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858B1 - 차량용 그로밋 - Google Patents

차량용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858B1
KR101403858B1 KR1020130078520A KR20130078520A KR101403858B1 KR 101403858 B1 KR101403858 B1 KR 101403858B1 KR 1020130078520 A KR1020130078520 A KR 1020130078520A KR 20130078520 A KR20130078520 A KR 20130078520A KR 101403858 B1 KR101403858 B1 KR 10140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ner housing
slit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송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50Interlocking shaft arrangements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hinge mechanisms on both sides of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삽입공간의 상단은 개방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내부에 시트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체결공간이 형성되고 체결공간의 상단이 개방된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 일부가 수직의 좌측슬릿, 수직의 우측슬릿, 좌측슬릿과 우측슬릿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슬릿으로 절개되어 상단만이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상방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을 관통하고, 관통홀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내부하우징이 외부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부의 하단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의 와이어 상단을 규제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그로밋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그로밋 {VEHICLE GROMMET}
본 발명은 와이어 분리시 분해가 용이한 차량용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 분리시 분해가 용이한 차량용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리어시트의 시트쿠션을 시트 고정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그로밋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시트쿠션의 하부에 부착되는 시트 쿠션 와이어에는 상기 걸림홈과 걸어맞춤되는 탄성 걸림부를 형성하여 결합시켜 리어 시트쿠션을 고정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RV차량과 같은 다인승 차량에는 보다 많은 열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시트 백의 상부에는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프론트 시트의 경우에는 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로 분리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리어시트의 경우에는 벤치식으로도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2-0034737 A
본 발명은 와이어 분리시 분해가 용이한 차량용 그로밋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은,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삽입공간의 상단은 개방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내부에 시트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체결공간이 형성되고 체결공간의 상단이 개방된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 일부가 수직의 좌측슬릿, 수직의 우측슬릿, 좌측슬릿과 우측슬릿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슬릿으로 절개되어 상단만이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상방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을 관통하고, 관통홀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내부하우징이 외부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부의 하단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의 와이어 상단을 규제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에는 와이어가 안착되며 와이어의 하단을 감싸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고정돌기는 와이어의 상단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단이 체결돌기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고, 하단이 고정돌기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폭은 관통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의 좌측슬릿과 우측슬릿은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 전면측의 고정돌기와 후면측의 고정돌기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양 고정돌기의 이격거리는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그로밋에 따르면, 이중 로킹 구조를 통해 안전하게 시트 와이어를 고정하고, 추후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시 와이어가 그로밋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의 내부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그로밋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의 내부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그로밋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은,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공간(120)이 형성되며 삽입공간(120)의 상단은 개방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140)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00);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삽입공간(120)에 삽입되며, 내부에 시트의 와이어(w)가 삽입되는 체결공간(320)이 형성되고 체결공간(320)의 상단이 개방된 내부하우징(300); 상기 내부하우징(300)의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 일부가 수직의 좌측슬릿(a), 수직의 우측슬릿(b), 좌측슬릿(a)과 우측슬릿(b)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슬릿(c)으로 절개되어 상단만이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체결부(340); 상기 체결부(340)의 상방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140)을 관통하고, 관통홀(140)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내부하우징(300)이 외부하우징(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360); 및 상기 체결부(340)의 하단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의 와이어(w) 상단을 규제하는 고정돌기(3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로밋은 2중 로킹 구조로써, 먼저 외부하우징(100)이 차량 플로어측에 고정되고, 이에 내부하우징(300)이 삽입되어 체결되며, 이에 와이어(w)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즉, 내부하우징(300)은 외부하우징(100)에 체결되고, 와이어(w)는 내부하우징(30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위해, 외부하우징(100)은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공간(120)이 형성되며 삽입공간(120)의 상단은 개방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140)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하우징(30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삽입공간(120)에 삽입되며, 내부에 시트의 와이어(w)가 삽입되는 체결공간(320)이 형성되고 체결공간(320)의 상단이 개방된다.
그리고 내부하우징(300)의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 일부가 수직의 좌측슬릿(a), 수직의 우측슬릿(b), 좌측슬릿(a)과 우측슬릿(b)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슬릿(c)으로 절개되어 상단만이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체결부(340)가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340)의 상방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140)을 관통하고, 관통홀(140)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내부하우징(300)이 외부하우징(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360)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내부하우징(300)은 억지끼움으로 외부하우징(100)에 끼워지며, 체결돌기(360)가 외부하우징(100)의 관통홀(140)로 돌출됨으로써 추후 내부하우징(300)이 외부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이 저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부(340)의 하단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의 와이어(w) 상단을 규제하는 고정돌기(34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와이어(w)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이 내부하우징(300)의 체결공간으로 삽입되며, 고정돌기(342)측에서 억지끼움되어 안착되고 고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내부하우징(300)의 하단에는 와이어(w)가 안착되며 와이어(w)의 하단을 감싸는 안착홈(310)이 형성되고, 고정돌기(342)는 와이어(w)의 상단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내부하우징(300) 전면측의 고정돌기와 후면측의 고정돌기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양 고정돌기의 이격거리는 와이어(w)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w)는 내부하우징(30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342)에 걸리지만, 내부하우징(300)과 외부하우징(100)은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써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바, 와이어(w)의 삽입에 따라 고정돌기(342)가 가압되며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와이어(w)는 최하단까지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안착홈(310) 및 고정돌기(342)에 의해 감싸지며 고정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리어시트의 하부를 차체 플로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통홀(140)은 상단이 체결돌기(360)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고, 하단이 고정돌기(342)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40)의 폭은 관통홀(140)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하우징(300)의 좌측슬릿(a)과 우측슬릿(b)은 관통홀(14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관통홀(140)의 길이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추후 와이어(w)의 탈거시 체결돌기(360)나 고정돌기(342) 혹은 체결부(340)가 부러져 와이어(w)가 제대로 분리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관통홀(140)이 상하방향으로 충분히 길기 때문에 와이어(w)를 거꾸로 상방으로 당길 경우에는 체결부(340)가 어느정도 변형되며 와이어(w)가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관통홀(140)의 상단은 체결돌기(360)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부하우징(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관통홀(140)의 하단은 고정돌기(342)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평상시 와이어(w)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그로밋에 따르면, 이중 로킹 구조를 통해 안전하게 시트 와이어를 고정하고, 추후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시 와이어가 그로밋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외부하우징 140 : 관통홀
300 : 내부하우징 340 : 체결부
w : 와이어

Claims (6)

  1.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삽입공간의 상단은 개방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내부에 시트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체결공간이 형성되고 체결공간의 상단이 개방된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각각의 중앙 일부가 수직의 좌측슬릿, 수직의 우측슬릿, 좌측슬릿과 우측슬릿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슬릿으로 절개되어 상단만이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상방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을 관통하고, 관통홀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내부하우징이 외부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부의 하단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의 와이어 상단을 규제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그로밋.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에는 와이어가 안착되며 와이어의 하단을 감싸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고정돌기는 와이어의 상단을 감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밋.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단이 체결돌기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고, 하단이 고정돌기의 상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밋.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폭은 관통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밋.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좌측슬릿과 우측슬릿은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밋.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 전면측의 고정돌기와 후면측의 고정돌기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양 고정돌기의 이격거리는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밋.
KR1020130078520A 2013-07-04 2013-07-04 차량용 그로밋 KR10140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520A KR101403858B1 (ko) 2013-07-04 2013-07-04 차량용 그로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520A KR101403858B1 (ko) 2013-07-04 2013-07-04 차량용 그로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858B1 true KR101403858B1 (ko) 2014-06-27

Family

ID=5113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520A KR101403858B1 (ko) 2013-07-04 2013-07-04 차량용 그로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7671A1 (en) 2021-04-01 2022-10-05 A. Raymond et Cie Lock for hold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and assembly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EP4067673A1 (en) 2021-04-01 2022-10-05 A. Raymond et Cie Lock for hold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and method of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3701A (en) * 1976-04-27 1977-10-11 Gf Business Equipment, Inc. Grommet assembly for furniture articles
KR19980023190U (ko) * 1996-10-31 1998-07-25 박병재 차량용 그로밋
US20040222007A1 (en) 2002-12-09 2004-11-11 Yazaki Corporation Grommet, water-stop structure of wire harness and mathod of producing wire harn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3701A (en) * 1976-04-27 1977-10-11 Gf Business Equipment, Inc. Grommet assembly for furniture articles
KR19980023190U (ko) * 1996-10-31 1998-07-25 박병재 차량용 그로밋
US20040222007A1 (en) 2002-12-09 2004-11-11 Yazaki Corporation Grommet, water-stop structure of wire harness and mathod of producing wire harn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7671A1 (en) 2021-04-01 2022-10-05 A. Raymond et Cie Lock for hold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and assembly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EP4067672A1 (en) 2021-04-01 2022-10-05 A. Raymond et Cie Lock for hold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and assembly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EP4067673A1 (en) 2021-04-01 2022-10-05 A. Raymond et Cie Lock for hold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and method of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584B2 (en) Mounting structure of air bag device on vehicle body
US8979171B2 (en) Vehicular door trim
WO2014189033A1 (ja) 車両用モニタ付き照明装置
US11230238B2 (en)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56579B2 (en) Headrest and vehicle seat
KR101403858B1 (ko) 차량용 그로밋
JP6528277B2 (ja) 車両
US20160039270A1 (en) Register fixing structure for a vehicle
US20170028880A1 (en) Tether anchor bracket
JP2015182542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15067172A (ja) 乗物用シート
US10183633B2 (en) Vehicle-mounted-camera bracket
JP2016147520A (ja) エンドキャップ及びモールディング
JP2010234952A (ja) 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2016124381A (ja) 車両用ドアのドアトリム
JP2010095117A (ja) 車両用内装部品の組付け構造
KR200482535Y1 (ko) 차랑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JP2015223955A (ja) 車両用シートの構造
CN105857210B (zh) 一种用于车辆的后备箱盖的饰条的辅助支承装置
JPWO2014129073A1 (ja) 車両室内構造
JP5028141B2 (ja) ステップガーニッシュ取り付け構造
JP3169952U (ja) マットストッパー
JP2014131891A (ja) 車両の内装構造
JP2013103687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