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541A -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541A
KR20110030541A KR1020117000323A KR20117000323A KR20110030541A KR 20110030541 A KR20110030541 A KR 20110030541A KR 1020117000323 A KR1020117000323 A KR 1020117000323A KR 20117000323 A KR20117000323 A KR 20117000323A KR 20110030541 A KR20110030541 A KR 2011003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ask
frit
las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첼 엔 파스텔
브라이언 피. 스트라인스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03B23/203Uniting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 H10K71/421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using coherent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ann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OLED 장치와 같은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실링하는 레이저용 마스크가 제공된다. 마스크는 불투명하고 투명한 세장형 투과 구역을 구비한다. 투과 구역의 폭은 실질적으로 프릿 벽의 폭과 동일하다. 불투명 마스크 재료의 스트립은 세장형 투과 구역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따라서 대략 뻗어있다. 마스크가 레이저와, 제 1 기판이나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된다. 레이저는 프릿 벽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빔을 방사하고 마스크의 투과 구역을 통해 나아가, 상기 마스크의 불투명부는 레이저빔의 일부를 차단하고 투명한 투과 구역에 의해 상기 레이저빔의 일부가 상기 마스크를 통과할 수 있어 프릿 벽에 영향을 미쳐서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키고, 이에 따라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소자를 기밀 시일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소자와 같은 것을 실링하는 공정과 시스템은 마스크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Description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Mask and Method for Sealing a Glass Envelope}
본 발명은 프릿 시일된 평평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유리 외피부(envelopes)를 실링하는 레이저 마스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OLEDs(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전자발광 장치의 매우 다양한 사용성과 잠재적인 사용성 때문에, 최근 수년 동안에 상당히 주된 연구 대상이었다. 예를 들면, 단일의 OLED가 개별 발광 장치에 사용되거나, 상기 OLED의 어레이가 발광이나 평평한-패널 디스플레이 분야(예를 들면, OLED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OLED 평평한 패널 디스플레이는 특히 매우 경량이고 양호한 칼라 콘트라스트와 광각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OLED 디스플레이와, 특히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전극과 유기층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상기 OLED 디스플레이로 누출되는 산소와 습기의 상호작용으로부터 퇴화되기 쉽다. 환경 민감성 OLED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전극과 유기층이 주변 환경으로부터 기밀되도록 시일된다면, 상기 환경 민감성 OLED 디스플레이의 수명은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불리하게도, 과거에는 OLED 디스플레이를 기밀 시일하는 실링 공정을 개발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OLED 재료가 온도에 민감하고 대략 섭씨 100도 내지 대략 120도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된다면 파손된다는 사실 때문에, 상기 OLED와 같은 환경 민감성 장치를 기밀 시일하는 것은 복잡하였다.
커버 글래스와 기판 글래스 사이에 위치된 온도 민감성 OLED 장치를 시일하는 한 방법은 빛의 특정 파장에서 상당히 흡수되는 재료로 도프(dope)되고 상기 OLED 장치를 둘러싸는 저온의 글래스 프릿의 라인을, 상기 커버 글래스와 상기 기판 글래스 사이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프릿을 예를 들면, 고 파워의 레이저나 여러 방사선원으로 용융시킴으로써 기밀 시일이 OLED 장치 주위에 형성되도록, 상기 프릿을 가열 및 용융시킨다. 프릿 라인이 냉각되어 경화됨에 따라 커버 글래스를 기판 글래스와 연결시키고 기밀 시일을 OLED 장치 주위에 형성한다. 고 파워의 레이저를 사용하면 OLED 장치를 둘러싸는 프릿의 라인이나 벽에 매우 근접한 온도 민감성 OLED 재료를 과열하지 않고도, 프릿의 국부 가열을 빠르게 할 수 있다. 프릿의 라인이나 벽은 전형적으로 그 폭이 대략 0.5mm 내지 1mm이고 두께 즉 높이는 대략 6-100um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 폭이 대략 1.5mm 이상일 수 있다.
가우스(Gaussian) 프로파일을 갖는 레이저빔에 의한 조사를 통해 OLED 장치를 시일하는 프릿이 공지되었다. 레이저빔의 프로파일 때문에, 프릿 라인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발생된 열 분포는 프릿 라인의 중앙에서 피크 온도를 갖는 구배이다. 레이저 실링 동안에 프릿에서의 피크 온도는 대략 600℃ 만큼 고온일 수 있다. 이러한 피크 온도는 프릿과 백플레인 사이에 위치된 재료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예를 들면, 납 재료의 용융, 상기 납 재료와 상기 백플레인의 분리 발생, 또는 백플레인 재료에서의 임의의 다양한 열적으로 유도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상승된 온도에 민감한, OLED와 같은 환경 민감성 장치(예를 들면, 산소, 습기, 또는 주변 환경의 여러 인자에 민감한 장치)를 기밀 실링하는 한편, 프릿 벽 내측에 위치된 장치에 대한 열 손상을 피하고 프릿과 백플레인 사이에 위치한 여러 백플레인 재료에 대한 열 손상을 피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고 양품률(예를 들면, 저 결함 시일률) 레이저 프릿 실링 공정에 대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 마스크를 통과한 레이저빔이 상기 제 1 기판이나 상기 제 2 기판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 상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및 상기 프릿을 가열하고 상기 제 1 기판을 상기 제 2 기판에 시일하기 위하여 상기 벽의 길이를 따라 빔을 가로지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캡슐에 넣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뻗어있는 높이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릿 벽의 폭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빔 프로파일의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빔을 차단하는 불투명 마스크를 제공하는 단계(이 경우, 상기 마스크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세장형 투과 개구를 구비하거나 구역은 상기 레이저빔의 세장형부가 상기 마스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와 폭을 갖는 불투명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투과 개구의 폭은 상기 프릿 벽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은 레이저빔의 세장형부의 중앙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투과 개구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따라서 대략 뻗어있음); 상기 세장형 투과 개구가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를 상기 레이저와 상기 제 1 기판이나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기밀 시일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과열하지 않고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레이저빔의 투과된 부분이 프릿 벽에 영향을 미쳐서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키도록, 레이저빔이 상기 마스크의 상기 투과 개구를 나아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릿 벽은 소자를 둘러싸는 폐쇄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투과 개구는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폐쇄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레이저빔의 투과된 부분이 프릿 벽을 따라서 가로지르도록, (i) 제 1 및 제 2 기판과, (ⅱ) 레이저빔 및 마스크 사이에서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레이저빔의 투과된 부분이 프릿 벽을 따라서 가로지르도록, (i) 제 1 및 제 2 기판 그리고 마스크와, (ⅱ) 상기 레이저빔 사이에서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레이저빔은 대략 10mm/s 이상의 속도나, 대략 30mm/s 이상의 속도에서 프릿 벽을 횡단한다. 레이저빔을 적어도 하나의 이동하는 반사기로부터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은 프릿 벽에 대해 횡단할 수 있다.
프릿 벽의 높이는 10mm와 30mm 사이이다.
마스크는 반사면이나 흡수면을 구비한다.
레이저빔은 프릿 벽 폭의 대략 2배보다 큰 스팟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뻗어있는 높이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실링하는 레이저용 마스크를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인다. 마스크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세장형 투과 개구를 갖는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거나 불투명 재료의 길이와 폭을 갖는 구역을 포함하고(상기 투과 개구의 폭은 프릿 벽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함), 세장형 투과 개구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따라서 대략 뻗어있는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가 상기 프릿 벽의 폭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와,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세장형 투과 개구의 길이를 갖는 제 1 기판이나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빔의 제 1 또는 제 2 기판 차단부 사이의 마스크의 불투명부 및 투명한 투과 개구에 의해, 상기 레이저빔의 일부가 상기 마스크를 통과하고 상기 프릿 벽에 영향을 미쳐서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킴으로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기밀 시일한다.
세장형 및 투과 개구와,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타원형이거나 슬릿 형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높이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된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실링하기 위한 레이저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서 지지되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구비한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상기 프릿 벽의 폭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빔 프로파일을 구비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레이저빔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와 상기 제 1 기판이나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된 불투명 마스크(상기 마스크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세장형 투과 개구를 구비하거나 구역은 상기 레이저빔의 세장형부가 상기 마스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와 폭을 갖는 불투명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투과 개구의 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프릿 벽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이 상기 레이저빔의 상기 세장형부의 중앙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투과 개구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대략 뻗어있고, 상기 마스크가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세장형 투과 개구와 방향이 맞춰진다); 및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마스크의 상기 투과 개구를 통해 나아가도록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이저빔의 투과된 부분이 상기 프릿 벽 상에 영향을 미쳐서,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과열시키지 않고 손상입히지 않으면서,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키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시키고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서 기밀 시일한다.
세장형 및 투과 개구와,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타원형이거나 일반적으로 슬릿 형상이다.
시스템은 테이블과 고정부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과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이동 제어 기구를 포함하여,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가 과열되지 않고 손상되지 않으면서, 레이저의 투과된 부분이 프릿 벽을 가로질러,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켜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상기 소자를 기밀 시일한다.
프릿 벽은 소자를 둘러싸는 폐쇄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투과 개구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폐쇄된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마스크가 프릿 벽과 정렬된 투과 개구를 구비한 테이블에 대해 고정 유지된다.
이동 제어 기구는 고정부를 테이블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테이블을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블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스크는 개구가 프릿 벽과 정렬된 상태에서 레이저에 대해 고정 유지되고, 이동 제어 기구는 고정부를 테이블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블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빔은 마스크를 통과하며 상기 마스크는 슬릿의 중앙을 따르는 불투명 마스크 재료의 스트립으로, 상기 슬릿과 같이 형성된 투명 구역을 포함한다. 마스크는 흡수면이나 반사면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빔이 대략 10mm/s 이상의 속도나, 대략 30mm/s 이상의 속도나 또는 대략 50mm/s 이상의 속도에서 프릿 상을 가로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로지름은 빔을 적어도 하나의 갈바니(galvanic) 미러로부터 반사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여러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부가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이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상세한 설명 내에 포함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를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배치된 프릿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프레임의 형상에 배치된 프릿을 도시한 도 2의 제 1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배치된 전극을 포함하고, 실링 작동 동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레이저빔, 및 마스크의 위치를 나타낸 디스플레이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마스크의 상부 부분과 프릿의 일부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마스크 스트립을 갖는 마스크로 실링할 때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마스크 스트립 없이 마스크로 실링할 때, 프릿 라인을 가로질러 발생된 온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복수의 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링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마스크 스트립과 복수의 투명 구역을 구비한 마스크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레이저빔이 프릿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미러가 사용된, 도 4에서의 시점과 같은 부분 단면도이다.
아래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상기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가 특별히 상세하게 기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에 포함된 여러 실시예로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더욱이, 잘 알려진 장치, 방법 및 재료에 대한 기재는 본 발명의 기재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되었다. 결론적으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링 기술이 기밀 시일된 OLED 디스플레이 제조와 관련하여 아래 기재되었지만, 매우 다양한 용도 및 장치에 대해, 특히 온도 및/또는 주변 환경이나 습기 민감성 장치를 글래스의 2개의 시트 사이에서 실링하기 위하여, 2개의 글래스 플레이트를 서로에 대해 시일하도록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링 기술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와 같이 명백하게 한정하지 않는 한, 한정된 방식으로만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OLED 장치의 실링으로만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도 1을 살펴보면, 상기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시일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부재번호 10으로 지시되며, 제 1 기판(12), 프릿(14), 제 2 기판(16), 적어도 하나의 OLED 소자(18) 및 상기 OLED 소자와 전기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20)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OLED 소자(18)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전기 접속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와 같이, 도 1의 전극(20)은 어느 한 전극을 나타낸다. 비록 단일의 OLED 소자만이 간단하게 도시되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많은 OLED 소자와, 상기 OLED 소자와 전기 접속되는 많은 전극을 구비한다. 전형적인 OLED 소자(18)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도시 생략)과 애노드/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임의의 공지된 OLED 소자(18)나 향후 개발될 OLED 소자(18)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다른 한 타입의 박막 장치가 OLED 소자(18)의 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박막 센서, MEM 장치, 광전변환(photovoltaic) 장치, 또는 여러 습기나 환경 민감성 장치나 재료가 본 발명을 사용하여 시일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기판(12)은 Corning Incorporated의 Code 1737 글래스나 Eagle 2000TM 글래스의 브랜드 명으로 제조되어 팔리는 글래스 플레이트와 같은 투명한 글래스 플레이트이다. 선택적으로, 제 1 기판(12)은 예를 들면, Asahi Glass Co.(예를 들면, OA10 글래스 및 OA21 글래스), Nippon Electric Glass Co., NHTechno, Samsung Corning Precision Glass Co.에 의해 제조되어 팔리는 것과 같은 글래스 플레이트, 소다 석회 기반의 글래스 및 Corning의 0211와 같은 임의의 투명한 글래스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 2 기판(16)은 제 1 기판(12)과 동일한 글래스 기판이거나, 비-투과성 기판일 수 있다.
도 2-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2)을 제 2 기판(16)에 시일하기 전에, 프릿(14)이 전형적으로 글래스 파우더, (통상적으로 유기) 바인더 및/또는 액상 용액을 포함하는 프릿 페이스트의 라인이나 벽처럼 제 1 기판(12) 상에 배치된다. 프릿(14)은 스크린-프린팅이나 프릿의 패턴을 제 1 기판(12) 상에 제공하는 PPDR(Programmable Pen Dispensing Robot)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12)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릿(14)은 제 1 기판(12)의 자유 에지(13)로부터 대략 1mm 떨어져 배치되고, 폐쇄된 프레임이나 벽의 형태로 전형적으로 배치된다. 프릿의 벽이나 프레임이 제 1 기판상에서 크기가 형성되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기판이 제 2 기판상에 위치하고 예를 들면, 상기 제 2 기판상에 O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형성될 때, 프릿(14)의 벽이나 프레임은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장치(18)를 둘러싼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릿(14)은 실링 공정에서 사용된 레이저의 작동 파장에 맞춰지거나 실질적으로 맞춰지는 소정의 파장에서 실질적인 광 흡수도를 갖는 저온의 글래스 프릿이다. 프릿(14)은 예를 들면, 철, 구리, 바나듐, 네오디뮴 및 (예를 들면)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 흡수 이온을 함유한다. 프릿(14)은 또한 프릿(14)의 열팽창 계수를 변경하는 필러(filler)(예를 들면, 역(inversion) 필러 또는 부가(additive) 필러)를 포함하여, 기판(12 및 16)의 열팽창 계수와 맞춰지거나 실질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일례의 프릿의 조성에 관한 보다 상세한 기재를 위하여, 본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이며 "Glass Packag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with a Frit and Method of Fabrication"을 발명의 명칭으로 하는 미국특허 제6,998,776호가 본 발명에 참조되어 통합되어 있다.
프릿(14)은 또한 제 1 기판(12)을 제 2 기판(16)에 실링하기 전에, 예비-소결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프릿 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12)이 프릿의 조성에 따른 온도에서 프릿(14)을 "소성(fires)"하거나 경화시키는 노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비-소결되는 동안에, 프릿에 함유된 유기 결합재 재료는 프릿 외측에서 연소된다.
프릿(14)이 예비-소결된 이후에, 필요하다면, 프릿 라인에 따른 높이 변화가 대략 2-4㎛를 초과하지 않도록 갈아지며(ground), 전형적인 목표 높이(h)가 장치(10)의 사용예에 따라, 30㎛보다 더 크도록 10㎛일 수 있으나; 그러나, 보다 전형적으로 높이(h)는 대략 12-20㎛이다. 만약 높이 변화가 크다면, 기판(12 및 16)이 연결될 때 프릿과 기판(16) 사이에 형성된 갭은 레이저 실링 동안에 프릿(14)이 용융할 때 제 2 기판에 근접하지 않거나, 또는 갭은 특히 프릿 및/또는 기판의 냉각 동안에, 기판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를 유도할 수 있다. 과하지는 않게 적당히 두꺼운 프릿 높이(h)에 의해 제 1 기판(12)의 뒷면으로부터 기판이 시일될 수 있다. 만약 프릿(14)이 얇다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레이저 복사를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재료가 남아 있지 않게 된다. 만약 프릿(14)이 매우 두껍다면, 용융시키는데 충분한 에너지를 제 1 표면에서 흡수하여, 프릿을 용융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상기 프릿의 구역 근방의 제 2 기판(16)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2개의 글래스 기판의 불량한 접합이나 불규칙한 접합(spotty bonding)을 초래한다.
예비-소결된 프릿(14)이 갈아진다면, 제 1 기판(12)은 약한 초음파 세정 환경에서 세정되어 임의의 지점에 축적될 수 있는 여러 부스러기(debris)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형적인 해결책은 디스플레이 글래스의 기본적인(bare) 세정에 전형적으로 사용된 해결책보다 상당히 더 관대(milder)하여, 프릿에 손상을 입히지 않거나 상기 프릿을 제거하지 않는다. 세정 동안에,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배치된 프릿(14)의 퇴화를 피할 수 있다.
세정 이후의, 최종 처리 단계는 잔여 습기를 제거하도록 행해질 수 있다. 예비-소결된 제 1 기판(12)은 진공 오븐 내의 N2에서 100℃나 300℃의 온도로 6시간 이상 동안 놓여질 수 있다. 오븐에서 제거된 이후에, 예비-소결된 제 1 기판(12)은 깨끗하고 건조된 환경에 배치되어 실링 공정 이전에 부스러기와 습기가 예비-소결된 기판상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공정은 제 1 기판(12)과 프릿(14)을 제 2 기판(16)의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프릿(14), 하나 이상의 OLED(18), 및 전극(20)이 두 개의 기판(12 및 16) 사이에서 샌드위치 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OLED(18)와 하나 이상의 전극(20)이 상기 제 2 기판(16) 상에 배치되고, 프릿 벽(14)이 상기 OLEDs를 둘러싼다. 약한 압력이 기판(12 및 16)에 가해져 상기 기판을 실링 공정 동안에 접촉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22)는 레이저빔(24a-c)이 제 1 기판(12)을 통해 프릿(14) 위로 나아가게 하고 상기 프릿(14)을 가열하여, 상기 프릿(14)은 용융되어 기판(12)과 기판(16)을 연결하고 접합시키는 기밀 시일을 형성한다. 기밀 시일은 또한 주변 환경의 산소와 습기가 OLED 디스플레이(10)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OLED(18)를 보호한다.
레이저빔(24a-c)은 예를 들면, 프릿(14) 내의 온도 구배가 보다 점진적이도록 초점이 맞춰지지 않을 수 있다. 온도 구배가 매우 가파르면(초점이 매우 집중됨), OLED 디스플레이(10)에 크래킹이 나타나고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파손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프릿(14)은 일반적으로 용융 이전이나 이후에 가열 및 냉각 단계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예비-소결된 제 1 기판이 불활성 분위기에 저장되어 용융되기 이전에 O2 및 H2O의 재흡수를 방지한다. 프릿 패턴에 대한 레이저(22)(또는 빔(24a-c))의 이송 속도의 범위는 대략 0.5mm/s 내지 300mm/s일 수 있지만, 30mm/s 내지 40mm/s(또는 50mm/s) 범위의 속도가 보다 전형적이다. 레이저빔에 필요한 파워는 프릿(14)의 높이(h)와 광 흡수 계수(a)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파워는, 반사층이나 흡수층이 전극(20)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와 같은 프릿(14)(프릿(14)과 기판(16) 사이) 아래에 배치된다면, 상기 프릿 상에서의 레이저빔(24a-c)의 이송 속도만큼 영향을 받는다. 부가적으로, 프릿(14)의 조성, 균질성 및 필러 입자 크기가 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프릿이 레이저빔(24a-c)에 영향을 미치는 광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레이저빔(24a-c)이 프릿(14)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프릿(14)은 용융되어 기판(12 및 16)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시일할 것이다. 프릿 시일에 의해 야기된 기판(12)과 기판(16) 사이의 갭은 상기 기판 사이의 OLED 소자(18)용 기밀 포켓이나 외피부를 형성한다. 제 2 기판(16)이 실링 파장을 투과시킨다면, 실링이 상기 제 2 기판(16)을 통해 행해지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2 기판이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링이 양 기판(12 및 16)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방금-시일된 기판과 프릿의 냉각 동안에 장치(10)(예를 들면 프릿(14)과 기판(12 및 16))에 의해 과도한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냉각이 행해질 수 있다. 만약 적당하게 냉각되지 않는다면, 이들 스트레스는 기판 사이의 접합을 약화시킬 수 있고, 상기 기밀 접합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어느 한 기판을 통해 프릿(14) 상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저빔(24a-c)이 전형적으로 반경방향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의 빔 형상과 가우스(Gaussian) 빔 강도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빔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스팟으로 프릿 상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빔의 직경을 가로지르는 강도 분포는 상기 빔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 감소하며, 상기 거리의 함수는 상기 빔의 중심 축선에서나 그 근처에서 피크 강도를 갖는다. 종래의 실링 방법에서의 스팟의 직경(2w)(여기서 w는 빔 축선으로부터의 거리이며 이 경우 빔의 강도가 최대(1/e2)임)은 대략 0.5mm와 1mm 사이의 프릿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가 되도록 일반적으로 선택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대략 10mm/s 이상으로, 실링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대략 1mm 이하의 레이저 스팟 직경이 프릿/기판의 급속한 가열과 냉각에서 발생됨에 따라, 프릿/기판의 풀림(anneal)을 초래할 수 있는 비교적 느린 가열과 냉각이 요구될 때, 상기 스팟이 프릿 상의 특정 지점에 남겨진다.
일반적으로, 보다 빠른 실링 속도가 바람직하다. 먼저, 공정 작업처리량이 증가된다. 레이저 파워의 제 2의 허용가능한 변화는 보다 빠른 실링 속도에서 보다 크다. 다른 한편으로, 급속 냉각을 완화시키는 스팟의 직경의 증가는 기판 사이에 샌드위치된 인접한 OLED 소자의 가열을 야기한다. 증가된 스팟 직경(프릿의 폭보다 큼)을 갖는 레이저빔을 사용할 때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마스크가 레이저와 제 1 기판이나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이와 같이 위치함에 따라, 레이저빔이 상기 마스크를 통해 나아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진 스팟 크기의 일부가 마스크되고, 프릿 이외의 장치(10)의 일부(예를 들면 OLED 소자(18))의 가열이 방지된다.
제 1 기판(12)과 제 2 기판(16) 사이의 프릿 라인의 대략 2배의 폭보다 더 큰 스팟 직경이 사용되며, 상기 스팟 직경을 가로지르는 빔 강도 분포가 빔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 함수로 감소된다. 예를 들면, 빔이 실질적으로 가우스(Gaussian) 강도 프로파일을 갖지만, 삼각형과 같은 여러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레이저빔(24a-c)이 프릿 라인(14)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레이저빔의 빔 강도 구배는 프릿(14)을 비교적 서서히 가열 및 냉각시켜서, 상기 프릿 내의 온도 구배를 감소시키고 상기 프릿의 바람직하지 못한 크래킹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2)가 제 1 기판상에 위치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었다. 마스크의 투명한 또는 개방부(34a, b)가 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릿(14)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마스크(32)가 위치된다. 도 5는 마스크(32)의 일부의 확대도로서, 상기 마스크의 일부는 개방 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투과 구역, 즉 윈도우(34)와 불투명한 비-투과 구역(36)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의 폭(wt)은 상기 마스크와 제 1 기판(12)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프릿 라인의 폭(wf)과 대략 동일하거나, 상기 프릿 라인의 폭(wf)보다 더 넓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개방 투과 구역(34)의 중앙에서 폭(ws)을 갖는 여러 재료나 상기 마스크의 협폭의 불투명하거나 비-투과 스트립(35)을 포함한다.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35)은 레이저빔(24a-c) 중 중앙부(24b)를 차단하며, 상기 레이저빔을 개방 투과 구역(34a 및 34b)을 통과하며 별도의 강도 피크를 갖는 2개의 별개의 빔(24a 및 24c)으로 분리시킨다.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의 폭은 용융될 프릿 라인의 폭과 독립적이라고 여겨진다. 대략 100㎛ 이하나, 대략 50㎛ 내지 대략 80㎛ 사이나, 대략 50㎛의 폭(ws)을 갖는 마스크 스트립이 잘 작동한다고 알려졌다. 마스크의 에지가 프릿 라인(14)의 에지와 평평해지거나, 상기 프릿 라인의 에지, 특히 상기 프릿 라인의 내측 에지를 겨우 대략 50㎛를 넘거나, 납이나 OLED 재료의 손상 위험성이 증가된다.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35)은 레이저빔(24a-c)의 중앙부(24b)를 차단하여, 최고의 빔 강도를 갖는 빔의 일부를 차단한다. 레이저빔의 두 개의 잔여부(24a 및 24c)의 빔 강도 피크는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의 어느 한 측에서 이격 되고, 상기 레이저빔의 차단된 중앙부보다 낮은 피크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보다 일정한 평탄한 빔 강도 분포가 저 피크 빔 강도로 프릿 라인(14)을 가로질러 발생하고, 이는 레이저 실링 동안에 상기 프릿에서의 저 피크 온도로 상기 프릿 라인을 횡단하는 더욱 일정한 열 (온도) 분포를 초래한다. 도 6에 있어서, 라인(A)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 없이 마스크로 실링될 때 프릿을 가로지른 개략적인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라인(B)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을 갖는 마스크로 실링될 때 프릿을 가로지른 개략적인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릿 라인을 가로지르는 총 온도 구배와 상기 프릿에서의 총 피크 온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을 구비한 마스크로 실링될 때 감소된다.
또한 프릿 라인을 가로지르는 온도 분포가 보다 일정하면 프릿의 용융이 보다 일정하게 되고, 이는 프릿(14) 근처나 그 아래에 위치된 납, OLED나 여러 장치 재료를 손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피크 프릿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도 상기 프릿 라인을 가로지르는 상기 프릿의 용융이 보다 완전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프릿 라인을 횡단하는 더욱 완전한 용융이 종래의 마스크 설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상기 프릿 라인의 폭을 횡단하는 더욱더 효과적인 시일을 가능하게 하여, "양호한(good)" 시일 생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튼튼하고 보다 강건하고 내구성이 있는 시일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 없이 마스크가 사용될 때, 납이나 여러 백플레인 재료를 과열하지 않고도 프릿 라인의 폭의 70%보다 큰 유효 시일 폭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알려졌다. 중앙 마스크 스트립 없이 마스크로 실링했을 때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마스크 스트립(35)을 구비한 마스크로 실링했을 때 10% 내지 15%의 유효 시일 폭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피크 온도를 낮게 유지시키면, 납 재료 좌굴(buckling), 백플레인로부터의 납 재료의 분리, 및 프릿에서의 과도한 열 및/또는 온도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 불리한 효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복합의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도시 생략)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나 3개 이상의 평행한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도시 생략)이 마스크(32)의 개방 투과 구역(34)에 있을 수 있다.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 폭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적 넓은 중앙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이 상기 중앙 마스크 스트립의 양측에 비교적 폭이 좁은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이 프레임의 중앙이나 개방 투과 구역의 중앙에 접근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거나, 또는 단일의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이 개방 투과 구역의 중앙,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보다 가깝거나 상기 중앙으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레이저빔(24a-c)은 화살표 37(도 5에 도시됨)로 지시된 길이 방향으로 투과 구역을 따라 프릿 라인(14) 상에서 이동하여, 프릿을 가열하고 기밀 시일로 기판을 실링한다. 빔 스팟(38)은 불투명한 구역(36)에 의해 프릿(14)의 어느 한 측의 가로 방향(화살표 39, 즉 점선의 스팟(38)에 의해 지시됨) 이동이 차단되고, 불투명한 협폭의 마스크 스트립(35)에 의해 프릿 라인의 중앙을 따라, 개방 투과 구역(34a 및 34b)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빔(및 스팟)이 원형 대칭의 강도 분포를 갖고, 길이 방향의 강도 분포가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빔 이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빔의 전방으로의 빔 강도 분포의 증가와 상기 빔 후방으로의 빔 강도 분포의 감소 때문에) 프릿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강도의 증가와 감소가 차단되지 않으므로 상기 프릿이 비교적 느리게 가열 및 냉각된다. 다른 한편으로, 투명 구역(34a 및 34b)을 통과하고 프릿에 영향을 미치는 빔의 일부(24a 및 24c)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특히 함께 결합될 때, 상기 프릿(14)을 비교적 고르게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프릿의 폭을 가로질러(즉 프릿을 이송함에 따라 빔의 이송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비교적 일정한 (평평한) 강도 분포를 갖는다.
마스크(32)는 빔을 흡수 및 반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흡수 마스크가 빔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어 프릿 근방의 민감성 OLED 소자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반사 마스크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빔으로 사용된 레이저빔(24)은 초점이 맞춰지지 않을 수 있거나, 의도적으로 초점이 흐릿하게 될 수도 있다. 빔의 초점을 흐려지게 하여 프릿 상에 맞춰지지 않는 빔 초점이 프릿 및/또는 기판의 냉각을 증대시키도록 (프릿 라인과 관련된) 길이 방향으로 감소하는 강도 분포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1mm 폭의 프릿 라인(14)을 실링할 때 프릿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저 스팟의 직경은 대략 1.8mm 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는 레이저 자체에 부착되거나 그 근방에 부착되며, 마스크가 프릿 라인(14) 상에서 레이저와 같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빔이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는 피크의 레이저빔을 차단하도록 그 중심에서의 마스크 재료의 도트(dot)에 의한 원형 개구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프릿의 보다 완만한 상승과 감소를 유지하기 위하여, 개구는 중심에서 마스크 재료의 세장형 타원형 스팟을 갖는 세장형 타원이거나, 또는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재료의 협폭의 스트립과 슬릿-형상의 투과 구역을 구비한다. 그러나, 프릿 벽과 정렬된 세장형 투과 구역의 길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레이저가 기판(12) 상에 배치된 프레임-형상의 프릿의 코너를 횡단함에 따라, 세장형 또는 슬릿-형 개구나 투명 구역이 마스크의 회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스크는 고정부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고정부는 테이블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장치(10)를 유지하는 스테이지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마스크는 선택적으로, 장치(10)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놓이거나, 제 1 기판(42)이나 제 2 기판(43) 상에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후에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0)와 레이저빔(24a-c) 사이의 상대 이동이 장치(10)를 상기 레이저빔에 대해 이동시키거나, 레이저(및 이에 따른 빔)를 상기 장치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나 장치가 x-y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플랫폼, 테이블 또는 스테이지에 장착될 수 있다. 스테이지는 예를 들면, 선형 모터 스테이지일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은 컴퓨터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마스크는 레이저나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장착되고, 상기 레이저와 같이 이동하거나 상기 장치와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장치와 레이저 양자는 고정될 수 있고, 빔(24a-c)을 레이저로부터 갈보미터(galvometers, 도 8에 도시됨)로 제어되는(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반사기(미러)(48)까지 나아가게 함으로써, 빔이 상기 장치에 대해 이동된다. 장치나 레이저의 관성에 비해, 저 관성의 갈보미터-배치된 미러에 의해 레이저빔이 프릿(14) 상에서 빠른 속도로 횡단한다. 프릿과 레이저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상기 프릿 상의 일정한 스팟 직경이 종래 기술로 알려진 바와 같은 적당한 렌징(lensing) 기술(예를 들면, 텔레센트릭 렌즈)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마스크(36)는 반도체 장치 제조 기술이나 여러 기술상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부를 청결한 글래스 기판 상부에 덮음으로써 마스크(32)가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의 코팅된 부분이 레이저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거나 흡수시키고, 작용 빔의 일부가 상기 마스크의 코팅되지 않은 깨끗한 글래스부(34)를 통해 투과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의 투명부는 프릿 라인(14)과 일치한다. 예를 들면, 프릿 라인(14)이 프레임 형상이라면, 마스크의 투명부의 형상과 치수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개별, 프레임-형 프릿 벽이 기판상에 배치되면, 마스크가 복수의 개별 투명 구역(34)의 대응하는 어레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스크가 도 7에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마스크는 프릿 벽(14)을 제공하도록 사용된 동일한 설비를 사용하는 공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공정은 다음과 같은 공정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예를 들면 개방 투과 구역이나 윈도우(34a 및 34b)에 대한 소정의 패턴과 같은 필요한 마스크 설계를 결정한다. 필요한 개방 투과 구역, 즉 윈도우(34a 및 34b)에 대응하고 프릿을 공기 건조할 수 있는 프릿 패턴을 글래스 기판상에 제공한다. 적당하게 두꺼운 알루미늄 층이나 여러 적당한 재료가 글래스 기판상에 배치된다. 이후 적당한 두께의 층의 구리나 여러 적당한 반사 재료가 사전에 배치된 층 상에 배치된다. 적당한 솔벤트와 실험실 소제(laboratory wipe)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프릿을 서서히 제거하여, 상기 프릿과 함께 알루미늄 층과 구리 층을 제거하고 상기 알루미늄층과 상기 구리층을 통해 필요한 개방 투과 구역(34a 및 34b)을 형성한다. 마스크가 현재 사용 준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기재한 실시예,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단지 설명한 가능한 실시예일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기재한 실시예에 대한 여러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며 아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25)

  1.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으로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서 뻗어있는 높이와 폭의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릿 벽의 상기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빔 프로파일을 구비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빔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 마스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이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를 상기 레이저와 상기 제 1 기판이나 상기 제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서 기밀 시일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과열하지 않고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레이저빔의 투과된 부분이 상기 프릿 벽에 작용하여,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키도록,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마스크의 상기 투과 구역을 통해 나아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레이저빔의 세장형부가 상기 마스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와 폭의 불투명 재료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투명한 세장형 투과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 구역의 상기 폭은 상기 프릿 벽의 상기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은 상기 레이저빔의 상기 세장형부의 중앙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따라서 대략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릿 벽은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와 상기 투과 구역을 둘러싸는 폐쇄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폐쇄된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의 상기 투과된 부분이 상기 프릿 벽을 따라서 횡단하도록, (i)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과, (ⅱ) 상기 레이저빔 및 상기 마스크 사이에서 상대 이동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의 상기 투과된 부분이 상기 프릿 벽을 따라서 횡단하도록, (i)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그리고 상기 마스크와, (ⅱ) 상기 레이저빔 사이에서 상대 이동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은 대략 30mm/s 이상의 속도로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은 대략 40mm/s 이상의 속도로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빔을 적어도 하나의 이동 반사기로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프릿 벽을 따라서 횡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OLED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흡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스팟 직경은 상기 프릿 벽의 폭의 대략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 캡슐화 방법.
  12.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뻗어있는 높이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된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일정 길이와 폭의 불투명 재료를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세장형 투과 구역을 구비하는 불투명 마스크와,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서 대략 뻗어있는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가 상기 프릿 벽의 폭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와,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제 1 기판이나 상기 제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레이저빔의 제 1 또는 제 2 기판 차단부와 상기 레이저 사이의 상기 마스크의 불투명부와 투명한 투과 구역에 의해 상기 레이저빔의 일부가 상기 마스크를 통과하고 상기 프릿 벽에 작용하여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켜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서 기밀 시일하고, 상기 투과 구역의 폭이 상기 프릿 벽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기 위한 마스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과 상기 불투명 재료의 상기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기 위한 마스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과 상기 불투명 재료의 상기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기 위한 마스크.
  15.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뻗어있는 높이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릿 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된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으로서,
    테이블;
    상기 프릿 벽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의 일반적으로 원형의 빔 프로파일을 구비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상기 레이저빔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와 상기 제 1 기판이나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된 불투명 마스크; 및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상기 프릿 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구비한 상기 제 2 기판이 상기 테이블 상에 지지되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레이저빔의 세장형부가 상기 마스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와 폭을 갖는 불투명 재료의 투명한 세장형 투과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 구역의 폭은 상기 프릿 벽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불투명 재료의 스트립은 상기 레이저빔의 상기 세장형부의 중앙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따라서 대략 뻗어있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과 함께 방향설정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기밀 시일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과열하지 않고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레이저빔의 투과된 부분이 상기 프릿 벽에 작용하여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키도록,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마스크의 상기 투과 구역을 통해 나아갈 수 있게 상기 레이저빔은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투과 구역과 불투명 재료의 상기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과 구역과 불투명 재료의 상기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투과된 부분이 상기 프릿 벽을 횡단하여, 상기 프릿 벽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상대 이동이 상기 테이블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상기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이동 제어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릿 벽은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둘러싸는 폐쇄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 구역과 불투명 재료의 상기 스트립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폐쇄된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투과 구역이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에 대해 고정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 기구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테이블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 기구는, 상기 테이블을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블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투과 구역이 상기 프릿 벽과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에 대해 고정 유지되고, 상기 이동 제어 기구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테이블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은 대략 30mm/s 이상의 속도로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OLED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환경 민감성 소자를 레이저 실링하는 시스템.
KR1020117000323A 2008-06-11 2009-06-10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KR20110030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57,515 US8448468B2 (en) 2008-06-11 2008-06-11 Mask and method for sealing a glass envelope
US12/157,515 2008-06-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153A Division KR101608181B1 (ko) 2008-06-11 2009-06-10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541A true KR20110030541A (ko) 2011-03-23

Family

ID=4141351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153A KR101608181B1 (ko) 2008-06-11 2009-06-10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KR1020167004875A KR20160029140A (ko) 2008-06-11 2009-06-10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KR1020117000323A KR20110030541A (ko) 2008-06-11 2009-06-10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153A KR101608181B1 (ko) 2008-06-11 2009-06-10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KR1020167004875A KR20160029140A (ko) 2008-06-11 2009-06-10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448468B2 (ko)
EP (1) EP2297801B1 (ko)
JP (3) JP2011524073A (ko)
KR (3) KR101608181B1 (ko)
CN (1) CN102089898B (ko)
TW (1) TWI499346B (ko)
WO (1) WO200915159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1391B2 (en) 2014-01-07 2016-07-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8718B2 (ja) 2008-05-26 2013-10-0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
DE112009001347T5 (de) * 2008-06-11 2011-04-21 Hamamatsu Photonics K.K., Hamamatsu Schmelzverbindungsprozess für Glas
JP5535653B2 (ja) * 2008-06-23 2014-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
KR101097307B1 (ko) * 2009-04-16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실링 장치
US20110014731A1 (en) * 2009-07-15 2011-01-20 Kelvin Nguyen Method for sealing a photonic device
JPWO2011010489A1 (ja) * 2009-07-23 2012-12-27 旭硝子株式会社 封着材料層付きガラス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5481167B2 (ja) 2009-11-12 2014-04-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
KR101135538B1 (ko) * 2009-11-16 2012-04-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206608B1 (ko) * 2009-11-17 2012-11-29 (주)엘지하우시스 유리기판의 레이저 실링장치
JP5481173B2 (ja) 2009-11-25 2014-04-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25246B2 (ja) 2009-11-25 2014-06-1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35588B2 (ja) 2009-11-25 2014-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67319B2 (ja) 2009-11-25 2014-08-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466929B2 (ja) 2009-11-25 2014-04-0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481172B2 (ja) * 2009-11-25 2014-04-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35589B2 (ja) 2009-11-25 2014-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35590B2 (ja) 2009-11-25 2014-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WO2011067700A1 (en) * 2009-12-02 2011-06-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bstrate connection by heat activated binder
KR101243920B1 (ko) * 2010-01-07 201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밀봉에 사용되는 레이저 빔 조사 장치, 기판 밀봉 방법,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97327B1 (ko) * 2010-01-07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밀봉에 사용되는 레이저 빔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17732B1 (ko) * 2010-01-19 2012-02-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밀봉에 사용되는 레이저 빔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2011268A1 (ja) * 2010-07-23 2012-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8824140B2 (en) * 2010-09-17 2014-09-02 Apple Inc. Glass enclosure
US8666505B2 (en) 2010-10-26 2014-03-04 Medtronic, Inc. Wafer-scale package including power source
US9171721B2 (en) 2010-10-26 2015-10-27 Medtronic, Inc. Laser assisted direct bonding
KR101041603B1 (ko) * 2010-12-31 2011-06-15 (주)알가 진공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8796109B2 (en) 2010-12-23 2014-08-05 Medtronic, Inc. Techniques for bonding substrates using an intermediate layer
JP5947098B2 (ja) * 2011-05-13 2016-07-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ガラス封止体の作製方法および発光装置の作製方法
KR20130118491A (ko) * 2012-04-20 2013-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실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3779503B (zh) * 2012-10-17 2017-04-1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2160829B1 (ko) 2012-11-02 2020-09-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 및 밀봉체의 제작 방법
US9666763B2 (en) 2012-11-30 2017-05-30 Corning Incorporated Glass sealing with transparent materials having transient absorption properties
FI20126259L (fi) * 2012-12-03 2014-08-04 Lumichip Ltd Hermeettisesti suljettu optoelektroninen komponentti
KR102034252B1 (ko) * 2012-12-21 2019-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빔 조사 장치 및 기판 밀봉 방법
CN103943648B (zh) * 2013-01-18 2016-11-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封装方法
TWI479464B (zh) 2013-05-09 2015-04-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及其封裝方法
US20150037915A1 (en) * 2013-07-31 2015-02-05 Wei-Sheng Lei Method and system for laser focus plane determination in a laser scribing process
CN103426903A (zh) * 2013-08-02 2013-1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致发光显示屏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3464900B (zh) * 2013-08-09 2015-12-23 上海大学 激光密封方法和系统
US9257585B2 (en) * 2013-08-21 2016-02-09 Siva Power, Inc. Methods of hermetically sealing photovoltaic modules using powder consisting essentially of glass
CN103474587B (zh) * 2013-09-30 2015-12-02 上海大学 Oled封装装置
TWI561904B (en) * 2014-01-17 2016-12-11 Au Optronics Corp Substrate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CN104882557A (zh) * 2014-02-27 2015-09-0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装置
US9787345B2 (en) 2014-03-31 2017-10-10 Apple Inc. Laser welding of transparent and opaque materials
US10200516B2 (en) 2014-08-28 2019-02-05 Apple Inc. Interlocking ceramic and optical members
CN104362256A (zh) * 2014-10-13 2015-02-1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
KR102388635B1 (ko) * 2014-11-05 2022-04-2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비평면 특징들을 가지는 유리 물품들 및 무알칼리 유리 요소들
JP2018504283A (ja) * 2014-12-15 2018-02-15 トヨタ モーター ヨーロッパ ビーム成形手段及び遮蔽手段を用いる溶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124559B2 (en) 2014-12-24 2018-11-13 Medtronic, Inc. Kinetically limited nano-scale diffusion bond structures and methods
US10136535B2 (en) 2014-12-24 2018-11-20 Medtronic, Inc. Hermetically-sealed packages including feedthrough assemblies
US9968794B2 (en) 2014-12-24 2018-05-15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system including feedthrough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9865533B2 (en) 2014-12-24 2018-01-09 Medtronic, Inc. Feedthrough assemblies
CN104576973B (zh) * 2015-01-30 2017-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盖板的密封胶表面的平坦化方法及系统、封装方法
CN105990532B (zh) * 2015-02-03 2018-06-2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封装装置和封装方法
CN105244452B (zh) * 2015-09-15 2017-1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及封装设备
US20170271615A1 (en) * 2015-09-15 2017-09-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creen-printing mask,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related packaging method
US10098589B2 (en) 2015-12-21 2018-10-16 Medtronic, Inc. Sealed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same
PL3475240T3 (pl) * 2016-06-25 2021-06-14 Efacec Engenharia E Sistemas, S.A. Sposób hermetyzacji wspomaganej laserem oraz jej produkt
CN105977399B (zh) * 2016-07-22 2018-03-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封装方法
CN107579167B (zh) * 2017-08-31 2019-09-24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11780769B2 (en) * 2017-10-13 2023-10-1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shaped articles, methods for manufacturing liquid lenses, and liquid lenses
GB201806411D0 (en) 2018-04-19 2018-06-06 Johnson Matthey Plc Kit, particle mixture, paste and methods
KR102655354B1 (ko) * 2018-06-05 2024-04-08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레이저 가공 장치, 그 작동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작업물 가공 방법
CN110993519B (zh) * 2019-11-21 2021-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芯片绑定方法
CN113399829B (zh) * 2021-07-09 2022-11-11 东莞市中麒光电技术有限公司 焊接装置及使用该焊接装置的焊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7025A (en) * 1961-08-31 1964-01-07 Space Technology Lab Inc Thin filming apparatus
US3414465A (en) 1965-06-21 1968-12-03 Owens Illinois Inc Sealed glass article of manufacture
US3778126A (en) 1971-12-30 1973-12-11 Ibm Gas display panel without exhaust tube structure
JPS526097B2 (ko) 1972-03-14 1977-02-18
US4400870A (en) 1980-10-06 1983-08-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hermetically encapsulating a semiconductor device by laser irradiation
JPS58211743A (ja) 1982-06-03 1983-12-0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5114780A (ja) * 1991-10-21 1993-05-07 Fujitsu Ltd プリント配線板の配線パターンの切断方法
GB9126370D0 (en) 1991-12-12 1992-02-12 Shanning Laser Systems Ltd Securing of bodies
US5500917A (en) 1994-04-18 1996-03-19 Gould Electronics Inc. Optical assembly/housing for securing optical fiber components, devices and fibers to the same or to mounting fixtures
JP2754461B2 (ja) 1994-07-08 1998-05-2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容器の封着方法および封着装置
US5489321A (en) 1994-07-14 1996-02-06 Midwest Research Institute Welding/sealing glass-enclosed space in a vacuum
JP2773661B2 (ja) * 1994-11-28 1998-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ビームスキャン式レーザ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このためのマスク
US5827622A (en) * 1995-11-02 1998-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flective lithographic mask
JPH1074583A (ja) 1996-08-30 1998-03-17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 製造方法
US5821692A (en) 1996-11-26 1998-10-13 Motorol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ermetic encapsulation package
US5874804A (en) 1997-03-03 1999-02-23 Motorol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ermetic encapsulation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356376B1 (en) 1997-04-02 2002-03-12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rearview mirror incorporating a third surface metal reflector and a display/signal light
US5872355A (en) 1997-04-09 1999-02-16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a light detection system
US6069443A (en) 1997-06-23 2000-05-30 Fed Corporation Passive matrix OLED display
US6129603A (en) 1997-06-24 2000-10-10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Low temperature glass frit sealing for thin computer displays
JP3642546B2 (ja) * 1997-08-12 2005-04-27 株式会社東芝 多結晶半導体薄膜の製造方法
JPH11189883A (ja) * 1997-10-20 1999-07-13 Alps Electric Co Ltd 修復された金属パターンを有する基板および基板上の金属パターン修復方法と修復装置
US5998805A (en) 1997-12-11 1999-12-07 Motorola, Inc. Active matrix OED array with improved OED cathode
US6370019B1 (en) 1998-02-17 2002-04-09 Sarnoff Corporation Sealing of large area display structures
US6137221A (en) 1998-07-08 2000-10-24 Agilent Technologie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full color characteristics
US6146225A (en) 1998-07-30 2000-11-14 Agilent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flexible permeability barrier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TW439308B (en) 1998-12-16 2001-06-0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nvironmental barrier material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S6268695B1 (en) 1998-12-16 2001-07-31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nvironmental barrier material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DE19918672A1 (de) 1999-04-23 2000-10-26 Inst Angewandte Photovoltaik G Verfahren zum Verschweißen von Oberflächen von Materialien
US6733850B1 (en) 1999-10-22 2004-05-11 Nippon Sheet Glass Co., Ltd. Glass pan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1242849B1 (en) 1999-12-17 2007-02-2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Improved encapsulation for organic led device
US6608283B2 (en) 2000-02-08 2003-08-19 Emag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der-sealing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6226890B1 (en) 2000-04-07 2001-05-08 Eastman Kodak Company Desiccation of moisture-sensitive electronic devices
US6465953B1 (en) 2000-06-12 2002-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Plastic substrate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for devices sensitive to water and/or oxygen, such a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4608182B2 (ja) 2000-09-06 2011-01-05 オスラム オプト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Oledデバイスのカプセル化
US6639360B2 (en) 2001-01-31 2003-10-28 Gentex Corporation High power radiation emitter device and heat dissipating package for electronic components
US6470594B1 (en) 2001-09-21 2002-10-29 Eastman Kodak Company Highly moisture-sensitive electronic device element and method for fabrication utilizing vent holes or gaps
TW517356B (en) 2001-10-09 2003-01-11 Delta Optoelectronics Inc Package structure of display device and its packaging method
JP3975739B2 (ja) 2001-12-14 2007-09-12 旭硝子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用対向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WO2004083133A2 (en) * 2003-03-21 2004-09-30 Rorze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
US7344901B2 (en) 2003-04-16 2008-03-18 Corning Incorporated Hermetically sealed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of a hermetically sealed package
US6998776B2 (en) * 2003-04-16 2006-02-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packag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with a fri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078726B2 (en) * 2004-09-09 2006-07-1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ealing of electronic device using absorbing layer for glue line
US7371143B2 (en) * 2004-10-20 2008-05-13 Corning Incorporated Optimization of parameters for sealing organic emitting light diode (OLED) displays
KR100685845B1 (ko) 2005-10-21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96631A1 (en) 2005-11-01 2007-05-03 Un-Cheol Sung Flat panel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7431628B2 (en) 2005-11-18 2008-10-07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panel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7537504B2 (en) * 2005-12-06 2009-05-2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encapsulating a display element with frit wall and laser beam
US8038495B2 (en) 2006-01-20 2011-10-18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673765B1 (ko) 2006-01-20 2007-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514B1 (ko) 2006-01-23 2006-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70846A1 (en) 2006-01-23 2007-07-26 Choi Dong-Soo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624309B2 (ja) 2006-01-24 2011-02-02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56092B2 (ja) 2006-01-24 2010-04-28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164257B2 (en) 2006-01-25 2012-04-2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999372B2 (en) 2006-01-25 2011-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85854B1 (ko)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8795B1 (ko) 2006-01-25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853B1 (ko)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71641B1 (ko) 2006-01-25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3472B1 (ko) * 2006-01-26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프릿 경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화 방법
KR100671647B1 (ko) 2006-01-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732808B1 (ko) 2006-01-26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4633674B2 (ja) 2006-01-26 2011-02-16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1638B1 (ko) 2006-01-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JP2007220648A (ja) 2006-02-14 2007-08-30 Samsung Sdi Co Ltd 平板表示装置と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711895B1 (ko) 2006-02-20 2007-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11879B1 (ko) * 2006-02-14 2007-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69443B1 (ko) 2006-02-20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0846975B1 (ko) * 2006-11-09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밀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90295277A1 (en) 2008-05-28 2009-12-03 Stephan Lvovich Logunov Glass packag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aser beam characteristics for sealing th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1391B2 (en) 2014-01-07 2016-07-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40A (ko) 2016-03-14
US20130239622A1 (en) 2013-09-19
TW201018301A (en) 2010-05-01
US20090308105A1 (en) 2009-12-17
KR101608181B1 (ko) 2016-03-31
US8448468B2 (en) 2013-05-28
CN102089898B (zh) 2014-04-09
WO2009151592A2 (en) 2009-12-17
JP2015062180A (ja) 2015-04-02
EP2297801A4 (en) 2013-02-20
WO2009151592A3 (en) 2010-03-04
US9399594B2 (en) 2016-07-26
JP6198883B2 (ja) 2017-09-20
EP2297801A2 (en) 2011-03-23
JP2011524073A (ja) 2011-08-25
JP2016122671A (ja) 2016-07-07
CN102089898A (zh) 2011-06-08
KR20150013352A (ko) 2015-02-04
TWI499346B (zh) 2015-09-01
EP2297801B1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181B1 (ko) 유리 외피부 실링 마스크 및 그 방법
KR100881795B1 (ko) 디스플레이 소자 캡슐화 방법
JP4625085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oled)ディスプレイを封止するためのパラメータの最適化
EP1958225B1 (en) Method of encapsulating a display element
US8860305B2 (en) Methods for forming fritted cover sheets with masks and glass packages comprising the same
CN100585771C (zh) 包封显示元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