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932A - 열교환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932A
KR20110017932A KR1020117001277A KR20117001277A KR20110017932A KR 20110017932 A KR20110017932 A KR 20110017932A KR 1020117001277 A KR1020117001277 A KR 1020117001277A KR 20117001277 A KR20117001277 A KR 20117001277A KR 20110017932 A KR20110017932 A KR 20110017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low guide
air
air supply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016B1 (ko
Inventor
마사노부 스즈키
마사키 모리카와
마사히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069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1793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075Supports for plates or plat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06Derivation channels, e.g. byp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급기풍로와 배기풍로가 본체 케이싱 내에 형성되고, 열교환 소자를 갖는 열교환기에 의해 외기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면서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열교환 소자중의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의 어느 한쪽의 유로에 연통함과 함께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만 포함되는 제 1 기체 유통부를 열교환기의 실외측에 구획하는 제 1 플로 가이드를 열교환기에 장착하고, 또한, 상기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중에서 제 1 기체 유통부에 연통하는 유로에 연통함과 함께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만 포함되는 제 2 기체 유통부를 열교환기의 실내측에 구획하는 제 2 플로 가이드를 열교환기에 장착하여, 열교환기 및 그 주변에서의 급기풍로와 배기풍로를 분리한다.

Description

열교환 환기 장치{HEAT EXCHANGING VENTIL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외기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기에 의해 현열의 교환 또는 잠열의 교환을 행하면서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기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현열의 교환 또는 잠열의 교환을 행하면서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는, 실외측 흡입구로부터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실내측 취출구에 달하는 급기풍로와, 실내측 흡입구로부터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실외측 취출구에 달하는 배기풍로가 본체 케이싱 내에 구획된다. 이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는,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로 기류 누설이 생기면 열교환 소자에서의 환기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부적합함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강구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본체 케이싱 내의 폭방향 중앙부에 열교환기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를 축으로 한 회전 대칭 위치에 한 쌍의 칸막이 부재를 마련하고, 이들 한 쌍의 칸막이 부재와 열교환기와 본체 케이싱에 의해 배기풍로(배기 통로) 및 급기풍로(급기 통로)를 구획한 열교환 환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는, 배기풍로 및 급기풍로 각각에서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각 칸막이 부재에서의 다른 부재와의 닿는 면에 실 부재를 장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05-118603호 공보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배치한 칸막이 부재를 이용하여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를 구획하는 종래의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는, 상기 열교환 환기 장치를 방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함에 있어서 본체 케이싱에 뒤틀림이나 휘어짐이 생기면,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오의 기류 누설이 일어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본체 케이싱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본체 케이싱의 강성을 높여서, 설치시에 본체 케이싱에 뒤틀림이나 휘어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본체 케이싱의 고강성화는 열교환 환기 장치의 비용 상승에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을 저비용으로 제작하기 쉬운 열교환 환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는, 실외측 흡입구, 실내측 취출구, 실내측 흡입구, 및 실외측 취출구를 갖는 본체 케이싱 내에 급기용 송풍기와 배기용 송풍기가 배치되고, 급기용 송풍기에 의해 실외측 흡입구로부터 받아들인 외기를 실내측 취출구로부터 실내에 취출하는 급기풍로와, 배기용 송풍기에 의해 실내측 흡입구로부터 받아들인 실내 공기를 실외측 취출구로부터 실외에 취출하는 배기풍로가 본체 케이싱 내에 형성되는 열교환 환기 장치로서, 급기풍로의 일부가 되는 제 1 유로와 배기풍로의 일부가 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된 열교환 소자를 가지며, 이 열교환 소자에 의해 외기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장착되어,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의 어느 한쪽의 유로에 연통함과 함께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만 포함되는 제 1 기체 유통부를 열교환기의 실외측에 구획하는 제 1 플로 가이드와, 열교환기에 장착되어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중에서 제 1 기체 유통부에 연통하는 유로에 연통함과 함께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만 포함되는 제 2 기체 유통부를 열교환기의 실내측에 구획하는 제 2 플로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는, 설치시에 예를 들어 본체 케이싱에 뒤틀림이나 휘어짐이 생겨도, 상기한 제 1 기체 유통부와 제 2 기체 유통부를 포함하는 풍로에 관해서는, 본체 케이싱의 뒤틀림이나 휘고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체 케이싱의 판두께를 얇게 하여도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을 얻기 쉽다. 또한,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 의해 염가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이 일어나기 어려운 열교환 환기 장치를 저비용으로 제작하기 쉽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열교환기,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열교환기,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열교환기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열교환기 내에서의 외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때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급기 송풍기 및 그 주위에 배치되는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중에서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포함하는 풍로의 일부를 본체 케이싱을 이용하여 구획한 것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중에서 바이패스 풍로가 본체 케이싱 내에 마련된 것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바이패스 풍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과 열교환기와의 결합 형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2개의 부재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재의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2개의 부재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재의 다른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2개의 부재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재의 또다른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2개의 부재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재의 또다른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중에서 필터가 배치된 것에서의 열교환기, 제 1 플로 가이드, 제 2 플로 가이드, 및 필터 각각의 배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100A)는, 본체 케이싱(20)과, 열교환기(30)와, 열교환기(30)에 장착된 제 1 플로 가이드(40)와, 열교환기(30)에 장착된 제 2 플로 가이드(50)와, 팬 케이싱(60A)과, 급기용 송풍기(70)와, 배기용 송풍기(80)와, 충전재(85)와, 제어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기(30), 제 1 플로 가이드(40), 제 2 플로 가이드(50), 팬 케이싱(60A), 급기용 송풍기(70), 배기용 송풍기(80), 및 충전제(85)의 각각은 본체 케이싱(20)에 수용되어 있고, 제어부(90)는 본체 케이싱(2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 케이싱(20)은, 사각형 형상의 저판부(1)와, 저판부(1)에 부착되어 상기 저판부(1)와 함께 상단이 개방된 상자를 형성하는 2개의 측벽 형성 부재(3a, 3b)와, 실내측에서 각 측벽 형성 부재(3a, 3b)의 상단에 부착되는 메인터넌스 패널(5)과, 실외측에서 각 측벽 형성 부재(3a, 3b)의 상단에 부착되는 천판(7)을 갖고 있다.
측벽 형성 부재(3a)에는 실외측 흡입구(11a)와 실내측 취출구(11b)(실내측 취출구(11b)는 나타나 있지 않다)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 형성 부재(3b)에는 실내측 흡입구(13a)와 실외측 취출구(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 형성 부재(3a)에는, 실외측 흡입구(11a)를 둘러싸는 덕트 접속통(15a)이 해당 측벽 형성 부재(3a)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음과 함께, 실내측 취출구(11b)를 둘러싸는 덕트 접속통(15b)이 해당 측벽 형성 부재(3a)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 형성 부재(3b)에는, 실내측 흡입구(13a)를 둘러싸는 덕트 접속통(17a)이 해당 측벽 형성 부재(3b)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음과 함께, 실외측 취출구(13b)를 둘러싸는 덕트 접속통(17b)이 해당 측벽 형성 부재(3b)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각 덕트 접속통(15a, 15b, 17a, 17b)은, 본체 케이싱(20)을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30)는 상기한 본체 케이싱(20) 내에 배치되어, 실외측 흡입구(11a)로부터 본체 케이싱(20) 내에 받아들여진 외기와 실내측 흡입구(13a)로부터 본체 케이싱(20) 내에 받아들여진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제 1 플로 가이드(40)는, 열교환기(30)에 장착되어 상기 열교환기(30)의 실외측에서의 외기의 풍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 2 플로 가이드(50)는, 열교환기(30)에 장착되어 상기 열교환기(30)의 실내측에서의 외기의 풍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열교환기(30), 제 1 플로 가이드(40), 및 제 2 플로 가이드(50) 각각 상방으로의 이동은, 각 측벽 형성 부재(3a, 3b)에 부착되어 이들의 부재를 덮는 메인터넌스 패널(5)에 의해 방지된다. 열교환기(30)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메인터넌스 패널(5)은 각 측벽 형성 부재(3a, 3b)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다.
팬 케이싱(60A)은, 저판부(1)상에 위치하는 스테이지부(51)와, 스테이지부(51)의 주위에 배치된 측벽부(53)와, 측벽부(53)의 상단에 부착되고 스테이지부(51) 및 측벽부(53)를 덮는 커버(57)를 갖고 있다. 이 팬 케이싱(60A)은, 제 1 플로 가이드(40)보다도 실외측의 영역에 배치되고, 실외측 흡입구(11a)로부터 제 1 플로 가이드(40)에 걸쳐서 외기의 풍로를 구획한다.
급기용 송풍기(70)는, 팬 케이싱(60A) 내의 설치용 스페이스(S1)에 배치되고, 제어부(90)에 의한 제어하에 동작한다. 배기용 송풍기(80)는, 평면으로 본 때에 팬 케이싱(60A)에서의 측벽부(53)와 측벽 형성 부재(3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저판부(1)상의 설치 스페이스(S2)에 배치되고, 제어부(90)에 의한 제어하에 동작한다. 급기용 송풍기(70)는 상술한 커버(57)를 통하여 천판(7)에 의해 덮히고, 배기용 송풍기(80)는 커버(57)를 통하는 일 없이 천판(7)에 의해 덮힌다.
상기한 각 부재를 갖는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는, 급기용 송풍기(70)를 동작시킴에 의해, 외기가 덕트 접속통(15a) 및 실외측 흡입구(11a)를 통과하여 본체 케이싱(20) 내에 받아들여지고, 나아가서는 팬 케이싱(60A) 내에 받아들여저 제 1 플로 가이드(40)측에 보내지고,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40) 내, 열교환기(30) 내, 및 제 2 플로 가이드(50) 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녀 실내측 취출구(11b)에 달하고, 이곳부터 덕트 접속통(15b)을 경유하여 실내에 취출된다. 팬 케이싱(60A), 제 1 플로 가이드(40), 열교환기(30), 및 제 2 플로 가이드(50)에 의해, 외기가 유통하는 급기풍로가 구획된다. 도 1에서는, 급기풍로에서의 외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파선의 화살표(a1 내지 a4)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배기용 송풍기(80)를 동작시킴에 의해, 실내 공기가 덕트 접속통(17a) 및 실내측 흡입구(13a)를 통과하여 본체 케이싱(20) 내에 받아들여지고, 열교환기(30)를 통과하여 팬 케이싱(60A)의 스테이지부(51)와 본체 케이싱(20)의 저판부(1)의 간극으로부터 배기용 송풍기(80)에 달하고, 이곳부터 실외측 취출구(13b) 및 덕트 접속통(17b)을 경유하여 실외에 취출된다. 본체 케이싱(20), 제 2 플로 가이드(50), 열교환기(30), 및 팬 케이싱(60A)에 의해, 실내 공기가 유통하는 급기풍로가 구획된다. 도 1에서는, 배기풍로로의 실내 공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파선의 화살표(b1 내지 b4)로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열교환 환기 장치(100A)는, 급기풍로의 구획의 방법에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의 급기풍로의 구획의 방법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열교환기 주변에서의 급기풍로의 구획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 후, 도 5를 참조하여 급기 송풍기 주변에서의 급기풍로의 구획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열교환기,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열교환기,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열교환기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열교환기 내에서의 외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때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 환기 장치(100A)(도 1 참조)에서의 열교환기(30)는, 테두리체(25)와 상기 테두리체(25)에 수용된 직교류형의 열교환 소자(27)를 갖고 있다. 테두리체(25)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4각형 형상의 소구부(小口部)(21, 21)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소구부(21, 21)는, 4개의 문테부((23, 23, 23, 23)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개개의 소구부(21)에서의 4개의 모서리부 각각에, 문테부(23)가 접속되어 있다. 테두리체(25)는, 한 쌍의 문테부(23, 23)를 연직 방향을 향하여, 다른 한 쌍의 문테부(23, 23)를 수평 방향을 향하여, 본체 케이싱(20)(도 1 참조)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테두리체(25)에 수용된 열교환 소자(27)는, 실외측의 상부로부터 실내측의 하부를 향하는 제 1 유로(FP1)와, 실내측의 상부로부터 실외측의 하부를 향하는 제 2 유로(FP2)를 가지며, 제 1 유로(FP1)를 흐르는 외기와 제 2 유로(FP2)를 흐르는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도 2에서는, 제 1 유로(FP1)에서의 외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1점쇄선의 화살표(A)로 도시하고 있고, 제 2 유로(FP2)에서의 실내 공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1점쇄선의 화살표(B)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 2 유로(FP2)에서의 측벽만이 나타나 있다.
상기한 열교환 소자(27)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형상을 나타내는 종이제의 칸막이 부재와 파형(波形)을 나타내는 종이제의 간격 유지 부재를 교대로 적층하고, 칸막이 부재와 그 아래의 간격 유지 부재와의 사이, 및 칸막이 부재와 그 위의 간격 유지 부재와의 사이에 각각 공기의 유로를 복수 형성한 전열 교환형, 현열 교환형, 또는 잠열 교환형의 소자가 이용된다. 칸막이 부재의 아래에 형성된 각 유로와 해당 칸막이 부재의 위에 형성된 각 유로는 평면으로 본 때에 개략 직교한다. 예를 들면, 개개의 칸막이 부재의 위형성된 복수의 유로의 각각이 상술한 제 1 유로로서 이용되고, 해당 칸막이 부재의 아래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의 각각이 상술한 제 2 유로로서 이용된다.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는, 열교환 소자(27)가 저판부(1)(도 1 참조)상에 모로 누운 상태로 열교환기(30)가 배치된다.
제 1 플로 가이드(40)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소구부(31a, 31a)(도 2에는 한쪽의 소구부(31a)만이 나타나 있다)와, 실외측에 위치하는 측벽부(31b)와, 천판부(31c)를 갖는 중공의 부재이고, 소구부(31a)측에서 본 형상은, 높이 방향 하부의 폭이 높이 방향 상부의 폭보다 좁고, 천판부(31c)와 측벽부(31b)가 예각을 이루는 역삼각형 형상 내지 역사다리꼴 형상이다.
제 1 플로 가이드(40)에서의 열교환기(30)측의 영역은 개략 전 길이에 걸쳐서 개구하고 있고, 당해 제 1 플로 가이드(40)를 열교환기(30)에 장착함에 의해, 배기풍로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제 1 유로(FP1)의 각각과 연통하는 제 1 기체 유통부(GF1)가 열교환기(30)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급기풍로에만 포함되는 제 1 기체 유통부(GF1)가 열교환기(30)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측벽부(31b)에서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제 1 기체 유통부(GF1)의 입구가 되는 개구부(3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31b)에는, 팬 케이싱(60A)의 측벽부(53)(도 1 참조)에 결합한 2개의 결합부(37a, 37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로 가이드(50)는, 베이스(45)와 그 베이스(45)상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부(47)를 갖고 있다. 베이스(45)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소구부(41a, 41a)와, 본체 케이싱(20)의 저판부(1)(도 1 참조)측에 위치하는 저판부(41b)와, 실내측 흡입구(13a)(도 1 참조)측에 위치하는 측벽부(41c)와, 그 측벽부(41c)보다도 실내측 취출구(11b)(도 1 참조) 근처의 영역에서 실내측으로 돌출한 각통형상의 돌출부(41d)를 갖는 중공의 부재이다. 각 소구부(41a, 41a)는 삼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돌출부(41d)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사각형을 나타낸다.
이 베이스(45)에서의 열교환기(30)측의 영역은 개략 전 길이에 걸쳐서 개구하고 있고, 제 2 플로 가이드(50)를 열교환기(30)에 장착함에 의해, 배기풍로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제 1 유로(FP1)의 각각과 연통하는 제 2 기체 유통부(GF2)가 열교환기(30)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급기풍로에만 포함되는 제 2 기체 유통부(GF2)가 열교환기(30)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돌출부(41d)에서의 실내측의 단면(端面)에는, 측벽 형성 부재(3a)에 마련되어 있는 실내측 취출구(11b)의 내주벽에 맞닿는 고리형상의 결합부(49)(후에 게재되는 도 3 참조)와 상기 고리형상의 결합부에 둘러싸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기체 유통부(GF2)는 실내측 취출구(11b)와 연통한다. 한편, 스페이서부(47)는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돌출부(41d)상에 형성되고 메인터넌스 패널(5)의 하면에 접한다. 이 스페이서부(47)는, 측벽부(41c), 돌출부(41d), 및 본체 케이싱(20)(도 1 참조)과 함께, 열교환기(30)보다도 실내측의 영역에서의 배기풍로를 구획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열교환기(30)에서의 외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1점쇄선의 화살표(A)로 도시하고 있고, 열교환기(30)에서의 실내 공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1점쇄선의 화살표(B)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플로 가이드(40)는, 열교환기(30)에 형성된 결합부(23a, 23b)와 당해 제 1 플로 가이드(40)에 형성된 열교환기용 결합부(35a, 35b)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열교환기(30)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 2 플로 가이드(50)는, 열교환기(30)에 형성된 결합부(23c, 23d)와 당해 제 2 플로 가이드(50)에 형성된 열교환기용 결합부(43a, 43b)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열교환기(30)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열교환기(30)에서의 각 결합부(23a 내지 23d)는, 해당 열교환기(30)의 긴 축에 따라 테두리체(25)의 문테부(23)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부(23a 내지 23d)는, 열교환기(30)의 긴 축에 따른 홈부를 갖는 자형(雌型)의 결합부이다. 메인터넌스 패널(5)(도 1 참조)측에 위치하는 결합부(23a)와 실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부(23b)가 제 1 플로 가이드(40)의 열교환기용 결합부(35a, 35b)와 결합하는 제 1 결합부로서 기능하고, 저판부(1)(도 1 참조)측에 위치하는 결합부(23c)와 실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부(23d)가 제 2 플로 가이드(50)의 열교환기용 결합부(43a, 43b)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제 1 플로 가이드(40)에서의 상기한 열교환기용 결합부(35a)는, 천판부(31c)의 하면에서의 열교환기(30)측 단부에 형성되여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열교환기용 결합부(35b)는, 측벽부(31b)의 내면에서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교환기(30)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열교환기용 결합부(35a, 35b)는, 제 1 플로 가이드(40)의 긴 축에 따른 철조(凸條)를 나타내는 웅형(雄型)의 결합부이다. 소구부(31a)(도 2 참조)측에서 본 제 1 플로 가이드(40)의 측면 형상이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각형 형상 내지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30)에의 당해 제 1 플로 가이드(40)의 착탈은, 열교환기(30)의 상방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로 가이드(50)에서의 상기한 열교환기용 결합부(43a)는, 베이스(45)의 저판부(41b)에서의 열교환기(30)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열교환기용 결합부(43b)는, 베이스(45)의 측벽부(41c)에서의 열교환기(30)측 상부에 형성되어 열교환기(30)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열교환기용 결합부(43a, 43b)는, 제 2 플로 가이드(50)의 긴 축에 따른 철조를 나타내는 웅형의 결합부이다. 또한, 도 3에서도, 도 2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열교환기(30)에서의 외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1점쇄선의 화살표(A)로 도시하고 있고, 열교환기(30)에서의 실내 공기의 흘러내림 방향을 1점쇄선의 화살표(B)로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플로 가이드(50)는 열교환기(30)보다도 길고, 열교환기(30)에서의 각 소구부(21)의 외표면은, 제 2 플로 가이드(50)에서의 각 소구부(41a)를 부분적으로 박육화함으로써 해당 소구부(41a)의 내면측에 형성된 스텝형상의 결합면에 접하여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전술한 제 1 플로 가이드(40)도 열교환기(30)보다 길고, 열교환기(30)에서의 각 소구부(21)의 외표면은, 제 2 플로 가이드(50)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 1 플로 가이드(40)에서의 각 소구부(31a)를 부분적으로 박육화함응로써 해당 소구부(31a)의 내면측에 형성된 스텝형상의 결합면에 접하여 있다.
열교환기(30)에 제 1 플로 가이드(40) 및 제 2 플로 가이드(50)의 각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함에 의해, 이들 열교환기(30), 제 1 플로 가이드(40), 및 제 2 플로 가이드(50)에 의해 배기풍로로부터 분리된 급기풍로가 열교환기(30) 내 및 그 주변에 구획된다. 즉, 제 1 플로 가이드(40)의 개구부(33)로부터 제 1 기체 유통부(GF1)에 유입한 외기가 이곳부터 열교환 소자(27)중의 각 제 1 유로(FP1)(도 2 참조)를 흘러내려서 제 2 기체 유통로(GF2)에 들어가고, 상기 제 2 기체 유통로(GF2)로부터 실내측 취출구(11b)에 달하는 급기풍로가 구획된다.
다음에, 급기 송풍기 주변에서의 급기풍로의 구획의 방법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급기 송풍기 및 그 주위에 배치되는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기용 송풍기(70)는 팬 케이싱(60A) 내의 설치 스페이스(S1)에 배치된다. 팬 케이싱(60A)은, 스테이지부(51)와, 스테이지부(51)의 주위에 배치된 측벽부(53)와, 측벽부(53)를 본체 케이싱(20)의 저판부(1)(도 1 참조)상에 지지하는 지지부(55a 내지 55c)와, 커버(57)를 갖고 있다.
상기한 스테이지부(51)는, 설치 스페이스(S1)에서의 바닥을 구획하는 제 1 스테이지부(51a)와, 급기용 송풍기(70)로부터 제 1 플로 가이드(40)에 걸처서의 급기풍로의 바닥을 구획하는 제 2 스테이지부(51b)를 갖고 있다. 한편, 측벽부(53)는 제 1 측벽부(53a), 제 2 측벽부(53b), 및 제 3 측벽부(53c)를 갖고 있다. 각 지지부(55a 내지 55c)는, 제 3 측벽부(53c)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53)의 제 1 측벽부(53a)는, 본체 케이싱(20)을 구성하는 측벽 형성 부재(3a)의 내주면에 따라 L자형상으로 굴곡하여 있고, 상기 제 1 측벽부(53a)의 하단은 상기한 저판부(1)에 접한다. 제 1 측벽부(53a)에서의 실외측 흡입구(11a)측의 영역에는, 실외측 흡입구(11a)에 삽입되어 상기 실외측 흡입구(11a)의 내주벽에 접하는 고리형상의 결합부(5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형상의 결합부(52a)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개구부(52b)가 되어 있다.
제 2 측벽부(53b)는, 제 1 스테이지부(51a)에서의 제 1 플로 가이드(40)측의 영역부터 측벽 형성 부재(3b)(도 1 참조)측의 영역에 걸쳐서 당해 제 1 스테이지부(51a)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제 1 측벽부(53a)와 협동하여 설치 스페이스(S1)를 구획함과 함께 급기용 송풍기(70)로부터 제 1 플로 가이드(40)에 걸처서의 급기풍로를 제 3 측벽부(53c)와 협동하여 규정한다. 제 1 플로 가이드(40)에 형성되어 있는 전술한 결합부(37a)(도 2 참조)는, 제 2 측벽부(53b)에 결합한다.
제 3 측벽부(53c)는, 제 2 스테이지부(51b)에서의 측벽 형성 부재(3b)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당해 제 2 스테이지부(51b)상에 돌출하고, 급기용 송풍기(70)로부터 제 1 플로 가이드(40)에 걸처서의 급기풍로를 제 2 스테이지부(51b) 및 제 2 측벽부(53b)의 각각과 협동하여 규정한다. 이 제 3 측벽부(53c)는, 제 1 측벽부(53a)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측벽부(53a)로부터 제 1 플로 가이드(40)측에 걸쳐서 파상(波狀)으로 연재되어, 제 1 플로 가이드(40)에 형성되어 있는 전술한 결합부(37b)(도 2 참조)에 결합한다.
상술한 스테이지부(51) 및 측벽부(53)를 본체 케이싱(20) 내에 배치하고, 설치 스페이스(S1)에 급기용 송풍기(70)를 배치한 후, 측벽부(53)의 상단에 커버(57)를 부착함에 의해, 열교환기(30)보다도 실외측의 영역에서의 급기풍로가 구획된다. 제 1 스테이지부(51a)와 제 2 스테이지부(51b)에 의해 급기풍로의 바닥이 규정되고, 커버(57)에 의해 급기풍로의 천장이 규정되고, 제 1 측벽부(53a), 제 2 측벽부(53b), 및 제 3 측벽부(53c)에 의해 급기풍로에서의 수평 방향의 퍼짐이 규정된다.
동시에, 열교환기(30)보다도 실외측의 영역에서의 배기풍로의 천장이 제 1 스테이지부(51a), 제 2 스테이지부(51b), 및 천판(7)(도 1 참조)에 의해 규정된다. 해당 영역에서의 배기풍로의 바닥은 저판부(1)(도 1 참조)에 의해 규정되고, 배기풍로의 수평 방향의 퍼짐은 제 1 측벽부(53a)와 측벽 형성 부재(3b)(도 1 참조)에 의해 규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열교환기(30), 제 1 플로 가이드(40), 제 2 플로 가이드(50), 및 팬 케이싱(60A)에 의해 급기풍로가 구획된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는, 설치시에 예를 들어 본체 케이싱(20)에 뒤틀림이나 휘어짐이 생겨도, 적어도 열교환기(30) 주변에서의 급기풍로는 본체 케이싱(20)의 뒤틀림이나 휘어짐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열교환기(30) 주변에서의 고압측의 풍로(급기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배기풍로)로의 기류 누설은, 제 1 플로 가이드(40)와 제 2 플로 가이드(50)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는, 본체 케이싱(20)의 판두께를 얇게 하여도,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을 제작하기 쉽다. 제 1 플로 가이드(40) 및 제 2 플로 가이드(50)의 각각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 의해 염가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는,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을 저비용으로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팬 케이싱(60A)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플로 가이드(40)보다도 실외측의 영역에서도 본체 케이싱(20)의 뒤틀림이나 휘어짐의 영향을 급기풍로가 받기 어렵고, 해당 영역에서의 급기풍로로부터의 기류 누설은 팬 케이싱(60A)에 의해 억제된다. 팬 케이싱(60A)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 의해 염가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는,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을 저비용으로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는,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포함하는 풍로의 일부를 본체 케이싱을 이용하여 구획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을 포함하는 풍로의 일부를 본체 케이싱을 이용하여 구획한 열교환 환기 장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100B)는,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의 커버(57)를 생략하고, 제 1 플로 가이드(40)보다도 실외측의 영역에서의 급기풍로를 천판(7)과 팬 케이싱(60B)에 의해 구획한 것이다. 천판(7)은, 실링재를 이용하여 팬 케이싱(60B)에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각 구성 부재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로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도 1에서 이용한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 커버가 생략된 팬 케이싱에 관해서는 새로운 참조 부호 60B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 환기 장치(100B)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열교환 환기 장치(100A)(도 1 참조)와 마찬가지의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커버가 없는 팬 케이싱(60B)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 비하여도 제조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는, 열교환기에 의해 외기와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고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 운전과, 열교환기에 의한 외기와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지 않고 환기하는 자연 환기 운전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들 열교환 환기 운전과 자연 환기 운전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 외에,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풍로가 본체 케이싱 내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의 입구 부근에 댐퍼가 배치된다.
도 7은, 바이패스 풍로가 본체 케이싱 내에 마련된 열교환 환기 장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바이패스 풍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구성 부재중에서 도 1에 도시한 구성 부재와 공통된 것에 관해서는, 도 1로 이용한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서는 메인터넌스 패널(5), 천판(7), 및 커버(5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13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의 충전재(85)가 생략되고, 열교환기(30)의 앞쪽측에서 배기풍로로부터 분기하여 열교환기(30)를 우회하면서 배기용 송풍기(80)에 달하는 바이패스 풍로(110)가 구획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 풍로(110) 내에는, 측벽 형성 부재(3b)와 열교환기(30), 제 2 플로 가이드(50)의 간격을 유지하는 L자형상의 간격 유지 부재(10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풍로(110)에서의 실내측 흡입구(13a)측의 단(端)에는, 바이패스 풍로(110)의 입구가 되는 도입통부(導入筒部)(105)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20) 내에서의 실내측 흡입구(13a) 부근의 영역에는, 상기한 바이패스 풍로(110)를 개폐시키는 댐퍼(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댐퍼(120)는, 소정 방향으로 변위하여 바이패스 풍로(110)를 개폐시키는 풍로 전환판(113)과, 제어부(90)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모터 등의 구동원(115)과, 구동원(115)에서 생긴 동력을 풍로 전환판(113)에 전달하는 링크 부재(117)(도 8 참조)를 갖고 있다. 바이패스 풍로(110)를 개방으로 할 때는, 실내측 흡입구(13a)로부터 열교환기(30)를 향하는 유로가 풍로 전환판(113)에 의해 폐쇄되는 한편으로, 도입통부(105)의 입구가 개방이 된다. 또한, 바이패스 풍로(110)를 폐쇄로 할 때에는, 도입통부(105)의 입구가 풍로 전환판(113)에 의해 폐색되는 한편으로, 실내측 흡입구(13a)로부터 열교환기(30)를 향한 유로가 개방이 된다. 도 7 및 도 8은, 바이패스 풍로(110)가 개방일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덕트 접속통(15a)의 부근에 외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됨과 함께 덕트 접속통(17a)의 부근에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되고, 이들의 온도 센서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열교환 환기 운전을 행하는 것이 적당한지 자연 환기 운전을 행하는 것이 적당한지를 제어부(90)가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응하여 제어부(90)가 댐퍼(1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열교환 환기 장치(13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 환기 장치(130)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열교환 환기 장치(100A)(도 1 참조)와 마찬가지의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또한, 예를 들면 춘계나 추계에 있어서 열교환 환기 운전을 행하지 않아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얻기 쉬운 때에는 자연 환기 운전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열교환 환기 장치(100A)보다도 공기 조화기 기능을 높이기 쉽다.
이상,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에 관해 실시의 형태를 3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는, 풍로가 되는 제 1 기체 유통부를 갖는 제 1 플로 가이드와, 풍로가 되는 제 2 기체 유통부를 갖는 제 2 플로 가이드를 열교환기에 장착하여, 급기풍로 및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 상기 제 1 기체 유통부와 상기 제 2 기체 유통부를 포함시킨 것이면 기본적으로 좋다.
제 1 플로 가이드를 열교환기에 장착할 때에 이용하는 결합부, 즉 제 1 플로 가이드에서의 열교환기용 결합부와 열교환기에서의 제 1 결합부는,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을 억제할 수 있으면 좋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쪽을 자형으로 하고 다른쪽을 웅형으로 하는 외에, 양자가 서로 면접촉 또는 선접촉하는 것이라도 좋다. 제 2 플로 가이드에서의 열교환기용 결합부와 열교환기에서의 제 2 결합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나아가서는, 열교환기의 소액부와 제 1 플로 가이드의 소액부 또는 제 2 플로 가이드의 소액부와의 결합 형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9는, 제 1 플로 가이드 및 제 2 플로 가이드의 각각과 열교환기와의 결합 형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는, 도 3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도 3에서 이용한 참조 부호에서의 수치 부분에 「100」을 가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열교환기(130)에서의 테두리체(125)에서의 개개의 문테부(123)에, 수직 단면 형상이 사각형의 제 1 결합부(123a), 제 1 결합부(123b), 제 2 결합부(123c), 또는 제 2 결합부(123d)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부(123a, 123b) 및 제 2 결합부(123c, 123d)의 각각은, 열교환기(130)의 긴 축에 따라 형성된 철조부이고, 개개의 결합부(123a 내지 123d)에서의 선폭 방향의 양측에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로 가이드(140)에서의 열교환기용 결합부(135a)는, 제 1 결합부(123a)에서의 실외측의 측면과 상기 평탄면중에서 제 1 결합부(123a)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평탄면에 면접촉하고 있고, 열교환기용 결합부(135b)는, 제 1 결합부(123b)에서의 상측의 측면과 상기 평탄면중에서 제 1 결합부(123b)의 상방에 위치하는 평탄면에 선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 2 플로 가이드(150)에서의 열교환기용 결합부(143a)는, 제 2 결합부(123c)에서의 실내측의 측면과 상기 평탄면중에서 제 2 결합부(123c)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평탄면에 면접촉하고 있고, 열교환기용 결합부(143b)는, 제 2 결합부(123d)에서의 2개의 측면과 상기 평탄면중에서 제 2 결합부(123d)의 하방에 위치하는 평탄면에 면접촉하고 있다. 열교환기(130)의 소액부와 제 1 플로 가이드(140)의 소액부와의 결합 형태, 및 열교환기(130)의 소액부와 제 2 플로 가이드(150)의 소액부와의 결합 형태는, 각각, 실시의 형태 1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결합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팬 케이싱에 의해 구획하는 풍로는, 급기풍로가 아니라 배기풍로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의 급기용 송풍기(70)를 배기용 송풍기로서 기능시키고, 동 도면에 도시한 배기용 송풍기(80)를 급기용 송풍기로서 기능시키면, 열교환기(30)와 제 1 플로 가이드(40)와 제 2 플로 가이드(50)에 의해 열교환기(30) 및 그 주변의 배기풍로가 구획되고, 팬 케이싱(60A)에 의해 열교환기(30)보다도 실외측에서의 배기풍로가 구획된 열교환 환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급기용 송풍기 및 배기용 송풍기의 각각은, 열교환 환기 장치의 저소음화를 도모한다는 관점에서는 열교환기보다도 실외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쪽을 열교환기보다도 실외측에 배치하고, 다른쪽을 열교환기보다도 실내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물론, 급기용 송풍기 및 배기용 송풍기의 각각을 열교환기보다도 실내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고압측의 풍로로부터 저압측의 풍로로의 기류 누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제 1 플로 가이드와 열교환기와의 맞닿음(當接) 개소나, 제 2 플로 가이드와 열교환기와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실링재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100A)에서의 제 2 플로 가이드(50)와 실내측 취출구(11b)와의 맞닿음 개소, 팬 케이싱(60A)과 실외측 흡입구(11a)와의 맞닿음 개소, 및 커버(57)와 측벽부(53)와의 맞닿음 개소, 및 도 6에 도시한 열교환 환기 장치(100B)에서의 천판(7)과 측벽부(53)와의 맞닿음 개소 등에 대해서도, 기류의 누설을 실링재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재를 이용하여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열교환기(30) 및 제 1 플로 가이드(40)에서와 같이, 서로 맞닿는 2개의 부재의 각각에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미리 형성하여 둠에 의해, 기류의 누설이 방지하기 쉽게 된다. 상기한 실링재로서는, 예를 들면 쿠션성을 갖는 필름형상 내지 시트형상의 것이나, 고화(固化) 전의 성상이 크림상태 내지 겔상의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각각은, 2개의 부재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재의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 도 13의 각각은, 2개의 부재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재의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부재(M1)에 형성된 자형의 결합부(E1)와 제 2 부재(M2)에 형성된 웅형의 결합부(E2)를 서로 결합시킴에 있어서, 미리 결합부(E2) 및 그 주위에 쿠션성을 갖는 시트형상 내지 필름형상의 실링재(Sh1)를 마련하고, 그 후에 결합부(E1)와 결합부(E2)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와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부재(M3)에 형성된 자형의 결합부(E3)와 제 2 부재(M4)에 형성된 웅형의 결합부(E4)를 서로 결합시킴에 있어서, 미리 결합부(E3) 및 그 주위에 쿠션성을 갖는 시트형상 내지 필름형상의 실링재(Sh2)를 마련하고, 그 후에 결합부(E3)와 결합부(E4)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 1 부재(M3)와 제 2 부재(M4)와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부재(M5)에 형성된 결합부(E5)와 제 2 부재(M6)에 형성된 결합부(E6)를 서로 결합시킴에 있어서, 미리 결합부(E5) 및 그 주위에 쿠션성을 갖는 시트형상 내지 필름형상의 실링재(Sh3)를 마련하고, 그 후에 결합부(E5)와 결합부(E6)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 1 부재(M5)와 제 2 부재(M6)와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부재(M7)에 형성된 결합부(E7)와 제 2 부재(M8)에 형성된 결합부(E8)를 서로 결합시킴에 있어서, 미리 결합부(E8) 및 그 주위에 쿠션성을 갖는 시트형상 내지 필름형상의 실링재(Sh4)를 마련하고, 그 후에 결합부(E7)와 결합부(E8)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 1 부재(M7)와 제 2 부재(M8)와의 맞닿음 개소로부터의 기류의 누설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의 실용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외기나 실내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가 열교환기중의 열교환 소자에 부착하여 버리는 것을 필터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필터가 배치된 열교환 환기 장치에서의 열교환기, 제 1 플로 가이드, 제 2 플로 가이드, 및 필터 각각의 배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열교환기(30)에서의 외기의 유입측에 제 1 필터(140a)가 배치되어 있고, 열교환기(30)에서의 실내 공기의 유입측에 제 2 필터(140b)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제 1 필터(140a) 및 제 2 필터(140b)를 배치함에 의해, 외기나 실내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가 열교환기(30)중의 열교환 소자에 부착하여 버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먼지의 부착에 기인하는 열교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구성 부재중에서 도 3에 도시한 구성 부재와 공통되는 것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이용한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에 관해서는, 상술한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변형, 수식(修飾), 조합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열교환 환기 장치는, 가정용 또는 업무용의 열교환 환기 장치로서 알맞다.
11a : 실외측 흡입구 11b : 실내측 취출구
13a : 실내측 흡입구 13b : 실외측 취출구
20 : 본체 케이싱 23 : 문테부
23a, 23b : 결합부(제 1 결합부) 23c, 23d : 결합부(제 2 결합부)
25 : 테두리체 27 : 열교환 소자
30 : 열교환기 35a, 35b : 열교환기용 결합부
40 제 1 : 플로 가이드 43a, 43b : 열교환기용 결합부
50 : 제 2 플로 가이드 52a : 고리형상의 결합부
60A, 60B : 팬 케이싱 70 : 급기용 송풍기
80 : 배기용 송풍기 100A, 100B, 130 : 열교환 환기 장치
110 : 바이패스 풍로 120 : 댐퍼
FP1 : 제 1 유로 FP2 : 제 2 유로
GF1 : 제 1 기체 유통부 GF2 : 제 2 기체 유통부
Sh1, Sh2 : 실링재

Claims (11)

  1. 실외측 흡입구, 실내측 취출구, 실내측 흡입구, 및 실외측 취출구를 갖는 본체 케이싱 내에 급기용 송풍기와 배기용 송풍기가 배치되고, 상기 급기용 송풍기에 의해 상기 실외측 흡입구로부터 받아들인 외기를 상기 실내측 취출구로부터 실내에 취출하는 급기풍로와, 상기 배기용 송풍기에 의해 상기 실내측 흡입구로부터 받아들인 실내 공기를 상기 실외측 취출구로부터 실외에 취출하는 배기풍로가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형성되는 열교환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풍로의 일부가 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일부가 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된 열교환 소자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 소자에 의해 상기 외기와 상기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의 어느 한쪽의 유로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급기풍로 및 상기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만 포함되는 제 1 기체 유통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실외측에 구획하는 제 1 플로 가이드와,
    상기 열교환기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중에서 상기 제 1 기체 유통부에 연통하는 유로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급기풍로 및 상기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만 포함되는 제 2 기체 유통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실내측에 구획하는 제 2 플로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가 구획하는 상기 제 1 기체 유통부 및 상기 제 2 플로 가이드가 구획하는 상기 제 2 기체 유통부는, 각각, 상기 배기풍로에만 포함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주변에서의 상기 급기풍로와 상기 배기풍로는,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와 상기 제 2 플로 가이드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가 구획하는 상기 제 1 기체 유통부 및 상기 제 2 플로 가이드가 구획하는 상기 제 2 기체 유통부는, 각각 상기 급기풍로에만 포함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주변에서의 상기 급기풍로와 상기 배기풍로는,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와 상기 제 2 플로 가이드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를 수용하여 상기 급기풍로의 일부를 구획하는 팬 케이싱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싱은, 상기 실외측 흡입구에 결합하는 고리형상의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에 걸처서의 급기풍로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송풍기를 수용하여 상기 배기풍로의 일부를 구획하는 팬 케이싱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긴 축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와 결합하는 열교환기용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의 상기 열교환기용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1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용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는, 서로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로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긴 축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와 결합하는 열교환기용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플로 가이드의 상기 열교환기용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용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는, 서로 착탈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를 상기 제 1 플로 가이드의 길이 방향 단면측에서 본 때의 형상은, 역삼각형 형상 또는 역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풍로 및 상기 배기풍로의 어느 한쪽에서 분기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풍로와,
    상기 바이패스 풍로의 분기 개소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풍로를 개폐시키는 댐퍼를 또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풍로는 상기 배기풍로로부터 분기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
KR1020117001277A 2008-08-22 2008-08-22 열교환 환기 장치 KR101186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5026 WO2010021058A1 (ja) 2008-08-22 2008-08-22 熱交換換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32A true KR20110017932A (ko) 2011-02-22
KR101186016B1 KR101186016B1 (ko) 2012-09-26

Family

ID=4170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277A KR101186016B1 (ko) 2008-08-22 2008-08-22 열교환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14941B1 (ko)
JP (1) JP5005095B2 (ko)
KR (1) KR101186016B1 (ko)
CN (1) CN102124276B (ko)
TW (1) TW201009268A (ko)
WO (1) WO2010021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4302A1 (de) * 2011-09-23 2013-03-28 Maico Elektroapparate-Fabrik Gmbh Lüftungsgerät mit Wärmerückgewinnung
WO2017017845A1 (ja) * 2015-07-30 2017-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ES2661886T3 (es) * 2015-10-06 2018-04-04 Daikin Europe N.V. Sistema de intercambiador de calor de tipo conducto
CN106931580B (zh) * 2017-05-04 2022-07-15 嘉善玏奇电器贸易有限公司 一种管道式换气装置
CN110678700B (zh) * 2017-06-08 2021-08-10 三菱电机株式会社 热交换换气装置
DE102022110674A1 (de) 2022-05-02 2023-11-02 Stiebel Eltron Gmbh & Co. Kg Lüftungsgerät der Haustechnik und Dichtungsteil für ein Lüftung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3682A1 (fr) * 1982-09-24 1984-03-30 Fimec Perfectionnements aux echangeurs de temperature a flux croises, notamment pour systemes de ventilation mecanique pour locaux
JPH0972593A (ja) * 1995-09-07 199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装置
JPH10300015A (ja) 1997-04-24 1998-11-13 Babcock Hitachi Kk ボイラ制御装置
JP3173416B2 (ja) * 1997-04-30 2001-06-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GB0006179D0 (en) * 2000-03-16 2000-05-03 Smiths Industries Plc Units
JP2001263752A (ja) 2000-03-21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JP2004003858A (ja) 2003-07-25 2004-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KR100651879B1 (ko) * 2005-08-1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1058A1 (ja) 2010-02-25
TWI342382B (ko) 2011-05-21
KR101186016B1 (ko) 2012-09-26
EP2314941A1 (en) 2011-04-27
JPWO2010021058A1 (ja) 2012-01-26
EP2314941A4 (en) 2012-03-14
EP2314941B1 (en) 2016-11-23
JP5005095B2 (ja) 2012-08-22
CN102124276B (zh) 2014-07-09
CN102124276A (zh) 2011-07-13
TW201009268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016B1 (ko) 열교환 환기 장치
JP6320635B2 (ja) 熱交換型換気装置
KR101578528B1 (ko)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AU2014379851B2 (en) Air conditioner
JP201305028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WO2009128151A1 (ja) 風路切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換気装置
JP418703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WO2018173277A1 (ja) 換気装置
JP4568058B2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WO2018225224A1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04301424A (ja) 空気調和機
JPH09137984A (ja) 換気装置
JP5447567B2 (ja) 空調室内機
JP3747570B2 (ja) 換気装置
JP6948515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1165484A (ja) 換気装置
CN107923640B (zh) 换热换气装置
JP4391099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14119126A (ja) 床置形空気調和装置
JPH09318130A (ja) 熱交換器付換気装置及び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枠体
JP2012220120A (ja) 熱交換換気装置
JP6214504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3661394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7249485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EP3633284A1 (en) Duct connection port and venti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