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156A -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156A
KR20110014156A KR1020107026083A KR20107026083A KR20110014156A KR 20110014156 A KR20110014156 A KR 20110014156A KR 1020107026083 A KR1020107026083 A KR 1020107026083A KR 20107026083 A KR20107026083 A KR 20107026083A KR 20110014156 A KR20110014156 A KR 20110014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connection
lid
joining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122B1 (ko
Inventor
고헤이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고헤이 나카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나카무라 filed Critical 고헤이 나카무라
Publication of KR2011001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9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formed by several element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6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bayonet cams, i.e. removed by first pushing axially to disengage the cams and then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65D50/061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being disengageable from container only after rotational alignment of closure, or other means inhibiting removal of closure, with container, e.g. tortuous path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16B21/04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with bayonet ca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6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balls or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44B1/14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with replaceable or 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2Shank inserted into counterpiece and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5/00Sleeve-links
    • A44B5/02Sleeve-links with separ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4Orienting or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뚜껑을 어느 쪽의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적은 회전량으로 접속할 수 있고, 모래나 먼지 등이 많은 환경하에서의 사용에도 강한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1부재(2A)와 제2부재(3A)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1A)로서, 제1부재(2A)는, 접속용 기립부(21)와, 이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22)를 구비하고, 제2부재(3A)는, 접속용 기립부(21)에 포개지는 접속용 측벽부(32)와, 이 접속용 측벽부(32)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용 볼록부(33)를 구비하고, 결합용 플랜지(22)는 그 하면이 하방으로 완만하게 볼록하도록 돌출되고, 제2부재(3A)를 제1부재(2A)에 포개어 회전시켰을 때에 결합용 볼록부(33)의 상면이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을 슬라이딩 하면서 안내되어서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에서 결합된다.

Description

접속구조{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接續構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트병(PET甁)이나 수상 오락기구(水上娛樂機構) 등과 같이 기체(氣體)나 액체(液體)를 수용(收容)할 수 있는 용기(容器) 본체(本體)의 개구부(開口部)에 뚜껑을 접속하거나, 백(bag)의 금속이나 버튼 등과 같이 한 쌍의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등 다양한 부재의 접속에 바람직한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용기 등의 개구부에 뚜껑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5011호 공보에는, 중공용기(中空容器)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복수개의 나선나사(螺旋螺絲)를 형성하고 또한 각 나선나사의 시점(始點)을 구경부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형성하고, 또한 각 나선나사의 시점을 포함하는 전단부분(前端部分)의 나사산의 폭을 후단부분(後端部分)보다도 약간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나사 뚜껑식의 밀봉용기(密封容器)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53150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394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접속구조는, 뚜껑의 내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를 안내하는 곡선 모양의 홈이 용기의 개구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특허문헌2, 3). 그리고 상기 뚜껑을 개구부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각 돌기가 곡선 모양 홈내를 이동하여 뚜껑을 개폐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5011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53150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3945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발명을 포함하여 종래의 나사식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나사의 개폐방향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해진다. 이 때문에 나사의 개폐방향을 의식하여 뚜껑을 돌리지 않으면, 역방향에 돌려버리는 일도 있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왼손잡이인 사람에 있어서는 개폐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나사식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뚜껑을 완전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2∼3 회전시킬 필요가 있어, 아이나 고령자, 손에 장애가 있는 사람에 있어서는 간단한 조작이 아니다.
한편 특허문헌2, 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는, 적은 회전량으로 뚜껑을 닫을 수 있는 고안이 되어 있지만, 가늘고 긴 홈을 따라 돌기를 안내하는 구조로서, 그 홈의 폭과 돌기의 지름이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시켰을 때에 돌기가 홈과의 사이에 큰 마찰이 발생하여, 뚜껑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특허문헌2는, 적은 회전량으로 뚜껑을 깊은 위치까지 압입(壓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돌기를 안내하는 홈이 급경사(急傾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조작에 대한 마찰저항이 커지고, 또한 상방의 힘에 대하여 마찰이 작용하기 어려워 뚜껑이 빠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2, 3에 기재되어 있는 홈에서는, 홈의 내측에 모래나 먼지 등이 들어가기 쉽고, 일단 들어가버리면 제거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모래나 먼지는 홈과 돌기의 접촉면에 들어가는 것으로서, 양자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방해하고 접속 부분이 느슨해지기 쉬워지거나 반대로 닫을 때의 마찰을 증대시켜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용기 등과 같은 높은 밀폐성(密閉性)이나 강한 접속력(接續力)이 필요한 접속부재일수록 홈의 폭과 돌기의 폭의 정밀도를 높이기 때문에 더 한층 현저하게 된다. 특히 바닷가에서의 오락기구나 자동차의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는 밸브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결해야 할 큰 문제이다.
또한 상기 각 특허문헌의 접속구조는 어느 것이나 모두 외관상 접속상태가 판별하기 어려워, 예를 들면 뚜껑이 완전하게 닫혀 있는가 아닌가는 눈으로 확인하여도 모르다. 또한 뚜껑의 기능적인 디자인을 외관으로서 나타내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지 않아, 미감을 향상시키는 기술상의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부재에 대하여 제2부재를 어느 쪽의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적은 회전량으로 접속할 수 있고, 모래나 먼지 등이 많은 환경하에서의 사용에도 강한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로서, 상기 제1부재는, 대략 원기둥 모양으로 돌출된 접속용 기립부와, 이 접속용 기립부의 외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고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접속용 기립부에 포개어지는 접속용 측벽부와, 이 접속용 측벽부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용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는, 홈을 구성하지 않고, 그 하면이 하방으로 완만하게 볼록하도록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속용 기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의 연속된 궤도를 형성하도록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포개어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결합용 볼록부의 상면이 상기 결합용 플랜지의 볼록형상 하면을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궤도상으로 안내되어서 당해 볼록형상 하면의 최하위치에 있어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플랜지는, 그 외측 가장자리 형상이 상기 최하위치에 있어서 가장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완만하게 볼록해지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최하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결합용 볼록부와 서로 결합 가능한 위치관계로 설치된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로 구성되는 결합력이 서로 다른 2이상의 결합용 플랜지군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 결합용 플랜지군은, 모든 볼록형상 하면이 상기 접속용 기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의 연속된 궤도를 형성하도록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속용 기립부의 상단면에서 상기 볼록형상 하면의 최하위치까지의 치수가 결합용 플랜지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그 접속용 기립부의 기단측 주변 부분에 상기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의 볼록형상 하면의 형상 및 위치에 맞추어져 형성된 복수의 오목형상 접합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부재는, 그 접속용 측벽부의 하면에 상기 오목형상 접합면의 형상 및 위치에 맞추어져 형성된 복수의 볼록현상 접합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를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로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접속용 기립부로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제2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한 뚜껑으로서 구성하는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부재에 대하여 제2부재를 어느 쪽의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적은 회전량으로 접속할 수 있고, 모래나 먼지 등이 많은 환경하에서의 사용에도 강한 접속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2는,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부재의 평면도다.
도3은, 도2의 정면도다.
도4는, 도2의 측면도다.
도5는,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부재의 저면도다.
도6은, 도5의 6A-6A선단면도다.
도7은, 도5의 측면도다.
도8은,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부재에 제2부재를 접속할 경우의 설명도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10은,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부재의 정면도다.
도11은, 도10의 평면도다.
도12는,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부재에 제2부재를 접속할 경우의 설명도다.
도13은, 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다.
도14는, 도13의 측면도다.
도15는, 도13의 저면도다.
도16은, 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부재에 제2부재를 접속할 경우의 설명도다.
도17은, 본 실시예1의 플랫밸브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18은, 도17의 18A-18A선 단면도다.
도19는, 도17의 19A-19A선 단면도다.
도20은, 본 실시예1의 어댑터를 나타내는 정면도다.
도21은, 본 실시예1의 어댑터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22는, 도20의 22A-22A선 단면도다.
도23은, 본 실시예1에 있어서 어댑터를 기체구조체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24는, 도23의 직교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다.
도25는,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페트병과 캡과의 접속에 적용한 실시예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페트병끼리의 접속에 적용한 실시예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7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백과 뚜겅의 접속에 적용한 실시예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8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커프스 버턴에 적용한 실시예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9는,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전기제품에 적용한 실시예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0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버튼에 적용한 실시예7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1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버튼에 적용한 실시예7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2는, 록볼 기구를 적용한 제2부재의 저면도다.
도33은, 록볼 기구를 적용한 제1부재의 측면도다.
도34는, 다른 록볼 기구를 적용한 제2부재의 단면도다.
도35는, 다른 록볼 기구를 적용한 제1부재의 측면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일례로서 용기(容器)와 뚜껑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제1실시형태의 접속구조(接續構造)(1A)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제1실시형태의 접속구조(1A)는 주로, 개구부(開口部)(20)를 구비한 제1부재(2)로서의 용기 본체(容器本體)(2A)와, 이 용기 본체(2A)의 개구부(20)에 착탈되는 제2부재(3)로서의 뚜껑(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용기」라고 함은, 일반적으로는 물을 넣는 그릇을 의미하지만,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무 보트나 물놀이 기구 등의 수상용 운동도구나 공기를 봉입(封入)하여 사용하는 오락기구, 자동차 타이어, 자전거 타이어, 페트병이나 알루미늄캔 등의 음료용 용기와 같이, 소정의 개구부(20)를 통하여 기체나 액체, 고체 등을 수용하는 그릇이나 구조체 등 전반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부재(2)는, 도2에서부터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모양으로 돌출된 접속용 기립부(接續用 起立部)(21)와, 이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용 플랜지(結合用 flange)(22)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용 기립부(21)는 제2부재(3)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2A)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되어 있다.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1에서부터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접속용 기립부(21)로서 돌출되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용 기립부(21)는, 제2부재(3)와 접속 가능한 것이라면 완전한 원통 모양이 아니어도 좋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결합용 플랜지(22)는 제2부재(3)를 접속상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20)의 중심축(中心軸)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2개의 결합용 플랜지(22, 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용 플랜지(22)의 수(數)나 배치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각 결합용 플랜지(22)는,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면(下面)이 하방(下方)으로 완만하게 볼록하도록 돌출된 볼록형상 하면(23)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볼록형상 하면(23)도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볼록형상 하면(23)은 최하위치(最下位置)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부재(3)의 결합용 볼록부(33)를 슬라이딩 시키면서 최하위치로 안내 또는 유도하는 역활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결합용 플랜지(22)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외측 가장자리 형상이 최하위치에 있어서 가장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완만하게 볼록해지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최하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결합용 플랜지(22) 상호간의 사이는 대략 플랜지 모양으로는 연장되어 있지 않아, 상기 결합용 볼록부(33)를 결합시키기 쉬운 형상을 하고 있고, 최하위치로 안내함에 따라 서서히 연장되는 정도가 크게 되어 있어, 상기 최하위치에 있어서 가장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부재(3)는, 도5에서부터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20)를 피복(被覆)하는 대략 원판 모양의 뚜껑부(31)와, 이 뚜껑부(3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하방을 향하는 접속용 측벽부(接續用 側壁部)(32)와, 이 접속용 측벽부(32)의 내측면(內側面)에서 내측방향(內側方向)으로 연장된 결합용 볼록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용 측벽부(32)는, 제1부재(2)의 접속용 기립부(21)에 포개져 결합용 볼록부(33)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용 측벽부(32)는, 도1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 전체를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속용 측벽부(32)의 형상은 상기한 외측면 전체를 피복하는 원통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제3실시형태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판자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의 접속용 측벽부(32)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등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결합용 볼록부(33)는 제2부재(3)를 접속상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접속용 측벽부(32)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결합용 볼록부(33)는, 도5에서부터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부(31)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2개의 결합용 볼록부(33, 33)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제1부재(2)의 결합용 플랜지(22, 22)와, 제2부재(3)의 결합용 볼록부(33, 33)가 서로 결합 가능한 위치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2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부재(3)에 있어서의 뚜껑부(31)의 중심축으로부터 결합용 볼록부(33)의 선단까지의 치수(R1)가, 제1부재(2)에 있어서의 접속용 기립부(21)의 반경(R2)이상이며 또한 개구부(20)의 중심축으로부터 결합용 플랜지(22)의 선단까지의 치수(R3)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뚜껑부(31)를 덮었을 때에 결합용 볼록부(33)가 결합용 플랜지(22)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쉽고, 또한 회전시킴으로써 확실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4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용 기립부(21)의 상단면에서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까지의 치수(H1)와, 뚜껑부(31)의 천장면에서 결합용 볼록부(33)의 상단면까지의 치수(H2)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용 볼록부(33)가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까지 안내되었을 때에, 뚜껑부(31)의 천장면이 개구부(20)에 밀착하여 용기 본체(2A)를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31)의 천장면에 O링(O ring) 등의 실링(sealing)을 배치함으로써 밀폐성(密閉性)을 높여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치수(H1)로서는 그 실링의 탄성변형(彈性變形)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또한 도1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재(2)에는, 그 접속용 기립부(21)의 기단부 주변 부분에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과 대응할 수 있도록, 그 형상 및 그 형성위치에 맞추어 복수의 중심으로 하여 접합면(2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부재(3)에는, 그 접속용 측벽부(32)의 하면에 상기 중심으로 하여 접합면(24)의 형상 및 그 형성 위치에 맞추어 복수의 볼록형상 접합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접속되었을 때에, 양자의 외측면이 딱 접합하여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조(1A)의 작용에 대하여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부재(2)로서의 용기 본체(2A)에 제2부재(3)로서의 뚜껑(3A)을 접속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본 제1실시형태의 접속구조(1A)에 의하여 용기 본체(2A)의 개구부(20)에 뚜껑(3A)을 접속할 경우에,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 중에서 결합용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는 결합용 플랜지(22) 상호간의 경계에 있는 연장되는 정도가 작은 부분에 결합용 볼록부(33)를 얼라인먼트(alignment) 하여 뚜껑(3A)을 위로부터 개구부(20)에 씌운다. 이 때에,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결합용 플랜지(22)에 접촉하지 않고 결합되고, 접속용 측벽부(32)를 접속용 기립부(21)에 포갤 수 있음과 아울러 뚜껑부(31)를 개구부(20)의 상방에 배치한다.
계속하여 뚜껑(3A)을 회전시키면,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각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을 슬라이딩 하면서 완만하게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뚜껑(3A)이 개구부(20)에 대하여 서서히 하강한다. 이 때에, 각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3A)을 좌우방향의 어느 쪽으로 회전시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또한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각 결합용 볼록부(33)의 선단부가 각 결합용 플랜지(22)의 선단부보다도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뚜껑(3A)을 용기 본체(2A)에 대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계속하여 뚜껑(3A)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8(a)의 상태로부터 약90도 회전한 상태에서 도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까지 안내된다. 이에 따라 뚜껑부(31)의 천장면이 접속용 기립부(21)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개구부(20)를 닫는다. 또한 이 때에, 접속용 측벽부(32)의 하면이 접속용 기립부(21)의 기단측 주변 부분의 상면에 포개지기 때문에, 접속의 완료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미관도 참신한 것이 된다.
한편, 상기한 결합상태로부터 뚜껑(3A)을 같은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각 결합용 플랜지(22)의 최하위치로부터 벗어나서 해방된다. 이 때에, 결합시키는 경우와 같이 뚜껑(3A)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마찬가지로 해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3A)을 회전시키는 방향을 의식하지 않고, 개폐(開閉)의 어느 것도 모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결합용 볼록부(33)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은 홈이 아니라 결합용 플랜지(22)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2A)에는, 결합용 볼록부(33)의 하단측에 접촉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개폐시의 마찰저항을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홈이 아니기 때문에 모래나 먼지 등의 쓰레기가 쌓이기 어렵고, 예를 들어 쓰레기가 부착되어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가 부착된 채 뚜껑(3A)을 회전시켜도, 결합용 볼록부(33)가 쓰레기를 긁어내어 배출하기 쉬우므로 슬라이딩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본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1.제2부재(3)를 어느 쪽의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적은 회전량으로 제1부재(2)에 착탈할 수 있다.
2.모래나 쓰레기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바닷가 등과 같이 접속용 기립부(21)에 먼지나 쓰레기가 부착되기 쉬운 장소에서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다.
3.제1부재(2)를 착탈할 때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고, 아이나 고령자, 손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더라도 간단하게 작은 힘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4.제1부재(2)가 제2부재(3)에 접속되어 있는가 아닌가나 그 접속 정도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1B)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제2실시형태의 구성 중에서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구성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에 상당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시 설명하는 것을 생략한다.
본 제2실시형태의 특징은, 도9에서부터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재(2)로서의 용기 본체(2B)에 있어서, 접속용 기립부(21)의 상단면에서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까지의 치수가 서로 다른 2이상의 결합용 플랜지군을 형성한 점에 있다. 당해 치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결합 높이가 변경되어서 결합 정도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결합용 플랜지군은 상기 치수가 동일한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2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치수(H3)가 작은 한 쌍의 결합용 플랜지(22)로 구성되어 결합 정도가 약한 약결합용 플랜지군(弱結合用 flange群)(25)과, 상기 치수(H4)가 큰 한 쌍의 결합용 플랜지(22)로 구성되어 결합 정도가 강한 강결합용 플랜지군(强結合用 flange群)(26)을 구비하고 있다. 각 결합용 플랜지군을 구성하는 결합용 플랜지(22)는,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20)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결합용 플랜지군을 구성하는 각 결합용 플랜지(22)와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약90도 틀어져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조(1B)의 작용에 대하여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부재(2)로서의 용기 본체(2B)에 제2부재(3)로서의 뚜껑(3A)을 접속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본 제2실시형태의 접속구조(1B)에 의하여 용기 본체(2B)의 개구부(20)에 뚜껑(3A)을 접속할 경우에, 도1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 중에서 결합용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는 결합용 플랜지(22) 상호간의 경계부분에 있어서의 연장되는 정도가 작은 부분에 결합용 볼록부(33)를 얼라인먼트 하여 뚜껑(3A)을 위로부터 개구부(20)에 씌운다.
계속하여 뚜껑(3A)을 한 방향으로 약45도 회전시키면, 도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약결합용 플랜지군(25)의 볼록형상 하면(23)을 슬라이딩 하면서 당해 플랜지군(25)의 최하위치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뚜껑(3A)이 개구부(20)에 대하여 서서히 하강하고,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약결합용 플랜지군(25)에 대하여 얕은 위치에서 결합한다. 따라서 뚜껑(3A)은 용기 본체(2B)에 대하여 가결합(假結合)한 것과 같이 가볍게 접속된다.
한편 도12(a)의 상태로부터 뚜껑(3A)을 역방향으로 약45도 회전시키면, 도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강결합용 플랜지군(26)의 볼록형상 하면(23)을 슬라이딩 하면서 당해 플랜지군(26)의 최하위치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뚜껑(3A)이 개구부(20)에 대하여 서서히 하강하고,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강결합용 플랜지군(26)에 대하여 가장 깊은 위치에서 결합한다. 따라서 뚜껑(3A)은 용기 본체(2B)에 대하여 견고하게 접속된다. 또한 도12(c)의 상태는, 상기 도12(b)의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약45도 더 회전시킴으로써 가장 깊은 위치에서의 결합상태에 이르게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제2실시형태의 접속구조(1B)에 의하면,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접속시키는 데에 필요한 회전량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제1부재(2)와 제2부재(3)와의 접속의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결합용 플랜지군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용 기립부(21)의 상단면에서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까지의 치수가 서로 다른 3군의 결합용 플랜지군을 형성하고, 원주방향으로 약60도씩 비키어 놓아서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제1부재(2)와 제2부재(3)의 결합력을 대, 중, 소의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1C)의 제3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제3실시형태의 구성 중에서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구성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에 상당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시 설명하는 것을 생략한다.
본 제3실시형태의 특징은, 도13에서부터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부재(3)로서의 뚜껑(3C)에 있어서, 접속용 측벽부(32)를 한 쌍의 판자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의 접속용 측벽부(32, 32)로 구성한 점 및 뚜껑부(31)의 하면에 밀폐부재(35)를 설치한 점에 있다.
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접속용 측벽부(32, 32)는 뚜껑부(31)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위치에서 하방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접속용 측벽부(32)의 하단으로부터 결합용 볼록부(33)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용 측벽부(32)의 수나 형상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접속용 측벽부(32)를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의 간격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밀폐부재(35)는 개구부(20)와의 기밀성(氣密性)이나 수밀성(水密性)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개구부(20)보다도 큰 직경의 O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조(1C)의 작용에 대하여 도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부재(2)로서의 용기 본체(2A)에 제2부재(3)로서의 뚜껑(3C)을 접속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본 제3실시형태의 접속구조(1C)에 의하여 용기 본체(2A)의 개구부(20)에 뚜껑(3C)을 접속할 경우에, 도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 중에서 결합용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는 결합용 플랜지(22) 상호간의 경계부분에 있어서 연장되는 정도가 작은 부분에 결합용 볼록부(33)를 얼라인먼트 하여 뚜껑(3A)을 위로부터 개구부(20)에 씌운다.
계속하여 뚜껑(3C)을 회전시키면, 도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각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을 슬라이딩 하면서 하방으로 안내되어, 도16(a)의 상태로부터 약90도 회전하면 도1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뚜껑(3C)이 개구부(20)에 대하여 서서히 하강하고, 각 결합용 볼록부(33)가 결합용 플랜지(22)에 대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뚜껑(3C)이 용기 본체(2A)에 대하여 접속된다.
이 때에, 본 제3실시형태에서는 각 접속용 측벽부(32)가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을 완전하게 피복하지 않기 때문에, 당해 외측면은 항상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접속용 측벽부(32)와 결합용 플랜지(22)의 위치관계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접속이 완료된 것인가 아닌가의 접속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3실시형태에서는 뚜껑부(31)의 하면에 설치된 밀폐부재(35)가 개구부(20)의 가장자리에 압접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A)의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제3실시형태의 접속구조(1C)에 의하면,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제1부재(2)와 제2부재(3)의 접속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기 쉽고 용기 본체(2A)의 기밀성 및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1]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1에서는, 본원 발명자가 발명한 플랫밸브장치(flat valve 裝置)(4)(일본국 특허제3504945호)를 구비한 제1부재(2)로서의 기체 구조체(氣體構造體)(2D)에 제2부재(3)로서의 어댑터(3D)를 통하여 소정의 기체 주입구(氣體注入具)를 접속하기 위한 구조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적용하였다.
우선, 본 실시예1의 플랫밸브장치(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플랫밸브장치(4)는, 도17에서부터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로 기체 구조체(2D)의 접속용 기립부(21)를 구성하는 외측 프레임 부재(外側 frame 部材)(41)와, 이 외측 프레임 부재(41)의 개구부(20)에 착탈하도록 부착되는 본체부재(本體部材)(42)와, 이 본체부재(42)에 회전하도록 부착되는 회전 뚜껑(43)과, 본체부재(42)의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기구(valve 機構)(44)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1에 있어서, 외측 프레임 부재(41)의 외측면에는,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위치에서 2개의 결합용 플랜지(22)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재(42)의 내부에는, 도18 및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뚜껑(43)의 하방으로 밸브 기구(44)가 수용되어 있고, 이 밸브 기구(44)로 통하는 기체주입 구멍(43a)이 회전 뚜껑(43)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기구(44)에는 밀봉뚜껑(44a)이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되어 있고, 이 밀봉뚜껑(44a)을 기압(氣壓)에 의하여 밀어내림으로써 기체 구조체(2D)의 내외(內外)가 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뚜껑(43)을 회전시켜서 기체주입 구멍(43a)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기체를 주입 가능한 상태와, 밸브 기구(44)를 폐쇄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1의 어댑터(3D)는, 도20에서부터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본 제3실시형태에 상당하는 뚜껑(3C)에 뚜껑측 주입구멍(36)을 형성한 것이다. 이 뚜껑측 주입구멍(36)은, 어댑터(3D)의 상단면에서 하면에 걸쳐서 관통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3D)의 상단부에는, 연결용 돌기(連結用 突起)(37)를 통하여 소정의 공기 주입구(空氣注入具)(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어댑터(3D)의 하면에는, 뚜껑측 주입구멍(36)을 회전 뚜껑(43)의 기체주입 구멍(43a)과 통하게 하기 위한 원형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1의 플랫밸브장치(4) 및 어댑터(3D)를 접속하여 기체 구조체(2D)에 기체를 주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랫밸브장치(4)에 있어서, 본체부재(42)에 나사결합된 회전 뚜껑(43)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기체주입 구멍(43a)을 밸브 기구(44)의 밀봉뚜껑(44a)과 대향시킨다. 이에 따라 밸브 기구(44)는 밀봉뚜껑(44a)을 밀어내리는 기압을 받음으로써 기체주입 구멍(43a)과 기체 구조체(2D)내를 통하게 하여 기체를 주입 가능한 상태로 한다.
계속하여 외측 프레임 부재(41)의 위로부터 어댑터(3D)를 씌워서 회전시키고, 어댑터(3D)의 각 결합용 볼록부(33)를 각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을 따라 슬라이딩 시킨다. 이에 따라 도23 및 도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댑터(3D)의 천장면이 본체부재(42)의 상단면에 접촉하고, 밀폐부재(35)가 원형 오목부(38)에 삽입되어 밀폐되고, 뚜껑측 주입구멍(36)과 회전 뚜껑의 기체주입 구멍(43a)이 서로 통하게 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뚜껑측 주입구멍(36)의 상단부에 접속한 기체 주입구로부터 기체를 보낸다. 이에 따라 뚜껑측 주입구멍(36)을 통하여 원형 오목부(38)에 주입된 기체가 기체주입 구멍(43a)을 통하여 밸브 기구(44)로 반송된다. 이에 따라 밸브 기구(44)의 밀봉뚜껑(44a)이 기압에 의하여 압입되어서 기체 구조체(2D)내로 기체가 주입된다.
기체 구조체(2D)내에 기체가 충전되면, 기체 주입구에 의한 기체 이송을 정지한다. 그리고 어댑터(3D)를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약90도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어댑터(3D)와 외측 프레임 부재(41)의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어댑터(3D)를 떼어낸 후에 회전 뚜껑(43)을 회전시키고, 기체주입 구멍(43a)이 밸브 기구(44)와 통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1에 의하면,
1.플랫밸브장치(4)를 구비한 기체 구조체(2D)에 공기 주입구를 접속할 때의 어댑터(3D)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2.어댑터(3D)를 신속하게 외측 프레임 부재(41)의 결합용 플랜지(22)에 착탈할 수 있다.
3.간단하게 기밀성이 높은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2에서는, 제1부재(2)로서 페트병(2E)을 채용하고, 이 페트병(2E)의 개구부(20)에 제2부재(3)로서의 뚜껑(3E)을 접속하기 위한 구조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2의 페트병(2E)의 입구 부분은,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상당하는 용기 본체(2A)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뚜껑(3E)은,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상당하는 뚜껑(3A)과 대략 동일한 구성에 더하여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밀폐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2에 의하면, 수밀성을 저감시키지 않고 페트병(2E)에 대한 뚜껑(3E)의 착탈 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3]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3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3에서는, 페트병 상호간을 접속하기 위한 구조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3의 페트병(P)에는, 통상의 뚜껑(C)의 하방위치에 제1부재(2)의 각 구성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페트병(P)의 저면(底面)에 제2부재(3)의 각 구성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3에 있어서, 제1부재(2)로서의 각 구성부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2부재(3)로서의 각 구성부는, 뚜껑부(31)의 천장면에서 결합용 볼록부(33)의 상단면까지의 치수(H2)가 뚜껑(C)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3에 의하면, 도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페트병(P) 상호간을 몇개라도 자유자재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이 도모됨과 아울러 함께 운반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커피가 담긴 페트병(P)과 녹차가 담긴 페트병(P)을 연결하고, 이것을 1세트로서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수요를 개척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2)로서의 각 구성부는 뚜껑(C)의 하방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페트병(P)의 어깨부에 설치하는 하여도 좋다.
[실시예4]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4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4에서는, 세컨드백 등과 같이 뚜겅을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백류(bag類)의 결합구조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재(2)로서의 백본체(bag 本體)(2F)와, 제2부재(3)로서의 덮개(3F)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4에 있어서, 백본체(2F)측의 접속부는, 개구부(20)가 없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3F)측의 접속부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더하여 덮개(3F)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조작성이나 미감을 높이도록 외주면이 요철(凹凸)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4에 의하면, 높은 디자인성을 겸비한 접속구조로서 구성할 수 있고, 덮개(3F)를 백본체(2F)에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5]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5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5에서는, 커프스 버튼(cuffs button)이나 피어스 이어링(pierce earing) 등과 같이, 착탈식의 악세사리류(accessories類)를 접속하기 위한 구조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재(2)로서의 기대부(基臺部)(2G)와 제2부재(3)로서의 장식부(裝飾部)(3G)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5에 있어서, 기대부(2G)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기단부(基端部)가 폭이 넓어져서 안쪽 버튼과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식부(3G)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 원하는 장식이나 모양이 부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5에 의하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착탈할 수 있는 커프스 버튼이나 피어스 이어링 혹은 장식 부분을 교환 가능한 반지 등의 악세사리류로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6]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6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6에서는, PC 등의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접속 코드류의 접속구조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재(2)로서의 전기제품(2H)은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더하여 접속용 기립부(20)의 중심에 삽입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부재(3)로서의 접속 플러그(接續 plug)(3H)에는, 삽입구멍(27)에 삽입되어서 통전상태로 접속하는 통전용 기구(通電用 機構)(39)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6에 의하면, 전기제품 등의 접속부로서 구성할 수 있고, 단지 당기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것 만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7]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7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7에서는, 셔츠나 재킷 등의 양복에 사용되는 버튼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복의 앞측의 열리는 부분의 내측에는, 제1부재(2)로서의 버튼 기부(button 基部)(2I)가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앞측의 열리는 부분의 외측에는, 상기 버튼 기부(2I)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제2부재(3)로서의 회전 버튼(回轉button)(3I)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7에 있어서, 버튼 기부(2I)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용기 본체(2A)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회전 버튼(3I)은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뚜껑(3A)과 대략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접속의 기본구조는 같다. 그리고 각 회전 버튼(3I)은 앞측의 열리는 부분에 내장된 회전지지부재(回轉支持部材)(S)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7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버튼을 잠그는 경우에, 버튼 기부(2I)에 회전 버튼(3I)을 삽입하여 회전지지부재(S)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결합용 볼록부(33)가 결합용 플랜지(22)에 결합하여 잠글 수 있다. 이 때문에 버튼홀에 버튼을 통과시켜서 잠그는 것 보다도 매우 간단하여 가벼운 힘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나 손에 장애가 있는 사람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버튼을 잠글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버튼(3I)은, 버튼홀을 통과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자인상의 제한이 없어 종래의 원형이나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종다양한 디자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7의 다른 예로서, 도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앞측의 열리는 부분의 버튼홀(H)을 이용하고, 이 버튼홀(H)에 회전 버튼(3I)을 회전하도록 설치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버튼홀(H)의 크기를 고려한 회전 손잡이(T)를 회전 버튼(3I)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T)가 버튼홀(H)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버튼(3I)을 버튼홀(H)에 통과시키고, 내측의 버튼 기부(2I)에 포개어 상기 회전 손잡이(T)를 회전시키면, 회전 버튼(3I)의 결합용 볼록부(33)가 버튼 기부(2I)의 결합용 플랜지(22)에 결합하고,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7에 의하면, 아이나 손에 장애가 있는 사람도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는 양복 버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7에서는, 결합용 플랜지(22)를 버튼 기부(2I)에 설치하고, 결합용 볼록부(33)를 회전 버튼(3I)에 설치하고 있지만, 구조상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면 이것을 반대로 설치해도 좋다. 이것은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접속구조는,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록볼 기구(lock ball 機構)를 사용하여 접속상태를 록 할 수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3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에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부재(加壓部材)(51)를 내장하고, 이 가압부재(51)의 선단측에 록볼(52)을 지지시킨다. 이에 따라 록볼(52)이 결합용 볼록부(33)의 선단면에서 돌출하도록 가압된다. 한편 제1부재(2)의 접속용 기립부(21)에는, 도3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용 플랜지(22)의 최하위치에 대응하는 외측면에 록볼(52)을 삽입시키는 결합 구멍(53)을 형성한다.
혹은, 도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용 볼록부(3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압부재(51)에 의하여 록볼(52)을 지지시킨다. 한편 도3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용 기립부(21)에는, 결합용 플랜지(22)의 최하위치에 대응하는 볼록형상 하면(23)에 록볼(52)을 삽입시키는 결합 구멍(53)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록볼(52)은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딩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결합용 볼록부(33)가 결합용 플랜지(22)의 볼록형상 하면(23)의 최하위치까지 안내되었을 때에, 록볼(52)이 결합 구멍(53)에 삽입된다. 따라서 유저는, 록볼(52)이 결합 구멍(53)에 삽입되었을 때의 클릭감(click感)에 의하여 제1부재(2)와 제2부재(3)의 접속상태가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상태에 있는 제1부재(2)와 제2부재(3)에 뜻하지 않은 힘이 가해져도, 접속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어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록볼(52)을 접속용 기립부(21)의 외측면 혹은 볼록형상 하면(23)을 따라 회전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제1부재(2)의 회전을 가벼운 힘으로 매끄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부재(2)와 제2부재(3)의 일례로서, 용기 본체와 뚜껑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의 부재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라면 크기나 강도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물품의 접속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실시예 이외에도, 자동차 등의 급유구(給油口)와 급유 호스(給油 hose)의 접속구조, 자동차 등을 견인하는 견인기구(牽引器具)의 접속구조, 블록 장난감의 접속구조, 배관의 접속구조, 벨트의 버클 부분의 접속구조, 간판의 결합구조, 또한 지름이 서로 다른 드라이버 공구(driver 工具)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핸들 부분과의 접속구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1A, 1B, 1C 접속구조
2 제1부재
2A, 2B 용기 본체
2D 기체구조체
2E 페트병
2F 백 본체
2G 기대부
2H 전기제품
2I 버튼 기부
3 제2부재
3A, 3C 뚜껑
3D 어댑터
3E 캡
3F 뚜겅
3G 장식부
3H 접속 플러그
3I 회전 버튼
4 플랫밸브장치
20 개구부
21 접속용 기립부
22 결합용 플랜지
23 볼록형상 하면
24 오목형상 접합면
25 약결합용 플랜지군
26 강결합용 플랜지군
27 삽입구멍
31 뚜껑부
32 접속용 측벽부
33 결합용 볼록부
34 볼록형상 접합면
35 밀폐부재
36 뚜껑측 주입구멍
37 연결용 돌기
38 원형 오목부
39 통전용 기구
41 외측 프레임 부재
42 본체 부재
43 회전 뚜껑
43a 기체주입 구멍
44 밸브 기구
44a 밀봉뚜껑
51 가압부재
52 록볼
53 결합 구멍
B1 백 본체
B2 뚜껑
C 뚜껑
H 버튼홀
P 페트병
S 회전지지부재
T 회전 손잡이

Claims (5)

  1. 제1부재(第1部材)와 제2부재(第2部材)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接續構造)로서,
    상기 제1부재는, 대략 원기둥 모양으로 돌출된 접속용 기립부(接續用 起立部)와, 이 접속용 기립부의 외측면(外側面)의 원주방향(圓周方向)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結合用 flange)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접속용 기립부에 포개어지는 접속용 측벽부(接續用 側壁部)와, 이 접속용 측벽부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용 볼록부(結合用 block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는, 홈을 구성하지 않고, 그 하면(下面)이 하방(下方)으로 완만하게 볼록하도록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속용 기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의 연속(連續)된 궤도(軌道)를 형성하도록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포개어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결합용 볼록부의 상면이 상기 결합용 플랜지의 볼록형상 하면을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궤도상으로 안내되어서 당해 볼록형상 하면의 최하위치(最下位置)에 있어서 결합되는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플랜지는, 그 외측 가장자리 형상이 상기 최하위치에 있어서 가장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완만하게 볼록해지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최하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결합용 볼록부와 서로 결합 가능한 위치관계로 설치된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로 구성되는 결합력이 서로 다른 2이상의 결합용 플랜지군(結合用 flange群)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 결합용 플랜지군은, 모든 볼록형상 하면이 상기 접속용 기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의 연속된 궤도를 형성하도록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속용 기립부의 상단면에서 상기 볼록형상 하면의 최하위치까지의 치수가 결합용 플랜지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접속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그 접속용 기립부의 기단측 주변 부분에 상기 복수의 결합용 플랜지의 볼록형상 하면의 형상 및 위치에 맞추어져 형성된 복수의 오목형상 접합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부재는, 그 접속용 측벽부의 하면에 상기 오목형상 접합면의 형상 및 위치에 맞추어져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상 접합면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를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로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접속용 기립부로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제2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한 뚜껑으로서 구성한 접속구조.
KR1020107026083A 2008-05-30 2009-05-29 접속구조 KR101235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3011A JP4234777B1 (ja) 2008-05-30 2008-05-30 接続構造
JPJP-P-2008-143011 2008-05-30
PCT/JP2009/059896 WO2009145317A1 (ja) 2008-05-30 2009-05-29 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156A true KR20110014156A (ko) 2011-02-10
KR101235122B1 KR101235122B1 (ko) 2013-02-20

Family

ID=4050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083A KR101235122B1 (ko) 2008-05-30 2009-05-29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857647B2 (ko)
EP (2) EP2857326A1 (ko)
JP (1) JP4234777B1 (ko)
KR (1) KR101235122B1 (ko)
CN (1) CN102083701B (ko)
AU (1) AU2009252248B2 (ko)
CA (1) CA2726577C (ko)
HK (1) HK1153711A1 (ko)
IL (1) IL209268B (ko)
NZ (1) NZ589159A (ko)
RU (1) RU2457163C1 (ko)
WO (1) WO2009145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5526B2 (en) 2006-03-08 2018-02-20 Ivaxis, Llc Anti-contamination cover for fluid connections
US7780794B2 (en) 2006-07-21 2010-08-24 Ivera Medical Corporation Medical implement cleaning device
US9259284B2 (en) 2007-02-12 2016-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emale Luer connector disinfecting cap
JP2009009035A (ja) * 2007-06-29 2009-01-1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WO2010141508A1 (en) * 2009-06-01 2010-12-09 Ivera Medical Corporation Medical implement cleaning device with friction-based fitting
JP4818456B2 (ja) * 2009-10-22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020779A (ja) * 2010-07-16 2012-02-02 Toyo Glass Co Ltd スタッカブルびん
JP5734597B2 (ja) * 2010-08-06 2015-06-17 株式会社ガスター 収容体の封止構造
WO2012038928A1 (en) 2010-09-23 2012-03-29 9224-9838 Quebec Inc. Interconnecting container system
FR2970951B1 (fr) * 2011-01-31 2013-03-01 Mezrag Mohamed Seiffeddine Bou Recipient modulaire compose d'une pluralite de conteneurs emboitables axialement, et procede d'obtention de tels conteneurs par soufflage d'une preforme
US8832894B2 (en) 2011-07-19 2014-09-16 Ivera Medical Corporation Cleaning device for male end of intraveneous set
US11213730B2 (en) * 2018-12-13 2022-01-04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inertia performance
BR112014030187A2 (pt) 2012-06-04 2017-06-27 Ivera Medical Corp dispositivo de limpeza para instrumento médico que tem uma saliência macho
EP2877293B1 (en) * 2012-07-27 2020-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nt assembly and reservoirs including the same
US9907617B2 (en) 2013-03-15 2018-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dical implement cleaning device
CH708282A1 (de) * 2013-07-10 2015-01-15 Capartis Ag Kunststoff-Behälter mit Drehverschluss.
DE102013213633A1 (de) * 2013-07-11 2015-01-15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US20190239603A1 (en) * 2013-09-04 2019-08-08 Kf Licensing, Inc. Bridal set jewelry system with interchangeable heads, shanks and bands
DE102014200552B3 (de) * 2014-01-15 2015-01-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lemmelement sowie Bauteilverbindung mit einem Klemmelement
CN105299004A (zh) * 2014-06-13 2016-02-03 恒昌行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式固定装置
CN104454875A (zh) * 2014-11-04 2015-03-25 贵州航天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定距定压力快卸光杆螺栓无螺纹螺母固定夹紧组件
FR3029755B1 (fr) * 2014-12-11 2016-12-16 Albea Services Dispositif d'assemblage entre une flaconnette et un applicateur, applicateur et ensemble d'un applicateur et d'une flaconnett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102015005265A1 (de) * 2015-04-11 2016-10-13 Testo Ag Sondenhalterung für ein Messinstrument
CN104839944B (zh) * 2015-05-18 2017-12-26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一种扣件以及具有该扣件的双头拉链
MX2018003457A (es) * 2015-09-21 2018-06-12 Johnson & Son Inc S C Accesorio y sistema para mezclar y dispensar un producto quimico y diluyente.
CA2937262C (en) * 2015-10-02 2023-11-07 Aqua-Leisure Industries, Inc. Rotatable connector assembly
FR3053030B1 (fr) * 2016-06-23 2019-07-19 Albea Services Bouchon, notamment pour tube souple
US10070697B1 (en) * 2016-09-20 2018-09-11 Phoebe James, Inc. Pop-twist lock fastener
CN106428969B (zh) * 2016-09-22 2018-06-22 施海峰 一种结构优化的医用酒精棉存储瓶
CN106379634A (zh) * 2016-12-15 2017-02-08 北京市茶素材技术有限公司 一种本体与盖体的连接结构
CN106862912B (zh) * 2017-03-09 2019-01-08 友达光电(厦门)有限公司 一种锁付装置
KR102276763B1 (ko) 2017-04-01 2021-07-13 엑스-폴 아시아 리미티드 댄스 운동 폴을 위한 말단 조립체
US20180327153A1 (en) * 2017-05-12 2018-11-15 Argus Machine Co. Ltd. Display containers
US20180332892A1 (en) * 2017-05-17 2018-11-22 Smoke Spot, Llc Container for Cannabis and Tobacco
IT201700070794A1 (it) * 2017-06-26 2018-12-26 Berning Italia S R L Bottone oscillante, particolarmente per capi di abbigliamento
CN107086440B (zh) * 2017-06-28 2024-03-26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转接母线组件及绝缘结构及其绝缘堵头和绝缘筒
US10724687B2 (en) 2017-08-30 2020-07-28 Michael Wayne Wilkinson Compressed gas cylinder quick release safety cap
JP7065695B2 (ja) * 2018-05-30 2022-05-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N110481933A (zh) * 2018-09-30 2019-11-22 山东高密佳怡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纸罐
JP7126772B2 (ja) * 2019-02-28 2022-08-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及び容器
CN110005671A (zh) * 2019-03-01 2019-07-12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组装的桌架和桌子
CN110215018B (zh) * 2019-07-12 2021-12-28 北京尔茂蒙特时装有限公司 一种纽扣
KR102253944B1 (ko) * 2019-11-01 2021-05-21 주식회사 타바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CN111077108B (zh) * 2019-12-31 2020-08-25 中国科学院地质与地球物理研究所 一种适用于深空探测的激光样品室
CN111605686A (zh) * 2020-05-26 2020-09-0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rov与工具库机械对接锁紧机构
US11497283B2 (en) * 2020-07-23 2022-11-15 Kelsey Kosinski Garment locking system
US11946309B2 (en) * 2020-08-17 2024-04-02 Whirlpool Corporation Adjustable bumper design for home appliances
CN114376284A (zh) * 2020-10-22 2022-04-22 冠宥智能有限公司 肌力训练用的穿戴用品
US11930895B2 (en) * 2020-11-03 2024-03-19 The Beer Vest Guys Llc Garment for displaying ornaments
JP7300134B1 (ja) * 2023-01-12 2023-06-29 株式会社三幸製作所 コネクタ接続構造、電動式低圧吸引器用排液バッグ、及び電動式低圧吸引器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801A (en) * 1877-04-17 Improvement in bottle-stoppers
US1304098A (en) * 1919-05-20 Clostjbe sos
US890302A (en) * 1907-11-06 1908-06-09 Paul L Roediger Jar and bottle closure.
US1611443A (en) * 1920-03-10 1926-12-21 American Can Co Nozzle
US1509969A (en) * 1923-04-09 1924-09-30 Charlie H Martin Cap for tanks
GB319868A (en) * 1928-07-25 1929-10-03 Richard Walkd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eans for opening the lids of metal and other tins and the like
US2193226A (en) * 1937-01-25 1940-03-12 Cherry Burrell Corp Closure for containers
US3402842A (en) * 1967-02-10 1968-09-24 Stephen J. Millian Safety closure
JPS4820111B1 (ko) 1969-07-05 1973-06-19
US3812989A (en) * 1970-10-08 1974-05-28 Diamond Int Corp Safety cap
AU429059B2 (en) 1971-06-07 1972-10-10 Reflex Corporation Of Canada Limited Safety cap and container
US3809276A (en) * 1972-09-27 1974-05-07 Eyelet Specialty Co Plastic bottle and cap construction
US4006837A (en) * 1974-10-30 1977-02-08 Wheeling Closure Corporation Container closure
JPS51151436A (en) 1975-06-20 1976-12-25 Koyo Seiko Co Ltd Mounting and demounting device of transmission shaft
FR2536372A1 (fr) * 1982-11-18 1984-05-25 Mbf Plastiques Systeme de retenue d'un obturateur ou capot par rapport au goulot d'un recipient
US4485932A (en) * 1983-07-11 1984-12-04 Owens-Illinois, Inc. Child resistant package
JPS60126342U (ja) * 1984-02-03 1985-08-26 豊國樹脂工業株式会社 容器のキヤツプ構造
JPS60126342A (ja) 1984-10-24 1985-07-05 東レ株式会社 かさ高糸の製造方法
JPS62126375A (ja) 1985-11-26 1987-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ダ装置
US4701360A (en) 1986-05-16 1987-10-2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Heat sealable barrier material for improved juice packaging (EVOH)
JPS633949A (ja) 1986-06-24 1988-01-0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セラミツクス製耐火部材
FR2609970B1 (fr) * 1987-01-23 1990-02-23 Moulage Specialise Pack Atel Dispositif de fermeture d'un recipient a col a elements de positionnement elastiquement deformables
JPS6413610A (en) 1987-07-07 1989-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onic computer
US4944424A (en) 1990-01-09 1990-07-31 Wood Jr Theodore N Safety cap assembly
GB9207987D0 (en) * 1992-04-10 1992-05-27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container and closure
GB9226153D0 (en) 1992-12-15 1993-02-10 Canyon Europ Ltd Closure caps for containers
CN2198220Y (zh) * 1994-04-11 1995-05-24 陈雨龙 可旋转开关的容器盖
JPH0820111A (ja) 1994-07-05 1996-01-23 Canon Inc 液体噴射記録ヘッド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液体噴射記録装置
US5411161A (en) * 1994-08-19 1995-05-02 Fish, Jr.; Milton L. Container having a twist-locking cover
JP2933492B2 (ja) 1994-10-12 1999-08-16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容器口栓構造
US5638976A (en) * 1995-11-15 1997-06-17 Arnold; Bruce Douglas Container with rotatable locking lid
JP3108385B2 (ja) 1997-05-02 2000-11-13 花王株式会社 容 器
JP3073939B2 (ja) 1997-05-02 2000-08-07 花王株式会社 容 器
DE19738263A1 (de) * 1997-09-02 1999-03-04 Knopf Schaefer Gmbh Knopf mit einem auswechselbaren Zierstück
JP3248678B2 (ja) 1997-09-24 2002-01-21 花王株式会社 容 器
JPH11100051A (ja) 1997-09-24 1999-04-13 Kao Corp 容 器
JP3140724B2 (ja) 1997-10-02 2001-03-05 花王株式会社 容 器
JP3103330B2 (ja) * 1997-10-02 2000-10-30 花王株式会社 容 器
GB2330133B (en) * 1997-10-10 2001-11-07 Beeson & Sons Ltd Closure assembly for pressurized containers
JP3493652B2 (ja) 1998-07-21 2004-02-03 横河電機株式会社 波形観測装置
JP2000053150A (ja) 1998-08-04 2000-02-22 Akita Yoshie ネジ式蓋
JP2001039455A (ja) 1999-07-28 2001-02-13 Masamichi Shima 左右開閉式の蓋と容器
AR025652A1 (es) 1999-09-14 2002-12-04 Smithkline Beecham Corp Sistema de cierre de recipiente
CA2401142C (en) * 2000-02-29 2009-11-24 Tri State Distribution, Inc. Reversible child resistant cap and combination of a container and a reversible child resistant cap
JP2002179108A (ja) * 2000-12-12 2002-06-26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2004035011A (ja) 2002-06-28 2004-02-05 Yoshino Kogyosho Co Ltd ネジ蓋式の密封容器
JP3504945B1 (ja) 2003-06-12 2004-03-08 浩平 中村 フラットバルブ装置
US7165692B2 (en) * 2004-01-30 2007-01-23 Owens-Illinois Prescription Products Inc.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GB0416248D0 (en) * 2004-07-20 2004-08-25 Unilever Plc Attachment means for a cosmetic dispenser
US7387214B1 (en) * 2004-09-27 2008-06-17 Rexam Prescription Products Inc.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with child-resistant and non-child-resistant modes of operation
US7832578B1 (en) * 2005-05-16 2010-11-16 Rexam Closures And Containers Inc. Stacking feature for a child resistant push and turn closure and container comb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6577C (en) 2013-01-08
US20110079573A1 (en) 2011-04-07
JP4234777B1 (ja) 2009-03-04
US8857647B2 (en) 2014-10-14
HK1153711A1 (en) 2012-04-05
EP2298659A1 (en) 2011-03-23
EP2857326A1 (en) 2015-04-08
KR101235122B1 (ko) 2013-02-20
EP2298659A4 (en) 2011-06-08
CN102083701B (zh) 2013-01-16
US9688446B2 (en) 2017-06-27
JP2009286463A (ja) 2009-12-10
AU2009252248A1 (en) 2009-12-03
AU2009252248B2 (en) 2014-09-18
IL209268A0 (en) 2011-01-31
RU2457163C1 (ru) 2012-07-27
US20150043967A1 (en) 2015-02-12
WO2009145317A1 (ja) 2009-12-03
IL209268B (en) 2018-05-31
CA2726577A1 (en) 2009-12-03
EP2298659B1 (en) 2015-01-07
NZ589159A (en) 2012-05-25
CN102083701A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22B1 (ko) 접속구조
CN104276354B (zh) 饮料用容器的栓体
KR101399805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A3054456A1 (en) Oral irrigator handle for use with oral agent
CN107580585B (zh) 饮料供给器和饮料供给器组件
CN105902114B (zh) 杯盖及其水杯
JP4360487B2 (ja) 液体収納容器
CN211395839U (zh) 一种工业厨房龙头
JP3423072B2 (ja) 飲料コンテナ用のホース接続具
KR200454361Y1 (ko) 음료 배출장치
KR100689643B1 (ko) 음료 제조기
KR200287252Y1 (ko) 부탄가스용 어댑터
CN216382735U (zh) 一种龙头水嘴转接结构
KR200478767Y1 (ko) 텀블러
CN212307581U (zh) 一种饮水机
CN219524822U (zh) 一种可转换装配的乳液泵
CN215806606U (zh) 一种龙头水嘴结构
CN208709361U (zh) 烹饪器具
JPH10309502A (ja) 旋回可能な噴射頭を有する定量噴射弁付き瓶
CN206342274U (zh) 杯盖
KR200194804Y1 (ko) 원 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훌라후프
JP3107504U (ja) 水筒
TWM651139U (zh) 帽蓋組件及飲料容器
JPH10309503A (ja) 旋回可能な噴射頭を有する定量噴射弁付き缶
KR200401645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