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111A - 편광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111A
KR20110002111A KR1020107026768A KR20107026768A KR20110002111A KR 20110002111 A KR20110002111 A KR 20110002111A KR 1020107026768 A KR1020107026768 A KR 1020107026768A KR 20107026768 A KR20107026768 A KR 20107026768A KR 20110002111 A KR20110002111 A KR 2011000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group
liquid crystal
lyotropic liquid
crysta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154B1 (ko
Inventor
교코 니시구치
쇼이치 마츠다
다다유키 가메야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얻어지는 편광막은, 이색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색비의 저하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배향의 흐트러짐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원인은 불명확하였다.
(해결 수단) 종래의 편광막에 있어서 이색비가 저하되는 원인은, 편광막의 성막을 하기 전의 수용액 중에, 불순물로서 다가 금속 양이온이 함유되기 때문이다. 다가 금속 양이온은, 철 이온 (Fe2 , Fe3 ) 이나 크롬 이온 (Cr3 ) 이고, 수돗물이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원재료에 미량으로 존재하고, 편광막을 성막하기 전의 수용액 중에 불순물로서 혼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금속 포착제 (24) 를 첨가한 수용액을 사용하여 성막함으로써, 다가 금속 양이온 (23) 을 함유하고 있어도, 안정적으로 높은 이색비를 나타내는 편광막 (20) 이 얻어진다.

Description

편광막 및 그 제조 방법{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유연시켜 형성되는 편광막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얻어지는 편광막은, 일반적으로 범용되고 있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로 염색시킨 편광막에 비하여 막두께를 현격히 얇게 할 수 있어, 장래적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얻어지는 편광막은 이색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색비의 저하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배향의 흐트러짐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원인은 불명확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3377호
종래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얻어지는 편광막은 이색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으로 높은 이색비를 나타내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얻어지는 편광막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종래의 편광막에 있어서 이색비가 저하되는 원인은, 편광막의 성막을 하기 전의 수용액 중에 불순물로서 다가 금속 양이온이 함유되기 때문임을 밝혀냈다. 다가 금속 양이온은, 예를 들어, 철 이온 (Fe2 +, Fe3 + ) 이나 크롬 이온 (Cr3 +) 이고, 이들은 수돗물이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원재료에 미량으로 존재하고, 편광막을 성막하기 전의 수용액 중에 불순물로서 혼입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금속 포착제를 첨가한 수용액을 사용하여 성막함으로써, 다가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어도, 안정적으로 높은 이색비를 나타내는 편광막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편광막 (10) 의 제조 과정의 모식도이다. 수분 (11) 이 증발하기 전,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2) 은 랜덤인 방향을 향하고 있고, 배향을 하고 있지 않다. 다가 금속 양이온 (13) 도,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2) 과 결합하지 않고, 랜덤으로 존재하고 있다. 수분 (11) 을 증발시키면, 그 과정에서, 다가 금속 양이온 (13) 은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2) 의 음이온성기 (도시하지 않음) 와 결합한다. 결합한 다가 금속 양이온 (13) 은,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2) 끼리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2) 의 배향을 저해한다. 이 때문에,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2) 은 충분히 배향할 수 없어, 편광막 (10) 의 이색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편광막 (20) 의 제조 과정의 모식도이다. 수분 (21) 이 증발하기 전,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22) 은 랜덤인 방향을 향하고 있고, 배향을 하고 있지 않다. 다가 금속 양이온 (23) 이나 금속 포착제 (24) 도, 랜덤으로 존재하고 있다. 수분 (21) 을 증발시키면, 그 과정에서, 다가 금속 양이온 (23) 은 금속 포착제 (24) 와 결합하고,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22) 과 상분리된다. 그것에 의해,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22) 은 다가 금속 양이온 (23) 에 저해되지 않고, 충분히 배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편광막 (20) 은 안정적으로 높은 이색비를 얻을 수 있다. 다가 금속 양이온 (23) 과 결합한 금속 포착제 (24) 는, 편광막 (20) 의 표면 근방 (25) 에 편재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본 발명의 편광막은,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편광막으로서,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 (相) 이,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상과 상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의 편광막은,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이, 편광막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 근방에 편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의 편광막은,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아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일반식 (1) 중, R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아세틸기, 벤조일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또는 알칼리 토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 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SO3M 기를 나타낸다.
(4) 본 발명의 편광막은, 금속 포착제가 질소, 황, 산소, 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 이상의 전자 공여 원소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의 편광막은, 금속 포착제가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의 편광막은, 금속 포착제가 철 이온, 크롬 이온, 또는 구리 이온을 포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 기재된 편광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와 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박막 중의 물을 증발시켜 편광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적으로 높은 이색비를 나타내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얻어지는 편광막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 은 종래의 편광막의 제조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과정의 모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편광막]
본 발명의 편광막은,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편광막으로서,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이,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상과 상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은, 편광막의 일방의 표면 근방에만 편재하고 있어도 되고, 양측의 표면 근방에 편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편광막은, 성막 전의 수용액 중에 불순물로서 다가 금속 양이온이 함유되어 있어도, 성막 중에 배향 불량을 일으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높은 이색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을 주성분으로 한다」 란, ∼이 상 (相) 의 70 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구성 성분인 것을 말한다.
성막 전의 수용액 및 성막 후의 편광막에 있어서의, 다가 금속 양이온의 허용량은, 금속 포착제의 종류나 첨가량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 초과 1 중량% 이하이다. 성막 후의 편광막 중에 있어서, 다가 금속 양이온은,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에 그 대부분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 ∼ 5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 3 ㎛ 이다.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이 층을 이룰 때, 편광막 중의 금속 포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5 ㎛ ∼ 0.5 ㎛ 이다.
본 발명의 편광막은, 바람직하게는 가시광 영역 (380 ㎚ ∼ 800 ㎚) 의 적어도 일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편광막의 이색비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지 않는 종래의 편광막에 비하여, 이색비를 예를 들어 20 %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막은,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것이면,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배향 보조제 등이다. 첨가제의 함유량은, 편광막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 초과 5 중량% 이하이다. 상기의 첨가제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실질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의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 및 상기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상 중 어느 것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은, 음이온성기를 갖는 것이다. 음이온성기로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및 그들의 염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이 갖는 음이온성기의 개수 (치환수) 는, 2 ∼ 4 가 바람직하다.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은, 음이온성기가 물에 대한 용해성을 높이므로, 수용액을 조제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266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3377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군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은, 용액 중에서 초분자 회합체를 형성하고 있고, 이것을 함유하는 용액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유동시키면, 초분자 회합체의 장축 방향이 유동 방향으로 배향된다.
상기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아조 화합물이다. 이와 같은 아조 화합물은,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안정적인 액정 상을 나타내고, 배향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2
상기의 일반식 (1) 중, R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아세틸기, 벤조일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M 은 카운터 이온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또는 알칼리 토금속 원자이다. X 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SO3M 기를 나타낸다.
상기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아조 화합물은, 예를 들어, 아닐린 유도체와 나프탈렌술폰산 유도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디아조화 및 커플링 반응시켜, 모노아조 화합물로 한 후, 추가로 디아조화하고, 아미노나프톨디술폰산 유도체와 커플링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금속 포착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포착제는, 다가 금속 양이온에 대하여, 염 또는 착염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의 금속 포착제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2785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68279호에 기재된 화합물군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금속 포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황, 산소, 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 이상의 전자 공여 원소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 (고분자 킬레이트제)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이다. 상기의 수용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적으로 5,000 ∼ 1,000,000 이다.
이들 금속 포착제는,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수용성 셀룰로오스 등의 다른 수용성 폴리머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고분자 킬레이트제는 시판되고 있어,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미요시 수지사 제조 「에포프로크」를 들 수 있다.
상기의 금속 포착제에 의해 포착되는 다가 금속 양이온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이색비가 높은 편광막을 얻기 위해서, 철 이온, 크롬 이온, 구리 이온 등이 포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다가 금속 양이온은,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저해하기 쉽기 때문에,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로부터 분리하여 편광막 중에 편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금속 포착제의 편광막 중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다가 금속 양이온의 종류나 함유량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5 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3 중량부이다. 상기의 함유량은, 복수의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총량을 의미한다.
[편광막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은,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와 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박막 중의 물을 증발시켜 편광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면, 그 밖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액은,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와 물을 함유한다. 이 수용액의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 50 중량% 이다. 물은, 일반적으로는 고순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금속 포착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불순물로서 다가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물 (예를 들어 수돗물) 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물의 정제가 불필요하거나, 또는 적어도 되기 때문에, 편광막의 생산 비용이 낮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연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코터에 의해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이나, 금속 드럼 상에 전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의 수용액을 유연하여 얻어지는 박막은 수분을 함유한다. 함유되는 수분의 양은, 수용액의 함수율을 100 중량% 로 했을 경우, 50 중량% ∼ 100 중량% 이다.
상기 박막의 건조 수단에는, 자연 건조, 감압 건조, 가열 건조 등의 임의의 수단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포착제가 불순물인 다가 금속 양이온과 결합하고, 수분의 증발 과정에서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상분리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써,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의 배향 불량은 발생하지 않고, 얻어지는 편광막은 높은 이색비를 나타낸다. 상기의 편광막은, 잔존 수분량이 편광막의 총 중량의 35 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발명의 편광막은 편광 소자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 소자는, 예를 들어 액정 텔레비전, 액정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휴대 게임기, 비디오 카메라, 카 내비게이션, 복사기, 팩스, 시계 등의 액정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4-니트로아닐린과 8-아미노-2-나프탈렌술폰산을, 통상적인 방법 (호소다 유타카저 「이론 제조 염료 화학 (5 판)」1968 년 7 월 15 일 기보당 발행, 135 페이지 ∼ 152 페이지) 에 따라, 디아조화 및 커플링 반응시켜 모노아조 화합물을 얻었다. 이 모노아조 화합물을, 동일하게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디아조화하고, 추가로 1-아미노-8-나프톨-2,4-디술폰산리튬염과 커플링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 (2) 의 아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 (粗) 생성물을 얻어, 이것을 염화리튬으로 염석함으로써, 하기 구조식 (2) 의 아조 화합물을 얻었다. 이 아조 화합물을 소량 채취하고, 여러 가지의 농도로 물에 용해하여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자, 20 중량% 에서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3
상기 구조식 (2) 의 아조 화합물과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 (닛폰 촉매사 제조 「에포크로스 WS700」) 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시켜, 아조 화합물의 농도가 5 중량% 인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수용액은, 아조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를 1 중량부 함유한다. 또, 이 수용액은, 아조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철 이온을 2300 중량 ppm, 크롬 이온을 760 중량 ppm 함유한다 (철 이온, 크롬 이온은, 가수가 상이한 것을 함유하는 총 농도이다).
상기의 수용액을, 러빙 처리 및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필름 (닛폰 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상에, 바 코터 (BUSHMAN 사 제조 「Mayer rot HS4」) 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23 ℃ 의 항온실 내에서 자연 건조시켜,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두께 0.4 ㎛ 의 편광막을 형성하였다.
이 편광막은, 아조 화합물의 배향층과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층의 상분리 구조를 갖는다.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층은,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필름의 반대측 (공기 계면측) 의 표면 근방에 편재하고, 철 이온 및 크롬 이온을 함유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조 화합물의 배향층에는, 철 이온 및 크롬 이온은 거의 함유되지 않았다. 이 편광막의 이색비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 대신에, 디티오카르바민산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킬레이트제 (미요시 수지사 제조 「에포프로크」)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막을 제작하였다. 이 편광막의 이색비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막을 제작하였다. 이 편광막의 이색비를 표 1 에 나타낸다.

금속 포착제 편광막
종류 아조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첨가량
(단위 : 중량부)
이색비
실시예 1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 1 27.8
실시예 2 디티오카르바민산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킬레이트제 1
23.7
비교예 없음 0 18.8
[측정 방법]
[액정 상의 관찰]
2 매의 슬라이드 글라스에 코팅액을 소량 주입하고, 편광 현미경 (올림푸스 사 제조 「OPTIPHOT-POL」) 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두께의 측정]
편광막의 일부를 박리하고, 삼차원 비접촉 표면 형상 계측 시스템 (료카 시스템사 제조 「Micromap MM5200」) 을 사용하고, 단차를 계측하여 구하였다.
[철 이온, 크롬 이온량의 측정]
시료 고형분 100 ㎎ 을 가압 산분해하고, 분해물에 초순수를 첨가하여 25 ㎖ 로 정용 (定容) 하여 제작한 시료 용액을 사용하고,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 장치 (파킨엘머사 제조 「ELAN DRC2」) 를 사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분석에 의한 철 이온, 크롬 이온의 농도는, 가수가 상이한 것도 함유하는 총 농도이다.
[수용성 화합물의 분포 위치의 확인]
편광막을, MEKONG 사 제조의 정밀 절삭기를 사용하여, 주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절삭하고, 절삭 단면을 TOF-SIMS (ION-TOF 사 제조 「TOF-SIMS5」)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측정 조건으로서 1 차 이온 가속 전압은 25 ㎸, 측정 범위는 250 ㎛ × 250 ㎛ 로 하였다.
[이색비의 측정]
글랜톰슨 편광자를 구비한 분광 광도계 (닛폰 분광사 제조 「U-4100」) 를 사용하여, 직선 편광의 측정광을 입사시키고, 시감도 보정한 Y 치의 k1 및 k2 를 구하여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식 : 이색비 = log (1/k2)/(1/k1)
여기서 k1 은 최대 투과율 방향의 직선 편광의 투과율을 나타내고, k2 는 최대 투과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편광의 투과율을 나타낸다.
10 편광막
11 수분
12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13 다가 금속 양이온
20 편광막
21 수분
22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
23 다가 금속 양이온
24 금속 포착제
25 편광막의 표면 근방

Claims (7)

  1.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편광막으로서, 상기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이, 상기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상과 상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이, 상기 편광막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 근방에 편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아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화학식 1]
    Figure pct00004

    (일반식 (1) 중, R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아세틸기, 벤조일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또는 알칼리 토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 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SO3M 기를 나타낸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착제가 질소, 황, 산소, 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 이상의 전자 공여 원소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착제가 옥사졸린기 함유 수용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착제가 철 이온, 크롬 이온, 또는 구리 이온을 포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음이온성기를 갖는 리오트로픽 액정 화합물과, 금속 포착제와, 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연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박막 중의 상기 물을 증발시켜 편광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1020107026768A 2008-09-12 2009-04-09 편광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8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34137A JP5140525B2 (ja) 2008-09-12 2008-09-12 偏光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8-234137 2008-09-12
PCT/JP2009/057264 WO2010029789A1 (ja) 2008-09-12 2009-04-09 偏光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11A true KR20110002111A (ko) 2011-01-06
KR101188154B1 KR101188154B1 (ko) 2012-10-05

Family

ID=4200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768A KR101188154B1 (ko) 2008-09-12 2009-04-09 편광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8082B2 (ko)
JP (1) JP5140525B2 (ko)
KR (1) KR101188154B1 (ko)
CN (1) CN102150065B (ko)
TW (1) TW201011355A (ko)
WO (1) WO2010029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2695B2 (ja) 2010-09-09 2013-03-13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CN102156318B (zh) * 2011-03-25 2013-03-13 明基材料有限公司 提升偏光板的吸收轴精度的制造方法及偏光板
JP6612563B2 (ja) 2014-12-26 2019-11-27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リコーン多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04781B2 (ja) 2014-12-26 2019-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99699B2 (ja) 2014-12-26 2019-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触媒作用を介して結合した空隙構造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13872B2 (ja) 2015-07-31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光学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713871B2 (ja) 2015-07-31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光学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892744B2 (ja) * 2015-08-24 2021-06-23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152130B2 (ja) 2015-09-07 2022-10-12 日東電工株式会社 低屈折率層、積層フィルム、低屈折率層の製造方法、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57236B2 (ja) * 2017-04-03 2021-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および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7855A (ja) * 1996-02-20 1997-09-02 Miyoshi Oil & Fat Co Ltd 金属捕集方法
JPH09268279A (ja) * 1996-04-01 1997-10-14 Miyoshi Oil & Fat Co Ltd 金属捕集剤
KR20020077439A (ko) * 2000-12-14 2002-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액정 디스플레이 라미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WO2005062086A1 (ja) * 2003-12-18 2005-07-07 Nitto Denko Corporation 偏光子、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283800A (ja) * 2004-03-29 2005-10-13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1087853A (zh) * 2004-12-27 2007-12-12 三菱化学株式会社 三偶氮染料、含该染料的各向异性染料膜用组合物、各向异性染料膜及偏光元件
TW200636306A (en) * 2005-02-03 2006-10-16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00325B2 (ja) * 2005-04-04 2013-06-05 三菱化学株式会社 湿式成膜法により形成された異方性色素膜及び偏光素子
TWI384033B (zh) 2005-04-21 2013-02-01 Mitsubishi Chem Corp 異向性色素膜用組成物,異向性色素膜及偏光元件
JP4946149B2 (ja) 2005-04-21 2012-06-06 三菱化学株式会社 異方性色素膜用組成物、異方性色素膜及び偏光素子
JP4648854B2 (ja) * 2006-02-28 2011-03-0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ジオキセタン化合物、カチオン重合性組成物および光学フィルム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2007248621A (ja) * 2006-03-14 2007-09-27 Fujifilm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8974873B2 (en) * 2006-11-01 2015-03-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vices and methods involving polymers aligned via interchain interactions
JP4784897B2 (ja) * 2007-10-04 2011-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偏光膜
JP5153445B2 (ja) * 2008-01-24 2013-02-27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性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偏光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9789A1 (ja) 2010-03-18
US20110141430A1 (en) 2011-06-16
JP5140525B2 (ja) 2013-02-06
CN102150065B (zh) 2013-05-29
TW201011355A (en) 2010-03-16
US8488082B2 (en) 2013-07-16
CN102150065A (zh) 2011-08-10
JP2010066616A (ja) 2010-03-25
KR101188154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154B1 (ko) 편광막 및 그 제조 방법
JP5678429B2 (ja) 異方性膜用アゾ化合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異方性膜及び偏光素子
JP5323439B2 (ja) 耐水性偏光膜の製造方法
WO2012124400A1 (ja) 偏光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液、及び画像表示装置
WO2009101849A1 (ja) 耐水性偏光膜の製造方法
KR101344098B1 (ko) 액정성 코팅액 및 편광막
WO2012029362A1 (ja) 液晶性コーティング液の製造方法、及び光学異方性フィルム
US878560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resistant optically anisotropic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3128950A1 (ja) 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00087003A (ko) 이방성막용 아조 화합물
JP2008033275A (ja) 異方性膜用材料
WO2009123968A1 (en) Lyotropic liquid crystal systems based on bisacenaphthopyrazinoquinoxal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making
JP7024379B2 (ja) 異方性色素膜形成用組成物、異方性色素膜及び偏光素子
JP5752178B2 (ja) 耐水性偏光膜の製造方法
JP2011038073A (ja) 異方性膜用化合物
JP4784897B2 (ja) 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偏光膜
KR20110028336A (ko) 내수성 편광막의 제조 방법
JP5417940B2 (ja) 異方性膜用化合物
JP7024458B2 (ja) 異方性色素膜形成用組成物、異方性色素膜及び偏光素子
JP2011122091A (ja) 異方性膜用化合物
JP2012172046A (ja) 異方性膜用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