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854A -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854A
KR20110023854A KR1020107027304A KR20107027304A KR20110023854A KR 20110023854 A KR20110023854 A KR 20110023854A KR 1020107027304 A KR1020107027304 A KR 1020107027304A KR 20107027304 A KR20107027304 A KR 20107027304A KR 20110023854 A KR20110023854 A KR 20110023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information
transaction
banknotes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220B1 (ko
Inventor
가쯔미 오지
세이야 와다
마사노리 무까이
히까루 엔도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0Tracking or tracing valuable papers or casset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특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지폐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지폐 인식 장치는, 거래된 지폐에 대해서, 지폐 번호 인식 처리와,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지폐 인식 처리를 행하는 지폐 인식부와, 위조 지폐에 관한 지폐 번호 정보와 금종 정보를 갖는 위조 지폐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에 미등록된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한 인식 결과로서 발견된 경우에, 거래된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및 금종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추가하는 위조 지폐 정보 자동 갱신부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해 거래된 지폐가 위조 지폐라고 인식된 경우에, 위조 지폐가 발견된 것을 통보처에 통보하는 통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BILL RECOGNITION DEVICE, BILL RECOGNITION SYSTEM, AND APPLICATION PROGRAM}
본 발명은, 지폐 인식 장치에서 위조 지폐가 사용된 경우에, 지폐 번호(기록 번호)를 단서로 하여, 그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특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동 거래 장치(ATM) 등의 지폐 인식 장치에서, 악의가 있는 이용자에 의해서 위조 지폐가 입금되는 경우가 있다. 이 위조 지폐의 입금은, 예를 들면, 자동 거래 장치의 입금 처리의 경우뿐만 아니라, 출금 처리에서도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출금된 지폐가 일정 시간 이상 방치되면, 이용자(고객)의 미수취라고 판단하여 장치 내에 회수하는 기능(미수취 회수 기능)이 자동 거래 장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기능을 악용하여, 출금한 지폐를 위조 지폐로 바꿔치기 해 둔다고 하는 것이다.
위조 지폐를 빠른 시기에 검출하여, 악의가 있는 이용자에 의한 상기한 자동 거래 장치 등의 이용을 억지할 필요가 있다.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서는, 위조 지폐로서 알려져 있는 지폐 번호 등이 등록된 데이터베이스에 네트워크 경유로 각 장치로부터 액세스함으로써, 복수의 동일한 지폐 번호의 위조 지폐가 나돌고, 복수의 장치에서 그 위조 지폐가 사용된 경우에, 위조 지폐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ATM 단말기 등의 파괴에 의해서 도난된 지폐를 적시에 담당 부문(경찰 등)에 통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도난 지폐 통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이용자 카드에 정규 거래용의 암증 번호 외에, 그것과는 다른 이상 거래용의 암증 번호를 갖게 하여, 악의가 있는 이용자가 그 이상 거래용의 암증 번호를 사용하여 자동 거래 장치(ATM)를 통해 거래한 경우에, 그것을, 이상시(異常時)용의 식별 정보가 입력된 거래로 하고, 그 거래에 대해서는, 거래 금액의 정정 요구를 요구할 수 있는 자동 거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어떠한 문헌의 기술에서도,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빠른 시기에 특정하여, 현장에서 확보할 수는 없다. 또한, 교묘한 위조 지폐가 유통된 경우, 지폐 인식 로직의 개발/평가에 시간이 걸리는 관계로, 즉시 대응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 출금한 지폐를 위조 지폐로 바꿔치기한 경우에도 명확한 증거가 없어,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특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0336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2250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4008233호 공보
본 발명은,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특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하는 제1 지폐 인식 장치는, 거래된 지폐에 대해서, 지폐 번호 인식 처리와,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지폐 인식 처리를 행하는 지폐 인식부와, 위조 지폐에 관한 지폐 번호 정보와 금종 정보와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를 갖는 위조 지폐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에 미등록된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한 인식 결과로서 발견된 경우에, 거래된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추가하는 위조 지폐 정보 자동 갱신부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해 거래된 지폐가 위조 지폐라고 인식된 경우에, 위조 지폐가 발견된 것을, 그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통보부를 갖는다.
제안하는 제2 지폐 인식 장치는, 제1 지폐 인식 장치에서, 지폐의 수취가 완료되지 않고, 출금한 지폐를 다시 장치 내에 회수하는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와,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 지폐 번호 정보, 및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인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 처리 결과 정보를 갖는 거래마다 정보를 출금한 지폐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하는 거래마다 정보 생성부와,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바꿔치기 판정부와, 미수취 회수가 행해진 것을, 상기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미수취 회수 통보부를 더 갖는 것이다.
제안하는 제1 지폐 인식 장치에 따르면, 지폐 인식 장치의 거래 중에 위조 지폐가 발견된 시점에서, 통보부에 의해, 위조 지폐가 발견된 것, 그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가 통보처에 통보된다. 이 때문에, 통보처에서, 거래 식별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빠른 시기에 특정할 수 있다.
제안하는 제2 지폐 인식 장치에 따르면,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 바꿔치기 판정부에 의해, 출금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판정 결과를 불문하고, 미수취 회수 통보부에 의해, 미수취 회수가 행해진 것, 출금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정보, 회수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정보가 통보처에 통보된다. 이 때문에, 통보처에서, 각 거래마다 정보의 거래 식별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도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지폐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 및 입금 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지폐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 및 출금 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기억 매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통보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입금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출금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출금 처리의 플로우차트(계속).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지폐 인식 시스템은, 은행의 지점 등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폐 인식 시스템은, 지폐 인식 장치(1)와, 데이터베이스(2)와, 호스트(3)가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2)는, 지폐 인식 장치(1)나 호스트(3)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네트워크에는 복수대의 지폐 인식 장치가 접속되어 있어서, 각 지폐 인식 장치로부터도 데이터베이스(2)에 액세스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지폐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 및 입금 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인식 장치(1)는, 카드 삽입구(5), 통장 삽입구(6), 입금구(7), 출금구(8), 지폐 인식 유닛(9), 지폐 격납 카세트(10-1, 10-2, …, 10-n), 지폐 격납 박스(이하에서는, 지폐 격납 Box라고 함)(11-1, 11-2, …, 11-n), 기록 장치(12)를 갖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실행 기반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실행 기반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에서는, 이 실행 기반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부른다.
입금의 거래에서는, 처음에, 카드가 카드 삽입구(5)로부터 삽입되거나, 또는, 통장이 통장 삽입구(6)로부터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및 통장이, 카드 삽입구(5) 및 통장 삽입구(6)로부터 각각 삽입되거나, 또는, 조작부(도시 생략)에 의해 입금 거래 버튼을 입력하거나 한다.
그리고, 입금구(7)가 열림으로써, 이용자에게 입금을 재촉하는 입금 모드로 이행한다.
이용자는 입금구(7)에 소정의 금액(지폐)을 입금한다. 입금구(7)에 입금된 지폐는, 화살표 (1)에서,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1매씩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되고, 지폐 인식 유닛(9)에서, 지폐 1매마다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지폐 인식 처리에서는, 기록 번호 이외의 정보(패턴 비교, 지질 정보 등)에 의해, 그 지폐가 위조 지폐인지의 여부를 결정함과 함께, 그 지폐의 금종 정보(천원권, 만원권 등)를 특정한다. 또한, 기록 번호 인식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내장 OCR(Optical Character Reader)(도시 생략)에 의해, 지폐의 소정 위치에 인자되어 있는 기록 번호를 판독하여, 그 판독한 화상으로부터 기록 번호를 인식한다. 그리고, 금종 정보와 기록 번호의 인식 결과가 후술하는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출력된다.
이들 인식 결과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위조 지폐인지의 여부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상세 내용은 후술함).
지폐 인식 처리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기록 번호를 이용한 위조 지폐의 판정 처리에서도 위조 지폐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화살표 (2)에서, 그 지폐는,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대응하는 금종의 지폐 격납 카세트(도면에서는, 지폐 격납 카세트(10-1) 또는 지폐 격납 카세트(10-2) 중 어느 하나)까지 반송되고, 그의 대응하는 금종의 지폐 격납 카세트에 격납된다.
한편, 지폐 인식 처리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기록 번호를 이용한 위조 지폐의 판정 처리와의 적어도 한쪽에서, 위조 지폐라고 판정된 경우, 화살표 (3)에서, 그 지폐는,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위조 지폐 전용의 지폐 격납 Box(도면에서는, 지폐 격납 Box(11-n))까지 반송되고, 그 위조 지폐 전용의 지폐 격납 Box에 격납된다.
또한, 기록 장치(12)는 저널 등(거래 정보 등)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도 3은, 도 1의 지폐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 및 출금 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출금의 거래에서는, 처음에, 카드가 카드 삽입구(5)로부터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및 통장이, 카드 삽입구(5) 및 통장 삽입구(6)로부터 각각 삽입되거나, 또는, 조작부(도시 생략)에 의해 출금 처리 버튼을 입력하거나 한다.
그리고, 화면 겸 터치 패널부(도시 생략)를 통하여 이용자가 출금하는 금액을 지정한다. 이 출금 금액을 수취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대응하는 지폐 격납 카세트(도면에서는, 지폐 격납 카세트(10-n))와 반송 기구(도시 생략)를 제어하여, 화살표 (1)에서, 그 대응하는 지폐 격납 카세트로부터 필요한 매수의 지폐를 1매씩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시킨다.
지폐 인식 유닛(9)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폐 1매마다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지폐 인식 처리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기록 번호를 이용한 위조 지폐의 판정 처리에서도 위조 지폐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화살표 (2)에서, 그 지폐는,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출금구(8)까지 반송된다.
한편, 지폐 인식 처리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기록 번호를 이용한 위조 지폐의 판정 처리 중 적어도 한쪽에서, 위조 지폐라고 판정된 경우, 화살표 (2')에서, 그 지폐는,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위조 지폐 전용의 지폐 격납 Box(도면에서는, 지폐 격납 Box(11-n))까지 반송되고, 그 위조 지폐 전용의 지폐 격납 Box에 격납된다.
또한, 출금 시에서의 또 하나의 흐름으로서, 미수취 회수 시의 처리(즉 출금구(8)에 출금된 지폐가 출금구(8)에서 소정 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에 이용자의 미수취라고 판단하여 출금구(8)의 지폐를 장치 내에 회수하는 처리)가 있다.
이 경우, 그 회수된 (복수매의) 지폐는, 화살표 (3)에서, 출금구(8)로부터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1매씩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되고, 지폐 인식 유닛(9)에서, 지폐 1매마다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인식 처리를 출금 시와 회수 시에 행하는 이유는, 출금구(8)에 지폐가 방치되어 있었을 때에 지폐의 일부가 바꿔치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출금구에서는, 예를 들면, 출금된 지폐가 꺼내어졌는지의 여부를 광 센서의 투과의 상황을 판단하여 감시하고 있다. 따라서, 악의가 있는 이용자에 의해 출금된 지폐 중, 광 센서가 투과하지 않도록, 적어도 1매를 출금구 내부에 남기고, 다른 지폐를 빼낸 후, 빼낸 매수와 동일한 매수의 위조된 지폐나 다른 종류의 지폐를 출금구 내부에 되돌려, 마치, 미수취한 것을 가장하는 경우가 있다.
즉, 출금을 위해 최초로 지폐 인식 유닛(9)을 통과한 지폐의 조합과, 미수취 회수 시에 2회째에 지폐 인식 유닛(9)을 통과한 지폐의 조합이 비교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교의 결과로서 지폐의 조합끼리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미수취 회수의 경우는, 화살표 (4)에서,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미수취 회수 전용의 지폐 격납 Box(도면에서는, 지폐 격납 Box(11-1))까지 반송되고, 그 미수취 회수 전용의 지폐 격납 Box에 격납된다.
이에 의해, 제3자가 접촉하는 일 없이, 지폐 상태를 유지한 채로, 경찰 등에게의 제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처리는, 기록 번호 인식 기능을 갖는 지폐 인식 장치에서 실현 가능한 것이다. 지폐 인식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M(Read Only Memory)(15), RAM(Random Access Memory)(16), CPU(Central Processing Unit)(17), 통신 인터페이스(18), 기록 매체의 판독 장치(19),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21)를 갖고, 이들이 버스(22)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8)를 통하여 외부 기억 장치(23) 상의 데이터(프로그램)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실행 기반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ROM(15), 기억 장치(21), 외부 기억 장치(23), 기록 매체의 판독 장치(19)에 의해서 판독되는 가반형 기록 매체(FDD,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행 시에는, 그 어느 하나로부터 RAM(16)에 읽어내어져 CPU(17)에 의해 실행된다.
도 1, 도 2, 또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2)는,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 및 통보자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도 5는,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는, 거래 정보(26) 및 인식 정보(27)를 갖는다.
거래 정보(26)는, 관리 번호, 거래 점포, 거래 시간, 거래 종류(입금, 출금 등), 고객 정보(성명, 계좌 번호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거래 정보(26)는, 지폐 인식 장치의 식별 정보(호기, 장치 ID 등)도 갖는다.
인식 정보(27)는, 이 거래에서 처리된 지폐의 매수분의 레코드(행)수를 갖는다. 각 레코드는, 그 지폐의 기록 번호와 금종을 포함한다. 또한, 금종의 항목에는, 지폐 인식 처리(즉, 기록 번호 이외의 정보(패턴 비교, 지질 정보 등을 이용한 인식 처리)의 인식 결과 정보가 링크되어 있다.
도 6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는, 기록 번호, 금종, 고객 정보의 각 항목을 갖는다. 또한, 고객 정보는, 도 5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7은, 통보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는, 통보 랭크, 등록자, 소속, TEL(전화 번호), mail(메일 어드레스)의 각 항목을 갖는다.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등록자의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자에게 통보한다. 통보 랭크는, 지폐 인식 장치(2)의 각 거래에서의 위조 지폐의 검출 등이 있었던 각각의 타이밍에서, 어느 등록자에게 통보할지를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정보이다. 각각의 값의 의미를 이하에 기재한다.
ㆍ "S" 모든 사상에서 통보
ㆍ "A" 위조 지폐 검출 시에 통보
ㆍ "B" 금종 또는 기록 번호 정보가 불일치로, 출금액과 회수액이 다른 경우에 통보
ㆍ "C" 금종 또는 기록 번호 정보가 불일치로, 출금액과 회수액이 동일한 경우에 통보
ㆍ "D" 출금액과 회수액이 동일한지의 여부는 불문하고, 금종과 기록 번호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통보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입금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의 스텝 S1에서, 입금구(7)로부터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1매씩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된 지폐에 대하여, 지폐 인식 유닛(9)에서, 지폐 1매마다 상술한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즉, 1매의 지폐(현재의 지폐)에 대해,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계속해서, 스텝 S2에서는, 그 현재의 지폐에 대한 지폐 인식 처리 및 기록 번호 인식 처리의 결과로서, 도 5의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가 금회의 거래에 대하여 생성된다. 즉, 스텝 S2가 입금 처리에 대하여 첫회에 실행되는 경우는 거래 정보(26)가 생성됨과 함께 인식 정보(27)의 선두 1 레코드가 생성되고, 첫회 이후는 인식 정보(27)의 말미에 1 레코드가 추가된다.
스텝 S3에서는, 스텝 S2에서 생성 또는 1 레코드가 추가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와, 도 6의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와의 대조가 행해진다.
이 대조에서는, 스텝 S2의 기록 번호 인식 처리 및 지폐 인식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현재의 지폐의 기록 번호 및 금종을 키로 하여,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를 검색한다.
상기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의 검색 처리의 결과로서, 기록 번호 및 금종이 일치하는 레코드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서 발견된 경우, 현재의 지폐를 위조 지폐로서 특정하고, 스텝 S4로 진행한다.
상기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의 검색 처리의 결과로서, 기록 번호 및 금종이 일치하는 레코드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경우,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의 금종의 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지폐 인식 처리(즉, 기록 번호 이외의 정보(패턴 비교, 지질 정보 등을 이용한 인식 처리)의 인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지폐가 위조 지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식 결과 정보가 정권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스텝 S5로 진행한다.
인식 결과 정보가 위조 지폐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현재의 지폐에 대한 기록 번호 정보, 금종, 및, 이 거래의 거래 정보를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 추가한다. 그리고,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도 7의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를 기초로 통보자에게 통보한다. 즉,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에서의 「통보 랭크」의 항목의 값이 "S" 또는 "A"인 등록자에 대해,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위조 지폐가 검출된 것을, 현재의 지폐의 기록 번호 정보, 금종, 스텝 S2에서 생성한 이 거래의 거래 정보와 함께 통보한다. 그리고,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3 또는 스텝 S4로부터 제어를 받은 스텝 S5에서는, 거래가 완료된 것인지의 여부(즉, 입금구(7)에 지폐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입금구(7)에 지폐가 남아 있는 경우, 거래는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스텝 S1로 되돌아가고,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그 나머지로부터 1매씩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하여, 지폐 인식 유닛(9)에 반송된 지폐에 대하여, 스텝 S1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입금구(7)에 지폐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 거래는 완료된 것으로 되고, 스텝 S6에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의 정보(거래 정보, 지폐 기록 번호, 금종, 지폐 인식 결과)가 매체(종이 매체, 전자 매체 어느 것이나)에 출력된다. 즉, 종이 매체에 인쇄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 상에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그리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입금 처리에서는, 지폐 인식 장치의 거래 중에 위조 지폐가 발견된 시점에서, 위조 지폐가 발견된 것, 그 위조 지폐의 지폐 기록 번호, 금종, 및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의 거래 정보가 통보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통보처(등록자)에 통보된다. 이 때문에, 통보처에서, 거래 정보에 포함되는 고객 정보를 참조하여,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빠른 시기에 특정할 수 있다.
거래가, 지폐의 수취가 완료되지 않고, 출금한 지폐를 다시 장치 내에 회수하는 미수취 회수 이외의 입금을 수반하는 거래(입금, 불입 등)인 경우에, 스텝 S3에서, 처리된 지폐가 위조 지폐라고 인식된 경우에,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처리 종료를 지연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현장에서 확보할 가능성을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출금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이용자에 의해 임의의 출금 금액이 지정되어 출금 지시가 행해지고, 도 9의 스텝 S11에서, 대응하는 지폐 격납 카세트로부터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1매씩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된 지폐에 대하여, 지폐 인식 유닛(9)에서, 지폐 1매마다 상술한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즉, 1매의 지폐(현재의 지폐)에 대해,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계속해서, 스텝 S12에서는, 그 현재의 지폐에 대한 지폐 인식 처리 및 기록 번호 인식 처리의 결과로서, 도 5의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본 플로우차트의 설명에서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라고 함)가 금회의 거래에 대하여 생성된다. 즉, 스텝 S12가 출금 처리에 대하여 첫회에 실행되는 경우에는 거래 정보(26)가 생성됨과 함께 인식 정보(27)의 선두 1 레코드가 생성되고, 첫회 이후는 인식 정보(27)의 말미에 1 레코드가 추가된다.
스텝 S13에서는, 스텝 S12에서 생성 또는 1 레코드가 추가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와, 도 6의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와의 대조가 행해진다.
이 대조에서는, 스텝 S12의 기록 번호 인식 처리 및 지폐 인식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현재의 지폐의 기록 번호 및 금종을 키로 하여,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를 검색한다.
상기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의 검색 처리의 결과로서, 기록 번호 및 금종이 일치하는 레코드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서 발견된 경우, 현재의 지폐를 위조 지폐로서 특정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상기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의 검색 처리의 결과로서, 기록 번호 및 금종이 일치하는 레코드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경우,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금종의 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지폐 인식 처리(즉, 기록 번호 이외의 정보(패턴 비교, 지질 정보 등을 이용한 인식 처리)의 인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지폐가 위조 지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식 결과 정보가 정권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스텝 S15로 진행한다.
인식 결과 정보가 위조 지폐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현재의 지폐에 대한 기록 번호 정보, 금종, 및, 이 거래의 거래 정보를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 추가한다. 그리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도 7의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를 기초로 통보자에게 통보한다. 즉,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에서의 통보 랭크의 항목의 값이 "S" 또는 "A"인 등록자에 대해,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위조 지폐가 검출된 것을, 현재의 지폐의 기록 번호 정보, 금종, 스텝 S12에서 생성한 이 거래의 거래 정보와 함께 통보한다. 그리고,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3 또는 스텝 S14로부터 제어를 받은 스텝 S15에서는, 출금이 완료된 것인지의 여부(즉, 이용자가 지정한 출금 금액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용자가 지정한 출금 금액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출금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되고, 스텝 S11로 되돌아가고,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다음 1매의 지폐를 대응하는 지폐 격납 카세트로부터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하여, 지폐 인식 유닛(9)에 반송된 지폐에 대하여, 스텝 S11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이용자가 지정한 출금 금액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어 있는 경우, 출금은 완료된 것으로 되고,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거래가 완료된 것인지의 여부(즉, 출금구(8)에 지폐가 소정 시간 이상 방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출금구(8)의 지폐가 없어진 경우, 거래는 완료된 것으로 되고, 스텝 S17에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정보(거래 정보, 지폐 기록 번호, 금종, 지폐 인식 결과)가 매체(종이 매체, 전자 매체 어느 것이나)에 출력된다. 즉, 종이 매체에 인쇄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 상에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그리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출금구(8)에 지폐가 소정 시간 이상 방치되어 있었던 경우, 거래는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되고, 미수취 회수로서 처리된다. 즉, 도 10의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출금구(8)로부터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1매씩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된 지폐에 대하여, 지폐 인식 유닛(9)에서, 지폐 1매마다 상술한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즉, 1매의 지폐(현재의 지폐)에 대해, 지폐 인식 처리와 기록 번호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
계속해서, 스텝 S19에서는, 그 현재의 지폐에 대한 지폐 인식 처리 및 기록 번호 인식 처리의 결과로서, 도 5의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본 플로우차트의 설명에서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라고 함)가 금회의 미수취 회수에 대하여 생성된다. 즉, 스텝 S19가 미수취 회수 처리에 대하여 첫회에 실행되는 경우는 거래 정보(26)가 생성됨과 함께 인식 정보(27)의 선두 1 레코드가 생성되고, 첫회 이후는 인식 정보(27)의 말미에 1 레코드가 추가된다.
스텝 S20에서는, 스텝 S19에서 생성 또는 1 레코드가 추가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와, 도 6의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와의 대조가 행해진다.
이 대조에서는, 스텝 S19의 기록 번호 인식 처리 및 지폐 인식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현재의 지폐의 기록 번호 및 금종을 키로 하여,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를 검색한다.
상기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의 검색 처리의 결과로서, 기록 번호 및 금종이 일치하는 레코드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서 발견된 경우, 현재의 지폐를 위조 지폐로서 특정하고, 스텝 S21로 진행한다.
상기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의 검색 처리의 결과로서, 기록 번호 및 금종이 일치하는 레코드가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경우,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금종의 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지폐 인식 처리(즉, 기록 번호 이외의 정보(패턴 비교, 지질 정보 등을 이용한 인식 처리)의 인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지폐가 위조 지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식 결과 정보가 정권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스텝 S22로 진행한다.
인식 결과 정보가 위조 지폐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현재의 지폐에 대한 기록 번호 정보, 금종, 및, 이 거래의 거래 정보를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28)에 추가한다. 그리고,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21에서는, 도 7의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를 기초로 통보자에게 통보한다. 즉,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에서의 통보 랭크의 항목의 값이 "S" 또는 "A"인 등록자에 대해,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위조 지폐가 검출된 것을, 현재의 지폐의 기록 번호 정보, 금종, 스텝 S19에서 생성된 이 거래의 거래 정보와 함께 통보한다. 그리고,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으로부터 제어를 받은 스텝 S22에서는, 장치 내에 회수한 지폐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장치 내에 회수한 지폐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 S18로 되돌아가,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다음 1매의 지폐를 지폐 인식 유닛(9)까지 반송하여, 지폐 인식 유닛(9)에 반송된 지폐에 대하여, 스텝 S18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장치 내에 회수한 지폐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스텝 S12에서 생성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와, 스텝 S19에서 생성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인식 정보와,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인식 정보가 조합으로서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이 때,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인식 정보의 각 레코드의 금종에 대응하는 금액의 총합을 취함으로써,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합계 금액(출금액)을 산출하고,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인식 정보의 각 레코드의 금종에 대응하는 금액의 총합을 취함으로써,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합계 금액(회수액)을 산출하고 있다.
스텝 S23에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와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가 조합으로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 S24에서, 도 7의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를 기초로 통보자에게 통보한다. 즉,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에서의 통보 랭크의 항목의 값이 "S" 또는 "D"인 등록자에 대해,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미수취 회수가 발생한 것을,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와 함께 통보한다. 그리고,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에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와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가 조합으로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 S25에서, 스텝 S23에서 산출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출금액과,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회수액과의 비교 결과를 고려하여, 도 7의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를 기초로 통보자에게 통보한다.
즉,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출금액과,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회수액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에서의 통보 랭크의 항목의 값이 "S" 또는 "B"인 등록자에 대해,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미수취 회수가 발생한 것을,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와 함께 통보하고,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출금액과,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회수액이 일치하는 경우는, 통보자 데이터베이스(29)에서의 통보 랭크의 항목의 값이 "S" 또는 "C"인 등록자에 대해,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미수취 회수가 발생한 것을,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와 함께 통보한다. 그리고,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1, 스텝 S23, 또는 스텝 S25로부터 제어를 받은 스텝 S26에서는,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 및 (B)의 정보(거래 정보, 지폐 기록 번호, 금종, 지폐 인식 결과)가 매체(종이 매체, 전자 매체 어느 것이나)에 인쇄된다. 즉, 종이 매체에 인쇄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25) 상에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그리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출금 처리에서는,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 출금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판정 결과를 불문하고, 미수취 회수가 행해진 것, 출금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A)의 정보, 회수한 지폐에 대한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B)의 정보가 통보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통보처(등록자)에게 통보된다. 이 때문에, 통보처에서, 각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 중의 거래 정보에 포함되는 고객 정보를 참조하여, 위조 지폐의 취급자를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 8의 스텝 S3, 도 9의 스텝 S13, 도 10의 스텝 S20, 스텝 S23에서, 기록 번호끼리를 비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비교에서는, 각국의 유통 지폐 레벨(오염, 기록 번호 인식 등)로부터, 유통 지폐마다의 임계값(그 기록 번호의 자릿수 중의 몇 자리가 일치한 경우를 일치한다고 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을 설정하고, 그 임계값 이상의 일치를 일치로서 판정한다.
또한, 본 시스템에 따르면, 교묘한 위조 지폐에 대하여 지폐 인식 처리를 대응할 수 없는 기간에, 위조 지폐의 기록 번호를 등록한 위조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그 교묘한 위조 지폐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 인식 로직의 개발/평가에 시간이 걸리는 관계로, 기록 번호 이외의 정보를 이용한 지폐 인식 처리가 그 교묘한 위조 지폐에 대하여 대응할 수 없는 기간에, 그 교묘한 위조 지폐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지폐 기록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자동 갱신하고 있다. 따라서, 위조 지폐의 유통을 빠른 시기에 억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거래된 지폐에 대해서, 지폐 번호 인식 처리와,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지폐 인식 처리를 행하는 지폐 인식부와,
    위조 지폐에 관한 지폐 번호 정보와 금종 정보와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를 갖는 위조 지폐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에 미등록된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한 인식 결과로서 발견된 경우에, 거래된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추가하는 위조 지폐 정보 자동 갱신부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해 거래된 지폐가 위조 지폐라고 인식된 경우에, 위조 지폐가 발견된 것을, 그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통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거래가, 지폐의 수취가 완료되지 않고, 출금한 지폐를 다시 장치 내에 회수하는 미수취 회수 이외의 입금을 수반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해 거래된 지폐가 위조 지폐라고 인식된 경우에,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처리 종료를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와,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 지폐 번호 정보, 및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인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 처리 결과 정보를 갖는 거래마다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기입하거나, 또는, 종이 매체에 인쇄하는 거래마다 정보 출력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해 위조 지폐로 인식된 지폐에 대해서는, 위조 지폐 전용의 지폐 박스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폐의 수취가 완료되지 않고, 출금한 지폐를 다시 장치 내에 회수하는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와,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 지폐 번호 정보, 및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인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 처리 결과 정보를 갖는 거래마다 정보를 출금한 지폐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하는 거래마다 정보 생성부와,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바꿔치기 판정부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 중에 위조 지폐 정보와 일치하는 지폐가 있는지 판정하는 위조 지폐 판정부와,
    미수취 회수가 행해진 것을, 상기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미수취 회수 통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미수취 회수된 지폐에 대해서는, 미수취 회수 전용의 지폐 박스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장치.
  7. 거래된 지폐에 대해서, 지폐 번호 인식 처리와,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지폐 인식 처리를 행하는 지폐 인식부를 갖는 지폐 인식 장치와, 그 지폐 인식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위조 지폐에 관한 지폐 번호 정보와 금종 정보와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를 갖는 위조 지폐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는 지폐 인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폐 인식 장치는,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미등록된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한 인식 결과로서 발견된 경우에, 거래된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추가하는 위조 지폐 정보 자동 갱신부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해 거래된 지폐가 위조 지폐라고 인식된 경우에, 위조 지폐가 발견된 것을, 그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통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인식 장치는,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와,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 지폐 번호 정보, 및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인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 처리 결과 정보를 갖는 거래마다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기입하거나, 또는, 종이 매체에 인쇄하는 거래마다 정보 출력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인식 장치는,
    지폐의 수취가 완료되지 않고, 출금한 지폐를 다시 장치 내에 회수하는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와,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 지폐 번호 정보, 및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인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 처리 결과 정보를 갖는 거래마다 정보를 출금한 지폐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하는 거래마다 정보 생성부와,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바꿔치기 판정부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 중에 위조 지폐 정보와 일치하는 지폐가 있는지 판정하는 위조 지폐 판정부와,
    미수취 회수가 행해진 것을, 상기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미수취 회수 통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미수취 회수된 지폐에 대해서는, 상기 지폐 인식 장치 내의 미수취 회수 전용의 지폐 박스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 시스템.
  11. 지폐 인식 처리 및 지폐 번호 인식 처리를 행하는 지폐 인식부를 갖고,
    위조 지폐에 관한 지폐 번호 정보와 금종 정보와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를 갖는 위조 지폐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에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미등록된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한 인식 결과로서 발견된 경우에, 거래된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추가하는 위조 지폐 정보 자동 갱신부와,
    상기 지폐 인식부에 의해 거래된 지폐가 위조 지폐라고 인식된 경우에, 위조 지폐가 발견된 것을, 그 위조 지폐의 지폐 번호 정보, 금종 정보, 및 거래 식별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통보부로서 기능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2. 제11항에 있어서,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와,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 지폐 번호 정보, 및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인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 처리 결과 정보를 갖는 거래마다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기입하거나, 또는, 종이 매체에 인쇄하는 거래마다 정보 출력부로서 상기 컴퓨터를 더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3. 제11항에 있어서,
    지폐의 수취가 완료되지 않고, 출금한 지폐를 다시 장치 내에 회수하는 미수취 회수의 경우에,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 정보와, 거래 대상으로 하는 모든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 지폐 번호 정보, 및 지폐 번호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는 인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 처리 결과 정보를 갖는 거래마다 정보를 출금한 지폐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하는 거래마다 정보 생성부와,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바꿔치기 판정부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 중에 위조 지폐 정보와 일치하는 지폐가 있는지 판정하는 위조 지폐 판정부와,
    미수취 회수가 행해진 것을, 상기 출금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회수한 지폐에 대하여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와 함께 통보처에 통보하는 미수취 회수 통보부로서 더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 제11항에 있어서,
    미수취 회수된 지폐에 대해서는, 미수취 회수 전용의 지폐 박스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KR1020107027304A 2008-06-13 2008-06-13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237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01532 WO2009150701A1 (ja) 2008-06-13 2008-06-13 紙幣認識装置、紙幣認識システ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54A true KR20110023854A (ko) 2011-03-08
KR101237220B1 KR101237220B1 (ko) 2013-02-26

Family

ID=4141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304A KR101237220B1 (ko) 2008-06-13 2008-06-13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19327B2 (ko)
KR (1) KR101237220B1 (ko)
CN (1) CN102057407B (ko)
DE (1) DE112008003900T5 (ko)
WO (1) WO2009150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880B1 (ko) * 2012-07-03 2014-02-2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처리장치, 매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4366A (zh) * 2010-05-18 2011-11-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自动存取款机
CN101976475A (zh) * 2010-06-08 2011-02-16 北京新岸线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识别方法和装置
CN102289894A (zh) * 2011-06-03 2011-12-21 北京新岸线数字图像技术有限公司 一种纸币或者票据的管理系统及服务器
JP6135042B2 (ja) * 2012-04-05 2017-05-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15156050A (ja) * 2012-05-23 2015-08-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管理装置、紙幣処理システム、及び紙幣処理方法
JP5900195B2 (ja) * 2012-07-03 2016-04-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5790741B2 (ja) * 2013-11-08 2015-10-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現金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349857B2 (ja) * 2014-03-27 2018-07-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245029B2 (ja) * 2014-03-27 2017-12-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取引装置
CN103903331A (zh) * 2014-03-31 2014-07-02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存取款机
JP6720667B2 (ja) * 2016-04-20 2020-07-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US11113917B2 (en) * 2017-11-27 2021-09-07 Comix Business Machine(Shenzhen)Co., Ltd. Method for implementing banknote counting of banknote counting device, and banknote cou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33A (ja) 1990-04-26 1992-01-13 Kimura Kenkyusho:Kk 段差成形培地
JP4408171B2 (ja) * 2000-06-23 2010-02-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システム
JP4008233B2 (ja) * 2001-12-03 2007-11-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2003175254A (ja) * 2001-12-12 2003-06-24 Takasago Electric Ind Co Ltd 遊技場の有価物管理システム
JP2003303367A (ja) * 2002-04-10 2003-10-24 Nec Corp 紙幣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4298348B2 (ja) * 2003-03-28 2009-07-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貨幣取引装置及び紙幣情報の管理システム
JP2005122500A (ja) 2003-10-17 2005-05-12 Nec Fielding Ltd 盗難紙幣通報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880B1 (ko) * 2012-07-03 2014-02-2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처리장치, 매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US9704354B2 (en) 2012-07-03 2017-07-11 Lg Cns Co., Ltd.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inanci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19327B2 (ja) 2013-01-16
JPWO2009150701A1 (ja) 2011-11-04
KR101237220B1 (ko) 2013-02-26
WO2009150701A1 (ja) 2009-12-17
CN102057407B (zh) 2014-03-26
CN102057407A (zh) 2011-05-11
DE112008003900T5 (de)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220B1 (ko)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1567112B (zh) 纸币交易系统
JP4528067B2 (ja) 紙幣取扱装置、紙幣管理システム、紙幣管理方法、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JP4166098B2 (ja) 紙幣取扱装置
JP5900195B2 (ja) 自動取引装置
US20040245066A1 (en) Bill handling system and bill handling method
JP5602674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識別アルゴリズム更新プログラム
CN102254366A (zh) 自动存取款机
CN103377507A (zh) 纸张类处理装置以及纸张类处理方法
JP6720667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6209163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制御
RU2650744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бумажными листам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умажными листами
JP5600611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KR100309195B1 (ko) 금권류수입장치
JP2019061293A (ja) 紙幣処理装置、紙幣取扱い方法
JP5313052B2 (ja) 取引処理装置
JP6452976B2 (ja) 現金処理装置
JP7199928B2 (ja) キャッシュセンタ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JP6822190B2 (ja) 現金処理装置
WO2019098061A1 (ja) 貨幣処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センター装置、および、貨幣処理装置における不正検出方法
JP2006065434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取引システム
JP6191158B2 (ja) 自動取引装置
JP2021157366A (ja) 現金取扱い装置
JP2005258737A (ja) 貨幣取引装置
JP2022083607A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