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645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6645A KR20110036645A KR1020117005227A KR20117005227A KR20110036645A KR 20110036645 A KR20110036645 A KR 20110036645A KR 1020117005227 A KR1020117005227 A KR 1020117005227A KR 20117005227 A KR20117005227 A KR 20117005227A KR 20110036645 A KR20110036645 A KR 201100366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door
- brake
- speed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 정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하고,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이 정지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제동력을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과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강제적으로 정지 가능한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은 소정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계산기 수단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력의 제어를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한 때에는, 브레이크의 제동력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고,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종래, 브레이크 동작에 의한 감속 정지시의 엘리베이터 칸에서의 충격을 작게 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값이 되도록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브레이크의 제동력의 제어는,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구동용 전동기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의 출력과 감속 지령값을 비교함으로써 행해진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이상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 정지 제어와, 통상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 정지 제어가 공통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 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가 필요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브레이크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없게 된다는 우려가 있다. 또,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 제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구성이 복잡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더욱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코일을 가지고,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通電) 정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발생하고,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제동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과, 소정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여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연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가지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더욱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계산기 수단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 상태 및 제1 계전기(繼電器) 접점 상태에 대해서, 통상 운전시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 상태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계산기 수단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 상태 및 제1 계전기(繼電器) 접점 상태에 대해서, 통상 운전시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 상태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counterweight; 3)가 현가 수단(4)에 의해 매달려 있다. 현가 수단(4)으로서는, 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이동시키는 권상기(구동장치: 5)와 디플렉션 시브(deflection sheave: 6)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5)는 모터(7)와, 모터(7)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시브(8)를 가지고 있다. 현가 수단(4)은 구동 시브(8) 및 디플렉션 시브(6)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구동 시브(8)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칸(2)에 탑재된 도어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를 닫는 도어 닫힘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를 여는 도어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와,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마련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승강로(1) 내에는 각 승강장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도어 개폐 가능 구간이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승강장 도어와 수평 방향에 대해서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닫힘 위치와 도어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됨으로써,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맞물리면서 승강장 출입구에 대해서 변위된다. 승강장 출입구는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맞물리면서 변위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와 승강장 도어의 맞물림이 불가능하게 된다.
권상기(5)에는 구동 시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11)가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11)는 구동 시브(8)와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회전체: 12)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동 부재(13)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13)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용수철(가압체)과, 브레이크 용수철의 가압력에 역행하고,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13)를 변위시키는 브레이크 코일을 가지고 있다.
제동 부재(13)는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있을 때 브레이크 용수철의 가압력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촉한다. 브레이크 디스크(12)의 회전은 제동 부재(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하는 제동력은 브레이크 디스크(12)의 회전이 제동됨으로써 발생한다. 또, 제동 부재(13)는,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이 실행됨으로써, 브레이크 용수철의 가압력에 역행하여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하는 제동력의 발생은 제동 부재(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정지된다.
모터(7)에는 구동 시브(8)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제1 속도 검출기(검출 수단: 14) 및 제2 속도 검출기(검출 수단: 15)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서는, 예를 들면 엔코더 등을 들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도어 닫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 닫힘 검출기(검출 수단: 16)가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엘리베이터 칸(2)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검출 수단: 1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승강로(1)의 내벽에 고정된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되고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에만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플레이트 검출 센서를 가지는 검출기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행 제어 장치(18)에 보내진다.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브레이크 장치(11)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보내진다.
운행 제어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킬 때, 모터(7)로의 급전(給電)을 실행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흡인 지령(attracting command) 및 계전기 구동 지령을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출력한다. 또, 운행 제어 장치(18)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면 흡인 지령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더하여, 운행 제어 장치(18)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구하고,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한 때(즉,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이 되었을 때)에 계전기 구동 지령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출력을 정지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 도어 닫힘 검출기(16),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및 운행 제어 장치(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11)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11)의 브레이크 코일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전자 코일부(20, 21)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용 스위치(22)와,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과,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제1 계전기(24) 및 제2 계전기(25)(복수의 계전기(24, 25))와, 제1 및 제2 계전기(24, 2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을 가지고 있다.
제1 계전기(24)는 제1 계전기 코일(24a)과 제1 계전기 코일(24a)로의 통전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계전기 접점(24b)을 가지고 있다. 제2 계전기(25)는 제2 계전기 코일(25a)과 제2 계전기 코일(25a)로의 통전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제2 계전기 접점(25b)을 가지고 있다.
제1 계전기 코일(24a)로의 통전 조정은, 반도체 스위치인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의 개폐 동작(온/오프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제1 계전기 코일(24a) 및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는, 전원(29)과 접지부(그랜드: 30)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 되어 있다.
제2 계전기 코일(25a)로의 통전 조정은, 반도체 스위치인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의 개폐 동작(온/오프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제2 계전기 코일(25a) 및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는, 전원(29)과 접지부(30)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전자 코일부(20, 21)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코일, 조정용 스위치(22),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은, 전원(29)과 접지부(30)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계전기 접점(24b)이 브레이크 코일과 전원(29)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2 계전기 접점(25b) 및 조정용 스위치(22)가 브레이크 코일과 접지부(30)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조정용 스위치(22)는 반도체 스위치로 되어 있다. 조정용 스위치(22)에 의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 조정은,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의 모두가 닫혀 있을 때 조정용 스위치(22)의 개폐 동작(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행해진다.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은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은,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림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전원(29)과 조정용 스위치(22)의 사이에는, 방전 다이오드(31)가 접속되어 있다. 방전 다이오드(31)는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조정용 스위치(22)가 열림 동작을 실행한 때에 각 전자 코일부(20, 21)에 발생하는 역기전압(逆起電壓)으로부터 조정용 스위치(22)를 보호한다. 또,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 각각과 브레이크 코일의 사이에는, 직렬로 접속된 방전 다이오드(32) 및 방전 저항(33)이 접속되어 있다. 방전 다이오드(32) 및 방전 저항(33)은,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림 동작을 실행한 때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소비하여,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신속하게 저하시킨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에는,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 및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신호가 보내진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 및 제1 속도 검출기(14)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이 조정되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을 받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제어를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행한다. 즉,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을 받고 있을 때, 제동 부재(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지도록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조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구하고, 구해진 가속도 값과 소정의 임계값 αL(부(nagative)의 값)를 비교하면서,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부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한 때에(즉,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을 때에),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임계값 αL으로 유지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은 제1 계산기 수단(연산 수단: 34), 제2 계산기 수단(연산 수단: 35), 공유 메모리(기억부: 36) 및 고장 검지 수단(37)을 가지고 있다.
제1 계산기 수단(34)에는, 제1 속도 검출기(14),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이 보내진다.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속도 검출기(14), 도어 닫힘 검출기(16),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및 운행 제어 장치(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을 때에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 계전기 구동 지령의 수신이 정지되면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한다. 또,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속도 검출기(14),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을 때에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한다.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를 초과하면,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실행한다. 또, 제1 계산기 수단(34)은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의 위치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행한다.
속도 제한값 Vlim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와 임계값 αL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즉, 속도 제한값 Vlim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상일 때에 소정의 설정치 Vmax로 설정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적으면(즉,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감소치로 설정된다.
제2 계산기 수단(35)에는 제2 속도 검출기(15),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이 보내진다. 제2 계산기 수단(35)은 제2 속도 검출기(15), 도어 닫힘 검출기(16),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및 운행 제어 장치(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 계전기 접점(25b)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제2 계산기 수단(35)의 처리는 제1 계산기 수단(34)의 처리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계산기 수단(35)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을 때는 제1 계전기 접점(25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하고, 계전기 구동 지령의 수신이 정지되면 제2 계전기 접점(25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한다. 또, 제2 계산기 수단(35)은 제2 속도 검출기(15),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 제2 계산기 수단(35)은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을 때에 제2 계전기 접점(25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면 제2 계전기 접점(25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한다.
제2 계산기 수단(35)은 제2 속도 검출기(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을 초과한 때에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실행한다. 또, 제2 계산기 수단(35)은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의 위치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실행한다.
속도 제한값 Vlim은 제2 속도 검출기(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와 임계값 αL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즉, 속도 제한값 Vlim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상일 때 소정의 설정치 Vmax로 설정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적으면(즉,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감소치로 설정된다.
즉, 제1 계산기 수단(34) 및 제2 계산기 수단(35)은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공유 메모리(36)에는,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 각각에 있어서의 처리 결과가 기억된다.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은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 각각의 처리 결과를 공유 메모리(36)로부터 개별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처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고장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은 고장의 판정을 실행하였을 때에 고장 신호를 고장 검지 수단(37)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의 발생이 검지된다.
고장 검지 수단(37)은 고장 신호를 받음으로써,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 각각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 및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한다.
다음으로,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의 연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의 연산은 소정의 주기마다 행해진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연산 주기마다 판정하고 있다(S1).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이 흡인 지령을 받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조정하여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를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실행하고(S2),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이 정지된다. 이 때,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은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정된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이 흡인 지령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3).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은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엘리베이터 칸(2)의 급감속을 회피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임계값 αL으로 유지하는 제어(감속도 제어)를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실행하고(S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이 때,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은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정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보다도 큰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조정용 스위치(22)의 오프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실행하고(S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에 있어서의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은 소정의 주기마다 행해진다. 또한, 제2 계산기 수단(35)의 연산도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과 동일하다.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인지 여부를 연산 주기 마다 판정하고 있다(S11).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를 0으로 리셋트 함과 아울러, 속도 제한값 Vlim를 소정의 설정치 Vmax로 함으로써, 변수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S12). 이 후, 제1 계산기 수단(34)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온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오프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이 아닌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도어 열림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6).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열림 상태에서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도어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절대값이 속도 제한값 Vlim 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17).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절대값이 속도 제한값 Vlim 이상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절대값이 속도 제한값 Vlim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가 0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8).
타이머의 시간 t가 0 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19). 이 결과,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도 큰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하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를 (t+1)로 한 후(S20),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한편, 타이머의 시간 t가 0 이 아닌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tmax 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21).
타이머의 시간 t가 설정 시간 tmax 이하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를 (t+1)로 한 후(S20),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타이머의 시간 t가 설정 시간 tmax 보다도 큰 경우에는, 속도 제한값 Vlim을 (Vlim-V1)로 한 후(S22),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또한, V1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이다. 따라서 속도 제한값 Vlim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의 통상 운전시의 시간적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에 대해서, 통상 운전시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상으로 유지되기(즉, 엘리베이터 칸(2)의 급감속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 때문에(도 5(b)),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가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행해진다. 이 때에는, 조정용 스위치(22)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이 조정된다.
또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 조정을 위해서 실제로는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이 반복되지만, 도 5(c)에서는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이 생략되어 있다. 또,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max 보다도 낮은 값으로 유지되기 때문에(도 5(a)),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가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행해진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2)이 급감속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의 시간적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시각 t1에서 발생하면,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흡인 지령의 출력과 모터(7)로의 급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및 가속도가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3)의 불균형에 의해서 일단 상승한다(도 6(a) 및 도 6(b)). 이 후, 조정용 스위치(22)가 열림 동작되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가 급감속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시각 t2 에서 임계값 αL보다도 작아진다.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아지면,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제어에 의해 조정용 스위치(22)의 개폐 동작이 반복되고(도 6(c)),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으로 유지된다(도 6(b)). 이 때, 시각 t2로부터의 시간이 설정 시간 tmax를 경과하면, 속도 제한값 Vlim의 값이 설정치 Vmax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 이하로 유지되어, 엘리베이터 칸(2)이 시각 t3에서 충분히 저속이 되면, 조정용 스위치(22)의 개폐 반복 동작이 정지되고,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가 열린 상태(오프 상태)로 유지된다(도 6(c)).
이 후, 엘리베이터 칸(2)이 시각 t4에서 완전하게 정지하면,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계전기 구동 지령의 출력이 정지된다(도 6(d)). 따라서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 각각이 열림 동작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을 초과한 경우에는,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의 출력 유무에 관계없이,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제어에 의해 열림 동작된다. 따라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되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과,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여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한 때에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계산기 수단(34, 35)을 포함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이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각 계산기 수단(34, 35)에서 개별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각 계산기 수단(34, 35)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이 고장난 경우더라도, 나머지의 정상적인 계산기 수단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2)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 제어의 신뢰성의 향상을 위해서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구성에 대한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계산기 수단(34, 35)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속도 제한값 Vlim을 작성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을 초과하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낮은 단계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이상을 판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계산기 수단(34, 35)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의 위치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나 가속도가 이상이 아닌 경우더라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판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각 계산기 수단(34, 35)의 개수가 2개로 되어 있지만, 계산기 수단의 개수를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14: 제1 속도 검출기
15: 제2 속도 검출기
16: 도어 닫힘 검출기
17: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18: 운행 제어 장치
23: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
34: 제1 계산기 수단
35: 제2 계산기 수단
37: 고장 검지 수단
15: 제2 속도 검출기
16: 도어 닫힘 검출기
17: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18: 운행 제어 장치
23: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
34: 제1 계산기 수단
35: 제2 계산기 수단
37: 고장 검지 수단
Claims (3)
- 승강로 내를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코일을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 정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상기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동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과, 소정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연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가지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가 포함되어 있고,
각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속도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속도 제한값을 작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속도 제한값을 초과하면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닫는 도어 닫힘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위치 검출기와,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맞물릴 수 있는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가 포함되어 있고,
각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위치가 상기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8/072162 WO2010064320A1 (ja) | 2008-12-05 | 2008-12-05 | エレベータ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6645A true KR20110036645A (ko) | 2011-04-07 |
KR101233558B1 KR101233558B1 (ko) | 2013-02-14 |
Family
ID=4223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5227A KR101233558B1 (ko) | 2008-12-05 | 2008-12-05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364947B1 (ko) |
JP (1) | JP5653758B2 (ko) |
KR (1) | KR101233558B1 (ko) |
CN (1) | CN102177083B (ko) |
WO (1) | WO20100643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230B1 (ko) * | 2008-12-12 | 2013-01-09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
CN103803366B (zh) | 2013-12-19 | 2016-04-27 |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 一种电梯抱闸力矩检测方法 |
ES2763933T3 (es) * | 2016-08-02 | 2020-06-01 | Kone Corp | Procedimiento, unidad de control de ascensor, y sistema de ascensor para ajustar dinámicamente un límite de velocidad de nivelación de una cabina de ascensor |
CN109292556B (zh) * | 2018-12-11 | 2021-05-25 |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 电梯制动器的控制方法、装置、抱闸电源和存储介质 |
US11767194B2 (en) * | 2019-01-28 | 2023-09-26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car and door motion monitoring |
JP7280709B2 (ja) * | 2019-02-20 | 2023-05-2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
JP7132438B2 (ja) * | 2019-07-02 | 2022-09-0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72369A (ja) | 1983-03-16 | 1984-09-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巻胴式エレベ−タの着床制御装置 |
JPH07157211A (ja) | 1993-12-03 | 1995-06-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
JPH11139733A (ja) * | 1997-11-07 | 1999-05-25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
JP5138361B2 (ja) * | 2006-03-02 | 2013-02-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JP5053074B2 (ja) | 2006-03-17 | 2012-10-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JP5214239B2 (ja) * | 2006-08-03 | 2013-06-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US8167094B2 (en) * | 2007-04-26 | 2012-05-0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apparatus |
KR101121343B1 (ko) | 2007-05-24 | 2012-03-09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장치 |
EP2163502B2 (en) * | 2007-06-14 | 2018-02-2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with a semiconductor switch for brake control |
WO2009008058A1 (ja) * | 2007-07-10 | 2009-01-15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エレベータ装置 |
-
2008
- 2008-12-05 WO PCT/JP2008/072162 patent/WO201006432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2-05 CN CN200880131508.8A patent/CN102177083B/zh active Active
- 2008-12-05 EP EP08878580.3A patent/EP2364947B1/en active Active
- 2008-12-05 KR KR1020117005227A patent/KR1012335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12-05 JP JP2010541179A patent/JP5653758B2/ja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3558B1 (ko) | 2013-02-14 |
EP2364947A4 (en) | 2014-05-28 |
EP2364947A1 (en) | 2011-09-14 |
WO2010064320A1 (ja) | 2010-06-10 |
CN102177083A (zh) | 2011-09-07 |
JPWO2010064320A1 (ja) | 2012-05-10 |
JP5653758B2 (ja) | 2015-01-14 |
EP2364947B1 (en) | 2016-08-24 |
CN102177083B (zh) | 2016-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3558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2361312B1 (ko) |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 |
KR101748475B1 (ko) | 멀티 카식 엘리베이터 | |
US8177035B2 (en) | Elevator system which controls a value of overspeed | |
JP5214239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1980519B1 (en) | Door device for elevator | |
KR101130926B1 (ko) |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 |
KR20120023105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WO2009078088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US20200130985A1 (en) | Elevator system | |
JP5355543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393633B2 (ja) | エレベーター | |
KR10112134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CN109789992B (zh) | 电梯控制电路 | |
JP6351853B2 (ja) | 油圧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および油圧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異常検出方法 | |
JP2635257B2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KR20090014190A (ko)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
WO2020115883A1 (ja) | エレベーターの利用者の閉じ込めを回避させる監視装置 | |
KR20120014003A (ko)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
WO2005105648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09153882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801683B2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JP2006096510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90245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H05213555A (ja) |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