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442A -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442A
KR20110053442A KR1020117004745A KR20117004745A KR20110053442A KR 20110053442 A KR20110053442 A KR 20110053442A KR 1020117004745 A KR1020117004745 A KR 1020117004745A KR 20117004745 A KR20117004745 A KR 20117004745A KR 20110053442 A KR20110053442 A KR 2011005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door
elevator
receiving unit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229B1 (ko
Inventor
시아오 순
웨이펭 첸
군펭 양
히로시 가시와꾸라
다꾸야 후지이
게이시로 히로하따
Original Assignee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카 도어(2, 3)의 중, 한쪽의 카 도어(2)에는 다른 쪽의 카 도어(3)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으로부터 다른 쪽의 카 도어(3)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카 도어(3)에는 양쪽 카 도어(2, 3)가 폐쇄된 상태에서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고, 제2 반사 부재(6)는 다른 쪽의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수용 공간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SAFET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끼였을 때의 안전을 도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개 등의 애완동물을 끈에 연결해서 승강기를 탈 때, 애완동물이 승강장 플로어에 남은 채 사람이 승강기에 올라타면,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에 걸쳐 끈이 깔리게 된 상태에서,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폐쇄되어, 승강기가 상승 혹은 하강하게 된다. 이 결과, 애완동물에 연결되어 있는 끈에 의해 사람의 손이 강하게 잡아 당겨져, 경우에 따라서는 손목 등에 큰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에는, 그 폐쇄 방향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카 도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이 부착되어 있어,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이 사람이나 이물질과 충돌하여,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힘이 작용하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 승강기의 승강구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광 빔을 생성하여, 상기 광 빔을 사람이나 이물질이 차단하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세이프티 슈 프레임이나 수평한 광 빔을 이용한 종래의 이물질 검지 방식에서는, 끈이나 로프와 같이 가늘고 긴 이물질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연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투광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연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 수광부를 배치하고, 투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광부에서 검지하는 연직 주사 방식(특허 문헌 1 참조)을 이용하여, 끈 형상의 이물질을 검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한 쌍의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연직선 상의 위치에서, 문턱(Sill)에 투광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승강구 상방의 프레임에 수광부를 배치하고, 투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광부에서 검지하는 연직 주사 방식(특허 문헌 2 참조)을 이용하여, 끈 형상의 이물질을 검지하는 것도 고려된다.
상기 연직 주사 방식을 채용하면, 승강기의 승강구를 통과하고 있는 정도의 높이 위치를 끈이 늘어나 있는 상태에서, 카 도어가 폐쇄되면, 그 과정에서 빛의 주사선이 끈을 가로지르므로, 수광부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끈을 검지할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 제61-20368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69009호 공보
카 도어에 투광부를 배치한 엘리베이터(특허 문헌 1 참조)에 있어서는, 발광부는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 직전의 위치(완전 폐쇄 직전 위치)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발광부가 다른 쪽의 카 도어 혹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과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 혹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에는 발광부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직전 위치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발광부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 혹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에는 도달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수광부에 의한 광 검지의 중단을 이물질의 검지라 판단할 수는 없으므로,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직전 위치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될 때까지는,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이물질 검지 기능은 무효가 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발광부가 설치되어 있는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에 접촉해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늘어져 있으면,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이물질 검지 기능이 무효가 되어, 그 이물질을 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프레임의 문턱에 투광부를 배치한 엘리베이터(특허 문헌 2 참조)에 따르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투광부에의 오염 부착이나 장난 등에 의해, 투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차단되어, 그 결과, 수광부에 의한 광 검지가 중단되어, 이물질의 검지라고 잘못 판단해 버릴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에,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의 전 영역을 감도 영역으로 하는 감압 센서를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카 도어에 큰 개조를 해야만 해 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끈 형상의 이물질을 그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간이한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2)(3)를 구비하고, 한쪽의 카 도어(2)에는, 다른 쪽의 카 도어(3)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으로부터 다른 쪽의 카 도어(3)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폐쇄 방향 단부면(2a)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다.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에는,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30)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투광/수광 유닛(4)은,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결과, 이물질의 존재가 인식되어,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이 중지된다.
상기 제1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이 상기 수용 공간(30)으로 돌입할 때까지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제1 반사 부재(5)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하고, 투광/수광 유닛(4)이 상기 수용 공간(30)으로 돌입한 후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는 일은 없으며,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어,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에 접촉해서 늘어져 있는 경우라도,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 동작은 계속되고 있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기 이물질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에는,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70)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카 도어(2)에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보다도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 측에,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701)에 의해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에 의해, 끈 형상의 이물질이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끈 형상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카 도어(2)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2)의 폐쇄 방향 단부면(2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동시에 상기 간극보다도 다른 쪽의 카 도어(3) 측으로 돌출하는, 이물질 압출 부재(9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이물질 압출 부재(90)에 의해, 끈 형상의 이물질이 카 도어(2)의 폐쇄 방향 단부면(2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이 상기 간극보다도 전방으로 압출되므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은 반드시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고, 이 결과, 끈 형상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카 도어에는 상기 카 도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하단부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다른 쪽의 카 도어측을 향한 경사면(2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하단부면 밑으로 끈 형상의 이물질이 기어들어 갔다고 해도, 상기 이물질을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상기 이물질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경사면(28)으로 안내되어 쉽게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밑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게다가 또한,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양쪽 카 도어(2)(3)는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 및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지나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하는 것이며, 양쪽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의 소정 시점에서 오프(OFF)에서 온(ON)이 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양쪽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반사하는 한편, 양쪽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제어 유닛(100)은,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양쪽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의 반사부(601)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상기 검지 수단은 오프이다. 그 후, 양쪽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에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 돌아오는 동시에, 상기 소정 시점에서 검지 수단이 온이 된다. 양쪽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위치에서 다시 폐쇄되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은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거의 반사되지 않고, 투광/수광 유닛(4)에는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는 돌아오지 않으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검지 수단은 온인 상태이다. 따라서, 투광/수광 유닛(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한,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되고, 또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그런데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완전 폐쇄 상태에서, 상기 검지 수단은 온이 되지만,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는,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23)를 구비하고,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과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3a)으로부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폐쇄 방향 단부면(23a)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다.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는,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상기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단부면(12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30)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투광/수광 유닛(4)은,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결과, 이물질의 존재가 인식되어,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이 중지된다.
상기 제2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이 상기 수용 공간(30)으로 돌입할 때까지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제1 반사 부재(5)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하고, 투광/수광 유닛(4)이 상기 수용 공간(30)으로 돌입한 후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는 일은 없으며,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어,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단부면(12a)에 접촉해서 늘어져 있는 경우라도,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 동작은 계속되고 있어,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기 이물질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70)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보다도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에,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701)에 의해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의 하단부와 문턱(86)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동시에 상기 간극보다도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으로 돌출하는, 이물질 압출 부재(9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이물질 압출 부재(90)에 의해, 끈 형상의 이물질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이 상기 간극보다도 전방으로 압출되므로,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은 반드시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고, 이 결과, 끈 형상 이물질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의 하단부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다른 쪽의 카 도어측을 향한 경사면(2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의 하단부면 밑으로 끈 형상의 이물질이 기어들어 갔다고 해도, 상기 이물질을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상기 이물질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의 경사면(28)으로 안내되어 쉽게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의 밑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게다가 또한,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는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지나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하는 것이며,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의 소정 시점에서 오프에서 온이 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반사하는 한편, 상기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제어 유닛(100)은,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상기 검지 수단은 오프이다. 그 후,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의 반사부(601)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에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 돌아오는 동시에, 상기 소정 시점에서 검지 수단이 온이 된다.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위치에서 다시 폐쇄되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은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투광/수광 유닛(4)에는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는 돌아오지 않으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검지 수단은 온인 상태이다. 따라서, 투광/수광 유닛(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한,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되고, 또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그런데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검지 수단은 온이 되지만,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는,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3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2)(3)와, 승강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프레임(81)과, 승강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문턱(82)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81)에는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문턱(82)에는 상방을 향해 반사 부재(50)가 배치되어,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다.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결과, 이물질의 존재가 인식되어,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이 중지된다.
또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에는,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3a)에,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오목부(2b)(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2c)(3c)가 형성되어 있고,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 광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05)가 상기 한 쌍의 오목부(2b)(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2c)(3c)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3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반사 부재(50)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는 일은 없으며,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승강구를 통과하여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어,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 투광/수광 유닛(4)은 프레임(8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 구체적으로는 입사광 빔의 수광량의 변동이나 광 빔의 조사 위치의 어긋남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이물질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사 부재(50)는 문턱(82)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50)는 상기 문턱(82)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문턱(82)에는 상기 광 빔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8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이용객으로부터는 반사 부재(50)의 존재가 인식되기 어려워지므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사 부재(50)의 반사면이 오염되기 어려워진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문턱(82) 및 상기 카 도어(3)에는, 상기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청소 기구(7)는 상기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짐 가능한 동시에 카 도어(3)의 개방 방향 혹은 폐쇄 방향으로 스프링 압박된 청소 기구(71)와, 상기 카 도어(3)가 폐쇄되는 과정 혹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기구(71)를 스프링 압박에 저항해서 압박하는 압박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압박부(32)가 스프링 압박에 저항해서 청소 기구(71)를 폐쇄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청소 기구(71)는 폐쇄 방향으로 이동해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한다. 한편, 카 도어(3)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청소 기구(71)는 스프링 압박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해서 다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한다.
혹은, 카 도어(3)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압박부(32)가 스프링 압박에 저항해서 청소 기구(71)를 폐쇄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청소 기구(71)는 폐쇄 방향으로 이동해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한다. 한편, 카 도어(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청소 기구(71)는 스프링 압박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해서 다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한다.
따라서, 양쪽 카 도어(2)(3)가 개폐될 때마다 청소 기구(71)에 의해 반사 부재(50)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반사 부재(50)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4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2)(3)와, 승강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프레임(81)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상기 프레임(81)에는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고, 한쪽의 카 도어(3)에는 다른 쪽의 카 도어(2)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3a)의 하단부 위치에, 반사 부재(50)가 상방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다.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결과, 이물질의 존재가 인식되어,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이 중지된다.
또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50)는 상기 한쪽의 카 도어(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2)의 홈(83) 내부에, 상기 홈(8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에는,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3a)에,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오목부(2b)(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2c)(3c)가 형성되어 있고,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 광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05)가 상기 한 쌍의 오목부(2b)(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2c)(3c)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4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승강구를 통과하여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어,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 투광/수광 유닛(4)은 프레임(8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 구체적으로는 입사광 빔의 수광량의 변동이나 광 빔의 조사 위치의 어긋남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이물질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문턱(82)의 홈(83) 내부에는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77)에 의해 반사 부재(50)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반사 부재(50)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5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단부면(84a)으로부터 카 도어(23) 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61)가 배치되어,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다.
상기 카 도어(23)에는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2)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2)는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과 접촉해야 할 상기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30)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결과, 이물질의 존재가 인식되어,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이 중지된다.
또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부재(61)는 상기 카 도어(2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5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 공간(30)으로 돌입할 때까지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제1 반사 부재(61)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하고,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 공간(30)으로 돌입한 후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제2 반사 부재(62)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는 일은 없으며,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승강구를 통과하여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어,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 투광/수광 유닛(4)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 구체적으로는 입사광 빔의 수광량의 변동이나 광 빔의 조사 위치의 어긋남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이물질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반사 부재(61)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이 부착되고,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에는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한 돌출 부재(9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부재(94)는 상기 단부면(84a)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상기 소정의 거리보다도 짧고, 상기 직선의 위치에 대하여 세이프티 슈 프레임(29) 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과 겹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승강구를 통과하여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돌출 부재(94)가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과 겹침으로써, 상기 이물질의 일부분을 세이프티 슈 프레임(29)과의 사이에 끼워 넣고, 그리고 상기 일부분을 폐쇄 방향을 따르도록 한다. 따라서, 이물질은 돌출 부재(94)의 선단부로부터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 측으로 압출된다. 그 결과,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의 단부면(84a)보다도 상기 카 도어(23) 측으로 돌출하는 이물질 압출 부재(9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이물질 압출 부재(93)에 의해 이물질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보다도 전방으로 압출되므로, 광 빔은 반드시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고, 이 결과, 끈 형상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반사 부재(6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78)에 의해 제1 반사 부재(61)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제1 반사 부재(61)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보다도 상기 카 도어(23) 측에 청소 기구(79)가 부착되고, 상기 청소 기구(79)는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62)의 표면을 청소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79)에 의해 제2 반사 부재(62)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제2 반사 부재(62)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안전 장치는 상기 카 도어(23)는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 및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지나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하는 것이며,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의 소정 시점에서 오프에서 온이 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2)는,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반사하는 한편, 상기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제어 유닛(100)은,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2)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검지 수단은 오프이다. 그 후,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2)의 반사부(621)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에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 돌아오는 동시에, 소정 시점에서 검지 수단이 온이 된다.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위치에서 다시 폐쇄되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은 제2 반사 부재(62)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투광/수광 유닛(4)에는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는 돌아오지 않으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이때, 검지 수단은 온인 상태이다. 따라서, 투광/수광 유닛(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한,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검지 수단이 온이 되고, 또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그런데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검지 수단은 온이 되지만,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는,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반사 부재(61)가 배치되어,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다.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과, 도어 부딪힘 프레임(84)과 접촉해야 할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에는,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오목부(84b)(2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84c)(23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 광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15)가 상기 한 쌍의 오목부(84b)(2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84c)(23c)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결과, 이물질의 존재가 인식되어,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이 중지된다.
또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61)는 상기 카 도어(2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반사 부재(61)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는 일은 없으며,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승강구를 통과하여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어,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 투광/수광 유닛(4)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 구체적으로는 입사광 빔의 수광량의 변동이나 광 빔의 조사 위치의 어긋남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이물질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사 부재(61)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사 부재(6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마다 청소 기구에 의해 반사 부재(61)의 표면이 청소되므로, 반사 부재(61)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3 내지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는, 상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실행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광 빔을 출사함으로써, 광 빔의 출사 시에 사람이 투광/수광 유닛(4)을 들여다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하단부와 문턱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에 의해, 끈 형상의 이물질이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하단부와 문턱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끈 형상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다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는 반전 도어 개방 수단과, 강제 도어 폐쇄 수단과,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반전 도어 개방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그 동작을 반전시켜서 상기 카 도어를 개방하는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실행한다. 강제 도어 폐쇄 수단은 상기 반전 도어 개방 수단에 의한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하여,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 유무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상기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한다. 통지 수단은,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또는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에 병행하여,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한다.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의 개시 후, 상기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과는 다른 사정이 원인이 되어,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을 완료할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실행된 경우라도,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이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되므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에 의한 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는 또한, 승강기 제어 수단과 제2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승강기의 주행을 개시시킨다. 제2 통지 수단은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승강기 제어 수단에 의해 승강기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승강기의 주행 개시를 통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카 도어에 큰 변경을 더하는 일 없이, 단순히 투광/수광 유닛과 반사 부재를 배치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끈 형상의 이물질을 그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엘리베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투광/수광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1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2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1 반사 부재와 청소 기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엘리베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투광/수광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1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2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오버트래블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6은 오버트래블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7은 투광/수광 유닛의 고장 검지를 행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그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그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이트 스위치가 온이 되는 시점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그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그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유닛의 제어 수속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끈 검지 동작 예의 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끈 검지 동작 예의 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4는 다른 끈 검지 동작 예의 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끈 검지 동작 예의 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6은 다른 끈 검지 동작 예의 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7은 상기 끈 검지 동작 예의 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8은 다른 끈 검지 동작 예의 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끈 검지 동작 예의 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끈 검지 동작 예의 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끈 검지 동작 예의 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3은 상기 일례의 연직 단면도이다.
도 34는 개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5는 상기 다른 예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6은 개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상기 다른 예의 연직 단면도이다.
도 38은 개량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39는 제2 반사 부재를 청소해야 할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제1 반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제1 반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 제1 반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3 엘리베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4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5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투광/수광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투광/수광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7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반사 부재 및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8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반사 부재 및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9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반사 부재 및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0은 완전 폐쇄 상태에서의 상기 청소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1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양쪽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형상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2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양쪽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다른 형상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3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4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5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의 부착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6은 끈 검지 동작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7은 다른 끈 검지 동작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8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어 유닛의 제어 수속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4 엘리베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1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2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반사 부재 및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3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연직 단면도이다.
도 64는 완전 폐쇄 상태에서의 반사 부재와 청소 기구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5 엘리베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6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7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투광/수광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8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1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9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1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0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2 반사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1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2는 폐쇄 상태에서의 제1 반사 부재와 청소 기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3은 끈 검지 동작 예를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4는 다른 끈 검지 동작 예를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5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6은 상기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77은 상기 일례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끈 검지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8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기 다른 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끈 검지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9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기 다른 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끈 검지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0은 투광/수광 유닛의 고장 검지를 행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이트 스위치가 온이 되는 시점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6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85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86은 끈 검지 동작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87은 다른 끈 검지 동작 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엘리베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의 승강구를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며, 승강구 상방의 프레임(102)에 레일(1)이 고정되고, 양쪽 카 도어(2)(3)는 각각 행거(21)(31)에 의해 레일(1)에 현수되는 동시에, 도어 하단부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슈(22)(32)가 문턱(8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여서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102) 상에는 양쪽 카 도어(2)(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카 도어(2)에는, 도 1과 같이, 우측 카 도어(3)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으로부터 우측 카 도어(3) 측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어 12㎜)만큼 떨어진 연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연직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연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투광/수광 유닛(4)은, 레이저 광의 빔(이하, 광 빔이라고 함)(B)을 출사해야 할 투광기와 입사해 오는 광 빔(B)을 검지해야 할 수광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의 폐쇄 방향 단부면(2a)에 고정된 스테이(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투광/수광 유닛(4)의 투광기로서는 예를 들어 적색 반도체 레이저를 채용하고, 이에 의해 지름 1 내지 2㎜의 스폿을 형성한다. 투광/수광 유닛(4)의 수광기는 입사광 빔에 의한 수광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었을 때, 광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반해, 입사광 빔에 의한 수광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밑돌았을 때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반사 부재(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카 도어(2)의 하단부면에 돌출 설치된 L자 형상의 아암 부재(51)의 수평 아암부에 설치되어 있고, 광 빔(B)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아암 부재(51)는, 카 도어(2)의 가이드 슈가 끼이는 문턱(82)의 홈(83)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아암 부재(51)는, 도 8에 도시하는 스테이(52)를 통해서 좌측 카 도어(2)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스테이(52)는 카 도어(2)에 대하여 도어 개폐 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아암 부재(51)는 스테이(52)에 대하여 도어 개폐 방향과는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우측 카 도어(3)의 상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카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을 수용해야 할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우측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수용 공간(30)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예를 들어 8㎜)의 반사면을 갖고, 수용 공간(30)으로 침입한 투광/수광 유닛으로부터의 광 빔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카 도어(3)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과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메우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의 하단부는, 문턱(82)의 홈(8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우측 카 도어(3)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의 후방 위치에 도 7과 같이 부착 금속 부재(702)가 고정되고, 상기 부착 금속 부재(702)에 의해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0)가 하부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기구(70)가 좌측 카 도어(2)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청소한다(도 8 참조). 이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은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한, 투광/수광 유닛(4)이 연직 하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 및 제2 반사 부재(6)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는 부착 상태는, 투광/수광 유닛(4)의 구성(발광기 및 수광기의 배치 등)이나 카 도어의 설치 자세의 편차 등에 따라서, 연직선에 대하여 약간의 경사를 갖는 부착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는, 승강기의 승강구를 형성하는 출입구 기둥(20)의 단부면을 기준으로 하는 카 도어(2)의 완전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후퇴 거리, 즉 오버트래블(T)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B)의 배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서는, 광 빔(B)이 승강구 폭의 외측에 위치하고,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도어 폐쇄 중에서는, 카 도어(2)의 단부 테두리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단부 테두리를 연결한 선의 내측에 위치하는 바와 같이, 광 빔(B)을 배치한다.
또, 도 16은 오버트래블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B)의 배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서는 카 도어(2)의 단부 테두리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단부 테두리를 연결한 선의 외측에 위치하고,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도어 폐쇄 중에서는 카 도어(2)의 단부 테두리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단부 테두리를 연결한 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광 빔(B)을 배치한다.
상기 제1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5)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그 후,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은 우측 카 도어(3)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30)으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제2 반사 부재(6)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즉,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5) 또는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돌아오게 된다.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이 검지될 때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 유닛(100)은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한,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반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유닛(100)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 유닛(100)은 양쪽 카 도어(2)(3)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킨다.
도 22 및 도 23은, 승강기의 승강구의 중앙부를 통과해서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의 (a)(b)(c)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광 빔(B)은 서서히 끈(S)에 접근하고, 다시 도 23의 (a)(b)(c)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끈(S)을 가로지르게 된다. 이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24 및 도 25는, 좌측 카 도어(2)에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측 카 도어(2)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에 접촉해서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의 (a)(b)(c)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끈(S)이 광 빔(B)과 좌측 카 도어(2)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도어 폐쇄 동작의 진행에 수반하여 끈(S)은 광 빔(B)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도 25의 (a)(b)(c)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끈(S)의 외측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광 빔(B)이 끈(S)을 가로지를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26 및 도 27은, 양쪽 카 도어(2)(3)에 각각 세이프티 슈 프레임(27)(37)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측 카 도어(2)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에 접촉해서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의 (a)(b)(c)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끈(S)이 광 빔(B)과 좌측 카 도어(2)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도어 폐쇄 동작의 진행에 수반하여 끈(S)은 광 빔(B)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도 27의 (a)(b)(c)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끈(S)의 외측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광 빔(B)이 끈(S)을 가로지를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엘리베이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에 고정된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고속의 카 도어(23)와 저속의 카 도어(33)를 구비한 사이드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며, 양쪽 카 도어(23)(33)는 각각 행거(24)(34)에 의해 레일(11)에 현수되는 동시에, 도어 하단부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슈(25)(35)가 문턱(8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여서,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102) 상에는 양쪽 카 도어(23)(3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고속의 카 도어(23)에는, 도 9와 같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과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3a)으로부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어 12㎜)만큼 떨어진 연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연직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연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B)을 출사해야 할 레이저 투광기와 입사해 오는 광 빔(B)을 검지해야 할 레이저 수광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에 고정된 스테이(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반사 부재(5)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의 하단부면에 돌출 설치된 L자 형상의 아암 부재(51)의 수평 아암부에 설치되어 있고, 광 빔(B)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아암 부재(51)는, 카 도어(23)의 가이드 슈가 끼이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상단부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을 수용해야 할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단부면(12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수용 공간(30)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예를 들어 8㎜)의 반사면을 갖고, 수용 공간(30)으로 침입한 투광/수광 유닛으로부터의 광 빔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한다.
또한,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하단부에는, 도 14와 같이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0)가 하부 방향에 부착되어 있다.
도 10과 같이 양쪽 카 도어(23)(33)가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기구(70)가 고속의 카 도어(23)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청소한다. 이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은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2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5)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그 후,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30)으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제2 반사 부재(6)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즉,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5) 또는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돌아오게 된다.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이 검지될 때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제어 유닛(100)은,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이물질 검지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한, 양쪽 카 도어(23)(33)의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반해, 제어 유닛(100)은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이물질 검지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 양쪽 카 도어(23)(33)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킨다.
도 28 및 도 29는, 승강기의 승강구보다도 약간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의 위치를 통과해서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고속의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8의 (a)(b)와 같이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끈(S)에 접근하여, 끈(S)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도 29의 (a)(b)와 같이 광 빔(B)은 끈(S)과 교차하는 위치로부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 빔(B)이 끈(S)을 가로지를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30 및 도 31은, 고속의 카 도어(23)에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과 승강장 도어(15)에 접촉해서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30의 (a)(b)(c)와 같이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향해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끈(S)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에 의해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으로 압출되지만, 그 후, 도 31의 (a)(b)(c)와 같이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카 도어(23)의 이동에 수반하여 광 빔(B)은 끈(S)을 가로지르게 된다. 이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17 내지 도 20은, 사이드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투광/수광 유닛(4)의 고장을 검지하기 위해, 게이트 스위치(101)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2 반사 부재(6)는,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 반사하는 반사부(601)와,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는 반사하지 않는 비 반사부(602)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 반사 부재의 표면에 반사 테이프를 점착함으로써 반사부(601)를 구성하고, 반사 테이프를 점착하지 않는 영역에 의해 비 반사부(60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1)에는 게이트 스위치(101)가 배치되는 한편, 고속의 카 도어(23)의 행거(24)에는 게이트 스위치(101)를 오프에서 온으로 절환하기 위한 돌기(26)가 부착되어 있다.
도 17의 (a)(b)에 도시한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제1 반사 부재(5)로 입사해서 반사되게 된다. 광 빔(B)은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으로부터 12㎜만큼 떨어진 연직선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도 18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의 단부면(12a)의 바로 앞 12㎜의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B)은, 상기 제1 반사 부재(5)에 입사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제2 반사 부재(6)의 반사부(601)에 입사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이후는 반사부(601)에서 반사된 광 빔(B)이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검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게이트 스위치(101)는 오프인 상태이다.
도 19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의 단부면(12a)의 바로 앞 8㎜의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 게이트 스위치(101)가 온이 된다. 이때,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여전히 제2 반사 부재(6)의 반사부(601)에 입사하는 상태이며, 반사부(601)에서 반사된 광 빔(B)이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검지된다.
또한, 도 20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의 단부면(12a)의 바로 앞 4㎜의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제2 반사 부재(6)의 반사부(601)에 입사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비 반사부(602)에 입사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그 후,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투광/수광 유닛(4)으로 광 빔(B)이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 입사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이 시점에서, 게이트 스위치(101)는 온인 상태이다.
따라서, 투광/수광 유닛(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한,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에서는 게이트 스위치(101)가 온이 되고, 또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00)은 이물질 검지 신호에 관계없이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그런데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게이트 스위치(101)는 온이 되지만,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제어 유닛(100)은 게이트 스위치(101)가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한다.
도 21은, 투광/수광 유닛(4)과 게이트 스위치(101)의 출력을 기초로 하는 제어 유닛(100)의 제어 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1에서는, 도어 개방 완료(완전 개방 상태)에서 대기한다. 다음에 스텝 S2에서는,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1로 복귀하여 도어 개방 완료에서 대기한다.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어 스텝 S2에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3으로 이행하고,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을 소정 횟수(N)만큼 반복한 경우, 또는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한 경우의 어디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 완료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과는 다른 사정이 원인이 되어,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을 완료할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스텝 S4로 이행하여, 승강기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승강기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람에 대하여 카 도어(23)(33)로부터 멀어지도록 경고를 행한다. 그 후,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하여, 버저의 울림 등을 실행시키면서,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 유무에 관계없이 저속에서의 도어 폐쇄 동작을 강제적으로 실행한다. 여기서 실행되는 버저의 울림 등은,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 통지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실행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 스텝 S41에 있어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이물질 검출을 행한다. 여기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2로 이행하고, 도어 폐쇄 완료 후,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유효로 하는 동시에 버저의 울림 등을 정지해서,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그 후, 수속을 종료한다.
이에 반해,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어 스텝 S41에 있어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3으로 이행하고, 도어 폐쇄 완료 후, 승강기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승강기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승강기의 주행이 개시되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음성에 의해 주행 개시를 통지할 경우에는 스텝 S4에서 경고를 행했을 때의 음성보다도 음량을 크게 해도 좋다.
승강기의 주행 개시를 통지하고 있는 동안은, 승강기의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스텝 S44에 있어서, 승강기 내의 도어 개방 버튼, 또는 승강기가 정지하고 있는 정지층에서의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승강기 내의 도어 개방 버튼 또는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러져, 스텝 S44에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7로 이행해서 도어 개방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스텝 S4에서 도어 폐쇄 동작을 강제적으로 행함으로써 협지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스텝 S1로 복귀하여, 도어 개방 완료에서 대기한다.
이에 반해, 승강기 내의 도어 개방 버튼 또는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러지지 않아, 스텝 S44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5로 이행하고, 승강기 및 카 도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 채, 승강기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을 이용해서 승강기의 주행이 개시되는 것을 방송한다. 그리고 방송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방송 종료 후에 소정의 시간이 지나 스텝 S45에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6로 이행하여,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그 후, 수속을 종료한다.
한편, 방송 종료 후에 소정의 시간이 지나지 않아 스텝 S4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3으로 복귀하여, 승강기 및 카 도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스텝 S4에 있어서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이 강제적으로 실행된 경우라도, 스텝 S4에서는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이 통지되고, 스텝 S43에서는 승강기의 주행 개시가 통지되므로, 도어 폐쇄 동작을 강제적으로 실행한 것에 따른 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게 된다.
스텝 S3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에서 통상의 속도(고속)로 도어 폐쇄 동작을 행하고, 스텝 S6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이물질의 검출을 행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승강기의 탑승구에 어떠한 이물질(예를 들어 승강기와 승강장 플로어에 걸친 끈)이 존재하는 것이라 추정되므로, 스텝 S7로 이행해서 반전 도어 개방을 행한 후, 스텝 S1로 복귀해서 도어 개방 완료에서 대기한다.
한편, 스텝 S6에서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8로 이행하여, 게이트 스위치가 온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다시 스텝 S9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이물질의 검출을 행한다. 스텝 S8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로 복귀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지 않았을 때는, 투광/수광 유닛으로부터의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의 반사부로 입사하는 상태로부터 비 반사부로 입사하는 상태로 이행하였음에도, 투광/수광 유닛이 광 빔의 검출 상태로부터 비 검출 상태로 절환되지 않은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스텝 S11로 이행하고, 투광/수광 유닛에 이물질을 검출할 수 없는 고장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하여, 반전 도어 개방을 행한 후, 스텝 S1로 복귀하여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서 대기한다.
이에 반해, 스텝 S9에서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10에서 투광/수광 유닛은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시킨다. 또한, 스텝 S12에서는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제거하고, 스텝 S13에서는 이물질을 검출할 수 없는 고장이 발생했다고 하는 판단을 해제하여,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상술한 수속에 따르면, 종래부터 도어 폐쇄 동작의 종료를 검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게이트 스위치(101)로부터의 온/오프 신호를 이용하여, 투광/수광 유닛(4)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구에 끈 등의 이물질이 존재함에도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위험 회피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이상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스위치(101)로부터의 온/오프 신호 대신에, 보다 완전 폐쇄 상태에 가까운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CTL 신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 스위치(101)는 도어가 폐쇄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인 것에 대해, CTL은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엘리베이터에는 양쪽의 스위치가 장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단부면(12a)의 바로 앞 4㎜까지 폐쇄된 시점에서 CTL 신호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바뀌므로,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단부면(12a)의 바로 앞 2㎜까지 폐쇄된 상태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의 반사부(601)로부터 비 반사부(602)로 이행하도록 반사부(601)의 길이를 변경한다.
도 32 및 도 33은,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승강장 도어(13)의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장 도어(13)의 폐쇄 방향 단부면(13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S)이 상기 간극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이 결과, 끈(S)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승강장 도어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하단부와 문턱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를 부착하는 것이 유효하다.
도 34 및 도 35는,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카 도어(2)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2)의 폐쇄 방향 단부면(2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동시에 상기 간극보다도 우측 카 도어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이물질 압출 부재(90)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S)은 카 도어(2)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압출 부재(90)에 의해 압출되고, 이 결과, 광 빔(B)이 끈(S)을 가로지르게 되어, 끈(S)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은, 좌측 카 도어(2)에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이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카 도어(2)의 하단부에는, 상기한 예와 같은 이물질 압출 부재(9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하단부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우측 카 도어측을 향한 경사면(28)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하단부면은 경사면(28)을 가지고 있으므로, 양쪽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7) 밑으로 끈(S)이 기어들어 갔다고 해도, 상기 끈(S)을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상기 끈(S)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경사면(28)으로 안내되어 쉽게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밑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38은,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우의 승강장 도어(13)(14)에 상술한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를 부착하는 동시에, 좌측 카 도어(2)에는 상술한 이물질 압출 부재(90)를 부착하고, 우측 카 도어(3)에는 상술한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를 부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양쪽 카 도어(2)(3)에 부착된 세이프티 슈 프레임(27)(37)에는 각각 상술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S)은 승강장 도어(13)(14)나 카 도어(2)(3) 밑으로 기어들어 가는 것이 저지되고, 또한 세이프티 슈 프레임(27)(37) 밑으로 끈(S)이 기어들어 갔을 때의 끈의 탈출 조작이 쉬워진다.
또 다른 구성 예에 있어서, 도 39와 같이 좌측 카 도어(2)에 부착된 스테이(41)에는, 투광/수광 유닛(4)보다도 전방 측의 위치에,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01)가 하부 방향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기구(701)가 우측 카 도어(3)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을 청소한다. 이에 의해,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은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도 40 내지 도 42는 각각, 제1 반사 부재(5)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개조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0의 예에서는, 아암 부재(51)의 배면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패드(54)를 부착하는 구성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에 대하여 외력(F)이 작용했을 때의 충격을, 아암 부재(51)의 탄성 변형과 패드(54)의 충격 흡수에 의해 흡수한다.
또, 도 41의 예에서는, 아암 부재(51)를 피봇 축(55)에 의해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하는 동시에, 아암 부재(51)의 배면에는, 그 선단부측에 패드(56)를, 피봇 축(55) 측에 스프링(57)을 부착하는 구성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에 대하여 외력(F)이 작용했을 때의 충격을 스프링(57)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한다.
또한, 도 42의 예에서는 아암 부재(51)의 표면에 일정한 깊이(G)를 갖는 가늘고 긴 홈(53)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홈(53)의 바닥면에 제1 반사 부재(5)를 매설해서 상기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드러내는 구성에 의해, 우산 끝 등의 막대 형상물(A)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가 직접적으로 찔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3 엘리베이터는, 도 43 및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를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며, 승강구 상방의 프레임(81)에 레일(1)이 고정되고, 양쪽 카 도어(2)(3)는 각각 행거(21)(31)에 의해 레일(1)에 현수되는 동시에, 도어 하단부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슈(22)(32)가 문턱(8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여서,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또, 프레임(81) 상에는 양쪽 카 도어(2)(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되는 연직선(103) 상의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81)에는 연직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문턱(82)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반사 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수광 유닛(4)은 트랜섬(811)을 통해서 프레임(8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투광/수광 유닛(4)이 연직 하부 방향을 향해, 반사 부재(50)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는 부착 상태는, 투광/수광 유닛(4)의 구성(발광기 및 수광기의 배치 등), 프레임(81)이나 카 도어(2)(3)의 설치 자세의 편차 등에 따라서, 연직선(103)에 대하여 약간의 경사를 갖는 부착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투광/수광 유닛(4)은, 레이저 광의 빔(이하, 광 빔이라고 함)(B)을 출사해야 할 투광기와 입사해 오는 광 빔(B)을 검지해야 할 수광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며,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섬(811)에 고정된 스테이(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투광/수광 유닛(4)의 투광기로서는 예를 들어 적색 반도체 레이저를 채용하고, 이에 의해 지름 1 내지 2㎜의 스폿을 형성한다. 투광/수광 유닛(4)의 수광기는, 입사광 빔에 의한 수광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웃돌고 있을 때, 광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반해, 입사광 빔에 의한 수광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밑돌 때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반사 부재(50)는, 도 47 및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턱(82)의 하방에 배치되어 문턱(82)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설치대(104)에 설치되어 있고, 광 빔(B)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진다. 또한, 문턱(82)에는 도 48 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빔(B)을 연직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8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대(104)는 문턱(82)에 고정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반사 부재(50)를 문턱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이용객으로부터는 반사 부재(50)의 존재가 인식되기 어려워지므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사 부재(50)의 반사면이 오염되기 어려워진다.
양쪽 카 도어(2)(3)에는,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3a)에, 연직선(103)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오목부(2b)(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 광 빔(B)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05)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a)(3a)에,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선(103)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절결부(2c)(3c)를 형성하고, 광 빔(B)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05)를 상기 한 쌍의 절결부(2c)(3c)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턱(82) 및 우측 카 도어(3)에는,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가 배치되고, 청소 기구(7)는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1), 스프링 부재(72) 및 압박부(7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턱(82)에 고정되어 있는 설치대(104)에, 한 쌍의 지지 부재(75)(75)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75)(75)에 의해, 우측 카 도어(3)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막대 형상 부재(74)가 미끄러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막대 형상 부재(74)에는, 청소 기구(71)가 하부 방향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청소 기구(71)는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74)에는, L자 형상의 아암부(76)가 상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72)는, 그 일단부가 설치대(104)에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막대 형상 부재(74)의 우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청소 기구(71)를 우측 카 도어(3)의 개방 방향으로 스프링 압박하고 있다. 따라서, 우측 카 도어(3)가 개방된 상태일 때, 청소 기구(71)는 반사 부재(50)의 우측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카 도어(3)의 가이드 슈(32)가 압박부(73)로서 이용되고, 우측 카 도어(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도 47)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도 50)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슈(32)가 아암부(76)를 스프링 압박에 저항해서 압박한다. 이에 의해, 청소 기구(71)는,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부재(50)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해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한다.
그 후, 우측 카 도어(3)가 개방됨으로써, 청소 기구(71)는 스프링 부재(72)에 의한 스프링 압박에 의해 반사 부재(5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해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다시 청소한다. 즉, 우측 카 도어(3)가 개폐될 때마다 청소 기구(71)에 의해 반사 부재(50)의 표면이 청소된다. 따라서, 반사 부재(50)의 표면이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청소 기구(7)에 있어서, 청소 기구(71)를, 스프링 부재(72)에 의해 우측 카 도어(3)의 폐쇄 방향으로 스프링 압박해도 좋다. 이 경우, 청소 기구(71)는 반사 부재(50)의 좌측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우측 카 도어(3)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슈(32)에 의해 아암부(76)를 스프링 압박에 저항해서 압박함으로써, 청소 기구(71)는 반사 부재(5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해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하게 된다. 그 후, 우측 카 도어(3)가 폐쇄됨으로써, 청소 기구(71)는 스프링 부재(72)에 의한 스프링 압박에 의해 반사 부재(50)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해서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다시 청소한다.
또한,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의 하단부에는 상기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a)(3a)과 문턱(8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가 부착되어 있다.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에는, 도 5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91a)(92a)가 형성되어 있고,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91a)(92a)는,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돌기부(91a)(92a)의 하단부가,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턱(82)의 홈(8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3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반사 부재(50)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을 검지하고 있을 때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 유닛(100)은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한,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반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S)이 존재하는 경우, 도 56 또는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끈(S)에 의해 차단되어,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된다.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생성된 이상 검지 신호는, 제어 유닛(100)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 유닛(100)은 양쪽 카 도어(2)(3)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킨다.
또, 상기 제3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투광/수광 유닛(4)은 프레임(8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양쪽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 구체적으로는 입사광 빔(B)의 수광량의 변동이나 광 빔(B)의 조사 위치의 어긋남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이물질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사 부재(50)는 문턱(8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양쪽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양쪽 카 도어(2)(3)의 하단부에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끈(S)이 양쪽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a)(3a)과 문턱(82)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침입되는 것이,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인 끈(S)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만, 광 빔(B)을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광 빔(B)의 출사 시에 사람이 투광/수광 유닛(4)을 들여다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8은, 투광/수광 유닛(4)의 출력을 기초로 하는 제어 유닛(100)의 제어 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스텝 S21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B)의 투광을 정지하고, 다음 스텝 S22에 있어서 도어 개방 완료(완전 개방 상태)에서 대기한다. 다음에 스텝 S23에서는,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22로 복귀하고, 도어 개방 완료에서 대기한다.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어 스텝 S23에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24로 이행하고,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을 소정 횟수(N)만큼 반복한 경우, 또는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한 경우의 어디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 완료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 형상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과는 다른 사정이 원인이 되어,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을 완료할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스텝 S25로 이행하여, 승강기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승강기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람에 대하여 카 도어(2)(3)로부터 멀어지도록 경고를 행한다. 그 후,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하여, 버저의 울림 등을 실행시키면서,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 유무에 관계없이 저속에서의 도어 폐쇄 동작을 강제적으로 실행한다. 여기서 실행되는 버저의 울림 등은,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 통지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실행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 스텝 S51에 있어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이물질의 검출을 행한다. 여기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2로 이행하고, 도어 폐쇄 완료 후,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유효로 하는 동시에 버저의 울림 등을 정지해서,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그 후, 수속을 종료한다.
이에 반해,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이물질 검출 신호가 생성되어 스텝 S51에 있어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3으로 이행하고, 도어 폐쇄 완료 후, 승강기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승강기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승강기의 주행이 개시되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음성에 의해 주행 개시를 통지할 경우에는 스텝 S5에서 경고를 행했을 때의 음성보다도 음량을 크게 해도 좋다.
승강기의 주행 개시를 통지하고 있는 동안은, 승강기의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스텝 S54에 있어서, 승강기 내의 도어 개방 버튼, 또는 승강기가 정지하고 있는 정지층에서의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승강기 내의 도어 개방 버튼 또는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러져 스텝 S54에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7로 이행하여, 광 빔(B)의 투광을 정지한 후, 도어 개방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스텝 S25에서 도어 폐쇄 동작을 강제적으로 행함으로써 협지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스텝 S21을 지나 스텝 S22로 복귀하여, 도어 개방 완료에서 대기한다.
이에 반해, 승강기 내의 도어 개방 버튼 또는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러지지 않아 스텝 S54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5로 이행하고, 승강기 및 카 도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 채, 승강기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을 이용해서 승강기의 주행이 개시되는 것을 방송한다. 그리고 방송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방송 종료 후에 소정의 시간이 지나 스텝 S55에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6로 이행하고,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그 후, 수속을 종료한다.
한편, 방송 종료 후에 소정의 시간이 지나지 않아 스텝 S5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53으로 복귀하여, 승강기 및 카 도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스텝 S25에 있어서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이 강제적으로 실행된 경우라도, 스텝 S25에서는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이 통지되고, 스텝 S53에서는 승강기의 주행 개시가 통지되므로, 도어 폐쇄 동작을 강제적으로 실행한 것에 의한 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게 된다.
스텝 S24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26에서 통상의 속도(고속)로 도어 폐쇄 동작을 행하고, 스텝 S27에서 게이트 스위치(101)가 온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7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26으로 복귀한다. 스텝 S27에서 예라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28로 이행해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B)의 투광을 개시하고, 스텝 S29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이물질의 검지를 행한다.
스텝 S29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승강기의 탑승구에 어떠한 이물질(예를 들어 승강기와 승강장 플로어에 걸쳐진 끈)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스텝 S30으로 이행하여, 승강기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 채, 광 빔(B)의 투광을 정지하고, 계속해서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실행한다. 그 후 스텝 S21을 지나 스텝 S22로 복귀하여 도어 개방 완료에서 대기한다.
한편, 스텝 S29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31로 이행해서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제거하고, 그 후, 광 빔의 투광을 정지한다. 그리고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상술한 수속에 따르면, 끈 형상인 것과는 다른 이물질에 의해, 이상 검지 신호가 생성되어 카 도어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고 하는 이상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4 엘리베이터는, 도 59 및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3 엘리베이터와 같은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며, 제3 엘리베이터와는 반사 부재(50)의 구성 및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구성이 다르다. 이하,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3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부재(50)는,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카 도어(3)의 하단부면에 돌출 설치된 L자 형상의 아암 부재(51)의 수평 아암부에 설치되고, 광 빔(B)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다. 또한, 아암 부재(51)의 수평 아암부는,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카 도어(3)의 가이드 슈(32)가 끼이는 문턱(82)의 홈(83)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즉, 반사 부재(50)는 문턱(82)의 홈(83) 내부에, 상기 홈(8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 반사 부재(50)는 우측 카 도어(3)의 하단부면과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좌측 카 도어(2) 측으로 연장하고, 우측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8㎜)만큼 돌출하고 있다. 즉, 반사 부재(50)는 우측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의 하단부 위치에, 상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 부재(50)는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 상술한 한 쌍의 오목부(2b)(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2c)(3c)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105)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7)가 문턱(82)의 홈(83)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소 기구(77)는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83)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브러시가 하부 방향이 되도록, 홈(8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 및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되는 과정에서, 청소 기구(77)는 우측 카 도어(3)에 배치되어 있는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한다. 이에 의해, 반사 부재(50)의 표면은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4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반사 부재(50)가 우측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8㎜)만큼 돌출하고 있으므로,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이 통과하는 연직선(103) 상에 반사 부재(50)의 선단부가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B)의 출사가 개시된다.
그리고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반사 부재(50)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이상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S)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제3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도 56 또는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끈(S)에 의해 차단되어,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된다.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 상기 제4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투광/수광 유닛(4)은 프레임(8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제3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양쪽 카 도어(2)(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완전 폐쇄 직전 상태에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B)의 출사가 개시되므로, 광 빔(B)의 출사 시에 사람이 투광/수광 유닛을 들여다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 빔(B)이 통과하는 연직선(103) 상에 반사 부재(50)의 선단부가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B)의 출사가 개시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연직선(103) 상에 반사 부재(50)의 선단부가 도달하기 전에 광 빔(B)의 출사를 개시해도 좋다. 이 경우, 연직선(103) 상에 반사 부재(50)의 선단부가 도달하기 전에 있어서는 끈 검지 기능을 무효로 하고, 상기 연직선(103) 상에 반사 부재(50)의 선단부가 도달했을 때에 끈 검지 기능을 유효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5 엘리베이터는, 도 65 및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에 고정된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고속의 카 도어(23)와 저속의 카 도어(33)를 구비한 사이드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며, 승강구 상방의 프레임(85)에 레일(11)이 고정되어, 양쪽 카 도어(23)(33)는 각각 행거(24)(34)에 의해 레일(11)에 현수되는 동시에, 도어 하단부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슈(25)(35)가 문턱(8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여서,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또, 프레임(85) 상에는 양쪽 카 도어(23)(3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단부면(84a)으로부터 고속의 카 도어(23) 측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어 12㎜)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연직선(113) 상의 상단부 위치에 연직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연직선(113)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6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투광/수광 유닛(4)이 연직 하부 방향을 향하고, 제1 반사 부재(61)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는 부착 상태는, 투광/수광 유닛(4)의 구성(발광기 및 수광기의 배치 등),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이나 카 도어(23)(33)의 설치 자세의 편차 등에 따라서, 연직선(113)에 대하여 약간의 경사를 갖는 부착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투광/수광 유닛(4)은 승강구 상방의 프레임(85)에, 상기 연직선(113) 상의 위치에서 연직 하방을 향해 배치되어도 좋다.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B)을 출사해야 할 투광기와 입사해 오는 광 빔(B)을 검지해야 할 수광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며,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고정된 스테이(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반사 부재(61)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 위치에 배치된 L자 형상의 아암 부재(63)의 수평 아암부에 설치되어 있고, 광 빔(B)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암 부재(63)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의 가이드 슈(25)가 끼이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즉, 반사 부재(61)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고속의 카 도어(23)의 상단부에는,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3a)에 개구한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은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투광/수광 유닛(4)을 수용한다.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반사 부재(62)는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수용 공간(30)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예를 들어 8㎜)의 반사면을 갖고, 수용 공간(30)으로 침입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B)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한다.
고속의 카 도어(23)의 하단부에는,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8)가 하부 방향에 부착되어 있다.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카 도어(23)(33)가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 및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되는 과정에서, 청소 기구(78)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반사 부재(61)의 표면을 청소한다. 이에 의해, 제1 반사 부재(61)의 표면은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한, 도어 부딪힘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9)가 하부 방향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소 기구(79)는 투광/수광 유닛(4)을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지지하기 위한 스테이(42)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청소 기구(79)는, 양쪽 카 도어(23)(33)가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 및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되는 과정에서, 수납 공간(3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반사 부재(62)의 표면을 청소한다. 이에 의해, 제2 반사 부재(62)의 표면은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고속의 카 도어(23)의 하단부에는, 상술한 제3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과 문턱(86)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도 53 내지 도 55 참조).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61)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그 후,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은 고속의 카 도어(23)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30)으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제2 반사 부재(62)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즉,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61) 또는 제2 반사 부재(62)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돌아오게 된다.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을 검지하고 있을 때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 유닛(100)은,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한, 양쪽 카 도어(23)(33)의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반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해서 제어 유닛(100)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 유닛(100)은, 양쪽 카 도어(2)(3)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킨다.
또,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투광/수광 유닛(4)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쪽 카 도어(23)(33)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 구체적으로는 입사광 빔의 수광량의 변동이나 광 빔의 조사 위치의 어긋남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이물질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반사 부재(61)는 문턱(86)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도어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승강기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고속의 카 도어(23)의 하단부에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끈(S)이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과 문턱(86)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침입하는 것이,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이물질인 끈(S)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 공간(30)의 내부로 돌입하기 직전부터, 상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되기까지의 기간에서만, 광 빔(B)을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광 빔(B)의 출사 시에 사람이 투광/수광 유닛(4)을 들여다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3 및 도 74는,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고속의 카 도어(23)에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끈(S)이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의 선단부에 걸려 있는 경우에는, 끈(S)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에 의해 광 빔(B) 쪽으로 유도되고[도 73의 (a)], 그 결과, 끈(S)은 광 빔(B)을 가로지른다[도 73의 (b)]. 이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B)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상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7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의 폐쇄 방향 단부면(29a)과 문턱(86)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끈(S)이 침입한 경우에는, 끈(S)은 고속의 카 도어(23)의 하단부에 부착된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에 의해 광 빔(B) 쪽으로 유도되고[도 74의 (a)], 그 결과, 끈(S)은 광 빔(B)을 가로지른다[도 74의 (b)]. 이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B)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상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75 및 도 76은,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보다도 고속의 카 도어(23) 측으로 돌출하는 이물질 압출 부재(93)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질 압출 부재(93)는, 상술한 L자 형상의 아암 부재(6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물질 압출 부재(93)의 상단부면은, 상기 상단부면에 접해서 깔린 끈(S)이 연직선(113) 상으로 유도되도록 비스듬하게 컷트되어 있다.
도 77은, 상기 개량 구조를 갖는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개량 구조를 갖는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광 빔(B)이 통과하는 연직선(113)과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과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깔린 끈(S)은, 이물질 압출 부재(93)에 의해 전방으로 압출되고(도 76 참조), 그 결과, 연직선(113) 상으로 유도된다(도 77). 따라서,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반드시 끈(S)에 의해 차단되게 되어, 이 결과, 이물질인 끈(S)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8은,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8에서는 승강기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이 부착되고,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에는, 광 빔(B)이 통과하는 연직선(113)을 따라 연장한 돌출 부재(94)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부재(94)는, 도 7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빔(B)이 통과하는 위치에 대하여 세이프티 슈 프레임(29) 측에 위치하고,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가, 상기 단부면(84a)으로부터 광 빔(B)까지의 거리(예를 들어 12㎜)보다도 짧다. 또한, 돌출 부재(94)는, 도 7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과 겹친다.
상기 개량 구조를 갖는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도 7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부재(94)가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과 겹침으로써, 이물질인 끈(S)의 일부분을 세이프티 슈(29)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그리고 상기 일부분을 폐쇄 방향을 따르도록 한다. 따라서, 끈(S)은 돌출 부재(94)의 선단부로부터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 측으로 압출된다. 그 결과, 끈(S)은 광 빔(B)과 교차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혹은 광 빔(B)을 가로지른다. 이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B)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상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79는,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량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9에서는, 승강기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깔리어 있는 상태에서, 카 도어(23)와 승강장 도어(15)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 측면에는 폐쇄 방향 단부면(23a)의 상단부 위치로부터 하단부 위치까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95)가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95)는 폐쇄 방향 단부면(23a)으로부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개량 구조를 갖는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도 79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끈(S)이 가이드 부재(95)의 선단부에 걸려서, 끈(S)은 가이드 부재(95)에 의해 광 빔(B) 쪽으로 유도되고[도 79의 (a)], 그 결과, 끈(S)은 광 빔(B)을 가로지른다[도 79의 (b)]. 이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B)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상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80 내지 도 83은, 상기 제5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투광/수광 유닛(4)의 고장을 검지하기 위해, 게이트 스위치(101)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2 반사 부재(62)는,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 반사하는 반사부(621)와,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는 반사하지 않는 비 반사부(622)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 반사 부재의 표면에 반사 테이프를 점착함으로써 반사부(621)를 구성하고, 반사 테이프를 점착하지 않는 영역에 의해 비 반사부(62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1)에는 게이트 스위치(101)가 배치되는 한편, 고속의 카 도어(23)의 행거(24)에는 게이트 스위치(101)를 오프에서 온으로 절환하기 위한 돌기(26)가 부착되어 있다.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의 바로 앞 12㎜의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B)은, 제1 반사 부재(61)에 입사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제2 반사 부재(62)의 반사부(621)에 입사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이후는 반사부(621)에서 반사된 광 빔(B)이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검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는, 게이트 스위치(101)는 오프인 상태이다.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의 바로 앞 8㎜의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 게이트 스위치(101)가 온이 된다. 이때,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여전히 제2 반사 부재(62)의 반사부(621)에 입사하는 상태이며, 반사부(621)에서 반사된 광 빔(B)이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검지된다.
또한, 도 8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의 바로 앞 4㎜의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제2 반사 부재(62)의 반사부(621)에 입사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비 반사부(622)에 입사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그 후,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투광/수광 유닛(4)으로 광 빔(B)이 일정 이상의 광량으로 입사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이 시점에서는, 게이트 스위치(101)는 온인 상태이다.
따라서, 투광/수광 유닛(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한,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에서는 게이트 스위치(101)가 온이 되고, 또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00)은 이물질 검지 신호에 관계없이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그런데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게이트 스위치(101)는 온이 되지만,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제어 유닛(100)은 게이트 스위치(101)가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한다.
투광/수광 유닛(4)과 게이트 스위치(101)의 출력을 기초로 하는 제어 유닛(100)의 제어 수속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도 21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실행된다.
상기 수속에 따르면, 종래부터 도어 폐쇄 동작의 종료를 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게이트 스위치(101)로부터의 온/오프 신호를 이용하여, 투광/수광 유닛(4)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구에 끈 등의 이물질이 존재함에도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위험 회피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이상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스위치(101)로부터의 온/오프 신호 대신에, 더욱 완전 폐쇄 상태에 가까운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CTL 신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 스위치(101)는 도어가 폐쇄된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인 것에 반해, CTL은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엘리베이터에는 양쪽의 스위치가 장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의 바로 앞 4㎜까지 폐쇄된 시점에서 CTL 신호가 오프에서 온으로 바뀌므로,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의 바로 앞 2㎜까지 폐쇄된 상태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이 제2 반사 부재(62)의 반사부(621)로부터 비 반사부(622)로 이행하도록, 반사부(621)의 길이를 변경한다.
투광/수광 유닛(4)의 고장을 검지하는 다른 예에 있어서, 카 도어(23)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게이트 스위치(101) 또는 CTL이 오프에서 온으로 바뀐 뒤,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입사광 빔의 검지 기능은 온인 상태에서, 광 빔(B)의 출사를 오프로 한다.
상기 다른 예에 있어서는, 광 빔(B)의 출사를 오프로 함으로써, 투광/수광 유닛(4)에 광 빔(B)이 입사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투광/수광 유닛(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00)은 이물질 검지 신호에 관계없이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그런데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투광/수광 유닛(4)에 광 빔(B)이 입사하지 않음에도, 이상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제어 유닛(100)은 입사광 빔의 검지 기능은 온인 상태에서 광 빔의 출사를 오프로 했을 때에, 이상 검지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투광/수광 유닛(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한다.
상기 다른 예에 따르면, 투광/수광 유닛(4)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구에 끈 등의 이물질이 존재함에도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위험 회피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이상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반사 부재(62)의 반사부(621)는,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게이트 스위치(101) 또는 CTL이 오프에서 온으로 바뀔 때에 광 빔(B)을 반사할 수 있는 위치까지 연장하고 있으면 좋아, 반사부(621)의 길이를 정확하게 설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다른 예의 기술은, 광 빔(B)의 출사를 개시하기 전에 실행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투광/수광 유닛(4)의 고장을 미리 검지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6 엘리베이터는, 상술한 제5 엘리베이터와 같은 사이드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며, 제5 엘리베이터와는 투광/수광 유닛(4) 및 제1 반사 부재(61)의 위치가 다른 동시에,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 및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의 형상이 변경되어 있다. 이하, 이들의 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6 엘리베이터에는 제2 반사 부재(62) 및 이물질 압출 부재(93)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5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수광 유닛(4)은, 도어 부딪힘 프레임(84)과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R1)(도 84 참조)를 상하로 연장하는 연직선 상에 있어서,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상단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반사 부재(61)는 상기 연직선 상에 있어서,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 위치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이 도어 부딪힘 고무(84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도어 부딪힘 고무(841)는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상단부 위치로부터 하단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과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에는, 상기 연직선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오목부(84b)(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 광 빔(B)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15)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과 고속의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에, 도 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선(103)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절결부(84c)(23c)를 형성하고, 광빔(B)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15)를 상기 한 쌍의 절결부(84c)(23c)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상기 제6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고속의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반사 부재(50)로 입사해서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므로, 이상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구를 통과해서 끈(S)이 존재하는 경우, 도 86 또는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끈(S)에 의해 차단되어,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된다.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로서 채용한 상술한 각종 구성은, 사이드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로서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반대로 사이드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로서 채용한 상술한 각종 구성은,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로서도 채용할 수 있다.
또, 문턱에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입에 있어서는, 승강장 플로어의 문턱과 승강기의 문턱 사이를 통과하는 연직선 상에 투광/수광 유닛(4)과 반사 부재를 배치하면 좋다.
게다가 또한, 투광/수광 유닛(4)과 반사 부재의 위치 관계는, 반드시 연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와 하단부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직선에 대하여 약간의 경사를 갖는 직선 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레일
2 : 카 도어
2a : 폐쇄 방향 단부면
3 : 카 도어
3a : 폐쇄 방향 단부면
12 : 도어 부딪힘 프레임
12a : 단부면
23 : 고속의 카 도어
23a : 폐쇄 방향 단부면
29 : 세이프티 슈 프레임
33 : 저속의 카 도어
30 : 수용 공간
4 : 투광/수광 유닛
5 : 제1 반사 부재
6 : 제2 반사 부재
601 : 반사부
602 : 비 반사부
50 : 반사 부재
61 : 제1 반사 부재
62 : 제2 반사 부재
621 : 반사부
622 : 비 반사부
70 : 청소 기구
701 : 청소 기구
7 : 청소 기구
71 : 청소 기구
72 : 스프링 부재
73 : 압박부(가이드 슈)
77 내지 79 : 청소 기구
81 : 프레임
82 : 문턱
84 : 도어 부딪힘 프레임
84a : 단부면
85 : 프레임
86 : 문턱
87 : 홈
9 :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
90 : 이물질 압출 부재
91, 92 :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
93 : 이물질 압출 부재
94 : 돌출 부재
100 : 제어 유닛
101 : 게이트 스위치
105, 115 : 통로
B : 광 빔
S : 끈

Claims (37)

  1.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카 도어(2)에는, 다른 쪽의 카 도어(3)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으로부터 다른 쪽의 카 도어(3)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하로 신장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며,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에는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30)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고,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에는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카 도어(2)에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보다도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 측에,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1)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부재(5)는 상기 한쪽의 카 도어(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2)의 홈(83) 내부에, 상기 홈(8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카 도어(2)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2)의 폐쇄 방향 단부면(2a)의 하단부와 문턱(82)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동시에 상기 간극보다도 상기 다른 쪽의 카 도어(3) 측으로 돌출하는 이물질 압출 부재(90)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카 도어에는 상기 카 도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하단부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다른 쪽의 카 도어측을 향한 경사면(28)을 형성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카 도어(2)(3)는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 및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지나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하는 것이며, 양쪽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의 소정 시점에서 오프에서 온이 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양쪽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반사하는 한편, 양쪽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구성을 갖고,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9.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과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3a)으로부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며,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는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상기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의 단부면(12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30)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보다도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에,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6)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01)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부재(5)는 상기 카 도어(2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상기 홈(87)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의 하단부와 문턱(86)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동시에 상기 간극보다도 도어 부딪힘 프레임(12) 측으로 돌출하는 이물질 압출 부재(90)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의 하단부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다른 쪽의 카 도어측을 향한 경사면(28)을 형성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는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 및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지나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하는 것이며,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의 소정 시점에서 오프에서 온이 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반사하는 한편, 상기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구성을 갖고,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하단부와 문턱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7.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2)(3)와, 승강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프레임(81)과, 승강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문턱(82)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81)에는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문턱(82)에는 상방을 향해 반사 부재(50)가 배치되어,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며,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50)는 상기 문턱(82)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문턱(82)에는 상기 광 빔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821)이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82) 및 상기 카 도어(3)에는, 상기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청소 기구(7)는 상기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짐 가능한 동시에 카 도어(3)의 개방 방향 혹은 폐쇄 방향으로 스프링 압박된 청소 기구(71)와, 상기 카 도어(3)가 폐쇄되는 과정 혹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기구(71)를 스프링 압박에 저항해서 압박하는 압박부(32)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0.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2)(3)와, 승강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프레임(81)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81)에는,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고, 한쪽의 카 도어(3)에는, 다른 쪽의 카 도어(2)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3a)의 하단부 위치에, 반사 부재(50)가 상방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며,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50)는 상기 한쪽의 카 도어(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2)의 홈(83) 내부에, 상기 홈(8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82)의 홈(83) 내부에는, 양쪽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사 부재(50)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7)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 도어(2)(3)에는,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3a)에,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오목부(2b)(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2c)(3c)가 형성되어 있고, 양쪽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 광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05)가 상기 한 쌍의 오목부(2b)(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2c)(3c)에 의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4.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단부면(84a)으로부터 카 도어(23) 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61)가 배치되어,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며, 상기 카 도어(23)에는 카 도어(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2)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2)는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과 접촉해야 할 상기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30)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29)이 부착되고,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에는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된 돌출 부재(9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부재(94)는 상기 단부면(84a)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상기 소정의 거리보다도 짧고, 상기 직선의 위치에 대하여 세이프티 슈 프레임(29) 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29)과 겹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보다도 상기 카 도어(23) 측으로 돌출하는 이물질 압출 부재(93)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반사 부재(6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78)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보다도 상기 카 도어(23) 측에 청소 기구(79)가 부착되고, 상기 청소 기구(79)는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62)의 표면을 청소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부재(61)는 상기 카 도어(2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는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 및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를 지나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하는 것이며,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의 소정 시점에서 오프에서 온이 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 부재(62)는, 상기 카 도어(23)가 제1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반사하는 한편, 상기 카 도어(23)가 제2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구성을 갖고, 상기 검지 수단이 온이 된 후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1.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반사 부재(61)가 배치되어, 상기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출사와 입사광 빔의 검지가 가능하며,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도어 부딪힘 프레임(84)의 단부면(84a)과, 도어 부딪힘 프레임(84)과 접촉해야 할 카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에는,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한 한 쌍의 오목부(84b)(2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84c)(23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 광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15)가 상기 한 쌍의 오목부(84b)(2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84c)(23c)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23)에는, 상기 카 도어(2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사 부재(6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61)는 상기 카 도어(2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문턱(86)의 홈(87) 내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4. 제1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는, 상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실행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5. 제1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하단부와 문턱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1)(92)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그 동작을 반전시켜서 상기 카 도어를 개방하는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실행하는 반전 도어 개방 수단과,
    상기 반전 도어 개방 수단에 의한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하여,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 유무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상기 카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강제 도어 폐쇄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또는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에 병행하여,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승강기의 주행을 개시시키는 승강기 제어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승강기 제어 수단에 의해 승강기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승강기의 주행 개시를 통지하는 제2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20117004745A 2008-09-01 2009-08-24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227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3730 2008-09-01
JPJP-P-2008-223730 2008-09-01
JPJP-P-2008-258069 2008-10-03
JP2008258069 2008-10-03
PCT/JP2009/064714 WO2010024215A1 (ja) 2008-09-01 2009-08-24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442A true KR20110053442A (ko) 2011-05-23
KR101227229B1 KR101227229B1 (ko) 2013-01-28

Family

ID=4172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45A KR101227229B1 (ko) 2008-09-01 2009-08-24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84809B2 (ko)
EP (1) EP2332876B1 (ko)
JP (1) JP5293741B2 (ko)
KR (1) KR101227229B1 (ko)
CN (1) CN102137807B (ko)
CA (1) CA2735212C (ko)
HK (1) HK1155428A1 (ko)
TW (1) TWI402207B (ko)
WO (1) WO2010024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7987B1 (en) * 2008-10-20 2013-11-13 Fujitec Co., Ltd Elevator safety device
DE102010026140A1 (de) * 2010-07-05 2012-01-05 Cedes Ag Überwachungsvorrichtung zur Absicherung eines angetriebenen Elements
EP2567926B1 (de) * 2011-09-06 2013-10-09 Cedes AG Schaltungseinrichtung, Sicherungsvorrichtung sowie Aufzugvorrichtung
JP2013124160A (ja) * 2011-12-14 2013-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検出装置
CN104276501B (zh) * 2013-07-08 2016-05-04 三菱电机株式会社 绳状物体检测装置以及电梯系统
JP5744135B2 (ja) * 2013-09-03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清掃装置
AT14212U1 (de) * 2014-03-31 2015-06-15 Knorr Bremse Gmbh Division Ife Automatic Door Systems Beleuchtung für Fahrzeugtüren
GB2525682A (en) * 2014-05-02 2015-11-04 Ensota Ltd An elevator installation
DE102015208206A1 (de) * 2015-05-04 2016-11-10 Franz Xaver Meiller Fahrzeug- Und Maschinenfabrik - Gmbh & Co Kg Schiebetür, insbesondere Aufzugschiebetür
CN106395529B (zh) * 2015-07-27 2020-01-31 奥的斯电梯公司 监测系统、具有监测系统的电梯门系统和方法
JP6514625B2 (ja) * 2015-11-06 2019-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6585003B2 (ja) * 2016-05-30 2019-10-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ドア用敷居溝異物診断装置
BR112019016311B1 (pt) * 2017-03-27 2023-05-09 Inventio Ag Método e dispositivo para monitoramento de uma porta de cabine de elevador e instalação de elevador
CN109264556B (zh) * 2017-07-18 2021-10-26 富士达株式会社 电梯的门装置
KR101805569B1 (ko) * 2017-10-24 2017-12-07 주식회사 평산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이중 센서장치
WO2019224926A1 (ja) * 2018-05-22 2019-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盗撮防止装置
CN110790105B (zh) * 2019-11-20 2021-11-16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电梯门系统诊断、衰退时间的预测方法及诊断预测系统
JP6799802B1 (ja) * 2020-04-20 2020-12-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15551795A (zh) * 2020-05-25 2022-12-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门的安全装置
EP3978418A1 (en) * 2020-10-01 2022-04-06 Otis Elevator Company Obstruction detection systems
WO2024038549A1 (ja) * 2022-08-18 2024-02-22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328Y1 (ko) 1968-11-07 1973-03-12
US4029176A (en) * 1975-10-06 1977-06-14 Mills Gerald W Doorway safety device
JPS5244936A (en) * 1975-10-07 1977-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Safety device of elevator inlet
US4794248A (en) * 1985-07-16 1988-12-27 Otis Elevator Company Detection device having energy transmitters located at vertically spaced apart points along movable doors
CH653975A5 (de) 1981-12-03 1986-01-31 Inventio Ag Lichtschranke an automatisch betaetigten aufzugstueren.
US4621452A (en) * 1985-01-18 1986-11-11 Deeg Wyman L Powered sliding door safety system
JPS61203680U (ko) 1985-06-13 1986-12-22
US4914859A (en) * 1987-04-16 1990-04-10 Lanson Electronics, Inc. Automatic door safety system
US4866881A (en) * 1988-05-31 1989-09-19 Lanson Electronics, Inc. Automatic door safety system
JPH0647883Y2 (ja) 1988-06-02 1994-12-0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開閉制御装置
US5149921A (en) * 1991-07-10 1992-09-22 Innovation Industries, Inc. Self correcting infrar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FR2685496B1 (fr) * 1991-12-18 1994-04-01 Otis Elevator Cy Dispositif de detection d'obstacles et de commande automatique pour portes coulissantes, notamment pour portes d'ascenseurs.
US5569888A (en) * 1994-05-26 1996-10-29 Otis Elevator Company Ultrasonic elevator door safety system
GB9415772D0 (en) * 1994-08-04 1994-09-28 Memco Ltd Lift installation
JP4115015B2 (ja) * 1998-09-08 2008-07-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6225904B1 (en) * 1999-09-29 2001-05-01 Refrigerator Manufacturers, Inc. Automatic sliding door system for refrigerator unit
JP3995522B2 (ja) * 2002-05-0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0567366B1 (ko) * 2002-06-28 2006-04-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장치
GB2400905A (en) * 2003-04-24 2004-10-27 Memco Ltd Edge device for a powered door with infra-red and visible elements
WO2007138688A1 (ja) * 2006-05-31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2008169009A (ja) * 2007-01-12 2008-07-2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470717B2 (ja) 2008-03-03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EP2347987B1 (en) * 2008-10-20 2013-11-13 Fujitec Co., Ltd Elevator safe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5212A1 (en) 2010-03-04
EP2332876A4 (en) 2013-03-13
JP5293741B2 (ja) 2013-09-18
EP2332876A1 (en) 2011-06-15
CA2735212C (en) 2013-07-09
US20110155511A1 (en) 2011-06-30
KR101227229B1 (ko) 2013-01-28
US8584809B2 (en) 2013-11-19
JPWO2010024215A1 (ja) 2012-01-26
WO2010024215A1 (ja) 2010-03-04
CN102137807A (zh) 2011-07-27
EP2332876B1 (en) 2014-09-24
TWI402207B (zh) 2013-07-21
CN102137807B (zh) 2014-02-26
TW201012734A (en) 2010-04-01
HK1155428A1 (en)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229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244969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0449794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US4452009A (en) Light barrier, particularly for automatically actuated lift cabin doors
JPH11182128A (ja) モータ作動ドアの安全装置
JP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0816900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967672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US20210323792A1 (en) Elevator Safety Device
JP2008297120A (ja) エレベータの戸閉安全装置
JP2011073831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JP5932580B2 (ja) 出入り口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ES2877652T3 (es) Puerta corredera, en particular puerta corredera de ascensor
KR101153051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장치
JP2023142378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02020065A (ja) エレベーター引き戸装置
EP3978418A1 (en) Obstruction detection systems
JPH09323878A (ja) エレベーター用敷居溝清掃装置
JP2024040668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8259155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H11278778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H09207773A (ja) 軌道式輸送装置における引き戸式ドアの戸挟み検知装置
JP2003089489A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の安全装置
JPH04347293A (ja) シャッターの障害物感知装置
JPH0819297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