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891A -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891A
KR20180016891A KR1020160100885A KR20160100885A KR20180016891A KR 20180016891 A KR20180016891 A KR 20180016891A KR 1020160100885 A KR1020160100885 A KR 1020160100885A KR 20160100885 A KR20160100885 A KR 20160100885A KR 20180016891 A KR20180016891 A KR 2018001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eveloper
rotating member
arm
way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이한준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6891A/ko
Priority to PCT/KR2017/007383 priority patent/WO2018030648A1/en
Priority to US15/647,916 priority patent/US10048639B2/en
Publication of KR2018001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03G15/083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일방향 클러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회전부재와, 제1회전부재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래치부를 구비하는 제2회전부재와, 래치 아암을 구비하며 제1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래치 아암이 래치부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래치 아암이 래치부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피벗될 수 있게 수용부에 수용되는 래치 부재를 포함한다. 래치 부재는 자전되지 않으며, 걸림 위치와 해제 위치로 피벗될 때에 래치 부재의 피벗 중심의 위치가 변한다.

Description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one-way clutch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 등 모터(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장치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회전방향에 의존하여 피구동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일방향 클러치는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력 중에서 어느 한 방향의 회전력만을 피구동체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일방향 클러치는 유성 기어를 이용한 구조,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러치 허브를 채용한 구조, 마찰을 이용한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등 비교적 구동부가 작은 장치에서는 일방향 클러치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에 제약이 있다. 제한된 공간 내에서 안정적인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일방향 클러치가 요구된다.
안정적인 구동력 전달이 가능한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일방향 클러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래치부를 구비하는 제2회전부재; 래치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래치부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피벗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래치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자전되지 않으며, 상기 걸림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피벗될 때에 상기 래치 부재의 피벗 중심의 위치가 변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받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상기 복수의 현상기로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 유닛; 모터; 제1회전부재가 모터에 연결되고, 제2회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전술한 제1일방향 클러치; 제1회전부재가 모터에 연결되고, 제2회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전술한 제2일방향 클러치; 상기 제2일방향 클러치의 제1회전부재와 상기 모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2일방향 클러치의 제1회전부재에 전달하는 회전방향전환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피구동체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방향 클러치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 유닛의 구동에 적용함으로서 제조 비용이 절감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방향 클러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일방향 클러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도 2는 래치 부재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3은 래치 부재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4와 도 5는 일방향 클러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도 4는 래치 부재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5는 래치 부재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6과 도 7은 일방향 클러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도 6은 래치 부재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7은 래치 부재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8은 제1, 제2기준부가 적용된 일방향 클러치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일방향 클러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래치 부재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래치부가 내주측에, 래치 부재가 외주측에 위치된 일방향 클러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현상제 공급 유닛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현상제 공급유닛의 구동 블록도의 일 실시예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방향 클러치(2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방향 클러치(200)는 제1회전부재(300), 제2회전부재(400), 래치 부재(500)를 구비한다. 제1회전부재(300)는 구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서, 제1회전부재(30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미도시)과 기어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재(300)는 구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되는 기어부(3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1회전부재(300)는 구동수단(미도시)과 벨트 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1회전부재(300)는 구동수단(미도시)과 축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제2회전부재(400)는 제1회전부재(300)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제2회전부재(400)는 제1회전부재(30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1회전부재(300)와 연결되어 제1회전부재(30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회전부재(400)는 제1회전부재(300)와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래치부(420)를 구비한다. 제2회전부재(400)는 피구동체(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회전부재(400)는 도시되지 않은 피구동체(미도시)와 기어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부재(400)는 피구동체(미도시)와 연결되는 기어부(4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2회전부재(400)는 피구동체(미도시)와 벨트 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2회전부재(400)는 피구동체(미도시)와 축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래치 부재(500)는 제1회전부재(300)에 설치되어, 제1회전부재(30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제2회전부재(4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도 2와 도 3은 일방향 클러치(20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도 2는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3은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2와 도 3에서 제2회전부재(400)는 래치부(420)만이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래치 부재(500)는 래치 아암(510)을 구비한다. 래치 부재(500)는 래치 아암(510)을 구비한다. 래치 부재(500)는 래치 아암(510)이 제2회전부재(400)의 래치부(420)에 걸리는 걸림 위치(도 3)와, 래치 아암(510)이 래치부(420)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도 2)로 피벗될 수 있게 제1회전부재(300)에 설치된다. 래치 부재(500)는 제1회전부재(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걸림 위치와 해제 위치로 피벗된다. 예를 들어, 제1회전부재(30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될 때에는 래치 아암(510)이 래치부(420)에 걸려서 제2회전부재(400)가 제1회전부재(300)와 함께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며, 제1회전부재(30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될 때에는 래치 아암(510)이 래치부(420)로부터 해제되어 제2회전부재(400)가 회전되지 않는다.
래치 부재(500)는 몸체(520)를 구비하며, 래치 아암(510)은 몸체(52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회전부재(300)에는 래치 부재(500)가 수용되는 오목한 수용부(320)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320)를 에워싸는 벽체(330)에 의하여 오목한 수용부(320)가 정의될 수 있다. 벽체(530)에는 래치 아암(510)이 걸림 위치에서 래치부(420)에 걸릴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340)가 마련된다. 몸체(520)는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으며, 수용부(320)는 개구부(340)가 형성된 오목한 원통형일 수 있다.
개구부(340)의 일측벽, 예를 들어 제2방향(A2)의 측벽(341)은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를 넘어 더이상 피벗되지 않도록 래치 아암(510)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30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되기 시작하면, 관성과 원심력에 의하여 래치 부재(500)는 제2방향(A2)으로 약간 피벗된다. 그러면, 래치 아암(510)의 단부가 래치부(420)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300)가 제1방향(A1)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더라도 제2회전부재(400)는 회전되지 않으며, 래치 부재(500)는 제2방향(A2)으로 더욱 피벗되면서래치 아암(510)이 래치부(420)에 더욱 깊숙하게 걸린다.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에 도달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아암(510)이 래치부(420)에 완전히 걸리고, 동시에 래치 아암(510)이 측벽(341)에 지지된다. 그러면, 제1회전부재(300)의 제1방향(A1)의 회전력이 래치 부재(500)를 거쳐 제2회전부재(400)에 전달되고, 제2회전부재(400)가 제1회전부재(300)와 함께 제1방향(A1)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개구부(340)의 다른 측벽, 예를 들어 제1방향(A1)의 측벽(342)은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를 넘어 더이상 피벗되지 않도록 래치 아암(510)을 지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30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되면, 래치부(420)는 래치 아암(510)을 밀어 래치 부재(500)를 해제 위치쪽으로 피벗시킨다. 이에 의하여, 래치 아암(510)은 래치부(420))로부터 해제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로 피벗된다.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에 도달되면, 래치 아암(510)은 측벽(342)에 접촉된다. 따라서, 래치 부재(500)는 해제 위치를 넘어 더이상 피벗되지 않는다.
개구부(340)의 개구 폭, 즉 측벽(341)(342) 사이의 거리는 몸체(520)가 개구부(340)를 통하여 수용부(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래치부(420)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세 개의 래치 부재(500)가 도시되어 있으나, 래치 부재(500)의 갯수는 하나 이상이면 된다. 래치부(420)는 반경 방향에 대하여 제1방향(A1)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회전부재(30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될 때에 래치 아암(510)이 자연스럽게 래치부(420)에 걸리고, 제1회전부재(30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될 때에 래치 아암(510)이 자연스럽게 래치부(42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200)는 래치 부재(500)가 자전되지 않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즉, 제1회전부재(300)가 제2방향으로 회전(A2)될 때에 래치 부재(500)는 제1회전부재(300)와 함께 공전되지만, 제1회전부재(300)에 대하여 자전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인 유성 기어가 채용된 일방향 클러치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을 때에는 유성 기어가 자전된다. 자전을 위하여 유성 기어에는 다수의 기어 치형가 마련되며, 기어 치형들 중 하나가 래치 아암의 역할을 한다. 소형화된 일방향 클러치 구조에서는 치형의 크기가 작아져서 래치 아암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 부재(500)가 자전되지 않으므로 기어 치형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주어진 크기의 래치 부재(500)에 대하여 큰 래치 아암(510)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래치 아암(510)의 기계적 강도를 크게 하여 안정적인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200)는 래치 부재(500)의 피벗 중심이 고정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래치 부재(500)는 걸림 위치와 해제 위치로 피벗될 때에 피벗 중심이 이동된다. 따라서, 걸림 위치와 해제 위치에서 래치 부재(500)이 피벗 중심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부(320)의 내경은 몸체(520)의 외경보다 크다.
래치 부재(500)의 피벗 중심의 위치가 고정된 경우, 예를 들어, 몸체(520)에 피벗 축이 마련되고 수용부(320)에 피벗 축이 삽입되는 피벗 홀이 마련된 구조에서는, 걸림 위치에서 제1회전부재(300)의 회전력이 피벗 축에 집중된다. 따라서, 큰 부하가 걸릴 경우 피벗 축이 손상될 수 있다. 피벗 축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으나, 소형화된 일방향 클러치(200)에서는 제1회전부재(30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피벗 축을 크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 부재(500)의 피벗 중심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위치에서 래치 아암(510)이 측벽(341)에 지지되고 몸체(520)가 부분적으로 수용부(320)를 형성하는 벽체(320)의 부분(320-1)에 지지된다. 걸림 위치에서 제1회전부재(300)의 회전력은 몸체(520)와 래치 아암(510)에 골고루 걸리므로, 래치 부재(500)가 안정적인 기계적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된 일방향 클러치(200)에서 큰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제2회전부재(4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500)의 피벗 중심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피벗 축이나 피벗 홀을 래치 부재(500)나 제1회전부재(300)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래치 부재(500)와 제1회전부재(300)의 형상이 단순화될 수 있다. 단순한 부품의 형상은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의미하므로,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소형화된 일방향 클러치(200)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조립시에도 래치 부재(500)를 단순히 수용부(320)에 삽입하면 되므로, 조립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일방향 클러치(20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도 4는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5는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4와 도 5에서 제2회전부재(400)는 래치부(420)만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200)는 해제 위치에 위치된 래치 부재(500)를 걸림 위치 쪽으로 초기 피벗시키기 위한 초기 피벗부가 마련된 점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피벗부는 래치 부재(500)의 몸체(52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530)와, 제1회전부재(30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될 때에 돌출부(530)를 밀어 래치 부재(500)를 해제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피벗시키는 푸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부(350)는 벽체(320)에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에서 돌출부(530)는 푸쉬부(350)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으며, 푸쉬부(350)로부터 약간 이격될 상태일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30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되기 시작할 때에 푸쉬부(350)가 돌출부(530)를 밀어 래치 부재(500)를 해제 위치쪽으로(제2방향(A2) 쪽으로) 초기 피벗시킨다. 이에 의하여, 래치 아암(510)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래치부(420)에 래치부(420)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300)가 제1방향(A1)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더라도 제2회전부재(400)는 회전되지 않으며, 래치 부재(500)는 제2방향(A2)으로 더욱 피벗되면서래치 아암(510)이 래치부(420)에 더욱 깊숙하게 걸린다.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에 도달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아암(510)이 래치부(420)에 완전히 걸리고, 동시에 래치 아암(510)이 측벽(341)에 지지된다. 그러면, 제1회전부재(300)의 제1방향(A1)의 회전력이 래치 부재(500)를 거쳐 제2회전부재(400)에 전달되고, 제2회전부재(400)가 제1회전부재(300)와 함께 제1방향(A1)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 피벗부를 채용함으로써, 래치 부재(500)를 안정적으로 걸림 위치로 피벗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부재(300)의 회전 개시 시기와 제2회전부재(400)의 회전개시 시기 사이의 지연 시간, 즉 백래쉬를 줄일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일방향 클러치(20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도 6은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7은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6과 도 7에서 제2회전부재(400)는 래치부(420)만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일방형 클러치(200)는 래치 부재(500)에 지지 아암(540)이 더 마련된 점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래치 부재(500)는 지지 아암(540)을 더 구비한다. 지지 아암(540)은 몸체(520)로부터 래치 아암(510)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용부(320)는 몸체(520)를 피벗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수용부(321)와, 제1수용부(321)와 연통되고 지지 아암(54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330)는 오목한 제1, 제2수용부(321)(322)를 정의한다. 개구부(340)는 제1수용부(321)에 마련된다. 벽체(330)는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때에 지지 아암(540)이 접촉되어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를 넘어 더이상 피벗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361)가 마련된다. 또한, 벽체(330)에는 해제 부재(500)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때에 지지 아암(540)이 지지되어,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를 넘어 더이상 피벗되지 않도록 래치 아암(510)을 지지하는 지지부(36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때에 지지 아암(540)과 지지부(362)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걸림 위치에서 제1회전부재(300)의 회전력이 안정적으로 래치 부재(500)를 거쳐 제2회전부재(40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된 일방향 클러치(200)에서 큰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제2회전부재(4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초기 피벗부, 즉 돌출부(530)와 푸쉬부(350)가 채용될 수 있다.
조립 과정에서 도 2, 도 4, 및 도 6에 C1, C2, C3로 표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500)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반대로 수용부(320)에 삽입될 경우, 일방향 클러치(200)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500)를 수용부(320)에 올바르게 삽입하기 위한 조립 기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래치 부재(500)의 몸체(520)에는 제1기준부(521)가 마련된다. 제1회전부재(300)의 바닥, 즉 수용부(320)의 바닥에는 제기준부(52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2기준부(301)가 마련된다. 일 예로서, 제1기준부(521)는 몸체(520)의 바닥으로부터 오목한 형상이고, 제2기준부(301)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제2기준부(521)(301)는 래치 부재(500)가 걸림 위치와 해제 위치로 피벗될 때에 피벗 중심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오목한 제1기준부(521)의 직경은 볼록한 제2기준부(301)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래치 부재(500)를 제1회전부재(300)의 수용부(320)에 삽입할 때에 제1기준부(521)와 제2기준부(301)가 서로 결합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만일, 래치 부재(500)가 거꾸로 삽입된 경우에는 래치 부재(500)가 제2기준부(301)의 돌출량만큼 위쪽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제2회전부재(400)가 축방향으로 올바른 위치에 위치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립 에러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9는 일방향 클러치(20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래치 부재(50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에서 제2회전부재(400)는 래치부(420)만이 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일방형 클러치(200)는 래치 부재(500)의 래치 아암(510)과 지지 아암(540)이 형상이 동일하고 피벗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래치 부재(500)를 수용부(320)에 삽입할 때에 삽입 방향에 대한 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조립 기준부가 필요없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초기 피벗부, 즉 돌출부(530)와 푸쉬부(350)가 채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래치 부재(500)가 내주측에 위치되고, 래치부(420)가 외주측에 위치되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500)가 외주측에 위치되고, 래치부(420)가 내주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10)와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구비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2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와 복수의 현상기(1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카트리지(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와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10)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4)과, 현상제 카트리지(1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현상기(10) 내에는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으며, 현상 슬리브 내에 자기롤러가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14)로 공급되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와 캐리어일 수 있다. 이 경우, 현상기(10) 내의 캐리어와 토너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여분의 캐리어는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되며, 도시되지 않은 폐현상제 용기에 수용된다.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감광드럼(14)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후술하는 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감광드럼(14)에 잔류되는 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상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방식에 대하여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노광기(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DE노광기 등이 있다.
중간전사벨트(6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중간전사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과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에는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전사롤러(61)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70)는 중간전사벨트(6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70)에는 중간전사벨트(6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정착기(80)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5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6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90)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70)와 중간전사벨트(6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새로운 현상제 카트리지(2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새로운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충전될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를 받아서 현상기(10)로 공급한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공급 관로(40)에 의하여 현상기(10)와 연결된다.
도 12는 현상제 공급유닛(3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현상제 공급유닛(30)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부(310)와, 현상기(10)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20)를 구비한다. 배출부(320)에는 공급 관로(40)가 연결된다.
현상제 공급유닛(30)에는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된 현상제를 배출부(620)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부(610) 쪽으로부터 배출부(620) 쪽으로 세 개의 이송부재(631)(632)(633)가 배치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유입부(610)를 통하여 현상제 공급유닛(30)으로 유입된 현상제는 이송부재(631)(632)(633)에 의하여 배출부(620) 쪽으로 이송된다.
이송부재(631)는 회전축(631-1)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운반하는 나선형 운반 날개(631-2)(631-3)를 구비한다. 운반 날개(631-2)(631-3)는 나선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다. 그러므로, 이송부재(631)가 회전되면, 현상제는 운반 날개(631-2)(631-3)가 서로 연결된 중앙부(631-4)로 모이며, 이송부재(632) 쪽으로 밀려서 이송된다. 이송부재(632)는 현상제 공급유닛(30) 내의 현상제를 휘저어 서로 뭉치지 않도록 한다. 이송부재(633)은 현상제 공급유닛(620) 내의 현상제를 반경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이송부재(633)는 회전축(633-1)과, 회전축(633-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패들형 운반 날개(633-2)를 구비한다. 이송부재의 갯수와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의 배출부(620)에는 공급관로(40)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배출부(620)는 현상제 공급유닛(30)의 하우징(601)으로부터 돌출된다. 현상제 공급부재(600)는 현상제 공급유닛(30)에 설치되며, 배출부(320)를 통과하여 공급관로(40) 내부로 연장된다. 공급 관로(40)는 직선적인 형태가 아닐 수 있으며, 구부러진 다중 곡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급 관로(40)는 그 단면 형상이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공급 관로(40)의 내부로 연장되는 현상제 공급부재(600)는 공급 관로(40)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다.
현상제 공급유닛(30)에는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640)이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640)은 현상제 공급유닛(30)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640)은 현상제 공급유닛(30) 내의 현상제 수위(level)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641)와, 승강부재(641)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64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640)는 승강부재(641)의 위치에 따라서 광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광센서 방식, 승강부재(641)의 위치에 따라서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자기센서 방식 등에 의하여 승강부재(64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승강부재(641)의 위치가 현상제의 수위를 반영하기 위하여는, 승강부재(641)가 현상제 공급유닛(30)의 현상제의 수면에 떠있어야 한다. 승강부재(641) 위에 토너가 쌓여서 승강부재(641)가 현상제에 묻히게 되면 승강부재(641)의 위치가 현상제의 수위를 반영하지 못하여 현상제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승강부재(641)는 이송부재(631)가 회전됨에 따라 이송부재(631)에 마련된 회전 캠(미도시)과 접촉되어 주기적으로 승강된다. 승강동작에 의하여 승강부재(641) 위에 쌓인 현상제를 털어내고 토너에 묻힌 승강부재(641)를 현상제 수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승강부재(641)는 이송부재(631)의 1회전 주기에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은 현상제 수위를 반영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현상제 공급유닛(30) 내의 현상제 수위의 검출값과현상기(10) 내의 토너 농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반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부터 현상기(10)로 현상제를 공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현상제 공급유닛(30) 내의 현상제 수위의 검출값과 토너 농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반하여 현상제 공급유닛(30)을 구동하는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현상기(10) 내에는 항상 적정량의 현상제가 존재하며, 안정적인 품질의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이송부재(631)(632)(633)와 현상제 공급부재(600)는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송부재(631)(632)(633)와 현상제 공급부재(600)는 예를 들어 기어 연결구조(65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기어(651)가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면, 이송부재(631)(632)(633)와 현상제 공급부재(600)가 기어 연결구조(650)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칼라화상형성장치의 경우 4개의 현상제 공급유닛(30)이 필요하며, 4개의 현상제 공급유닛(3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하여 4개의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가 필요하다.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면, 화상형성장치의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4개의 현상제 공급유닛(30)을 구동한다. 이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일방향 클러치(30)가 채용된다.
도 13은 현상제 공급유닛(30)의 구동 블록도의 일 실시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두 개의 모터(M1)(M2)와 4개의 일방향 클러치(200C)(200M)(200Y)(200K)가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일방향 클러치(200C)(200M)(200Y)(200K)는 각각 현상제 공급 유닛(30C)(30M)(30Y)(30K)에 대응된다. 4개의 일방향 클러치(200C)(200M)(200Y)(200K)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모터(M1)은 일방향 클러치(200C)(200M)와 연결된다. 일방향 클러치(200C)의 제1회전부재(300)는 모터(M1)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될 때에 제1방향(A1)과 제2방향(A2)으로 각각 회전된다. 일방향 클러치(200C)는 현상제 공급 유닛(30C)과 연결된다. 즉, 일방향 클러치(200C)의 제2회전부재(400)는 현상제 공급 유닛(30C)의 기어(651)와 연결된다. 일방향 클러치(200M)의 제1회전부재(300)는 모터(M1)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될 때에 제2방향(A2)과 제1방향(A1)으로 각각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모터(M1)과 일방향 클러치(200M) 사이에는 아이들 기어(G1)가 개재된다. 아이들 기어(G1)는 모터(M1)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일방향 클러치(200M)의 제1회전부재(300)에 전달하는 회전방향 전환부재이다. 일방향 클러치(200M)는 현상제 공급 유닛(30M)과 연결된다. 즉, 일방향 클러치(200M)의 제2회전부재(400)는 현상제 공급 유닛(30M)의 기어(651)와 연결된다.
모터(M2)은 일방향 클러치(200Y)(200Y)와 연결된다. 일방향 클러치(200K)의 제1회전부재(300)는 모터(M2)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될 때에 제1방향(A1)과 제2방향(A2)으로 각각 회전된다. 일방향 클러치(200K)는 현상제 공급 유닛(30K)과 연결된다. 즉, 일방향 클러치(200K)의 제2회전부재(400)는 현상제 공급 유닛(30K)의 기어(651)와 연결된다. 일방향 클러치(200Y)의 제1회전부재(300)는 모터(M2)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될 때에 제2방향(A2)과 제1방향(A1)으로 각각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모터(M2)와 일방향 클러치(200Y) 사이에는 아이들 기어(G2)가 개재된다. 아이들 기어(G2)는 모터(M2)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일방향 클러치(200Y)의 제1회전부재(300)에 전달하는 회전방향 전환부재이다. 일방향 클러치(200Y)는 현상제 공급 유닛(30Y)과 연결된다. 즉, 일방향 클러치(200Y)의 제2회전부재(400)는 현상제 공급 유닛(30Y)의 기어(651)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터(M1)을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현상제 공급 유닛(30C)이 구동되며, 모터(M1)을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현상제 공급 유닛(30M)이 구동된다. 또한, 모터(M2)을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현상제 공급 유닛(30K)이 구동되며, 모터(M2)을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현상제 공급 유닛(30Y)이 구동된다.
따라서, 두 개의 모터(M1)(M2)를 채용하여 4 개의 현상제 공급 유닛(30)을 구동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본체 10...현상기
13...현상롤러 14...감광드럼
15...대전롤러 20...현상제 카트리지
30...현상제 공급유닛 40...공급 관로
50...노광기 61...중간전사벨트
62...중간전사롤러 70...전사롤러
80...정착기 90...급지수단
200...일방향 클러치 300...제1회전부재
301...제2기준부 310...기어부
320...수용부 321, 322...제1, 제2수용부
330...벽체 340...개구부
341, 342...개구부의 측벽(또는 지지부와 스토퍼)
350...푸쉬부 361...스토퍼
362...지지부 400...제2회전부재
410...기어부 420...래치부
500...래치 부재 510...래치 아암
520...몸체 521...제1기준부
530...돌출부 540...지지 아암
600...현상제 공급부재 610...유입부
620..배출부 631, 632, 633...이송부재
640...현상제 잔량 검출유닛 651...기어
M1, M2...모터 G1, G2...아이들 기어

Claims (16)

  1.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래치부를 구비하는 제2회전부재;
    래치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래치부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피벗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래치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자전되지 않으며,
    상기 걸림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피벗될 때에 상기 래치 부재의 피벗 중심의 위치가 변하는 일방향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가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걸림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를 상기 제1회전부재와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1회전부재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피벗되는 일방향 클러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래치부에 밀려서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피벗되는 일방향 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할 때에 상기 돌출부를 밀어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위치로 초기 피벗시키는 푸쉬부가 마련된 일방향 클러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피벗될 수 있게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상기 래치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래치 부재를 에워싸서 상기 수용부를 정의하는 벽체와,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래치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벽체에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일방향 클러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래치 아암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1방향 쪽의 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해제 위치에 유지되는 일방향 클러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래치 아암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2방향 쪽의 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 위치에 유지되는 일방향 클러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일부가 상기 벽체의 일부에 접촉되는 일방향 클러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벽체에는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할 때에 상기 돌출부를 밀어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위치로 초기 피벗시키는 푸쉬부가 마련된 일방향 클러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상기 래치 아암과,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래치 아암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를 피벗될 수 있게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지지 아암이 위치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일방향 클러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정의하는 벽체와,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래치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벽체에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일방향 클러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아암이 접촉되어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가 마련된 일방향 클러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지지 아암이 접촉되어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걸림 위치에 유지시키는 지지부가 마련된 일방향 클러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벽체에는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할 때에 상기 돌출부를 밀어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위치로 초기 피벗시키는 푸쉬부가 마련된 일방향 클러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과 상기 지지 아암은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래치 부재의 피벗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일방향 클러치.
  16.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받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상기 복수의 현상기로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 유닛;
    모터;
    제1회전부재가 모터에 연결되고, 제2회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1일방향 클러치;
    제1회전부재가 모터에 연결되고, 제2회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2일방향 클러치;
    상기 제2일방향 클러치의 제1회전부재와 상기 모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2일방향 클러치의 제1회전부재에 전달하는 회전방향전환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60100885A 2016-08-08 2016-08-08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80016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85A KR20180016891A (ko) 2016-08-08 2016-08-08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CT/KR2017/007383 WO2018030648A1 (en) 2016-08-08 2017-07-11 Unidirectional clutch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5/647,916 US10048639B2 (en) 2016-08-08 2017-07-12 Unidirectional clutch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85A KR20180016891A (ko) 2016-08-08 2016-08-08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91A true KR20180016891A (ko) 2018-02-20

Family

ID=6107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85A KR20180016891A (ko) 2016-08-08 2016-08-08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48639B2 (ko)
KR (1) KR20180016891A (ko)
WO (1) WO2018030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854A (ko) * 2020-06-04 2021-12-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충전을 위한 선택적 동력 전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069B1 (ko) 1994-04-06 1999-04-01 전성원 일방향 클러치
AUPO882297A0 (en) * 1997-08-27 1997-09-18 Aimbridge Pty Ltd Ratchet mechanism
JP2001059530A (ja) 1999-08-19 2001-03-06 Nsk Warner Kk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4755783B2 (ja) 2001-03-21 2011-08-24 Nskワーナー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装置
JP2003083366A (ja) 2001-06-25 2003-03-19 Nsk Warner Kk ワンウェイクラッチ装置
JP4280077B2 (ja) 2003-01-22 2009-06-17 Nskワーナー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装置
JP2005016555A (ja) 2003-06-23 2005-01-20 Nsk Warner Kk ワンウェイクラッチ及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の取付け構造
JP2005172199A (ja) 2003-12-15 2005-06-30 Nifco Inc 一方向クラッチ
KR100532843B1 (ko) 2004-05-03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일방향 동력전달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면 인쇄기의정착기 구동장치
JP4731918B2 (ja) * 2005-01-18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864302B1 (ko) 2006-06-21 2008-10-20 유한회사 성원산업 클러치 및 이 클러치가 적용된 동력전달장치
US7621842B2 (en) * 2007-02-14 2009-11-24 Shimano Inc. Bicycle hub assembly
KR100977854B1 (ko) * 2008-06-13 2010-08-25 유동현 일방향 래칫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의 구동장치
JP5405211B2 (ja) 2009-06-30 2014-02-05 株式会社ニフコ 一方向クラッチ
KR101288763B1 (ko) * 2011-07-19 2013-07-26 김권석 자전거용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자전거
JP6494157B2 (ja) * 2013-06-28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及び駆動伝達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9220A1 (en) 2018-02-08
WO2018030648A1 (en) 2018-02-15
US10048639B2 (en)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18002A (ja) 画像形成装置
US9746801B2 (en) Cartridge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028652A (ko)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170060412A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1624988B2 (en) Toner supply duct pivotable to allow rotation of development cartridge
JP5736919B2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84747A (ja) 画像形成装置
KR101579738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628567B1 (ko) 현상기 동력단속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180016891A (ko)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6058913A (ja) 画像形成装置
US11294302B2 (en) Developer cartridge with spring auger
JP2007147764A (ja) 現像装置
US11079713B1 (en) Cartridge having rotatable coupler
CN113412454B (zh) 能通过联接器的反向旋转向拆卸方向移动的调色剂盒
JPH08292708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824440B2 (ja) 濃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8478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6518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56483A (ko) 화상형성장치 및 노광유닛 세팅방법
JPH101086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345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04990A (ja) 現像ユニット
KR20190009141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9003185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