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190A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190A
KR20090014190A KR1020087029696A KR20087029696A KR20090014190A KR 20090014190 A KR20090014190 A KR 20090014190A KR 1020087029696 A KR1020087029696 A KR 1020087029696A KR 20087029696 A KR20087029696 A KR 20087029696A KR 20090014190 A KR20090014190 A KR 2009001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rake torque
door
disast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118B1 (ko
Inventor
마사아키 아마노
가즈나리 모우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 장치 본체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 유무를 감시한다. 또, 제어 장치 본체는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검출되면,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허가하고, 통상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LER}
본 발명은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제동 지령 검출시에 속도 검출기에 의한 전동기 회전이 검출되었을 때, 브레이크 장치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전동기에 의해 브레이크 토크를 보충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으로 운전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1-247383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장치의 이상시에 문 개폐를 행해도 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에 대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또, 화재 및 지진 등의 재해시에 브레이크 장치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어떠한 제어를 행할지에 대해서도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에 대해 통상시와 재해시를 구별하여, 보다 적정한 엘리베이터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 본체는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검출되면,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허가하고, 통상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저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 정지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는 메인 로프(3)에 의해 매달려, 권상기(卷上機; 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권상기(4)는 메인 로프(3)가 감겨진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의 운전은 제어 장치 본체(5)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즉, 권상기(4)의 모터 및 브레이크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 본체(5)는 통보 장치(6) 및 일반 공중 회선망(7)을 통하여 원격지에 설치된 감시 센터(8)에 접속되어 있다. 만일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 본체(5)로부터 통보 장치(6) 및 일반 공중 회선망(7)을 통하여 감시 센터(8)에 이상이 통보된다.
제어 장치 본체(5)는 운행 제어 수단(9), 브레이크 토크 체크 수단(10), 재해시 관제 운전 수단(11), 문 개폐 판정 수단(12), 종단층 주행 수단(13) 및 알림 수단(14)을 갖고 있다.
운행 제어 수단(9)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 전반을 제어한다. 브레이크 토크 체크 수단(10)은 예를 들어 모터 전류값을 감시함으로써,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토크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재해시 관제 운전 수단(11)은 지진 및 화재 등의 재해의 검출 신호에 따라 재해시 관제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재해시 관제 운전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이 가장 가까운 층 또는 미리 설정된 피난층으로 이동되어 정지된다.
문 개폐 판정 수단(12)은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층에 정지했을 때에 문 개폐를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종단층 주행 수단(13)은 엘리베이터 칸(1)을 종단층까지 주행시키고 휴지시킨다. 알림 수단(14)은 이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통보 장치(6)에 출력한다.
여기서, 운행 제어 수단(9), 브레이크 토크 체크 수단(10), 재해시 관제 운전 수단(11), 문 개폐 판정 수단(12), 종단층 주행 수단(13) 및 알림 수단(14)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어 장치 본체(5)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RAM 및 하드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 본체(5)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기억부에는 운행 제어 수단(9), 브레이크 토크 체크 수단(10), 재해시 관제 운전 수단(11), 문 개폐 판정 수단(12), 종단층 주행 수단(13) 및 알림 수단(14)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 장치 본체(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 본체(5)의 엘리베이터 칸 정지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의 동작은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 개시시에 개시된다. 엘리베이터 칸(1)이 감속되면, 제어 장치 본체(5)는 엘리베이터 칸(1)이 문 열림 가능 영역(door zone)에 들어섰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1). 엘리베이터 칸(1)이 문 열림 가능 영역에 들어가면, 문 열림 동작을 일단 저지하고(단계 S2),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3).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면,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 즉 토크 저하의 유무를 확인한다(단계 S4). 브레이크 토크가 정상이면, 엘리베이터 칸 문 및 승강장 문을 개방하고(단계 S5), 처리를 종료한다. 또,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검출되면, 재해시 관제 운전이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6). 그리고, 재해시 관제 운전이 선택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 및 승강장 문을 개방하고(단계 S5),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재해시 관제 운전이 선택되지 않고, 통상 운전 중인 경우는 엘리베이 터 칸(1)을 종단층으로 주행시킨다(단계 S7). 이 때, 엘리베이터 칸(1)측의 하중이 균형추(2)측의 하중보다 큰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1)을 하부 종단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균형추(2)측의 하중이 엘리베이터 칸(1)측의 하중보다 큰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1)을 상부 종단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 칸(1)의 종단층으로의 주행이 개시되면, 엘리베이터 칸(1)이 문 열림 가능 영역에 들어섰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8). 엘리베이터 칸(1)이 문 열림 가능 영역에 들어가면, 문 열림 동작을 일단 저지하고(단계 S9),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10).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면,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 유무를 재차 확인한다(단계 S11).
그리고,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계속해서 검출된 경우, 재해시 관제 운전이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재차 확인한다(단계 S12).
여기서, 브레이크 토크가 정상적으로 돌아와 있는 경우, 및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재차 검출되었으나 엘리베이터 칸(1)이 종단층으로 주행하는 동안에 재해시 관제 운전이 선택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 및 승강장 문을 개방하고, 소정 시간 후에 엘리베이터 칸 문 및 승강장 문을 닫고, 엘리베이터 칸(1) 내의 조명을 소등한다(단계 S13). 그리고, 감시 센터(8)에 알린 후(단계 S14), 보수원이 해제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1)의 기동을 계속적으로 불능으로 하고(단계 S15), 처리를 종료한다. 단, 엘리베이터 칸(1)이 문 열림 가능 영역에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1) 내의 문 열림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 및 승강장 문을 소 정 시간 개방한다.
이에 대해,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계속해서 검출되어 있고, 또한 통상 운전 중인 경우는 문 열림 동작 저지를 계속하고(단계 S16), 감시 센터(8)에 알리고(단계 S17),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1) 내로의 갇힘을 계속하고(단계 S18), 처리를 종료한다. 이 상태에서는 보수원이 점검하여 안전을 확인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1) 내의 문 열림 버튼의 조작에는 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검출되면,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허가하고, 통상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저지하므로, 재해시에는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1) 내로의 갇힘을 방지하여 피난을 우선시키고, 통상시에는 문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브레이크 토크가 이상인 채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에 대해, 통상시와 재해시를 구별하여 보다 적정한 엘리베이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검출되고, 또한 통상 운전 중인 경우, 엘리베이터 칸(1)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키므로, 정지 후의 엘리베이터 칸(1)이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으로 인하여 장거리를 제멋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 토크가 정상으로 돌아온 경우, 문 열림을 허가하고 감시 센터(8)에 알리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불능으로 하므로,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한 번이라도 검출된 경우에 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휴지시키고 신속하게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계속된 경우,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고,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허가하고 감시 센터(8)에 알리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1)의 기동을 불능으로 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키는 동안에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계속된 경우,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고, 통상 운전 중이면 문 열림 저지를 계속하고 감시 센터(8)에 알리므로, 브레이크 토크가 이상인 채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운행 제어 수단(9), 브레이크 토크 체크 수단(10), 재해시 관제 운전 수단(11), 문 개폐 판정 수단(12), 종단층 주행 수단(13) 및 알림 수단(14)의 기능을 1개의 컴퓨터로 실행했으나, 복수의 기기로 나누어 실행시켜도 된다.
또한, 브레이크 토크의 체크 방법은 공지된 여러 가지의 방법도 적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권상기 및 제어반이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에 대해 통상시와 재해시를 구별하여, 보다 적정한 엘리베이터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검출되면,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허가하고, 통상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검출되고, 또한 통상 운전 중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 토크가 정상으로 돌아온 경우, 문 열림을 허가하고 감시 센터에 알리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불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계속된 경우,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고,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이면 문 열림을 허가하고 감시 센터에 알리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불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으로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 토크의 이상이 계속된 경우, 재해시 관제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고, 통상 운전 중이면 문 열림 저지를 계속하고 감시 센터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20087029696A 2006-11-21 2006-11-21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0928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3163 WO2008062509A1 (fr) 2006-11-21 2006-11-21 Contrôleur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190A true KR20090014190A (ko) 2009-02-06
KR100928118B1 KR100928118B1 (ko) 2009-11-24

Family

ID=3942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696A KR100928118B1 (ko) 2006-11-21 2006-11-21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85348B1 (ko)
JP (1) JP5015169B2 (ko)
KR (1) KR100928118B1 (ko)
CN (1) CN101460384B (ko)
WO (1) WO2008062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35219T3 (es) 2008-12-19 2015-05-07 Otis Elevator Company Marco de puerta de ascensor con caja para componentes electrónicos
WO2011010356A1 (ja) * 2009-07-21 2011-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1136837A (ja) * 2010-01-04 2011-07-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I123238B (fi) 2011-02-02 2012-12-31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nostokoneiston jarrun jarrutusvoiman uudistamiseksi
JP5743319B2 (ja) * 2011-03-02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3803366B (zh) 2013-12-19 2016-04-27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抱闸力矩检测方法
WO2018198244A1 (ja) * 2017-04-26 2018-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WO2020136739A1 (ja) * 2018-12-26 2020-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油圧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既設油圧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502Y2 (ko) * 1985-06-28 1991-03-27
JP2559706B2 (ja) * 1986-05-08 1996-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1247383A (ja) 1988-03-28 1989-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365768A (ja) * 1990-12-26 1992-12-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635257B2 (ja) * 1991-12-10 1997-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373220B2 (ja) * 1992-02-07 2003-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930807B2 (ja) * 1992-07-06 1999-08-09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840658A (ja) * 1994-07-27 1996-02-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非常制動制御方法及び装置
JPH1171079A (ja) * 1997-08-29 1999-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351558A (ja) * 1999-06-14 2000-12-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5053674A (ja) 2003-08-06 2005-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戸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15169B2 (ja) 2012-08-29
EP2085348A1 (en) 2009-08-05
EP2085348B1 (en) 2016-09-21
JPWO2008062509A1 (ja) 2010-03-04
CN101460384A (zh) 2009-06-17
WO2008062509A1 (fr) 2008-05-29
EP2085348A4 (en) 2013-07-10
CN101460384B (zh) 2012-01-11
KR100928118B1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11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519774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49804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2142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312571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20073909A1 (en) Elevator device
KR1012233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02555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21717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40658A (ja) エレベータの非常制動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411415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20115883A1 (ja) エレベーターの利用者の閉じ込めを回避させる監視装置
JP426593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用運転装置
KR100218404B1 (ko) 모터 구동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구출 운전방법
JP200733190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79512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809373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64882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閉じ込め救出運転方法
JP200716902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2135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6044930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00898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29753Y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H0318248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711459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閉じ込め救出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