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101A -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101A
KR20110006101A KR1020090063582A KR20090063582A KR20110006101A KR 20110006101 A KR20110006101 A KR 20110006101A KR 1020090063582 A KR1020090063582 A KR 1020090063582A KR 20090063582 A KR20090063582 A KR 20090063582A KR 20110006101 A KR20110006101 A KR 2011000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ain body
membrane
headrest
sta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273B1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9006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2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측 및 하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양측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보다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가 가이드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도 원할하게 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슬리브, 유동, 작동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A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vehicle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측 및 하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양측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보다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용 높이조절장치는 한국등록실용 제186497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S)의 등받이(B)이 상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매립되는 두 슬리브(10:도면에는 한쪽만 도시됨)와, 각 슬리브(10)내에 조립 고정되어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20)와, 이 가이드(20)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를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토퍼(30)로 구성된다.
슬리브(10)는 등받이(B)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그 상단부 양쪽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두 슬릿(11)(12)이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20)는 원통형 몸체(21)의 상단에 등받이(B)의 상면에 접촉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사각단면의 헤드(22)가 형성되고, 몸체(21)의 하단부에는 슬리브(10)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23)을 가지는 설편이 형성된다. 몸체(21)의 상단부 외주에는 슬리브(10)의 두 슬릿(11)(12)에 각각 끼워져 가이드(20)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두 위치결정돌기(24)(25)들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헤드(22)에는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가 끼워지는 관통구멍(26)이 몸체(21)와 동축으로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26)의 반경방향으로 스토퍼(30)가 결합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된다. 헤드(22)의 안내구멍 양쪽에는 후술하는 스토퍼(30)의 스프링(38)을 삽입하는 수납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탄성편(29)은 몸체(21)의 하단방향으로 개방된 두 슬릿(21a)에 의해 몸체(21)와 일체로 구성되는 설편에 의해 형성된다.
즉, 가이드(20)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 외주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가이드(20)와 스테이로드(40)간의 조립공차에 따른 스테이로드(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29)이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편(29)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가이드(20)의 선단에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각 설편과 탄성편(29)들이 이루는 내주는 스테이로드(40)의 외주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탄성편편(29)을 가이드(20)의 선단에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하나 이상의 슬릿(21a)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탄성편(29)과 나머지 설편에 의한 공간부의 내주가 스테이로드(40)의 선단의 외주보다 작게 한다.
스토퍼(30)는 헤드(22)의 안내구멍에 결합되는 몸체(31)와, 이 몸체(31)의 일단에 구비되어 헤드(22)의 외부에 노출되는 누름부(32)를 가진다. 몸체(31)에는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사각형의 슬롯(slot:34)이 형성되고, 이 슬롯(34)의 한쪽에는 후술하는 스테이로드(40)의 걸림홈(41)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로킹핀(35)이 설치된다. 이러한 로킹핀(35)의 외주에는 로킹핀(35)이 스테이로드(40)의 걸림홈(4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의 튜브(tube: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31)의 선단부에는 가이드(20)의 헤드(22)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규제핀이 삽입되어 스토퍼(30)의 이동범위를 한정하는 장공(37)이 형성되며, 그 수납구멍에는 로킹핀(35)이 스테이로드(40)의 걸림홈(4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스토퍼(30)를 그 이탈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38)이 각각 설치된다.
헤드레스트(R)의 두 지지로드 중 한쪽 스테이로드(40)의 외주에는 스토퍼(30)의 로킹핀(35)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걸림홈(41)들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걸림홈(41)은 로킹핀(35)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걸리도록 한쪽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가 시트(S)의 등받이(B) 내부에 대부분 삽입된 상태이다.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 외주면과 가이드(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스테이로드(40)의 이동에 필요한 조립공차가 제공되어 양자간에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지만, 헤드레스트(R)의 스테이로드(40)가 스토퍼(30)와 가이드(20)의 탄성편(29)에 의해 두 위치에서 지지되어 밀착되어 있으므로 차량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 있어도 스테이로드(40)의 외주면과 가이드(20)의 내주면 사이에 단속적인 접촉이 일어나지 않아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20)의 선단에 구비된 탄성편(29)의 내주면은 스테이로드(40)의 외주면보다 작은 지름을 형성하고 있는 바, 헤드레스트(R)를 등받이(B)에 조립하여 그 스테이로드(40)가 가이드(20)를 관통하게 되면 가이드(20)의 탄성편(29)이 스테이로드(40)의 외주면과의 접촉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탄성변형되어 스테이로드(40)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밀착하게 됨과 함께, 스토퍼(30)가 스테이로드(40)의 걸림홈(41)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위치고정시키게 되므로 양자간의 틈새에 의한 스테이로드(40)의 유동이 억제되어 엔진 구동으로 인한 진동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이드(20)의 탄성편(29)을 통해 스테이로드(40)를 지지할 경우에는 가이드(20)의 사용초기에는 스테이로드(40)에 충분한 탄성력을 가하게 되나, 가이드(20)를 사용할 수록 탄성편(29)이 쉽게 소성변형되어 스테이로드(40)에 충분한 탄성력을 가하지 못하게 되어 진동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이드(20)에 별도의 철판을 끼워서 사용 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조립공정이 늘어나게 되고,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비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가 가이드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도 원할하게 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는,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측 및 하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양측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보다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본체 내벽에는 리브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측 및 하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양측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보다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가 가이드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도 원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벽에는 리브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가 가이드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200)는, 측벽에 관통공(212)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본체(210)와, 상기 관통공(212)에 삽입되며 상측 및 하측이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고 양측은 상기 본체(210)와 이격되는 멤브레인(270)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270)은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보다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21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체(210)는 중심부에 삽입공(20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210)의 상단에는 헤드(220)가 형성되며, 헤드(22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굴곡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체(210)의 하단에는 하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축경부(211)가 형성된다.
본체(210)의 외주면 상부에는 슬리브 상단이 걸리는 걸림턱(230)이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턱(230)은 헤드(2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턱(230)과 헤드(220)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210)의 외주면에는 리브(260)가 여러개 형성된다.
본체(210)의 외주면에서 걸림턱(230)의 하부에는 슬리브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0)가 두개 형성된다.
두개의 끼움돌기(240)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두개의 끼움돌기(240) 사이각이 90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본체(210)의 외주면에서 축경부(211)와 걸림턱(230) 사이에는 탄성편(280)이 형성된다.
탄성편(280)은 하측에 본체(210)와 연결되는 연결부(283)가 형성되고, 좌측, 우측, 상측에 이격공간부(281, 282)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280)은 상부로 향할수록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되어, 탄성편(280)의 상단은 본체(21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편(280)은 슬리브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210)의 외주면에서 걸림턱(230) 하부 및 탄성편(280)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리브(250)가 여러개 형성된다. 리브(250)는 하부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가이드(200)를 슬리브에 용이하게 끼울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리브(250)로 인해서 슬리브에 가이드(200)를 끼웠을 때 조립공차에 따른 가이드(200)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내벽에는 리브(29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리브(290)의 수평단면 형상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테이로드와 선접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90)는 두개 형성되며, 두개의 리브(290)는 사이각이 180도 이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리브(290)는 헤드(220)의 아래에서부터 탄성편(280)이 위치한 곳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90)로 인해, 조립공차에 따른 스테이로드의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본체(210) 내벽과 스테이로드 사이의 마찰력도 감소되어 스테이로드의 본체(210) 내 이동도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0)는 측벽에 관통공(2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한개 또는 여러개 형성된다.
관통공(212)이 여러개 형성될 경우에는 본체(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러개의 관통공(212)이 일직선상에 배치되 거나, 여러개의 관통공(212)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두개의 관통공(212)은 끼움돌기(240)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과, 아래쪽에 배치되는 리브(250)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멤브레인(27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2)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270)은 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멤브레인(270)은 상측 및 하측이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어 상측과 하측에 연결부(272)가 형성된다.
멤브레인(270)은 양측은 상기 본체(210)와 이격되어, 멤브레인(270)의 좌측과 우측에는 이격공간부(271)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270)은 본체(210)에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보다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인 중간부가 상기 본체(21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73)가 형성된다.
따라서, 멤브레인(270)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가이드(200)의 삽입공(201)에 스테이로드를 삽입하게 되면, 가이드(200)와 스테이로드는 3지점에서 접촉하게 된다.
스테이로드는 멤브레인(270)의 돌출부(273)에 의해서 탄성력을 받아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두개의 리브(29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돌출부(273)는 상측과 하측이 가이드(200)에 연결되어 소성변형이 방 지된다.
이로 인해서,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가 가이드(200)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이 지속적으로 방지되어 가이드(200)의 수명이 늘어나게 되며, 추가적인 부품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도 원할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는, 저 생산비를 목표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가이드 210 : 본체
211 : 축경부 212 : 관통공
220 : 헤드 230 : 걸림턱
240 : 끼움돌기 250 : 리브
260 : 리브 270 : 멤브레인
271 : 이격공간부 272 : 연결부
273 : 돌출부 280 : 탄성편
281 : 이격공간부 283 : 연결부
290 : 리브

Claims (2)

  1.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본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측 및 하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양측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보다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벽에는 리브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KR1020090063582A 2009-07-13 2009-07-1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KR101108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82A KR101108273B1 (ko) 2009-07-13 2009-07-1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82A KR101108273B1 (ko) 2009-07-13 2009-07-1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01A true KR20110006101A (ko) 2011-01-20
KR101108273B1 KR101108273B1 (ko) 2012-01-31

Family

ID=4361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582A KR101108273B1 (ko) 2009-07-13 2009-07-1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27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89B1 (ko) * 2012-09-06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폴가이드
KR20150138446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150145562A (ko) * 2014-06-20 2015-12-3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CN105452056A (zh) * 2013-06-29 2016-03-30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用于滑动头部保护装置中的承载件
KR101659696B1 (ko) * 2015-09-25 2016-09-23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용 슬리브
CN107000618A (zh) * 2014-10-15 2017-08-01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用于滑动头部保护装置中的承载件
CN110382289A (zh) * 2017-03-13 2019-10-25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头枕引导件及车辆用座椅
US11649858B2 (en) 2017-03-31 2023-05-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Ring, method, and assembly for component displacement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503B1 (ko) * 2012-02-0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가이드
KR101315315B1 (ko) 2012-04-04 2013-10-08 동광리어유한회사 소음 제거용 차량 헤드레스트 및 슬리브 결합구조
KR101449995B1 (ko) 2013-10-17 2014-10-1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1473749B1 (ko) * 2014-01-02 2014-12-24 대원산업 주식회사 진동 저감형 헤드레스트 가이드
KR20180001205U (ko) * 2016-10-20 2018-05-02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고정 어셈블리
KR101952816B1 (ko) 2019-02-01 2019-02-27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 위치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6703B2 (ja) 2002-10-21 2008-09-10 メタル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支持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89B1 (ko) * 2012-09-06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폴가이드
CN105452056B (zh) * 2013-06-29 2019-06-28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用于滑动头部保护装置中的承载件
US10220751B2 (en) 2013-06-29 2019-03-0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for use in sliding head restraint
CN105452056A (zh) * 2013-06-29 2016-03-30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用于滑动头部保护装置中的承载件
US9446692B2 (en) 2013-06-29 2016-09-2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for use in sliding head restraint
US10414311B2 (en) 2013-06-29 2019-09-1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for use in sliding head restraint
US9649959B2 (en) 2013-06-29 2017-05-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for use in sliding head restraint
US10144328B2 (en) 2013-06-29 2018-12-04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for use in sliding head restraint
US9821693B2 (en) 2013-06-29 2017-11-2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for use in sliding head restraint
US9707872B2 (en) 2013-06-29 2017-07-1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for use in sliding head restraint
KR20150138446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150145562A (ko) * 2014-06-20 2015-12-3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CN107000618A (zh) * 2014-10-15 2017-08-01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用于滑动头部保护装置中的承载件
KR101659696B1 (ko) * 2015-09-25 2016-09-23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용 슬리브
CN110382289A (zh) * 2017-03-13 2019-10-25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头枕引导件及车辆用座椅
US11649858B2 (en) 2017-03-31 2023-05-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Ring, method, and assembly for component displacement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273B1 (ko)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273B1 (ko)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JP6770924B2 (ja) グロメット
JP5145129B2 (ja) クリップ
WO2012121072A1 (ja) ばね組立体
JP2005214413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JP2009204114A (ja) クリップと取付部材との組付構造
JP2009299894A (ja) 孔内に締結可能な保持要素
JP2013509556A (ja) プッシュインファスナー組立体
CN103563221B (zh) 具有轴向的弹性元件的电机
US10451134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active vibration-damping device
WO2019088109A1 (ja) 固定構造
JP2015183851A (ja) 差込継手部材
CN103890439A (zh) 弹簧片构件和装备有该构件的弹簧组件
KR101473749B1 (ko) 진동 저감형 헤드레스트 가이드
JP578136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KR101295009B1 (ko) 차량의 제어 케이블 고정 장치
JP5547991B2 (ja) ヘッドレスト保持用ポールガイド及び自動車用シート
WO2014155606A1 (ja) 乗り物用座席
KR101232844B1 (ko) 에어 댐퍼
KR200186497Y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101659696B1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용 슬리브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JP6899286B2 (ja) 取付け治具
KR101695609B1 (ko) 케이지너트
KR20210106533A (ko) 포펫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