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878A -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878A
KR20110018878A KR1020107025984A KR20107025984A KR20110018878A KR 20110018878 A KR20110018878 A KR 20110018878A KR 1020107025984 A KR1020107025984 A KR 1020107025984A KR 20107025984 A KR20107025984 A KR 20107025984A KR 20110018878 A KR20110018878 A KR 20110018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cylglycerol
oil
reaction
raw material
lip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가세
도시테루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58Glycerides by transesterification, e.g. interesterification, ester interchange, alcoholysis or acid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를 공업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 모노아실글리세롤류를 물의 존재 하에,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는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FAT OR OIL CONTAINING LARGE AMOUNT OF DIACYLGLYCEROL}
본 발명은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아실글리세롤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유지는, 체지방 연소 작용 등의 생리 작용을 갖는 점에서, 식용유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아실글리세롤의 제조는, 통상, 글리세린과 유지의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에 의한 방법이나, 글리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한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3 참조), 모노글리세라이드와 유지를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는 방법도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또한,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하는 지방산을, 원료 유지를 고압 분해법과 효소 분해법을 조합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하고, 이어서 당해 지방산과 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한다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5 참조).
이들 제조법은 알칼리 촉매 등을 사용한 화학법과, 리파아제 등의 효소를 사용한 효소법으로 대별된다.
일본 특허공보 평6-65310호 일본 특허공보 평6-653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302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451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37923호
본 발명은 모노아실글리세롤류를 물의 존재 하에,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는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이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한 방법으로는, 얻어진 반응 생성물 자체의 디아실글리세롤 순도가 낮아, 고순도로 하기 위해서는 고진공의 증류 설비를 필요로 하는 등 디아실글리세롤의 순도 면 및 공업적 생산성 면에서 과제가 있다. 또한, 에스테르화에 의하면 반응 원료로 하는 지방산의 순도나 조건 설정에 따라, 디아실글리세롤의 순도를 높일 수 있는데, 제조 효율과 품질의 균형이나 비용 면에서 반드시 만족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를 공업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디아실글리세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해온 결과, 모노아실글리세롤류를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킴으로써, 고순도의 디아실글리세롤이 효율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가의 원료나 특수한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디아실글리세롤 함량이 많은 유지가 효율적으로 얻어지는 점에서, 공업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 방법에 사용하는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이하,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라고도 한다) 로는, 글리세린의 1 위치의 수산기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것 (1-모노아실글리세롤), 2 위치의 수산기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것 (2-모노아실글리세롤) 및 3 위치의 수산기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것 (3-모노아실글리세롤) 을 들 수 있는데, 1-모노아실글리세롤 또는 3-모노아실글리세롤의 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지방산 잔기의 탄소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탄소수 8 ∼ 24, 나아가 탄소수 14 ∼ 24, 특히 탄소수 16 ∼ 22 가 바람직하다. 지방산 잔기로는, 포화인 것 및 불포화인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유래의 아실기나, 이들의 산을 함유하는 우지, 돈지 등의 동물유, 채종유, 대두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차조기유, 오구나무유, 아마인유, 홍화유, 들깨유, 팜유 등의 식물유로부터 유도되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전체 구성 지방산 중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최종 제품의 외관, 생리 효과나, 공업적 생산성 면에서, 50 질량% (이하, 간단히 「%」라고 기재한다) 이상, 나아가 60 % 이상, 특히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구성 지방산 중,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최종 제품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을 저감시키는 점에서,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 최종 제품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을 보다 고도로 저감시키는 점에서는, 2 % 이하, 나아가 1.5 % 이하, 특히 1 % 이하, 더 더욱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는 채종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미강유, 홍화유, 면실유, 우지, 아마인유, 어유 (魚油) 등의 유지의 가수분해 반응, 이들 각종 유지와 글리세린의 글리세롤리시스 반응, 이러한 유지 유래의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에스테르화 반응 등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는 분별, 혼합한 것, 수소 첨가나 에스테르 교환 반응 등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조정한 것도 이용할 수 있는데, 수소 첨가하지 않은 것이 유지의 구성 지방산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을 저감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반응 방법은 알칼리 촉매 등을 사용한 화학법, 리파아제 등의 효소를 사용한 효소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증류, 분획, 용제 추출, 수증기 증류 등에 의해 소기의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를 얻을 수 있다.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는, 제조 공정의 간략화, 비용 저감, 최종 제품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을 저감시키는 점에서, 유지와 글리세린의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에 의해 얻어진 반응 종료 오일 (이하, 「글리세롤리시스 반응 종료 오일」이라고도 한다)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에 사용하는 원료 유지는, 그 구성 지방산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이 3 % 이하, 나아가 2 % 이하, 특히 1 % 이하, 더 더욱 0.5 % 이하인 것이 최종 제품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을 저감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채종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미강유, 홍화유, 면실유, 우지, 아마인유, 어유 등의 미탈취 유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탈취 유지란, 유지의 정제 처리에 있어서 탈취를 실시하지 않은 유지를 말한다.
유지와 글리세린을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시키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하면 되고, 화학법, 효소법의 어느 것이어도 가능하다. 최종 제품 중의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을 저감시킨다는 점에서는, 화학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종 제품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효소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로서는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파아제로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하는 리파아제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을 효소법으로 실시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는 점, 리파아제의 실활을 억제하는 점에서, 반응 온도는 0 ∼ 100 ℃, 나아가 20 ∼ 80 ℃, 특히 30 ∼ 8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을 화학법으로 실시하는 경우, 촉매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또는 유기산 등의 산이나 그 염을 사용하는 것이,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는 점, 반응 오일의 색상을 좋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는 점,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점에서 100 ∼ 300 ℃, 나아가 150 ∼ 250 ℃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에는, 모노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롤, 트리아실글리세롤 및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을 높이는 점, 원료의 정제 부하 면에서 글리세린은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10 % 이하, 나아가 0 ∼ 5 %, 특히 0 ∼ 3 %, 더 더욱 0.1 ∼ 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로서, 유지와 글리세린의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에 의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 종료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리세롤리시스 반응 종료 오일로부터 글리세린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의 제거 방법은 원심 분리에 의해 글리세린층을 제거하는 방법, 감압에 의해 글리세린을 증류 제거하는 방법, 수증기 증류에 의해 글리세린을 제거하는 방법, 분층에 의해 글리세린층을 제거하는 방법, 수세에 의한 제거 방법, 흡착제 등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을 조합해도 된다.
최종 제품의 디아실글리세롤 순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의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은,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40 % 이하, 특히 0.1 ∼ 30 % 가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의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은, 4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30 % 이하, 특히 0.1 ∼ 20 % 가 바람직하다.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의 지방산 함유량은,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40 % 이하, 나아가 0.1 ∼ 30 %, 특히 0.1 ∼ 20 %, 더 더욱 0.1 ∼ 10 % 가 바람직하다.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의 모노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은, 4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0 % 이상, 특히 55 ∼ 99 % 가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하는 리파아제는 동물 유래, 식물 유래의 것은 물론, 미생물 유래의 시판 리파아제, 또한 리파아제를 고정화시킨 고정화 리파아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 교환용 리파아제는 라이조프스 (Rizopus) 속,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속, 크로모박테리움 (Chromobacterium) 속, 뮤코르 (Mucor) 속, 리조뮤코르 (Rhizomucor) 속, 슈도모나스 (Pseudomonas) 속, 지오트리쿰 (Geotrichum) 속, 페니실리움 (Penicillium) 속, 칸디다 (Candida) 속 등의 미생물 기원의 리파아제 및 췌장 리파아제 등의 동물 리파아제를 들 수 있다. 특히,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한 기능성 유지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미생물 기원으로는, 페니실리움 (Penicillium) 속, 리조뮤코르 (Rhizomucor) 속, 및 칸디다 (Candida) 속 등이 좋다.
또한, 리파아제를 담체에 고정화시킨 고정화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리파아제 활성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화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것은 반응 생성물과 리파아제의 분리가 간편한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고정화 담체로는, 셀라이트, 규조토, 카올리나이트, 실리카겔, 몰레큘러시브, 다공질 유리, 활성탄, 탄산칼슘, 세라믹스 등의 무기 담체, 세라믹스 파우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키토산, 이온 교환 수지, 소수 흡착 수지, 킬레이트 수지, 합성 흡착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보수력이 높은 점에서 이온 교환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 중에서도, 큰 표면적을 가짐으로써 리파아제의 흡착량을 많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공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화 담체로서 사용하는 수지의 입자직경은 50 ∼ 2000 ㎛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100 ∼ 1000 ㎛ 가 바람직하다. 좁은 구멍 직경은 10 ∼ 150 ㎚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10 ∼ 100 ㎚ 가 바람직하다. 재질로는, 페놀포름알데히드계, 폴리스티렌계, 아크릴아미드계, 디비닐벤젠계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페놀포름알데히드계 수지 (예를 들어, Rohm and Hass 사 제조 Duolite A-568) 가 리파아제 흡착성 향상 면에서 바람직하다.
리파아제를 고정화시키는 경우, 리파아제를 고정화 담체에 직접 흡착해도 되지만, 고활성을 발현하는 흡착 상태로 하기 위해서, 리파아제 흡착 전에 미리 담체를 지용성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로 처리하여 사용해도 된다. 사용하는 지용성 지방산으로는, 탄소수 8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수산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올레산, 리놀산, α-리놀렌산, 리시놀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유도체로는, 이들의 지방산과 1 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인지질, 및 이들의 에스테르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한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방산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그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폴리글리세린에스테르, 소르비탄에스테르, 자당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지용성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의 지용성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담체의 접촉법으로는, 물 또는 유기 용제 중의 담체에 이들을 직접 첨가해도 되는데, 분산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유기 용제에 지용성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일단 분산, 용해시킨 후, 물에 분산시킨 담체에 첨가해도 된다. 이 유기 용제로는, 클로로포름, 헥산, 아세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의 사용량은 담체 100 질량부 (이하, 간단히 「부」로 나타낸다) 에 대해 1 ∼ 1000 부, 나아가 10 ∼ 500 부가 바람직하다. 접촉 온도는 0 ∼ 80 ℃, 나아가 20 ∼ 60 ℃ 가 바람직하고, 접촉 시간은 5 분 ∼ 5 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처리를 끝낸 담체는 여과하여 회수하는데, 건조시켜도 된다. 건조 온도는 0 ∼ 80 ℃ 가 바람직하고, 감압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
리파아제의 고정화를 실시하는 온도는 리파아제의 특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데, 리파아제의 실활이 일어나지 않는 온도, 즉 0 ∼ 80 ℃, 나아가 20 ∼ 60 ℃ 가 바람직하다. 또 고정화시에 사용하는 리파아제 용액의 pH 는 리파아제의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이면 되고, 온도도 동일하게 리파아제의 특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데, pH 3 ∼ 9 가 바람직하다. 이 pH 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완충액을 사용하는데, 완충액으로는, 아세트산 완충액, 인산 완충액, 트리스염산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파아제 용액 중의 리파아제 농도는, 고정화 효율 면에서 리파아제의 포화 용해도 이하이고, 또한 충분한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리파아제 용액은 필요에 따라 불용부를 원심 분리에 의해 제거한 상청이나, 한외 여과 등에 의해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사용하는 리파아제 질량은 그 리파아제 활성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담체 100 부에 대해 5 ∼ 1000 부, 나아가 10 ∼ 500 부가 바람직하다.
리파아제의 고정화 후에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적절한 상태로 하는 점에서, 리파아제 용액으로부터 여과에 의해, 고정화 리파아제를 회수하고,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시키지 않고 반응 기질이 되는 원료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후의 고정화 리파아제 중의 수분은 사용하는 담체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고정화 담체 100 부에 대해 0.1 ∼ 100 부, 나아가 0.5 ∼ 50 부, 특히 1 ∼ 30 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칼럼 등의 충전 용기에 봉입하여, 펌프 등에 의해 원료를 순환시켜도 되고, 원료 중에 고정화 리파아제를 분산시켜도 된다. 접촉시키는 온도는 0 ∼ 80 ℃ 가 좋고, 리파아제의 특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접촉하는 시간은 0.2 시간 ∼ 200 시간 정도이면 되고, 공업적 생산성 면에서 3 시간 ∼ 100 시간이 바람직하다. 이 접촉이 끝났을 때 여과하고, 고정화 리파아제를 회수하는 것이 공업적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고정화 리파아제의 에스테르 교환 활성은, 후술하는 시험예 1 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조건으로, 반응 시간만 3 시간으로 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고, 반응 생성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반응 원료 중의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보다 1 % 이상 증가, 나아가 3 % 이상 증가, 특히 10 % 이상 증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회분식, 연속식, 또는 반연속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반응 장치에 공급되는 원료는, 미리 감압에 의한 탈수, 탈기 또는 탈산소를 실시하는 것이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의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을 많게 하여, 열화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하는 리파아제량은 리파아제의 활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데, 분해하는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100 부에 대해 0.01 ∼ 100 부, 나아가 0.1 ∼ 50 부, 특히 0.2 ∼ 30 부가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물의 존재 하에서 행해진다. 반응계 내에서의 물의 양은 4 % 이하, 나아가 0.01 ∼ 3 %, 특히 0.02 ∼ 2 % 로 하는 것이 반응 생성물의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물은 증류수, 이온 교환수, 수도물, 우물물 등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글리세린 등 그 밖의 수용성 성분이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필요에 따라, 리파아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pH 3 ∼ 9 의 완충액을 사용해도 된다.
물은 리파아제,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에 함유되는 것이어도 되지만, 합계의 물의 양이 4 % 이하가 되도록 컨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컨트롤의 방법으로는, (i) 미리, 각 성분의 수분량을 칼피셔법 등에 의해 측정해 두고, 합계의 수분량을 컨트롤하는 방법, (ii) 반응 성분을 완전하게 탈수하고, 이후에 소정량의 물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i) 방법이 분말의 리파아제 등 흡습성이 있는 것의 취급이 간략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화 리파아제가 유지하고 있는 수분량도, 상기 수분량에 포함하기로 한다.
반응 온도는 리파아제의 활성을 보다 유효하게 이끌어 내어, 분해에 의해 발생한 유리 지방산이 결정이 되지 않는 온도인 0 ∼ 80 ℃, 나아가 20 ∼ 7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응은, 공기와의 접촉이 가능한 한 회피되도록,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존재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등의 용제 하에서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의 디아실글리세롤의 순도는,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9 %, 나아가 70 ∼ 98 %, 특히 80 ∼ 97 % 인 것이 생리 효과, 공업적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아실글리세롤 순도는[디아실글리세롤 / (디아실글리세롤 + 트리아실글리세롤) × 10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 +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질량%]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 나아가 55 ∼ 98 %, 특히 60 ∼ 97 % 인 것이 생리 효과, 공업적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생성물 중의 모노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은 증류 부하를 저감시키는 점, 반응 효율을 높게 하는 점에서 2 ∼ 6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 ∼ 50 %, 특히 5 ∼ 50 %, 더 더욱 10 ∼ 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하여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디아실글리세롤 순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생리 효과를 갖는 유지로서 유용하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는 후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품으로 할 수 있다. 후처리는 증류, 산 처리, 수세, 탈취의 각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 공정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를 감압 증류함으로써, 반응 생성물로부터 부생한 지방산 및 미반응의 모노아실글리세롤을 제거하는 공정을 말한다.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해 사회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어, 고품질 제품의 제조와, 환경 부하의 저감을 양립시킬 수 있는 제조 기술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량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인 점에서,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시에, 증류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반응 생성물로부터 부생한 지방산 및 미반응의 모노아실글리세롤을 회수하고, 이것을 증류 회수 오일로 하여 다음의 반응 원료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류 회수 오일을 사용하면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증류 공정의 조건은, 압력은 1 ∼ 300 Pa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5 ∼ 200 Pa, 특히 2 ∼ 100 Pa 인 것이, 설비 비용이나 운전 비용을 작게 하는 점, 증류 능력을 높이는 점, 증류 온도를 최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점, 열 이력에 의한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의 증가 억제나 열 열화를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온도는 180 ∼ 280 ℃, 나아가 190 ∼ 260 ℃, 특히 200 ∼ 250 ℃ 인 것이,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의 증가를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체류 시간은 0.2 ∼ 30 분, 나아가 0.2 ∼ 20 분, 특히 0.2 ∼ 10 분인 것이,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의 증가를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류 시간이란, 유지가 증류 온도에 도달되는 동안의 평균 체류 시간을 말한다.
산 처리 공정은 상기 증류 오일에 시트르산 등의 킬레이트제를 첨가, 혼합하고, 추가로 감압 탈수하는 공정을 말한다. 또한, 얻어진 산 처리 오일은, 색상, 풍미를 더욱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흡착제와의 접촉에 의한 탈색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수세 공정은 상기 산 처리 오일에 물을 첨가하여 세게 교반하고, 유수 분리를 실시하는 조작을 실시하는 공정을 말한다. 수세는 복수회 (예를 들어 3 회) 반복하여, 수세 오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 처리는 기본적으로 감압 수증기 증류로 행해지고, 뱃치식, 반연속식, 연속식 등을 들 수 있다. 소량인 경우에는 뱃치식을 이용하고, 다량으로 되면 반연속식, 연속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연속식인 경우의 장치로는, 수 단의 트레이를 구비한 탈취탑으로 이루어지는 트레이식 탈취 장치 (가도라식 탈취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장치는 상부로부터 탈취해야 할 유지가 공급되고, 오일이 하단의 트레이에 간헐적으로 차례대로 하강하면서 이동함으로써 탈취된다. 연속식인 경우의 장치로는, 탈취탑 내에 기액 접촉 효율과 저압력 손실을 양립한 구조물이 충전되어, 수증기와의 접촉 효율을 향상시킨 박막 탈취 장치 등이 있다.
탈취 처리를 실시하려면, 이상의 박막 탈취 장치 또는 트레이식 탈취 장치의 단독으로 실시하는 방법 이외에, 이들 박막 탈취 장치를 사용한 탈취 처리와 트레이식 탈취 장치를 사용한 탈취 처리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장치 비용,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량, 디아실글리세롤 특유의 풍미 면에서, 박막 탈취 장치 또는 트레이식 탈취 장치의 단독으로 탈취를 실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탈취 처리에 의해, 수세 오일에 함유되는 유취 성분이 제거되고, 또한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는 열 분해되기 때문에 엷은 색이 되고, 나아가, 미량으로 함유되는 불순 물질이 불활성화되어 안정적인 물질이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유지를 사용한 탈취에 있어서는, 조건을 엄격하게 함으로써 풍미적으로는 바람직한 것이 된다. 그러나,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에 있어서는, 탈취 공정에 의해 감칠맛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은 탈취 처리의 조건에 따라 좌우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해 탈취 처리는 탈취 시간 (x[분]) 과 탈취 온도 (y[℃]) 가 다음 식 (i) 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가 되도록 실시한다.
(i) 350
Figure pct00001
(y - 210) × x
Figure pct00002
2100
(단, 215
Figure pct00003
y
Figure pct00004
280)
식 (i) 로 규정되는 범위보다 낮은 열 이력으로 탈취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혹은 215 ℃ 보다 낮은 탈취 온도 (y) 로 탈취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자극감 및 끈적함이 저감된 유지는 얻어지지 않고, 식 (i) 로 규정되는 범위보다 높은 열 이력, 혹은 280 ℃ 보다 높은 탈취 온도 (y) 에서 탈취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감칠맛이 우수한 유지는 얻어지지 않고, 또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의 증가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여기서, x 는 탈취 시간 (분), y 는 탈취 온도 (℃) 를 나타낸다. 단, 탈취 중에 시간 경과적으로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탈취 처리는, 탈취 효율, 풍미의 향상, 트랜스산 불포화 지방산의 증가를 억제하는 점에서, 추가로 다음 식 (ii)
(ii) 400 < (y - 210) × x < 1900
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다음 식 (iii)
(iii) 450 < (y - 210) × x < 1700
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 더욱 다음 식 (iv)
(iv) 500 < (y - 210) × x < 1600
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두 215
Figure pct00005
y
Figure pct00006
280 을 만족시키는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 (i) 로 규정되는 조건으로 탈취 처리를 실시하므로, 탈취 온도에 따라 탈취 시간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탈취 처리를 250 ∼ 270 ℃ 에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탈취 시간을 6 ∼ 35 분, 탈취 처리를 235 ∼ 250 ℃ 에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탈취 시간을 9 ∼ 53 분, 탈취 처리를 220 ∼ 235 ℃ 에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탈취 시간을 14 ∼ 120 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 처리로는, 감압 수증기 증류가 바람직하고, 사용하는 수증기량은 유지 에 대해 0.3 ∼ 20 %, 특히 0.5 ∼ 10 % 로 하는 것이, 디아실글리세롤 특유의 「좋은 맛」 「감칠맛」등의 풍미를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은 0.01 ∼ 4 kPa, 특히 0.06 ∼ 0.6 kPa 로 하는 것이 동일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탈취 온도가 255 ∼ 280 ℃ 이고, 수증기량을 유지에 대해 0.3 ∼ 3 %,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2.5 %, 특히 0.5 ∼ 2.2 % 로 하는 것이, 디아실글리세롤 특유의 「좋은 맛」 「감칠맛」등의 풍미를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탈취 온도가 250 ∼ 255 ℃ 이고, 수증기량을 유지에 대해 2.1 ∼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 4.5 %, 특히 2.5 ∼ 4 % 로 하는 것이 동일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탈취 온도가 215 ∼ 250 ℃ 이고, 수증기량을 유지에 대해 2.1 ∼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 8 %, 특히 2.5 ∼ 6 % 로 하는 것이 동일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탈취 온도에 대한 승온 시간은,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증가 억제 면에서, 온도 70 ℃ 에서 온도 200 ℃ 까지 0.5 ∼ 60 분, 온도 200 ℃ 에서 탈취 온도까지 0.5 ∼ 45 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온도 70 ℃ 에서 온도 200 ℃ 까지 1 ∼ 30 분, 온도 200 ℃ 에서 탈취 온도까지 1 ∼ 20 분, 특히, 온도 70 ℃ 에서 온도 200 ℃ 까지 2 ∼ 20 분, 온도 200 ℃ 에서 탈취 온도까지 2 ∼ 15 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 온도로부터의 냉각 시간은,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증가 억제 면에서, 탈취 온도에서 온도 200 ℃ 까지 0.2 ∼ 35 분, 온도 200 ℃ 에서 70 ℃ 까지 0.2 ∼ 40 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탈취 온도에서 온도 200 ℃ 까지 0.5 ∼ 25 분, 온도 200 ℃ 에서 70 ℃ 까지 0.5 ∼ 30 분, 특히, 탈취 온도에서 온도 200 ℃ 까지 1 ∼ 20 분, 온도 200 ℃ 에서 70 ℃ 까지 1 ∼ 25 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탈취 처리의 결과, 정제 공정에 있어서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증가량을 1 % 이하로 억제할 수 있고, 유지를 구성하는 전체 지방산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이 2 % 이하로 적은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를 얻을 수 있다.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나아가 0 ∼ 1.5 %, 특히 0.1 ∼ 1.2 % 인 것이, 생리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의 후처리에 의해, 디아실글리세롤 및 트리아실글리세롤 이외의 미반응물, 부생성물은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는 풍미가 좋고, 색상도 양호하다. 또한,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의 생성이 적고, 디아실글리세롤 함량이 많기 때문에, 높은 생리 효과를 갖는 유지로서 유용하다. 제품이 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 중의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은, 상기 「디아실글리세롤 순도」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분석 방법〕
(i) 글리세리드 조성의 측정
원심 분리가 가능한 시험관에 샘플을 약 3 g 채취하고, 3000 r/min 으로 10 분간 원심 분리를 실시하여, 침강된 글리세린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유리제 샘플병에, 상층을 약 10 ㎎ 과 트리메틸실릴화제 (「실릴화제 TH」, 칸토 화학 제조) 0.5 ㎖ 를 첨가하여 단단히 막고, 70 ℃ 에서 15 분간 가열하였다. 이것에 물 1.5 ㎖ 와 헥산 1.5 ㎖ 를 첨가하고 진탕하였다. 정치 (靜置) 후, 상층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LC) 에 제공하여 글리세리드 조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ii) 구성 지방산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
일본 유화학 협회편 「기준 유지 분석 시험법」중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조제법 (2.4.1.2-1996)」에 따라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를 조제하고, 얻어진 샘플을,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Official Method Ce 1f-96 (GLC 법) 에 의해 측정하였다.
(iii) 반응계 내의 수분량
고정화 리파아제 또는 고정화시키지 않은 분말의 리파아제, 및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의 수분 함유량을, AQUACOUNTER AQ-7 (히라누마 산업 (주)) 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당해 수분량 및 각 원료의 사용량으로부터 반응계 내의 수분량을 구하였다.
(IV) 색상
탈취 오일의 색상은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Official Method Ca 13e-92 (Lovibond 법) 로 5.25 인치 셀에 의해 측정하고, 다음의 식 (1) 에서 구한 값을 말한다.
색상 C = 10R + Y (1)
(식 중, R = Red 값, Y = Yellow 값)
〔고정화 리파아제의 조제〕
<고정화 리파아제 G>
Duolite A-568 (Rohm & Hass 사 제조) 500 g 을 0.1 N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00 ㎖ 중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5000 ㎖ 의 증류수로 1 시간 세정하고, 500 mM 의 아세트산 완충액 (pH 5) 5000 ㎖ 로, 2 시간 pH 의 평형화를 실시하였다. 그 후 50 mM 의 아세트산 완충액 (pH 5) 5000 ㎖ 로 2 시간씩 2 회, pH 의 평형화를 실시하였다. 그 후, 여과를 실시하고, 담체를 회수한 후, 에탄올 2500 ㎖ 로 에탄올 치환을 30 분간 실시하였다. 여과한 후, 대두 지방산을 500 g 함유하는 에탄올 2500 ㎖ 를 첨가하여 30 분간, 대두 지방산을 담체에 흡착시켰다. 그 후 여과하고, 담체를 회수한 후, 50 mM 의 아세트산 완충액 (pH 5) 2500 ㎖ 로 4 회 세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담체를 회수하였다. 그 후, 유지에 작용하는 시판되는 리파아제 (리파아제 G 「아마노」50, 아마노 엔자임 (주)) 의 10 % 용액 10000 ㎖ 와 2 시간 접촉시켜 고정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여과하고 고정화 리파아제를 회수하여, 50 mM 의 아세트산 완충액 (pH 5) 2500 ㎖ 로 세정을 실시하고, 고정화되어 있지 않은 리파아제나 단백을 제거하였다. 이상의 조작은 모두 온도 20 ℃ 에서 실시하였다. 그 후, 대두 지방산 2000 g 을 첨가하고 온도 40 ℃ 에서 교반하면서, 압력 400 Pa 에 도달할 때까지 감압하여 탈수하였다. 그 후, 헥산 2500 ㎖ 로 30 분간 교반 후, 헥산상 (相) 을 여과 분리하는 조작을 3 회 실시하였다. 그 후, 온도 40 ℃ 에서 이배퍼레이터를 사용하여 1 시간 탈용제하고, 이어서, 온도 40 ℃, 압력 1300 Pa 의 조건으로 15 시간 감압 건조시켜 탈용제를 실시하여, 고정화 리파아제 G 를 얻었다.
<고정화 리파아제 AY>
Duolite A-568 (Rohm & Hass 사 제조) 500 g 을 0.1 N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00 ㎖ 중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5000 ㎖ 의 증류수로 1 시간 세정하고, 500 mM 의 인산 완충액 (pH 7) 5000 ㎖ 로, 2 시간 pH 의 평형화를 실시하였다. 그 후 50 mM 의 인산 완충액 (pH 7) 5000 ㎖ 로 2 시간씩 2 회, pH 의 평형화를 실시하였다. 그 후, 여과를 실시하고, 담체를 회수한 후, 에탄올 2500 ㎖ 로 에탄올 치환을 30 분간 실시하였다. 여과한 후, 대두 지방산을 500 g 함유하는 에탄올 2500 ㎖ 를 첨가하여 30 분간, 대두 지방산을 담체에 흡착시켰다. 그 후 여과하고, 담체를 회수한 후, 50 mM 의 인산 완충액 (pH 7) 2500 ㎖ 로 4 회 세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담체를 회수하였다. 그 후, 유지에 작용하는 시판되는 리파아제 (리파아제 AY 「아마노」30 G, 아마노 엔자임 (주)) 의 10 % 용액 10000 ㎖ 와 4 시간 접촉시켜 고정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여과하고 고정화 리파아제를 회수하여, 50 mM 의 인산 완충액 (pH 7) 2500 ㎖ 로 세정을 실시하고, 고정화되어 있지 않은 리파아제나 단백을 제거하였다. 이상의 조작은 모두 온도 20 ℃ 에서 실시하였다. 그 후, 탈취 대두유 2000 g 을 첨가하여 온도 40 ℃, 10 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탈취 대두유와 분리하였다. 그 후, 헥산 2500 ㎖ 로 30 분간 교반 후, 헥산상을 여과 분리하는 조작을 3 회 실시하였다. 그 후, 온도 40 ℃ 에서 이배퍼레이터를 사용하여 1 시간 탈용제하고, 이어서, 온도 40 ℃, 압력 1300 Pa 의 조건으로 15 시간 감압 건조시켜 탈용제를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AY 를 얻었다.
〔원료 유지의 조제 1〕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원료가 되는 모노아실글리세롤은 O-95R (카오 (주), 이하 동일) 을 사용하였다 (원료 A). 또한, O-95R 에 채종유를 첨가하고,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상이한 글리세리드 혼합 오일을 조제하고 (원료 B, C, D, E), 추가로, O-95R 에 켄코 에코나 쿠킹 오일 (카오 (주), 이하 동일) 을 첨가하고,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상이한 글리세리드 혼합 오일을 조제하였다 (원료 F, G). 또한, O-95R 에 채종유 및 켄코 에코나 쿠킹 오일을 첨가하고, 모노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롤 및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함유량이 거의 동일한 글리세리드 혼합 오일을 조제하였다 (원료 H). 표 1 에, 원료 유지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원료 유지의 조제 2〕
미탈취 채종유 1000 g 및 글리세린 343 g 을, 교반 날개 (90 ㎜ × 24 ㎜) 를 장착한 2 ℓ 4 구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 5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수산화 칼슘 0.134 g 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질소 가스를 유통하면서, 온도 210 ℃, 반응 시간 1 시간의 조건에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을 실시하고, 100 ℃ 이하로 냉각 후, 인산을 0.158 g 첨가하여 촉매를 중화하였다. 이어서, 25 ℃ 까지 냉각시키고, 6000 r/min 으로 10 분간 원심 분리를 실시하고, 분리된 글리세린을 제거하여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인 원료 I 를 얻었다. 표 1 에 미탈취 채종유와 원료 I 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미탈취 채종유 및 원료 I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각각 0.1 % 및 0.2 % 였다.
〔원료 유지의 조제 3〕
상기 미탈취 채종유 2500 g 및 글리세린 858 g 을, 교반 날개 (90 ㎜ × 24 ㎜) 를 장착한 5 ℓ 4 구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 5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수산화 칼슘 0.335 g 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질소 가스를 유통하면서, 온도 210 ℃, 반응 시간 1.5 시간의 조건에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을 실시하고, 인산을 0.395 g 첨가하여 촉매를 중화하였다. 이어서, 25 ℃ 까지 냉각시키고, 6000 r/min 으로 10 분간 원심 분리를 실시하고, 분리된 글리세린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유상 (油相) 을 5 ℓ 4 구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 5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고, 온도, 압력을 서서히 높이면서 글리세린의 증류 제거를 개시하고, 온도 190 ℃, 압력 100 Pa, 반응 시간 30 분의 조건에서 글리세린을 완전하게 증류 제거하였다. 그 후, 70 ℃ 까지 냉각시켜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인 원료 J 를 얻었다. 표 1 에 원료 J 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원료 J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0.2 % 였다.
Figure pct00007
〔리파아제종의 영향〕
시험예 1
교반 날개 (75 ㎜ × 20 ㎜) 를 장착한 5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A 를 25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A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 리파아제 G (수분 함유량 2.1 %) 를 원료 A 에 대해 5 % (12.5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고,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50 시간 실시한 바, 글리세리드 조성은 평형에 도달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G 를 여과 분리하여 샘플 A 를 얻었다.
시험예 2
고정화 리파아제로서 시판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노보자임즈 재팬 (주) (이하 동일), 수분 함유량 2.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67 시간 실시한 바, 글리세리드 조성은 평형에 도달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B 를 얻었다.
시험예 3
고정화 리파아제로서 고정화 리파아제 AY (수분 함유량 2.5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530 시간 실시한 바, 글리세리드 조성은 평형에 도달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AY 를 여과 분리하여 샘플 C 를 얻었다.
시험예 4
교반 날개 (90 ㎜ × 24 ㎜), 공랭관 (내경 11 ㎜, 길이 1 m) 을 장착한 20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A 를 250 g, 헥산을 500 ㎖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A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 리파아제 G (수분 함유량 2.1 %) 를 원료 A 에 대해 5 % (12.5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50 시간 실시한 바, 글리세리드 조성은 평형에 도달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G 를 여과 분리하여 샘플 D 를 얻었다.
시험예 5
교반 날개 (50 ㎜ × 18 ㎜) 를 장착한 2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I 를 9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I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 리파아제 G (수분 함유량 2.8 %) 를 원료 I 에 대해 10 % (9.0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24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G 를 여과 분리하여, 샘플 U 를 얻었다. 샘플 U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0.2 % 였다.
시험예 6
고정화 리파아제로서 시판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2.6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5 와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2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V 를 얻었다. 샘플 V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0.2 % 였다.
표 2 에, 시험예 1 ∼ 6 의 반응계 내 수분 및 얻어진 반응 생성물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글리세리드 조성은, 반응 종료 오일로부터 상기 「분석 방법」에 따라, 분리된 글리세린을 제거한 후의 것이다 (이하 동일).
Figure pct00008
〔반응계 내의 수분량의 영향〕
시험예 7
교반 날개 (75 ㎜ × 20 ㎜) 를 장착한 5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A 를 25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A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2.5 %) 을 원료 A 에 대해 5 % (12.5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24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E 를 얻었다.
시험예 8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개시시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반응계 내의 수분량을 1.1 %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F 를 얻었다.
시험예 9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개시시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반응계 내의 수분량을 4.9 %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G 를 얻었다.
시험예 10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개시시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반응계 내의 수분량을 9.6 %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H 를 얻었다.
표 3 에, 시험예 7 ∼ 10 의 반응계 내 수분 및 얻어진 반응 생성물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9
〔원료 유지의 글리세리드 조성의 영향〕
시험예 11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를 원료 B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I 를 얻었다.
시험예 12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를 원료 C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J 를 얻었다.
시험예 13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를 원료 D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K 를 얻었다.
시험예 14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를 원료 E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L 을 얻었다.
시험예 15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를 원료 F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M 을 얻었다.
시험예 16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를 원료 G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N 을 얻었다.
시험예 17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를 원료 H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O 를 얻었다.
표 4 에, 시험예 11 ∼ 17 의 반응계 내 수분 및 얻어진 반응 생성물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0
〔리파아제 농도의 영향〕
시험예 18
교반 날개 (75 ㎜ × 20 ㎜) 를 장착한 5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A 를 25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A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5.0 %) 을 원료 A 에 대해 5 % (12.5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8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P 를 얻었다.
시험예 19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5.0 %) 을 원료 A 에 대해 10 % (25.0 g)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8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Q 를 얻었다.
시험예 20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5.0 %) 을 원료 A 에 대해 20 % (50.0 g)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8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샘플 R 을 얻었다.
시험예 21
교반 날개 (50 ㎜ × 18 ㎜) 를 장착한 2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I 를 9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I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2.6 %) 을 원료 I 에 대해 1 % (0.9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24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W 를 얻었다. 샘플 W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0.2 % 였다.
시험예 22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2.6 %) 을 원료 I 에 대해 2 % (1.8 g)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1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5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X 를 얻었다. 샘플 X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0.2 % 였다.
시험예 23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2.6 %) 을 원료 I 에 대해 5 % (4.5 g)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1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3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Y 를 얻었다. 샘플 Y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0.2 % 였다.
시험예 24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사용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2.6 %) 을 원료 I 에 대해 20 % (18.0 g) 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1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1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Z 를 얻었다. 샘플 Z 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은 0.2 % 였다.
표 5 에, 시험예 18 ∼ 24 의 반응계 내 수분 및 얻어진 반응 생성물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1
〔리파아제 형태의 영향〕
시험예 25
교반 날개 (75 ㎜ × 20 ㎜) 를 장착한 2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A 를 10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A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되어 있지 않은 리파아제인 리파아제 OF (메이토 산업 (주), 수분 함유량 6.5 %) 를 원료 A 에 대해 1 % (1.0 g) 와 증류수 0.5 g 을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48 시간 실시한 바, 글리세리드 조성은 평형에 도달하고, 3000 r/min 으로 10 분간 원심 분리를 실시하고, 리파아제를 침강시켜 샘플 S 를 얻었다.
시험예 26
교반 날개 (75 ㎜ × 20 ㎜) 를 장착한 2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A 를 10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A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되어 있지 않은 리파아제인 파라타제 (노보자임즈 재팬 (주), 수분 함유량 51 %) 를 원료 A 에 대해 1 % (1.0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48 시간 실시한 바, 글리세리드 조성은 평형에 도달하고, 3000 r/min 으로 10 분간 원심 분리를 실시하고, 리파아제를 침강시켜 샘플 T 를 얻었다.
표 6 에, 시험예 25 및 26 의 반응계 내 수분 및 얻어진 반응 생성물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2
〔원료 중의 글리세린량의 영향〕
시험예 27
교반 날개 (50 ㎜ × 18 ㎜) 를 장착한 200 ㎖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J 를 9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J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3.2 %) 을 원료 J 에 대해 5 % (4.5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1.5 시간 실시하고,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을 여과 분리하여, 샘플 AA 를 얻었다.
시험예 28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로서, 원료 J 87.3 g 에 글리세린 2.7 g 을 혼합 (반응 원료 중의 글리세린 함유량 3 %)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4 시간 실시하고, 샘플 AB 를 얻었다.
시험예 29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로서, 원료 J 85.5 g 에 글리세린 4.5 g 을 혼합 (반응 원료 중의 글리세린 함유량 5 %)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4 시간 실시하고, 샘플 AC 를 얻었다.
시험예 30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로서, 원료 J 83.7 g 에 글리세린 6.3 g 을 혼합 (반응 원료 중의 글리세린 함유량 7 %)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4 시간 실시하고, 샘플 AD 를 얻었다.
시험예 31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로서, 원료 J 81.9 g 에 글리세린 8.1 g 을 혼합 (반응 원료 중의 글리세린 함유량 9 %)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4 시간 실시하고, 샘플 AE 를 얻었다.
시험예 32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원료로서, 원료 J 80.1 g 에 글리세린 9.9 g 을 혼합 (반응 원료 중의 글리세린 함유량 11 %)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27 과 동일하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4 시간 실시하고, 샘플 AF 를 얻었다.
표 7 에, 시험예 27 ∼ 32 의 반응계 내 수분 및 얻어진 반응 생성물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3
〔탈취 조건의 영향〕
시험예 33 ∼ 36
[효소 에스테르 교환 반응 처리]
교반 날개 (90 ㎜ × 24 ㎜) 를 장착한 2 ℓ 4 구 플라스크에, 원료 J 를 1000 g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J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시판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3.2 %) 을 원료 J 에 대해 5 % (50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3 시간 실시한 바, 고정화 리파아제를 여과 분리하여, 반응 생성물을 얻었다.
[증류 처리]
반응 생성물을, 와이프트 필름 증발 장치 (신코 판텍사 2-03 형, 내경 5 ㎝, 전열 면적 0.03 ㎡) 를 사용하고, 가열 히터 설정 온도 235 ℃, 압력 1.5 Pa, 유량 150 ㎖/h 의 조작 조건으로 증류하여, 증류 오일을 얻었다. 반응 생성물에 대한 비율은 증류 오일이 61 %, 증류 회수 오일이 39 % 였다. 증류 회수 오일의 글리세리드 조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산 처리]
증류 오일에 10 % 시트르산 수용액을 2 % 첨가하고, 온도 70 ℃ 에서 30 분간, 400 r/min 으로 혼합 후, 온도 100 ℃, 진공도 400 Pa, 400 r/min 으로 혼합하면서, 30 분간 감압 탈수하여, 산 처리 오일을 얻었다.
[수세 처리]
온도 70 ℃ 로 가온한 증류수를 산 처리 오일에 대해 10 % 첨가하고, 온도 70 ℃ 에서 30 분간, 600 r/min 으로 세게 혼합 후, 원심 분리하여 유상을 분취하였다. 이 수세 조작을 3 회 실시하고, 온도 100 ℃, 진공도 400 Pa 로 30 분간 감압 탈수하여, 수세 오일을 얻었다.
[탈취 처리]
탈취 처리는 뱃치식으로 실시하였다. 진공 펌프는 히타치 제조 로터리 버큠 펌프 TYPE160VP-D CuteVac 를 사용하였다. 300 ㎖ 유리제 클라이젠 플라스크에, 상기 수세 오일 100 g 을 투입한 후, 수증기 발생 장치를 내경 2.5 ㎜ 의 캐필러리 유리관으로 300 ㎖ 유리제 클라이젠 플라스크에 접속하였다. 온도 70 ℃, 10 분간, 질소를 유량 1 ℓ/min 으로 버블링하면서 유통시키고 장치 내를 완전하게 질소 치환하였다. 진공 펌프로 진공 상태로 하고, 맨틀 히터로 가열하였다. 가열 시간은 온도 70 ℃ 에서 온도 200 ℃ 까지 6 ∼ 8 분, 온도 200 ℃ 에서 245 ℃ 까지 2 ∼ 6 분 필요로 하였다. 탈취 온도, 탈취 시간 및 수증기량은 표 8 에 나타내는 각 조건으로 하고, 압력은 0.2 ∼ 0.4 kPa 로 실시하였다. 탈취 종료 후, 맨틀 히터를 떼어 내고, 냉풍기에서, 탈취 온도에서 온도 200 ℃ 까지 1 ∼ 2 분, 온도 200 ℃ 에서 온도 70 ℃ 까지 5 ∼ 7 분에 걸쳐 냉각시켰다. 온도 70 ℃ 까지 냉각 후, 탈취 장치 내에 질소를 불어 넣고, 상압까지 되돌렸다. 토코페롤 (리켄 E 오일 600:리켄 비타민 (주)) 을 수세 오일에 대해 200 ppm 첨가하고, 시험예 33 ∼ 36 의 탈취 오일을 얻었다. 표 8 에, 시험예 33 ∼ 36 의 탈취 오일의 물성값을 나타낸다.
[관능 평가]
시험예 33 ∼ 36 의 탈취 오일에 대한 풍미 (감칠맛, 자극감 및 끈적함) 의 평가는, 5 명의 패널에 의해, 각자 0.5 ∼ 5 g 을 생식하고, 하기 표 9 에 나타내는 기준으로 관능 평가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칠맛」이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디아실글리세롤에 특유의 바람직한 풍미로서, 좋은 맛 등이 입 안에서 퍼져, 입에 닿는 감촉이 조화를 이룬 농후감이 있는 풍미를 말한다. 또한, 「자극감」및 「끈적함」은 원료인 미탈취 유지에서 기인되는 풍미나,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공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로부터 야기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풍미로서, 입 안이나 목에서 발생하는 자극적인 감각 (자극감) 및 끈적끈적하게 달라 붙는 입 안 감각 (끈적함) 을 말한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증류 회수 오일의 재이용〕
시험예 37
교반 날개 (90 ㎜ × 24 ㎜) 를 장착한 1 ℓ 4 구 플라스크에, 상기 표 1 에 나타낸 증류 회수 오일을 280 g (39 중량 %), 원료 J 를 438 g (61 중량 %) 넣고, 온도 50 ℃ 에서 30 분간 정치하여, 플라스크 내의 원료 J 를 50 ℃ 로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온도 50 ℃, 교반 300 r/min 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시판되는 고정화 리파아제 Lipozyme RM IM (수분 함유량 3.2 %) 을 증류 회수 오일과 원료 J 의 합계에 대해 10 % (71.8 g)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개시하였다. 즉시 질소 시일을 실시하여, 질소 분위기 하로 하였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5 시간 실시한 바, 고정화 리파아제를 여과 분리하여, 반응 생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시험예 35 와 동일한 조건으로 증류 이후의 공정을 실시하고, 시험예 37 의 탈취 오일을 얻었다. 당해 탈취 오일에 대해, 풍미 (감칠맛, 자극감 및 끈적함) 의 평가를 상기[풍미의 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표 8 에 시험예 37 의 탈취 오일의 물성값 및 풍미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 8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모노아실글리세롤류를 물의 존재 하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면,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많은 유지 조성물이 효율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2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헥산 용매 중에서,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모노아실글리세롤류를 물의 존재 하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면,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많은 유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또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로서 미탈취 유지와 글리세린을 글리세롤리시스 반응하여 얻어진 반응 종료 오일을 사용하면,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이 적은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및 6).
표 3 으로부터, 반응계 내의 수분량이 많아지면, 반응 생성물 중의 지방산 농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많은 유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수분량이 낮은 것, 특히 디아실글리세롤 순도를 80 %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분량은 4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 10).
표 4 로부터, 반응 원료 중의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나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많아지면 반응 생성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 +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은 증가하지만, 디아실글리세롤 순도 면에서는, 반응 원료 중의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1 ∼ 17).
표 5 로부터,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점에서, 리파아제 농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8 ∼ 24). 또한, 표 6 으로부터, 고정화되어 있지 않은 리파아제를 사용하여도, 반응 생성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 +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적어지는 경향은 보이지만, 디아실글리세롤 순도가 높은 유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5 및 26). 표 7 로부터, 반응 원료 중의 글리세린량을 적게 하면, 디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많은 유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7 ∼ 32).
표 8 로부터, 미탈취 유지와 글리세린의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세롤리시스 반응 종료 오일을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하고, 그 후, 열 이력이 일정 범위 내로 되도록 탈취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이 적고, 색상 및 「좋은 맛」 「감칠맛」등의 디아실글리세롤 특유의 풍미가 양호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가 효율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3 ∼ 37). 또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원료 모노아실글리세롤류로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한 후의 증류 공정에서 회수된 유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풍미가 양호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모노아실글리세롤류를 물의 존재 하에,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는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계 내에 4 질량% 이하의 물이 함유되는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의 트리아실글리세롤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인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아실글리세롤류가 유지와 글리세린의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세롤리시스 반응 종료 오일인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아실글리세롤류 중의 글리세린 함유량이 15 질량% 이하인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구성 지방산 중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이 2 질량% 이하인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디아실글리세롤 순도[디아실글리세롤 / (디아실글리세롤 + 트리아실글리세롤) × 100]이 50 질량% 이상인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 후에, 탈취 시간 (x) 과 탈취 온도 (y) 의 관계가 다음 식 (i)
    (i) 350
    Figure pct00016
    (y - 210) × x
    Figure pct00017
    2100
    (단, 215
    Figure pct00018
    y
    Figure pct00019
    280)
    (여기서, x 는 탈취 시간 (분), y 는 탈취 온도 (℃) 를 나타낸다.)
    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탈취 처리를 실시하는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증류 공정에서 회수한 증류 회수 오일을, 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사용하는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KR1020107025984A 2008-05-29 2009-02-09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KR20110018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1071 2008-05-29
JP2008141071 2008-05-29
JP2008200360 2008-08-04
JPJP-P-2008-200360 2008-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878A true KR20110018878A (ko) 2011-02-24

Family

ID=4137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984A KR20110018878A (ko) 2008-05-29 2009-02-09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76358A1 (ko)
EP (1) EP2287325A4 (ko)
JP (1) JP5307806B2 (ko)
KR (1) KR20110018878A (ko)
CN (1) CN102027126A (ko)
MY (1) MY173770A (ko)
WO (1) WO2009144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1206B2 (ja) * 2007-08-08 2012-12-19 花王株式会社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高含有油脂の製造方法
US8884043B2 (en) 2009-12-15 2014-11-11 Kao Corporation Oil or fat composition
WO2013078187A1 (en) * 2011-11-22 2013-05-30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Palm oil enriched in unsaturated fatty acids
ES2968424T3 (es) * 2017-10-13 2024-05-09 Glycosbio Inc Aceite procesado que comprende monoacilglicéridos
CN108977471B (zh) * 2018-08-27 2021-07-02 潘志杰 天然甘油酯型深海鱼油非乙酯型途径转化为浓缩型甘油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7913A (en) * 1952-10-11 1955-12-20 Eastman Kodak Co Method of obtaining concentrated monoglycerides
US3208857A (en) * 1962-12-28 1965-09-28 Procter & Gamble Fluid shortening for cream icings
US4263216A (en) * 1978-10-20 1981-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glyceride manufacture
JPS578787A (en) * 1980-03-14 1982-01-18 Fuji Oil Co Ltd Esterification by enzyme
DE3227669C1 (de) * 1982-07-23 1983-07-07 Hermann Dr. 4400 Münster Stage Verfahren und Anlage zum Desodorieren und/oder Entsaeuern von Speiseoelen,Fetten und Estern
US5270188A (en) * 1985-02-06 1993-12-14 Amano Pharmaceutical Co., Ltd. Preparation of glycerides having a high content of monglycerides with a lipase from Penicillium cyclopium ATCC 34613
JPH0665311B2 (ja) * 1987-09-09 1994-08-24 花王株式会社 ジグリセリドの製造法
JP2691608B2 (ja) * 1989-04-13 1997-12-17 花王株式会社 パック化粧料
JP2983655B2 (ja) 1991-01-24 1999-11-29 花王株式会社 ジグリセリドの製造法
JPH0665310A (ja) 1992-08-20 1994-03-08 Sanshin Chem Ind Co Ltd 重合開始剤および重合方法
JPH0665311A (ja) 1992-08-21 1994-03-08 Sekisui Chem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JP3072022B2 (ja) * 1995-04-28 2000-07-31 花王株式会社 ジグリセリドの製造法
US6261812B1 (en) * 1997-08-18 2001-07-17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diglycerides
WO1999048378A1 (fr) * 1998-03-24 1999-09-30 Kao Corporation Composition grasse contenant du phytosterol
JP3720194B2 (ja) * 1998-07-09 2005-11-24 花王株式会社 部分グリセリドの製造法
JP3976112B2 (ja) 1999-03-29 2007-09-12 株式会社カネカ ジグリセライド含有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油脂組成物
JP3853552B2 (ja) * 1999-12-17 2006-12-06 花王株式会社 ジグリセリドの製造方法
EP1466002B1 (en) * 2002-01-15 2009-11-04 Kao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glycerides
US7806945B2 (en) * 2003-01-27 2010-10-05 Seneca Landlord, Llc Production of biodiesel and glycerin from high free fatty acid feedstocks
EP1618085A1 (en) * 2003-04-25 2006-01-25 Ilshinwells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conjugated linoleic acid diglycerides
KR100540875B1 (ko) * 2003-04-25 2006-01-11 주식회사 일신웰스 공역 리놀레산을 포함하는 고순도 디글리세라이드 유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200503634A (en) * 2003-06-10 2005-02-01 Archer Daniels Midland Co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atty acids having a low trans-fatty acid content
TWI414245B (zh) * 2003-12-19 2013-11-11 Kao Corp Edible fat and oil composition
DE102004007795A1 (de) * 2004-02-18 2005-09-22 Weber, Nikolaus, Dr. Enzymatisches Umesterung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glyceriden und Diglycerid-Konzentraten
CN1949983B (zh) * 2004-04-28 2011-01-05 花王株式会社 油脂组合物
JP5100974B2 (ja) 2004-04-28 2012-12-19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JP4280234B2 (ja) * 2004-12-24 2009-06-17 花王株式会社 ジグリセリド高含有油脂の製造法
JP5072258B2 (ja) * 2005-04-28 2012-11-14 花王株式会社 油脂の製造方法
US7709667B2 (en) * 2005-04-28 2010-05-04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fat or oil
CN100574638C (zh) * 2007-04-20 2009-12-30 杨天奎 含二酰基甘油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8227010B2 (en) * 2008-10-10 2012-07-24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oil and fat rich in diacylglyce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7126A (zh) 2011-04-20
JPWO2009144858A1 (ja) 2011-10-06
JP5307806B2 (ja) 2013-10-02
EP2287325A4 (en) 2013-10-02
EP2287325A1 (en) 2011-02-23
MY173770A (en) 2020-02-20
US20110076358A1 (en) 2011-03-31
WO2009144858A1 (ja)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206B2 (ja)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高含有油脂の製造方法
JP5586914B2 (ja)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高含有油脂の製造方法
RU242249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олеоил пальмитоил глицерида
KR101275403B1 (ko) 유지의 제조방법
KR101832001B1 (ko) 정제 유지의 제조 방법
KR102124754B1 (ko) 유지 조성물
KR20110018878A (ko)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의 제조 방법
KR101774063B1 (ko) 정제 유지의 제조 방법
JP4694939B2 (ja) 脂肪酸類の製造方法
Jiang Bioprocessing technology of rice bran oil
JP6150582B2 (ja) 精製油脂の製造方法
KR101297957B1 (ko) 고정화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효소가수분해법 공정 및고온고압가수분해법 공정을 포함하는 유지로부터의지방산류 제조를 위한 2-단계 과정
JP4694938B2 (ja) 脂肪酸類の製造方法
CN116406233A (zh) 脂肪组合物
JP6990076B2 (ja) 脂肪酸類の製造方法
JP6904009B2 (ja) 油脂の製造方法
JP7092460B2 (ja) 構造油脂の製造方法
JP2019094445A (ja) アマニ油の製造方法
JP6990019B2 (ja) 脂肪酸類の製造方法
Kulås Extraction, refining, concentration, and stabilization of long-chain omega-3 oils
JP5527983B2 (ja) ドコサヘキサエン酸高含有油脂の製造方法
JP2008253196A (ja) 脂肪酸類の製造方法
JP2011078328A (ja) 不飽和脂肪酸類の製造方法
JP2010059406A (ja)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高含有油脂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