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850A -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복합 교량구조 - Google Patents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복합 교량구조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3850A KR20110023850A KR1020107024564A KR20107024564A KR20110023850A KR 20110023850 A KR20110023850 A KR 20110023850A KR 1020107024564 A KR1020107024564 A KR 1020107024564A KR 20107024564 A KR20107024564 A KR 20107024564A KR 20110023850 A KR20110023850 A KR 201100238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platform
- bridge
- facility
- work platfo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33—Mechanical arrangements not covered by the following sub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혹은/과 조립식 교량구조에 대해 공개하였는바 이는 골조, 최소 1개의 작업 플랫폼, 구동장치,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며 막대모양 구조의 한쪽 말단은 골조와 유연 연결하고 다른 쪽 말단은 작업 플랫폼과 유연 연결하여 작업 플랫폼이 막대모양 구조와 함께 활동할 수 있게 한다. 동력의 작용 하에 작업 플랫폼은 골조와 상대적으로 곡선트랙를 이루며 운동하고 트랙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플랫폼의 협동작업 또는 하나의 플랫폼의 단독 작업이 모두 가능하다. 이중 플랫폼의 작업면적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독 플랫폼을 이용한 크레인, 적재용 리프트, 승강기 및 기타 리프팅 운반시설을 훨씬 초과한다. 또한 건축자재, 자동차, 광석, 선박, 이동식 주택, 컨테이너 등 부피가 큰 물체들을 흔들림 없이 적재할 수 있으며 조합식 또는 조립식 교량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색인어
작업 플랫폼, 교량 구조, 하중
색인어
작업 플랫폼, 교량 구조, 하중
Description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하중 리프팅 물체의 작업 플랫폼에 관련된 것이며 조합식 교량의 모듈 구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적용 분야로는 크레인, 하중 리프트, 승강기, 무대시설, 이동식 주택의 이동기초, 입체식 주차시설, 입체식 창고물류시설, 운반시설, 교량구조 등이 있다.
배경기술
대다수 크레인, 리프트, 승강기 또는 기타 운반시설은 리프팅 동작트랙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작업방식으로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면 흔들리며 수평방향의 안정성이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작업 플랫폼을 하나만 설치하고 있어 사용범위가 일정한 한도내에 제한되고 있다. 또한 이런 시설들은 작업 시 에너지 소모가 아주 크다.
교량의 건설은 모듈화 생산, 조립을 실현하고 있으나 교량가설장치 또는 크레인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정확하게 들어올려 설치해야 하고 많은 인력의 협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시공주기가 길고 건설과 철거 과정에 겪는 어려움은 줄곧 교량건설 분야의 현안으로 되고 있다. 게다가 대다수 조합식 교량가설구조 또는 시설은 교량가설에만 사용될 뿐 기타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과제
본 발명은 일종의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에 대해 공개하였는바 이는 골조, 최소 1개의 작업 플랫폼, 구동장치,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며 막대모양 구조의 한쪽 말단은 골조와 유연 연결하고 다른 쪽 말단은 작업 플랫폼과 유연 연결하여 작업 플랫폼이 막대모양 구조와 함께 활동할 수 있게 한다. 동력의 작용 하에 작업 플랫폼은 골조와 상대적으로 곡선트랙를 이루며 운동하고 트랙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플랫폼의 협동작업 또는 하나의 플랫폼의 단독 작업이 모두 가능하다. 이중 플랫폼의 작업면적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독 플랫폼을 이용한 크레인, 적재용 리프트, 승강기 및 기타 리프팅 운반시설을 훨씬 초과한다. 또한 건축자재, 자동차, 광석, 선박, 이동식 주택, 컨테이너 등 부피가 큰 물체들을 흔들림 없이 적재할 수 있으며 조합식 또는 조립식 교량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부족점을 보완하여 동작트랙이 곡선을 이루는 하중 리프팅 시설을 제공하며 이중 플랫폼을 설치하여 협동작업 또는 하나의 플랫폼을 이용한 단독작업이 가능한 시설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막대모양 구조로 작업 플랫폼을 힌지 연결, 지지하여 작업 플랫폼이 골조와 상대적으로 곡선운동을 하며 트랙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이중 플랫폼의 작업면적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독 플랫폼을 이용한 리프트, 크레인, 승강기 및 기타 리프팅 운반시설을 훨씬 초과한다. 발명 시설은 건축자재, 자동차, 광석, 선박, 이동식 주택, 컨테이너 등 부피가 큰 물체들을 흔들림 없이 적재할 수 있으며 조합식 또는 조립식 교량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작업 플랫폼은 선택사항으로 전후단에 유무선 발사, 수신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바 전환이동 과정에 설정된 반사거리 범위, 예하면 1.5미터 내에서 장애물을 발견할 경우 동작정지 신호를 발송하여 시설을 정지시킴으로서 시설 동작 과정에 작업 플랫폼이 주변 장애물 또는 사람과 충돌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사항으로 스프링 버튼이 장착된 신형 브로킹 장치를 설치하여 시설 동작 과정에 무거운 물체가 미끌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본 시설은 골조 받침대의 네 모서리에 휠을 달아 이동성을 부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네 기둥의 안쪽에는 쐐기가 있어 푸석푸석한 바닥(예하면 실외 토사지)에 고정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시설은 작업 플랫폼에 설치한 자동 장애감시장치 맞은편에 선택사항인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를 설치하여 작업 플랫폼이 동작과정에 장애물과 접촉할 경우 시설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다.
한 대 또는 여러 대의 본 시설을 조종할 경우 매개 시설의 작업 플랫폼이 동일한 수평위치 또는 동일한 수평에 가까운 위치(플랫폼 사이의 일정한 높이차 허용)를 유지하게 하고 각 시설을 앞뒤로 연결하고 양단에 경사도를 주면 신속하게 교량을 가설할 수 있는바 그림11과 같다. 물론 기존의 기지의 교량구조와 혼합 배열하여 교량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그림 11-1과 같다. 연결부위는 신축성 물질로 받쳐주어 도로면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랫폼 사이는 일정한 높이차를 허용한다. 플랫폼은 수평면 플랫폼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실제 수요에 따라 요철형 곡면 플랫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작업 플랫폼을 이용하여 교량구조를 구성하면 조립과 철거가 비교적 용이하다. 구조와 구조 간의 자유도가 높으므로 진동저항성이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일종의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혹은/과 조립식 교량구조에 대해 공개하였는바 이는 골조, 최소 1개의 작업 플랫폼, 구동장치,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며 막대모양 구조의 한쪽 말단은 골조와 유연 연결하고 다른 쪽 말단은 작업 플랫폼과 유연 연결하여 작업 플랫폼이 막대모양 구조와 함께 활동할 수 있게 한다. 동력의 작용 하에 작업 플랫폼은 골조와 상대적으로 곡선트랙를 이루며 운동하고 트랙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플랫폼의 협동작업 또는 하나의 플랫폼의 단독 작업이 모두 가능하다. 이중 플랫폼의 작업면적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독 플랫폼을 이용한 크레인, 적재용 리프트, 승강기 및 기타 리프팅 운반시설을 훨씬 초과한다. 또한 건축자재, 자동차, 광석, 선박, 이동식 주택, 컨테이너 등 부피가 큰 물체들을 흔들림 없이 적재할 수 있으며 조합식 또는 조립식 교량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도에서 11은 받침대, 12는 기둥, 121는 상기둥, 13은 대들보, 14는 고정도르래, 15는 안내도르래, 16은 중간 지지구조, 2는 작업 플랫폼을 가리키며 세분하면 21은 상층 작업 플랫폼, 22는 하층 작업 플랫폼, 23은 경사면, 31은 감속모터, 32는 컨베이어 벨트, 33은 와인딩드럼, 34는 한쪽 말단은 와인딩드럼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작업 플랫폼 또는 반원형 지지막대 또는 원형 지지막대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또는쇠사슬을 가리킨다. 그 중 34-1은 한 작업 플랫폼과 연관된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을 표시하고 34-2는 다른 한 작업 플랫폼과 연관된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을 표시한다. 36은 회전 받침대이고 41은 막대모양 구조이며 그 중 41-1, 41-2, 41-3, 41-4는 선택사항으로 설치한 반원형 막대 부분품이며 42는 체인기어, 43은 베어링 박스, 44는 쇠사슬, 45는 쇠사슬 이탈방지 장치, 46은 대각선 막대, 47은 반원형 휠, 48은 클레비스 핀 홀, 49는 클레비스 핀, 50은 축, 5는 집중제어박스, 6은 무선 장애감시장치, 7은 휠(선택사항), 8은 푸석푸석한 바닥에 고정시키는 쐐기(선택사항), 9는 브로킹 장치 전체, 91은 구멍, 92는 내향플랜지 앵글 지지막대, 93은 사각관 지지막대, 94는 스프링, 95는 스프링버튼, 96은 휠, 97은 축, 98은 회전축이 있는 보호 측벽, 99는 풀링핸들이다. 10-1은 지압식 비상정지스위치, 10-2는 비상정지스위치 가동코드, 10-3은 금속관, 10-4는 접촉단자, 10-5는 신축성 지지대이다. 그 외에 단독으로 반원형 또는 원형 지지막대와 연결하는 특정위치를 설정하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 또는 컨베이어 벨트는 18, 19, 20이다. 24는 기둥 사이에 연결된 대들보이며 25는 경사면 및 기초층이다.
도 1은 전반 구조도이다.
도 2는 6개의 막대모양 구조가 하나의 작업 플랫폼을 지지하고 있고 매개 측 대들보에 3개의 막대모양 구조가 병렬되어 있다.
도 3, 4, 5, 6, 7, 8, 9, 10, 48, 49, 5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는 막대모양 구조의 각종 구조형식이다. 그 중 도 7과 8은 사각형이 아닌 막대모양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는 와이어로프,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18, 19, 20)가 반원형 또는 원형 막대의 드롭 센터림에서의 연결 경로와 위치도이며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 위치를 표시한다.
도 35와 도 47은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유형2의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18, 19, 20)이 완전하게 연결된 상태이며 그 중 34 쪽은 막대모양 구조의 림 특정위치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와인딩드럼과 연결되어 있다.
도 44, 도 45는 하나의 작업 플랫폼이 작업 시의 전반 구조도이다.
도 48, 49, 50은 막대모양 구조가 아주 큰 하중을 감당하고 있을 경우 사용한 몇 가지 트러스구조형식이다.
도 36과 도 37은 선박을 들어올릴 때 사용한 원호형 내표면을 가진 작업 플랫폼이며 도 57은 무대시설로 사용 시 높이와 두께를 증가한 긴 판넬모양 구조로 설계한 플랫폼이며 진열방식으로 연결하여 큰 무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8, 39, 40, 41, 42, 43은 플랫폼을 대들보, 고리, 링, 전용 클램프와 리깅으로 간소화시킨 각종 변화형식이다.
도 51은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유형1의 서로 조화된 막대, 쇠사슬, 체인기어, 축 및 베어링 박스의 국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52는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유형2의 서로 조화된 반원형 또는 원형 막대, 와이어루프 또는 쇠사슬, 축 및 베어링 박스 또는 축 슬리이브의 국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53은 막대, 체인기어, 쇠사슬, 와이어로프, 상하층 작업 플랫폼의 공간적 배치구조도이며 도 54는 이중 작업 플랫폼이 운동 시 막대와 플랫폼의 연결약도이다.
도 55는 막대모양 구조가 사각형 또는 만곡형일 경우 한 작업 플랫폼이 상승하고 다른 한 작업 플랫폼이 하강하는 작업상태이다.
도 56은 막대모양 구조가 반원형 막대일 경우 한 작업 플랫폼이 상승하고 다른 한 작업 플랫폼이 하강하는 작업상태이다.
도 58은 자동 장애감시장치 및 작업상태 약도이며 도 57은 무대시설로서의 플랫폼 구조형식이다.
도 59는 선택사항으로서의 휠의 설치부위약도 및 선택사항으로서의 푸석푸석한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쐐기 설치약도이다.
도 60은 브로킹 장치 내부구조이며 이때 스프링 버튼이 외력의 작용으로 압축된다. 도 61은 브로킹 장치가 수평으로 놓일 때 측면이며 도 62는 브로킹 장치가 위로 올라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의 평면이며 도 63은 브로킹 장치 위로 올라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의 측면이다.
도 64는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의 설계안1 약도이며, 10-1은 지압식 비상정지스위치이고 10-2는 비상정지스위치의 가동코드, 10-3은 두 개의 금속관이다. 도 65는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의 설계안2 약도이다. 10-4는 접촉단자, 10-5는 “”형 구조이다.
도 66은 상부에 두 개의 고정도르래가 있는 상기둥이며 도 67은 상기둥 골조로 구성된 시설의 전체 약도이다. 그 중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 34-2)은 각각 원형 지지막대(41-2, 41-3)에 연결되어 있다.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68은 상기둥 골조로 구성된 본 시설의 동작 시 약도이다. 그 중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 34-2)은 각각 원형 지지막대(41-1, 41-4)에 연결되어 있다.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46은 4기둥골조의 합병 막대 전체구조 약도이며 도 69는 2기둥골조의 전체구조 약도이다.
도 70은 여러 대 시설의 작업 플랫폼을 조종하여 교량을 가설할 때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간략하게 표시하기 위해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생략하였다. 도 71은 본 시설과 현유 기지의 교량구조를 병용하여 구성한 교량 약도이며 도 72는 여러 개의 플랫폼을 병렬하여 동시에 리프팅하는 방식이다.
도 73은 여러 개의 작업 플랫폼으로 구성한 교량의 입체도이며 골조 유형은 2기둥형 골조와 4기둥형 골조이다. 도면을 간략하게 표시하기 위해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생략하고 기둥에 설치한 와이어만 몇 곳 표시하였다. 그 중 23은 기둥 사이에 증가한 대들보이다. 음영부분은 하층 통로 도로면을 평탄하게 받쳐주는 충전물과 기초층이다.
도 74는 여러 개의 작업 플랫폼으로 교량을 조합할 경우의 교량면 형태 약도이다. 작업 플랫폼은 수평면이 될 수도 있고 수요에 따라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중 2는 각종 형태의 작업 플랫폼이며 25는 경사지 및 신축성 슬롯 장치이다.
첨부도에서 11은 받침대, 12는 기둥, 121는 상기둥, 13은 대들보, 14는 고정도르래, 15는 안내도르래, 16은 중간 지지구조, 2는 작업 플랫폼을 가리키며 세분하면 21은 상층 작업 플랫폼, 22는 하층 작업 플랫폼, 23은 경사면, 31은 감속모터, 32는 컨베이어 벨트, 33은 와인딩드럼, 34는 한쪽 말단은 와인딩드럼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작업 플랫폼 또는 반원형 지지막대 또는 원형 지지막대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또는쇠사슬을 가리킨다. 그 중 34-1은 한 작업 플랫폼과 연관된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을 표시하고 34-2는 다른 한 작업 플랫폼과 연관된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을 표시한다. 36은 회전 받침대이고 41은 막대모양 구조이며 그 중 41-1, 41-2, 41-3, 41-4는 선택사항으로 설치한 반원형 막대 부분품이며 42는 체인기어, 43은 베어링 박스, 44는 쇠사슬, 45는 쇠사슬 이탈방지 장치, 46은 대각선 막대, 47은 반원형 휠, 48은 클레비스 핀 홀, 49는 클레비스 핀, 50은 축, 5는 집중제어박스, 6은 무선 장애감시장치, 7은 휠(선택사항), 8은 푸석푸석한 바닥에 고정시키는 쐐기(선택사항), 9는 브로킹 장치 전체, 91은 구멍, 92는 내향플랜지 앵글 지지막대, 93은 사각관 지지막대, 94는 스프링, 95는 스프링버튼, 96은 휠, 97은 축, 98은 회전축이 있는 보호 측벽, 99는 풀링핸들이다. 10-1은 지압식 비상정지스위치, 10-2는 비상정지스위치 가동코드, 10-3은 금속관, 10-4는 접촉단자, 10-5는 신축성 지지대이다. 그 외에 단독으로 반원형 또는 원형 지지막대와 연결하는 특정위치를 설정하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 또는 컨베이어 벨트는 18, 19, 20이다. 24는 기둥 사이에 연결된 대들보이며 25는 경사면 및 기초층이다.
도 1은 전반 구조도이다.
도 2는 6개의 막대모양 구조가 하나의 작업 플랫폼을 지지하고 있고 매개 측 대들보에 3개의 막대모양 구조가 병렬되어 있다.
도 3, 4, 5, 6, 7, 8, 9, 10, 48, 49, 5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는 막대모양 구조의 각종 구조형식이다. 그 중 도 7과 8은 사각형이 아닌 막대모양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는 와이어로프,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18, 19, 20)가 반원형 또는 원형 막대의 드롭 센터림에서의 연결 경로와 위치도이며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 위치를 표시한다.
도 35와 도 47은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유형2의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18, 19, 20)이 완전하게 연결된 상태이며 그 중 34 쪽은 막대모양 구조의 림 특정위치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와인딩드럼과 연결되어 있다.
도 44, 도 45는 하나의 작업 플랫폼이 작업 시의 전반 구조도이다.
도 48, 49, 50은 막대모양 구조가 아주 큰 하중을 감당하고 있을 경우 사용한 몇 가지 트러스구조형식이다.
도 36과 도 37은 선박을 들어올릴 때 사용한 원호형 내표면을 가진 작업 플랫폼이며 도 57은 무대시설로 사용 시 높이와 두께를 증가한 긴 판넬모양 구조로 설계한 플랫폼이며 진열방식으로 연결하여 큰 무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8, 39, 40, 41, 42, 43은 플랫폼을 대들보, 고리, 링, 전용 클램프와 리깅으로 간소화시킨 각종 변화형식이다.
도 51은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유형1의 서로 조화된 막대, 쇠사슬, 체인기어, 축 및 베어링 박스의 국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52는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유형2의 서로 조화된 반원형 또는 원형 막대, 와이어루프 또는 쇠사슬, 축 및 베어링 박스 또는 축 슬리이브의 국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53은 막대, 체인기어, 쇠사슬, 와이어로프, 상하층 작업 플랫폼의 공간적 배치구조도이며 도 54는 이중 작업 플랫폼이 운동 시 막대와 플랫폼의 연결약도이다.
도 55는 막대모양 구조가 사각형 또는 만곡형일 경우 한 작업 플랫폼이 상승하고 다른 한 작업 플랫폼이 하강하는 작업상태이다.
도 56은 막대모양 구조가 반원형 막대일 경우 한 작업 플랫폼이 상승하고 다른 한 작업 플랫폼이 하강하는 작업상태이다.
도 58은 자동 장애감시장치 및 작업상태 약도이며 도 57은 무대시설로서의 플랫폼 구조형식이다.
도 59는 선택사항으로서의 휠의 설치부위약도 및 선택사항으로서의 푸석푸석한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쐐기 설치약도이다.
도 60은 브로킹 장치 내부구조이며 이때 스프링 버튼이 외력의 작용으로 압축된다. 도 61은 브로킹 장치가 수평으로 놓일 때 측면이며 도 62는 브로킹 장치가 위로 올라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의 평면이며 도 63은 브로킹 장치 위로 올라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의 측면이다.
도 64는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의 설계안1 약도이며, 10-1은 지압식 비상정지스위치이고 10-2는 비상정지스위치의 가동코드, 10-3은 두 개의 금속관이다. 도 65는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의 설계안2 약도이다. 10-4는 접촉단자, 10-5는 “”형 구조이다.
도 66은 상부에 두 개의 고정도르래가 있는 상기둥이며 도 67은 상기둥 골조로 구성된 시설의 전체 약도이다. 그 중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 34-2)은 각각 원형 지지막대(41-2, 41-3)에 연결되어 있다.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68은 상기둥 골조로 구성된 본 시설의 동작 시 약도이다. 그 중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 34-2)은 각각 원형 지지막대(41-1, 41-4)에 연결되어 있다.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46은 4기둥골조의 합병 막대 전체구조 약도이며 도 69는 2기둥골조의 전체구조 약도이다.
도 70은 여러 대 시설의 작업 플랫폼을 조종하여 교량을 가설할 때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간략하게 표시하기 위해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생략하였다. 도 71은 본 시설과 현유 기지의 교량구조를 병용하여 구성한 교량 약도이며 도 72는 여러 개의 플랫폼을 병렬하여 동시에 리프팅하는 방식이다.
도 73은 여러 개의 작업 플랫폼으로 구성한 교량의 입체도이며 골조 유형은 2기둥형 골조와 4기둥형 골조이다. 도면을 간략하게 표시하기 위해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생략하고 기둥에 설치한 와이어만 몇 곳 표시하였다. 그 중 23은 기둥 사이에 증가한 대들보이다. 음영부분은 하층 통로 도로면을 평탄하게 받쳐주는 충전물과 기초층이다.
도 74는 여러 개의 작업 플랫폼으로 교량을 조합할 경우의 교량면 형태 약도이다. 작업 플랫폼은 수평면이 될 수도 있고 수요에 따라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중 2는 각종 형태의 작업 플랫폼이며 25는 경사지 및 신축성 슬롯 장치이다.
본 발명의 설계안은 다음과 같다.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은 교량 조립 구성품으로서 골조, 상하층 작업 플랫폼, 플랫폼 구동장치,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전자제어장치, 선택사항인 자동 장애감시장치, 선택사항인 휠 및 쐐기, 선택사항인 브로킹 장치와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를 포함하며 단독 플랫폼 작업 또는 이중 플랫폼 협동작업이 가능한 하중 리프팅 시설의 작업 플랫폼은 막대 또는 막대모양 구조 말단과 골조의 직접 또는 간접 연결부를 에워싸고 곡선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트랙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은 구동장치와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구조, 또는 그 중 한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구조의 추동작용에 의해 작동되며 작업 플랫폼이 막대모양 구조와 골조의 직접 또는 간접 연결부를 에워싸고 곡선트랙운동을 하게 한다.
본 시설의 구체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골조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바 상부에 고정 도르래를 설치한 기둥 수량에 따라 4기둥형과 2기둥형으로 구분한다.
1. 4기둥형 골조: 받침대(11)와 그와 수직을 이루는 4개의 기둥(12), 대들보(13), 기둥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도르래(14), 밑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도르래(15), 두 대들보(13)를 연결하고 있는 중간 지지대(16)를 포함한다. 그 중 중간 지지대(16)는 실제 하중 크기에 따라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중간 지지대의 형태는 “”모양 또는“”모양이며 그림1과 같다. 4기둥형 골조는 2기둥형 골조 구조보다 안전성이 높고 역학구조도 더 합리적이다.
2. 2기둥형 골조: 4기둥형 골조와의 주요 구별점은 상부에 두 개의 고정도르래가 설치되어 있는 기둥121을 두 개 사용하여 상부에 하나의 고정도르래를 설치하여 시설 네 면에 세워놓은 4개의 기둥을 대체하였다는 점이며 기타 구조는 4기둥 골조와 같은바 도 66과 도 67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가장 경제적이기는 하나 받는 힘이 두 상기둥에 과도하게 집중되므로 상기둥의 자재 강도와 구조 강도에 대한 요구가 높다.
(2) 작업 플랫폼: 상층 작업 플랫폼(21), 하층 작업 플랫폼(22)을 포함한다. 상하층 작업 플랫폼은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호작용력을 더 확실하게 실현한다. 하나의 플랫폼으로 단독 작업이 필효할 경우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의 일부분 구조만 설치, 사용할 수 있는데 도 44, 도 45와 같다. 작업 플랫폼은 막대모양 구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작용 하에 작업 플랫폼은 골조와 상대적인 곡선트랙를 이루며 이동하고 트랙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한바 타원형, 원형으로 될 수 있고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사각형이다. 작업 플랫폼은 수평면 플랫폼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실제 수요에 따라 요철형의 비 수평면 플랫폼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런 작업 플랫폼은 일정한 곡선효과가 있다. 예하면 선박을 들어올릴 경우 작업 플랫폼은 원호형 내표면을 가진 플랫폼 또는 망상구조 형식을 취하여 선박의 정착에 유리하게 할 수 있는데 도 36, 도 37과 같다. 동일한 시설에 설치한 두 작업 플랫폼은 크기가 부동할 수 있으므로 특수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플랫폼은 또한 이동식 주택의 이동기초로 사용할 수 있는데 도 44, 도 47과 같다. 무대시설로 사용할 경우 플랫폼은 높이와 두께를 증가한 긴 판넬형 구조로 설계할 수 있는데 도 57을 참조할 수 있으며 진열방식으로 연결하여 큰 무대를 구성할 수 있다.
설명을 덧붙이자면 상황에 따라 플랫폼은 대들보, 고리, 링 또는 전용 클램프, 리깅으로 간소화 시킬 수 있는데 도 38, 도 39, 도 40, 도 41과 같다. 리프팅 물체의 이동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을 경우 즉 이동과정에 물체가 흔들리는 것이 허용될 경우 하나 또는 두 개의 병렬된 막대모양 구조를 리프팅 장치로 사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데 이때 작업 플랫폼은 고리, 링 또는 전용 클램프, 리깅으로 간소화되며 도 41과 도 42와 같다.
상기 예들은 모두 작업 플랫폼의 변화형태의 하나이다.
(3) 구동장치: 도 1과 같이 감속모터(31), 컨베이어 벨트(32), 와인딩드럼 도는 쇠사슬 수납장치(33), 한쪽은 33과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작업 플랫폼에 고정하거나 또는 말단부에 고정하여 반원형 지지막대 드롭 센터림에 감겨 있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과 34-2)로 구성(34-1, 34-2는 와이어로프를 사용하거나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로프를 사용할 수 있음)되며 하중이 아주 클 경우 34-1, 34-2는 여러 갈래의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감속모터(31)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와인딩드럼(33)을 회전시키며 와인딩드럼에 감겨 있는 와이어로프(43-1, 43-2)는 그와 함께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응한 플랫폼(21, 22)을 이동시킨다. 어떤 제한조건 또는 수요에 따라 시설에 구동장치를 설치하는 방식 외에도 외부에서 상응한 구동장치를 제공하여 시설에는 구동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기타 외부 동력원과 병용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예하면 교량구조로 이용할 경우 구조 자체가 이미 아주 무겁고 시설은 한두번 이동할 뿐 대부분 시간은 움직이지 않거나 정지상태에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설에 설치된 구동장치만 사용하면 경제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족하므로 외부의 대형 구동시설에 의한 동력 제공이 필요하다.
(4)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 막대모양 구조, 막대모양 구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 축, 베어링 박스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플랫폼과 함께 이동하며 또한 플랫폼의 이동을 협조하여 링크기구가 저속운동 과정에 작동이 영활하지 못하고 역회전과 무효 회전이 발생가능한 기계학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작업 플랫폼 사이에서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전환, 전달할 수 있다.
막대모양 구조의 부동한 유형을 선택함에 따라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도 두 가지로 나뉘며 모든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는 단독으로 본 시설에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병용 또는 상호 교체하여 본 시설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중 한 가지 유형의 일부 구조를 본 시설에 사용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의 장치를 병용할 경우 더욱 안전한 구동을 보장하며 작업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막대모양 구조란 플랫폼과 골조를 유연 연결할 수 있는 안정적 구조를 가리키는바 구조의 한쪽 말단은 플랫폼과 연결되어 플랫폼을 지지하며 다른 한쪽 말단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골조와 유연 연결되어 있으며 막대모양 구조 사이는 와이어로프,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에 의해 단독 또는 상호조합 방식으로 환형 연결되어 조화운동을 실현한다. 막대모양 구조는 아래 문장에 제기되는 직각형 막대, 반원형 막대, 원형 막대, 타원형 막대, 반타원형 막대, 물방울형 막대, 반물방울형 막대, 역물방울형 막대, 역 반물방울형 막대를 포함한다. 그 중 반타원형 막대, 타원형 막대는 도 13, 14와 같고 물방울형 막대, 반물방울형 막대, 역물방울형 막대, 역 반물방울형 막대는 도 15, 16, 17, 18과 같으며 시설의 가동 모멘트를 확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의 실제 하중의 증가에 따라 막대모양 구조는 건축공사 또는 기계공사에서 이용하는 여러 가지 역학구조 형식을 취할 수 있는바 예하면 보강용 리브, 트러스구조 등이며 도 48, 49, 50은 세 가지 트러스구조이다. 막대모양 구조는 부동한 길이로 설계하여 특수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데 예하면 경사도가 있는 작업 플랫폼에 사용할 수 있다. 매개 작업 플랫폼은 하나 이상의 막대모양 구조(41)로 지지해야 하는데 흔히 4 또는 6개를 사용하며 실제 하중이 아주 클 경우 막대모양 구조의 수량을 증가해야 한다. 예를 들어 6개의 막대모양 구조로 작업 플랫폼을 지지할 경우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매개 막대의 횡단면적을 감소할 수 있는데 도 2와 같다.
유형1: 사각형 막대모양 구조41(사각형 막대41로 약칭), 체인기어(42), 베어링 박스(43), 쇠사슬(44)을 포함한다. 막대모양 구조의 한쪽 말단은 베어링 박스(43)를 통해 골조에 고정시키고 체인기어(42)와 막대모양 구조(41)의 한쪽 말단을 고정연결하며 쇠사슬(44)을 체인기어(42)에 감는다. 각 구성품의 설치조합 관계는 도 51과 같다. 매개 작업 플랫폼은 최소 1개 이상의 막대모양 구조(41)로 지지해야 하며 본문은 구성도를 간략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원리를 간단히 설명한 후 전부 4개의 막대모양 구조로 지지하는 작업 플랫폼을 예로 들어 서술하고 도면을 그리기로 한다. 막대모양 구조는 도 2, 3, 4와 같이 사각형 막대 중 임의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대각선 막대(46)의 역할은 주로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유형1의 막대 자재는 역학성능이 우수하여 지지막대에 대한 체인기어의 회전력 작용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기구의 작용은 한 작업 플랫폼의 주동적 운동을 다른 한 작업 플랫폼으로 전달하여 협동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른 한 작업 플랫폼의 협동운동은 물리학의 물체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상호전환 원리에 부합되며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통하여 주동적 운동을 하는 작업 플랫폼으로 일부 운동에너지를 전달하여 구동장치로 하여금 큰 동력을 출력하지 않고도 작업 플랫폼을 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목적에 도달한다. 막대 또는 막대모양 구조, 체인기어, 쇠사슬, 와이어로프, 상하층 작업 플랫폼의 공간적 배치는 도 54와 같다.
유형2: 사각형 이외의 막대모양 구조(41)(구체적으로 반원형 막대, 원형 막대, 타원형 막대, 반타원형 막대, 물방울형 막대, 반물방울형 막대, 역물방울형 막대, 역 반물방울형 막대 포함), 말단부에 고정되어 드롭 센터림에 감겨 있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18, 19, 20)은 와이어로프를 사용할 수도 있고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 와이어로프, 로프의 말단부는 림에 고정해야 하고 쇠사슬과 컨베이어 벨트는 감거나 말단부에 고정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베어링 박스(43), 축(50)을 포함한다. 축(50)은 막대모양 구조 중부의 축홀을 통과하여 베어링 박스(43)를 통해 골조에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18, 19, 20)은 막대모양 구조의 드롭 센터림에 감겨 있으며 각 구성품의 설치조합 관계는 도 52와 같다. 아래에 반원형 막대 또는 원형 막대를 예로 들어 소개하고자 한다. 반원형 또는 원형 막대는 도 6, 7, 9, 10, 11, 12, 20, 21, 22중의 임의의 일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 도 7, 8은 막대모양 구조의 측면도이다. 반원형 또는 원형 막대는 전체 몰딩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부분별 연결하는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그 중 도 11, 12는 림에 기어가 있는 원형 막대 또는 반원형 막대로서 쇠사슬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반원형 막대의 반원형 림의 센터드롭에는 와이어로프가 감겨 있는데 도 7, 9와 같다. 반원형 막대는 원형 막대에 비해 원자재를 절감하며 막대 상부와 고정시키기 쉽다. 적당한 위치에서 원형 막대와 반원형 막대는 상호 교체할 수 있는데 도 35, 도 47과 같으며 각 원형 막대, 반원형 막대 사이의 연결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비교적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감기 경로와 연결위치는 다음과 같다. 막대모양 구조(41-1, 41-2)의 드롭 센터림 사이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18)로 연결하고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18) 양단은 드롭 센터림에 고정한다.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 위치를 표시하며 방식은 도 23, 24, 25, 26과 도 35의 상응한 감기 경로와 위치를 참조한다. 반원형 막대(41-3, 41-40)의 드롭 센터림 사이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19)로 연결하고 와이어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 위치를 표시하며 도 27, 28, 29, 30, 35를 참조한다. 반원형 막대(41-2, 41-3)의 드롭 센터림 사이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20)로 연결하며 로프에 그려져 있는 동그라미는 고정점 위치를 표시하며 도 31, 32, 33, 34, 도 35에 표시되어 있는 네 가지 중 하나와 같다. 이상의 조치로 모두 연결하면 유형1의 체인기어(42)와 체인기어(44)가 본 시설에 대한 역할을 전부 대체할 수 있는바 즉 유형2에서는 체인기어와 쇠사슬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 18, 19, 20 세 위치의 연결 중 매개 위치의 연결은 모두 장치의 일부분으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하면 하나의 작업 플랫폼만 작동할 경우 도 44, 도 45에 표시된 것과 같으며 또한 다른 위치의 연결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하면 이중 작업 플랫폼의 협동작업이다.
유형2의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사용할 경우 또다른 장점은 막대 자재에 대한 시설의 역학적 강도 요구가 하강되므로 막대가 받는 힘에 필요한 자체의 횡단면적을 감소하며 나아가 원자재를 절약하고 원가를 절감하며 대각선 막대를 생략할 수 있다. 결점은 유형1의 구조에 비해 더 복잡하다는 점이다. 본문은 도면을 간략하게 표시하여 원리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였으며 도1(종동 및 동력보조 유형1과 유형2 혼합사용)과 도 35(종동 및 동력보조 유형2 단독 사용)에서만 해당 장치의 구성품을 표시하였는데 기타 도의 상응한 위치에도 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유형1과 유형2에는 합병막대의 변화방식이 있는데 즉 두 개의 작업 플랫폼의 인접하고 있는 두 막대모양 구조를 길이가 더 긴 막대모양 구조로 대체하는 것으로서 이런 막대모양 구조는 중부에 홀이 있어 베어링 설치 시 이용되며 양단은 각각 두 작업 플랫폼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도 19, 20, 21, 22, 도 46과 같다. 이런 구성품은 플랫폼에 필요한 막대모양 구조의 수량을 감소하지만 자체 자재 강도와 구조 강도에 대한 요구가 높다. 작업상태는 도 46, 도 69와 같다.
(5) 전자제어장치: 칩, 계전기, 제어스위치, 가변저항기, 변압기,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디지털 회로 집중제어박스5를 포함한다. 제어스위치는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 정지를 제어할 수 있고 리미트스위치, 계전기는 작업 플랫폼이 설정된 위치에 정지하게 한다.
(6) 선택사항으로 자동 장애감시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 하 작업 플랫폼의 전후단에 설치하고 무선발사, 수신 장치(6)를 장착하고 있으며 도 58과 같다.
설정된 반사거리 내에 예하면1.5미터 내에서 장애물을 발견할 경우 동작정지 신호를 발송하며 시설은 동작을 정지한다. 이는 시설 동작 과정에 작업 플랫폼이 주변 장애물 또는사람과 충돌하지 않도록 피면할 수 있다.
(7) 본 시설의 골조 받침대 네 모서리에는 선택사항으로 휠(7)을 설치하여 시설에 이동성을 부가할 수 있다. 자동차 섀시를 설치하고 동력을 추가하면 자동차처럼 어디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시설자원의 합리적 배치를 실현하게 되는데 도 59와 같다. 4개의 기둥 안쪽에는 선택사항으로 쐐기(8)를 설치할 수 있는데 푸석푸석한 바닥(예하면 실외 토사지)에 고정시킬 때 사용할 수 있으며 도 59와 같다.
(8) 선택사항으로 설치할 수 있는 브로킹 장치(9): 작업 플랫폼 위에 있는 물체가 미끌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브로킹 장치는 또한 단독으로 주차장 지면에 설치하여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측면 특정위치에 구멍(91)을 낸 내향플랜지 앵글(92), 횡단면 형태가 “”모양인 사각관(93), 헤드부에 락홀(94)이 있고 꼬리부분에 삽관이 있는 스프링버튼(95), 휠(96)이 있는 축(97), 회전축이 있는 보호측벽(98), 풀링핸들(99)을 포함하며 도 60, 도 61과 같다.
사용 시 핸들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된 주차장 잠금장치를 위로 들어올린 후 내향플랜지 앵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버튼(95)이 구멍(91) 위치에 이르면 자동으로 올라와 잠금상태로 되고 삼각 지지상태로 나타나는데 도 62, 도 63과 같다. 주차장 잠금장치를 해제할 때 손가락으로 스프링버튼을 눌러주면 브로킹 장치는 자체 중력의 작용 하에 자동으로 미끌어 내려와 수평위치로 되어 물체를 통과시키는데 도 61과 같다.
(9) 선택사항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10): 매개 작업 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장애감시장치의 맞은편에는 충돌 후 비상정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두 가지 설계안이 있다.
설계안1: 작업 플랫폼의 이쪽 면의 두 모서리에는 도 64와 같이 두 개의 금속관(10-3)이 있는데 금속관 상단에는 지압식 비상정지스위치(10-1)가 설치되어 있고 두 금속관은 하나의 코드(10-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코드(10-2)는 다른 비상정지스위치의 가동코드이다. 작업 플랫폼 이쪽 면이 동작과정에 장애물과 충돌하게 되면 장애물은 이쪽 면의 비상정지 지압식 스위치를 누르거나 코드를 누르게 되어 시설이 비상정지된다.
설계안2: 작업 플랫폼의 이쪽 면의 두 모서리에 신축성 지지대(10-5)를 설치하는데 지지대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가장 기본적인 것은 “ ”모양이다. 지지대의 두 다리에는 신축성 자재가 있으며 신축성 자재 중간에 구멍이 있다. 지지대의 막대모양 접촉단자(10-4)는 신축성 자재 중간에 있는 구멍으로 통과하는데 신축성 자재가 압축되면 플랫폼의 다른 회로와 연결된 접촉단자와 접촉하여 정지신호를 발송함으로써 시설을 정지시킨다.
구체적 실행방식
아래에 첨부도면과 실행 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을 더하고자 한다. 골조 유형은 상부에 도르래가 있는 4기둥형 골조를 기준으로 하며 무거운 물체는 자동차를 예로 든다. 막대모양 구조의 유형이 부동함으로 구동방식도 다소 차이가 있으며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의 연결위치가 부동하게 나타난다. 아래에 두 가지 상황에 대해 소개하기로 한다.
유형1: 도 2, 3, 4에 표시된 사각형 막대를 사용할 경우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는 작업 플랫폼에 고정시키는데 도 55와 같다. 34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을 사용할 수도 있고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간략한 서술을 위해 34는 전부 와이어로프를 예로 들어 소개한다. 작업 플랫폼(22)에 자동차를 격납하고 주차위치를 상층공간으로 상승시킬 경우 주차시설은 도 55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를 가동하며 감속모터(31)은 포워드로 회전하여 컨베이어 벨트(32)를 통하여 와인딩드럼(33) 및 와이어로프(34)를 운동시킨다. 따라서 작업 플랫폼(22)에 고정시킨 와이어로프(34-1)가 감기고 다른 작업 플랫폼(21)과 연결된 와이어로프(34-2)는 풀리게 된다. 와이어로프(34-1)의 견인력에 의해 작업 플랫폼(22)가 능동적으로 상승하며 플랫폼과 힌지 연결된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4개의 막대(41), 4개의 체인기어(42) 및 쇠사슬(43) 포함)를 회전시킨다. 이 4개의 체인기어는 쇠사슬의 구동에 힘 입어 다른 작업 플랫폼(21)과 힌지 연결되어 있는 기타 4개의 체인기어 및 막대를 회전시키며 다른 작업 플랫폼(21)이 상응하게 하강운동을 하게 한다. 두 작업 플랫폼은 쇠사슬 및 체인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조화적인 동시적 운동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모터의 동력 출력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작업 플랫폼(22)이 예정된 위치로 상승한 후 다른 작업 플랫폼21은 당연하게 동시적으로 하강위치에 이르게 된다. 작업 플랫폼(22)이 상승 예정위치와 접근할 때 리미트스위치를 접촉하여 시설은 정지되며 도 55와 같다.
차량을 출고시킬 경우 제어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속모터를 역회전시켜 와인딩드럼 및 와이어로프를 역회전시키며 반원형 막대의 드롭 센터림에 감겨 있던 와이어로프가 풀리며 작업 플랫폼(22)이 하강한다. 다른 작업 플랫폼(21)과 힌지 연결되어 있던 반원형 지지막대 드롭 센터림의 와이어로프(34-2)는 감기면서 다른 한 작업 플랫폼(21)이 능동적으로 상승하게 하며 체인기어, 쇠사슬, 막대가 가동되면서 차량 운반판넬(22)이 높은 위치에서 지면으로 하강하여 차량 출고 과정을 완성한다.
작업 플랫폼(21)에 자동차를 적재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은 작업 플랫폼(22)의 자동차 입/출고 방식과 반대된다.
유형2: 반원형 막대 또는 원형 막대를 사용할 경우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 또는 컨베이어 벨트(34)는 드롭 센터림 말단부를 통하여 반원형 막대 또는 원형 막대의 특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데 도 56, 도 47과 같다. 34는 또한 작업 플랫폼의 특정위치에 고정할 수도 있는데 도 1과 같다. 작업 플랫폼(22)에 차량을 격납하고 작업 플랫폼을 상층 공간으로 상승시킬 경우 주차시설은 도 56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를 가동하며 감속모터(31)는 포워드로 회전하여 컨베이어 벨트(32)를 통하여 와인딩드럼(33) 및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을 운동시킨다. 따라서 반원형 막대의 드롭 센터림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이 수축되고 다른 작업 플랫폼21과 힌지 연결되어 있는 반원형 막대의 드롭 센터림의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2)은 풀리게 된다.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의 견인력에 의해 작업 플랫폼(22)이 능동적으로 상승하며 플랫폼과 힌지 연결된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4개의 막대(41), 4개의 체인기어(42) 및 쇠사슬(43) 포함)를 회전시킨다. 이 4개의 체인기어는 쇠사슬의 구동에 힘 입어 다른 작업 플랫폼(21)과 힌지 연결되어 있는 기타 4개의 체인기어 및 막대를 회전시키며 다른 작업 플랫폼(21)이 상응하게 하강운동을 하게 한다. 두 작업 플랫폼은 쇠사슬 및 체인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조화적인 동시적 운동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모터의 동력 출력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작업 플랫폼22가 예정된 위치로 상승한 후 다른 작업 플랫폼(21)은 당연하게 동시적으로 하강위치에 이르게 된다. 작업 플랫폼(22)이 상승 예정위치와 접근할 때 리미트스위치를 접촉하여 시설은 정지되며 도 56과 같다.
차량을 출고시킬 경우 제어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속모터를 역회전시켜 와인딩드럼 및 와이어로프를 역회전시키며 반원형 막대의 드롭 센터림에 감겨 있던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이 풀리며 작업 플랫폼(22)이 하강한다. 다른 작업 플랫폼(21)과 힌지 연결되어 있던 반원형 지지막대 드롭 센터림의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2)이 감기면서 다른 한 작업 플랫폼(21)이 능동적으로 상승하게 하며 체인기어, 쇠사슬, 막대가 가동되면서 차량 운반판넬(22)이 높은 위치에서 지면으로 하강하여 차량 출고 과정을 완성한다.
작업 플랫폼(21)에 자동차 입/출고하는 과정은 작업 플랫폼(22)의 자동차 입/출고 방식과 반대된다.
시설이 2기둥형 골조를 사용할 경우 구동장치와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의 배치는 상기 방식과 다소 부동하며 작업운동방식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1, 34-2)은 각각 원형 지지막대(41-2, 41-3)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 67과 같다. 그 중 34-1의 한쪽 말단은 원형 지지막대(41-2)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1개의 상기둥(121)에 설치된 1개의 고정도르래를 에돌아 아래로 와인딩드럼 또는 쇠사슬 수집장치와 연결되어 있다(상기둥(121)에는 두 개의 고정도르래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34-2의 한쪽 말단은 원형 지지막대(41-3)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둥(121)에 설치된 다른 한 고정도르래를 에돌아 아래로 와인딩드럼 또는 쇠사슬 수집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34-1, 34-2를 원형 지지막대(41-1, 41-4)와 연결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려면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이 더 길어야 하며 도 68과 같다.
좀 더 긴 막대모양 구조로 두 작업 플랫폼과 인접하고 있는 막대모양 구조를 대체, 즉 합병 막대의 경우 와이어로프(34-1, 34-2)의 한쪽 말단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상기둥(121)의 고정도르래를 에돌아 아래로 다시 전향풀리를 에돌아 와인딩드럼과 연결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작업 플랫폼 또는 원형 막대 또는 반원형 막대의 특정위치에 고정하는데 도 46과 같다.
상기둥 골조를 사용한 본 시설의 작업운동방식은 4기둥 골조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다.
리프팅 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여러 셋트의 플랫폼을 병렬하여 동시에 리프팅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는데 도 72와 같다. 예하면 교량 건설과정에 여러 셋트의 플랫폼을 병렬시켜 사용하면 교량면 너비를 증가하고 교량의 하중 수용력을 제고할 수 있다.
그 외에 상, 하 작업 플랫폼의 전환과정에 상, 하 작업 플랫폼의 전후단에는 무선 발사, 수신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도 58과 같다. 인위적으로 설정한 반사거리 내, 예하면 1.5미터 내에서 장애물을 발견하면 동작 정지 신호를 발송하여 시설을 정지시킴으로서 시설 동작 과정에 작업 플랫폼이 주변의 운동 중 또는 정지되어 있는 장애물 또는 사람과 충돌하지 않도록 피면할 수 있다.
브로킹 장치는 핸들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놓여 있는 주차장 잠금장치를 위로 올린 후 내향플랜지 앵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버튼(95)이 구멍(91) 위치에 이르러 자동으로 올라와 잠금상태로 되는데 도 62, 63과 같다. 브로킹 장치를 해제하려면 손가락으로 스프링버튼을 눌러주어 브로킹 장치가 자체 중력의 작용 하에 자동으로 미끌어져 수평 위치로 돌아오게 하면 되는데 도 62와 같다.
본 시설의 골조 받침대의 네 모서리에는 선택사항으로 휠(7)을 달 수 있는데 자동차 섀시를 설치하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럭을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로 끌어갈 수 있으므로 시설 자원의 합리적 배치를 실현하였는데 도8과 같다. 4개의 상기둥 안쪽에는 선택사항으로 쐐기(8)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푸석푸석한 바닥(예하면 실외 토사지)에 고정시킬 때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 도 59과 같다. 표준적인 단단한 바닥면은 기초볼트만으로도 지면과 고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촉 후 비상정지 장치(10)는 작업 플랫폼의 한쪽 면이 동작과정에 장애물과 충돌하여 비상정치 장치와 접촉하게 되면 시설은 비상정지되는 것이다.
본 시설은 여러 가지 무거운 물체들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데 적정한 조건이 마련되면 적재용 리프트, 크레인의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한 대 또는 여러 대의 시설을 조종하여 교량을 신속하게 조립하여 차량과 행인이 통행하게 할 수 있으며 상하로 2층 통로를 제공하므로 비상시기 또는 자연재해 발생 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 본 시설이 교량 조립구조로서의 용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한 대 또는 여러 대의 본 시설을 조종할 경우 매개 시설의 작업 플랫폼이 동일한 수평위치 또는 동일한 수평에 가까운 위치(플랫폼 사이의 일정한 높이차 허용)를 유지하게 하고 각 시설을 앞뒤로 연결하고 양단에 경사도를 주면 신속하게 교량을 가설할 수 있으며 물론 현유 기지의 교량구조와 혼합 배열하여 교량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70, 71과 같다. 매개 시설의 두 플랫폼 또는 여러 대 시설의 플랫폼이 절대적으로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할 것은 요구하지 않으며 일정한 높이차가 허용되는데 도 70과 같다. 이렇게 되면 적당하게 경사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부에 고무 등 기초층과 경사면을 받쳐주어 교량면의 굴곡을 감소할 수 있다. 그 중 플랫폼과 플랫폼의 연결, 즉 교량면 구조와 교량면 구조의 연결은 아주 편리하며 엄격한 요구가 필요없다. 왜냐하면 전통방식의 조립과 교량 연결은 일반적으로 교량면 구조의 연결부 밑부분에 기둥을 세워 지지해 주는데 각 구간 교량의 중량이 모두 이런 기둥들에 집중되며 교량가설장치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설치해야 하지만 본 시설의 여러 플랫폼으로 구성된 교량구조는 플랫폼 연결부에 기둥을 설치하여 지지해 줄 필요가 없으므로 교량 가설 난이도를 대폭 하강하고 공사기한을 단축한다. 그 원인은 전반 구조가 받는 힘은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34) 및 교량 위에 힌지 연결된 막대모양 구조, 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통해 한 개 시설의 두 작업 플랫폼이 받는 힘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교량면 연결부에 기둥을 설치하여 지지해 주면 교량 전체의 역학구조를 더 완벽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형의 기복변화에 따라 부동한 높이의 작업 플랫폼과 기둥을 설계할 수 있는데 도 70과 같다.
여러 셋트의 플랫폼을 병렬하여 동시적으로 리프팅하는 방식은 도 72와 같으며 예를 들어 교량 건설 중에 여러 셋트의 플랫폼을 병렬하여 사용하면 교량면 너비를 증가하여 하중 수용력을 제고할 수 있다.
그 밖에 작업 플랫폼의 실제 하중량의 증가에 따라 건축공사에 이용되는 사장교 또는 현수교의 와이어 배치방식을 참조하여 작업 플랫폼과 기둥 사이의 와이어로프 또는 쇠사슬 연결수량을 증가하고 막대모양 구조의 수량을 증가할 수 있으며 필요시 두 기둥 사이에 연결용 대들보(24)를 증가할 수도 있는데 도 73과 같다. 작업 플랫폼의 실제 하중량 크기에 따라 막대 또는 막대모양 구조도 건축공사 또는 기계공사에 이용되는 여러 가지 역학구조 형식을 취할 수 있는바 예하면 보강용 리브, 트러스구조 등이다. 도 73의 음영부분은 하층 통로 도로면을 평탄하게 받쳐주는 충전물과 기초층이다.
작업 플랫폼의 형태는 실제 수요에 따라 요철형의 비 수평면 플랫폼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런 작업 플랫폼은 일부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는바 예하면 교량 가설에 아주 큰 도움을 주며 도 74와 같다. 그 중 25는 경사면 및 신축 슬롯 장치이다.
가설한 교량을 철거해야 할 경우 매개 시설을 조종하여 상, 하층 플랫폼으로 "수축"되게 한 후 시공업자들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모 구간의 교량구조 플랫폼에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신규 시설로 교체하거나 시설을 조종하여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한 구간의 교량구조 플랫폼 높이를 지면, 수면과 가깝게 낮추어 유지보수, 교체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유지보수 난이도를 낮추고 유지보수 시간을 절약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일부 상황의 리프팅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플랫폼은 대들보로 간소화 시킬 수 있는데 도 38, 도 39와 같다. 심지어 막대모양 구조에 장착한 고리 또는 링을 직접 이용할 수도 있는데 도 40, 도 41과 같다. 컨테이너를 들어올릴 경우 시설의 막대모양 구조는 컨테이너 양측에 직접 닿을 수 있는데 이때 플랫폼은 대들보로 간소화되며 대들보에 장착된 클램프, 리깅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상부 모서리 끼움쇠 또는 하부 모서리 끼움쇠용 핀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직접 망상구조물로 하중 물체 밑부분을 감싸고 망상구조물과 두 개의 대들보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8은 컨테이너를 길이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방법이며 컨테이너를 너비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도 39, 도 42와 같다.
들어올리는 물체가 수평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을 경우 즉 이동과정에 물체가 흔들리는 것이 허용될 경우 하나 또는 두 개의 병렬된 막대모양 구조를 리프팅 장치로 사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데 이때 작업 플랫폼은 고리, 링 또는 전용 클램프, 리깅으로 간소화되며 도 41, 도 42와 같다. 도 42에서는 막대모양 구조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 플랫폼을 전용 컨테이너 클램프로 간소화 하였으며 수직면에서 컨테이너를 360도에 가깝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3에서는 병렬된 두 개의 막대모양 구조를 이용하여 작업 플랫폼을 전용 컨테이너 클램프로 간소화 하였으며 수직면에서 컨테이너를 360도에 가깝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은 단지 본 특허의 일부 특정된 실행 예에 관한 것으로서 본 특허는 이상의 도면 예시 또는 서술에 취급된 특정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은 본 특허의 실질적 정신 및 범위 내의 모든 변화 방안을 포함한다.
Claims (10)
-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로 골조, 최소 1개의 작업 플랫폼, 구동장치,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고, 막대모양 구조(41)의 한쪽 말단은 골조와 유연 연결하며, 다른 쪽 말단은 작업 플랫폼과 유연 연결하여 작업 플랫폼이 막대모양 구조와 함께 활동할 수 있고 동력의 작용 하에 작업 플랫폼은 골조와 상대적으로 곡선트랙를 이루며 운동하며 트랙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
- 제1항에 있어서, 막대모양 구조(41) 형태가 반원형 막대, 원형 막대, 사각형 막대, 타원형 막대, 반타원형 막대, 물방울형 막대, 반물방울형 막대, 역물방울형 막대, 역 반물방울형 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는 링크기구가 저속운동 과정에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역회전과 무효 회전 발생가능한 기계학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또한 작업 플랫폼 사이에서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전환,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모든 유형은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전부 또는 일부 구조의 방식으로 병용 또는 상호 교체하여 본 시설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중 한 가지 유형의 일부 구조를 본 시설에 사용할 수도 있고, 이 두 가지 장치는 본 시설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종의 방법과 원리로써 협동운동이 필요한 기타 설비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의 상기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가 막대모양 구조(41), 체인기어(42), 베어링대(43), 쇠사슬(44)를 포함하며, 그 중 막대모양 구조의 한쪽 말단은 베어링 박스(43)를 통하여 골조에 고정하고, 체인기어(42)와 막대모양 구조(41)의 한쪽 말단은 고정연결하며 쇠사슬(44)은 체인기어(42)에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및 동력보조장치가 막대모양 구조(41), 막대모양 구조의 드롭 센터림에 감겨 있는 와이어로프,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 베어링 박스(43), 축(50)을 포함하며, 그 중 축(50)은 막대모양 구조를 지나 베어링 박스(43)를 통과하여 골조에 고정하며 와이어로프,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는 막대모양 구조의 드롭 센터림에 감겨 있으며, 그 중 와이어로프, 로프의 말단부는 림에 고정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막대모양 구조(41) 사이에 와이어로프, 쇠사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로프로 단독 또는 상호 조합 방식으로 환형 연결하여 조화운동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작업 플랫폼의 전후단에 선택사항인 무선 감시 장치(6)를 설치하여 시설 동작과정에 작업 플랫폼이 주변 장애물 또는 사람과 충돌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작업 플랫폼에 브로킹 장치(9)를 설치하는데 헤드부에 락홀(94)이 있는 스프링버튼(95)과 풀링핸들(99), 휠(96)이 있는 축(97)을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고, 브로킹 장치는 주차장 지면에 단독으로 설치하여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고, 작업 플랫폼의 한쪽 면에 충돌 후 비상정지 장치(10)를 설치하여 플랫폼의 한쪽이 동작과정에 장애물과 접촉할 경우 시설이 비상정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본 시설의 골조 받침대에는 선택사항인 휠(7)을 장착하여 이동성을 부가하고 시설 자원의 합리적 배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
-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조립식 교량구조를 교량구조로서 사용하는 교량 가설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의 특징을 보유하고 있는 한 대 또는 여러 대의 본 시설을 조종하여 상기 매개 시설의 작업 플랫폼이 동일한 수평위치 또는 비슷한 수평위치에 놓이게 하고, 각 시설의 플랫폼을 앞뒤로 연결하면 신속히 교량을 가설할 수 있고, 상기 교량구조와 현유 기지의 교량구조를 병용하여 교량을 구성하여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가설된 교량을 철거해야 할 경우 매개 시설을 조종하여 상, 하층 플랫폼으로 "수축"되게 한 후 시공업자들이 이동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모 구간의 교량구조 플랫폼에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 구간을 신규 시설로 교체하거나 시설을 조종하여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한 구간의 교량구조 플랫폼 높이를 낮추거나 지면, 수면과 가깝게 하여 유지보수,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구조는 교량 가설 시 플랫폼 간에 일정한 높이차가 존재하는 것을 허용하며 플랫폼은 수평면으로 구성되거나 실제 수요에 따라 요철형 곡면 플랫폼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0810103187 | 2008-04-01 | ||
CN200810103187.2 | 2008-04-01 | ||
CN200820079945.7 | 2008-04-15 | ||
CN200820079945 | 2008-04-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850A true KR20110023850A (ko) | 2011-03-08 |
Family
ID=4113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4564A KR20110023850A (ko) | 2008-04-01 | 2009-03-02 |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복합 교량구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41267A1 (ko) |
EP (1) | EP2278094B1 (ko) |
JP (1) | JP2011507781A (ko) |
KR (1) | KR20110023850A (ko) |
AU (1) | AU2009230956B2 (ko) |
CA (1) | CA2720316A1 (ko) |
WO (1) | WO200912125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9113B1 (ko) * | 2013-08-26 | 2014-05-30 | (주)지엠지 | 교량 교체시공용 교량이동장치 |
KR20240092850A (ko) | 2022-12-15 | 2024-06-24 | 한국전기연구원 | 대면적 초고주파 플라스마 여기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95731B (zh) * | 2009-04-15 | 2014-08-20 | Vsl国际股份公司 | 架空模板移动起重机及方法 |
CN102383637B (zh) * | 2011-08-19 | 2013-09-04 | 马传辉 | 储能式遥控汽车车位锁 |
CN103362333B (zh) * | 2013-07-30 | 2015-08-12 | 南京林业大学 | 一种垂直升降式的轿车停车装置 |
CN103603515B (zh) * | 2013-09-18 | 2015-10-28 | 浙江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 一种立体停车装置 |
CN104612431B (zh) * | 2014-12-16 | 2017-04-05 | 山东建筑大学 | 双环圆形分体式垂直旋转立体车库 |
CN104898706B (zh) * | 2015-04-30 | 2018-10-12 | 长安大学 | 一种隧道内可移动式动态监控云台 |
CN205688898U (zh) * | 2016-06-21 | 2016-11-16 | 昆山翔固机械有限公司 | 一种平衡式升降停车装置 |
US10648594B1 (en) * | 2017-09-01 | 2020-05-12 | Richard Faulkner | Adjustable vertical support frame |
CN107381364B (zh) * | 2017-09-05 | 2020-02-21 | 东台市富康机械有限公司 | 隧道起重机 |
CN108122016B (zh) * | 2017-11-14 | 2020-11-17 | 东莞市海柔智能科技有限公司 | 自动存取货物的方法和装置 |
AU2018368406B2 (en) | 2017-11-14 | 2022-02-17 | Hai Robotics Co., Ltd. | Automated guided vehicle designed for warehouse |
CN109680999A (zh) * | 2018-12-25 | 2019-04-26 | 安徽乐库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 一种升降横移式停车设备的共用提升装置 |
CN111776987A (zh) * | 2019-05-30 | 2020-10-16 |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导引运载车的举升机构及自动导引运载车 |
CN110593116A (zh) * | 2019-09-27 | 2019-12-20 |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 一种适用于钢桥施工的高空作业平台装置 |
CN111563344B (zh) * | 2020-05-28 | 2022-07-15 |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 分层浇筑混凝土首层梁受力安全判断方法 |
CN112428469B (zh) * | 2020-11-10 | 2022-06-17 | 东莞市东吴精密塑胶五金有限公司 | 一塑胶胶制品的生产工艺 |
CN112716619B (zh) * | 2021-01-18 | 2023-01-24 | 西安交通大学第二附属医院 | 妇产科手术用的手术支架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41559C (de) * | 1927-03-11 | Ind Werke Akt Ges Deutsche | Montagefahrzeug | |
FR818820A (fr) * | 1936-06-09 | 1937-10-04 | Pont élévateur pour véhicules automobiles et autres applications | |
GB505597A (en) * | 1937-11-15 | 1939-05-15 | Sidney Frank Burrows |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ramps or platforms for elevating motor road and other vehicles and loads |
US2576426A (en) * | 1948-04-20 | 1951-11-27 | Thurzo Laszlo Nagy | Lifting frame for the assembly, repair, and cleaning of motor cars |
LU44397A1 (ko) * | 1963-05-21 | 1963-11-07 | ||
FR1524844A (fr) * | 1967-05-30 | 1968-05-10 | J E Greiner Company | Procédé et appareil pour le garage des avions dans les aéroports |
US4058228A (en) * | 1976-03-04 | 1977-11-15 | Hall Edward L | Passenger vehicle access stair and elevator apparatus |
JPS5466417U (ko) * | 1977-10-19 | 1979-05-11 | ||
US4499970A (en) * | 1982-06-25 | 1985-02-19 | Environmental Equipment Corporation | Wayside wheelchair lift |
CH664549A5 (en) * | 1984-10-08 | 1988-03-15 | Hans Fickler | Portable hoist for bed frame - has detach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wo frames with supports on parallelogram linkages |
US5111912A (en) * | 1990-12-17 | 1992-05-12 | Hogan Mfg., Inc. | Spring-loaded drive assembly for a wheelchair lift |
JPH06341242A (ja) * | 1993-06-02 | 1994-12-13 | Shin Meiwa Ind Co Ltd | 循環式駐車設備 |
JPH074099A (ja) * | 1993-06-21 | 1995-01-10 | Hirakazu Kudo | 立体駐車場 |
FR2721292B1 (fr) * | 1994-06-16 | 1996-09-06 | Robert Rocher | Dispositif permettant d'augmenter la capacité de stockage de véhicules, remorques, ou autres, sur une surface définie. |
FR2730483B1 (fr) * | 1995-02-10 | 1997-03-21 | Triska Stephane | Poutre multifonctionnelle a parallelogrammes deformables |
JP2872962B2 (ja) * | 1995-03-29 | 1999-03-24 | 株式会社技研製作所 | 車両の搬送装置 |
JP3370496B2 (ja) * | 1995-10-30 | 2003-01-27 | 日本輸送機株式会社 | リンク同調機構 |
JPH11292479A (ja) * | 1998-04-10 | 1999-10-26 | Murata Mach Ltd | 板材ローダ |
CN2340836Y (zh) * | 1998-09-02 | 1999-09-29 | 李冠锋 | 同步连动升降盘 |
JP2002188312A (ja) * | 2000-12-18 | 2002-07-05 | Seki Kazuko | モジュール型重層駐車装置 |
US6644947B2 (en) * | 2002-03-14 | 2003-11-11 | Tuthill Corporation | Wave tooth gears using identical non-circular conjugating pitch curves |
JP2005188175A (ja) * | 2003-12-26 | 2005-07-14 | Transportation Systems Electric Corp | 駐車車両固定装置 |
CN2890245Y (zh) * | 2006-02-16 | 2007-04-18 | 王一道 | 侧位两层停车设备 |
JP2007323112A (ja) * | 2006-05-30 | 2007-12-13 |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 搬送装置の衝突防止制御装置と方法 |
CN201047182Y (zh) * | 2006-08-28 | 2008-04-16 | 孙蒙 | 红外自动识障的转动式可移动的立体停车设备 |
ITMI20070429A1 (it) * | 2007-03-02 | 2008-09-03 | Geico Spa |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atto a fare traslare immergere e ruotare le scocche di autoveicoli furgoni cabine per camions e contenitori di oggetti metallici vari in vasche di trattamento e successivamente ad estrarle |
ITMI20080037A1 (it) * | 2008-01-10 | 2009-07-11 | Geico Spa |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perfezionato atto a fare traslare, immergere e ruotare le scocche di autoveicoli, furgoni, cabine per autocarri e contenitori di oggetti metallici vari in vasche di trattamento e successivamente ad estrarle. |
DE202008001760U1 (de) * | 2008-02-01 | 2008-04-17 |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 Parksperrenanordnung |
-
2009
- 2009-03-02 JP JP2010540024A patent/JP2011507781A/ja active Pending
- 2009-03-02 US US12/864,162 patent/US2011004126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3-02 KR KR1020107024564A patent/KR2011002385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3-02 EP EP09727728.9A patent/EP2278094B1/en active Active
- 2009-03-02 CA CA2720316A patent/CA272031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3-02 WO PCT/CN2009/070597 patent/WO2009121254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3-02 AU AU2009230956A patent/AU2009230956B2/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9113B1 (ko) * | 2013-08-26 | 2014-05-30 | (주)지엠지 | 교량 교체시공용 교량이동장치 |
KR20240092850A (ko) | 2022-12-15 | 2024-06-24 | 한국전기연구원 | 대면적 초고주파 플라스마 여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278094B1 (en) | 2014-05-07 |
WO2009121254A1 (zh) | 2009-10-08 |
US20110041267A1 (en) | 2011-02-24 |
AU2009230956B2 (en) | 2013-02-14 |
JP2011507781A (ja) | 2011-03-10 |
EP2278094A1 (en) | 2011-01-26 |
CA2720316A1 (en) | 2009-10-08 |
EP2278094A4 (en) | 2012-05-16 |
AU2009230956A1 (en) | 2009-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23850A (ko) | 다목적 하중 리프팅 작업 플랫폼 또는/및 복합 교량구조 | |
CN201228206Y (zh) | 自制小型吊车 | |
CN109843779A (zh) | 具备吊篮装置的作业用车辆 | |
CN101643187B (zh) | 多用途载重举升工作平台或/和组合式桥梁结构 | |
CN203412327U (zh) | 旋转升降式立体车库 | |
CN108928783B (zh) |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用剪式攀爬吊装机 | |
CN104343263A (zh) | 旋转升降式立体车库 | |
CN105692470A (zh) |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 |
CN201038657Y (zh) | 一种输电线路铁塔攀爬机 | |
JP2008162749A (ja) | ジブクレーン | |
CN2900454Y (zh) | 一种采用旋转平衡法吊装特大型设备的装置 | |
CN206942256U (zh) | 一种简易双层车库 | |
CN108466968A (zh) | 稳固的多功能升降平台 | |
CN210655866U (zh) | 机车调转装置及其机车龙门吊、集装箱龙门吊 | |
CN2775020Y (zh) | 一种起重机小车 | |
CN201517027U (zh) | 多用途载重举升或/和组合式建造桥梁的工作平台 | |
CN102146739A (zh) | 全地形立体停车库 | |
JPH08245174A (ja) | 屋上ジブクレーン | |
CN202912586U (zh) | 一种用于核电站旋臂起重机 | |
CN202577926U (zh) | 电梯井定型化操作平台 | |
CN205500636U (zh) | 一种水工构件搬运装置 | |
CN209780399U (zh) | 一种移动式智能升降雷达塔 | |
JP2951625B2 (ja) | 構造部材の設置装置及び設置工法 | |
CN204098493U (zh) | 一种建筑用模块式可拆装进出料活动平台 | |
CN201660377U (zh) | 超长大吨位专用龙门吊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