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805B1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805B1
KR101399805B1 KR1020130008701A KR20130008701A KR101399805B1 KR 101399805 B1 KR101399805 B1 KR 101399805B1 KR 1020130008701 A KR1020130008701 A KR 1020130008701A KR 20130008701 A KR20130008701 A KR 20130008701A KR 101399805 B1 KR101399805 B1 KR 10139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stopper
button
lid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435A (ko
Inventor
신 마쓰야마
다쓰야 가와노
홍리앙 두
Original Assignee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서어모스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서어모스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A47J41/0088Inserts; Devices attached to the stop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뚜껑체 안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한다.
[해결 수단] 음료 용기 본체(2)에 부착된 마개체 본체(4)와, 마개체 본체(4)의 위쪽이 닫히는 뚜껑체(5)에는,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걸어멈춤부(6)를 가지고 대략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뚜껑체(5)가 닫힌 상태로 걸어멈춰지는 걸어멈춤부재(26)를 구비한다. 그리고 뚜껑체(5)와 마개체 본체(4)의 사이에는, 힌지축(15)에 부설된 링 형상 탄성부재(48)를 설치하고, 뚜껑체(5)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걸어멈춤부재(26)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고, 또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아래쪽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26)와 마개체 본체(4)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걸어멈춤부재(26)를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 등이 불필요해져,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온병 등의 음료용 용기의 상부 개구에 마개 본체가 설치되고, 이 마개 본체에 뚜껑체가 축으로 지지되어, 뚜껑체에 설치된 마개 본체와의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밀어넣었을 때에, 유로를 닫는 밸브체와 공기구멍을 개방하는 감압 밸브를 동시에 여는 것에 의해, 유로와 공기구멍이 열리고, 또한 컵부재의 내주와 부딪히는 걸어멈춤부재를 동시에 움직이고, 반대로 걸어멈춤부재를 밀어넣으면 걸어멈춤부재와 걸어맞춤한, 밸브체와 감압 밸브가 유로와 공기구멍을 닫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구로서, 중간 마개에 금속제 탄성부재, 걸어멈춤부재, 그들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링 부품을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종래, 보온병 등의 음료용 용기의 상부 개구에 마개 본체가 설치되고, 이 마개 본체에 뚜껑체가 축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이 뚜껑체는 마개 본체와의 사이에 링 형상 탄성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열린 상태로 힘이 가해지고, 한편 뚜껑체에 설치한 조작부를 수평 이동함으로써, 뚜껑체의 걸어멈춤부재를 마개 본체로부터 벗겨 뚜껑을 열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게다가, 종래, 걸어멈춤부재가, 마개체에 바깥에서 끼워진 컵부재의 내주에 닿는 것에 의해, 마개체와 컵부재의 안쪽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2000-116542호 일본특허공보 제47361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2011-111175호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복잡한 형상을 가진 부품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마개체의 안쪽과 전체를 세정할 수 없는 부분이 발생하여, 마개 형상 후의 남은 물이나 더러움이 쌓이기 쉽고, 또한, 복잡한 동작을 가지기 때문에, 부품끼리가 항상 끼워맞춤 상태이기 때문에, 안쪽을 세정하지 못하고, 게다가 복잡한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부품끼리가 작아지고, 부품 개수가 많아져, 조립이 어렵다. 또한, 내부에 복수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마개체의 천정면에 큰 버튼을 배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허문헌 2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뚜껑체의 마개체에의 걸어멈춤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조작부인 걸어멈춤 해제 슬라이드를 힌지 방향을 향하여 누를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조작 방법을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었다. 또한, 비교적 큰 조작용의 버튼을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음료용 용기의 상부 개구에 마개 본체가 설치되어, 이 마개 본체에 뚜껑체가 축으로 지지되고, 뚜껑체에는 마개 본체와의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설치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서,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뚜껑체 안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점이다. 또한 뚜껑체가 열린 상태로 하는 조작의 확실성을 향상하는 점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음료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된 마개체 본체와. 이 마개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액유로와, 이 액유로의 상부이며 상기 마개체 본체의 앞쪽에 설치한 주입구 또는 음용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뒤쪽에서 힌지축을 통해 자유로이 회동(回動)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상기 액유로를 개폐하는 뚜껑체와, 이 뚜껑체에 설치되어 상기 액유로를 밀폐하는 지수 부재와, 상기 뚜껑체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걸어멈춤부를 가지고 대략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뚜껑체가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사이에는, 상기 힌지축 부근에 부설된 링 형상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뚜껑체를 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어멈춤부재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아래쪽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가 되어, 상기 뚜껑체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이 해제될 때에,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상부에 빈틈을 형성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경사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상기 뚜껑체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이 해제될 때에,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아래쪽으로 밀어넣어졌을 때에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걸어맞춰져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뚜껑체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가 되는 도중에 링 형상 탄성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버튼이 눌러지기 전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걸어멈춤부재의 걸어맞춤이 상기 힌지축측에 설치된 걸어멈춤 해제용 돌기와 접촉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힌지축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 본체와 상기 뚜껑 위와 뚜껑 아래의 사이에 설치되고, 대략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움직이는 걸어멈춤 버튼을 가지며,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에 의해 음용구측에 가지고, 뚜껑체가 닫힌 상태에서는 뚜껑체의 천정면과 동일 상태에 있어,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상기 뚜껑체가 열린 상태로 할 때에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걸어멈춤 버튼과 걸어맞춰지고, 상기 걸어멈춤 버튼이 상기 뚜껑체의 천정면로부터 튀어나와, 상기 뚜껑체를 닫을 때에 걸어멈춤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뚜껑체를 상기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내지 6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외측에 컵부재가 끼워맞춰졌을 때,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걸어멈춤 해제되기 전에 상기 컵부재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내지 7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뚜껑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걸어멈춤부재의 걸어멈춤을 해제할 수 없다. 반대로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렀을 때만, 걸어멈춤부재와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은 해제 상태가 되어, 링 형상 탄성부재에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뚜껑체가 회동된다. 이 때, 걸어멈춤부재는 힌지축 부근에 부설된 링 형상 탄성부재에 의해 힘이 가해져 있으므로, 뚜껑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걸어멈춤 해제 버튼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걸어멈춤부재가 수평으로 움직일 때에, 뚜껑체 위와 걸어멈춤부재의 사이에 빈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가 해제된 후, 수평보다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으로부터 손을 뗀 후, 원래의 걸어맞춤 상태로 되돌아오기 어려워 뚜껑을 확실히 열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걸어멈춤부재가 걸어멈춰지는 것에 의해, 확실히 걸어멈춤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링 형상 탄성체의 신축률이 뚜껑체가 회동하여 열리는 과정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회동 도중에 링 형상 탄성체의 인장력이 약해져,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걸어멈춤부재의 걸어멈춤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뚜껑체를 닫을 때에도 통상 대로 닫으면 되고, 편리성이 높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뚜껑체가 열리고, 걸어멈춤부재가 힌지축에 접근했을 때에, 힌지축측에 설치한 돌기에 걸어멈춤부재가 닿음으로써,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상방으로 되돌아오는 기구로서, 뚜껑체를 닫았을 때, 해제 버튼은 원래의 누르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와 있다.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보다 확실히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누름으로써, 확실히 걸어멈춤부재와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을 해제할 수 있고, 마개체 본체를 바깥에서 끼우는 컵부재를 닫을 때나 뚜껑체를 닫는 동시에 걸어멈춤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와 걸어멈춤 버튼의 걸어멈춤을 해제할 수 있어, 편리성, 확실성이 뛰어나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컵부재를 닫았을 때에, 걸어멈춤부재는, 컵부재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뚜껑체와 컵부재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걸어멈춰져 있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은 움직이는 일은 없기 때문에, 컵부재가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뚜껑체가 열리는 일이 없는 잠금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부재가 뚜껑체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시각적으로 걸어멈춤 해제를 알기 쉬워진다. 또한, 용기내가 감압 상태이고 뚜껑체가 열리지 않아도 걸어멈춤부재에 손가락이나 집게를 걸어 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걸어멈춤 해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반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반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전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전부 열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분해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걸어멈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걸어멈춤 해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반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전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분해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걸어멈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걸어멈춤 해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반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전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분해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걸어멈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걸어멈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상기 걸어멈춤 해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상기 걸어멈춤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상기 전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상기 전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상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상기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도 1 내지 11은 실시예 1을 나타내고 있고, 보온병 등의 액체 용기의 마개체(1)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3)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되는 외부 마개 등으로 칭하는 마개체 본체(4)와, 이 마개체 본체(4)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마개체 본체(4)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내부 마개 등으로 칭하는 뚜껑체(5)와, 이 뚜껑체(5)가 마개체 본체(4)에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6)를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외부 용기(7)와 내부 용기(8)의 사이에 진공 등의 단열층(9)을 개재하고 있다. 또한, 뚜껑체(5)의 위쪽을 덮도록 용기 본체(2)에 컵부재(10)를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설치한다. 이 컵부재(10)는 바닥부를 상향으로 하여, 용기 본체(2)의 머리부 외주에 나사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마개체(1)의 중심선(11)은, 용기 본체(2)의 중심선(11)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 본체(4)는, 상부 앞쪽에 주입구(12)를 위쪽으로 돌출 설치하여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체부(13)와, 이 마개체부(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2)로의 부착부(14)로 이루어지고, 마개체부(13)를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3)내에 삽입하여, 그 하부에 설치된 부착부(14)를 용기 본체(2)의 머리부에 나사 부착하여 부착된다.
마개체부(13)의 상부 뒤쪽에, 뚜껑체(5)가 수평방향의 지지축인 힌지축(15)에서 상하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마개체(1)는 힌지축(15)과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 즉 앞쪽이 주입구(12)가 된다.
상기 마개체부(13)는, 상면의 거의 중앙에, 바닥벽(16)을 힌지축(15)측으로부터 주입구(12)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 전후방향이 약간 긴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벽(16)의 낮은 쪽으로 액체 통과구멍(18)을, 높은 쪽으로 공기구멍(19)을 각각 뚫어 형성하고, 이 바닥벽(16)으로부터 상부 개구, 즉 주입구(12)의 사이를 액유로(18F)로 하고 있다.
상기 뚜껑체(5)는, 오목부(17)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뚜껑 하체(21)와, 이 뚜껑 하체(21)의 상부 개구를, 공동부(空洞部)(22)를 사이에 두고 덮이는 뚜껑 상체(23)로 이루어지고, 뚜껑 하체(21)의 외주, 바닥면에는 실 부재인 지수 부재(24)가 장착되어 있어, 뚜껑을 닫을 때에는 지수 부재(24)는 액체 통과구멍(18), 공기구멍(19)을 폐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뚜껑 하체(21)와 뚜껑 상체(23)는, 각각에 설치된 하측 집게부, 상측 집게부에 의한 끼워부착부(25)를 사이에 두고 일체화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끼워부착부(25)는 후술하는 걸어멈춤부재(26)에 형성한 긴 구멍(27)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뚜껑 상체(23)의 외주면의 전방 하부에는, 걸어멈춤부(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마개체 본체(4)의 외주면의 전방 상부에는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 받이부(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부(6)는 뚜껑체(5)의 공동부(22)에서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부재 겸용으로 걸어멈춤부재(26)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뚜껑 상체(23)는 중심선(11)을 중심으로 한 평면이 원형인 거의 통 형상으로서, 그 외주면의 앞쪽에 정면이 직사각형을 이룬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인 창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창구멍(29)은 평면이 외주면 아래쪽 가장자리의 주위의, 1/3 이하, 실시예에서는 대략 1/4의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은 뚜껑 상체(23)의 천정면(30)의 앞쪽을 앞부분 절결부(31)를 사이에 두고 절결 상태가 되어 있고, 이 앞부분 절결부(31)에 걸어멈춤부(6)의 상부(6A)가, 뚜껑 상체(23)의 천정면(30)과 동일면 형상이 되도록 연장되어 설치되고, 걸어멈춤부(6)가 뚜껑체(5)에서 숨어 있지 않도록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창구멍(29)에 끼워맞춰지도록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이기도 한 걸어멈춤부재(26)의 전면(前面)에 걸어멈춤부(6)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걸어멈춤부(6)는 외주면 아래쪽 가장자리의 정면, 즉 외주면의 전방 아래쪽 가장자리의 중앙에 하향 돌기부(32)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하향 돌기부(32)의 하부에 내향, 즉 상하방향의 뚜껑체(5)의 중심선(11)의 방향을 향한 내향 소돌기부(33)를 설치하고 있다. 이 내향 소돌기부(33)의 하면(33U)은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향으로 되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 받이부(28)는 창구멍(29)의 하부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고, 그 상면(29U)은 후방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춰져 있는 상태에서는, 걸어멈춤부(6)의 전방의 외주면(6S)의 상부와 뚜껑 상체(23)의 외주면(23S)은 동일 곡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걸어멈춤부재(26)의 앞부분으로부터 힌지축(15)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평면에서 보아 평판 형상의 중간판부(34)를 사이에 두고 뒷부분이 힌지축(15)의 베어링(35)과 빈틈(36)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받이부(28)에 걸어멈춰져 있는 상태에서는, 걸어멈춤부(6)의 전면의 외주면(6S)의 하부에는 뚜껑 상체(23)의 외주면(23S)보다 전방 돌기부(37)가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전방 돌기부(37)는 둘레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어멈춤부(6)의 전방의 외주면(6S)의 하부에 전방 돌기부(37)를 사이에 두고 손가락을 걸거나 혹은 손톱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컵부재(10)를 마개체 본체(4)에 씌워 나사 부착한 상태에서는, 전방 돌기부(37)와 이 전방 돌기부(37)와 대향하는 컵부재(10)의 부위, 실시예에서는 내주면과의 사이의 빈틈의 길이 A는, 걸어멈춤부(6)와 걸어멈춤 받이부(28)와의 전후방향의 걸어멈춤 길이 B보다 짧아져 있다(빈틈이 길이 A < 걸어멈춤 길이 B).
걸어멈춤부재(26)의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은, 뚜껑 하체(21)와 뚜껑 상체(23)와의 사이의 공동부(22)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38U)를 뚜껑 상체(23)의 천정면(30)의 중앙에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38D)는 간격을 두고 바닥벽(16)의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은 바닥벽(16)측으로부터 지지된 탄성부재,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38S)에 의해서 상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실시예에서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하부로부터 중간부를 상향으로 형성한 오목부(17)와, 바닥벽(16)에 상향으로 설치된 돌기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38S)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6)는 후술하는 링 형상 탄성부재(48)에 의해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이 없어도,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위쪽 방향으로 유지하는 분력이 발생하여, 걸어멈춤 해제 버튼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상부(38U)와 하부(38D) 사이의 앞쪽 둘레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똑같이 후방으로 향하는 경사부(39)가 앞쪽을 향하여 설치되고, 이 경사부(39)에 대향하는 걸어멈춤부재(26)에도, 하방으로 갈수록 똑같이 후방으로 향하여 경사부(39)와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 받이부(40)가 뒤쪽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하방으로 누르면 경사부(39)가 경사 받이부(40), 나아가서는 걸어멈춤부재(2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받이부(28)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걸어멈춤 받이부(28)와의 걸어멈춤을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중간판부(34)의 뒤쪽에 형성한 상하방향의 관통구멍(41)에 하부(38D)측이 관통되어, 이 관통구멍(41)의 앞쪽 가장자리에 경사 받이부(4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춰진 뚜껑이 닫힌 상태로, 창구멍(29)의 후방에는 걸어멈춤부재(26)가 상하방향을 규제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걸어멈춤부재(26)의 슬라이딩 안내로(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안내로(42)는 공동부(22)에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눌러 경사부(39)가 경사 받이부(40)를 하향으로 눌렀을 때, 전후방향의 중간부가 지점(支點)이 되어 걸어멈춤부재(26), 나아가서는 걸어멈춤부(6)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어멈춤부재(26)의 앞쪽 상부와 슬라이딩 안내로(42)의 사이에 제 1 빈틈(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멈춤부재(26)의 뒤쪽 하부와 슬라이딩 안내로(42)의 하면 사이에 제 2 빈틈(47)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누르면 걸어멈춤부재(26)는 전진하는 동시에, 경사부(39)와 경사 받이부(40)와의 접촉 부위가 힘점(力點), 중간부가 받침점(支點), 걸어멈춤부(6)가 작용점(作用點)이 되어,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받이부(28)로부터 걸어멈춤이 해제되면, 동시에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받이부(28)를 얹히고 걸어멈춤 해제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마개체(1)에 대해서 뚜껑체(5)를 뚜껑이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힌지 둘레의 탄성부재링 형상 탄성부재(48)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마개체 본체(4)의 부착부(14)의 상면의 뒤쪽으로 힌지축(15)의 중앙부가 관통되는 축지지부 등이라고도 칭하는 상기 베어링(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35)은, 중심축선(도시하지 않음)을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과 일치시키도록 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 부착부(14)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O링이나 고무밴드와 같은 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 등의 고리 형상을 이룬 가늘고 긴 끈 형상으로서, 실시예에서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링 형상 탄성부재(48)를, 뚜껑을 열 때에 평면을 직사각형이 되도록 하여 그 일측부인 일측 변부(48A)를 베어링(35)의 앞쪽 하부에 걸리도록 하여 걸어멈춤한다. 한편,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좌우에 배치되는 중간부인 탄성부재 본체로서의 좌우 변부(48B)는, 베어링(35)의 좌우 측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뚜껑을 닫을 때와 중간 정도 열 때에 힌지축(15)에 걸쳐 접혀 젖혀져 있는 동시에, 뚜껑 전체를 열 때에 힌지축(15)의 하방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거의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좌우 변부(48B)의 접혀 젖혀짐은, 일측 변부(48A)로부터 힌지축(15)의 외주면의 하부에 접촉하여 통과하고 나서 외주면의 뒤쪽에 접촉하여 상방으로 접혀 젖혀지도록 걸어 멈춰져 있다.
또한, 좌우 변부(48B)의 선단측, 즉 타측부인 타측 측변부(48C)를 걸어멈춤부재(26)의 뒷부분측에 걸리도록 하여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걸어멈춤부재(26)의 뒷부분에는 상방으로 접혀 젖혀져 뒤집힌 U자 모양을 이룬 링 형상 탄성부재(48)용의 걸어멈춤 받이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측 변부(48C)는, 뚜껑을 닫을 때에, 일측 변부(48A)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게다가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이 눌러지지 않은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좌우 변부(48B)는, 힌지축(15)에 180˚ 이상 걸쳐 접혀 젖혀져 있다. 이 때문에,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신장 상태에서 걸어멈춤부재(26)를 후방으로 끌어들이도록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이 눌러진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경사부(39)에 의해 경사 받이부(40), 나아가서는 걸어멈춤부재(26)가 전진함으로써, 걸어멈춤부(6)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더 신장된다. 그리고 좌우 변부(48B)는, 힌지축(15)에 180˚ 이상 걸쳐 접혀 젖혀져 있기 때문에,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신장 상태에서 걸어멈춤부재(26)를 후방으로 끌어들이도록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눌러 걸어멈춤을 해제하면, 걸어멈춤부(6)가 전방으로 튀어나온다. 그 때, 해제를 인식한 사용자가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으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걸어멈춤부(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다시 걸어멈춤하려고 하지만, 지수(止水) 부재(24)의 탄성에 의해 뚜껑체는 상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걸어멈춤부(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일 없이, 뚜껑체는 열리게 된다.
또한, 도 7, 8에 나타내는 뚜껑체(5)를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게 열린 전부 열린 상태로 걸어멈춤하기 위해서, 베어링(35)의 외주면의 뒷부분에 걸어멈춤 받이용 돌기(50)를 형성하는 동시에, 뚜껑체(5)의 베어링(35)의 근방에 걸어멈춤용 돌기(51)를 형성하고 있고, 이 걸어멈춤용 돌기(51)는 뚜껑체(5)의 회동 방향에서 걸어멈춤 받이용 돌기(50)에 걸어멈춤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해 그 작용을 설명한다.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받이부(28)에 걸어멈춤함으로써, 뚜껑체(5)는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미는 힘에 따라서 걸어멈춤부(6)는 뒤쪽을 향하여 계속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지수 부재(24)에 의해 액체 통과구멍(18), 공기구멍(19)을 봉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뚜껑이 닫힌 상태의 뚜껑체(5)를 뚜껑을 열 때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코일 스프링(38S)과 링 형상 탄성부재의 수직 방향으로의 분력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누르게 하여 하강하고, 경사부(39)가 경사 받이부(40)를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받이부(28)로부터 이탈하여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된다. 이 후, 뚜껑체(5)는 링 형상 탄성부재(48)에 의해서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90˚ 열리고, 걸어멈춤 소돌기(48), 걸어멈춤받이 소돌기(49)가 걸어멈춰질 때까지 더 회동하고, 뚜껑체(5)는 기울어진 상향으로 유지되는 동시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이 복귀한다. 이 상태로 용기 본체(2)를 경사지게 하여 수납액을 액체 통과구멍(18)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을 열 때에 있어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만일 걸어멈춤부(6)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었을 때는, 걸어멈춤부재(26)의 상면에 있어서의 둘레면으로부터의 전방 돌기부(37)에 손가락을 걸거나 혹은 손톱을 걸 수 있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
또한, 뚜껑체(5)는 용기 본체(4)에 부착한 후, 하단 가장자리부가 외부에서 노출되어 있고, 또한 용기 본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뚜껑을 닫을 때에 다시 걸어멈춤 상태가 되도록 확실히 밀어넣는 동시에, 감압 등의 이유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눌러도 뚜껑체(5)가 열리지 않을 때에, 가장자리에 손을 걸어 뚜껑을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료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3)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된 마개체 본체(4)와, 이 마개체 본체(4)의 내부에 형성된 액유로(18F)와, 이 액유로(18F)의 상부이고 마개체 본체(4)의 앞쪽에 설치한 주입구(12)와, 마개체 본체(4)의 뒤쪽에서 힌지축(15)을 통해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액유로(18F)를 개폐하는 뚜껑체(5)와, 이 뚜껑체(5)에 설치되어 액유로(18F)를 밀폐하는 지수 부재(24)와, 뚜껑체(5)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걸어멈춤부(6)를 가지고 대략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뚜껑체(5)가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재(26)를 구비하고, 뚜껑체(5)와 마개체 본체(4)의 사이에는, 힌지축(15)에 부설된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탄성에 의해 뚜껑체(5)를 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또한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걸어멈춤부재(26)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고, 또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아래쪽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26)와 마개체 본체(4)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가 되어, 뚜껑체(5)가 열리도록 함으로써,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뚜껑체(5)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 외에, 걸어멈춤부재(26)를 끌어 들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도 겸용할 수 있음으로써, 뚜껑체(5)의 중간부 내부의 부품 개수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설치에 수반하는 스페이스를 없앨 수 있어, 이 결과 예를 들면 조작성을 향상하기 위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료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3)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된 마개체 본체(4)와, 이 마개체 본체(4)의 내부에 형성된 액유로(18F)와, 이 액유로(18F)의 상부이며 마개체 본체(4)의 앞쪽에 설치한 주입구(12)와, 마개체 본체(4)의 뒤쪽에서 힌지축(15)을 통해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액유로(18F)를 개폐하는 뚜껑체(5)를 구비하고, 이 뚜껑체(5)에는 액유로(18F)를 밀폐하는 지수 부재(24)와, 뚜껑체(5)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동시에 상부(38U)를 천정면(30)에 나타낸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마개체 본체(4)의 앞쪽에 설치된 걸어멈춤 받이부(28)에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부(6)를 가지고 대략 수평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뚜껑체(5)가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재(26)를 구비하고, 마개체 본체(4)와 뚜껑체(5)에는, 힌지축(15)의 뒷부분에 좌우 변부(48B)가 걸쳐져 부설된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일측 변부(48A), 타측 변부(48C)를 접속하고,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인장 탄성에 의해 뚜껑체(5)는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또한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인장 탄성은 걸어멈춤부재(26)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고, 또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걸어멈춤부재(26)와의 사이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누름으로써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전진시켜 걸어멈춤 해제 상태로 하는 경사부(39), 경사 받이부(40)로 이루어지는 하방 이동-전진 이동 변환 기구를 개재하고, 걸어멈춤부(6)를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8)와 뚜껑체(5)가 열린 상태로 하는 탄성부재(48)를 공유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다. 또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걸어멈춤부(6)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마개체 본체(4)와 뚜껑체(5)의 걸어멈춤을 행하여,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누르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6)를 뚜껑체(5)가 열리는 방향으로 해제하는 기구로서, 걸어멈춤에 관계되는 부품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걸어멈춤부(6)와 마개체 본체(4)의 3개이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중간 마개보다 부품 개수가 적다. 또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 걸어멈춤부(6), 걸어멈춤부재를 힘을 가하기 위한 링 형상 탄성부재(48)와 걸어멈춤부(6)와 힌지를 구속하는 탄성부재(48)의 4개가 뚜껑 상체(23)와 뚜껑 하체(21)와의 사이의 공동부(22)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기존 중간 마개보다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부품 형상이 복잡한 형상을 가지지 않아, 부품 개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뚜껑체(5)의 개폐를 위해서 걸어멈춤부(6)와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힘을 가하기 위해 링 형상 탄성부재(48)를 뚜껑체(5)의 내부와 힌지축(15) 사이에 배치하기 때문에, 뚜껑체(5)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결과, 뚜껑체(5)의 천정면(30)에 배치하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상부(38U)를 크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가늘고 긴 형상의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일측 변부(48A)를 힌지축(15)의 베어링(35)의 앞쪽 하부에 걸어멈춤, 접속하고 일측 변부(48A)를 마개체 본체(4)의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보다 용기 본체(2)의 중심측에서 일측 변부(48A)를,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보다 앞쪽이고 하방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타측 변부(48C)를 걸어멈춤부재(26)의 뒷부분에 걸어멈춤, 접속하고, 뚜껑이 닫힌 상태로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좌우 변부(48B)를 힌지축(15)의 외주면 뒤쪽의 대략 반둘레에 감아 붙이는 동시에,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타측 변부(48C)를 일측 변부(48A)보다 전방으로서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의 상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뚜껑이 닫힌 상태와 중간 정도 열릴 때에는, 링 형상 탄성부재(48)는, 힌지축(15)에 걸려 접혀 젖혀지도록 하고, 뚜껑이 열린 상태로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중간부를 상기 힌지축(15)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후방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위치하여, 링 형상 탄성부재(48)가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과 좌우 변부(48B)와의 거리와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수축력에 의해 뚜껑체(5)를 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수축력에 의해 걸어멈춤부재(26)를 후방으로 확실히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눌러, 걸어멈춤부(6)와 마개체 본체(4)의 걸어멈춤이 해제될 때, 걸어멈춤부재(26)의 앞쪽 상부와 슬라이딩 안내로의 사이에 제 1 빈틈(46), 걸어멈춤부재(26)의 뒤쪽 하부와 상기 슬라이딩 안내로 사이에 제 2 빈틈(47)을 형성하고, 걸어멈춤부(6)가 경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하부(38D)의 경사부(39), 걸어멈춤부재(26)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경사 받이부(40)는 각각 하방으로 갈수록 똑같이 후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누름으로써, 걸어멈춤부(6)를 전진시켜 걸어멈춤 해제할 수 있고, 또한 경사 받이부(40)에 의해 지렛대에 있어서의 힘점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걸어멈춤부재(26)의 전후방향의 중간에 의해 걸어멈춤부재(26)의 회전중심인 지렛대에 있어서의 받침점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걸어멈춤부(6)측이 지렛대에 있어서의 작용점이 형성되는 동시에, 걸어멈춤부재(26)를 요동(搖動)할 수 있도록 제 1 빈틈(46), 제 2 빈틈(47)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뚜껑체(5)가 열리도록 함으로써,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눌러, 걸어멈춤부(6)가 수평으로 움직일 때에, 뚜껑체(5)상과 걸어멈춤부(6)의 사이에 제 1 빈틈(4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6)와 마개체(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뚜껑체(5)가 열릴 때에 기울어진 상방으로 걸어멈춤부재(26)가 움직여,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어 놓고 뚜껑체(5)를 열 때에 뚜껑체(5)가 확실히 올라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뚜껑체(5)의 외측에 컵부재(10)가 부착되었을 때,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해제되기 전에 컵부재(10)의 내면에 접촉하여, 걸어멈춤부(6)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함으로써, 컵부재(10)를 닫았을 때에 있어서, 걸어멈춤부(6)는 컵부재(1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뚜껑체(5)와 컵부재(10)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걸어멈춰져 있는 걸어멈춤부(6)는 움직이는 일은 없기 때문에 컵부재(10)가 용기 본체(2)에 덮여 있을 때에, 뚜껑체(5)가 열리는 일은 없다.
게다가, 걸어멈춤부(6)의 전면의 둘레면(30S)의 하부는 뚜껑 상체(23)의 외주면(25S)보다 전방 돌기부(37)를 사이에 두고 전방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걸어멈춤부(6)는 뚜껑체(5)보다 돌출됨으로써, 시각적으로 걸어멈춤 해제를 알기 쉬워진다. 또한, 용기 본체(2)의 내부가 감압 상태가 되고 걸어멈춤부재(26)가 움직이기 어려워져 뚜껑체(5)가 열리지 않아도, 걸어멈춤부(6)의 전방 돌기부(37)에 손가락으로 걸어 걸어멈춤부(6)를 끌어내거나, 뚜껑체(5)의 하단부의 가장자리에 손을 걸어, 걸어멈춤 받이부(28)와의 걸어멈춤 상태를 뚜껑체(5)를 열 수 있다.
또한, 뚜껑체(5)를 전부 열린 상태로 걸어멈춤하기 때문에, 베어링(35)의 외주면의 뒷부분에 걸어멈춤 받이용 돌기(50)를 형성하는 동시에, 뚜껑체(5)의 베어링(35)의 근방에 걸어멈춤용 돌기(51)를 형성한 것에 의해, 전부 열린 상태에서의 마개체(1)를 세정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2]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내지 19는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있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에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를 설치하는 동시에, 걸어멈춤부재(26)에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에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를 설치한다. 실시예에서는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는 경사부(39)에 있어서의 위쪽의 앞부분에 앞을 향하여 개구한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는 뒤를 향하여 볼록해져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요철 관계는 거꾸로이더라도 상관없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상태에서는 경사부(39)와 경사 받이부(40)가 기울어진 상태로 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누름으로써, 경사부(39)와 경사 받이부(40)와의 슬라이딩에 대응하여 걸어멈춤부(6)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걸어멈춤 받이부(28)와의 걸어멈춤 해제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가 걸어멈춤 상태가 되고, 그리고 이 걸어멈춤 상태는 걸어멈춤부재(26)를 링 형상 탄성부재(48)에 의해서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힘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5)가 위를 향하여 열린 상태에 있어도, 걸어멈춤 해제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닫을 때에 사용자는 걸어멈춤부(6)를 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면 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외주면(6S)에 설치된 전방 돌기부(37)는 실시예 2는 아니지만, 걸어멈춤부(6)로서의 기능은 실시예 1과 변함 없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이 아래쪽으로 밀어넣어졌을 때에 상기 걸어멈춤부(6)로서 걸어맞춤하여 해제 상태가 유지되므로, 뚜껑체(5)가 열려 있는 동안은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이 뚜껑체(5) 속으로 내려가, 걸어멈춤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에서는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가 걸어맞춰졌을 때를 전제로 해서 코일 스프링(38S)의 스프링 계수와 링 형상 탄성부재(48)와의 탄성력을 조정함으로써, 걸어멈춤부(6)의 걸어멈춤 상태로부터 코일 스프링(38S)에 저항하여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걸어멈춤부(6)는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후방으로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전진하여 걸어멈춤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음으로써, 뚜껑체(5)는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인장력으로 뚜껑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회동에 따라서,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힘을 가하는 작용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코일 스프링(38S)에 의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힘을 가하는 작용보다 커지도록 조정되어 있다(걸어멈춤부(6)(걸어멈춤부재(26))로 미는 힘과 관련하여,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미는 힘>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코일 스프링(38S)에 의한 미는 힘). 따라서, 뚜껑체(5)가 열리는 동시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끌어들여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신축률이 뚜껑체(5)가 회동하여 열리는 과정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회동 도중에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인장력이 약해져,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걸어멈춤부(6)의 걸어멈춤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뚜껑체(5)가 전부 열렸을 때에 있어서, 링 형상 탄성부재(48)에 있어서의 걸어멈춤부재(26)의 인장력이, 걸어멈춤부(6)를 외주면(23S)으로부터 돌출시켜 유지시키는 힘(경사부(39)와 경사 받이부(40)와의 정지마찰력, 걸어멈춤부재(26)에 있어서의 공동부(22)의 내벽 등과의 정지마찰력 등의 합계)보다 커지는 것에 의해서, 걸어멈춤부(6), 나아가서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은 복귀되어, 뚜껑체(5)를 닫을 때에도 통상 대로 닫으면 되어 편리성이 높아진다.
[실시예 3]
도 20 내지 26은 실시예 3을 나타내고 있고,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에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를 설치하는 동시에, 걸어멈춤부재(26)에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에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뚜껑이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부재(26)의 뒷부분의 걸어멈춤 받이부(49)를 후방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부(63)를 베어링(35)에 근접시킨다. 그리고 힌지축(15) 받이 또는 그 근방에 걸어멈춤부재(26)의 걸어멈춤 해제 밀어내기용 돌기(64)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걸어멈춤 해제 밀어내기용 돌기(64)는 베어링(35)과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걸어멈춤 해제 밀어내기용 돌기(64)는 앞을 향하여 상향으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고, 그 돌출 길이 L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와의 걸어멈춤 길이 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돌출 길이 L>걸어멈춤 길이 B). 즉, 뚜껑체(5)가 상향으로 기울어져 열리기 시작하고 연장부(63)가 걸어멈춤 해제 밀어내기용 돌기(64)에 닿기 시작부터 돌출 길이의 선단에 연장부(63)가 도달할 때까지의 걸어멈춤부재(26)를 밀어낸 길이(이것은 돌출길이와 같은 길이)는,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와의 걸어멈춤부재(26)의 슬라이드 방향에 있는 걸어멈춤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돌기(64)의 선단(64A)은 힌지축(15)을 회전 중심으로 했을 때 최대 반지름상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64A)보다 하면(64D)측은 뒤쪽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선단(64A)의 상면(64U)측은 뒤쪽 하향 혹은 상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연장부(63)는 후퇴하고 있고,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걸어멈춤부(6)는 전진하여 걸어멈춤 해제 상태가 되는 동시에,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가 걸어멈춤하여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뚜껑체(5)를 상향으로 기울어져 열면, 연장부(63)는 선단 앞쪽에 접촉함으로써,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고, 또한 연장부(63)는 선단(64A)에 접촉함으로써, 비교적 크게 연장부(63)는 밀려 나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61)와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 받이부(62)의 걸어멈춤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어, 이 결과, 해제 버튼은 코일 스프링(38S)의 복원력으로 들어올려져 당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뚜껑체(5)를 전부 열면, 연장부(63)는 상면(64U)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연장부(63), 나아가서는 걸어멈춤부(6)는 링 형상 탄성부재(48)에 의해 후퇴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38)과 걸어멈춤부(6)의 걸어멈춤이 상기 힌지축(15)측에 설치된 걸어멈춤 해제 밀어내기용 돌기(64)와 접촉하고, 걸어멈춤부(6)가 힌지축(15)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뚜껑체(5)가 열려, 걸어멈춤부(6)가 힌지축(15)측에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 힌지축(15)측에 설치한 걸어멈춤 해제 밀어내기용 돌기(64)에 걸어멈춤부(6)의 연장부(63)가 접촉함으로써,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상방으로 되돌리고, 뚜껑체(5)를 닫았을 때는 해제 버튼은 원래의 누르기 전으로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링(35)에 걸어멈춤 해제 밀어내기용 돌기(64)를 전방으로 향하여 상향으로 기울어져 설치하는 캠 형상으로서, 이 돌기(64)의 선단(64A)로부터 하면(64D), 상면(64U)은 힌지축(15)의 중심축선(15Z)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각각 후퇴하고 있고, 그리고, 걸어멈춤부재(26)가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하면(64D)에, 뚜겅이 열린 상태로 이행됨에 따라서 선단(64A), 상면(64U)을 따르도록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시예 4]
도 27 내지 36은 실시예 4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예 4는 뚜껑체(5)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38) 외에, 걸어멈춤 해제 상태로부터 걸어멈춤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걸어멈춤 버튼(65)을 설치한 것이다.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에는 상향의 부세수단은 설치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어멈춤 버튼(65)은 뚜껑체(5)의 천정면(30)에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의 전방으로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걸어멈춤 버튼(65)의 하부에는 상하 2단에 제 1 걸어멈춤부(66), 제 2 걸어멈춤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버튼(65)은 코일 스프링(68)에 의해서 상시 상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제 1 걸어멈춤부(66)의 좌우 방향의 제 1 가로폭 M보다, 제 2 걸어멈춤부(67)의 좌우방향의 제 2 가로폭 N은 크게 형성되어 있다(제 1 가로폭 M<제 2 가로폭 N). 한편, 제 1 걸어멈춤부(66)와 제 2 걸어멈춤부(67)의 전후 길이는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어멈춤부재(26)의 중간부에 제 1 걸어멈춤 받이부(69)와 제 2 걸어멈춤 받이부(70)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들 제 1 걸어멈춤 받이부(69)와 제 2 걸어멈춤 받이부(70)는 좌우 한 쌍의 단부(71)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이어 통하여 병설한 것으로,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제 1 걸어멈춤 받이부(69), 제 2 걸어멈춤 받이부(70)의 각각 평면은, 제 1 걸어멈춤부(66), 제 2 걸어멈춤부(67)의 각각의 평면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걸어멈춤 받이부(69)의 하면에는 상하방향의 단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부(6)에 의한 걸어멈춤 상태에 있는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걸어멈춤 버튼(65)은 밀어넣어져 제 2 걸어멈춤부(66)가 상하방향의 단부(72)에 걸어멈춰져 있는 동시에, 제 1 걸어멈춤부(66)가 제 1 걸어멈춤 받이부(69)에 끼워맞춰져 있다. 이 때, 걸어멈춤부재(26)는 링 형상 탄성부재(48)로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또한 코일 스프링(68)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누르면, 경사부(39), 경사 받이부(40)를 사이에 두고 걸어멈춤부(6), 걸어멈춤부재(26)는 전진하여 걸어멈춤 받이부(28)와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걸어멈춤부재(26)의 전진에 따라서 제 1 걸어멈춤 받이부(6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었던 제 2 걸어멈춤부(67)의 상방에 제 2 걸어멈춤 받이부(70)가 배치됨으로써, 코일 스프링(68)의 복원력으로 걸어멈춤 버튼(65)은 밀어 올려지고, 제 2 걸어멈춤부(67)는 제 2 걸어멈춤 받이부(70)에 끼워맞춤하여, 뚜껑이 열린다.
한편, 다시 뚜껑을 닫을 때에, 걸어멈춤 버튼(65)을 코일 스프링(68)에 저항하여 눌러 내리면, 제 2 걸어멈춤부(67)가 눌러 내려져 좌우 한 쌍의 단부(71)와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제 1 걸어멈춤부(66)가 제 1 걸어멈춤 받이부(69)에 끼워맞춰진다. 그 결과 링 형상 탄성부재(48)의 탄성력에 의해서 걸어멈춤부재(26)는 후퇴되어,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받이부(28)에 걸어멈춰지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마개체 본체(4)와 뚜껑 위와 뚜껑 아래의 사이에 설치되어, 대략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움직이는 걸어멈춤 버튼(65)을 가지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에 의해 음용구측에 가지며, 뚜껑체(5)가 닫힌 상태에서는 뚜껑체(5)의 천정면(30)과 동일 상태에 있어,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눌러, 뚜껑체(5)가 열린 상태가 될 때에 걸어멈춤부(6)가 걸어멈춤 버튼(65)과 걸어맞춰지고, 걸어맞춤 버튼이 뚜껑체(5)의 천정면(30)으로부터 튀어나와, 뚜껑체(5)를 닫을 때에 걸어멈춤 버튼(65)을 누르는 것에 의해 뚜껑체(5)가 닫힌 상태로 할 수 있어, 이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링 형상 탄성부재(48)에 의해 후방으로 잡아 당겨져 있는 걸어멈춤부(6), 나아가서는 걸어멈춤부재(26)를 누를 때에 전진시켜 걸어멈춤 해제하기 위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38) 외에, 걸어멈춤 해제 상태에 있는 걸어멈춤부(6)를 후퇴시켜 걸어멈춤 상태로 전환하는 걸어멈춤 버튼(65)을 설치하고, 이들 걸어멈춤 해제 버튼(38), 걸어멈춤 버튼(65)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38)을 누름으로써, 확실히 걸어멈춤부(6)와 걸어멈춤 받이부(28)와의 걸어멈춤을 해제할 수 있어, 닫을 때도 뚜껑체(5)를 닫는 동시에 걸어멈춤 버튼(65)을 누르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부(6)와 걸어멈춤 버튼(65)의 걸어멈춤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각종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마개체에는 음용구가 설치되는 것이라도 좋다.
2 : 음료 용기 본체
3 : 상부 개구부
4 : 마개체 본체
5 : 뚜껑체
6 : 걸어멈춤부
10 : 컵부재
12 : 주입구
15 : 힌지축
18F : 액유로
24 : 지수 부재
26 : 걸어멈춤부재
30 : 천정면
38 : 걸어멈춤 해제 버튼
48 : 링 형상 탄성부재
65 : 걸어멈춤 버튼

Claims (8)

  1. 음료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된 마개체 본체와, 이 마개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액유로와, 이 액유로의 상부이며 상기 마개체 본체의 앞쪽에 설치한 주입구 또는 음용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뒤쪽에서 힌지축을 통해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상기 액유로를 개폐하는 뚜껑체와, 이 뚜껑체에 설치되어 상기 액유로를 밀폐하는 지수 부재와, 상기 뚜껑체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걸어멈춤부를 가지고 수평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뚜껑체를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는, 상기 힌지축 부근에 부설된 링 형상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또한 상기 링 형상 탄성부재는 상기 걸어멈춤부재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아래쪽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가 되어, 상기 뚜껑체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는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받으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안내로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앞쪽 상부와 상기 슬라이딩 안내로와의 사이에 제 1 빈틈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뒤쪽 하부와 상기 슬라이딩 안내로의 사이에 제 2 빈틈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뚜껑체 본체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접촉부분이 받침점이 되어,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앞쪽이 경사진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아래쪽으로 밀어넣어졌을 때에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에 있어서 걸어맞춤하여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링 형상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아래쪽으로 밀어넣어졌을 때에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걸어맞춤하여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멈춤 해제 상태가 상기 링 형상 탄성부재의 인장력과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유지되고, 상기 뚜껑체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가 되는 도중에 링 형상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걸어멈춤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각각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눌러지기 전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걸어맞춤은, 상기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에서 이루어지고, 뚜껑이 닫힌 상태의 뚜껑체를 열면, 상기 힌지축측에 설치된 걸어멈춤 해제용 돌기와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힌지축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과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걸어맞춤이 상기 걸어멈춤 해제 유지용 걸어맞춤부에서 해제되고, 각각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눌러지기 전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외측에 컵부재가 끼워맞춰졌을 때,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컵부재의 내면 사이에 빈틈이 있고, 상기 걸어멈춤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전후방향의 걸어멈춤 길이가, 상기 빈틈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뚜껑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20130008701A 2012-01-27 2013-01-25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399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5965A JP5430689B2 (ja) 2012-01-27 2012-01-27 飲料用容器の栓体
JPJP-P-2012-015965 201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435A KR20130087435A (ko) 2013-08-06
KR101399805B1 true KR101399805B1 (ko) 2014-05-27

Family

ID=4883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701A KR101399805B1 (ko) 2012-01-27 2013-01-25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30689B2 (ko)
KR (1) KR101399805B1 (ko)
CN (1) CN103224084B (ko)
TW (1) TWI4927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0069B2 (ja) * 2012-03-21 2016-04-0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栓体および飲料容器
TWI569754B (zh) * 2014-08-25 2017-02-11 Apex Medical Corp Gas connection device
JP6681745B2 (ja) * 2016-03-01 2020-04-15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US10414555B2 (en) * 2016-05-04 2019-09-17 Hydrovaze Llc Portable beverage container
DE202016102642U1 (de) * 2016-05-18 2017-08-21 Emsa Gmbh Trinkbecherdeckel
JP6767798B2 (ja) * 2016-07-12 2020-10-14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882014B2 (ja) * 2017-03-03 2021-06-02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06880247A (zh) * 2017-04-27 2017-06-23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弹跳式饮水杯翻盖开关按钮机构
CN108814202B (zh) * 2018-08-31 2023-11-28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杯口卡扣结构
CN108968589B (zh) * 2018-08-31 2023-11-28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杯盖弹起缓冲限位结构
CN109663622A (zh) * 2019-01-29 2019-04-23 江子昊 一种化学实验用防溅射教具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CN113712409B (zh) * 2021-08-11 2022-08-19 浙江同富特美刻家居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杯盖及保温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49U (ja) * 1993-09-06 1995-03-31 アイワ株式会社 蓋のロック装置
JP2000116542A (ja) 1998-10-19 2000-04-25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栓
US6116476A (en) * 2000-02-04 2000-09-12 Huang; Frank Teh-Hsiung Push-button type bottle head
JP2008137657A (ja) 2006-11-29 2008-06-19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709A (ja) * 2000-11-30 2002-06-11 Nippon Sanso Corp 飲料容器の栓体
JP2005193944A (ja) * 2004-01-07 2005-07-21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JP3913227B2 (ja) * 2004-03-29 2007-05-0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JP4736133B2 (ja) * 2006-12-12 2011-07-2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4203912B1 (ja) * 2008-01-25 2009-01-0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49U (ja) * 1993-09-06 1995-03-31 アイワ株式会社 蓋のロック装置
JP2000116542A (ja) 1998-10-19 2000-04-25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栓
US6116476A (en) * 2000-02-04 2000-09-12 Huang; Frank Teh-Hsiung Push-button type bottle head
JP2008137657A (ja) 2006-11-29 2008-06-19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0689B2 (ja) 2014-03-05
TWI492734B (zh) 2015-07-21
CN103224084B (zh) 2016-08-17
CN103224084A (zh) 2013-07-31
KR20130087435A (ko) 2013-08-06
JP2013154899A (ja) 2013-08-15
TW201334743A (zh) 201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805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5125157B2 (ja) 片開きボトル
US10858158B2 (en) Container with an elastic spout
JP5263361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5621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4798553B2 (ja) 飲料容器
JP4449725B2 (ja) 片開きボトル
CN10939892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JP200519394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10687643B2 (en) Container with foldable elastic spout
CN113636203A (zh) 具有锁定机构的盖子及包括该盖子的容器组件
CN109195875A (zh) 喝水杯盖
JP5430695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488630B2 (ja) 片開きボトル
JP4651688B2 (ja) 飲料用容器のキャップ装置
CN111491869A (zh) 瓶盖中设有锁定装置的瓶子
EP4346526A1 (en)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KR10139968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5874716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11390434B2 (en) Lid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JP3150119U (ja) 飲料用容器の栓体及びこれを有する飲料用容器
JP3195450U (ja) 飲料容器の栓体
JP7017937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4480497B2 (ja) スパウト支持機構
KR101494960B1 (ko)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뚜껑을 가진 음식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