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703U - 주차블록 - Google Patents

주차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703U
KR20110002703U KR2020090011915U KR20090011915U KR20110002703U KR 20110002703 U KR20110002703 U KR 20110002703U KR 2020090011915 U KR2020090011915 U KR 2020090011915U KR 20090011915 U KR20090011915 U KR 20090011915U KR 20110002703 U KR20110002703 U KR 201100027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rking
parking block
anchor bolt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725Y1 (ko
Inventor
오치명
Original Assignee
오치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치명 filed Critical 오치명
Priority to KR2020090011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2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블록을 주차장의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주차블록을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충격에 의한 파손이 없게 한 주차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단이 개구되는 중공(中空) 구조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 모서리부를 따라 라운드부를 이루게 설치된 금속재질의 철선 혹은 고무재질의 패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가 설치된 본체의 양단 개구를 통해 주차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상기 본체를 고정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는 관통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반대측에는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과 장공을 통해 앵커볼트로서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주차블록, 주차장, 주차구획선, 돌출부, 고정수단

Description

주차블록{parking block}
본 고안은 주차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 구획선의 안쪽으로 위치되게 주차장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주차 구획선 내에 정확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축물의 경우에는 지하 또는 건축물의 일측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한 주차장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차장의 경우 차량이 원활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라인이 그려져 있고, 상기 주차라인의 내측에 주차블럭이 설치된다.
상기 주차블록에 차량의 바퀴가 접촉됨으로써 운전자는 안전하게 주차라인에 차량을 주차하게 된다. 즉, 상기 주차블럭에 차량의 바퀴가 접촉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이 주차라인에 정확하게 주차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주차를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블록은 우레탄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주차블록이 변형되거나 반복적으로 차량의 바퀴와 부딪혀 주차블록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차블록을 주차장의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앵커볼트를 사 용하고 있는데, 종래의 주차블록은 앵커볼트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게 되면 주차블록을 설치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장의 바닥면에 주차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어도 용이하게 주차블록을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충격에 의한 파손이 없게 한 주차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단이 개구되는 중공(中空) 구조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 모서리부를 따라 라운드부를 이루게 설치된 금속재질의 철선 혹은 고무재질의 패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가 설치된 본체의 양단 개구를 통해 주차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상기 본체를 고정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는 관통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반대측에는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과 장공을 통해 앵커볼트로서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파이프의 양단부가 직각면 혹은 경사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충격에 의한 주차블록의 파손이 없게 함과 아울러 주차장의 바닥면에 주차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어도 주차블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좋게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블록이 주차장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변형예이고, 도 6은 도 3표시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은 주차장의 바닥면에 그려지는 주차 구획선(10)의 안쪽으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110)는 양단이 개구되는 중공(中空) 구조의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는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이루어짐이 좋다.
이러한 본체(110)는 반복적으로 차량의 바퀴와 부딪혀도 파괴되지 않는 금속재질로 구성함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는 마감부재(110a)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마감부재(110a)는 본체(110)의 양단 모서리부를 따라 라운드를 이루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3 ~도 4표시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양단 모서리부에 금속으로 된 철선을 용접으로 고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10a)는 본체(110)의 양단 외측으로 철선을 위치시켜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10a)는 도 5표시의 변형예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연장되는 형태로 철선을 위치시켜 용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 재(110a)는 도 6표시의 다른 변형예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고무재질로 된 패킹을 끼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마감부재(110a)의 설치에 의해 상기 본체(110)의 양단 모서리에 뾰족한 부분을 없게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블록은 고정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수단(120)은 상기 본체(110)를 주차장의 바닥면에 앵커볼트(132a,132b)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관통공(122)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는 장공(124)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122)과 장공(124)을 통해 앵커볼트(132a,132b)가 관통되게 설치한 와셔(134a,134b)와 너트(136a,136b)로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120)에 의해, 주차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32a,132b)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여도 본 고안의 본체(11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앵커볼트(132a,132b) 중 어느 하나는 관통공(122)을 통해 설치되게 하고 또 다른 하나는 장공(124)을 통해 설치되게 함에 의해, 앵커볼트(132a,132b)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어도 본체를 주차장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장공(124)을 통해 앵커볼트를 설치함으로서 앵커볼트의 설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에 상관없이 본체(110)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 시공상의 편의성을 갖는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본체(110)는 금속재질로 구성됨에 의해 쉽게 파괴되지 않아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표 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8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본체(110)에서, 그 양단을 경사개구부(112a,112b)를 갖게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본체(110)의 양단을 상부로 갈수로 그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절단하여 경사개구부(112a,112b)를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고,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10)는 양단에 경사개구부(112a,112b)를 형성함에 의해 상기 본체(110)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경사개구부(112a,112b)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120)의 앵커볼트(132a,132b)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개구부(112a,112b)에 의해 본체(110)의 양단이 상부로 노출됨에 의해 앵커볼트(132a,132b)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마감부재(110a)를 구비함이 좋다. 즉,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변형예들과 같이 철선을 용접하거나 혹은 고무재질의 패킹을 끼워 본체(110)의 양단에 뾰족한 부분을 없게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마감부재(110a)는 도 7 ~도 8표시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곡면을 이루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블록이 주차장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변형예이고,
도 6은 도 3표시의 다른 변형예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8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10a - 마감부재
120 - 고정수단 122 - 관통공
134 - 장공 132a,132b - 앵커볼트
134a,134b - 와셔 136a,136b - 너트

Claims (2)

  1. 양단이 개구되는 중공(中空) 구조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 모서리부를 따라 라운드부를 이루게 설치된 금속재질의 철선 혹은 고무재질의 패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가 설치된 본체의 양단 개구를 통해 주차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상기 본체를 고정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는 관통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반대측에는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과 장공을 통해 앵커볼트로서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파이프의 양단부가 직각면 혹은 경사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KR2020090011915U 2009-09-10 2009-09-10 주차블록 KR200455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15U KR200455725Y1 (ko) 2009-09-10 2009-09-10 주차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15U KR200455725Y1 (ko) 2009-09-10 2009-09-10 주차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03U true KR20110002703U (ko) 2011-03-16
KR200455725Y1 KR200455725Y1 (ko) 2011-09-21

Family

ID=4420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915U KR200455725Y1 (ko) 2009-09-10 2009-09-10 주차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80U (ko) 2021-07-01 2023-01-10 전갑수 플랙시블 카 스토퍼
KR20230107458A (ko) 2022-01-08 2023-07-17 전갑수 차량용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08B1 (ko) 2019-04-08 2021-05-14 신용범 바른 주차가 가능한 주차가이드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86B2 (ja) * 1994-03-01 1996-02-07 濱田鐵工株式会社 タイヤストッパー及びその設置方法
JP3193351B2 (ja) 1999-02-12 2001-07-30 株式会社アイエクス 駐車場用合成樹脂製タイヤ止め
KR200400355Y1 (ko) * 2005-08-11 2005-11-04 김해영 주차 안내 블럭
KR200425369Y1 (ko) * 2006-06-08 2006-09-01 주식회사 오빌테크 축광안전표지가 부착된 카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80U (ko) 2021-07-01 2023-01-10 전갑수 플랙시블 카 스토퍼
KR20230107458A (ko) 2022-01-08 2023-07-17 전갑수 차량용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725Y1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7909B2 (ja) マット、可搬型建設用多孔マットシステム、工具および方法
KR200455725Y1 (ko) 주차블록
JP5694598B2 (ja) 既設の地覆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取替え用の橋梁用防護柵支柱
JP5131912B2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取付け構造
KR200400355Y1 (ko) 주차 안내 블럭
JP5422344B2 (ja) 既設の地覆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橋梁用防護柵支柱用支持具
KR100647219B1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후크볼트
JP7025857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
KR20100063902A (ko)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방벽 및 그 시공 방법
JP2008144444A (ja) 防護柵支柱の補強構造及び防護柵支柱の補強方法
KR100742516B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ES2399992T3 (es) Sistema para fijar un revestimiento de parachoques a una pieza carrocería
JP4663683B2 (ja) 基礎補強金具
KR200197317Y1 (ko) 낙석방지용 그물망 고정부재
KR200425920Y1 (ko)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KR100517654B1 (ko) 차막이 경계블럭과 그 설치방법
JP5580957B2 (ja) ボルト固定金物
KR200400356Y1 (ko) 주차 안내 블럭
KR200433386Y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KR102266734B1 (ko) 수평지지력을 향상시킨 가드레일의 보강구조
KR200317919Y1 (ko) 교량 상판 방호벽용 보강 구조물
JP5519967B2 (ja) 防護柵
KR100397618B1 (ko)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JP3228283U (ja) 排水溝ユニット
KR200378929Y1 (ko) 도로용 경계 지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