009-11-20 2010-11-19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ntaining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as active ingredient
MX2012005635A MX2012005635A (es) 2009-11-20 2010-11-19 Composicion para mejorar la circulacion sanguinea, que contiene extracto de lindera obtusiloba como ingrediente activo.
EP13188806.7A EP2687263B1 (en) 2009-11-20 2010-11-19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rombosis
BR112012011960A BR112012011960A2 (pt) 2009-11-20 2010-11-19 composição para melhorar a circulação sanguínea contendo extrato de lindera obtusiloba como ingrediente ativo
PCT/KR2010/008182 WO2011062436A2 (ko) 2009-11-20 2010-11-19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JP2012539814A JP2013511513A (ja) 2009-11-20 2010-11-19 ダンコウバイ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血行改善組成物
US14/282,175 US20140255529A1 (en) 2009-11-20 2014-05-20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rombotic disorders us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PH12016501584A PH12016501584A1 (en) 2009-11-20 2016-08-10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ntaining extract of lindera obtusilova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84A KR101039628B1 (ko) 2009-11-20 2009-11-20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72A true KR20110055872A (ko) 2011-05-26
KR101039628B1 KR101039628B1 (ko) 2011-06-08

Family

ID=4406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484A KR101039628B1 (ko) 2009-11-20 2009-11-20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20301562A1 (ko)
EP (2) EP2687263B1 (ko)
JP (1) JP2013511513A (ko)
KR (1) KR101039628B1 (ko)
CN (1) CN102665747A (ko)
BR (1) BR112012011960A2 (ko)
MX (1) MX2012005635A (ko)
PH (1) PH12016501584A1 (ko)
WO (1) WO201106243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06B1 (ko) * 2012-02-10 2012-09-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강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압 하강용 조성물
KR20160120924A (ko) 2015-04-09 2016-10-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땃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1502A (ko) * 2017-08-22 2019-03-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144B1 (ko) * 2012-03-09 2014-06-13 한준섭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WO2014163416A1 (ko) * 2013-04-03 2014-10-09 (주)아모레퍼시픽 (+)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수명 연장용 조성물
CN104817601B (zh) * 2015-03-31 2018-04-10 浙江大学 从细梗香草中提取三个黄酮类成分混合体、制剂及其方法
KR101801612B1 (ko) 2016-04-26 2017-11-27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장) 흑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N108142768A (zh) * 2017-11-17 2018-06-12 浙江科技学院 一种以乌药叶为主体的固体颗粒及其生产方法
KR102428525B1 (ko) 2020-06-26 2022-08-03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은행잎추출물, 홍삼농축액 및 해안소나무껍질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6514A (ja) * 1987-02-10 1988-08-15 Takeda Chem Ind Ltd 原虫性疾患の予防治療剤
JPH075469B2 (ja) * 1991-12-13 1995-01-25 ナショナル・サイエンス・カウンシル ジセントリン及びその誘導体の高血圧、脈搏不整疾患、動脈硬化に対する治療用途
EP1718167A4 (en) * 2004-01-31 2010-07-14 Kiyoung Kim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PLANT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 MIXTURE EXTRACT THEREOF
KR100586269B1 (ko) * 2004-01-31 2006-06-07 김기영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EP1855528A4 (en) * 2005-03-10 2009-04-01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LAVONOIDS WITH FREE B-RING AND FLAVANES AS A THERAPY AGENT
CN1739690A (zh) * 2005-09-11 2006-03-01 王浩贵 一种大透骨草外用药
CN1857610A (zh) * 2006-03-10 2006-11-08 陈方标 一种含乌药叶提取物的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0594915C (zh) * 2007-08-31 2010-03-24 浙江大学 治疗心脑血管疾病的中药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用途
KR100989093B1 (ko) * 2008-01-18 2010-10-25 한화제약주식회사 생강나무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06B1 (ko) * 2012-02-10 2012-09-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강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압 하강용 조성물
KR20160120924A (ko) 2015-04-09 2016-10-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땃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1502A (ko) * 2017-08-22 2019-03-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628B1 (ko) 2011-06-08
EP2687263A1 (en) 2014-01-22
US20120301562A1 (en) 2012-11-29
EP2510933B1 (en) 2016-01-27
PH12016501584B1 (en) 2017-02-27
WO2011062436A3 (ko) 2011-10-27
EP2687263B1 (en) 2016-10-19
WO2011062436A2 (ko) 2011-05-26
EP2510933A4 (en) 2013-04-17
US20140255529A1 (en) 2014-09-11
EP2510933A2 (en) 2012-10-17
BR112012011960A2 (pt) 2017-03-01
JP2013511513A (ja) 2013-04-04
MX2012005635A (es) 2012-10-09
CN102665747A (zh) 2012-09-12
PH12016501584A1 (en)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628B1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1469351B1 (ko)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98207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8768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58674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83181B1 (ko) 모링가 올레이페라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54421B1 (ko) 패션후르츠 과육과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76202B1 (ko) 패션후르츠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71850B1 (ko) 치자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소판 응집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40574B1 (ko)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2B1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24970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7240B1 (ko) 혈행 개선, 및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2327A (ko) 십전대보 십일가미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5623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81447B1 (ko) 동백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3B1 (ko) 백목련 성숙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79816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22401B1 (ko) 황촉규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1B1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18B1 (ko) 연자방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200006137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210049641A (ko) 부들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40017238A (ko) 일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090107159A (ko)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