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93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93A
KR20110004793A KR1020100065204A KR20100065204A KR20110004793A KR 20110004793 A KR20110004793 A KR 20110004793A KR 1020100065204 A KR1020100065204 A KR 1020100065204A KR 20100065204 A KR20100065204 A KR 20100065204A KR 20110004793 A KR20110004793 A KR 2011000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main
seal
dishwash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315B1 (ko
Inventor
가즈나리 시모무라
마사히로 이타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0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세정조에 마련된 상부 고정 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해서 개방하는 상부 도어 본체와, 세정조에 마련된 하부 고정 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해서 개방하는 하부 도어 본체와, 상부 도어 본체와 하부 도어 본체를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세정조와, 상부 도어 본체 및 하부 도어 본체에 의해 끼워지고, 개구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시일 부재를, 개구부의 상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상부 시일부와, 양측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측부 시일부와, 코너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모서리 시일부를 일체로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시일 부재의 상부, 모서리부, 측부의 사이의 접합부가 없고, 누수나 증기 누설이 억제되고, 시일 성능이 뛰어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등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도 6 및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식기 세척기 본체(103)는 내부에 세정조(107)를 갖는다. 세정조(107)는 내부에 식기 바구니(108)를 갖는다. 식기 세척기 본체(103)의 하부에는 도어 축(102)을 중심으로 해서, 도어 본체(101)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어 본체(101)는 식기 세척기 본체(103)의 전면 개구부를 덮는다. 도어 본체(101)는 상부에 손잡이부(104)와, 스위치(105)에 의해 해제되는 로크 수단(106)을 갖는다. 도어 본체(101)는 로크 수단(106)에 의해, 폐쇄(닫힌 것을 의미한다)된 상태가 유지된다.
로크 수단(106)은 식기 세척기의 운전 동작의 입력 기능과 연동한다. 이것에 의해, 식기 세척기는 도어 본체(101)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경우는 운전하지 않는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운전 도중에 도어 본체(101)가 개방(열린 것을 의미한다)되었을 경우는 운전이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는 식기 세척기의 기외로 사출되지 않는다.
식기 세척기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위치(105)에 의해 로크 수단(106)을 해제하고, 그 후 손잡이부(104)를 가져서 도어 본체(101)를 개방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 본체(103)의 내부의 세정조(107)에 설치된 식기 바구니(108)에 더럽혀진 식기류(110)를 세트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어 본체(101)를 폐쇄하고, 로크 수단(106)을 동작시켜서, 도시하지 않은 운전 스위치를 온하는 것에 의해 운전을 개시한다. 운전이 개시되면,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107)의 저부에 배치된 히터(109)에 의해 세정수를 가열한다. 그 후, 식기 세척기는 세정 노즐(111)로부터 식기류(110)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한다. 이것에 의해, 식기류(110)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정 스텝이 행하여진다. 그 후, 식기 세척기는 식기류(110)를 헹군 후, 식기류(110)를 건조하는 건조 스텝을 행하고, 운전을 종료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는, 식기 세척기의 전방에, 도어 본체(101)를 개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키친의 개수대에 대하여, 식기 세척기를 횡방향으로 설치할 수 없다. 또한, 키친의 개수대에 대하여, 식기 세척기를 전방향으로 설치한 경우는, 개방된 도어 본체(101)가 사용자의 통행을 방해한다. 또한, 식기 세척기를 전방향으로 설치한 경우는, 개수대의 더럽혀진 식기류(110)와 식기 세척기와의 거리가, 횡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 비교해서 길게 된다. 이 때문에, 식기류(110)를 식기 세척기에 세트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식기류(110)를 세트할 때에, 더러움이 밑바닥에 떨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개선하는 식기 세척기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2-272662 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의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식기 세척기 본체(112)는 상부 도어 본체(113)와 하부 도어 본체(114)를 갖는다. 상부 도어 본체(113)와 하부 도어 본체(114)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세정조(115)의 개구부(116)를 개폐한다. 상부 도어 본체(113)와 하부 도어 본체(114)는 연동 링크(117)에 의해 연결된다. 이 때문에, 하부 도어 본체(114)의 손걸이부(118)를 가져서 하부 도어 본체(114)를 폐쇄하면, 동시에 상부 도어 본체(113)도 폐쇄된다. 이 구성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1개 도어의 식기 세척기에 비교하여, 도어 본체를 폐쇄할 때에 필요로 되는 공간이 적다.
여기에서, 도 7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시일(seal)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정조(115)의 개구부(116)의 측부에는, 하부 도어 본체(114)의 측부, 및 상부 도어 본체(113)의 측부와 세정조(115)의 측부를 수밀로 시일하기 위한 측부 시일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16)의 상부에는, 상부 도어 본체(113)의 상부와 세정조(115)의 상부를 수밀로 시일하기 위한 상부 시일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하부 도어 본체(114)의 측부 및 상부 도어 본체(113)의 측부에는 각각 측부 시일 부재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또한, 상부 도어 본체(113)의 상부에는 상부 시일 부재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하부 도어 본체(114)는 하부 고정 축(119)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하부 도어 본체(114)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하부 도어 본체(114)의 측부의 압압부는, 측부 시일 부재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압압한다. 상부 도어 본체(113) 및 하부 도어 본체(114)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상부 도어 본체(113)의 측부의 압압부와 하부 도어 본체(114)의 측부의 압압부는 대략 동일면으로 된다. 상부 도어 본체(113)의 측부의 압압부도 측부 시일 부재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압압한다.
한편, 상부 도어 본체(113)는 상부 고정 축(120)을 중심으로 도 7의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궤적을 그려서 회동한다. 따라서, 상부 도어 본체(113)의 상부의 압압부는 상부 시일 부재를 대략 연직 방향으로 압압한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 상부 도어 본체(113)는, 세정조(115)의 개구부(116)의 상부와 측부로서, 시일 부재에 대한 압압 방향(즉, 시일 방향)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상부 시일 부재와 측부 시일 부재는 상이한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부 시일 부재와 측부 시일 부재가 상이한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양자의 접합 부분에서 시일면이 도중에 끊어진다. 이 결과, 시일면이 도중에 끊어진 접합 부분에 있어서, 물이나 증기가 누설되기 쉽게 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부 도어 본체(113)의 상부의 압압부와 측부의 압압부와의 접속 부분에 단차가 있어, 매끈매끈하지 않을 경우는, 접속 부분에 있어서 시일이 약하다. 이 때문에, 물이나 증기가 누설되기 쉽다.
본 발명은 도어 본체와 세정조의 개구부와의 시일 성능이 뛰어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에 마련된 상부 고정 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해서 개방하는 상부 도어 본체와, 세정조에 마련된 하부 고정 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해서 폐쇄하는 하부 도어 본체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는, 상부 도어 본체와 하부 도어 본체를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와, 상부 도어 본체 및 하부 도어 본체에 의해 끼워지고, 개구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는, 시일 부재를 개구부의 상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상부 시일부와, 개구부의 양측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측부 시일부와, 개구부의 코너부를 수밀로 수일하는 모서리 시일부를 일체로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시일 부재의 상부, 모서리부, 측부의 사이의 접합부가 없고, 누수나 증기 누설이 억제된다. 따라서, 시일 성능이 뛰어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본체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본체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의 시일 부재의 시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 상부 도어 본체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2점쇄선 부분의 확대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도어 본체의 정면도,
도 4d는 도 4c의 A-A선에 있어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도어 본체의 회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도어 본체의 회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도어 본체의 회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일부 단면 구성도,
도 7은 종래의 다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의 도어 본체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의 도어 본체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식기 세척기를 옆으로부터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식기 세척기의 정면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본 경우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좌우는 각각 식기 세척기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를 말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1)는 내부에 세정조(2)를 갖는다. 세정조(2)의 개구부(3)는 상측의 도어 본체인 상부 도어 본체(4)와, 하측의 도어 본체인 하부 도어 본체(5)에 의해 개폐된다. 상부 도어 본체(4)는 상부 지지 부재(6)를 거쳐서, 상부 고정 축(7)에 의해, 기반 부재(8)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한, 하부 도어 본체(5)는 하부 지지 부재(9)를 거쳐서, 하부 고정 축(10)에 의해, 기반 부재(8)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한, 상부 지지 부재(6)와 하부 지지 부재(9)는 연동부인 연동 링크(11)에 의해 연동해서 동작된다. 연동 링크(11)는 상부 링크 축(12) 및 하부 링크 축(13)에 의해, 각각 상부 지지 부재(6) 및 하부 지지 부재(9)에 축지지된다. 또한, 기반 부재(8), 상부 지지 부재(6), 하부 지지 부재(9)는 각각 세정조(2)의 외부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다.
하부 도어 본체(5)는 하부 도어 본체(5)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lock)부(15)와, 로크부(15)와 연동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14)를 갖는다. 세정조(2)에는, 로크부(15)와 끼워맞춰지는 갈고리부(16)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부(15)는, 누름 버튼 스위치(1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갈고리부(16)와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로크부(15)는 로크부 검지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로크부 검지 장치는 로크부(15)가 갈고리부(16)와 끼워맞춰져 있는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로크부 검지 장치에 의한 검지 결과는 식기 세척기의 운전 동작의 입력 기능과 연동한다. 예를 들면, 하부 도어 본체(5)가 완전히는 폐쇄되지 않은 경우, 즉 로크부 검지 장치가 로크부(15)의 끼워맞춤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는, 운전 스위치가 온(on)되어도 식기 세척기는 운전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의 시일 부재의 시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식기 세척기 상부 도어 본체(4)의 우측 상부 부분을 수평으로 절단하고, 위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좌측이 식기 세척기의 정면이고, 하측이 식기 세척기의 우측면이다.
세정조(2)의 개구부(3)에는,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와 세정조(2)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 부재(17)가 장착된다. 시일 부재(17)는 탄성을 갖는다. 또한, 시일 부재(17)는, 개구부(3)의 상부 및 개구부(3)의 측부를 시일하는 부분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된다. 시일 부재(17)의, 개구부(3)의 측부를 시일하는 부분이 측부 시일부(17a)이고, 개구부(3)의 상부를 시일하는 부분이 상부 시일부(17b)이다.
하부 도어 본체(5)의 측부에는, 시일 부재(17)의 측부 시일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압압하는 압압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도어 본체(4)의 측부에는, 시일 부재(17)의 측부 시일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압압하는 제 1 압압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압압부(18)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면(18a)을 갖는다. 이 제 1 압압부(18)의 평면(18a)은 상부 도어 본체(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식기 세척기 본체(1)의 후방으로 향한다. 이 제 1 압압부(18)의 평면(18a)에 의해 시일 부재(17)의 측부 시일부가 압압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부 도어 본체(4)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4a는 상부 도어 본체(4)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2점쇄선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c는 상부 도어 본체(4)의 정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의 4D-4D 선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는 상부 도어 본체(4)를 세정조(2)의 옆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본체(4)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우측면부(4a), 상측면부(4c), 하측면부(4d)는 각각 도 2에 도시하는 우측면부(4a), 상측면부(4c), 하측면부(4d)이다. 또한, 좌측면부(4b)는 도 2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부 도어 본체(4)의 상부에는, 시일 부재(17)의 상부 시일부를 대략 연직 방향으로 압압하는 제 2 압압부(19)(도 4a)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압압부(19)는 식기 세척기 본체(1)의 폭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면(19a)을 갖는다. 이 제 2 압압부(19)의 평면(19a)은 상부 도어 본체(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향한다. 이 제 2 압압부(19)의 평면(19a)에 의해, 시일 부재(17)의 상부 시일부가 압압된다.
상부 도어 본체(4)의 세정조(2)의 옆의 상부의 코너에는, 제 3 압압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제 3 압압부(20)는 제 1 압압부(18)와 제 2 압압부(19)를 매끄럽게 접속한다. 또한, 제 3 압압부(20)는 시일 부재(17)의 코너부, 즉 상부 시일부와 측부 시일부를 접속하는 모서리 시일부를 압압한다. 따라서, 제 3 압압부(20)의 평면은 후방으로 향한 제 1 압압부(18)의 평면(18a)과 하방으로 향한 제 2 압압부(19)의 평면(19a)을 연결하기 위해서, 비틀어진 곡면으로 구성된다. 이 비틀어진 곡면에 의해, 제 1 압압부(18)와 제 2 압압부(19)가 단차 없이 접속된다. 여기에서, 시일 부재(17)의 상부 시일부(17b), 측부 시일부(17a), 모서리 시일부는 이음매 없이 일체로 구성된다. 즉, 제 1 압압부(18), 제 2 압압부(19), 제 3 압압부(20)의 각 압압부의 평면은 각각 상부 도어 본체(4)의 폐쇄에 따라 압압 방향으로 향한다. 이것에 의해, 시일 부재(17)가 전체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압압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링크(11)에는, 제 1 보지부(21)와 제 2 보지부(22)가 마련된다. 제 1 보지부(21)는 기반 부재(8)와 제 1 스프링(23)(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스프링(23)은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를 개방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한편, 제 1 스프링(23)은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를 폐쇄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또한, 제 2 보지부(22)는 상부 지지 부재(6)와 제 2 스프링(24)(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제 2 스프링(24)은 상부 도어 본체(4)를 항상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제 1 스프링(23)과 제 2 스프링(24)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와 하부 도어 본체(5)가 연동해서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까지 개방한다.
또한, 기반 부재(8)에는, 상부 지지 부재(6)와 미끄럼 운동하는 미끄럼 운동 부재(25)가 축(25a)에 의해 축지지된다. 미끄럼 운동 부재(25)는 제 3 스프링(26)에 의해 상부 지지 부재(6)와의 미끄럼 운동면(6a)에 부하를 가한다.
또한, 상부 지지 부재(6)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폐쇄시 접촉부(27) 및 개방시 접촉부(28)가 마련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본체(4)의 폐쇄 상태에서는, 미끄럼 운동 부재(25)는 폐쇄시 접촉부(27)와 접촉한다. 또한, 미끄럼 운동 부재(25)는 상부 도어 본체(4)의 개폐 도중 및 도 2에 도시하는 개방 상태에서는, 개방시 접촉부(28)와 접촉한다. 또한, 상부 고정 축(7)과 상부 링크 축(12)과의 사이에는, 제 2 스프링(24)을 보지하기 위한, 스프링 보지부(29)가 마련된다.
또한, 상부 링크 축(12)을 보지하는 축 보지부(30)는 연동 링크(11)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의 긴 구멍 형상을 갖는다. 축 보지부(30)의 긴 구멍 형상은, 상부 도어 본체(4)가 폐쇄 상태에서의 상부 링크 축(12)의 위치보다 적어도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이 긴 구멍 형상에 의해, 링크 기구의 편차가 흡수되어,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가 확실하게 폐쇄된다.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는 각각 상부 지지 부재(6) 및 하부 지지 부재(9)에 의해, 상하로 회동해서 개폐한다. 상부 도어 본체(4)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될 때에, 상부 고정 축(7)의 회동에 의해, 대략 수평 상태 또는 대략 수평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 본체(4)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조금 내려간 상태로 될 때까지 상방으로 회동한다. 또한, 하부 도어 본체(5)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될 때에, 하부 고정 축(10)의 회동에 의해, 대략 수평 상태로 될 때까지 하방으로 회동한다.
하부 도어 본체(5)는 하부 고정 축(10)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폐쇄 상태에 있어서, 하부 도어 본체(5)의 측부의 압압부는 시일 부재(17)의 측부 시일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압압한다.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하부 도어 본체(5)의 측부의 압압부 및 상부 도어 본체(4)의 측부의 압압부(즉, 제 1 압압부(18))는 대략 동일면으로 된다. 따라서, 상부 도어 본체(4)의 제 1 압압부(18)도 하부 도어 본체(5)의 측부의 압압부와 마찬가지로, 시일 부재(17)의 측부 시일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압압한다.
또한, 상부 도어 본체(4)는 상부 고정 축(7)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상부 도어 본체(4)가 회동하고,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모두 식기 세척기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도 5a, 도 5b 및 도 5c의 순으로 상부 도어 본체(4)가 폐쇄된다. 상부 도어 본체(4)는 회동하기 위해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본체(4)의 상부의 압압부(즉, 제 2 압압부(19))는 시일 부재(17)를 대략 연직 하방향으로 압압한다. 즉, 상부 도어 본체(4)의 제 1 압압부(18)와 제 2 압압부(19)에서는, 시일 부재(17)를 압압하는 방향(즉, 시일 방향)이 상이하다.
상부 도어 본체(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 1 압압부(19)는 시일 부재(17)의 상부 시일부를 대략 연직 하방향으로 압압한다. 한편, 제 2 압압부(18)는 시일 부재(17)의 측부 시일부를 수평 방향에서, 또한 식기 세척기 본체(1)의 후방의 방향으로 압압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압압부(18)와 제 2 압압부(19)는 제 3 압압부(20)를 거쳐서 미끄러지게 접속된다. 또한, 제 3 압압부(20)는 비틀어진 곡면으로 구성된다. 제 3 압압부(20)로 의해, 시일 부재(17)가 압압되는 방향이 서서히 변하게 할 수 있다. 즉, 상부 도어 본체(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략 연직 하방향을 향하는 평면인 제 1 압압부(18)와, 수평 방향에서 식기 세척기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평면인 제 2 압압부(19)를, 비틀어진 곡면으로 구성되는 제 3 압압부(20)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압압하는 면이 각각 압압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이 때문에, 상부 시일부와 측부 시일부와 모서리 시일부를 일체로 구성한 시일 부재(17)와, 상부 도어 본체(4)의 수밀성이 향상한다.
제 1 압압부(18)와 제 2 압압부(19)의 접속이 단차 없이 구성되기 때문에, 당해 부의 시일이 약해져 누수나 증기 누설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개구부(3)의, 상부를 시일하는 상부 시일부와, 측부를 시일하는 측부 시일부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당해 부의 시일 부재에 접속부가 존재하지 않고, 시일이 약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시일 부재(17)는 제 1, 제 2, 제 3 압압부(18, 19, 20)에 의해,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압압된다. 또한, 시일 부재(17)가 압압되는 부분은 단면 대략 원형의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에 의해, 압압되는 방향이 변화되어도, 수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시일 부재(17)는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직압 방식으로 제조할 경우에 비교해서, 시일 부재의 제조에 드는 비용이 억제된다. 이 결과, 저렴한 식기 세척기가 된다. 한편,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된 시일 부재(17)를 세정조(2)의 개구부(3)에 장착한 경우, 개구부(3)의 상부 코너부의 둘러치는 반경은 크게 설정한다(예를 들면, R80 정도). 이것에 의해, 개구부(3)의 상부 코너부에서 시일 부재(17)가 찌부러져서 변형하는 것에 의한, 시일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개방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부 도어 본체(5)에 마련된 누름 버튼 스위치(14)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로크부(15)가 해제된다. 그 후, 제 1 스프링(23)과 제 2 스프링(24)에 의해 개방측으로 부세된 연동 링크(11)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와 하부 도어 본체(5)가 연동해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상부 도어 본체(4) 또는 하부 도어 본체(5)를 잡아서 개방할 필요가 없다. 상부 도어 본체(4)와 하부 도어 본체(5)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까지 연동해서 자동적으로 개방한다. 또한, 제 1 스프링(23)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개방 동작 도중에 폐쇄 방향으로 힘이 부세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가 개방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상부 지지 부재(6)에 마련된 폐쇄시 접촉부(27)는 제 3 스프링(26)에 부세된 미끄럼 운동 부재(25)에 의해 폐쇄측으로 힘이 부가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개방 속도가 늦어진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의 운전 도중에 사용자가 누름 버튼 스위치(14)를 동작시킨 경우이라도, 로크부(15)의 해제와 동시에 상부 도어 본체(4)와 하부 도어 본체(5)가 갑자기 개방되는 일은 없고, 식기 세척기 본체(1)의 외부로의 세정수의 분출이 방지된다.
또한, 개방시 접촉부(28)와, 제 3 스프링(26)에 부세된 미끄럼 운동 부재(25)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개방 속도가 감속된다. 또한,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가 개방될 때의 충격력이 완화되는 동시에, 하부 도어 본체(4)의 충격에 의한 리바운드가 방지된다.
또한, 미끄럼 운동 부재(25)를, 상부 지지 부재(6) 및 하부 지지 부재(9)가 설치된 기반 부재(8)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부 지지 부재(6) 및 하부 지지 부재(9)의 설치 위치의 오차, 및 상부 지지 부재(6) 및 미끄럼 운동 부재(25)의 설치 위치의 오차가 가공 오차만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개방 속도 및 개방시의 충격력의 편차가 작아진다. 또한, 식기 세척기 조립후의 상부 도어 본체(4) 및 하부 도어 본체(5)의 동작이 안정된다.
또한, 상부 도어 본체(4)의 폐쇄가 종료하는 부근에 있어서는, 상부 고정 축(7) 및 스프링 보지부(29)에 대하여, 제 2 스프링(24)에 의해, 상부 도어 본체(4)를 폐쇄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모멘트력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긴 구멍 형상인 축 보지부(30)에 있어서, 상부 링크 축(12)의 위치가, 상부 도어 본체(4)의 폐쇄 상태에서의 위치로 된다. 이 결과, 링크 구성의 치수 편차에 의한, 상부 도어 본체(4)와 하부 도어 본체(5)의 연동 불량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부 도어 본체(4)와 하부 도어 본체(5)와의 개폐 조작이 원활하게 되는 동시에, 안정한 시일성이 확보된다.

Claims (3)

  1. 식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에 마련된 상부 고정 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해서 개방하는 상부 도어 본체와,
    상기 세정조에 마련된 하부 고정 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해서 개방하는 하부 도어 본체와,
    상기 상부 도어 본체와 상기 하부 도어 본체를 연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세정조와, 상기 상부 도어 본체 및 상기 하부 도어 본체에 의해 끼워지고, 상기 개구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상부 시일부와, 상기 개구부의 양측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측부 시일부와, 상기 개구부의 코너부를 수밀로 시일하는 모서리 시일부를 일체로 구성한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 본체는, 상기 측부 시일부를 압압하는 제 1 압압부와, 상기 상부 시일부를 압압하는 제 2 압압부와, 상기 모서리 시일부를 압압하는 제 3 압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압압부는 식기 세척기의 후방으로 향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압압부는 연직 하향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압압부는 상기 제 1 압압부와 상기 제 2 압압부를 접속하는 비틀어진 곡면으로 형성된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된
    식기 세척기.
KR1020100065204A 2009-07-08 2010-07-07 식기 세척기 KR101217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1335 2009-07-08
JP2009161335A JP4893785B2 (ja) 2009-07-08 2009-07-08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93A true KR20110004793A (ko) 2011-01-14
KR101217315B1 KR101217315B1 (ko) 2012-12-31

Family

ID=4345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204A KR101217315B1 (ko) 2009-07-08 2010-07-07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93785B2 (ko)
KR (1) KR101217315B1 (ko)
CN (1) CN101947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2926B2 (en) 2011-11-23 2016-10-11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of a dishwasher
US10004379B2 (en) 2011-11-23 2018-06-2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ransforming door
US9101258B2 (en) 2013-04-16 2015-08-11 Whirlpool Corporation Multiple compartment dishwasher with interior and exterior closure elements
CN212307758U (zh) * 2020-04-21 2021-01-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N112426115A (zh) * 2020-11-10 2021-03-02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对开门洗碗机
CN115487325A (zh) * 2022-09-27 2022-12-20 轻工业杭州机电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蒸汽杀菌的无菌传递窗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288B2 (ja) * 1979-03-14 1984-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DE3541777C2 (de) * 1985-11-26 1993-11-11 Bosch Siemens Hausgeraete Frontseitig beschickbare Geschirrspülmaschine
JP3338284B2 (ja) * 1996-03-26 2002-10-28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浄機に適用されるシール構造
DE19933700A1 (de) * 1999-07-19 2001-01-2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Geschirrspülmaschine
CN1257697C (zh) * 2000-01-31 2006-05-31 三洋电机株式会社 洗碗机
JP3494117B2 (ja) * 2000-03-31 2004-0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494150B2 (ja) * 2001-01-25 2004-0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465693B2 (ja) * 2001-04-09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05177281A (ja) * 2003-12-22 2005-07-07 Rinnai Corp 食器洗浄機におけるパッキンの取付け構造
JP4561681B2 (ja) * 2006-04-14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ITTO20070578A1 (it) * 2007-08-02 2009-02-03 Premark Feg Llc Dispositivo di sigillatura a tenuta d'acqua per una porta di una macchina lavastoviglie a carica frontale e macchina lavastoviglie includente tale dispositiv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315B1 (ko) 2012-12-31
CN101947093A (zh) 2011-01-19
JP4893785B2 (ja) 2012-03-07
JP2011015767A (ja) 2011-01-27
CN101947093B (zh)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315B1 (ko) 식기 세척기
KR20070039545A (ko) 모듈식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US7918943B2 (en) Dish washer
KR101051508B1 (ko) 식기 세척기
WO2011093048A1 (ja) 食器洗い機
JP2006263174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扉の開閉検知装置
JP2007196005A (ja) 食器洗い機
JP4761572B2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4273505B2 (ja) 食器洗浄機
JP2002143072A (ja) 食器洗い機
JP5578135B2 (ja) 食器洗い機
JP5141697B2 (ja) 食器洗い機
KR101290506B1 (ko) 식기 세척기
JP4356500B2 (ja) 食器洗い機
KR102334623B1 (ko) 식기 세척기
JP4480934B2 (ja) 食器洗い機
JP2013158513A (ja) 食器洗い機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JP4165557B2 (ja) 食器洗い機
JP2001275913A (ja) 食器洗い機
JP3781003B2 (ja) 食器洗い機
JP2003093309A (ja) 食器洗浄機
JP2001275916A (ja) 食器洗い機
JP2001275912A (ja) 食器洗い機
JP2022126081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