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532A -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532A
KR20110050532A KR1020117006949A KR20117006949A KR20110050532A KR 20110050532 A KR20110050532 A KR 20110050532A KR 1020117006949 A KR1020117006949 A KR 1020117006949A KR 20117006949 A KR20117006949 A KR 20117006949A KR 20110050532 A KR20110050532 A KR 2011005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mage
display area
displayed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607B1 (ko
Inventor
마사오미 사타케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5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표시부(107)의 표시 화면은, 메인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 영역과 교체될 수 있는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 영역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03)는, 메인 표시 영역을 기점으로 하여, 메인 표시 영역과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을 교체하는 조작을 행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고 교체 후에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화상이 교체부의 교체 대상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8-248702호(2008년 9월 26일 출원)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하여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채널의 화상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해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텔레비젼(CATV) 등에서는,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리모콘 조작에 의해 직접 원하는 채널 번호를 지정하거나 채널 키를 이용해 채널을 순서대로 보내는 것 외에, 한 화면에 축소된 화상의 복수의 채널(16 채널 정도)을 표시하고, 한 화면상에서 리모콘을 사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켜 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 7-284032호
그렇지만, 상술한 것처럼, 복수의 채널의 화상을 한 화면에 표시시켰을 경우, 1개의 채널의 표시 영역은 축소되기 때문에, 고화질로 시청하기 위해, 선국해 전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채널을 선택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한 화면을 원하는 채널의 화상을 크게 표시하는 메인 표시 영역과 1개 이상의 채널의 일련의 작은 화상을 작게 리스트 표시하는 서브 표시 영역으로 나누는 애플리케이션이 고려된다.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 내의 채널로부터 시청하고 싶은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의 화상을 메인 표시 영역에 크게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리스트에 표시된 채널 중에서 원하는 채널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된 것같이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1개의 튜너를 사용해서 복수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MediaFLO(등록상표) 등의 방송 방식에 매우 적합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표시 방법은, 채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서브 표시 영역을 작은 영역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모든 채널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다음 페이지를 오픈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을 선택해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과 바꾸고, 다음 페이지를 오픈하는 경우에,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던 채널은, 서브 표시 영역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그 채널을 시청하기 위해 그 채널로 돌아가야 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된 채널을 선택해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과 바꾸고 서브 표시 영역에 다음의 페이지를 오픈한 경우라도,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장치는, 메인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메인 채널의 화상과 교체될 수 있는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부;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채널의 화상을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채널의 화상으로 교체하는 교체부; 및 메인 표시 영역을 기점으로 하여, 메인 표시 영역과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을 교체하는 조작을 행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고 교체 후에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화상이 교체부의 교체 대상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서브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의 교체 조작을 행하면,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고 교체 후에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화상을, 상기 교체부의 교체 대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이 선택되고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과 교체되면,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채널의 표시 위치가 고정된다. 그러므로, 서브 표시 영역에 다음 페이지가 오픈되어도, 메인 표시 영역 이전에 표시된 채널로 용이하게 돌아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이 선택되고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과 교체되면,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표시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다. 다음 페이지를 오픈함으로써 필요가 없는 채널을 표시시키지 않으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리스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1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2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3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4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5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가 리스트를 표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1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2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3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가 리스트를 표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화상 표시장치는, 안테나(101), 방송파를 수신하는 튜너(102), 방송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4), 메모리(104)에 저장된 방송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106), 복호화부(106)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EL 등의 영상 표시부(표시부)(107),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105), 및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교체부, 제어부)(103)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영상 표시부 상의 일 예의 리스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파벳 A~H는 각각의 채널 A~H의 화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리스트 표시 화면은, 메인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 영역의 화상과 교체될 수 있는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 영역을 갖는다. 도 2에서 채널 A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 메인 표시 영역이며, 채널 B ~ E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 서브 표시 영역이다.
또, 리스트 표시 화면 아래에, 리스트 표시 화면을 닫기 위한 "종료"키,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화상과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화상의 교체 조작을 행하기 위한 "교체"키,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을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채널의 화상으로 교체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다음 페이지"키 등의 소프트 키가 표시된다.
메인 표시 영역을 기점으로서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과 서브 표시 영역과 채널의 화상의 교체 조작을 행하면, 제어부(103)는 교체 후에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표시 영역에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채널의 화상이, "다음 페이지"키에 의한 교체 대상이 되지 않게 제어한다. 반면, 서브 표시 영역을 기점으로서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과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의 교체 조작이 행해지면, 교체 후에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표시 영역에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채널의 화상이, "다음 페이지"키에 의한 교체 대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음 페이지"키가 눌러지면,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채널의 화상을,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채널의 화상으로 교체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제1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낸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교체"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 원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3b).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을 선택하고(기점으로서) "교체원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선택이 완료된 상태인 것을 굵은 프레임으로 표시해, 교체 대상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3c). 다음에,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의 화상을 선택해 "교체 대상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점선 등으로 교체 대상 선택이 완료된 상태인 것을 표시해 교체 결정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3d). 그리고, 사용자가 "OK"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채널 A의 화상과 채널 B의 화상을 교체하여 표시한다. 채널 A의 음성이 채널 B의 음성으로 교체된다(도 3e). 이 때 채널 A의 화상은 표시 위치에 고정으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키를 누르면, 채널 A의 화상이 표시 위치에서 유지된 채로, 다른 채널의 화상(C~E)이 교체된다(도 3f). 또한, 화상 표시장치는, 표시 위치고정의 채널 A의 화상이 표시 위치에 고정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채널 표시예에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을 선택하고(기점으로서)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과 교체하면,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교체된 채널은 고정된 표시 위치에서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서브 표시 영역에 다음 페이지를 오픈해도, 지금까지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던 채널(교체된 채널)로 용이하게 돌아올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의한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된 채널을 선택해 교체를 행하는 조작은, 시청하고 싶은 채널을 서브 표시 영역에 남긴다고 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가 MediaFLO등의 복수 채널이 수신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 의한 채널 표시에 적용되면, 이전에 시청하고 있던 원래의 채널이 서브 표시 영역에 남으므로, 사용자는 다른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면서 원래의 채널의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의한 제2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교체"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4b).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의 화상을 선택해(기점으로서) "교체원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굵은 프레임 등으로 교체원 선택이 완료된 것을 표시해 교체 대상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4c). 다음에,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을 선택해 "교체 대상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점선 등으로 교체 대상 선택이 완료된 상태인 것을 표시해 교체 결정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4d). 그리고, 사용자가 "OK"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채널 A의 화상과 채널 B의 화상을 교체하여 표시한다. 채널 A의 음성이 채널 B의 음성으로 교체된다(도 4e). 이때 채널 A의 화상은 표시 위치에 고정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키를 누르면, 채널 A의 화상을 포함한 서브 표시 영역의 모든 채널의 화상(A, C~E)이 교체된다(도 4f).
또한,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임의의 채널을 선택해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채널과 교체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된 채널의,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할 때의 표시 순위를 내릴 수 있다. 그럼으로써, 화상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 키의 조작시 필요없는 채널(교체된 채널)이 서브 표시 영역에 곧바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채널 표시 예에서,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을 선택 해(기점으로서)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과 교체하면,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교체된 채널은 고정 표시되지 않고, 서브 표시 영역의 다음 페이지에 숨겨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채널을 선택해 교체를 행하는 동작은, 메인 표시 영역에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채널을 더 이상 시청하지 않는다는 의도를 반영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가 MediaFLO 등의 복수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표시에 이용되면,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을 수신중에, 사용자가 재핑(zapping) 등으로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을 기점으로서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하면, 이전에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채널은 필요없는 채널이라고 판단된다. 즉,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을 기점으로서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과 교체하면, 이전에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던 채널은, 서브 표시 영역에 고정으로 표시되지 않고, 서브 표시 영역의 다음 페이지에 숨겨진다. 따라서, 서브 표시 영역에 불필요한 채널이 남지 않는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제3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교체"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5b).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을 선택해(기점으로서) "교체원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굵은 프레임 등으로 교체원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고, 교체 대상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5c). 다음에,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와 채널 C의 화상을 선택해 "교체 대상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 장치는 점선 등으로 교체 대상 선택이 완료된 것을 표시해, 교체 결정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5d). 그리고, 사용자가 "OK"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채널 B와 채널 C의 화상을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음성은, 예를 들면 좌측으로 표시되는 채널을 우선시켜 채널 A의 음성으로부터 채널 B의 음성으로 교체된다(도 5e). 이때, 채널 A의 화상은 고정된 표시 위치에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키를 누르면, 채널 A의 화상이 표시 위치에 남아 있으면서, 다른 채널의 화상(D~F)이 교체된다(도 5f).
또한,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채널(채널 B 및 채널 C)의 화상을 선택해(기점으로서)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과 교체하면, 복수의 채널의 화상(채널 B 및 채널 C)이 서브 표시 영역의 표시 위치에 고정으로 표시되고, 서브 표시 영역의 다음의 페이지에 남아 있는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제4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표시된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교체"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6b).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와 채널 C의 화상을 선택해(기점으로서) "교체원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굵은 프레임 등으로 교체원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해, 교체 대상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6c). 다음에,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을 선택해 "교체 대상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점선 등으로 교체 대상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해 교체 결정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6d). 그리고, 사용자가 "OK"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채널 B와 채널 C의 화상을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음성은, 예를 들면 좌측으로 표시되는 채널을 우선시켜 채널 A의 음성이 채널 B의 음성으로 교체된다(도 6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키를 누르면, 서브 표시 영역의 모든 채널의 화상(A, D~F)이 교체된다(도 6f).
또,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의 화상을 선택해(기점으로서)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채널 A의 화상과 교체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C의 화상을 선택해(기점으로서) 메인 표시 영역과 교체 동작을 행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메인 표시 영역에 채널 B와 채널 C의 모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제5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나타낸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교체"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7(b)).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과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의 화상을 선택해(기점으로서) "교체원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굵은 프레임 등으로 교체원 선택이 완료된 것을 표시하고 교체 대상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7c). 다음에,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을 선택해 "교체 대상 결정"키를 누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채널 A의 화상을 점선 등으로 교체 대상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해 교체 결정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도 7d). 그리고, 사용자가 "OK"키를 누르면, 화상표시장치는 채널 A와 채널 B의 화상을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음성은, 예를 들면 좌측으로 표시되는 채널을 우선시켜 채널 A의 음성이 재생된다(도 7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키를 누르면, 서브 표시 영역의 모든 채널의 화상(C~F)이 교체된다(도 7f).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가 리스트를 표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화상 표시장치는, 처음에 리스트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S200). 이 때, 만약 첫회 기동이면, 화상 표시장치는 순서대로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에 채널을 표시하는 반면, 만약 첫회 기동이 아니면 전회의 화면 구성을 최종 메모리 등을 참조해 복원한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소프트 키를 눌렀을 때(S201), 그 키가 "교체"키이면,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S202). 사용자가 키를 눌러서 교체원 채널의 화상을 선택하고(S203) "교체원 결정"키를 누르면(S204),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 대상 채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S205). 사용자가 키를 눌러서 교체 대상 채널의 화상을 선택하고(S206), "교체 대상결정"키를 누르면(S207),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 결정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S208). 사용자가 "OK"키를 누르면(S209), 화상 표시장치는 채널을 교체한다(S210). 만약 서브 표시영역에 표시된 교체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메인 표시 영역의 교체원 채널로서 선택되면(S211), 화상 표시 장치는 교체된 채널의 표시 위치를 고정하고(S212)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돌아온다(S200). 대조적으로,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교체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메인 표시 영역의 교체원 채널로서 선택(기점으로서)되지 않았으면(S211),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된 채널의 표시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S200).
리스트 표시 화면(S200)에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키를 누르면(S201), 화상 표시장치는, 다음의 페이지에 표시되는 채널을 선택한다(S213). 이때, 채널의 선택 방법은 채널 순서를 따르거나, 한 번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교체원 채널로 지정된 채널의 표시 순위를 내려 그 이외의 채널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화상 표시장치는 선택된 채널의 데이터를 복호화하고(S214), 채널의 복호화된 데이터를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S215),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S2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는, MediaFLO의 방송 수신기와 같이 복수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면,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과 서브 표시 영역의 고정된 표시 위치의 채널의 복호화를 계속할 수 있으며, 고정되지 않은 표시 위치 에서 다른 채널의 복호화를 정지한다.
또, MediaFLO에서 베이스 콤포넌트, 인핸스드 콤포넌트의 2 계층의 부호화(계층 부호화)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는 베이스 콤퍼넌트와 인핸스드 콤퍼넌트의 수신 및 복호화를 실시해,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과 서브 표시 영역의 고정된 표시 위치를 갖는 채널의 높은 해상도의 화상을 출력하고, 베이스 콤포넌트의 수신 및 복호화를 실시해 표시 위치 고정이 아닌 채널의 기본 해상도의 화상을 출력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는,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과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교체 방법에 의해,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복호화의 유무나, 계층 부호화의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복호화의 리소스를 삭감할 수가 있다.
또, 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화상 표시장치는 사용자 조작의 임의의 단계에서 "취소"키 또는 "종료"키의 동작을 받아들인다. 만약 "취소"키가 눌러지면, 화상 표시 장치는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고, "종료"키가 눌려지면 리스트 표시 화면을 종료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로서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스타일러스나 손가락에 의한 누름 입력을 수신한다. 또는, 입력부는 마우스 포인터여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와 같아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제1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의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스타일러스로 채널 A의 화상을 터치(기점으로 한다)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굵은 프레임 등으로 교체원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도 9b). 그리고,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을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의 화상으로 드래그하면, 화상표시장치는, 채널 A의 화상과 채널 B의 화상을 교체하여 표시한다. 채널 A의 음성이 채널 B의 음성으로 교체된다(도 9c). 이때 채널 A의 화상은 표시 위치에서 고정되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로 "다음 페이지"키를 터치하면, 표시위치 고정의 채널 A의 화상은 고정 표시된 채로, 그 밖의 채널의 화상(C~E)이 교체된다(도 9d).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제2 채널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의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스타일러스로 채널 B의 화상을 터치(기점으로 하여) 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굵은 프레임 등으로 교체원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도 10b). 그리고, 사용자가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 B의 화상을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A의 화상으로 드래그하면, 화상표시장치는, 채널 A의 화상과 채널 B의 화상을 교체하여 표시한다. 채널 A의 음성이 채널 B의 음성으로 또한 교체된다(도 10c). 이때 채널 A의 화상은 표시 위치에 고정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로 "다음 페이지"키를 터치하면, 채널 A의 화상을 포함한 서브 표시 영역의 모든 채널의 화상이 교체된다(도 10d).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제3 채널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표시장치의 메모리(104)는 채널 A ~ K의 화상을 저장하고 있고, 순서상 채널 A의 화상이 선두이고 채널 K의 화상이 마지막인 것으로 한다.
도 11a의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스타일러스로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 F의 화상을 터치(기점으로 하여)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굵은 프레임 등으로 교체원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낸다(도 11b). 그리고, 사용자가 채널 F의 화상을 화상 프레임 밖으로 드래그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채널 F의 화상을 소거하여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채널 A의 화상을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서브 표시 영역에 채널 B ~ 채널 E(순서상 채널 D의 다음)의 화상을 표시한다. 채널 F의 음성은 채널 A의 음성으로 교체된다(도 11c). 이때 채널 F의 화상은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최하의 우선 순위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로 "다음 페이지"키를 터치하면, 서브 표시 영역의 모든 채널의 화상이 교체된다(도 11d). 이때, 채널 F의 화상이 화상 프레임 밖으로 드래그되어 최하위의 표시 우선 순서를 가지므로 표시되지 않고, 채널 G ~ 채널 J의 화상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한번 더 스타일러스로 "다음 페이지"키를 터치하면, 서브 표시 영역 모든 채널의 화상(G ~ J)이 교체되어 최하위의 우선 순위를 갖는 채널 F의 화상이 채널 K의 화상의 다음에 표시된다(도 11e).
상기 설명된 것 같이,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한 채로 표시 화면의 프레임 밖 또는 지정된 표시 영역으로 토스(이동하는) 동작을 행할 때, 화상 표시 장치는 이 채널의 화상을 소거하고, 화상 소거된 영역에 다른 채널의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서브 표시 영역에 모든 채널을 표시하는데 너무 많은 채널이 있으면, 화상 표시 장치는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될 때 소거된 채널의 표시 우선 순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표시 화면의 프레임 밖 또는 지정된 표시 영역에 토스된(이동된) 채널의 표시 순위를 저하시킴으로써, 화상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 키를 조작할 때, 필요없는 채널(이 예에서 토스된(이동된) 채널 F)이 서브 표시 영역에 즉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가 리스트 표시 화면을 표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화상 표시장치는 리스트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S800). 이때, 만약 첫회 기동이면, 화상 표시장치는 순서대로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 영역에 채널을 표시하고, 만약 첫회 기동이 아니면 전회의 화면 구성을 최종 메모리 등을 참조해 재생한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로 터치하면(S801), 화상 표시장치는 터치된 포인트가 화상이면, 이 화상의 채널을 교체원 채널로 설정한다(기점으로 한다)(S802).
터치 다음에, 사용자가 교체원 채널의 화상을 드래그하여 그 이미지 프레임의 밖에 스타일러스를 놓던가 또는 교체원 채널의 화상을 빠르게 플릭(flick)하는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동작이 있으면(S803),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채널의 화상을 다음 채널(예를 들면, 우선도가 가장 높은 채널)의 화상으로 교체하고(S804),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S800).
터치 다음에, 사용자가 교체원 채널의 화상을 드래그하여 또 다른 채널의 화상에 스타일러스를 놓는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동작이 있으면(S803), 화상 표시장치는 이 다른 채널을 교체 대상 채널로서 설정해 채널을 교체한다(S805). 만약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교체된 채널이 메인 표시 영역에서 교체원 채널로서 선택(기점)되어 있으면(S806), 화상 표시 장치는 교체채널의 표시 위치를 고정해(S807),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S800). 대조적으로, 만약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된 교체된 채널이, 메인 표시 영역에서 교체원 채널로서 선택(기점)되지 않으면(S806),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된 채널의 표시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S800).
터치 다음에, 사용자가 교체원 채널의 화상을 터치해서 그 위에 스타일러스를 놓는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동작이 있으면(S803), 화상 표시장치는, 교체원 화상의 설정을 취소하고(S808), 리스트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S800).
리스트 표시 화면(S800)에서 사용자의 스타일러스의 터치가 있으면(S801), 터치된 포인트가 "다음 페이지"키이면, 화상 표시장치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되는 채널을 선택한다(S809). 이때 채널의 선정 방법은 채널 순서를 따르거나 한번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교체 대상으로 지정된 채널의 표시 순위를 내리고 그 이외의 채널을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표시장치는 선택된 채널의 화상을 복호화하고(S810), 복호화한 화상을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S811), 리스트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S800).
또한, 본 플로우차트에서는, 화상 표시장치는 사용자 조작의 임의의 단계에서 "취소"키 또는 "종료"키의 동작을 받아들인다. 만약 "취소"키가 눌려지면, 화상 표시장치는 이전 화면으로 천이하고, "종료"키가 눌려지면 리스트 표시 화면을 종료한다.

Claims (2)

  1. 메인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메인 채널의 화상과 교체될 수 있는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부;
    상기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채널의 화상을 상기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채널의 화상으로 교체하는 교체부;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이 기점일 때,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을 교체하는 조작을 행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고 교체 후에 상기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화상이 교체부의 교체 대상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이 기점일 때, 상기 서브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채널의 화상을 교체하는 조작을 행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고 교체 후에 상기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채널의 화상을, 상기 교체부의 교체 대상이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KR1020117006949A 2008-09-26 2009-09-25 화상 표시장치 KR101236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8702 2008-09-26
JP2008248702 2008-09-26
PCT/JP2009/066687 WO2010035804A1 (ja) 2008-09-26 2009-09-25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532A true KR20110050532A (ko) 2011-05-13
KR101236607B1 KR101236607B1 (ko) 2013-02-22

Family

ID=4205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949A KR101236607B1 (ko) 2008-09-26 2009-09-25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7339B2 (ko)
JP (1) JP5091323B2 (ko)
KR (1) KR101236607B1 (ko)
CN (1) CN102165765B (ko)
WO (1) WO2010035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6567B2 (en) * 2010-02-03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Logical channel mapping for increased utilization of transmission resources
US9699503B2 (en) 2010-09-07 2017-07-04 Opentv, Inc. Smart playlist
US10210160B2 (en) 2010-09-07 2019-02-19 Opentv, Inc. Collecting data from different sources
US9582157B1 (en) * 2012-08-03 2017-02-28 I4VU1, Inc. User interface and program guide for a multi-program video viewing apparatus
CN103929611B (zh) * 2013-01-10 2017-04-0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分页播放方法
US10080060B2 (en) 2013-09-10 2018-09-18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US20150074728A1 (en) * 2013-09-10 2015-03-12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US9898255B2 (en) * 2013-11-13 2018-02-20 Sap Se Grid designer for multiple contexts
JP2015195562A (ja) * 2014-03-20 2015-11-05 村上 幹次 送信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受信信号処理装置
JP6125467B2 (ja) * 2014-06-16 2017-05-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ト注文受付機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KR102356449B1 (ko) * 2015-05-13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입력에 따른 추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074A (ja) * 1988-06-29 1990-01-17 Toshiba Corp マルチチャンネル画像表示回路
KR910013904A (ko) * 1989-12-21 1991-08-08 강진구 Hd 스크린을 이용한 pop 재생 tv
US5398074A (en) * 1992-11-24 1995-03-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ogrammable picture-outside-picture display
JPH06311449A (ja) * 1993-02-26 1994-11-04 Sony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418556B1 (en) * 1993-09-09 2002-07-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JPH07284032A (ja) 1994-04-12 1995-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テレビチャンネル表示方法
US5528304A (en) * 1994-07-22 1996-06-18 Zenith Electronics Corp. Picture-in-picture feedback for channel related features
US6384868B1 (en) * 1997-07-09 2002-05-07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video switching processing apparatus
US6091771A (en) * 1997-08-01 2000-07-18 Wells Fargo Alarm Services, Inc. Workstation for video security system
JP3493126B2 (ja) 1998-03-11 2004-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表示装置
JPH11308551A (ja) 1998-04-17 199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563515B1 (en) * 1998-05-19 2003-05-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video window browsing
US6493038B1 (en) * 2000-06-21 2002-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window pip television with the ability to watch two sources of video while scann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JP2002354367A (ja) * 2001-05-25 2002-12-06 Canon Inc マルチ画面表示装置、マルチ画面表示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011949B2 (ja) * 2002-04-01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ルチ画面合成装置及びデジタルテレビ受信装置
JP2005033420A (ja) * 2003-07-10 2005-02-03 Seiko Epson Corp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US20050071782A1 (en) * 2003-09-30 2005-03-31 Barrett Peter T. Miniaturized video feed generation and user-interface
JP4047267B2 (ja) * 2003-11-21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番組選択方法及び番組選択制御装置
CN1735163A (zh) * 2004-08-14 2006-02-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预览及切换喜好频道的系统及方法
JP2006101089A (ja) * 2004-09-29 2006-04-13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
KR20070085925A (ko) * 2004-11-09 2007-08-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방송 수신기의 제어를 위한 선택 목록 생성
JP4765452B2 (ja) * 2005-07-19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01759A (ja) * 2006-01-26 2007-08-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93736B1 (ko) 2006-02-23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EP1848212B1 (en) * 2006-02-23 2012-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JP2008131181A (ja) * 2006-11-17 2008-06-05 Sharp Corp 受像表示装置および複数画面におけるチャンネル指定方法。
EP1971142B1 (en) * 2007-03-14 2012-12-19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5765B (zh) 2014-06-18
KR101236607B1 (ko) 2013-02-22
US20110175867A1 (en) 2011-07-21
JP5091323B2 (ja) 2012-12-05
JPWO2010035804A1 (ja) 2012-02-23
WO2010035804A1 (ja) 2010-04-01
US8717339B2 (en) 2014-05-06
CN102165765A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07B1 (ko) 화상 표시장치
EP1923779A2 (en) Remote control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soft keyboard
JP4562606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687639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mage on display part
US20070143791A1 (en) Mobile device display of multiple streamed data sources
US84993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JP5134350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システム
WO2005062605A1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4619283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20070143785A1 (en) Mobile device display of multiple streamed data sources
KR100752853B1 (ko)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09118423A (ja)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6050047A (ja) 放送番組出力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6041588A (ja) Epgを利用したスクリーンセーバー機能
JP5369480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4233482B2 (ja) 複数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操作対象画面切替方法
KR100686134B1 (ko) 티브이의 광고 프로그램 스킵 장치 및 방법
JP2008153732A (ja) リモコン装置、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9086A (ja) 携帯端末
JP200529543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で操作される電子機器
KR100716294B1 (ko)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 제어방법
JP2006311085A (ja) 携帯型視聴装置
WO2019106867A1 (ja)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テレビ
JP2004220235A (ja) Tv放送受信機能を具えた情報処理装置
KR20140124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컨텍스트 메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