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928A - 일방향 클러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928A
KR20110001928A KR1020100061312A KR20100061312A KR20110001928A KR 20110001928 A KR20110001928 A KR 20110001928A KR 1020100061312 A KR1020100061312 A KR 1020100061312A KR 20100061312 A KR20100061312 A KR 20100061312A KR 20110001928 A KR20110001928 A KR 2011000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netary gear
lock
way clutc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957B1 (ko
Inventor
나오토 짐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00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3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moving along the inner and the outer surface without pivoting or rolling, e.g. slid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과제)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 부품수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백래시를 작게 함과 아울러 정숙성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아우터 부재(2)의 내측 기어(2b)에 맞물리는 기어부(4a)를 가지는 유성기어부재(4)에, 기어부(4a)에 대해서 동축에 또한 일체로 플랜지부(4c)를 통해서 로크 톱니부(4b)를 형성한다. 이너 부재(3)에 로크 톱니부(4b)를 수용하는 U자형상 벽부(3b)를 형성하고, U자형상 벽부(3b)에 로크 톱니부(4b)의 일부의 로크 톱니(6)가 걸어맞춰질 수 있는 걸어맞춤부(5)를 형성한다. 로크 톱니부(4b)에 의해서 로크상태를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어부(4a)가 치수에 제약을 받는다 하더라도 로크 톱니의 치수(피치)를 임의로 촘촘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유성기어부재(4)의 회전에 수반하는 로크상태의 간격이 촘촘하게 됨으로써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방향 클러치{ONE-WAY CLUTCH}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하(負荷)측에서 구동측이 역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일방향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가 이용되고 있는 기계장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면 복사기의 용지반송기구에 있어서는 용지 걸림시의 용지 제거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지반송롤러와 구동모터의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로서, 내측 기어를 가지는 아우터 부재와, 아우터 부재에 동축적(同軸的)으로 또한 회동 가능하게 수용됨과 아울러 그 외주부에 오목부를 가지는 이너 부재와, 오목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또한 내측 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를 가지며, 아우터 부재와 이너 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전동(轉動)하는 유성기어의 일방으로의 전동시에는 유성기어의 일부의 톱니가 걸어맞춰지지만 타방으로의 전동시에는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오목부측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여, 아우터 부재와 이너 부재의 상대 회전의 일방향으로는 토크가 전달되고 타방향으로는 토크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386236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5-17219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저감하기 위해서, 유성기어의 서로 인접하는 톱니의 간격보다도 좁게 또한 이끝부분의 두께보다도 넓은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를 오목부의 오목면에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돌기의 형상은 유성기어의 걸어맞춤위치와 비걸어맞춤위치의 사이의 이동량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작은 돌기가 되며, 이것에 의해서 그 성형성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오목부의 오목면에 이끝이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유성기어가 회전하는 것에 있어서의 정숙성이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성기어의 이동범위 규정수단(가이드)을 형성하여 유성기어의 자유 회전시에 이끝이 오목부의 오목면에 맞닿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정숙성이나 내구성이 향상되지만 별도의 부품을 형성하여 가이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대나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즉 부품수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백래시를 작게 함과 아울러 정숙성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방향 클러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측 기어를 가지는 아우터 부재와, 상기 아우터 부재와 동축(同軸)상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그 외주부에 오목부를 가지는 이너 부재와, 상기 오목부 내에 전동(轉動) 가능하도록 헐겁게 수용되며 또한 상기 내측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가지는 유성기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아우터 부재에 대해서 상기 이너 부재가 일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그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유성기어부재가 상기 오목부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 부재에 대해서 상기 이너 부재가 타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그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려고 하는 상기 유성기어부재가 상기 아우터 부재와 상기 이너 부재의 사이에서 로크상태로 되는 일방향 클러치로서, 상기 유성기어부재는 상기 기어부와 동축에 형성되며 또한 외주면에 복수의 로크 톱니가 형성된 로크 톱니부를 가지며, 상기 이너 부재는 상기 로크 톱니부의 일부의 로크 톱니가 걸어맞춰질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로크 톱니부의 일부의 로크 톱니가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로크상태로 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하면, 유성기어부재에 형성된 로크 톱니부의 일부의 로크 톱니가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져서 아우터 부재와 이너 부재가 로크상태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아우터 부재의 내측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걸어맞춤상태로 하여 로크상태로 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유성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부의 치수(齒數)와는 관계없이 로크 톱니의 치수(피치)를 촘촘하게 설정함에 의해서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성기어부재에는 상기 기어부와 상기 로크 톱니부의 사이의 동축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면, 기어부의 톱니를 플랜지부와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어부의 톱니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유성기어부재의 전동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오목부의 오목면을 슬라이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즉 매끄러운 면끼리의 슬라이드 접촉이 되게 함으로써 유성기어부재의 전동시의 정음화(靜音化)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과 동일 또는 이끝원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면, 기어부의 톱니를 그 이끝에 이르기까지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어부의 톱니가 오목부의 오목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및 정음화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로크 톱니부의 로크 톱니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맞춰지는 각 걸어맞춤면은 서로 걸어맞춰지는 방향이 상기 로크 톱니부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것에 의하면, 로크 톱니와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방향이 유성기어부재의 회전방향과 거의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로크시의 강도가 커지게 되며, 같은 강도라면 로크 톱니와 걸어맞춤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성기어부재를 아우터 부재의 내측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와 이 기어부에 동축적으로 또한 일체로 형성된 로크 톱니부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로크 톱니부에 의해서 로크상태를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어부가 치수(齒數)에 제약을 받는다 하더라도 로크 톱니의 치수(피치)를 임의로 촘촘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유성기어부재(4)의 회전에 수반하는 로크상태의 간격이 촘촘하게 됨으로써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어부를 걸어맞춰서 로크상태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기어부의 톱니의 강도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파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일방향 클러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이너 부재에 유성기어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아우터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로크 톱니부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파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일방향 클러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예를 들면 프린터의 용지반송기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일방향 클러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2)와, 이너 부재(3)와, 상기 아우터 부재(2)와 이너 부재(3)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유성기어부재(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부재(2,3,4)는 합성수지재를 일체로 성형함에 의해서 형성된다.
아우터 부재(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기어 결합되는 외측 기어(2a)와, 내주면에 내측 기어(2b)를 가지는 폐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상 보스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부재(3)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2)의 환형상 보스부(2c)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환형상 몸통부(3a)와, 상기 환형상 몸통부(3a)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또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로서의 4개의 U자형상 벽부(3b)와, 축선방향의 외측 단면에 형성된 토크 전달용의 걸어맞춤 돌기부(3c)를 가지는 폐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상 몸통부(3a)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축부재에 의해서 이너 부재(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이너 부재(3)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2)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유성기어부재(4)는 도 1 및 도 4(도 4에서는 유성기어부재가 1개만 도시되어 있음)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부재(2)의 내측 기어(2b)에 맞물리는 기어부(4a)와, 이너 부재(3)의 U자형상 벽부(3b)에 수용되는 로크 톱니부(4b)와, 기어부(4a)와 로크 톱니부(4b)의 사이에 형성된 원통면을 가지는 플랜지부(4c)를 각각 동축(同軸)에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4c)의 외경은 기어부(4a)의 이끝원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나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어도 되며, 로크 톱니부(4b)의 외경은 플랜지부(4c)의 외경과 동일하여도 된다.
아우터 부재(2)의 내측 기어(2b)의 톱니 폭은 유성기어부재(4)의 기어부(4a)의 톱니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되어 있으며, 기어부(4a)에 인접하는 플랜지부(4c)는 조립상태에서 이너 부재(3)측에 수용된다. 로크 톱니부(4b)의 로크 톱니(6)는 그 단면형상이 거치(鋸齒)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기어부(4a)의 치수의 배수 또는 그 이상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U자형상 벽부(3b)는, 이너 부재(3)의 둘레방향의 일측에서는 로크 톱니부(4b)의 길이와 플랜지부(4c)의 길이를 합한 길이{이너 부재(3)의 축선방향의 길이}의 짧은 폭의 벽으로 형성되고, 이너 부재(3)의 둘레방향의 타측에서는 유성기어부재(4)의 전체 길이{축선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의 긴 폭의 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U자형상 벽부(3b)의 상기 이너 부재(3)의 둘레방향에 대응하는 내측 폭은 로크 톱니부(4b)가 약간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U자형상 벽부(3b)의 상기 짧은 폭의 벽측에는 그 내주면에 걸어맞춤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상 벽부(3b)의 내주면에 대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잘라내어 형성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유성기어부재(4)가 U자형상 벽부(3b) 내에서 걸어맞춤부(5)측으로 전동하였을 경우에는 로크 톱니부(4b)의 일부(1개)의 로크 톱니(6)가 걸어맞춤부(5)에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각 부재(2,3,4)의 조립 요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유성기어부재(4)의 로크 톱니부(4b)가 이너 부재(3)의 U자형상 벽부(3b)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끼워진다. 이 상태의 이너 부재(3)에 대해서 아우터 부재(2)를 동축적으로 덮어 씌우도록, 아우터 부재(2)의 환형상 보스부(2c)에 이너 부재(3)의 환형상 몸통부(3a)를 삽입한다(도 6).
도 6의 삽입상태에서는 각 유성기어부재(4)의 기어부(4a)가 아우터 부재(2)의 내측 기어부(2b)에 맞물리게 된다. 또, 환형상 보스부(2c)의 내주면과 환형상 몸통부(3a)의 외주면에는, 아우터 부재(2)와 이너 부재(3)가 서로 동축상에서 대향하고 또한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끼워맞춰지는 둘레방향 돌기부(2d)와 둘레방향 홈부(3d)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 돌기부(2d)와 둘레방향 홈부(3d)의 요철 걸어맞춤에 의해서 아우터 부재(2)와 이너 부재(3)는 서로 상대 회전은 가능하지만 축선방향으로는 빠짐 방지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일방향 클러치(1)에서는, 이너 부재(3)에 대해서 아우터 부재(2)가 상대적으로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경우에는 기어부(4a)가 내측 기어(2b)에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부재(4)가 화살표 A방향으로 전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톱니부(4b)의 일부(1개)의 로크 톱니(6)가 걸어맞춤부(5)에 걸어맞춰져서 유성기어부재(4)의 전동이 정지됨으로써 아우터 부재(2)와 이너 부재(3)가 로크상태로 된다. 모터에 의해서 아우터 부재(2)가 구동될 경우에는 모터 토크가 이너 부재(3)에 전달됨으로써 예를 들면 이너 부재(3)에 연결되는 용지반송롤러(도시생략)가 회전한다.
반대로, 상기 용지반송롤러의 정지시에 용지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서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토크가 이너 부재(3)에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아우터 부재(2)에 대해서 이너 부재(3)가 상대적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로크 톱니부(4b)에 대해서 걸어맞춤부(5)가 선행(先行)하게 되어 양자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일방향 클러치(1)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유성기어부재(4)가 U자형상 벽부(3b)의 긴 폭의 벽에 의해서 눌려지게 됨으로써, 내측 기어(2b)에 기어부(4a)가 맞물리면서 유성기어부재(4)가 자유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부재(4)의 플랜지부(4c)의 외경은 기어부(4a)의 이끝원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성기어부재(4)의 자유 회전상태에서는 플랜지부(4c)의 외주면이 U자형상 벽부(3b)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하게 된다. 플랜지부(4c)의 외주면은 원주(圓周)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4c)의 외주면과 U자형상 벽부(3b)의 내주면과의 접촉상태는 유성기어부재(4)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종래와 같이 기어의 이끝이 직접 U자형상 벽부(3b)의 내주면(오목부의 오목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경우에는 치수(齒數)에 대응한 다각형의 각 각부(角部)가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과 같이 된다. 이 경우에는 유성기어부재(4)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단차가 생기면서 슬라이드 접촉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항상 동일한 직경의 플랜지부(4c)의 외주면이 슬라이드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정숙성이 확보된다.
또, 플랜지부(4c)가 기어부(4a)와 일체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됨으로써 기어부(4a)의 강도가 커지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유성기어부재(4)를 소경화(小徑化)한 경우의 기어부(4a)의 강도를 크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 클러치(1)를 아무런 문제없이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유성기어를 이용한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유성기어의 톱니의 일부를 오목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서 로크상태로 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유성기어의 인접하는 톱니의 간격에 의한 백래시가 컸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유성기어부재(4)에 있어서의 기어부(4a)가 아니라 로크 톱니부(4b)의 로크 톱니(6)를 걸어맞춤부(5)에 걸어맞춰서 로크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로크 톱니부(4b)의 로크 톱니(6)를 걸어맞춤상태에 맞춰서 설계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톱니부(4b)의 로크 톱니(6)는 로크 톱니부(4b)의 원주방향(화살표 B)에 대해서 90도 직교하는 걸어맞춤면(6a)을 가진다. 걸어맞춤부(5)를 형성하는 단차부의 걸어맞춤면(단차면)(5a)도 로크 톱니부(4b)의 원주방향(화살표 B)에 대해서 90도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면(6a)과 서로 정합되게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형상끼리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로크 톱니부(4b)의 회전방향의 토크가 분력으로서 잃는 일 없이 걸어맞춤부(5)에 의해서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 톱니부(4b)의 로크 톱니(6)의 높이 등의 형상을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걸어맞춤력이 얻어지므로, 로크 톱니(6)의 높이를 작게 또한 피치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크 톱니부(4b)를 형성함에 의해서 촘촘한 피치로 로크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의 유성기어의 톱니를 걸어맞춰서 로크상태로 하는 구조의 것에 비해서 백래시가 적어지기 때문에, 고정밀도 또한 고품질의 일방향 클러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유성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부(4a)와 로크상태를 실현하는 로크 톱니부(4b)를 1개의 유성기어부재(4)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유성기어부재(4)는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즉 아우터 부재와 이너 부재와 유성기어의 3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일방향 클러치와 마찬가지로 그 부품수의 변동없이 일방향 클러치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도 백래시가 적은 일방향 클러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로크 톱니부(4b)의 로크 톱니(6)의 걸어맞춤면(6a)과 걸어맞춤부(5)의 걸어맞춤면(단차면)(5a)을 로크 톱니부(4b)의 원주방향(화살표 B)에 대해서 90도가 되는 면으로 하여 형성하였으나, 이것은 90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로크상태의 토크 설계치가 확보되는 것이라면 대략 90도이어도 되며, 이것에 의해서 성형 오차가 허용됨으로써 가공 비용의 저렴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 로크 톱니부(4b)도 플랜지부(4c)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로크 톱니(6)의 강도도 커지고, 내구성도 향상된다. 플랜지부(4c)는 기어부(4a)와 로크 톱니부(4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4c)의 외주면을 U자형상 벽부(3b)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시키고 있다. 로크상태에서 걸어맞춤부(5)와 로크 톱니부(4b)의 걸어맞춤부분과 기어부(4a)와 내측 기어(2b)의 맞물림부분이 유성기어부재(4)의 축선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으며, 걸어맞춤부분과 맞물림부분이 역점과 작용점이 되는 지렛대에 있어서 그 지지점이 플랜지부(4c)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어부(4a)나 로크 톱니부(4b)의 각 이끝에 하중이 가해지는 일이 없으며, 과도한 하중에 의한 각 톱니의 마모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는 백래시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의 용지반송기구에 한하지 않고 각종 장치에 이용되는 일방향 클러치로서 유용하다.
1 - 일방향 클러치 2 - 아우터 부재
2b - 내측 기어 3 - 이너 부재
3b - U자형상 벽부(오목부) 4 - 유성기어부재
4a - 기어부 4b - 로크 톱니부
4c - 플랜지부 5 - 걸어맞춤부
6 - 로크 톱니 6a - 걸어맞춤면

Claims (4)

  1. 내측 기어(2b)를 가지는 아우터 부재(2)와, 상기 아우터 부재(2)와 동축(同軸)상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그 외주부에 오목부(3b)를 가지는 이너 부재(3)와, 상기 오목부(3b) 내에 전동(轉動) 가능하도록 헐겁게 수용되며 또한 상기 내측 기어(2b)에 맞물리는 기어부(4a)를 가지는 유성기어부재(4)를 구비하며,
    상기 아우터 부재(2)에 대해서 상기 이너 부재(3)가 일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그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유성기어부재(4)가 상기 오목부(3b)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 부재(2)에 대해서 상기 이너 부재(3)가 타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그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려고 하는 상기 유성기어부재(4)가 상기 아우터 부재(2)와 상기 이너 부재(3)의 사이에서 로크상태로 되는 일방향 클러치로서,
    상기 유성기어부재(4)는 상기 기어부(4a)와 동축에 형성되며 또한 외주면에 복수의 로크 톱니(6)가 형성된 로크 톱니부(4b)를 가지며,
    상기 이너 부재(3)는 상기 로크 톱니부(4b)의 일부의 로크 톱니(6)가 걸어맞춰질 수 있는 걸어맞춤부(5)를 가지며,
    상기 로크 톱니부(4b)의 일부의 로크 톱니(6)가 상기 걸어맞춤부(5)에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로크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재(4)에는 상기 기어부(4a)와 상기 로크 톱니부(4b)의 사이의 동축에 플랜지부(4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4c)는 상기 기어부(4a)의 이끝원과 동일 또는 이끝원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톱니부(4b)의 로크 톱니(6)와 상기 걸어맞춤부(5)가 서로 걸어맞춰지는 각 걸어맞춤면(6a,5a)은, 서로 걸어맞춰지는 방향이 상기 로크 톱니부(4b)의 원주방향(B)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KR1020100061312A 2009-06-30 2010-06-28 일방향 클러치 KR101188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5687 2009-06-30
JP2009155687A JP5405211B2 (ja) 2009-06-30 2009-06-30 一方向クラ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28A true KR20110001928A (ko) 2011-01-06
KR101188957B1 KR101188957B1 (ko) 2012-10-08

Family

ID=4341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12A KR101188957B1 (ko) 2009-06-30 2010-06-28 일방향 클러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2556B2 (ko)
EP (1) EP2450588B1 (ko)
JP (1) JP5405211B2 (ko)
KR (1) KR101188957B1 (ko)
CN (1) CN102472336B (ko)
WO (1) WO2011001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4001387B4 (de) * 2013-03-15 2017-07-20 Remy Technologies Llc Generator-/Motorstart-Anordnung mit einem System zur Getriebeuntersetzung
JP5849070B2 (ja) * 2013-06-24 2016-01-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およびこれを備えた駆動装置
KR20150138779A (ko) *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만도 원형보조기구를 적용한 차량용 조향장치 유성기어 유격보상구조
US9772030B2 (en) 2014-08-04 2017-09-26 Achates Power, Inc. Split gear assembly with one-way roller clutch for controlling backlash in opposed-piston engines
JP6604533B2 (ja) * 2015-04-02 2019-11-13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L233394B1 (pl) * 2015-11-18 2019-10-31 Efneo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Mechanizm wolnobiegu
KR20180016891A (ko) 2016-08-08 2018-02-2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837912B2 (ja) * 2017-05-19 2021-03-03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JP7140539B2 (ja) * 2018-05-02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及びシート搬送装置
CN109826881A (zh) * 2019-03-21 2019-05-31 金辉哲 一种行星齿轮单向离合器
CN113719555A (zh) * 2021-08-30 2021-11-30 上海汉图科技有限公司 一种单向齿轮传动系统和打印机
CN114526294B (zh) * 2022-02-15 2023-07-14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一种分度式单向传动装置
WO2024006766A2 (en) * 2022-06-30 2024-01-04 Christianson Systems, Inc.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0794A (en) * 1925-02-20 1926-12-14 Sr Julius Keller Clutch
US2333680A (en) 1938-03-19 1943-11-09 Schneider Brothers Company Transmission
US3246726A (en) * 1964-02-24 1966-04-19 Falk Corp Overrunning clutch
US3554339A (en) * 1969-06-25 1971-01-12 Falk Corp Overrunning positive and synchronized clutch
US4069725A (en) * 1975-01-07 1978-01-24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Three speed transmission hub
US4262785A (en) * 1978-07-19 1981-04-21 The Mechanex Corporation Torque responsive hub clutch
JPS5853943U (ja) * 1981-10-07 1983-04-12 日興電機工業株式会社 機関始動装置用クラツチ
US4862009A (en) * 1988-03-22 1989-08-2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ed electric starter and alternator system using a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
JP3862360B2 (ja) * 1997-05-28 2006-12-27 株式会社ニフコ 一方向クラッチ
JP2002340048A (ja) * 2001-05-17 2002-11-27 Nifco Inc クラッチ装置
CN2487916Y (zh) * 2001-05-30 2002-04-24 张旭 一种多功能的逗号形滚珠超越离合器
JP4275905B2 (ja) * 2002-06-14 2009-06-10 株式会社ニフコ クラッチ装置
JP2004176847A (ja) * 2002-11-28 2004-06-24 Nifco Inc 動力伝達機構
JP2005172199A (ja) 2003-12-15 2005-06-30 Nifco Inc 一方向ク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0588A4 (en) 2013-01-30
CN102472336A (zh) 2012-05-23
US8702556B2 (en) 2014-04-22
JP5405211B2 (ja) 2014-02-05
JP2011012716A (ja) 2011-01-20
US20120125729A1 (en) 2012-05-24
EP2450588A1 (en) 2012-05-09
WO2011001608A1 (ja) 2011-01-06
CN102472336B (zh) 2014-06-11
EP2450588B1 (en) 2014-05-07
KR101188957B1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957B1 (ko) 일방향 클러치
US7214161B2 (en) One-way clutch
KR101878009B1 (ko)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1135812A1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TWI429829B (zh) 滾子離合器
KR20140074213A (ko) 기어드 모터
JP2007259574A (ja) アクチュエータ
US10502282B2 (en) Drive device
JP2013194796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7459652B2 (ja) 減速機付モータ
JP7092065B2 (ja) 減速機及び減速機付モータ
KR20140085090A (ko) 자동변속기용 파킹장치
CN108603570B (zh) 齿轮装置及齿轮装置的装配方法
JP7074114B2 (ja) 減速機及び減速機付モータ
KR20120110121A (ko) 베어링 기능을 가진 베어링 커버
JP2011017369A (ja) 動力伝達機構
JP2011094686A (ja) 動力伝達機構
WO2021065293A1 (ja) 減速機及び減速機付モータ
KR20190078371A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JP2006094991A (ja) 自動車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5155778A (ja) 一方向回転伝達歯車及び一方向回転伝達装置
KR200433515Y1 (ko) 감속기
JP2018192921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367785B2 (ja) 単リール型の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20190078552A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