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729A -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729A
KR20110033729A KR1020090091325A KR20090091325A KR20110033729A KR 20110033729 A KR20110033729 A KR 20110033729A KR 1020090091325 A KR1020090091325 A KR 1020090091325A KR 20090091325 A KR20090091325 A KR 20090091325A KR 20110033729 A KR20110033729 A KR 2011003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fluorine
present
membran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307B1 (ko
Inventor
손지향
구영림
이종훈
최정훈
강성용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307B1/ko
Priority to DE201011003766 priority patent/DE112010003766T8/de
Priority to PCT/KR2010/006319 priority patent/WO2011037354A2/ko
Priority to US13/389,386 priority patent/US20120132583A1/en
Priority to CN201080035341.2A priority patent/CN102481528B/zh
Priority to JP2012509746A priority patent/JP2012525966A/ja
Publication of KR2011003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2Hollow fibre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b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7Details relating to the spin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대칭 구조를 가지면서도, 스폰지 형태의 기공 구조가 발현된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도, 여과 성능 및 역세 성능이 우수한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불소계 중공사막, 비대칭 구조, 스폰지 구조, 여과 영역, 지지 영역, 역세 영역, 이중 관형 노즐, 에어갭, 내부 응고액, 외부 응고액

Description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Fluorinated hollow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효과적인 물질의 분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증류, 추출, 흡수, 흡착 또는 재결정 등의 다양한 분리 공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재래식 분리 공정은 다량의 에너지 소비 및 공간 이용의 비효율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재래식 분리 공정을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 절약형 분리 공정으로서 분리막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분리막은 두 개의 상(phase)의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적 장벽(selective barrier)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특히 고분자 분리막은 선택분리 및 효율적인 물질 투과 기능을 전제로 화학, 환경, 의료, 바이오 및 식품 산업 등에 이르기 까지 그 산업적 수요가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공업 및 농업 폐수, 음용수의 공급이나 독성 산업 폐기물의 처리 등을 포함 하여, 환경 오염의 심각성이 전세계적으로 대두되면서 고분자 분리막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고분자 분리막의 하나인, 불소계 중공사막(ex. PVDF(polyvinylidene fluoride)계 중공사막)은, 한외여과(UF; ultrafiltration) 또는 정밀여과(MF; microfiltration)를 위한 분리막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불소계 중공사막을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비용매 상분리법이 있다. 비용매 상분리법은, 양용매에 용해한 중합체 용액을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중 관형 노즐로 압출한 후, 수지의 비용매를 포함하는 액체와 접촉시킴으로써, 비용매 유기 상분리를 유도하고, 다공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사막의 경우, 열유도 상분리법에 비해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역세 및 파울링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비용매 상분리법으로 제조된 중공사막의 경우, 막 표면에 기공 형성이 어렵고, 매크로보이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구조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평균 직경이 0.01 ㎛ 내지 0.5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여과 영역; 평균 직경이 0.5 ㎛ 내지 5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지지 영역; 및 평균 직경이 2 ㎛ 내지 10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역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 영역, 지지 영역 및 역세 영역이 외표면에서 내표면 방향으로 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중공사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내측관 및 외측관을 구비한 이중 관형 노즐로서, 상기 외측관의 너비(D)에 대한 노즐 길이(L)의 비율(L/D)이 3 이상인 이중 관형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노즐의 내측관으로 내부 응고액을 토출하고, 상기 노즐의 외측관으로 방사 용액을 토출하는 제 1 단계; 및
방사 용액을 외부 응고액과 접촉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인장 파단 강도가 4 MPa 이상인 불소계 중공사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대칭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부에 매크로보이드가 배제된 스폰지 형태의 기공 구조가 발현된 불소계 중공사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표면 및 내표면의 기공 특성이 효과적으로 제어된 불소계 중공사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역세 성능 및 여과 성능을 나타내는 불소계 중공사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균 직경이 0.01 ㎛ 내지 0.5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여과 영역; 평균 직경이 0.5 ㎛ 내지 5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지지 영역; 및 평균 직경이 2 ㎛ 내지 10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역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 영역, 지지 영역 및 역세 영역이 외표면에서 내표면 방향으로 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중공사막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불소계 중공사막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은, 외표면에서 내표면 방향으로 기공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비대칭 구조를 가지면서도, 스폰지 구조로 형성된 기공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스폰지 구조」는 기공 구조 내에 매크로보이드, 구체적으로는 기공의 평균 직경이 수십 ㎛ 이상인 거대 기공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 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은, 외표면에서 내표면 방향으로 순차로 형성된 여과 영역, 지지 영역 및 역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 영역, 지지 영역 및 역세 영역의 각각 스폰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여과 영역」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약 0.01 내지 0.5 ㎛, 바람직하게는 약 0.05 ㎛ 내지 0.3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폰지 구조의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지지 영역」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공사막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형성되고, 약 0.5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약 0.5 ㎛ 내지 2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폰지 구조의 영역을 의미하고, 용어 「역세 영역」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공사막의 내표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약 2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약 2 ㎛ 내지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폰지 구조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여과, 지지 및 역세 영역에 포함되는 기공의 평균 직경이, 여과, 지지 및 역세 영역의 순서로 증가하고,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과, 지지 및 역세 영역이 중공사막의 외표면에서 내표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중공사막의 내부 기공의 평균 직경은, 예를 들면, 중공사막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상화한 후, 기공 크기 분포를 측 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중공사막의 내부에 형성된 여과 영역, 지지 영역 및 역세 영역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여과 영역의 단면 길이(Lf)에 대한 지지 영역의 단면의 길이(Ls)의 비율(Ls/Lf)이 약 1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일 수 있고, 여과 영역의 단면 길이(Lf)에 대한 역세 영역의 단면의 길이(Lb)의 비율(Lb/Lf)이 약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 지지 및 역세 영역의 길이의 총합(Lf+Ls+Lb)은 약 100 ㎛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약 200 ㎛ 내지 300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에서는 또한, 상기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기공의 평균 직경이 약 0.01 ㎛ 내지 0.05 ㎛이고, 내표면에 존재하는 기공의 평균 직경이 약 2 ㎛ 내지 10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공의 존재 양태 및 구조 등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 해서, 탁월한 역세능, 여과능 및 투수율을 나타내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중공사막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중공사막은 인장 파단 강도가 약 4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4.5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MPa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인장 파단 강도는, 예를 들면, 인장 시험기(Zwick Z100)를 사용한 인장 시험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 25℃의 온도 및 약 40% 내지 70%의 상대 습도 조건 하에서, 습윤 상태의 중공사막을 인장 시험기에 장착(척간 거리: 약 5 cm)하고, 약 2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인장하여, 시편(중공사막)이 파단하는 시점에서의 하중을 측정하여 인장 파단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장 파단 강도가 4 MPa 미만이면, 중공사막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져서, 장기간에 걸친 안정적인 운전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중공사막의 인장 파단 강도는 그 수치가 클수록, 중공사막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보이는 것으로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2 MPa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사막은, 인장 파단 신율이 약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 %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인장 파단 신율은, 예를 들면, 전술한 인장 파단 강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장 파단 강도의 측정 시와 동일한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 습윤 상태의 중공사막을 인장 시험기에 장착(척간 거리: 약 5 cm)하고, 약 2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인장하여, 시편(중공사막)이 파단하는 시점에서의 변위를 측정하여 인장 파단 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장 파단 신율이 60% 미만이면, 중공사막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져서, 장기간에 걸친 안정적인 운전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중공사막의 인장 파단 신율은 그 수치가 클수록, 중공사막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보이는 것으로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00%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은, 또한, 순수(pure water)에 대한 투과율(flux)이 60 LMH(L/m2·hr)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LMH(L/m2·hr)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LMH(L/m2·hr)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순수에 대한 투과율은, 예를 들면, 하기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순수에 대한 투과율이 60 LMH(L/m2·hr) 미만이면, 중공사막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순수에 대한 투과율은 그 수치가 높을수록, 중공사막이 우수한 수처리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450 LMH(L/m2·hr)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공 특성,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율 또는 투과율을 나타내는 한, 그 구체적인 소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불소계 중공사막은,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중공사막,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계 중공사막,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계 중공사막,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EPE)계 중공사막,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계 중공사막,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계 중공사막,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계 중공사막 또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계 중공사막 등일 수 있고, 이 중 내오존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테트라플루 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불화비닐리덴, 바람직하게는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공사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공사막에 포함되는 소재의 예로는, 불화비닐리덴의 단독 중합체(homopolymer), 또는 불화비닐리덴 및 상기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copolymer)를 들 수 있다. 상기에서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플루오르화 에틸렌, 육불화 프로필렌, 삼불화 에틸렌, 삼불화 염화 에틸렌 또는 불화 비닐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특성을 만족하는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기술을 적절히 적용하여, 상기 중공사막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전술한 특성을 만족하는 불소계 수처리막의 효과적인 제조를 위하여, 내측관 및 외측관을 구비한 이중 관형 노즐로서, 상기 외측관의 너비(D)에 대한 노즐 길이(L)의 비율(L/D)이 3 이상인 이중 관형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내측관으로 내부 응고액을 토출하고, 상기 노즐의 외측관으로 방사 용액을 토출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토출된 방사 용액을 외부 응고액과 접촉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불소계 중공사막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서는, 비용매(non-solvent) 상분리법을 통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방사 용액의 토출에 사용되는 이중 관형 노즐의 형태를 제어하여, 목적하는 특성을 가지는 중공사막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방사 용액을 토출하는 이중 관형 노즐로서, 상기 노즐에 포함되는 외측관의 너비(D)에 대한 노즐의 길이(L)의 비율(L/D)이 3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인 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율이 3 미만이면, 분자의 재배열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매크로보이드가 발생하고, 스폰지 형태의 기공 구조가 효과적으로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율(L/D)은 그 수치가 클수록, 분자 재배열의 유도 효율이 좋아지고, 기공 구조 내에 매크로보이드(거대 기공)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수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노즐의 손상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비율(L/D)을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의 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관형 노즐의 구체적인 형태는, 전술한 범위의 규격을 가지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첨부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 용액이 공급되는 방사 용액 주입구(11); 방사 용액이 외부로 방사되는 외측관(13), 내부 응고액이 주입되는 내부 응고액 주입구(12) 및 내부 응고액이 방사되는 내측관(14)을 포함하는 이중 관형 노즐(1)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노즐의 길이」는 상기 내측관 또는 외측 관의 길이로서, 예를 들면, 첨부된 도 2에서 L로 표시되는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외측관의 너비」은 이중 관형 노즐에 포함되어, 방사 용액의 유로가 되는 외측관의 너비로서, 예를 들면, 첨부된 도 2에서 D로 표시되는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의 길이(L) 및 외측관 너비(D)의 비율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한, 그 각각의 구체적인 치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노즐(L)의 길이가 0.5 mm 내지 5 m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이중 관형 노즐을 사용하여, 방사 용액 및 내부 응고액을 동시에 또는 순차로 각각 토출한다. 이 때, 방사 용액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중공사막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방사 용액이 불소계 고분자 및 상기 고분자에 대한 양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사 용액에 포함되는 불소계 고분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중공사막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소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고분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계 고분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계 고분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EPE)계 고 분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계 고분자,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계 고분자,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계 고분자 또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계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내오존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불화비닐리덴, 바람직하게는 폴리불화비닐리덴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폴리불화비닐리덴계 고분자의 예로는, 불화비닐리덴의 단독 중합체(homopolymer), 또는 불화비닐리덴 및 상기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copolymer)를 들 수 있다. 상기에서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플루오르화 에틸렌, 육불화 프로필렌, 삼불화 에틸렌, 삼불화 염화 에틸렌 또는 불화 비닐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방사 용액에 포함되는 불소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100만, 바람직하게는 20만 내지 50만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불소계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미만이면, 중공사막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0만을 초과하면, 상분리에 의한 다공화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사 용액은, 전술한 불소계 고분자와 함께, 양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양용매」는 불소계 수지의 용융 온도 이하,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불소계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양용매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특성을 나타내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용매 중 N-메틸 피롤리돈을 사용하는 것이 다소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사 용액에서, 상기와 같은 양용매는 전술한 불소계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 내지 9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0 중량부 내지 7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용매의 함량이 150 중량부 미만이면, 상분리에 의한 다공화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된 중공사막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방사 용액은, 또한, 불소계 고분자 및 양용매에 추가로,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 분야에서는 중공사막의 다공화 효율의 개선 및 방사 용액의 점도의 조절 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첨가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목적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첨가제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첨가제의 종류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 글리콜, 트리에틸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에탄올, 물, 과염소산 리튬(lithium perchlorate) 또는 염화 리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성분을 적절한 조건에서 혼합하고, 숙성(aging)시킨 다음, 용액 내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공정을 통하여, 방사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성분의 혼합은 예를 들면, 약 6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제거 공정은, 예를 들면, 질소(N2) 가스에 의한 퍼징(purging) 공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공정은 약 60℃의 온도에서 약 1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방사 용액과 함께, 이중 관형 노즐의 내측관으로 방사되는, 내부 응고액(bore fluid)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내부 응고액으로서, 물(ex. 순수(pure water) 또는 수돗물(tap water))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기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다가 알코올의 예로는, 2가 내지 9가의 알코올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기공 구조의 효율적인 제어 등의 관점에서, 상기 내부 응고액으로서,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ex. 순수)과 N-메틸피롤리돈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혼합 용액 내에서 유기 용매의 농도는,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혼합 용액 내의 유기 용매의 농도가 10 중량% 미만이면, 중공사막의 스폰지 구조의 발현 효율이 떨어져서,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면, 기공 형성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내부 응고액은 상온, 구체적으로는 약 10℃ 내지 3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상온」은 가온 또는 감온 상태가 아닌 자연 그대로의 온도 범위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부 응고액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물의 포화 수증기압이 감소하여, 기포가 생성되거나, 방사 용액의 방사가 끊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높아지면, 상전이가 발생하기 전에 방사 용액이 용해되어, 제조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내부 응고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방사 용액의 경우와 같이, 각 성분을 적절한 조건에서 혼합하고, 가스 제거 공정(degassing process)를 적절하게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는 상기한 방사 용액 및 내부 응고액을 이중 관형 노즐을 사용하여, 각각 외측관 및 내측관으로 방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 제조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의 하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적절한 혼합기(21) 내에서 방사 용액의 각 성분을 혼합한 후, 이를 탱크(22)로 이송하여 가스 제거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방사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그 후, 제조된 방사 용액을 모터(23)가 장착된 펌프(24)를 사용하여, 상기한 이중 관형 노즐(27)로 이송한 후, 그 외측관을 통하여 방사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로 내부 응고액 탱크(25) 내에 저장된 내부 응고액을 역시 적절한 펌프(26)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이중 관형 노즐(27)로 이송한 후, 이를 내측관을 통하여 방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 용액 및 내부 응고액을 토출(방사)하는 조건(ex. 방사 속도 또는 방사 온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상기 토출을 약 6 cc/min 내지 20 cc/min, 바람직하게는, 8 cc/min 내지 15 cc/min의 속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공정은, 약 1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토출 속도 및 온도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된 방사 용액 및/또는 내부 응고액의 조성이나, 목적하는 중공사막의 물성을 고려 하여 상기 토출 속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 관형 노즐을 사용하여 토출한 방사 용액을 외부 응고액과 접촉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공정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관형 노즐(27)을 통해 토출된 방사 용액이, 외부 응고액이 저장된 탱크(28)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단계에서, 이중 관형 노즐로부터 토출된 방사 용액이, 토출 직후 즉시 외부 응고액과 접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토출 직후 방사 용액이 외부 응고액과 접촉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이중 관형 노즐(27)과 탱크(28)에 저장된 외부 응고액의 간격, 즉 에어갭(air gap)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즉, air gap의 길이가 0이 되도록 제어)하여, 방사 용액이 토출과 동시에 외부 응고액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 용액이 이중 관형 노즐로부터 토출된 직후 외부 응고액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및 신율 특성이 우수한 중공사막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외부 응고액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비용매 상분리법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외부 응고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외부 응고액으로서, 불소계 수지에 대한 비용매 또는 비용매와 양용매의 혼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비용매」는 수지의 용융 온도 이하,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불소계 고분자를 실질적으로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 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비용매의 예로는,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물(ex. 순수(pure water) 또는 수돗물(tap wat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용매 중 물(ex. 수돗물(tap wate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 용액에 포함될 수 있는 양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부 응고액에서 기술한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메틸 피롤리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응고액으로서, 상기 혼합 용액을 사용할 경우, 상기 용액에 포함되는 양용매의 농도는, 예를 들면, 0.5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혼합 용액 내의 양용매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이면, 외부 기공 형성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중공사막 외표면에 거대기공이 생성되어 여과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외부 응고액은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응고액의 온도가 40℃ 미만이면, 구형 결정 구조의 생성으로 인해 중공사막의 기계적 강도 및 신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를 초과하면, 비용매 성분의 증발로 인해 공정상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중 관형 노즐에 의해 토출된 방사 용액을 외부 응고액과 접촉시켜, 상분리를 유도함으로써, 목적하는 중공사막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전술한 외부 응고액과의 접촉 단계에 이어서, 세척 조(29)에서의 세척 및 권취 장치(30)에서의 권취 등과 같은 통상의 후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인 기공 구조를 나타내고, 상술한 기계적 강도(인장 파단 강도 및 신율) 및 투수율을 가지는 중공사막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불화비닐리덴 15 중량부, LiCl 5 중량부 및 H2O 3 중량부를, N-메틸피롤리돈(NMP) 77 중량부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도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중공사막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이 때, 사용된 이중 관형 노즐의 외측관 너비(D) 대 길이(L)의 비율(L/D)은 7이였으며, 상기 노즐의 길이(L)는 2.1 mm였다. 또한, 이중 관형 노즐 및 외부 응고액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즉, air gap을 0 cm로 제어)하여, 방사 용액이 토출과 동시에 외부 응고액과 접촉되도록 하였다. 내부 응고액으로는, N-메틸피롤리 돈(NMP) 및 물의 혼합 용액(NMP 농도: 80wt%, 상온)을 사용하였고, 외부 응고액으로는 60℃의 물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이중 관형 노즐을 사용한 방사 용액의 토출 시에, 토출 속도는 약 12 cc/min, 토출 온도는 상온으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2.
내부 응고액으로는, N-메틸피롤리돈 및 물의 혼합 용액(NMP 농도: 20 wt%, 상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외부 응고액으로는, N-메틸피롤리돈 및 물의 혼합 용액(NMP 농도: 5 wt%, 6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중 관형 노즐로서, 외측관 너비(D) 대 노즐 길이(L)의 비율(L/D)은 2이고, 노즐 길이(L)가 0.7 mm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중공사막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 재하였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1
L/D 7 7 7 2
L 2.1 mm 2.1 mm 2.1 mm 0.7 mm
Air gap 0 cm 0 cm 0 cm 0 cm
내부 응고액 80% NMP (상온) 20% NMP (상온) 20% NMP (상온) 80% NMP (상온)
외부 응고액 water (60℃) water (60℃) 5% NMP (60℃) water (상온)
L/D: 외측관 너비(D) 대비 이중 관형 노즐의 길이(L) 비율
L: 이중 관형 노즐의 길이
방사 용액 조성: 15%PVDF/5%LiCl/3%H2O/NMP
PVDF: 폴리불화비닐리덴
NMP: N-메틸 피롤리돈
시험예 1. 기공 구조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중공사막의 단면 및 외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 내지 7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실시예 1의 중공사막의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1의 중공사막에서 외표면부터 순차로 형성된 여과, 지지 및 역세 영역의 기공 구조, 도 6은 실시예 2의 중공사막의 외표면, 도 7은 비교예 1의 중공사막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중공사막의 경우, 내부에 매크로보이드가 없는 스폰지 구조의 기공이 발현되면서도, 외표면에서 내표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기공의 크기가 커지는 비대칭 구조를 가지고, 외표면의 기공 특성도 효율적으로 제어된 중공사막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비대칭 기공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내부에 평균 직경이 수십 ㎛인 매크로보이드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중공사막의 여과, 지지 및 역세 영역의 크기 및 기공의 평균 직경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평균 직경이 약 0.2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 영역이 외표면으로부터 약 5 ㎛의 길이로 형성되고, 이어서 평균 직경이 약 1 ㎛인 기공을 포함하는 지지 영역이 약 200 ㎛의 길이로 형성되며, 이어서 평균 직경이 약 2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역세 영역이 약 50 ㎛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율의 분석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중공사막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인장 파단 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중공사막을 5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에 장시간 보관한 후, 물로 반복적으로 교환시킴으로써 습윤상태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습윤 상태의 중공사막을 인장 시험기(Zwick Z100)에 척간 거리가 약 5 cm가 되도록 장착하였다. 그 후, 약 25℃의 온도 및 약 60%의 상대 습도 조건 하에서, 상기 중공사막을 약 2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인장시켰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시편(습윤 상태의 중공사막)이 파단하는 시점에서의 하중 및 변위를 측정하여,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측정한 결과, 실시예 2의 인장 파단 강도는 5.94 MPa였으며, 인장 파단 신율은 157%였다.
시험예 3. 순수에 대한 투과율 측정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중공사막에 대하여 순수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길이 300 mm의 중공사막 64 가닥을 에탄올에 침지한 후, 순수에 장시간 침지시켜, 에탄올을 순수로 치환시켰다. 이어서, 순수로 치환된 중공사를 10 wt%의 글리세린에 수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서서히 건조시켰다. 건조 후 중공사를 PVC 재질의 튜브의 양단에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효율 면적이 0.06 mm2인 소형 모듈을 제작하였다. 그 후, 제조된 모듈을 50 wt%의 에탄올에 침지하고, 다시 순수에 침지시켜 막을 습윤한 상태로 유지하였다. 그 후, 상기 모듈을 유량 및 압력 제어가 가능한 소형 모듈 분석 장치에 장착하고 순수를 0.5 bar의 압력으로 흘렸다. 유입수의 유입 후 5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30분 동안 투과량을 측정하고, 하기 일반식 1에 따라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일반식 1]
Figure 112009059202001-PAT00001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실시예 3의 중공사막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그 투과율은 173 LMH로 나타나, 우수한 투과율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의 기공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관형 노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이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중공사막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SE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이중 관형 노즐 11: 방사 용액 주입구
12: 내부 응고액 주입구 13: 외측관
14: 내측관 L: 노즐 길이
P: 외측관 직경
21: 혼합기 22: 저장 탱크
23: 모터 24: 펌프
25: 저장 탱크 26: 모터
27: 이중 관형 노즐 28: 외부 응고액 탱크
29: 롤링 장치 30: 세척 장치

Claims (22)

  1. 평균 직경이 0.01 ㎛ 내지 0.5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여과 영역; 평균 직경이 0.5 ㎛ 내지 5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지지 영역; 및 평균 직경이 2 ㎛ 내지 10 ㎛인 기공을 함유하는 스폰지 구조의 역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 영역, 지지 영역 및 역세 영역이 외표면에서 내표면 방향으로 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중공사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외표면에 평균 직경이 0.01 ㎛ 내지 0.05 ㎛인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중공사막.
  3. 제 1 항에 있어서, 내표면에 평균 직경이 2 ㎛ 내지 10 ㎛인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중공사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 파단 강도가 4 MPa 이상인 불소계 중공사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 파단 신율이 60% 이상인 불소계 중공사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순수에 대한 투과율이 60 LMH 이상인 불소계 중공사막.
  7. 내측관 및 외측관을 구비한 이중 관형 노즐로서, 상기 외측관의 너비(D)에 대한 노즐 길이(L)의 비율(L/D)이 3 이상인 이중 관형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노즐의 내측관으로 내부 응고액을 토출하고, 상기 노즐의 외측관으로 방사 용액을 토출하는 제 1 단계; 및
    방사 용액을 외부 응고액과 접촉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방사 용액은 불소계 고분자 및 상기 불소계 고분자에 대한 양용매를 포함하는,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불소계 고분자가 폴리불화비닐리덴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불소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100만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양용매가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내부 응고액은 물;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을 포함하는,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는,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혼합 용액 내에 유기 용매의 농도가 10 중량% 내지 90 중량%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내부 응고액은 온도가 10℃ 내지 30℃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이중 관형 노즐로 토출된 방사 용액을 토출과 동시에 외부 응고액과 접촉시키는,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7. 제 7 항에 있어서, 외부 응고액은 불소계 수지에 대한 비용매; 또는 불소계 수지에 대한 비용매 및 양용매의 혼합 용액을 포함하는,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비용매가 물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양용매가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혼합 용액 내의 양용매의 농도가 0.5 중량% 내지 30 중량%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21. 제 7 항에 있어서, 외부 응고액은 온도가 40℃ 내지 80℃인,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22. 제 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고, 인장 파단 강도가 4 MPa 이상인 불소계 중공사막.
KR1020090091325A 2009-09-25 2009-09-25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25A KR101657307B1 (ko) 2009-09-25 2009-09-25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DE201011003766 DE112010003766T8 (de) 2009-09-25 2010-09-15 Fluorhaltige Hohlfasermembra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PCT/KR2010/006319 WO2011037354A2 (ko) 2009-09-25 2010-09-15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US13/389,386 US20120132583A1 (en) 2009-09-25 2010-09-15 Fluorine-based hollow-fiber membran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201080035341.2A CN102481528B (zh) 2009-09-25 2010-09-15 氟类中空纤维膜及其制备方法
JP2012509746A JP2012525966A (ja) 2009-09-25 2010-09-15 フッ素系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25A KR101657307B1 (ko) 2009-09-25 2009-09-25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29A true KR20110033729A (ko) 2011-03-31
KR101657307B1 KR101657307B1 (ko) 2016-09-19

Family

ID=4379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325A KR101657307B1 (ko) 2009-09-25 2009-09-25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32583A1 (ko)
JP (1) JP2012525966A (ko)
KR (1) KR101657307B1 (ko)
CN (1) CN102481528B (ko)
DE (1) DE112010003766T8 (ko)
WO (1) WO2011037354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862B1 (ko) * 2012-04-30 2014-02-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다공성 중공사막
KR101380550B1 (ko) * 2012-12-06 2014-04-0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다공성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01163B1 (ko) * 2012-08-24 2014-05-29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비대칭 다공성 중공사막
WO2014098322A1 (ko) * 2012-12-21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4197B1 (ko) * 2012-04-30 2014-07-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비대칭 다공성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ectfe) 중공사막
KR101414193B1 (ko) * 2012-04-30 2014-07-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ectfe)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KR101432581B1 (ko) * 2012-12-10 2014-08-21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
KR101436789B1 (ko) * 2012-12-10 2014-09-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
KR20150024714A (ko) * 2013-08-27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공사막 제조장치
KR20190113682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의 안정성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6653A (ja) * 2013-05-30 2015-01-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濾過モジュール及び濾過装置
CN105392553B (zh) * 2013-07-18 2017-06-23 可乐丽股份有限公司 亲水化偏二氟乙烯类多孔中空纤维膜及其制造方法
SG11201607405TA (en) 2014-03-26 2016-10-28 Kuraray Co Hollow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hollow fiber membrane
JP6599818B2 (ja) * 2016-05-31 2019-10-30 株式会社クラレ 多孔質膜の製造方法
CN106000115A (zh) * 2016-06-14 2016-10-12 金载协 一种具有高效过滤无缺陷结构的中空纤维膜及其制造方法
US10914228B2 (en) 2016-11-15 2021-02-09 Cummins Inc. Waste heat recovery with active coolant pressure control system
EP4249108A4 (en) * 2020-11-19 2024-04-17 Asahi Chemical Ind POROUS MEMBRA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206B1 (ko) * 2004-09-08 2006-05-17 케미코아 주식회사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과 그 제조방법
JP2007289886A (ja) * 2006-04-26 2007-11-08 Toyobo Co Ltd 高分子多孔質中空糸膜
JP2009095808A (ja) * 2007-10-19 2009-05-07 Toyobo Co Ltd 液体処理用の中空糸膜
KR20090072321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파라 수투과성이 향상된 폴리술폰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5755A (ja) * 2001-01-23 2004-08-26 アマシャム・バイオサイエンス・メムブレイン・セパレイショ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アシンメトリー中空ファイバー膜
JP3642065B1 (ja) * 2004-03-22 2005-04-27 東洋紡績株式会社 選択透過性分離膜および選択透過性分離膜の製造方法
JP5076320B2 (ja) * 2006-01-11 2012-11-21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系中空糸型微多孔膜の製造方法
JP2007245107A (ja) * 2006-03-20 2007-09-27 Daicel Chem Ind Ltd 中空糸多孔質膜
CN101206659B (zh) 2006-12-15 2013-09-18 谷歌股份有限公司 自动搜索查询校正
CN101406812A (zh) * 2008-11-04 2009-04-15 东华大学 一种热塑性聚氨酯弹性体/聚偏氟乙烯共混中空纤维膜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206B1 (ko) * 2004-09-08 2006-05-17 케미코아 주식회사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과 그 제조방법
JP2007289886A (ja) * 2006-04-26 2007-11-08 Toyobo Co Ltd 高分子多孔質中空糸膜
JP2009095808A (ja) * 2007-10-19 2009-05-07 Toyobo Co Ltd 液体処理用の中空糸膜
KR20090072321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파라 수투과성이 향상된 폴리술폰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862B1 (ko) * 2012-04-30 2014-02-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다공성 중공사막
KR101414197B1 (ko) * 2012-04-30 2014-07-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비대칭 다공성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ectfe) 중공사막
KR101414193B1 (ko) * 2012-04-30 2014-07-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ectfe)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KR101401163B1 (ko) * 2012-08-24 2014-05-29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비대칭 다공성 중공사막
KR101380550B1 (ko) * 2012-12-06 2014-04-0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다공성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581B1 (ko) * 2012-12-10 2014-08-21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
KR101436789B1 (ko) * 2012-12-10 2014-09-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
WO2014098322A1 (ko) * 2012-12-21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US9610545B2 (en) 2012-12-21 2017-04-04 Lg Electronics Inc. Hollow-fibre membrane having novel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150024714A (ko) * 2013-08-27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공사막 제조장치
KR20190113682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의 안정성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1528B (zh) 2014-08-06
JP2012525966A (ja) 2012-10-25
DE112010003766T5 (de) 2012-10-11
CN102481528A (zh) 2012-05-30
US20120132583A1 (en) 2012-05-31
DE112010003766T8 (de) 2013-01-17
WO2011037354A3 (ko) 2011-09-09
WO2011037354A2 (ko) 2011-03-31
KR101657307B1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307B1 (ko)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2943B1 (ko) 정삼투용 복합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13375A (ko) 비대칭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제조방법
KR101539608B1 (ko)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중공사 분리막과 그 제조방법
JP2006088148A (ja) 透水性に優れた中空糸膜
KR101738976B1 (ko)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EP2145675A1 (en) Vinylidene fluoride resin hollow-fiber porous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101502865B1 (ko)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WO2010082437A1 (ja)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中空糸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13491A (ja) 低汚染性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水処理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90535A (ko) 이중층 한외여과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1612A (ko) 다공성 pvdf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4845B1 (ko)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KR101530432B1 (ko)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KR20090133100A (ko) 수처리막의 친수화 방법 및 수처리막
KR101401160B1 (ko)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 비대칭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13374A (ko) 고분자 나노섬유를 함유한 구형입자로 구성된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03187A (ko)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5754B1 (ko) 거대기공이 없는 중공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2011A (ko) 고수투과성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제조방법
KR101380550B1 (ko)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다공성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9354A (ko) 친수성이 향상된 pvdf 중공사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df 중공사막
KR101885255B1 (ko) 다공성 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763991B1 (ko) 강도 및 수투과도가 향상된 중공사막 방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KR101432581B1 (ko)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