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209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209A
KR20110005209A KR1020100060487A KR20100060487A KR20110005209A KR 20110005209 A KR20110005209 A KR 20110005209A KR 1020100060487 A KR1020100060487 A KR 1020100060487A KR 20100060487 A KR20100060487 A KR 20100060487A KR 20110005209 A KR20110005209 A KR 2011000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housing
contact portion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199B1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지
마사카즈 구로이와
도모미 사카타
아키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 가능한 제2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접촉부를 구비하는 제1콘택트와,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제2콘택트와,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접촉부의 위치를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시키도록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가 위치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으로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을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할 때까지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2개의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배화(低背化)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케이블을 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58112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14055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양쪽 모두의 커넥터 조립체는, 회로기판에 탑재된 제1커넥터(first connector)와, 케이블이 접속된 제2커넥터(second connector)의 2개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58112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2커넥터를 수직방향(회로기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를 「수직접속형(垂直接續型)의 커넥터 조립체」라고 한다. 그러나 수직접속형의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에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에 있어서, 회로기판에 큰 스트레스(stress)가 걸리기 때문에 회로기판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140555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2커넥터를 수평방향(회로기판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를 「수평접속형(水平接續型)의 커넥터 조립체」라고 한다. 이 수평접속형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할 때에 있어서 회로기판에 대한 스트레스는 수직접속형과 비교하여 저감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수평접속형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가 진행됨에 따라 제1커넥터에 형성되는 삽입구(揷入口)도 좁아지기 때문에,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2커넥터를 결합할 때의 작업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저배화를 달성하면서도 양호한 결합 작업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은,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 가능한 제2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접촉부를 구비하는 제1콘택트와,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제2콘택트와,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접촉부의 위치를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시키도록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가 위치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으로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을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될 때까지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은, 상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1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은, 상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를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하여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방향(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부와, 위치결정 후의 제2방향(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의 가이드를 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제2커넥터를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1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접촉부와 제1접촉부의 접촉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접속형 커넥터 조립체와 같은 회로기판으로의 스트레스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결정부에 의하여 제1방향(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제2접촉부의 제1접촉부에 대한 위치결정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그 후의 조작은 제2커넥터를 제2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시키는 것뿐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접속형 커넥터 조립체와 비교하여 결합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이탈상태(비결합상태)에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Ⅱ-Ⅱ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도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Ⅲ-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도4는 도1의 제2커넥터를 저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조작에 대한 한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조작에 대한 다른 한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의 돌출부는 제2커넥터의 가수용부에 수용되어, 제2커넥터의 제1커넥터에 대한 Z방향(제1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도7은 도1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조작에 대한 다른 한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의 돌출부는 제2커넥터의 리시버에 수용되어,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의 결합·접속이 도모되어 있다.
도8은 도5의 커넥터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도5의 커넥터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도5의 제2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탈리상태에 있다.
도12는 도1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에 대한 제2커넥터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은 이미 이루어져 있지만,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아직 결합되어 있지 않다.
도13은 도1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탈리상태에 있다.
도15는 도14의 커넥터 조립체를 ⅩⅤ-ⅩⅤ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에 대한 제2커넥터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은 이미 이루어져 있지만,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아직 결합되어 있지 않다.
도17은 도15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도18은 도17의 커넥터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는 도17의 커넥터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도17의 커넥터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탈리상태에 있다.
도22는 도21의 커넥터 조립체를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2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에 대한 제2커넥터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은 이미 이루어져 있지만,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아직 결합되어 있지 않다.
도24는 도22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실시예)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는, 기판(基板)(300)에 탑재되는 제1커넥터(first connector)(100)와, 케이블(cable)(400)이 부착되는 제2커넥터(second connector)(20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400)은 예를 들면 동축세선(同軸細線 : coxial thin wire)으로서, 도2, 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호도체(信號導體)(410)와, 신호도체(410)를 덮는 절연체(絶緣體)(420)와, 접지도체(接地導體)(430)와, 절연성의 외피(外皮)(4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케이블(400)을 X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후에, 이들 접지도체에 공통의 도전체 부재(導電體 部材)(500)를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400)이 하나의 부품으로서 취급되고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제1커넥터(100)는, 복수의 신호 콘택트(信號 contact)(110)와, 신호 콘택트(110)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first housing)(120)과, 제1하우징(120)의 주부(主部)(124)를 부분적으로 덮는 셀(shell)(130)을 구비하고 있다. 제1하우징(120)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신호 콘택트(110) 및 셀(130)은, 몰드인법(mold-in-place method)에 의하여 제1하우징(120)의 형성과 함께 제1하우징(120)에 구비 및/또는 부착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각 신호 콘택트(110)는, 접촉부(接觸部)(제1접촉부)(112)와, 기판(300)에 납땜에 의하여 고정되는 피고정부(被固定部)(114)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1접촉부(112) 및 피고정부(114)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제1하우징(120)에 지지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하우징(120)의 주부(124)는 대략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신호 콘택트(110)를 X방향으로 나란하게 하여 지지하고 있다. 주부(124)의 Ⅹ방향의 양단에는 측부(側部)(122)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122)는 전벽부(前壁部)(압력인가부(壓力印加部))(122-1), 측벽부(側壁部)(122-2) 및 후벽부(後壁部)(122-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에 의하여 둘러싸인 오목부는 단부 리시버(end receiver)(122-4)로서 기능을 한다. 이 단부 리시버(122-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의 Ⅹ방향 단부가 수용된다. 여기에서 단부 리시버(122-4)의 크기는, 제2커넥터(200)의 Ⅹ방향 단부(단부 리시버(122-4)에 수용되는 부위)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커넥터(200)의 Ⅹ방향(제3방향) 단부가 단부 리시버(122-4)에 수용되었을 때에, 전벽부(122-1)는 제2커넥터(200)의 Ⅹ방향 단부의 이동을 Y방향(제2방향)에 있어서 제한함으로써 Y방향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200)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즉 단부 리시버(122-4) 특히 전벽부(122-1)는, Y방향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200)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位置制限部)(제1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2개의 측벽부(122-2)는, 제2커넥터(200)의 Ⅹ방향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X방향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200)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즉 단부 리시버(122-4)에 있어서 2개의 측벽부(122-2)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200)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제2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이들 2개의 위치제한 기능은, 후술하는 결합조작을 할 때에 도움이 된다.
도2,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주부(124)는, Z방향(제1방향)으로 높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지지부(支持部)(126)와, Y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지지부(126)에 지지된 돌출부(突出部)(12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126)는, 도5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YZ 평면 내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126)와 돌출부(128)에 의하여 대략 크랭크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126)는, 상대적으로 낮은 저부위(低部位)와 상대적으로 높은 고부위(高部位)의 2개의 부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126)의 저부위는 고부위와 비교하여 Y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저부위의 상면에는 셀(130)이 지지되어 있다. 이 저부위의 상면에 지지된 셀(130)은,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조작 초기 시에 있어서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에 기여하는 제1당접부(first abutment portion)(136)로서 기능을 한다.
도5를 참조하면 돌출부(128)는, Z방향에 있어서 2개의 면(128-1, 128-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접촉부(first contact portion)(112)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대략 U자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1하우징(120)은, 돌출부(128)의 양면(128-1, 128-2) 상에 제1접촉부(112)가 위치하도록 신호 콘택트(110)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접촉부(112)를 돌출부(128)의 상하면에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제1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한 후에도 전기검사를 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1접촉부(112)가 돌출부(128)의 일방의 면(128-1, 128-2) 상에만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돌출부(128)는 지지부(126)의 Z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Y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128)와 기판(300)의 사이(즉 돌출부(128)의 하방)에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이 공간은 수용부(收容部)(128-3)로서 기능을 한다. 수용부(128-3)의 일부가 파선으로 도면에 나타나 있다. 또 수용부(128-3)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1을 참조하면 셀(130)은, 신호 콘택트(110)에 있어서 제1접촉부(112)의 열(列)의 양단에 위치하는 셀 접속부(shell 接續部)(132)와, 제1하우징(120)의 측부(122)로부터 돌출되도록 피고정부(被固定部)(134)를 형성하고 있다. 피고정부(134)는 기판(300)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셀 접속부(132)는, 신호 콘택트(110)의 제1접촉부(112)와 마찬가지로 YZ 평면 내에 있어서 대략 U자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고, 제1하우징(120)의 돌출부(128) 상에 노출되어 있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제2커넥터(200)는, 신호 콘택트(제2콘택트)(210)와, 그라운드 콘택트(ground contact)(220)와, 이들을 지지하는 제2하우징(230)과, 어퍼 셀(upper shell)(260)과, 로어 셀(lower shell)(270)을 구비하고 있다. 제2하우징(230)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어퍼 셀(260) 및 로어 셀(270)은 제2하우징(230)의 상부 및 하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콘택트(210)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100)의 대응하는 제1접촉부(112)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212)(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신호 콘택트(210)는, 케이블(400)이 대응하는 신호도체(410)와 접속되는 접속부(接續部)(214)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400)은, 신호도체(410)가 절연체(420)로부터 제2접촉부(212)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접속부(214)에 접속되도록 제2커넥터(200)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넥터(200)를 저배화(低背化)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콘택트(220)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100)의 대응하는 셀 접속부(132)와 접촉되는 접촉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도2 및 도3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접촉부(212) 및 접촉부(222)는 모두 갈고랑이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100)의 돌출부(128) 상에 노출된 제1접촉부(112) 및 셀 접속부(132)를 Z방향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제1접촉부(112) 및 셀 접속부(132)의 접촉을 각각 도모하는 것이다. 또 제1커넥터(100)의 제1접촉부(112) 및 셀 접속부(132)가 돌출부(128)의 한 쪽의 면(128-1, 128-2) 상에만 노출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제2접촉부(212) 및 접촉부(222)는 제1접촉부(112) 및 셀 접속부(132)와 돌출부(128)를 Z방향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이 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하우징(230)은, 제1커넥터(100)의 돌출부(128)를 Z방향을 따라 가수용할 수 있는 가수용부(temporary receptacle portion)(232)와, Y방향에 있어서 가수용부(232)와 인접하게 형성된 리시버(receiver)(234)를 구비하고 있다. 리시버(234)는 가수용부(232)에 연결되어 있다. 또 리시버(234)의 일부는 파선으로 도면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신호 콘택트(210)는, 제2접촉부(212)의 적어도 일부를 리시버(234) 내에 노출시키도록 하여 제2하우징(230)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하우징(230)은, 신호 콘택트(210)와 그라운드 콘택트(220)를 정렬시켜서 지지하는 로케이터 부재(locator member)(240)와, 리시버(234)를 규정하는 공간규정부재(空間規定部材)(250)를 구비하고 있다. 로케이터 부재(240)와 공간규정부재(250)는 절연성이다. 상세하게는 신호 콘택트(210)와 그라운드 콘택트(220)는, 로케이터 부재(240)를 형성할 때에 몰드인에 의하여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콘택트(220)는 2개이고, 각각 X방향의 가장 단부(端部)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 콘택트(210)의 더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어퍼 셀(260)은, 공간규정부재(250)를 형성할 때에 몰드인에 의하여 공간규정부재(250)에 부착되어 있다. 제2하우징(230)은, 신호 콘택트(210) 및 그라운드 콘택트(220)가 구비된 로케이터 부재(240)와, 어퍼 셀(260)이 부착된 공간규정부재(250)를 조합시키고, 또한 용융(溶融)시켜서 일체화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또 로케이터 부재(240)를 공간규정부재(250)에 압입(壓入)함으로써 양자를 일체화 하여도 좋다.
도2, 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공간규정부재(250)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부(252)와, Z방향을 따라 주부(252)로부터 연장되는 벽부(壁部)(254)와, Y방향을 따라 벽부(254)로부터 연장되는 피수용부(256)를 구비하고 있다. 리시버(234)는 주부(252), 벽부(254) 및 피수용부(256)에 의하여 3개의 방향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규정되어 있고, 가수용부(232)는 주부(252) 하방의 공간이고 Y방향에 있어서 리시버(234)와 인접하는 공간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벽부(254)는 주부(252)의 Y방향의 단부로부터 Z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피수용부(256)는 그 벽부(254)의 Z방향의 단부로부터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주부(252), 벽부(254) 및 피수용부(256)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대략 ㄷ자 모양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다. 신호 콘택트(210)는, 이 대략 ㄷ자 모양의 단면으로 규정된 리시버(234) 내에 제2접촉부(212)의 일부를 돌출시키도록 하여 제2하우징(230)에 지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시버(234)와 제2접촉부(212)의 관계가 상기한 것이 되도록 로케이터 부재(240)와 공간규정부재(250)를 조합시키고 있다.
도5 및 도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로어 셀(270)의 일부는,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Z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제1당접부(136)와 접촉하여,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을 하는 제2당접부(272)로서 기능을 한다. 상세하게는, 제2당접부(272)와 제1당접부(136)는 서로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Z방향에 있어서의 제2접촉부(212)의 위치를 제1접촉부(112)와 대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당접부(136)와 제2당접부(272)는,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Z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Z방향에 있어서의 제2접촉부(212)의 위치를 제1접촉부(112)와 대응시키도록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당접부(136)와 제2당접부(272)에 의하여 위치결정이 이루어졌을 때에 제1커넥터(100)의 돌출부(128)가 제2커넥터(200)의 가수용부(232)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5 내지 도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제1당접부(136)는, Y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당접부(136)와 제2당접부(272)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즉 제2접촉부(212)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이 된 상태에 있어서) Y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제1당접부(136)는 제2당접부(272)를 Y방향을 따라 가이드 할 수도 있다. 이 가이드 기능에 의하여 Z방향에 있어서의 제2접촉부(212)와 제1접촉부(112)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접촉부(212)가 제1접촉부(112)에 접촉될 때까지 Y방향으로 제2접촉부(2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당접부(136)는, Z방향에 있어서 제2접촉부(212)가 위치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2커넥터(200)의 제1커넥터(100)에 대한 Y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을 제2접촉부(212)가 제1접촉부(112)에 접촉될 때까지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로서도 기능을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피수용부(256)가 수용부(128-3)에 수용되어, 돌출부(128)가 리시버(234)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제1커넥터(100)의 제1접촉부(112)와 제2커넥터(200)의 제2접촉부(212)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당접부(136)에 제2당접부(272)를 접촉시켜서 제2접촉부(212)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을 한 후(돌출부(128)를 가수용부(232)에 가수용한 후)에,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Y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돌출부(128)와 리시버(234)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관계나 피수용부(256)와 수용부(128-3)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관계를 걱정하지 않고, 리시버(234) 및 수용부(128-3) 내에 있어서 제1커넥터(100)의 제1접촉부(112)와 제2커넥터(200)의 제2접촉부(212)의 접촉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가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 제1당접부와 제2당접부는 본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Z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이동시켰을 때에 제2당접부가 제1당접부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제2접촉부(212)와 제1접촉부(112)가 Z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제1당접부 및 제2당접부는 다른 부위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제1하우징(120)의 측부(122)에 형성된 단부 리시버(122-4)의 내측 저면을 제1당접부로 하고, 제2커넥터(200)의 Ⅹ방향 양단의 부위(단부 리시버(122-4)에 수용되는 부위)의 하면을 제2당접부로 하여도 좋다. 이 예에 있어서는, 돌출부(128)의 가수용부(232)로의 가수용 시에 제2당접부가 제1당접부에 접촉되었을 때에, 돌출부(128)와 리시버(234)가 Z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있도록 제1당접부와 제2당접부의 크기·형상·위치 등이 결정된다.
제1당접부 및 제2당접부가 존재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접촉부(112) 및 제2접촉부(212)는, 돌출부(128)가 가수용부(232)에 가수용된 상태에 있어서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한편, 돌출부(128)가 리시버(234)에 수용되면 서로 접촉하도록 제1하우징(120) 및 제2하우징(230)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콘택트(110)와 제2콘택트(210)의 상호 마찰에 의한 불필요한 금속열화(金屬劣化)가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도1 및 도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230)을 구성하는 공간규정부재(250)의 Ⅹ방향 양단부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부에 록 부재(lock member)(280)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부(回轉部)(282)가 축지(軸支)되어 있다. 록 부재(280)는 대략 볼록한 형상이 되도록 금속막대를 절곡(折曲)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록 부재(280)의 회전부(282)는 X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출부(128)가 리시버(234)에 수용되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록 부재(280)를 회전시켜서 눕힘으로써 록 부재(280)의 가압부(加壓部)(284)를 측부(122)의 전벽부(압력인가부)(122-1)에 가압하고, 이에 따라 발생한 반력(反力)에 의하여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록 부재(280)는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로부터 제거하는 동작을 할 때에 조작부재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28)를 지지하는 지지부(126)는 YZ 평면에 있어서 대략 L자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출부(128)는 Z방향에 있어서 기판(300)과 대향(對向)하도록 형성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YZ 평면에 있어서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부(板部)(140)를 제1하우징(120)에 더 구비시키는 것으로 하고, 지지부(126)에는 판부(140)와 돌출부(128)를 Z방향에 있어서 이간(離間)하도록 하여 돌출부(128)를 지지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판부(140)와 돌출부(128)의 사이에 수용부(128-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출부(128)를 가수용부(232)에 가수용한 후에 돌출부(128)를 리시버(234) 내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제2커넥터(200)를 케이블(400)측을 향하여 빼도록 하여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돌출부나 리시버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2커넥터(200)를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돌출부를 리시버 내에 수용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커넥터(200)에 접속되는 케이블(400)로서 동축세선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를 FFC 또는 FPC(500)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FFC 또는 FPC(500)는,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신호도체(510)와 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도체(5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커넥터(200')는, 제2콘택트(210')와, 제2하우징(230')과, 로어 셀(270')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제2콘택트(210')는, 후단에 신호도체(510)와의 접속 스프링(接續 spring)(214')을 구비하고 있는 것 이외에 상기의 제2콘택트(210)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2콘택트(210')도 갈고랑이 모양의 타단(他端)을 구비하고 있고, 그 일부에는 제2접촉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230')은 제2콘택트(210')를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한 제2하우징(230)과 마찬가지로 리시버(234')를 구비하고 있다. 제2하우징(230')의 하측은 로어 셀(270')로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이 로어 셀(270')에는, FFC 또는 FPC(500)의 그라운드 도체(530)와 접속되는 접속 스프링(27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FFC 또는 FPC(500)를 제2커넥터(200)의 후단으로부터 삽입하면, FFC 또는 FPC(500)는 접속 스프링(214')과 접속 스프링(274')에 의하여 협지(挾持)되고, 이에 따라 FFC 또는 FPC(500)는 제2커넥터(200')에 지지된다. 이 때에 접속 스프링(214')과 접속 스프링(274')은 FFC 또는 FPC(500)의 신호도체(510)와 그라운드 도체(530)에 각각 접속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100)를 기판(300)에 탑재하여 고정하고, 제2커넥터(200)에 케이블(400)을 접속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의 쌍방도 기판에 탑재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하고, 기판 대 기판접속용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에 대하여 도11 내지 도13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Z방향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200)의 제1커넥터(100)에 대한 위치결정을 한 후에, 제2커넥터(200)로부터 케이블(400)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으로 제2커넥터(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커넥터(200)와 제1커넥터(100)를 결합시키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Z방향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200a)의 제1커넥터(100a)에 대한 위치결정을 한 후에, 제2커넥터(200a)로부터 케이블(400)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과는 반대방향(-Y방향)으로 제2커넥터(200a)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커넥터(200a)와 제1커넥터(100a)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11 내지 도13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한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100a)는, Z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대략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의 제1하우징(120a)과, 제1하우징(120a)에 지지된 제1콘택트(110a)를 구비하고 있다.
제1하우징(120a)은 개구부(開口部)(125a)를 구비하고 있다. 제1하우징(120a)의 후벽부(122a-3)는, 제2커넥터(200a)를 Z방향을 따라 제1커넥터(100a)에 대하여 이동시킬 때에 제2커넥터(200a)의 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제1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프레임 모양의 제1하우징(120a)의 측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a)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당접부(136a)로서 기능을 한다. 제1하우징(120a)의 전벽부는 지지부(126a)로서 기능을 하고 있고,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128a)를 지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28a)의 하방에는 수용부(128a-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28a)의 Ⅹ방향 양단 부근에는, Z방향으로 돌출된 피결합부(122a-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28a)의 표면에는, 제1콘택트(110a)의 제1접촉부(112a)가 노출되어 있다. 제1콘택트(110a)는, 제1커넥터(100a)가 탑재되는 기판 상의 배선패턴에 대하여 제1하우징(120a)의 개구부(125a) 내에서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2커넥터(200a)는, 절연성의 제2하우징(230a)과, 제2하우징(230a)에 지지된 제2콘택트(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제2하우징(230a)에 축지된 록 부재(280a)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400)은, 제2하우징(230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Y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2하우징(230a)에 지지되어 있다. 제2콘택트(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는 예를 들면 소리굽쇠(tuning fork)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그 후단부분을 케이블(400)에 접속하고 있다. 또 소리굽쇠 모양의 제2콘택트(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의 전단 부근에는, 제2접촉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형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230a)의 전단 부근은, X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대략 ㄷ자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대략 ㄷ자 모양의 부위의 하부는, 제1커넥터(100a)와 제2커넥터(200a)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하우징(120a)의 수용부(128a-3)에 수용되는 피수용부(256a)로서 기능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수용부(256a)는 전방(-Y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피수용부(256a)의 상방의 공간은, 결합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28a)를 수용하는 리시버(234a)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제2하우징(230a)의 Ⅹ방향 양단(양측부)에는, 제2당접부(27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당접부(272a)는 제2커넥터(200a)를 제1커넥터(100a)를 향하여 Z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제1하우징(120a)의 제1당접부(136a)와 접촉하는 부위이고, 이들의 접촉에 의하여 제1커넥터(100a)측의 제1접촉부(112a)와 제2커넥터(200a)측의 제2접촉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즉 제1당접부(136a)와 제2당접부(272a)는, 제2커넥터(200a)를 제1커넥터(100a)를 향하여 Z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제2접촉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의 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도12 및 도1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당접부(136a)와 제2당접부(272a)를 접촉시킨 후에 제1커넥터(100a)에 대하여 제2커넥터(200a)를 -Y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킬 때에는, 제2당접부(272a)가 제1당접부(136a) 상을 슬라이딩 하게 된다. 즉 제1당접부(136a)는, 제2커넥터(200a)를 제1커넥터(100a)에 대하여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그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로서도 기능을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록 부재(280a)는 금속막대를 절곡형성(折曲)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230a)에 축지되는 회전축(回轉軸)(282a)과, 회전축(282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하여 형성된 결합부(結合部)(284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결합부(284a)는, 제1커넥터(100a)와 제2커넥터(200a)의 결합상태에 있어서의 록 부재(280a)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제1커넥터(100a)의 피결합부(122a-1)에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2하우징(230a)의 저면에는, 하측(-Z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는, 제1당접부(136a)에 제2당접부(272a)를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당접부(136a)의 내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제1당접부(136a)의 내벽은, 제1당접부(136a)에 대하여 제2당접부(272a)를 접촉시켰을 때에 제2커넥터(200a)의 Ⅹ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제2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제2커넥터(200a)를 Z방향을 따라 제1커넥터(100a)까지 이동시켜서 제2당접부(272a)를 제1당접부(136a)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는 도12에 나타나 있다. 계속하여 제2당접부(272a)를 제1당접부(136a)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도록 하여 제2커넥터(200a)를 제1커넥터(100a)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커넥터(100a)와 제2커넥터(200a)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제2접촉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제1접촉부(112a)의 접촉을 도모한다. 그 후에 록 부재(280a)를 회전조작하여 결합부(284a)를 피결합부(122a-1)에 결합시킴으로써,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의 록을 도모한다. 이 때에 돌출부(128a)는 리시버(234a)에 수용되고, 피수용부(256a)는 수용부(128a-3)에 수용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도14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비티(cavity)(102b)를 규정하고 상자형의 외형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100b)와, 캐비티(102b) 내에 수용되어 제1커넥터(100b)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200b)를 구비하고 있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제1커넥터(100b)는, 제1콘택트(110b)와, 제1콘택트(110b)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120b)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콘택트(110b)는 제1접촉부(112b)와 피고정부(114b)를 구비한다. 제1하우징(120b)은 절연성을 구비한다.
제1하우징(120b)은 캐비티(102b)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두껍게 전벽부로서 형성된 지지부(126b)와, 지지부(126b)에 지지된 돌출부(128b)와, 2개의 측벽부(122b-2)와, 후벽부(122b-3)와, 저면으로서 형성된 제1당접부(136b)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28b)의 하방 즉 돌출부(128b) 및 지지부(126b)가 함께 접촉하는 부분에는, 수용부(128b-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128b-3) 내에 제1접촉부(112b)가 연장되도록 하여 제1콘택트(110b)는 지지부(126b)에 지지되어 있다. 돌출부(128b)의 단부(122b-1)는 Y방향에 있어서 후벽부(122b-3)와 대향하고 있고, 돌출부(128b)의 단부(122b-1)는 제2커넥터(200b)가 캐비티(102b) 내에 수용될 때에 제2커넥터(200b)의 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제1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2개의 측벽부(122b-2)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제2커넥터(200b)가 캐비티(102b) 내에 수용될 때에 제2커넥터(200b)의 Ⅹ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제2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제2커넥터(200b)는, 제2접촉부(212b)를 구비하는 제2콘택트(210b)와, 제2콘택트(210b)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230b)을 구비하고 있다. 제2하우징(230b)은 절연성을 구비한다.
제2하우징(230b)은 수용부(128b-3) 내에 수용되는 피수용부(256b)를 구비하고 있다. 도1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수용부(256b)의 상면은, 1단 내려간 단차부(段差部)(236b)로 되어 있고, 단차부(236b)와 제2하우징(230b)의 상부에 의하여 리시버(234b)가 형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230b)의 저면은, 캐비티(102b) 내에 제2커넥터(200b)를 수용하였을 때에 제1당접부(136b)와 접촉되는 제2당접부(272b)로서 기능을 한다. 제1하우징(120b) 및 제2하우징(230b)은, 제2당접부(272b)를 제1당접부(136b)에 접촉시켰을 때에 Z방향에 있어서 제2접촉부(212b)의 위치가 제1접촉부(112b)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당접부(136b)와 제2당접부(272b)는, 제2커넥터(200b)를 제1커넥터(100b)를 향하여 Z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제2접촉부(212b)의 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도16 및 도17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당접부(136b)와 제2당접부(272b)를 접촉시킨 후에, 제1커넥터(100b)에 대하여 제2커넥터(200b)를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제2당접부(272b)가 제1당접부(136b) 상을 슬라이딩 하게 된다. 즉 제1당접부(136b)는, 제2커넥터(200b)를 제1커넥터(100b)에 대하여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그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로서도 기능을 하고 있다.
도15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제2커넥터(200b)를 Z방향을 따라 제1커넥터(100b)까지 이동시켜서 제2당접부(272b)를 제1당접부(136b)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는 도16에 나타나 있다. 계속하여 제2당접부(272b)를 제1당접부(136b)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도록 하여 제2커넥터(200b)를 제1커넥터(100b)에 대하여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접촉부(212b)와 제1접촉부(112b)의 접촉을 도모하여 제1커넥터(100b)와 제2커넥터(200b)를 결합시킨다. 이 때에 돌출부(128b)는 리시버(234b)에 수용되고, 피수용부(256b)는 수용부(128b-3)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100b)는 기판에 탑재되는 것이고, 제1콘택트(110b)는 기판 상의 배선패턴에 접속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b')에 접속되는 대상물을 케이블(400)로 하여도 좋다. 제1커넥터(100b')는, 제1콘택트(110b')와, 제1콘택트(110b')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120b')을 구비하고 있고, 케이블(400)의 신호도체는 제1콘택트(110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b'')에 접속되는 대상물을 FFC 또는 FPC(500')로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FFC 또는 FPC(500')는 한 면 또는 양면 상에 신호도체를 구비하는 것이고, 제1커넥터(100b'')는, 제1콘택트(110b'')와, 제1콘택트(110b'')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120b'')을 구비하고 있다. 제1콘택트(110b'')는 FFC 또는 FPC(500')의 신호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5b)에 접속되는 대상물을 FFC 또는 FPC(500'')로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FFC 또는 FPC(500'')는 한 면 상에 신호도체를 구비하고, 또한 다른 면 상에 그라운드 도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예에 있어서는, FFC 또는 FPC(500'')의 상면에 그라운드 도체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신호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1커넥터(105b)는, 제1콘택트(115b)와, 제1콘택트(115b)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125b)과, 제1하우징(125b)에 일부 구비된 셀(135b)을 구비하고 있다. 제1콘택트(115b)는 FFC 또는 FPC(500'')의 신호도체에 접속되어 있고, 셀(135b)은 FFC 또는 FPC(500'')의 그라운드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도21 및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는 제1커넥터(100c) 및 제2커넥터(200c)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1커넥터(100c)는, 제3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100b)와 마찬가지로 캐비티(102c)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구조적으로는 제2커넥터(200c)도 캐비티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커넥터(100c)와 제2커넥터(200c)는, 일부를 상대방의 캐비티에 수용하도록 하여 서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100c) 및 제2커넥터(200c)의 각각으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특징적인 부위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1 및 도22를 참조하면 제1커넥터(100c)는, 제1접촉부(112c)를 구비하는 제1콘택트(110c)와, 제1콘택트(110c)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120c)을 구비하고 있다. 제1하우징(120c)은 절연성을 구비한다.
제1하우징(120c)은 캐비티(102c)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두껍게 전벽부로서 형성된 지지부(126c)와, 지지부(126c)에 지지된 돌출부(128c)와, 2개의 측벽부(122c-2)와, 후벽부(122c-3)와, 저면으로서 형성된 제1당접부(136c)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28c)의 하방 즉 돌출부(128c) 및 지지부(126c)가 함께 접촉하는 부분에는, 수용부(128c-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128c-3) 내에 제1접촉부(112c)가 연장되도록 하여 제1콘택트(110c)는 지지부(126c)에 지지되어 있다. 돌출부(128c)의 단부(122c-1)는 Y방향에 있어서 후벽부(122c-3)와 대향하고 있고, 돌출부(128c)의 단부(122c-1)는 제2커넥터(200c)의 일부(후술하는 피수용부(256c) 등)가 캐비티(102c) 내에 수용될 때에 제2커넥터(200c)의 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제1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2개의 측벽부(122c-2)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제2커넥터(200c)가 캐비티(102c) 내에 수용될 때에 제2커넥터(200c)의 Ⅹ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제2위치제한부)로서 기능을 한다.
도21 및 도22를 참조하면 제2커넥터(200c)는, 제2접촉부(212c)를 구비하는 제2콘택트(210c)와, 제2콘택트(210c)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230c)을 구비하고 있다. 제2하우징(230c)은 절연성을 구비한다.
제2하우징(230c)은 수용부(128c-3) 내에 수용되는 피수용부(256c)를 구비하고 있다. 제2하우징(230c)의 피수용부(256c)의 저면은, 캐비티(102c) 내에 제2커넥터(200c)를 수용하였을 때에 제1당접부(136c)와 접촉되는 제2당접부(272c)로서 기능을 한다. 제1하우징(120c) 및 제2하우징(230c)은, 제2당접부(272c)를 제1당접부(136c)에 접촉시켰을 때에 Z방향에 있어서 제2접촉부(212c)의 위치가 제1접촉부(112c)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당접부(136c)와 제2당접부(272c)는, 제2커넥터(200c)를 제1커넥터(100c)를 향하여 Z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제2접촉부(212c)의 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도23 및 도24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당접부(136c)와 제2당접부(272c)를 접촉시킨 후에, 제1커넥터(100c)에 대하여 제2커넥터(200c)를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제2당접부(272c)가 제1당접부(136c) 상을 슬라이딩 하게 된다. 즉 제1당접부(136c)는, 제2커넥터(200c)를 제1커넥터(100c)에 대하여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그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로서도 기능을 하고 있다.
도22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제2커넥터(200c)를 Z방향을 따라 제1커넥터(100c)까지 이동시켜서 제2당접부(272c)를 제1당접부(136c)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는 도23에 나타나 있다. 계속하여 제2당접부(272c)를 제1당접부(136c)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도록 하여 제2커넥터(200c)를 제1커넥터(100c)에 대하여 Y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접촉부(212c)와 제1접촉부(112c)의 접촉을 도모하여 제1커넥터(100c)와 제2커넥터(200c)를 결합시킨다. 이 때에 피수용부(256c)는 수용부(128c-3)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100c) 및 제2커넥터(200c)는 기판에 탑재되는 것이고, 제1콘택트(110c) 및 제2콘택트(210c)는 기판 상의 배선패턴에 접속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와 같이 제1커넥터(100c) 및 제2커넥터(200c)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을 동축 케이블이나 FFC/FPC 등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방향(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부와, 위치결정 후의 제2방향(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의 가이드를 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제2커넥터를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1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접촉부와 제1접촉부의 접촉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접속형 커넥터 조립체와 같은 회로기판으로의 스트레스(stress)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결정부에 의하여 제1방향(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제2접촉부의 제1접촉부에 대한 위치결정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그 후의 조작은 제2커넥터를 제2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시키는 것뿐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접속형 커넥터 조립체와 비교하여 결합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9년 7월 7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2009-161276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의 일부는 그 내용을 참조하였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5)

  1. 제1접촉부(first contact portion)를 구비하는 제1콘택트(first contact)와,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first housing)을 구비한 제1커넥터(first connector)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 가능한 제2커넥터(second connector)로서,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second contact portion)를 구비하는 제2콘택트(second contact)와,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second housing)을 구비한 제2커넥터(second connector)와,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접촉부의 위치를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시키도록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位置決定部)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가 위치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으로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을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할 때까지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移動 guide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접촉부의 위치결정을 할 때에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커넥터의 위치를 제한하는 제1위치제한부(第一位置制限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접촉부의 위치결정을 할 때에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커넥터의 위치를 제한하는 제2위치제한부(第二位置制限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2접촉부의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을 한 시점에서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한편,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상기 상대적인 이동을 하면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에 형성된 제1당접부(first abutment portion)와,
    상기 제2커넥터에 형성된 제2당접부(second abutment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당접부와 상기 제2당접부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접촉부의 위치가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상기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커넥터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당접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할 때에 상기 제2당접부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突出部)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함께 수용부(收容部)를 규정하는 지지부(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피수용부(被收容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피수용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제1접촉부를 상기 돌출부로부터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피수용부로부터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수용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의 접촉이 도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피수용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시버(receive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수용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시버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부(主部)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주부로부터 연장되는 벽부(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벽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주부와 상기 벽부와 상기 피수용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주부의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벽부의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주부, 상기 벽부 및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면 내에 있어서, ㄷ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는 절연성(絶緣性)의 로케이터 부재(locator member)와, 상기 리시버를 규정하는 절연성의 공간규정부재(空間規定部材)를 용융(溶融)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기판에 탑재되는 것이고,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피고정부(被固定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피고정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부(板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판부를 이간(離間)하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고 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2개의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2개의 면 상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2접촉부는, 갈고랑이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접촉부 또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접촉부와의 접촉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신호도체(信號導體)와 상기 신호도체를 커버하는 절연체(絶緣體)를 구비하는 케이블(cable)을 부착하는 것이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신호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부(接續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신호도체가 상기 절연체로부터 상기 제2접촉부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2커넥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단부(端部)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면 내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면 내에 있어서, L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回轉軸)과, 상기 회전축과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하여 형성된 가압부(加壓部)를 포함하는 록 부재(lock 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록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압력인가부(壓力印加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 부재는, 상기 가압부를 상기 압력인가부에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로부터 반력(反力)을 얻어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하여 형성된 결합부(結合部)를 포함하는 록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록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를 결합하는 피결합부(被結合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를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하여 록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4. 청구항1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1커넥터.
  25. 청구항1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
KR1020100060487A 2009-07-07 2010-06-25 커넥터 조립체 KR101161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1276A JP4792517B2 (ja) 2009-07-07 2009-07-07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09-161276 2009-07-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185A Division KR101277048B1 (ko) 2009-07-07 2012-05-02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09A true KR20110005209A (ko) 2011-01-17
KR101161199B1 KR101161199B1 (ko) 2012-07-02

Family

ID=434278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87A KR101161199B1 (ko) 2009-07-07 2010-06-25 커넥터 조립체
KR1020120046185A KR101277048B1 (ko) 2009-07-07 2012-05-02 커넥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185A KR101277048B1 (ko) 2009-07-07 2012-05-02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7122B2 (ko)
JP (1) JP4792517B2 (ko)
KR (2) KR101161199B1 (ko)
CN (1) CN101944679B (ko)
TW (1) TWI4708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4678887B2 (ja) * 2009-01-22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704477B2 (ja) *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530278B2 (ja) * 2010-03-30 2014-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JP5090502B2 (ja) * 2010-06-30 2012-1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182334B2 (ja) * 2010-08-02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13349B2 (ja)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US8608512B2 (en) * 2011-04-18 2013-12-17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able connector
US20130069450A1 (en) 2011-09-16 2013-03-21 Persimmon Technologies, Corp. Robot Drive With Passive Rotor
KR102578140B1 (ko) 2011-09-16 2023-09-14 퍼시몬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로봇 구동부 및 무선 데이터 커플링
US20130090018A1 (en) * 2011-10-06 2013-04-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ble connector
TW201334307A (zh) * 2012-02-07 2013-08-16 jia-xin Wang 電連接器之改良構造
JP5724993B2 (ja) * 2012-11-22 2015-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ネクタ装置
JP5695692B2 (ja) * 2013-04-05 2015-04-08 リズム協伸株式会社 表面実装用基板接続端子
CN103247913A (zh) * 2013-04-25 2013-08-14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快扣式板对板连接器组件
US9112302B2 (en) * 2013-05-02 2015-08-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TWI489697B (zh) * 2013-08-09 2015-06-21 Wistron Corp 線對板連接器組合及其板端連接器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5716933B2 (ja) 2013-10-04 2015-05-13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US9306325B2 (en) * 2014-03-18 2016-04-05 Cho-Yao Cheng Plug, socket and their 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US9337573B2 (en) * 2014-07-01 2016-05-1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jumper element assembled thereon
TWI628875B (zh) * 2017-08-16 2018-07-0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連接器元件及其電連接器
CN107611671B (zh) * 2017-08-23 2019-1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US10680388B2 (en) * 2018-03-16 2020-06-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luggable module for a communication system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TWM584038U (zh) * 2019-03-27 2019-09-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JP7404142B2 (ja) * 2020-04-17 2023-1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I840206B (zh) * 2023-04-27 2024-04-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組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813A (ja) * 1994-12-07 1996-06-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8163812A (ja) * 1994-12-07 1996-06-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構造
JP3232239B2 (ja) * 1996-04-26 2001-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880959B2 (ja) * 1996-08-09 1999-04-12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
US6217363B1 (en) * 1998-06-26 2001-04-17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Connector and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JP2000306633A (ja) * 1999-04-22 2000-11-02 Yazaki Corp コネクタ接続構造
JP2001307823A (ja) * 2000-04-21 2001-11-02 Yazaki Corp 車載用電装品の取付構造
JP3960259B2 (ja) * 2003-04-30 2007-08-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4286279B2 (ja) * 2006-10-31 2009-06-2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装置
JP2008140555A (ja) 2006-11-30 2008-06-19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5023777B2 (ja) 2007-04-09 2012-09-12 第一精工株式会社 垂直嵌合型電気コネクタ
JP4522440B2 (ja) * 2007-07-26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JP4364265B2 (ja) * 2007-07-26 2009-1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0878B (zh) 2015-01-21
JP2011018488A (ja) 2011-01-27
JP4792517B2 (ja) 2011-10-12
TW201110477A (en) 2011-03-16
US7927122B2 (en) 2011-04-19
CN101944679B (zh) 2013-03-27
KR101277048B1 (ko) 2013-06-20
KR101161199B1 (ko) 2012-07-02
CN101944679A (zh) 2011-01-12
KR20120052919A (ko) 2012-05-24
US20110008975A1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199B1 (ko) 커넥터 조립체
US10601181B2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US7997922B2 (en) Vertical connector guide with press arm
US7303438B2 (en) Plug connector with mating protection and alignment means
US10243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968005B2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US20080085633A1 (en) Plug connector with mating protection
JP2019106368A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7115575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20103628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8851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0087709A (ja) コネクタ
CN103078209B (zh) 连接器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CN218770214U (zh) 电连接器
JP5408433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CA2274172A1 (en)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JP2022066929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460293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cpa付き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4727430B2 (ja) コネクタ
JP2010257942A (ja) 電気コネクタ
JP2023170503A (ja) Cpa取付け構造、cpa付き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14843830A (zh) 电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