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982A -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및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및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982A
KR20110031982A KR1020117003741A KR20117003741A KR20110031982A KR 20110031982 A KR20110031982 A KR 20110031982A KR 1020117003741 A KR1020117003741 A KR 1020117003741A KR 20117003741 A KR20117003741 A KR 20117003741A KR 20110031982 A KR20110031982 A KR 2011003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ower
temperature
control circuit
heat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앙 홍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라이프 인터렉츄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라이프 인터렉츄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크로라이프 인터렉츄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2For heating of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접속된 가열 요소(21)의 AC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는, 가열 요소(21)에 공급되는 AC 전력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스위칭 상태, 예컨대 양쪽 반파 온, 양 또는 음의 반파 오프, 및 양쪽 반파 오프 상태를 갖는 차단 수단(31)과, 가열 요소(21)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 및/또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차단 수단(31)의 스위칭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3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및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HEATER WIRE CONTROL CIRCUIT AND METHOD TO OPERATE A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및 가열 블랭킷 또는 가열 패드에 사용될 수 있을 때처럼 가열 요소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다양한 예와 히터 와이어를 작동시키는 대응하는 방법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861,610호는 일체형 센서를 갖는 히터 와이어와 이를 위한 제어부를 기술하고 있다. 일체형 센서를 갖는 히터 와이어는 기본적으로 가열 요소로서 사용되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제1 도체와, 이 제1 도체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감지 요소로서 사용되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제2 도체와, 이들 2개의 도체들 사이의 가요성 및 열도전성의 전기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제2 와이어는 정온도 계수(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갖고,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온도로 그 내성을 증가시킨다. 저항에 따라, 가열 와이어에 대한 전력 출력이 조절된다. 심한 과열의 경우, 2개의 도체들 사이의 가요성 및 열도전성의 전기 절연체가 열화하여 2개의 도체는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전기 접촉을 하고 전력이 중지된다.
미국 특허 제6,222,162호에서, 전기 가열 요소와 제어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가열 요소는 도체가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폴리머 코어로 이루어진다. 도체는 가열 와이어로서 사용된다. 그 정온도 계수로 인해, 저항이 보다 높은 온도로 증가한다. 이 가열 도체의 저항 변화가 측정되고 제어 회로는 가열 와이어에 대한 전력을 조절한다.
미국 특허 제6,310,332호는 가열 요소를 갖는 가열 블랭킷과 전자 제어부를 개시하고 있다. 가열 요소는 기본적으로 블랭킷에 열을 제공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와, 제1 및 제2 도체 사이의 용융층으로 이루어진다. 용융층은 부온도 계수(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2개의 도체들 사이의 저항이 보다 높은 온도로 감소된다. 정상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AC 전력의 양 또는 음의 반파가 가열 요소에 공급된다. 제어부는 용융층의 저항 변화를 검출하여, 가열 요소를 위한 전력 출력을 제어하고 가열 요소의 파괴를 방지한다.
종래 기술의 가열 요소 및 히터 와이어 제어의 한가지 주요 단점은 히터 와이어의 균일한 또는 평균 온도 변화만이 검출된다는 것이다. 가열 요소의 펀칭 또는 꼬임으로 인해 히터 와이어의 작은 부분의 과열의 경우, 핫스폿이 검출되지 않아 히터 와이어의 파괴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된 가열 요소의 AC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는,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AC 전력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스위칭 상태, 예컨대 양쪽 반파 온, 양 또는 음의 반파 오프, 및 양쪽 반파 오프 상태를 갖는 차단 수단과, 가열 요소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 및/또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차단 수단의 스위칭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가열 요소의 정상 작동 중에, 전체 AC 전력, 예컨대 양쪽 반파 온이 가열 요소에 공급되어 가열 요소를 가열시킨다. 가열 요소가 특정한 온도 레벨에 도달하거나 가열 요소에 핫스폿이 발생하면, 양 또는 음의 반파를 스위치 오프시킴으로써 전력 공급이 감소된다. 공급된 전력이 감소되어 가열 요소가 냉각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 요소의 절곡에 의해 유발되는 심한 과열로 인해 전력의 추가 감소가 필요하면, 차단 수단이 양쪽 반파를 스위치 오프시켜 가열 요소를 완벽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차단 수단은 상이한 스위칭 상태를 실현하도록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기계적 스위치, 전자 기계적 스위치 및/또는 그러한 스위치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는 소정 길이의 시간(T1) 동안, 및/또는 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 중의 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한, AC 전력의 모든 양 및/또는 음의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에서 차단 수단을 양쪽 반파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제어 수단이 가열 요소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트리거 장치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로 또는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는, 접속된 가열 요소의 AC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다른 실시예는, 모든 양 및/또는 음의 반파에서 가열 요소의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온도에 따라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는 작동 회로와 스위칭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 회로는 전력이 인가될 때에 가열 요소의 온도에 따라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작동 회로는 또한 온도와 관련된 가열 요소의 전기 특성, 예컨대 그 전압 강하, 전류 또는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가열 요소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스위칭 요소는 소정 길이의 시간(T1) 동안, 및/또는 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 중의 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한, 작동 회로와 가열 요소 간에 접속을 제공한다. 이 접속은 가열 요소의 온도를 측정 또는 결정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이 접속은 영구적인 물성이 아니라 특정한 시간 동안에 규칙적으로 스위칭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이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T1), 바람직하게는 AC 주기의 부분이거나, 특정한 예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AC 입력 전압의 기간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시간(T1)의 시작 지점은 바람직하게는 AC 전력의 각 양 및/또는 음의 제로 크로싱이다. 시간(T1)의 길이는 AC 주기의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이다. 예정된 임계값은 AC 라인 전압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5%이다. 임계 전압 및/또는 시간(T1)에 대해 다른 값이 가능하다.
가열 요소 온도의 결정 규칙성은 모든 AC 주기에서 적어도 한번이고, 바람직하게는 AC 입력 전압의 제로 크로싱에서 시작한다.
가열 요소의 온도에 따라, 작동 회로는 측정 후에 AC 전력의 양 및/또는 음의 반파의 나머지 부분 동안에 전력 공급을 중지시킨다.
가열 요소의 과열의 경우에,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은 온도 측정 후에 바로 중지된다. 측정이 AC 전력의 각 주기에서 적어도 한번 수행되기 때문에, 전력은, 예컨대 단하나의 반파가 절단될 필요가 있는 약간의 과열의 경우에 반파를 절단함으로써 연속해서 감소될 수 있지만, 보다 높은 온도의 경우, 온도를 안전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보다 많은 및/또는 연속적인 반파가 절단될 필요가 있다.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는 듀티 사이클의 기간, 예컨대 온타임에 고정된 전력 모드와 오프타임에 가변적인 완화 모드를 설정하는 사이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모드 중에,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요소의 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완화 모드 중에,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지되고, 가열 요소가 냉각된다. 완화 모드의 기간은 8s, 19s 및 38s의 완화 모드의 기간에 대응하여 "높음", "중간" 및 "낮음" 간에 변할 수 있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좌우된다. 전력 모드의 기간은 10s로 고정된다. 다른 값이 가능하다. 보다 많은 및/또는 상이한 사용자 세팅 및 완화 모드 기간이 가능하다.
가열 요소의 심한 과열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완화 모드는 무효로 될 수 있고 장시간 주기, 예컨대 사용자 세팅 "높음"에서 37s로 증가될 수 있다. 이 특징은 국부적 핫스폿을 기초로 한 과열로 인한 가열 요소의 파괴를 방지한다.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는 미리 설정한 시간 후에, 예컨대 10 시간 후에 가열 요소로부터 AC 전력을 턴오프하는 타이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타이머 모듈은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장시간 사용의 경우에 작동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턴오프하는 것을 잊은 경우에 가열 요소 및 그 주변에 대한 위험한 손상 우려를 감소시킨다.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에는 열 퓨즈 형태의 추가적인 안전 특징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열 퓨즈는 단락의 경우에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를 AC 전력 공급으로부터 분리시켜 화재 위험 또는 전기 쇼크의 우려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은, 가열 요소의 온도가 AC 전력의 모든 양 및/또는 음의 반파에서 결정되고,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은 상기 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열 요소의 온도는 모든 양 및/또는 음의 반파의 시작 부분에서 결정될 수 있다.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은,
a)모든 양 및/또는 음의 반파의 시작 부분에서 가열 요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b)상기 온도에 따라 나머지 반파에 필요한 전력 세팅을 평가하는 단계와,
c)상기 온도 및/또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로 또는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가열 요소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작동 회로와 가열 요소 사이에 접속이 제공되고,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은 상기 온도에 따라 작동 회로에 의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 회로와 가열 요소 간의 접속은 T0에서 시작하는 소정 길이의 시간(T1) 동안, 및/또는 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가 주어진 임계값 미만인 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T1)의 길이는 AC 전력 주기의 부분으로서,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이다. 시간 기간(T1)의 시작점(T0)은 바람직하게는 AC 전력의 각 양 및/또는 음의 제로 크로싱이다. 측정이 임계값에 의해 제어되면, 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의 임계값은 AC 라인 전압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5%이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이 각 AC 주기 동안에 수행되는 것을 보장한다. 시간 T0, T1 및 임계 전압에 대하여 다른 값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은 각 측정 후에 AC 전력의 주기의 나머지 부분의 양 및/또는 음의 반파를 가능하게 또는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가열 요소는,
a)가열 요소의 온도에 따라 가열 요소에 적어도 부분 전력이 인가되는 소정 길이의 전력 모드와,
b)전력 공급이 턴오프되는 가변적인 길이의 완화 모드
를 포함하는 상이한 듀티 사이클에서 작동된다.
전력 모드의 기간은, 예컨대 10s로 고정되지만, 완화 모드의 길이는 8s, 19s 및 38s의 완화 모드의 기간에 대응하여 "높음", "중간" 및 "낮음" 간에 변할 수 있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좌우된다. 보다 많은 및/또는 상이한 사용자 세팅 및 완화 모드 기간이 가능하다.
가열 요소의 심한 과열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완화 모드가 무효로 될 수 있고 사용자 세팅 "높음"에서 장시간 주기로, 예컨대 37s로 증가될 수 있다. 이 특징은 국부적 핫스폿을 기초로 한 과열로 인한 가열 요소의 파괴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기의 빠른 모드" 가열에서 가열 요소의 작동을 포함한다. 이 "초기의 빠른 모드" 가열 중에, 가열 요소의 온도 결정이 수행되고, 및/또는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수단 또는 정상적인 전력 모드 작동과 유사한 작동 회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는 가열 요소가 완전히 냉각된 후에, 예컨대 보관 후에 처음 사용될 때에 사용자가 정한 온도 세팅까지 빠른 가열을 허용한다. 이 "초기의 빠른 모드" 가열을 위한 기간은 1 내지 5 분, 바람직하게는 2 분이다. 다른 세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이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바람직하게는 10 시간 후에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가열 요소는 부온도 계수(NTC) 특성을 갖는 층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 와이어와, NTC 층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히터 와이어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의 코어 와이어는 0.5 Ω/m 내지 1.0 Ω/m, 바람직하게는 0.86 Ω/m의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코어 와이어는 특히 다수의 틴셀 와이어 리본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코어 와이어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표준 와이어일 수 있다. 코어 와이어는 최적의 가요성 특성을 얻도록 꼬일 수 있다. 가열 요소는 기본 재료로서 PVC를 이용하는 표준 UL AWM 스타일의 #11019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재료 및 와이어 구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가열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가열 요소의 NTC 층의 저항 대 온도 다이어그램.
도 3은 다양한 온도 세팅에 따른 듀티 사이클의 도면.
도 4는 자체 가열 중에 듀티 사이클의 도면.
도 5는 심한 과열의 경우에 자체 가열 중의 듀티 사이클의 도면.
도 6은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간략한 블록도.
도 7은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다른 간략한 블록도.
도 8은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가열 요소(21)가 도시되어 있다. 요소는 중앙 코어 와이어(22)와, 코어 와이어(22)를 둘러싸는 제1 절연층(24)과, 히터 와이어(23)와, 가열 요소(21)를 피복하는 제2 절연층(25)으로 이루어진다. 코어 와이어(22)는 0.86 Ω/m의 낮은 저항률을 보이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내에 얽힌 표준적인 다수의 틴셀(tinsel) 와이어 리본이다. 틴셀 와이어의 개수는 4개이다. 제1 절연층(24)은 부온도 계수(NTC) 특성을 보이는 도핑된 PVC로 제조된다. 상이한 도판트를 갖는 다양한 기본 재료가 가능하다. 제1 절연층의 두께는 0.30 mm이고, 내부 절연의 직경은 1.06 mm이다. 히터 와이어(23)는 제1 절연층(24)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데, 피치는 히터 와이어(23)가 가열 요소(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원하는 저항을 보이도록 선택된다. 도시된 예에서, 히터 와이어는 인치당 15회의 피치를 보이는데, 그 결과 가열 요소(21)의 히터 와이어(23)의 저항은 54.5 Ω/m이다. 제2 또는 외부 절연층(25)은 0.52 mm의 두께를 갖는 PVC로 제조되고, 그 결과 가열 요소의 전체 직경은 2.10 mm이다. 가열 요소는 기본 재료로서 PVC를 이용하는 표준 UL AWM 스타일의 #11019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재료 뿐만 아니라 다른 치수 및/또는 구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열 요소(1)의 그러한 구성을 이용하고 코어 와이어(22)와 히터 와이어(23)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와이어(22)가 히터 와이어(23)를 통한 전류의 복귀 경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가열 요소의 전자기장은 매우 낮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요소의 NTC 층의 저항 대 온도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실선은 길이가 30 mm인 통상적인 가열 요소의 NTC 저항을 나타내는데, 전체 가열 요소는 동일한 온도에 있다. 점선은 상승된 온도에 있는 가열 요소의 0.5 m의 NTC 저항을 나타낸다. 국부적 핫스폿의 경우에, 0.5 m의 가열 요소는 블랭키드(blanked)의 절곡 및 묶음에 의해 유발되는 과열로 인해 약 140℃에 있고, NTC의 전체 저항은 상승된 온도에서 0.5 m의 NTC 저항과 정상 온도에서 NTC의 30 m 또는 29.5 m의 병렬 회로로서 계산될 것이다. 가열 요소의 평균 온도보다 높은 국부적 핫스폿 온도는 전체 저항에 대해 우세한 주요 원인이 된다.
예컨대, NTC의 저항은 가열 요소의 전체 길이가 50℃의 온도에 있을 때에 약 85 kΩ이다. 비정상 사용으로부터 유발된 국부적 핫스폿이 발생할 때에, 대략 0.5 m의 가열 요소의 온도가 140℃까지 증가하고, 이 국부적 핫스폿의 임피던스가 25 kΩ가 되어 전체 저항이 19.3 kΩ이 된다.
최대 가열 세팅의 경우, 도 3에 따른 "높음"을 세팅하면, 가열 요소의 온도는 55℃와 같이 보다 높아서는 않되며, 그 결과 NTC의 저항이 약 30 kΩ가 된다. 상기 소정의 예의 19.3 kΩ의 낮은 저항은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 회로는 전력을 감소시켜 가열 요소가 핫스폿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온도 세팅 "낮음", "중간" 및 "초기의 빠른 모드"에 대한 통상적인 듀티 사이클을 도시한다. 각 듀티 사이클은 일반적으로 전력 모드로 이루어지고, 이 모드에서 전력이 가열 요소에 인가되어 히터 와이어가 가열 요소를 가열시키는 저항으로 작용하며, 다음에 완화 모드가 이어지고, 이 모드에서는 냉각시키도록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각각의 3개의 가능한 온도 세팅, 즉 "낮음", "중간" 및 "높음"의 경우, 전력 모드는 정확하게 10s 지속되지만, 완화 모드의 기간은 "낮음"에서 38s, "중간"에서 19s 및 "높음"에서 8s 간에 변한다.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가 완벽한 냉각 후에 각각의 오랜 미사용 시간 후에 제1 시간 동안 스위치 온될 때에,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는 빠른 가열을 위해 초기의 2분 동안 "초기의 빠른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시킨다. 이 "초기의 빠른 모드" 중에, 전력은 완화 모드 없이 영구적으로 턴온된다. 2분이 경과한 후에,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온도 세팅으로 설정된다.
온도 세팅 "높음" 동안 통상적인 듀티 사이클을 갖는 핫스폿의 경우에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자체 가열 특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60℃ 미만의 온도의 경우, 각각의 정상 작동 중에, 듀티 사이클은 도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10s의 전력 모드 후에 8s의 완화 모드가 이어진다. 가열 요소의 일부의 온도가 60℃를 초과하여 증가되면, 예컨대 핫스폿이 생성되고, 이어서 전력 모드의 양의 반파가 절단된다. 제거된 반파의 개수는 각각 핫스폿의 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핫스폿의 온도가 높을 수록 또는 핫스폿에서 NTC의 저항이 낮을 수록,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에 의해 보다 많은 반파가 절단된다. 주어진 예에서, 60℃ 내지 80℃의 온도의 경우, 모두 4개의 양의 반파가 절단된다. 온도가 80℃ 내지 100℃인 경우, 모든 제2 반파가 사라지지만, 100℃ 내지 120℃의 온도의 경우, 4개의 반파 중 3개가 절단된다. 온도가 120℃를 초과하는 경우, 모든 양의 반파가 봉쇄된다. 도시된 듀티 사이클은 단지 일례이고, 절단되는 반파의 온도 및 개수는 변할 수 있다. 양의 반파를 절단하는지의 여부는 각 양의 반파의 시작시에 결정된다.
사용자가 "높음"을 세팅하는 경우, 150℃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심한 과열의 경우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약 140℃까지의 온도에서, 전력은 보다 많은 양의 반파를,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각 반파를 절단함으로써 감소된다. 온도가 전술한 전력 감소에 의해 감소될 수 없어 150℃ 이상에 도달하면, 듀티 사이클의 완화 모드는 추가로 8s에서 37s로 증가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가열 요소에 공급된 평균 전력을 감소시키고 추가 냉각을 허용한다.
도 6에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의 간략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는 작동 회로(35), 스위칭 요소(36), 사이클 유닛(37) 및 타이머 모듈(33)을 포함한다. 작동 회로(35)는 가열 요소(21)의 온도에 따라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작동 회로(35)는 또한 가열 요소(21)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온도는 온도에 관한 가열 요소(21)의 임의의 전기 특성, 예컨대 그 전압 강하, 전류 또는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가열 요소(21)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작동 회로(35)는 가열 요소(21)에 대한 접속을 필요로 하고, 이는 스위칭 요소(36)에 의해 달성된다. 이 접속은 영구적인 접속이 아니라 단지 특정한 시간 동안에만 허용된다. 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AC 입력 전력의 각각의 양 및/또는 음의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에서 시작하도록 설정되고 그 기간은 단지 AC 전력의 주기의 부분이다. 이 AC 전력 주기의 부분은 AC 주기의 10% 미만, 바람직하게 0%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이다. 가열 요소(21)의 온도는 적어도 일단 모든 AC 주기에서 측정된다.
가열 요소(21)의 온도에 따라, 작동 회로(35)는 가열 요소(21)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측정 후에 AC 전력의 양 및/또는 음의 반파의 나머지 부분 동안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지시킨다.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는 기본적으로 작동 회로(35)와 히터 와이어(21)가 듀티 사이클에서 작동되게 하는 사이클 유닛(37)을 더 포함한다. 각 듀티 사이클은 전력 모드와 완화 모드로 이루어진다. 전력 모드 중에, AC 전력은 가열 요소(21)로 인가되고 가열 요소(21)의 온도는 AC 주기당 적어도 한번 작동 회로(35)에 의해 제어된다. 전력 모드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일정하고 10s가 되도록 설정되지만, 또한 상이하게 및/또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완화 모드의 기간은 각각 8s, 19s 및 38s의 완화 모드의 기간에 대응하게 "높음", "중간" 및 "낮음" 간에 변할 수 있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좌우된다. 보다 많고 상이한 사용자 세팅 및 완화 모드 기간이 가능하다. 가열 요소(21)의 심한 과열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완화 모드는 가열 요소(21)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효로 될 수 있다.
타이머 모듈(33)은 추가적인 안전 특징으로서, 10시간의 연속적인 사용 후에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을 턴오프시킨다.
도 7에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의 다른 간략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히터 와이어(1)는 차단 수단(31)과 제어 수단(32)으로 이루어진다. 차단 수단(31)은 AC 파워의 양 및 음의 반파를 패스하게 함으로써, 오직 양 또는 음의 반파만을 패스하게 함으로써, 또는 양쪽 어느 반파도 패스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접속된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종할 수 있다. AC 사이클의 작은 부분 동안에 일단 모든 전력 사이클에서, 가열 요소(21)의 저항이 제어 수단(32)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된 값에 따라, 제어 수단(32)은 스위칭 상태가 나머지 AC 사이클 동안에 적절한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차단 수단(31)을 설정한다. 가열 요소 저항의 정확한 측정 타이밍은 트리거 장치(34)에 의해 결정된다. 주어진 예에서, 측정을 위한 AC 사이클 부분은 250 ㎲보다 길지 않고, 측정은 AC 사이클의 양의 제로 크로싱에서 정확하게 트리거된다. 트리거 장치(34)는 전술한 250 ㎲ 동안에 반파가 가열 요소(21)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차단 수단(31)을 설정하고 측정은 제어 수단(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작동 시간 후에, 타이머 모듈(33)은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파가 가열 요소(21)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차단 수단(31)을 영구적으로 설정한다. 이 미리 설정한 시간은 10 시간으로 설정되고, 다른 값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블랭킷의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작동 중에, 비교기(U1A; 13)는 AC 라인의 양의 반파의 상승 기울기가 전압 분할기(R9, R10)에 의해 한정된 것과 동일한 전압에 도달하자마자 "높은 레벨"을 출력한다. 비교기(U1A: 13)의 출력에서 "높은 레벨" 신호는 이어서 트라이액(T2; 15)을 스위치온시킨다. AC 라인 전력의 양의 반파가 전압 분할기(R9, R10)의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으로 인해, 트라이액(T2; 15)은 특정한 딜레이를 두고 스위치온된다. 주어진 예에서 이 딜레이 타이밍은 250 ㎲이고, 다른 값이 가능하다. 트라이액(T2; 15)은 AC 라인 전력의 각 양의 제로 크로싱 후에 정해진 딜레이 시간 다음에 턴온된다. 트라이액(T2; 15)이 여전히 턴오프된 처음 250 ㎲ 내에, 반파 회로(5)는 시라이스터(T1; 14)를 턴온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가열 요소(21)의 정상 작동 중에, 예컨대 전체 NTC 절연층(24)의 온도가 60℃ 미만인 동안에, NTC 절연층(24)을 통한 누출 전류는 비교적 작다. 비교기(U1B; 8)의 음의 입력에서의 전압 신호는 전압 분할기(R3, R4)로부터 나오는 양의 입력에서의 신호보다 작게 된다. 이에 따라, 비교기(U1B; 8)의 출력이 "높은 레벨"이 되어 시라이스터(T1; 14)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턴온된다. 따라서, 나머지 반파는 시라이스터(T1; 14)를 통과하게 된다.
가열 요소의 정상 작동 중에, 회로는 전력 모드와 완화 모드를 번갈아 한다. 파워 모드의 기간은 캐패시터(C6; 17)의 충전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캐패시터(C7; 17)의 전압 신호에 인가되는 캐패시터(C7; 17)의 전압 신호가 캐패시터(U1C; 12)의 양의 입력의 기준 전압 미만인 한, 비교기 출력은 "높은 레벨"이다. 주어진 예에서 캐패시터를 충전하는 시간은 10s 이지만 또한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캐패시터(C7; 17)가 충전되고 비교기(U1C; 12)의 음의 입력에서의 전압 신호가 그 양의 입력에서의 기준 전압 신호보다 높자마자, 비교(U1C; 12)는 "낮은 레벨"을 출력하고, 그 게이트의 전압을 "낮은 레벨"로 강요함으로써 트라이액(T2; 15)과 시라이스터(T1; 14)를 턴오프시킨다. 이는 완화 모드를 시작하게 한다. 완화 모드의 기간은 다이오드(19)와 레지스터(20a, 20b)와 가변 레지스터(VR1; 11)를통한 캐패시터(C7; 17)의 방전에 의해 결정된다. 캐패시터(C7; 17)의 전압이 비교기(U1C; 12)의 양의 입력에서의 기준 전압 신호 미만이자마자, 그 출력은 "높은 레벨"로 다시 변하고, 이는 트라이액(T2; 15)이 스위치온되게 함으로써 전력 모드를 가능하게 한다. 가변 레지스터(VR1; 11)의 세팅 "낮음", "중간" 또는 "높음", 또는 사용자의 세팅에 따라, 완화 모드의 기간은 주어진 예에서 38s, 19s 또는 8s이다. 상이한 세팅이 가능하다.
오용, 예컨대 블랭킷의 절곡 또는 묶음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열 요소(21)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과열인 경우, NTC 절연층(24)의 저항은 보다 낮게, 예컨대 상기 19.3 kΩ이 된다. NTC 층(24)을 통한 누출 전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비교기(U1B; 8)의 음의 입력에서 양의 신호를 생성한다. 이 입력 신호가 전압 분할기(R3, R4)로부터 나오는 양의 입력에서의 신호보다 크게 되면, 비교기(U1B; 8)는 "낮은 레벨"을 출력하고, 이는 시라이스터(T1; 14)를 턴오프시킨다. 시라이스터(T1; 14)가 턴오프된 경우, 양의 반파가 패스하지 못하게 된다.
트라이액(T2; 15)은 모든 양의 반파의 시작시에 250 ㎲의 딜레이 시간 후에만 턴온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비교 또는 측정은 모든 양의 반파에서 수행된다.
핫스폿이 연속적으로 악화되고 온도가 150℃를 초과하여 증가하는 경우, 완화 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되게 된다. 전술한 19.3 kΩ보다 훨씬 낮은 NTC 절연층(24)의 저항에 의해 유발되면, 완화 모드 회로(6)는 비교기(U1D; 10)의 양의 입력 핀에서 음의 입력 핀에서보다 높은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비교기(U1D; 10)는 캐패시터(C7; 17)를 Vcc로 충전하도록 "높은 레벨"을 출력한다. 캐패시터(C7; 17)가 아직 방전되지 않는 한, 비교기(U1C; 12)는 트라이액(T2; 15)과 시라이스터(T1; 14)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낮은 레벨"을 출력한다. 사용자 세팅 "높음" 동안에 캐패시터(C7; 17)의 방전 시간은 약 37s이지만, 또한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세팅 "중간" 동안의 방전 시간은 약 43.2s이다. 핫스폿이 사용자 세팅 "낮음"에서 생성될 기회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이 경우의 방전은 약 52.8s이다.
가열 요소(21)의 완벽한 고장, 예컨대 코어와 히터 와이어 간의 단락의 경우에, 레지스터(R1, R2)는 양의 반파의 처음 250 ㎲ 동안에 가열되고, 열 퓨즈(7)가 연소되어 라인 전력 공급을 완벽하게 붕괴시킨다. 도 3의 회로도에서, 열 퓨즈(7)는 레지스터(R1, R2)로부터 떨어져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열 퓨즈(7)는 레지스터(R1, R2)와 매우 가깝거나 그 중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과 직접적으로 열 접촉한다.
제1 시간 동안 회로를 작동시킬 때에 또는 장시간 동안 보관한 후에, 캐패시터(C7; 17)는 완전히 방전된다. 따라서, 비교기(UC1; 12)의 음의 입력의 전압이 양의 입력에 인가되는 것보다 높은 값에 도달하는 데에 각각의 제1 충전 동안 필요한 전력 모드 시간은 정상 작동 중에 사용된 시간보다 길게 된다. 이 장시간은 "초기의 빠른 모드"가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주어진 예에서 대략 2분이다. 이 "초기의 빠른 모드"가 보통의 전력 모드보다 길게 지속되지만, 기능은 정확하게 동일하다. 각각의 양의 제로 크로싱에서 측정이 수행되고, 양의 반파를 허용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 작동 모드는 캐패시터(C7; 17)의 완벽한 방전 후에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제1 턴온에서만 유용하다. "초기의 빠른 모드"의 유용성에 대한 다른 변경은, 예컨대 가열 요소(21)가 완벽하게 냉각된 경우에 또한 가능하다.
타이머(IC; 16)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를 스위치온하고 지난 시간을 측정한다. 예컨대, 10 시간의 미리 설정한 시간 후에, 타이머(IC; 16)는 그 출력 핀(18)에 대해 "낮은 레벨"을 출력하고, 이는 다시 시라이스터(T1; 14)와 트라이액(T2; 15)을 턴오프시키는 비교기(U1C; 12)의 출력을 끌어내린다. 시라이스터(T1; 14)와 트라이액(T2; 15)이 모두 스위치 오프된 경우, 가열 요소(21)에서 전력이 소비될 수 없다. 이 자동적인 전력 오프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불필요한 전기 소비를 피하는 추가적인 안전 특징이다.

Claims (21)

  1. 접속된 가열 요소(21)의 AC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로서,
    a)가열 요소(21)에 공급되는 AC 전력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스위칭 상태, 즉 i)양쪽 반파 온, ii)양 또는 음의 반파 오프, iii)양쪽 반파 오프 상태를 갖는 차단 수단(31)과,
    b)가열 요소(21)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 및/또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차단 수단(31)의 스위칭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32)과,
    c)i) 소정 길이의 시간(T1) 동안, 및/또는 ii)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한, AC 전력의 모든 양 및/또는 음의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에서 차단 수단(31)을 "양쪽 반파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제어 수단(32)이 가열 요소(21)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트리거 장치(34)
    를 구비하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2. 접속된 가열 요소(21)의 AC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로서, 모든 양 및/또는 음의 반파에서 가열 요소(21)의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온도에 따라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은,
    a)전력이 인가될 때에 가열 요소(21)의 온도에 따라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는 작동 회로(35)와,
    b)i) 소정 길이의 시간(T1) 동안, 및/또는 ii)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한, 전력이 인가될 때에 작동 회로(35)와 가열 요소(21) 간에 접속을 제공하는 스위칭 요소(36)
    를 구비하는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T1의 시작은 AC 전력의 각 양 및/또는 음의 제로 크로싱인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T1)의 길이는 AC 전력 주기의 부분으로서,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인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AC 라인 전압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5%인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회로(35)는 AC 전력의 양 및/또는 음의 반파의 나머지 부분 동안에 전력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듀티 사이클의 기간, 예컨대 온타임에 고정된 전력 모드와 오프타임에 가변적인 완화 모드를 설정하는 사이클 유닛(37)을 더 포함하는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한 시간 후에, 바람직하게는 10 시간 후에 가열 요소(21)로부터 AC 전력을 턴오프하는 타이머 모듈(33)을 더 포함하는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락의 경우에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1)를 AC 전력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열 퓨즈(7)를 더 포함하는 것인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10. 가열 요소(21)의 작동 방법으로서, 가열 요소(21)의 온도는 모든 양 및/또는 음의 반파의 시작 부분에서 결정되고,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상기 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a)모든 양 및/또는 음의 반파의 시작 부분에서 가열 요소(21)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b)상기 온도에 따라 나머지 반파에 필요한 전력 세팅을 평가하는 단계와,
    c)상기 온도 및/또는 사용자 세팅에 따라 가열 요소(21)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2. 가열 요소(2)의 작동 방법으로서, a)T0에서 시작하는 소정 길이의 시간(T1) 동안, 및/또는 b)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한, 가열 요소(21)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작동 회로(35)와 가열 요소 사이에 접속이 제공되고,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상기 온도에 따라 작동 회로(35)에 의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시간(T1)의 길이는 AC 전력 주기의 부분으로서,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T0)은 AC 전력의 각 양 및/또는 음의 제로 크로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 전압의 상승 기울기의 임계값은 AC 라인 전압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회로(35)는 AC 전력 주기의 나머지 부분의 양 및/또는 음의 반파를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a)가열 요소(21)의 온도에 따라 가열 요소(21)에 적어도 부분 전력이 인가되는 소정 길이의 전력 모드와,
    b)전력 공급이 턴오프되는 가변적인 길이의 완화 모드
    를 포함하는 상이한 듀티 사이클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모드의 길이는 사용자 세팅 및/또는 가열 요소(21)의 온도에 따라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기의 빠른 모드" 가열이 가능하고, 그 동안에,
    a)가열 요소(21)의 온도 결정이 일어나고, 및/또는
    b)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수단(31) 또는 작동 회로(35)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초기의 빠른 모드" 가열을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은 1 내지 5 분, 바람직하게는 2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21.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요소(21)에 대한 전력 공급은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바람직하게는 10 시간 후에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KR1020117003741A 2008-07-17 2009-07-10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및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KR20110031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04776.3 2008-07-17
EP08104776A EP2146546A1 (en) 2008-07-17 2008-07-17 Heater wire control circuit and method to operate a heating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982A true KR20110031982A (ko) 2011-03-29

Family

ID=4001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741A KR20110031982A (ko) 2008-07-17 2009-07-10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및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84520A1 (ko)
EP (2) EP2515607A3 (ko)
JP (1) JP2011528163A (ko)
KR (1) KR20110031982A (ko)
CN (2) CN102160453B (ko)
RU (1) RU2491795C2 (ko)
WO (1) WO2010007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793B2 (en) 2005-07-19 2019-04-02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10512282B2 (en) 2014-12-05 2019-12-24 Juul Labs, Inc. Calibrated dose control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FR3015348B1 (fr) * 2013-12-23 2016-08-05 Michelin & Cie Procede de rechapage d'un pneumatique par effet joule
PT3508080T (pt) 2013-12-23 2021-03-02 Juul Labs Int Inc Sistemas e métodos de dispositivo de vaporização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CA160775S (en) 2014-08-11 2015-09-29 Ploom Inc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with cartridge
US9881715B2 (en) * 2014-08-21 2018-01-30 Trent Jason Pederson Heated extension cord
CN105717812B (zh) * 2016-01-25 2019-03-2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烟的智能化控制方法、控制系统及电子烟
MX2018009703A (es) 2016-02-11 2019-07-08 Juul Labs Inc Cartuchos de fijacion segura para dispositivos vaporizadores.
ITUA20162518A1 (it) * 2016-04-12 2017-10-12 Redox S R L Dispositivo riscaldante istantaneo per solidi, liquidi, gas e vapori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ES2927247T3 (es) 2018-01-17 2022-11-03 Vorwerk Co Interholding Procedimiento para hacer funcionar un elemento calentador
JP7079480B2 (ja) * 2018-05-28 2022-06-02 株式会社松井製作所 金型温度制御装置及び金型温度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5066C3 (de) * 1971-07-14 1975-02-2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Elektronische Regeleinrichtung für Absorber-Kühlgeräte
JPS5313089A (en) * 1976-07-21 1978-02-06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T emperature control system
SU921120A1 (ru) * 1980-07-09 1982-04-15 Челябин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Ленинского Комсомол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мощности электропечи
JPS57106911A (en) * 1980-12-23 1982-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mperature controller
AU546538B2 (en) * 1981-06-30 1985-09-05 Isuzu Motors Ltd. Voltage control device for glow plug
JPS58136072A (ja) * 1982-02-08 1983-08-12 Hitachi Ltd 複写機の定着装置
SU1248082A1 (ru) * 1984-10-30 1986-07-30 Чуваш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И.Н.Ульянова Резистивна нагревательна установка
JPS63205085A (ja) * 1987-02-20 1988-08-24 株式会社東芝 温度制御装置
DE3718809A1 (de) * 1987-06-05 1988-12-15 Memmert Gmbh & Co Kg Waerme Me Verfahren zur temperaturregelung und temperaturregelschaltung
US5043560A (en) * 1989-09-29 1991-08-27 Masreliez C Johan Temperature control of a heated probe
JPH0554957A (ja) * 1991-08-27 1993-03-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感熱発熱体の温度制御装置
RU2051473C1 (ru) * 1992-11-24 1995-12-27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оператив "Элав"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не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ояния электроутюга
WO1995006203A1 (en) * 1993-08-25 1995-03-02 Ford Motor Company Limited Operation of electrical heating elements
JPH0771775A (ja) * 1993-08-31 1995-03-17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装置
GB2283583B (en) * 1993-10-15 1998-06-24 Seiko Epson Corp Temperature control in a fix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177179B2 (ja) * 1997-01-10 2001-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ヒータの制御方法
DE19701958C2 (de) * 1997-01-22 2003-10-30 Valeo Schalter & Sensoren Gmbh Mit höherer Frequenz betriebene Leistungsstufe für eine Sitzheizungsschaltung
US5861610A (en) 1997-03-21 1999-01-19 Micro Weiss Electronics Heater wire with integral sensor wire and improved controller for same
GB9725836D0 (en) * 1997-12-05 1998-02-04 Winterwarm Birmingham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heating blankets and the like
JP3376279B2 (ja) * 1998-06-03 2003-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3746913B2 (ja) * 1999-05-12 2006-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定着装置の温度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US6222162B1 (en) 1999-06-03 2001-04-24 Barry P. Keane Electric blanket and control
ES2316400T3 (es) * 1999-12-22 2009-04-16 Basf Plant Science Gmbh Proteinas de proteina quinasa relacionadas con el estres y metodos de uso en plantas.
US6355912B2 (en) * 2000-01-13 2002-03-12 Sunbeam Products, Inc. Safety circuit for heating devices using PTC wire
JP3536286B2 (ja) * 2000-11-28 2004-06-07 株式会社メカ・エンジ 電気床暖房装置
US6727475B2 (en) * 2001-07-27 2004-04-27 Eastman Kodak Company Heating control system which minimizes AC power line voltage fluctuations
JP2003123941A (ja) * 2001-10-11 2003-04-25 Canon Inc ヒータ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87375A (ja) * 2002-08-28 2004-03-18 Daikyo Denshi Densen Kk 電熱線制御装置
DE10360553A1 (de) * 2003-12-22 2005-07-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romsensor zur Überwachung vor Überhitzung von Heizelementen
JP4630576B2 (ja) * 2004-06-03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
EP1834506B1 (en) * 2005-01-03 2012-08-01 Jong-Jin Kil Temperature controller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heating wire thereof
KR100738310B1 (ko) * 2006-06-28 2007-07-12 윤정수 전열매트 온도제어기
US20080029502A1 (en) * 2006-08-04 2008-02-07 You Han S Electromagnetic-field-shielded heating wire used in bedding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CN100511072C (zh) * 2006-12-01 2009-07-08 张闫松 自动取款机加热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84520A1 (en) 2011-11-24
RU2491795C2 (ru) 2013-08-27
CN102160453A (zh) 2011-08-17
RU2011105824A (ru) 2012-08-27
EP2146546A1 (en) 2010-01-20
EP2515607A2 (en) 2012-10-24
WO2010007009A1 (en) 2010-01-21
JP2011528163A (ja) 2011-11-10
CN103687095A (zh) 2014-03-26
EP2515607A3 (en) 2013-04-24
CN102160453B (zh)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982A (ko) 히터 와이어 제어 회로 및 가열 요소의 작동 방법
ES2202759T3 (es) Panel flexible de calentamiento y unidad de control.
RU2357362C2 (ru) Регуля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овод
EP0873043A1 (en) Heater wire with integral sensor wire and improved controller for same
US9844098B2 (en) Pliable heating device
KR100586120B1 (ko) 전기담요용 가열소자
JP3023332B2 (ja) 電気加熱装置の安全回路
JP5053324B2 (ja) 電気的加熱パッド装置
MXPA97003836A (en) Electric device security circuit
US4205223A (en) Heating circuits for detection of localized overheating
WO2009064057A1 (en) Three-wire temperature detection and control circuit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US8173938B2 (en) Controller for a heating cable
KR100942909B1 (ko) 무자계 발열선의 전자파 차단 온도조절기
US20050109752A1 (en) Heating device with flexible heating body
JP2007531203A (ja) ヒーティング・ブランケット
WO2007086625A1 (en) Safety magnetic field-free temperature controller
JP4943134B2 (ja) 電気式床暖房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電気式床暖房装置
EP2661150B1 (en) Heat blanket at high density power
CN103179697A (zh) 可防止发热线过热的发热结构及方法
KR20180087195A (ko) 전기장판 또는 전기매트용 정온도 계수 발열선
JP3863407B2 (ja) 水槽等の加熱装置
RU108259U1 (ru) Электрогрелка
KR100886978B1 (ko) 무자계 위상제어방식 온도조절기
JP2012132904A (ja) 温度検知装置及び給湯器用保安装置
KR20020093522A (ko) 온도 감응형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