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44B1 -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44B1
KR102253944B1 KR1020190138943A KR20190138943A KR102253944B1 KR 102253944 B1 KR102253944 B1 KR 102253944B1 KR 1020190138943 A KR1020190138943 A KR 1020190138943A KR 20190138943 A KR20190138943 A KR 20190138943A KR 102253944 B1 KR102253944 B1 KR 10225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ocking protrusion
hole
insertion memb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408A (ko
Inventor
진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바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바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바바
Priority to KR102019013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44B1/14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with replaceable or 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결합 및 분리 시 정교한 힘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방향성 없이 회전하는 것만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는 삽입돌출부 및 상기 삽입돌출부의 외측면에 돌출된 잠금돌기를 구비하는 삽입부재 및 내부에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을 따라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잠금돌기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홀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단에서 상기 잠금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결속홀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multi-purpos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다목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많이 이용한다. 다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기 어려운 패브릭 등의 소재의 경우 이를 대체하기 위해 단추, 벨크로, 벨트를 구비한 버클 또는 스냅버튼(스냅파스너, 똑딱이단추)등 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단추, 벨크로, 버클 또는 스냅버튼의 경우 결합 및 분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단추, 벨크로 또는 스냅버튼이 소재와 결합된 부분이 쉽게 마모가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9638호 (2006. 10. 19. 등록, 이하 ‘선행기술’) 에서는 의류, 잡화 및 가방등에 적용되는 착탈용 자석단추를 개시하였다. 선행기술은 통상의 스냅버튼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으로 결합되는 스냅버튼이다. 선행기술은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스냅버튼의 특성상 분리시 많은 힘이 들고 정교한 힘조절이 필요하며, 따라서 여전히 스냅버튼과 소재가 결합된 부분 및 수버튼과 암버튼이 결합하게되는 결합부재의 마모가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 및 분리 시 정교한 힘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방향성 없이 회전하는 것만으로 분리가 가능한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는 삽입돌출부 및 상기 삽입돌출부의 외측면에 돌출된 잠금돌기를 구비하는 삽입부재 및 내부에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을 따라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잠금돌기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단에서 상기 잠금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결속홀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상기 삽입돌출부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시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과 접하는 삽입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될 시 상기 삽입지지부와 접하는 고정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지지부 및 고정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재 및 고정부재의 결합을 돕는 삽입자석부 및 고정자석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삽입돌출부는, 상기 잠금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잠금돌기를 축회전시키며 탄성이 있는 힌지부 및 축회전한 상기 잠금돌기를 수용하는 돌기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내부로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돌기홀을 지날 시 상기 삽입부재를 회전시면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돌기홀에 맞닿아 상기 돌기공간 내부로 수용되도록 외측면이 커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내에 삽입이 완료된 뒤, 상기 삽입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결속홀 내에서 상기 잠금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돌기공간 내 수용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일단은 상기 잠금돌기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지지부를 향해 연장된 와이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삽입지지부의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지지부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삽입부재 내부로 인입하는 와이어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와이어돌출부의 맞은편에 고정된 고정돌출부 및 상기 와이어돌출부와 상기 고정돌출부 사이에 상기 삽입지지부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한 와이어돌출부를 탄성에 의해 원위치하여, 인입된 잠금돌기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추가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삽입홀 내부에 삽입되는 추가삽입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삽입부재는, 상기 삽입부재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외측면에 상기 추가삽입홀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구비하는 추가삽입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삽입부재는, 상기 추가삽입돌출부의 반대방향 일측에 상기 삽입부재에 삽입시 상기 삽입지지부와 접하며, 상기 삽입지지부와 접하는 면에 추가삽입자석부를 구비하는 추가삽입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는 삽입부재에 돌출되며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한 잠금돌기가 구비되며, 고정부재는 내부에 삽입된 삽입부재의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삽입부재에 의해 잠금돌기가 안착되어, 고정부재 내로 삽입부재의 삽입 후 회전에 의해 삽입부재와 고정부재의 결합이 가능하다.
삽입부재와 고정부재의 결합시 접촉되는 면에 자석부를 구비하여 다목적 연결장치의 안정적인 결합상태 유지가 가능하다.
잠금돌기의 외측면은 커브진 형태를 구비하며, 잠금돌기의 내부 힌지구조로 인해 삽입이 완료되기 전에 삽입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더욱 빠른 결합이 가능하다.
고정부재 내부에 회전하는 삽입부재에 따라 회전하는 잠금돌기와 접촉되는 다수의 스토퍼에 의해 스토퍼 사이에 안착된 잠금돌기에 의해 삽입부재와 고정부재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돌기는 삽입부재 내부에서 하단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와이어부재를 구비하여, 와이어부재의 조작시 잠금돌기를 삽입부재 내로 수용하여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여, 손쉽게 삽입부재와 고정부재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는 추가삽입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삽입부재에 악세사리 등을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와 고정부재가 결합된 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된 삽입부재와 고정부재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내부에 삽입부재가 완전 삽입된 후 삽입부재를 회전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100)는, 삽입돌출부(11) 및 삽입돌출부(11)의 외측면에 돌출된 잠금돌기(17)를 구비하는 삽입부재(10) 및 내부에 삽입돌출부(11)가 삽입되는 삽입홀(51)을 구비하고, 삽입홀(51)을 따라 삽입돌출부(1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잠금돌기(17)의 형상에 대응되고 잠금돌기(17)가 삽입되는 돌기홀(53)이 구비되며, 삽입부재(10)가 삽입된 후 삽입부재(10)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단에서 잠금돌기(17)가 걸릴 수 있도록 삽입홀(5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결속홀(55)을 구비한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100)는 삽입부재(10)를 포함한다. 삽입부재(10)는 고정부재(5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돌출부(11)를 구비한다.
삽입돌출부(11)의 상단에는 잠금돌기(17)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잠금돌기(17)는 삽입돌출부(11)의 내부에서 잠금돌기(17)를 축회전시키며 탄성이 있는 힌지부(19)와 결합된다. 잠금돌기(17)는 힌지부(19)에 의해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회전하는 잠금돌기(17)가 수용되는 돌기공간(21)이 삽입돌출부(11)의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삽입부재(10)가 회전할 때 잠금돌기(17)의 좌측 혹은 우측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잠금돌기(17)는 장애물과 접촉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축회전하며 돌기공간(21) 내부로 수용된다.
삽입부재(10)는 삽입돌출부(11)의 삽입돌출부(11)의 고정부재(50)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일측에 고정부재(50)에 삽입시 고정부재(50)의 일면과 접하는 삽입지지부(13)를 포함한다. 즉, 삽입부재(10)가 포함한 삽입돌출부(11)의 위치를 상단이라고 한다면, 삽입부재(10)의 하단에는 삽입지지부(13)가 형성된 것이다. 삽입지지부(13)는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에 삽입되었을 시 고정부재(50)의 하단면에 접촉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100)는 고정부재(5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50)는 내부에 전술한 삽입돌출부(11)가 삽입되는 삽입홀(51)을 구비한다. 삽입홀(51)은 일정 지름을 갖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51)의 일측에는 삽입홀(51)을 따라 삽입돌출부(1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홀(53)을 더 구비한다. 돌기홀(53)은 잠금돌기(17)가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잠금돌기(17)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돌기홀(53)의 직경은 잠금돌기(17)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삽입부재(10)를 고정부재(50) 내부로 삽입할 때 삽입부재(10)를 회전하게 되면 잠금돌기(17)는 돌기홀(53)에 접촉된다. 잠금돌기(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재(10)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며, 삽입부재(10) 내부에는 축회전하는 잠금돌기(17)가 수용되는 돌기공간(21)을 구비한다. 따라서 삽입부재(10)를 고정부재(50) 내로 삽입하는 동안 삽입부재(10)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삽입부재(10)의 회전시 잠금돌기(17)는 돌기홀(53)에 접촉되어 회전하며 돌기공간(21) 내부로 수용된다. 따라서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의 결합 시 완전 삽입되기 전에 삽입부재(10)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의 결합이 쉽다. 한편, 삽입부재(10)의 회전에 의해 잠금돌기(17)가 돌기홀(53)에 접촉되어 축회전하여 돌기공간(21)에 수용될 때, 잠금돌기(17)의 축회전이 용이하도록 잠금돌기(17)의 외측면이 커브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 내부로 삽입되기 위하여 돌기홀(53)을 지날 시 삽입부재(10)를 회전시면 잠금돌기(17)는 돌기홀(53)에 맞닿아 돌기공간(21) 내부로 수용되도록 외측면이 곡석을 가진 커브의 형태인 것이다.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잠금돌기(17)는 삽입홀(51)의 상단에 구비된 삽입홀(5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결속홀(55)에 위치하게된다. 결속홀(55)은 잠금돌기(17)를 구비한 삽입부재(1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50) 내부로 삽입부재(10)가 완전 삽입되면, 잠금돌기(17)는 돌기홀(53)과 결속홀(55)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삽입부재(10)를 회전시키면 잠금돌기(17)는 돌기홀(53)을 벗어나 결속홀(55)의 내부에서 움직이게 된다. 결속홀(55)은 삽입홀(51)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잠금돌기(17)는 결속홀(55)의 하단에 안착되어 걸릴 수 있고 잠금돌기(17)가 결속홀(55)의 하단에 걸리기 때문에 결합된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가 해제되지 않는다. 즉, 정리하면,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잠금돌기(17)가 돌기홀(53)을 지나가며 삽입이 되어, 삽입 후 삽입부재(10)를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돌기(17)가 돌기홀(53)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지나가는 것이 가능하여 쉽게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10)를 고정부재(50) 내부로 완전 삽입후 잠금돌기(17)가 돌기홀(53)을 벗어나 결속홀(55)에 위치하도록 삽입부재(10)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고정부재(50)는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 내에 삽입이 완료된 뒤, 삽입부재(10)가 회전할 때, 결속홀(55) 내에서 잠금돌기(17)와 접촉하여 잠금돌기(17)를 돌기공간(21) 내 수용되도록 하는 스토퍼(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와 고정부재가 결합된 후 바라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된 삽입부재와 고정부재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 내부로 완전 삽입된 후 삽입부재(10)를 회전시키면 잠금돌기(17)가 결속홀(55) 내에 위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잠금돌기(17)가 스토퍼(57)에 접촉하게 되면, 잠금돌기(17)는 스토퍼(57)에 밀려 돌기공간(21)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결속홀(55)에 안착되어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의 하단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던 잠금돌기(17)가 삽입부재(10)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삽입부재(10)를 고정부재(50)에서 해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부재(10)를 회전시켜 잠금돌기(17)가 스토퍼(57)에 접촉되어 돌기공간(2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된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를 해제 할 수도 있고, 잠금돌기(17)가 스토퍼(57)를 지나친 후에는 탄성을 가진 힌지에 의해 다시 잠금돌기(17)가 돌기공간(21)에서 밖으로 나오게 되어 원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결속홀(55)에 스토퍼(57)가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잠금돌기(17)가 어느 한 스토퍼(57)를 지나친 후 다시 결속홀(55)에 안착되도록 하여 고정부재(50)와 삽입부재(10)를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잠금돌기(17)가 어느 한 스토퍼(57)를 지나치게 되면 잠금돌기(17)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스토퍼(57)가 위치하게 되어 잠금돌기(17)가 쉽게 돌기홀(53)을 향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하지 않는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부재(50)는 하단방향에 고정지지부(59)를 더 포함한다. 고정지지부(59)는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의 결합시 고정부재(50)의 삽입지지부(13)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삽입지지부(13)와 고정지지부(59)는 서로 대응되는 자력을 가진 삽입자석부(15) 및 고정자석부(61)를 각각 구비한다. 삽입자석부(15)와 고정자석부(61)는 고정부재(50) 내로 삽입부재(10)가 삽입되었을 시 대응되는 자력에 의해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를 서로 결합시킨다. 삽입부재(10)를 고정부재(50)에 삽입시킨 후 삽입부재(10)를 회전하여 잠금돌기(17)가 결속홀(55)에 안착되어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의 하단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내부에 삽입부재가 완전 삽입된 후 삽입부재를 회전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는, 전술한 잠금돌기(17)와 삽입부재(10) 내에서 결합되는 와이어부재(23)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부재(23)는 잠금돌기(17)의 일측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되어 삽입부재(10)의 하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장된 와이어부재(23)의 타단은 삽입부재(1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지지부(13)의 밖으로 돌출된 와이어돌출부(25)와 결합된다. 와이어돌출부(25)는 삽입지지부(13)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돌출부(25)가 삽입지지부(13)의 하단면상에서 하단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와이어돌출부(25)와 결합된 와이어부재(23)가 함께 이동하고, 이동하는 와이어부재(23)에 의해 잠금돌기(17)가 돌기공간(21)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재(10) 하단면상에 돌출된 와이어돌출부(25)를 동작시켜 결속홀(55)에 안착되어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를 고정하는 잠금돌기(17)를 삽입부재(10) 내부로 수용하여 결합된 삽입부재(10)와 고정부재(50)의 해제가 가능하다.
한편, 와이어돌출부(25)의 동작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는 와이어돌출부(25)의 맞은편에 고정된 고정돌출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출부(27)는 이동이 가능한 와이어돌출부(25)와 달리 삽입지지부(13) 내에 고정되어 와이어돌출부(25)를 삽입지지부(13)의 내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이동시키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와이어돌출부(25)와 고정돌출부(27) 사이에는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9)는 삽입지지부(13)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한 와이어돌출부(25)를 탄성에 의해 원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와이어돌출부(25)에 최종적으로 결합된 잠금돌기(17)를 원위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삽입지지부(13)의 하단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와이어돌출부(25)를 삽입지지부(13)의 하단면의 내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잠금돌기(17)를 돌기공간(21)에 수용한 뒤 가했던 압력을 해제하면 탄성에 의해 잠금돌기(17)가 다시 원위치하여 삽입돌출부(11) 바깥으로 돌출되게 된다.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 내부에 완전 삽입된 후 삽입부재(10)를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돌기(17)는 결속홀(55)내에 위치하게 되며 결속홀(55)은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기 때문에 잠금돌기(17)가 결속홀(55)하단에 안착되어 삽입부재(10)가 고정부재(50)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잠금돌기(17)는 하나만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잠금돌기(17)는 다수 개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잠금돌기(17)가 두 개가 구비된다면, 전술한 고정돌출부(27)를 대체하여 잠금돌기(1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100)의 또다른 실시예는 고정부재(50), 삽입부재(10) 및 추가삽입부재(7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50)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삽입부재(10)는 내부에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추가삽입홀(31)을 더 포함한다. 즉 힌지구조를 갖는 잠금돌기(17)만을 구비하며, 회전에 따라 잠금돌기(17)가 스토퍼(57)에 접하여 돌기공간(21)에 수용되도록 하여 고정부재(50)와 삽입부재(10)의 해제가 가능하다.
한편, 추가삽입부재(70)는 삽입부재(10)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외측면에 추가삽입홀(31)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나사산(77)을 구비하는 추가삽입돌출부(71)를 포함한다. 추가삽입돌출부(71)는 삽입부재(10) 내부에 형성된 추가삽입홀(31)내에 삽입된다. 추가삽입돌출부(71)가 구비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추가삽입홀(31) 내에도 일정구간 나사산이 구비된다. 또한, 추가삽입부재(70)의 하단부에는 추가삽입지지부(73)가 더 포함되며, 추가삽입지지부(73)는 추가삽입자석부(75)를 구비한다. 추가삽입자석부(75)는 삽입지지부(13)에 구비된 자석부와 대응되는 자력을 가지며 추가삽입부재(70)와 삽입부재(10)의 결합을 돕는다.
추가삽입부재(70)의 하단에 구비된 추가삽입지지부(73)의 하단면에는 접착면(79)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접착면(79)에 모바일 디바이스 등의 장비를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면의 형태를 달리하여 열쇠고리 등 악세사리와 체결되어 악세사리를 고정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삽입부재
11 : 삽입돌출부
13 : 삽입지지부
15 : 삽입자석부
17 : 잠금돌기
19 : 힌지부
21 : 돌기공간
23 : 와이어부재
25 : 와이어돌출부
27 : 고정돌출부
29 : 탄성부재
31 : 추가삽입홀
50 : 고정부재
51 : 삽입홀
53 : 돌기홀
55 : 결속홀
57 : 스토퍼
59 : 고정지지부
61 : 고정자석부
70 : 추가삽입부재
71 : 추가삽입돌출부
73 : 추가삽입지지부
75 : 추가삽입자석부
77 : 나사산
79 : 접착면
100 :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Claims (10)

  1. 삽입돌출부 및 상기 삽입돌출부의 외측면에 돌출된 잠금돌기를 구비하는 삽입부재; 및
    내부에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을 따라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잠금돌기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단에서 상기 잠금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결속홀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돌출부는,
    상기 잠금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잠금돌기를 축회전시키며 탄성이 있는 힌지부; 및
    축회전한 상기 잠금돌기를 수용하는 돌기공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상기 삽입돌출부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시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과 접하는 삽입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될 시 상기 삽입지지부와 접하는 고정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지지부 및 고정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재 및 고정부재의 결합을 돕는 삽입자석부 및 고정자석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내부로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돌기홀을 지날 시 상기 삽입부재를 회전시면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돌기홀에 맞닿아 상기 돌기공간 내부로 수용되도록 외측면이 커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내에 삽입이 완료된 뒤, 상기 삽입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결속홀 내에서 상기 잠금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돌기공간 내 수용되도록 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일단은 상기 잠금돌기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지지부를 향해 연장된 와이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삽입지지부의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지지부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삽입부재 내부로 인입하는 와이어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와이어돌출부의 맞은편에 고정된 고정돌출부; 및
    상기 와이어돌출부와 상기 고정돌출부 사이에 상기 삽입지지부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한 와이어돌출부를 탄성에 의해 원위치하여, 인입된 잠금돌기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추가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삽입홀 내부에 삽입되는 추가삽입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삽입부재는,
    상기 삽입부재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외측면에 상기 추가삽입홀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구비하는 추가삽입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삽입부재는,
    상기 추가삽입돌출부의 반대방향 일측에 상기 삽입부재에 삽입시 상기 삽입지지부와 접하며, 상기 삽입지지부와 접하는 면에 추가삽입자석부를 구비하는 추가삽입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KR1020190138943A 2019-11-01 2019-11-01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KR10225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943A KR102253944B1 (ko) 2019-11-01 2019-11-01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943A KR102253944B1 (ko) 2019-11-01 2019-11-01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408A KR20210053408A (ko) 2021-05-12
KR102253944B1 true KR102253944B1 (ko) 2021-05-21

Family

ID=7591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943A KR102253944B1 (ko) 2019-11-01 2019-11-01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9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464Y1 (ko) * 2005-04-19 2005-06-29 최형근 장신구용 결합구
KR101235122B1 (ko) * 2008-05-30 2013-02-20 고헤이 나카무라 접속구조
KR101758052B1 (ko) * 2016-10-07 2017-07-14 박대호 상의와 하의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086B1 (ko) * 2000-03-15 2002-03-18 야마시타마사카즈 회전식 가압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464Y1 (ko) * 2005-04-19 2005-06-29 최형근 장신구용 결합구
KR101235122B1 (ko) * 2008-05-30 2013-02-20 고헤이 나카무라 접속구조
KR101758052B1 (ko) * 2016-10-07 2017-07-14 박대호 상의와 하의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408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071B2 (en) Lock device
US9245678B2 (en) Lock device
TWM591462U (zh) 套筒座
US9113680B2 (en) Buckle
KR101880805B1 (ko) 릴 구조
JPH10327908A (ja) 保持ストラップを備えた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US20180352969A1 (en) Baby chair
TW200839107A (en) Connecting device
KR102253944B1 (ko) 탈부착이 쉬운 다목적 연결장치
JP6674466B2 (ja) 磁性ファスナアセンブリ
US20060230583A1 (en) Snap button with pull-apart resisting structure
JP3083998B2 (ja) 装身具の留め具及びその使用方法
US6760958B2 (en) Strap buckle
TW201505919A (zh) 物品收容容器
KR101883456B1 (ko) 악세사리용 연결장치
TWI754444B (zh) 磁性扣接組
WO2013164883A1 (ja) バックル
JP6605560B2 (ja) 複合操作スイッチ並びにこの複合操作スイッチを用いた操作盤
JP2004344404A (ja) ストラップ連結具
KR101693141B1 (ko) 매립형 연결 고정구
US11432606B1 (en) Locking magnetic fasteners
JPH10257907A (ja) 衣類に固定する紐止め用具
JP3205037U (ja) バックル
JP2007301236A (ja) 装身具用留め具
JP3240402U (ja) 締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