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080U - 플랙시블 카 스토퍼 - Google Patents

플랙시블 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080U
KR20230000080U KR2020210002093U KR20210002093U KR20230000080U KR 20230000080 U KR20230000080 U KR 20230000080U KR 2020210002093 U KR2020210002093 U KR 2020210002093U KR 20210002093 U KR20210002093 U KR 20210002093U KR 20230000080 U KR20230000080 U KR 202300000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ipes
car stopper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갑수
Original Assignee
전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갑수 filed Critical 전갑수
Priority to KR2020210002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080U/ko
Publication of KR20230000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장에 구비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의 지형에 대응하는 플랙시블(굴절, 유연)한 주차 파이프를 통해 안정적인 주차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주차장 바닥면에 구비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분할 형성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시켜 차단하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의 저면에 결합하여 일정한 높이로 떠받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 하단에 결합되고 가장자리의 고정구멍에 앵커볼트가 끼워져 주차장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는 서로 대향하는 일측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 1 및 제 2 조인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 사이에서 서로 포개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인트의 연결구멍에 체결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플랙시블 카 스토퍼{Flexible Car Stopper}
본 고안은 주차장에 구비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의 지형에 대응하는 플랙시블(굴절, 유연)한 주차 파이프를 통해 안정적인 주차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바닥면에 주차구역을 구분하는 주차선이 표시되며, 각 주차구역의 후방에는 타이어가 쉽게 지나치지 못하도록 정지시켜 차량 타이어의 정지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카 스토퍼(Car stopper)가 설치된다.
이러한 카 스토퍼는 타이어가 도달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주차블럭 또는 스틸 파이프를 일정 높이로 설치한 주차 파이프 등이 있다. 주차블럭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을 참조하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703(공개일자 2011년03월16일)호의 '주차블럭' 등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주차 파이프(1)는 도 1의 (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처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수평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며, 주차장의 면적(주차 대수)에 따라 길게 연장 설치된다. 그런데, 도 1의 (b)에서처럼, 주차 파이프(1)는 주차장 바닥면이 불규칙한 경우 바닥면과의 높이가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바닥면과 주차 파이프의 간격이 먼 높이(H2)의 지점에서 타이어가 닿기 이전에 차량의 범퍼가 접촉하면서 긁히거나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는 바닥면에서 주차 파이프의 가까운 높이(H3)의 지점에서는 타이어가 주차 파이프를 쉽게 넘어갈 수 있어서 재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 차량 타이어의 반복적인 접촉 및 충격력으로 인해 주차 파이프의 중간 부분이나 고정부위(야외 현장 용접으로 융착되어 있어 부식발생)에 파손이 유발되며, 파손 발생시 수리, 보수가 까다롭고 주차 파이프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유지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703호(공개일자 2011년03월16일), '주차블럭'
본 고안은 소정의 단위 길이로 수평 분할 형성된 카 스토퍼(파이프)를 플랙시블(굴절성, 유연성)하게 연결 구성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주차장의 지형(바닥면)이 불규칙하더라도 바닥면과의 높이(H1)가 일정하여 차량의 타이어가 안정적으로 접촉 가능하고 안전한 주차를 돕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범퍼의 높이가 낮은 차량(경차, 스포츠카, 장애자 차량 등)의 경우에도 범퍼가 파이프에 충격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주차장 바닥면에 구비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분할 형성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시켜 차단하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의 저면에 결합하여 일정한 높이로 떠받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 하단에 결합되고 가장자리의 고정구멍에 앵커볼트가 끼워져 주차장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는 서로 대향하는 일측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 1 및 제 2 조인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 사이에서 서로 포개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인트의 연결구멍에 체결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 1 주차 파이프와 제 2 주차 파이프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3 주차 파이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주차 파이프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제 3 조인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조인트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의 제 1 및 제 2 조인트와 체결구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플랙시블(굴절성, 유연성)형 주차 파이프를 통해 제작 및 설치, 시공이 용이하고, 손상 및 파손이 발생시 일부분만을 수리 및 교체 가능하여 보수 및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수리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주차장의 바닥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지형에 따라 플랙시블(유연)하게 설치 가능하여 카 스토퍼(파이프)의 높이(H1)가 일정하며, 차량의 타이어가 안정적으로 접촉 가능하여 안전한 주차를 돕는 효과가 있다. 특히, 범퍼의 높이가 낮은 차량(경차, 스포츠카, 장애자 차량 등)의 경우에도 범퍼가 파이프에 충격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
도 1의 (a)는 주차장(P)에 설치된 일반적인 주차 파이프(1)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주차장(P)의 불규칙한 지형에 따른 주차 파이프(1)와 바닥면의 높이(H2,H3) 차이를 도시한 도면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 3은 상기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임.
도 4는 상기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를 도시한 정면도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카 스토퍼(101)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 6은 본 고안의 플랙시블 카 스토퍼(101)가 불규칙한 지형의 주차장(P) 바닥면(G)을 따라 일정한 높이(H1)로 플랙시블(굴절, 유연)하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주차장(P) 바닥면(G)에 구비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분할 형성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단부에 결합시켜 차단하는 엔드 플레이트(112);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저면에 결합하여 일정한 높이로 떠받치는 서포트(114), 및 상기 서포트(114) 하단에 결합되고 가장자리의 고정구멍(116)에 앵커볼트(140)가 끼워져 주차장(P) 바닥면(G)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5);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는 서로 대향하는 일측 엔드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 사이에서 서로 포개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의 연결구멍(121)에 체결구(130)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는 주차장(P)의 주차선(PL) 안쪽 타이어가 도달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 서포트(114) 및 베이스 플레이트(115)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는 단면이 원형 내지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과 같은 속이 빈 중공형의 관체로써 일정 길이로 분할 형성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는 일측 또는 양측면에 엔드 플레이트(112)가 융접(용접 등)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112)의 외측면에는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가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 캡(11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는 일측 단부(서로 이어지는 중간 연결부분)에 엔드 플레이트(112)가 결합하여 차단되며, 주차 파이프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외측 단부에는 엔드 캡(113)이 결합하여 차단할 수 있다. 엔드 캡(113)은 주차 파이프의 외측 단부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마감처리하므로써 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엔드 캡(113)은 주차 파이프에 나사방식으로 조립하여 분리 가능하고, 또는 융접(용접 등) 방식으로 결합시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는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바 대로, 서로 대향하는 엔드 플레이트(112) 사이의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가 포개서 서로 연통하는 연결구멍(121)에 체결구(130)를 끼워 플랙시블(Flexible) 방식으로 힌지 조립할 수 있다. 체결구(130)는 볼트 및 너트(131) 또는 힌지 핀(Hinge pin)과 같이 조립하여 역으로 분리가 가능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서포트(114)는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저면 일측 또는 양측에 융접(용접 등) 방식으로 결합시켜 하향 연장되고 하단에 베이스 플레이트(115)가 결합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주차 파이프를 일정한 높이로 떠받친다.
베이스 플레이트(115)는 서포트(114) 하단에 결합하여 바닥면(G)에 안치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구멍(116)에 앵커볼트(140)가 끼워져 주차장(P)의 바닥면(G)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카 스토퍼(10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플랙시블 카 스토퍼(100)가 불규칙한 지형의 주차장(P) 바닥면(G)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플랙시블(굴절, 유연)하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 1 주차 파이프(110-1)와 제 2 주차 파이프(110-2)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3 주차 파이프(110-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주차 파이프(110-3)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연결구멍(121)을 가지는 제 3 조인트(120-3)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조인트(120-3)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와 체결구(130)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카 스토퍼(101)는 제 1 주차 파이프(110-1)와 제 2 주차 파이프(110-2)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 3 주차 파이프(110-3)를 반복적으로 구비하여 불규칙한 지형의 주차장(P) 바닥면(G)을 따라 자연스럽게 일정한 높이로 플랙시블(굴절, 유연) 설치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주차 파이프(110-3)는 일측(좌측)의 제 1 주차 파이프(110-1)와 타측(우측) 맨 바깥쪽의 제 2 주차 파이프(110-2)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주차장(P)의 설치 면적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를 반복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 3 주차 파이프(110-3)는 단면이 원형 내지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과 같은 속이 빈 중공형의 관체로 형성된다. 제 3 주차 파이프(110-3)는 양측 단부에 엔드 플레이트(112)가 결합하여 차단되며, 엔드 플레이트(112)의 외측면에 연결구멍(121)을 가지는 제 3 조인트(120-3)가 돌출 형성된다. 제 3 조인트(120-3)는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1 조인트(120-1) 또는 제 2 조인트(120-2)와 선택적으로 포개진 상태에서 연결구멍(121)에 체결구(130)를 끼워 조립 및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카 스토퍼(101)는 도 6에서처럼, 주차장(P)의 지형 즉, 바닥면(G)이 불규칙하더라도 그 지형을 따라 자연스러운 플랙시블(굴절, 유연) 설치 가능함은 물론 바닥면(G)으로부터 일정한 높이(H1)로 안정적인 주차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높이(H1)는 주차장(P) 바닥면(G)에서 120~140mm 정도가 바람직하며, 최대 150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100, 101: 플랙시블 카 스토퍼(Flexible Car Stopper)
110-1, 110-2, 110-3: 주차 파이프
112: 엔드 플레이트(End plate) 113: 캡(Cap)
114: 서포트(Support) 115: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120: 조인트(Joint) 130: 체결구
140: 앵커볼트(Anchor bolt) P: 주차장

Claims (3)

  1. 주차장(P) 바닥면(G)에 구비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분할 형성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단부에 결합시켜 차단하는 엔드 플레이트(112);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저면에 결합하여 일정한 높이로 떠받치는 서포트(114), 및 상기 서포트(114) 하단에 결합되고 가장자리의 고정구멍(116)에 앵커볼트(140)가 끼워져 주차장(P) 바닥면(G)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5);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는 서로 대향하는 일측 엔드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 사이에서 서로 포개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의 연결구멍(121)에 체결구(130)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차 파이프(110-1)와 제 2 주차 파이프(110-2)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3 주차 파이프(110-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주차 파이프(110-3)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연결구멍(121)을 가지는 제 3 조인트(120-3)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조인트(120-3)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제 1 및 제 2 조인트(120-1, 120-2)와 체결구(130)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주차 파이프(110-1, 110-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 캡(11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카 스토퍼.
KR2020210002093U 2021-07-01 2021-07-01 플랙시블 카 스토퍼 KR202300000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93U KR20230000080U (ko) 2021-07-01 2021-07-01 플랙시블 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93U KR20230000080U (ko) 2021-07-01 2021-07-01 플랙시블 카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80U true KR20230000080U (ko) 2023-01-10

Family

ID=8489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93U KR20230000080U (ko) 2021-07-01 2021-07-01 플랙시블 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08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03U (ko) 2009-09-10 2011-03-16 오치명 주차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03U (ko) 2009-09-10 2011-03-16 오치명 주차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350430Y (zh) 一种柔性道路护栏
US20130270754A1 (en) Safety protection apparatus of elastic-plastic steel structure
WO2012139426A1 (zh) 一种高速公路用护栏装置
KR100880873B1 (ko) 소음 흡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 분리대
KR20090084420A (ko) 가드레일
US5720470A (en) Barrier
KR100763461B1 (ko) 가드레일
KR20230000080U (ko) 플랙시블 카 스토퍼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0345739B1 (ko) 차도용 철재난간과 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장치
KR20140060041A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0742516B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KR20120014397A (ko) 분리대
KR101124819B1 (ko) 반사체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체결용 볼트
KR101958722B1 (ko) H-빔을 이용한 방음 터널에서의 빔 결합형 루프 판넬 고정장치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10073941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433386Y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CN214939679U (zh) 一种高性能活动护栏
CN210597011U (zh) 一种高速公路桥梁钢护栏防抛网结构
JP3067839U (ja) 道路標識等の支柱における衝撃緩和装置
RU2485244C1 (ru) Дорожное 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1214012B1 (ko) 2단 가드레일
KR200428444Y1 (ko)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