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95B1 - 헤드레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995B1
KR101449995B1 KR1020130123803A KR20130123803A KR101449995B1 KR 101449995 B1 KR101449995 B1 KR 101449995B1 KR 1020130123803 A KR1020130123803 A KR 1020130123803A KR 20130123803 A KR20130123803 A KR 20130123803A KR 101449995 B1 KR101449995 B1 KR 10144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eadrest
insertion hole
guide
p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Original Assignee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되고, 폴가이드삽입공이 구비된 폴가이드 조립부; 상기 폴가이드삽입공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폴삽입공을 갖는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 상기 폴삽입공에 삽입되는 헤드레스트 폴; 상기 헤드레스트 폴에 고정된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폴가이드삽입공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프레임돌기; 상기 폴삽입공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폴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의 외경과 상기 폴가이드삽입공 사이의 유격 및 상기 헤드레스트 폴의 외경과 상기 폴삽입공 사이의 유격을 동시에 최소화시키는 이중 유격 감소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 변형만으로도 헤드레스트의 조립 공차를 줄일 수 있어 헤드레스트 설치 후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극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조립체{HEADREST ASSEMBLY}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조립 후 유격에 의해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극소화시키면서 조립성을 개선한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는 차량의 시트백에 고정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면서 받쳐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 부품이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공개특허 제1999-0041545호를 비롯하여, 공개특허 제2011-0093679호 등 다수에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헤드레스트(3)는 착좌부(1)와, 등받이(2)로 이루어진 차량시트에서 등받이(2)의 상단면에 헤드레스트 폴(4)에 의해 끼워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2) 내부에는 도 2와 같은 시트백프레임(22)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프레임(22)에는 폴 가이드 조립부(24)가 구비되며, 상기 폴 가이드 조립부(24)에는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가 조립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에 헤드레스트 폴(4)이 끼워져 헤드레스트(3)를 지지하도록 조립 구성된다.
그런데, 헤드레스트(3)가 조립된 후 조립부위에서 생기는 유격 때문에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생기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통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 외주면에 미세돌기(28) 돌출시켜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래틀 노이즈를 줄이고 있다.
이는 스틸 프레임이나 유리섬유강화 열가소성수지로 된 프레임이나 공법상 폴 가이드 조립부(24) 내주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의 외주면에 미세돌기(28)가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는 성형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되므로 유격은 부득이하게 발생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여전히 래틀 노이즈는 발생되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뿐만 아니라, 시트백프레임(22)에 형성되는 폴 가이드 조립부(24) 자체의 공차 때문에도 유격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폴 가이드 조립부(24)와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를 서로 억지끼움식으로 고정하는 것이지만, 이렇게 되면 조립성이 저하되고, 시트백프레임(22) 및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의 산포에 의한 조립 불량이 발생되며, 헤드레스트(3)의 작동이 어렵게 되므로 사실상 새로운 개념의 유격 극소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차에 의한 유격발생을 최소화시켜 래틀 노이즈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되고, 폴가이드삽입공이 구비된 폴가이드 조립부; 상기 폴가이드삽입공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폴삽입공을 갖는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 상기 폴삽입공에 삽입되는 헤드레스트 폴; 상기 헤드레스트 폴에 고정된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폴가이드삽입공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프레임돌기; 상기 폴삽입공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폴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의 외경과 상기 폴가이드삽입공 사이의 유격 및 상기 헤드레스트 폴의 외경과 상기 폴삽입공 사이의 유격을 동시에 최소화시키는 이중 유격 감소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돌기 및 상기 폴가이드돌기는 반원형, 삼각형을 포함한 선접촉 가능한 형상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돌기 및 상기 폴가이드돌기는 각각 폴가이드삽입공 및 폴삽입공의 상하길이만큼 연장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돌기와 상기 폴가이드돌기는 서로 어긋나게 설계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 변형만으로도 헤드레스트의 조립 공차를 줄일 수 있어 헤드레스트 설치 후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극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헤드레스트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조립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는 헤드레스트 폴(4, 도 2 참조)이 끼워지는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의 외주면에는 기존과 같은 미세돌기(28, 도 2 참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만 보았을 때 유격을 해소시킬만한 구성이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존과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유격을 최소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에 형성된 폴삽입공(260) 내부에서 유격을 최소화시키고, 또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가 삽입 설치되는 폴 가이드 조립부(24)에 형성된 폴가이드삽입공(240) 내부에서 유격을 최소화시키는 이중구조의 유격 최소화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과 작동은 쉽고 원활하지만 성형시 발생되는 수축의 문제나 조립 공차 등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은 거의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구조를 갖춘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에는 헤드레스트 폴(4)이 끼워질 수 있도록 폴삽입공(260)이 구비된다.
상기 폴삽입공(260)은 상기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의 상면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삽입공(260)의 내주면, 즉 내경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폴가이드돌기(262)를 형성한다.
상기 폴가이드돌기(262)는 삽입되는 헤드레스트 폴(4)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반원형상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폴삽입공(260)이 원래 설계치이지만, 상기 헤드레스트 폴(4)의 외경과 상기 폴삽입공(260) 사이의 조립공차를 상기 폴가이드돌기(262)가 보정하여 만회함으로써 유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폴가이드돌기(262)는 상술하였듯이, 띠엄띠엄 돌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고, 더구나 반원형상으로 돌출시켜 접촉면적을 극소화시켰기 때문에 조립공차는 현저히 줄이지만, 마찰감소에 따라 인출입 동작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폴가이드돌기(262)의 형성은 반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상을 포함한 선접촉 가능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지 무방하다.
한편, 래틀 노이즈의 발생은 헤드레스트 폴(4)과 폴삽입공(260)에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시트백프레임(22, 도 2 참조)에 형성된 폴가이드 조립부(24)에 마련된 폴가이드삽입공(240)의 내경과, 이에 삽입되는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의 외경 사이의 조립공차에서도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가이드삽입공(240)의 내주면에도 상기 폴가이드돌기(262)와 동일한 방식으로 프레임돌기(242)를 돌출 형성하여 유격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립공차를 유발시킬 수 있는 상호 삽입 구조물의 대향물간 공차 해소를 위해 이중구조의 유격 감소구성을 갖춤으로써 완벽하게 유격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아주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상기 폴가이드돌기(262)와 프레임돌기(242)는 돌출되는 부위가 서로 어긋나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도 4의 예시와 같이, 두 개의 돌기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구성되어야 유격에 대한 극소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만약 서로 동일한 지점에서 두 개의 돌기가 돌출될 경우, 성형과정에서 돌기 주변의 수축도가 달라지면서 또다른 공차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그러한 점까지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해 서로 어긋난 위치를 유지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면, 헤드레스트 폴(4)은 사방에서 공차 발생이 억제되므로 유격에 따른 래틀 노이즈 발생이 억제되게 되어 보다 쾌적한 차량 탑승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이중 돌기 구조를 취함으로써 만약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더라도 각 접촉부는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낮아져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26)의 변형이 생기더라도 돌기가 오버랩되어 있어 유격 발생이 거의 생기지 않는 장점도 있다.
4: 헤드레스트 폴 24: 폴가이드 조립부
26: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

Claims (4)

  1. 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되고, 폴가이드삽입공이 구비된 폴가이드 조립부; 상기 폴가이드삽입공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폴삽입공을 갖는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 상기 폴삽입공에 삽입되는 헤드레스트 폴; 상기 헤드레스트 폴에 고정된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폴가이드삽입공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프레임돌기;
    상기 폴삽입공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폴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의 외경과 상기 폴가이드삽입공 사이의 유격 및 상기 헤드레스트 폴의 외경과 상기 폴삽입공 사이의 유격을 동시에 최소화시키는 이중 유격 감소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돌기 및 상기 폴가이드돌기는 반원형, 삼각형을 포함한 선접촉 가능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돌기 및 상기 폴가이드돌기는 각각 폴가이드삽입공 및 폴삽입공의 상하길이만큼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돌기와 상기 폴가이드돌기는 서로 어긋나게 설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20130123803A 2013-10-17 2013-10-17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144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03A KR101449995B1 (ko) 2013-10-17 2013-10-17 헤드레스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03A KR101449995B1 (ko) 2013-10-17 2013-10-17 헤드레스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995B1 true KR101449995B1 (ko) 2014-10-14

Family

ID=5199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803A KR101449995B1 (ko) 2013-10-17 2013-10-17 헤드레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6646A (zh) * 2017-07-08 2017-11-10 苏州力佳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头枕的汽车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73B1 (ko) 2009-07-13 2012-01-3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KR20130089125A (ko) * 2012-02-01 2013-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가이드
KR101315315B1 (ko) 2012-04-04 2013-10-08 동광리어유한회사 소음 제거용 차량 헤드레스트 및 슬리브 결합구조
KR20130112510A (ko) * 2012-04-04 2013-10-14 동광리어유한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및 슬리브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73B1 (ko) 2009-07-13 2012-01-3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KR20130089125A (ko) * 2012-02-01 2013-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가이드
KR101315315B1 (ko) 2012-04-04 2013-10-08 동광리어유한회사 소음 제거용 차량 헤드레스트 및 슬리브 결합구조
KR20130112510A (ko) * 2012-04-04 2013-10-14 동광리어유한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및 슬리브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6646A (zh) * 2017-07-08 2017-11-10 苏州力佳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头枕的汽车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0924B2 (ja) グロメット
US9902301B2 (en) Sleeve device for a headrest
WO2012172674A1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743660B1 (ko) 헤드레스트 지지 구조
JP2014104974A (ja) ヘッドレストホルダー
JP2013019098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449995B1 (ko) 헤드레스트 조립체
JP6302829B2 (ja) グロメット
US20160377102A1 (en) Clip
JP2009142484A (ja) バックバネの取付け構造
KR101683428B1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JP5522552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US10518678B2 (en) Headrest support structure
KR20180001205U (ko) 헤드레스트 고정 어셈블리
CN105074269A (zh) 转矩杆
JP6225747B2 (ja) ヘッドレストステー保持構造
KR101403858B1 (ko) 차량용 그로밋
KR10151859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JP6144485B2 (ja) 自動車用吸音構造
JP5242133B2 (ja) ガタ防止機構を備えた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
JP2014126133A (ja) ツーピースクリップ
JP2014180139A (ja) ワイヤハーネス
KR10156273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263736B1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JP6418917B2 (ja) ヘッドレスト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