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643B1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643B1
KR100689643B1 KR1020040118543A KR20040118543A KR100689643B1 KR 100689643 B1 KR100689643 B1 KR 100689643B1 KR 1020040118543 A KR1020040118543 A KR 1020040118543A KR 20040118543 A KR20040118543 A KR 20040118543A KR 100689643 B1 KR100689643 B1 KR 10068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pace
opening
bever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561A (ko
Inventor
김호연
윤민식
Original Assignee
(주)포사이버
윤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사이버, 윤민식 filed Critical (주)포사이버
Priority to KR102004011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6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2Carbon dioxide
    • B01F23/237621Carbon dioxide in bever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로 저장공간(62)과 가스주입관(61)이 내설된 몸체(6) 상부로, 내측에 배출공간(11)과 주입공간(12)이 각기 형성되어 격벽(15)에 의해 구분됨과 동시에 격벽(15)중심부에 마련된 개폐공(16)으로 상호 연결구성되는 덮개(1)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덮개(1)의 배출공간(11)으로 개폐작동부(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외측에 구성되는 음료배출부(4)와 연결되게 하고, 또 상기 덮개(1)의 주입공간(12)으로는 가스주입부(3)가 각기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덮개(1)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가스주입부(3)는 그 내측으로 주입밸브(31)를 내설하여, 상기 덮개(1)의 주입공간(12)과 연결되게하고, 가스주입부(3)의 상단으로는 가스캡슐(7)의 결합과 보관을 위한 캡슐결합뚜껑(32)을 나사결합하며,
상기 덮개(1)의 배출공간(11)에 구성되는 개폐작동부(2)로는 하단으로 격벽(15)의 개폐공(16)을 개폐하는 개폐구(24)와 고무링(23)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단으로는 고정대(13)에 의해 눌림되는 탄력스프링(14)이 연결된 승강대(21)를 설치하여 그 중심부에 마련된 끼움홈(22)으로 덮개(1) 일측에 설치된 작동손잡이(5)의 작동대(51)가 끼움되어 상기 작동손잡이(5)의 작동에 따른 승강대(21)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배출공간(11)의 하측부 즉, 승강대(21)의 고무링(23) 하측 공간으로 상기 음료배출부(4)의 배출공(41)을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소음료 또는 탄산 음료를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누구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제조,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산소가스, 탄산가스, 음료, 몸체, 덮개

Description

음료 제조기{The drinks-maker}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가" 부 확대 및 그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 예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덮개 11 : 배출공간
12 : 주입공간 13 : 고정대
14 : 탄력스프링 15 : 격벽
16 : 개폐공 2 : 개폐작동부
21 : 승강대 22 : 끼움홈
23 : 고무링 24 : 개폐구
3 : 가스주입부 31 : 주입밸브
32 : 캡슐결합뚜껑 4 : 음료배출부
41 : 배출공 5 : 작동손잡이
51 : 작동대 6 : 몸체
61 : 가스주입관 62 : 저장공간
7 : 가스캡슐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일반 가정에서 누구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양질의 산소음료 또는 탄산음료를 제조, 섭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음료나 탄산음료의 경우 대부분 특정 제조공정을 거쳐 일반인들에게 공급되어 지는데 이러한 산소음료나 탄산음료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살펴 보면,
첫째 탄산가스가 함유된 천연광천수로 제조, 둘째 순수한 물에 탄산가스를 함유, 셋째 천연 과즙에 탄산가스를 함유시키는 등의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음료들은 대부분 전문생산업체를 통해 생산판매되고 있으므로, 일반인들은 위의 음료들을 모두 구입 섭취하는 방법밖에는 없었다.
즉, 상기와 같은 산소음료나 탄산음료들은 모두 특정재료가 배합된 물에 산소가스나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합공정을 일반 가정에서 실시하기란 불가능하고, 또 상기 산소가스와 탄산가스는 그 취급이 불편하여 조금의 부주의에도 가스가 손실되어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산소음료나 탄산음료의 제조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본체 내에 물 또는 특정재료가 배합된 특정수를 주입한 다음 그내로 산소가스 또는 탄산가스를 선택적으로 주입혼합하여 음료를 제조케 하는 것으로,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누구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각종 산소 또는 탄산 음료를 직접 제조, 섭취하여 건강증진은 물론 보다 다양한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내부로 저장공간(62)과 가스주입관(61)이 내설된 몸체(6) 상부로, 내측에 배출공간(11)과 주입공간(12)이 각기 형성되어 격벽(15)에 의해 구분됨과 동시에 격벽(15)중심부에 마련된 개폐공(16)으로 상호 연결구성되는 덮개(1)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덮개(1)의 배출공간(11)으로 개폐작동부(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외측에 구성되는 음료배출부(4)와 연결되게 하고, 또 상기 덮개(1)의 주입공간(12)으로는 가스주입부(3)가 각기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덮개(1)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가스주입부(3)는 그 내측으로 주입밸브(31)를 내설하여, 상기 덮개(1)의 주입공간(12)과 연결되게 하고, 가스주입부(3)의 상단으로는 가스캡슐(7)의 결합과 보관을 위한 캡슐결합뚜껑(32)을 나사 결합하며,
상기 덮개(1)의 배출공간(11)에 구성되는 개폐작동부(2)로는 하단으로 격벽(15)의 개폐공(16)을 개폐하는 개폐구(24)와 고무링(23)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단으로는 고정대(13)에 의해 눌림되는 탄력스프링(14)이 연결된 승강대(21)를 설치하여 그 중심부에 마련된 끼움홈(22)으로 덮개(1) 일측에 설치된 작동손잡이(5)의 작동대(51)가 끼움되어 상기 작동손잡이(5)의 작동에 따른 승강대(21)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배출공간(11)의 하측부 즉, 승강대(21)의 고무링(23) 하측 공간으로 상기 음료배출부(4)의 배출공(41)을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2 에서와 같이 몸체(6) 내부로 순수한 물 또는 특정재료가 배합된 물을 투입한 다음 상기 덮개(1)의 가스주입부(3)를 통해 산소 또는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산소 또는 탄산음료를 제조케 하는것이다.
즉, 일 예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할 경우 도 3 에서와 같이 몸체(6)에서 덮개(1)와 가스주입관(3)을 분리한 다음 몸체(6)내의 저장공간(62)으로 순수한 물 또는 특정재료가 배합된 물을 투입하여 상기 역순으로 가스주입관(61)과 덮개(1)를 나사결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몸체(6) 내부로 물을 저장한 다음 상기 덮개(1) 일측에 구성된 가스주입부(3)로 탄산 가스캡슐(7)을 결합하여 탄산가스를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스주입부(3)는 그 상단으로 캡슐결합뚜껑(32)이 나사결합되어져 있어, 그 내에 탄산 가스캡슐(7)을 넣은 후, 상기 캡슐결합뚜껑(32)을 나사 결합하게 되면, 상기 탄산 가스캡슐(7)이 캡슐결합뚜껑(32)의 결합에 따라 가스캡슐(7)의 주입구가 가스주입부(3)의 주입밸브(31) 상단에 억지 끼움되면서 그 내의 가스가 주입밸브(31)를 통해 덮개(1)의 주입공간(12)으로 주입되어지고 또 이렇게 주입된 가스는 몸체(6)의 가스주입관(61)을 따라 몸체(6) 내부 저장공간(62)으로만 투입되어 물과 자동으로 희석되면서 탄산음료가 제조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탄산음료를 섭취시에는 덮개(1) 일측에 설치된 작동손잡이(5)를 눌러 몸체(6) 내의 음료를 음료배출부(4)를 통해 분출시켜 섭취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첨부된 도면 도 5 에서와 같이,
음료의 배출을 위해 상기 작동손잡이(5)를 누르게 되면, 작동손잡이(5) 내측에 구비된 작동대(51)가 작동손잡이(5)와는 반대방향인 상부로 유동되면서 상기 개폐작동부(2)의 승강대(21)를 상부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대(21) 하단에 설치된 개폐구(24) 역시 승강대(21)와 동시 이동하면서 격벽(15)의 개폐공(16)을 개방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몸체(6)내부에 저장된 음료는 탄산가스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가스주입관(61)을 따라 역류하면서 주입공간(12)과 상기 개폐공(16)을 통해 배출공간(11)으로 분출되고 또 상기 배출공간(11)으로 분출된 음료는 다시 그 일측에 연결된 음료배출부(4)의 배출공(41)을 따라 외부로 분출되어 지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음료의 적정량 배출후 상기 작동손잡이(5)의 누름을 멈추게 되면 상기 승강대(21)가 그 상부의 탄력스프링(14)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승강대(21)의 개폐구(24)가 상기 개폐공(16)을 폐쇄하여 음료의 분출을 정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21)의 하측일정위치에는 고무링(23)이 설치되어져 있어, 분출되는 음료가 승강대(21) 상부로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고, 더 나아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음료의 제조시 상기 가스주입부(3)로 산소 또는 탄산 가스캡슐(7)을 결합하여 산소음료 또는 탄산음료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조섭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산소음료나 탄산 음료를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누구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제조,섭취할 수 있도록 그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천연 음료의 섭취로 섭취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여 줌에 그 크나큰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로 저장공간(62)과 가스주입관(61)이 내설된 몸체(6) 상부로, 내측에 배출공간(11)과 주입공간(12)이 각기 형성되어 격벽(15)에 의해 구분됨과 동시에 격벽(15) 중심부에 마련된 개폐공(16)으로 상호 연결구성되는 덮개(1)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덮개(1)의 배출공간(11)으로 개폐작동부(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외측에 구성되는 음료배출부(4)와 연결되게 하고, 또 상기 덮개(1)의 주입공간(12)으로는 가스주입부(3)가 각기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덮개(1)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가스주입부(3)는 그 내측으로 주입밸브(31)를 내설하여, 상기 덮개(1)의 주입공간(12)과 연결되게하고, 가스주입부(3)의 상단으로는 가스캡슐(7)의 결합과 보관을 위한 캡슐결합뚜껑(32)을 나사결합하며,
    상기 덮개(1)의 배출공간(11)에 구성되는 개폐작동부(2)로는 하단으로 격벽(15)의 개폐공(16)을 개폐하는 개폐구(24)와 고무링(23)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단으로는 고정대(13)에 의해 눌림되는 탄력스프링(14)이 탄발된 승강대(21)를 설치하여 그 중심부에 마련된 끼움홈(22)으로 덮개(1) 일측에 설치된 작동손잡이(5)의 작동대(51)가 끼움되어 상기 작동손잡이(5)의 작동에 따른 승강대(21)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배출공간(11)의 하측부 즉, 승강대(21)의 고무링(23) 하측 공간으로 상기 음료배출부(4)의 배출공(41)을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KR1020040118543A 2004-12-31 2004-12-31 음료 제조기 KR10068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543A KR100689643B1 (ko) 2004-12-31 2004-12-31 음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543A KR100689643B1 (ko) 2004-12-31 2004-12-31 음료 제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705U Division KR200380289Y1 (ko) 2005-01-17 2005-01-17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561A KR20060078561A (ko) 2006-07-05
KR100689643B1 true KR100689643B1 (ko) 2007-03-09

Family

ID=3717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543A KR100689643B1 (ko) 2004-12-31 2004-12-31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82B1 (ko) * 2009-04-02 2012-06-14 주식회사 비에이티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KR200471144Y1 (ko) * 2012-07-23 2014-02-21 주식회사 코리아오투 산소주 제조기
KR101434901B1 (ko) * 2012-12-20 2014-08-27 김영미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KR102573400B1 (ko) * 2021-02-25 2023-09-01 최용환 휴대형 탄산가스 주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125A (ja) 1983-08-26 1985-03-15 Takeshi Shimase 炭酸飲料製造器
JPS61103526A (ja) 1984-10-27 1986-05-22 Nippon Tansan Gas Kk 炭酸飲料製造装置
KR900004432Y1 (ko) * 1988-01-13 1990-05-21 조관제 탄산음료 제조기
JPH09108553A (ja) * 1995-10-17 1997-04-28 Sanden Corp カーボネータ
KR100220116B1 (ko) 1990-08-17 1999-09-01 와이즈버그 피터 탄산 음료 제조 장치
KR200173575Y1 (ko) 1999-10-11 2000-03-15 김덕선 가정용 탄산음료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125A (ja) 1983-08-26 1985-03-15 Takeshi Shimase 炭酸飲料製造器
JPS61103526A (ja) 1984-10-27 1986-05-22 Nippon Tansan Gas Kk 炭酸飲料製造装置
KR900004432Y1 (ko) * 1988-01-13 1990-05-21 조관제 탄산음료 제조기
KR100220116B1 (ko) 1990-08-17 1999-09-01 와이즈버그 피터 탄산 음료 제조 장치
JPH09108553A (ja) * 1995-10-17 1997-04-28 Sanden Corp カーボネータ
KR200173575Y1 (ko) 1999-10-11 2000-03-15 김덕선 가정용 탄산음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561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6699A (zh) 食品罐
CN106974516A (zh) 一种快捷杯盖
KR20140127575A (ko)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CN205758229U (zh) 一种旋转切换式多腔水杯
KR100689643B1 (ko) 음료 제조기
KR200380289Y1 (ko)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KR101144182B1 (ko)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CN201624432U (zh) 方便泡茶杯
CN205433109U (zh) 一种水杯的杯盖
KR101434901B1 (ko)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KR200344300Y1 (ko) 탄산음료제조장치
TWM587157U (zh) 瓶蓋結構
CN201759252U (zh) 一种果汁杯
KR101956915B1 (ko) 다용도 페트병
KR20190141354A (ko) 탄산수 제조가 가능한 텀블러
CN213721435U (zh) 一种使用方便的饮水机
CN218832478U (zh) 一种新型火炬形杯盖
KR200173575Y1 (ko) 가정용 탄산음료 제조장치
CN215382080U (zh) 一种组合保温杯
CN220824139U (zh) 一种双饮分格水杯
CN219699570U (zh) 组合式水杯
JP2013180824A (ja)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部
CN212639951U (zh) 自动分酒机
US20220388706A1 (en) Bottle easy to carry and clean
CN206857309U (zh) 一种容器用提拉式饮水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