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562A -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562A
KR20150145562A KR1020140075691A KR20140075691A KR20150145562A KR 20150145562 A KR20150145562 A KR 20150145562A KR 1020140075691 A KR1020140075691 A KR 1020140075691A KR 20140075691 A KR20140075691 A KR 20140075691A KR 20150145562 A KR20150145562 A KR 20150145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uide device
elastic
headrest guid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887B1 (ko
Inventor
강신정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7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8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내부에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 결합홀에 삽입되는 몸체부; 몸체부에 마련되고, 결합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홀과 걸림 결합하는 탄성부; 및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결합홀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APPARATUS FOR GUIDING 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부착이 용이하며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가이드는 시트백의 상단에 삽입되고,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며,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노치홈과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하도록 걸림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걸림장치의 조작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용자는 이용자의 신체에 맞게 헤스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헤드레스트 가이드는 일반적으로 시트백과 별물로 제작한 뒤, 시트백에 마련된 삽입구멍에 헤드레스트 가이드를 삽입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삽입 후 헤드레스트 가이드를 시트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시트백 내부에 삽입되는 헤드레스트 가이드의 끝단에는 고정돌기가 마련된다.
하지만, 이러한 고정돌기는 헤드레스트 가이드를 시트백에 걸림 결합시키는 역할만을 할 뿐이며, 이로 인해 헤드레스트 가이드와 시트백 사이에 래치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돌기가 시트백의 내부에 위치한 이유로, 헤드레스트 가이드를 탈거하기 위하여서는 시트백의 후면을 탈거하고 고정돌기와 시트백과의 결합을 해제시킨 뒤 헤드레스트 가이드를 탈거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어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09-0128741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순 걸림결합 구조로 인한 래치음 발생을 제거하기 위하여 2중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탈거가 용이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는 내부에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 결합홀에 삽입되는 몸체부; 몸체부에 마련되고, 결합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홀과 걸림 결합하는 탄성부; 및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결합홀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부;를 포함한다.
탄성부는 결합홀의 입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는 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나사산부는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결합홀의 반경방향으로 몸체부의 외주면과 중공을 통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탄성부는 중공에 위치되어 단부가 관통홀을 통해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몸체부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몸체부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결합홀의 반경방향으로 몸체부의 외주면과 중공을 통공시키며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탄성부는 중공에 위치되어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관통홀을 통해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몸체부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탄성부는 양단부에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중앙부가 절곡될 수 있다.
탄성부는 몸체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는 탄성부의 최대 돌출 지점에서 몸체부의 삽입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의 입구부에는 입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홀이 형성된 걸림패널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치합부에서 걸림패널까지의 거리가 나사산부 중 몸체부의 타단부측 단부에서 돌출된 탄성부의 최대 돌출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되도록 나사산부 및 치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따르면, 몸체부의 회전만으로 몸체부와 시트백 프레임 간의 2중 결합이 완성됨에 따라 체결 및 탈거가 용이하고 체결성이 강화되어 래치음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의 체결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의 체결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300); 결합홀(300)에 삽입되는 몸체부(100); 몸체부(100)에 마련되고, 결합홀(3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홀(300)과 걸림 결합하는 탄성부(200); 및 몸체부(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결합홀(300)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부(1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결합홀(300)은 시트백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원통형의 홀이 될 수 있고, 결합홀(300)의 길이를 따라 몸체부(100)가 결합홀(3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결합홀(300)의 형상은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내부에 길이를 따라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중공에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어 몸체부(100)를 매개로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시트백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100)가 결합홀(3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홀(300)의 입구부에 대응되는 몸체부(100)의 일단부에는 결합홀(300)의 반경방향으로 몸체부(100)의 외주면과 중공을 통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00)에 한 쌍의 관통홀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후술할 탄성부(200)가 한 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결합홀(300)과 결합할 시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탄성부(200)는 중공에 위치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관통홀을 통해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몸체부(10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탄성부(200)는 바 형상으로서 양단부가 한 쌍의 관통홀을 각각 지나되, 중앙부가 절곡되어 양단부에 몸체부(100)의 외측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탄성부(20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관통홀이 홀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관통홀의 개수에 맞게 탄성부(200)를 구비하고 탄성부(200)의 일단은 관통홀을 통과하며 타단이 서로 결합하거나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결합된 뒤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200)가 절곡된 중앙부의 탄성력을 이용하도록 기술하고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홀을 통과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돌출부가 몸체부(10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부(200)의 단부에는 몸체부(100)의 삽입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0)가 결합홀(300)에 삽입될 시 탄성부(200)의 단부를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밀며 용이하게 결합홀(3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20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귀하여 몸체부(100)와 결합홀(300)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200)의 단부 중 최대 돌출 지점에서 몸체부(100)의 삽입방향에 반대방향으로도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최대 돌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슬로프와 동일한 형상이나 방향은 반대인 경사로가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경사로는 형성되지 않지만 몸체부(100)의 삽입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호를 그리며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100)의 삽입방향에 반대방향으로도 점진적인 돌출 높이변화를 줌으로써 시트백을 해체하여 탄성부(200)의 단부와 결합홀(300)과의 체결을 해제한 뒤 몸체부(100)의 탈거를 수행하지 않고도 몸체부(100)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 만으로도 탈거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체결과 탈거의 용이성이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결합홀(300)의 입구부에는 입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홀이 형성된 걸림패널(31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걸림패널(310)의 직경은 몸체부(100)의 외주면 직경 보다 크면서 탄성부(200)의 단부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높이 보다는 작은 크기가 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몸체부(100)가 결합홀(300)에 삽입시 걸림패널(310)을 지날 때에는 탄성부(200)의 단부가 몸체부(100) 내부로 수납되었다가 걸림패널(310)을 지나 몸체부(100)가 결합홀(300)에 완전히 수납되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몸체부(100)와 결합홀(300)간의 걸림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나사산부(110)는 몸체부(10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200)와 거리를 두고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0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나사산부(110)에 대응되는 결합홀(300)의 내주면 상에도 나사산부(110)에 치합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된 치합부(3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치합부(320)에서 걸림패널(310)까지의 거리(X)가 나사산부(110) 중 몸체부(100)의 타단부측 단부에서 돌출된 탄성부(200)의 최대 돌출 지점까지의 거리(Y)보다 작게 되도록 나사산부(110) 및 치합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몸체부(100)의 체결시 나사산부(110)와 치합부(320)가 결합할 때 동시에 탄성부(2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나사산부(110)에 의한 체결만으로도 탄성부(200)에 의한 체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한번의 체결활동으로 2중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몸체부(100)가 체결될 때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조립전 상태를, (b)는 조립 중인 상태를, (c)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결합홀(300)에 삽입된 후 우선 나사산부(11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돌출된 탄성부(200)의 단부는 걸림패널(310)에 걸림 결합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후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가 회전하여 나사산부(110)의 체결이 이루어지고, 몸체부(100)가 결합홀(300)에 삽입되어 가면서 돌출된 탄성부(200)의 단부는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최종적으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가 결합홀(300)에 완전히 수납되면 탄성부(200)의 단부가 다시 돌출되어 걸림패널(310)과 걸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번의 체결 운동으로 2중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2중 체결을 통해 래치음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으며, 체결 해제시에도 몸체부(100)를 단순히 체결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몸체부(100)의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체결 및 탈거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나사산부
200 : 탄성부 300 : 결합홀
310 : 걸림패널 320 : 치합부

Claims (10)

  1. 내부에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
    결합홀에 삽입되는 몸체부;
    몸체부에 마련되고, 결합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홀과 걸림 결합하는 탄성부; 및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결합홀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는 결합홀의 입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는 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나사산부는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결합홀의 반경방향으로 몸체부의 외주면과 중공을 통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탄성부는 중공에 위치되어 단부가 관통홀을 통해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결합홀의 반경방향으로 몸체부의 외주면과 중공을 통공시키며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탄성부는 중공에 위치되어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관통홀을 통해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탄성부는 양단부에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중앙부가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는 몸체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슬로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탄성부는 탄성부의 최대 돌출 지점에서 몸체부의 삽입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홀의 입구부에는 입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홀이 형성된 걸림패널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치합부에서 걸림패널까지의 거리가 나사산부 중 몸체부의 타단부측 단부에서 돌출된 탄성부의 최대 돌출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되도록 나사산부 및 치합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KR1020140075691A 2014-06-20 2014-06-20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KR10164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91A KR101643887B1 (ko) 2014-06-20 2014-06-20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91A KR101643887B1 (ko) 2014-06-20 2014-06-20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62A true KR20150145562A (ko) 2015-12-30
KR101643887B1 KR101643887B1 (ko) 2016-07-29

Family

ID=5508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691A KR101643887B1 (ko) 2014-06-20 2014-06-20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8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51U (ja) * 1991-08-06 1993-02-23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ツドレスト支持構造
JP2003164352A (ja) * 2001-12-03 2003-06-10 Nippon Technica Kk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および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の引き抜き工具
KR20090128741A (ko) 2008-06-11 2009-12-16 진영공업 주식회사 헤드레스트용 폴 가이드
KR20110006101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KR20130089125A (ko) * 2012-02-01 2013-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가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51U (ja) * 1991-08-06 1993-02-23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ツドレスト支持構造
JP2003164352A (ja) * 2001-12-03 2003-06-10 Nippon Technica Kk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および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の引き抜き工具
KR20090128741A (ko) 2008-06-11 2009-12-16 진영공업 주식회사 헤드레스트용 폴 가이드
KR20110006101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KR20130089125A (ko) * 2012-02-01 2013-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887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087B1 (en) Bracket and mounting device thereof
JP2010090906A (ja) クリップ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US20130047331A1 (en) Quick lock tension rod and associated methods
US20200001816A1 (en) Device for removably mounting an airbag module
JP6368176B2 (ja) 保持具
KR10164388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
US20170043683A1 (en) Car safety seat
KR20150145150A (ko)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KR101581410B1 (ko)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JP2022088534A (ja) 道具ホルダ
KR20120109898A (ko) 접이식 자전거용 접철장치
KR20220062240A (ko) 샤워기 홀더
EP3032930B1 (en) Bracket and mounting device thereof
KR101448481B1 (ko) 차량용 컵 홀더
JP2013119928A (ja) 棒状部材用ホルダ
KR20160073565A (ko) 창문 청소 용구
JP3177434U (ja) 電球交換具
JP6254837B2 (ja) 留め具
KR101523461B1 (ko) 차량용 모니터
JP3185646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の固定装置
JP2013186299A5 (ko)
JP2013228006A (ja) クリップ
JP6503240B2 (ja) シートベルトのタング保持装置
JP2019132055A (ja) 仕切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