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873A -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873A
KR20110001873A KR1020100045834A KR20100045834A KR20110001873A KR 20110001873 A KR20110001873 A KR 20110001873A KR 1020100045834 A KR1020100045834 A KR 1020100045834A KR 20100045834 A KR20100045834 A KR 20100045834A KR 20110001873 A KR20110001873 A KR 2011000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lit
mast
plat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744B1 (ko
Inventor
히로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마스트 내에 배치된 체인에 의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서, 마스트 내에서 발생한 진애가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한다. 승강 장치(7)는 마스트(11)와 승강대(12)와 체인(23)과 접속 부재(33)와 판상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트(11)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8a)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대(12)는 마스트(11)를 따라 승강 가능하다. 체인(23)은 마스트(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승강대(12)를 구동시키기 위한 순환식의 부재이다. 접속 부재(33)는 슬릿(18a)을 통과하여 체인(23)과 승강대(12)를 접속시킨다. 판상 부재(42)는 체인(23)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슬릿(18a)을 덮고 있다.

Description

승강 장치{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승강 장치, 특히 마스트(mast) 내에 배치된 체인에 의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은 주행 대차(臺車)와 이에 설치된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승강대와 이에 설치된 이동 재치기(예를 들면, 스칼라 암)를 가지고 있다.
전자 부품 제조 공정은 실내의 진애를 극단적으로 감소시킨 클린 룸 내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클린 룸 내에서 이용되는 스태커 크레인에는 기구부로부터의 진애의 발생을 억제하여 분진의 확산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 장치는 승강대와 마스트와 마스트 내에 배치된 벨트와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트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 내에 배치된 접속 부재가 승강대와 체인을 접속시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1-334869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승강 장치에서는 구동 벨트가 슬릿의 씰링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용의 씰링 부재가 없어도 벨트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생긴 더스트가 슬릿으로부터 쉽게 나가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오염이 적어진다.
한편, 승강 장치에 체인을 이용한 경우에는 슬릿을 가리기 위해 커버 링 전용의 벨트 기구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커버 링 전용의 벨트 기구는 벨트, 풀리(pulley), 텐션 등의 부품이 필요하고, 그 배치에 여분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코스트, 중량, 메인터넌스 항목 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마스트 내에 배치된 체인에 의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마스트 내에서 발생한 진애가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승강 장치는 마스트(mast)와 승강대와 체인과 접속 부재와 슬릿(slit)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트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대는 마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다. 체인은 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승강대를 구동시키기 위한 순환식의 부재이다. 접속 부재는 슬릿을 통과하여 체인과 승강대를 접속시킨다. 슬릿 덮개 부재는 체인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승강 장치에서는 체인에 고정된 슬릿 덮개 부재에 의해 슬릿을 덮으므로, 마스트의 슬릿으로부터 진애가 외부로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슬릿을 덮는다’고 하는 것은 체인이 슬릿과 대향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슬릿 덮개 부재가 체인과 슬릿 사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슬릿으로부터 새는 파티클 등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슬릿을 덮는다’라고 하는 것은 슬릿의 일부만을 덮는 것도 포함하고 있어, 슬릿 전체를 덮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인은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체인 부재를 가지고 있고, 슬릿 덮개 부재는 한 쌍의 체인 부재 간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승강 장치에서는 슬릿 덮개 부재의 양단이 체인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체인은 복수의 링크를 가지고 있고, 슬릿 덮개 부재는 링크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판상(板狀)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승강 장치에서는 판상 부재가 체인의 각 링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체인이 이동할 때에 판상 부재가 체인의 움직임을 쉽게 방해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트 내에 배치된 체인에 의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서 마스트 내에서 발생한 진애가 외부로 새는 것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이동 재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동 재치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이동 재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승강 장치의 마스트(mast)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승강 장치의 마스트의 중간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승강 장치의 마스트의 상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체인 및 상부 스프로킷(sprocket)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마스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1) 이동 재치 장치
도 1을 이용하여 이동 재치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이동 재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동 재치 장치(1)는, 예를 들면 대형 액정 기판이 들어간 카세트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며, 주로 기대(基臺)(5)와 승강 장치(7)와 이동 재치기(8)를 가지고 있다.
기대(5)에는 복수의 바퀴(9)가 설치되어 있다. 바퀴(9)는 지면에 부설된 레일(10) 상에 있다. 바퀴(9)는, 예를 들면 기대(5) 내에 탑재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레일(10)을 따라 창고의 선반(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2) 승강 장치(개략)
승강 장치(7)는, 주로 한 쌍의 마스트(mast)(11)와 승강대(12)와 구동 기구(13)(후술)를 가지고 있다. 마스트(11)는 기대(5) 상에 좌우 한 쌍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승강대(12)는 마스트(11)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구동 기구(13)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마스트(11)를 따라 승강한다.
(3) 이동 재치기
도 2를 이용하여 이동 재치기(8)를 설명한다. 도 2는 이동 재치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동 재치기(8)는 창고의 선반(도시하지 않음)에 카세트를 반입·반출시키기 위한 스칼라 암이다. 이동 재치기(8)는 승강대(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 재치기(8)는 신축과 회전이 가능하며, 신장된 상태로 카세트의 반입·반출을 행하고, 수송 시에는 수축된 상태로 카세트를 탑재한다. 또한, 이동 재치기(8)는 회전하여 반대측 선반에 카세트를 반입·반출시킬 수도 있다.
(4) 승강 장치(상세)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승강대(12)를 설명한다. 도 3은 이동 재치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승강대(12)는 승강대 본체(15)와 그 양측의 지지 프레임(16)을 가지고 있다. 지지 프레임(16)은 구동 기구(13)(후술)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대 본체(15)를 매달고 있다. 지지 프레임(16)은 밑변이 승강대 본체(15)의 폭과 동일한 대략 이등변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마스트(11)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승강 장치의 마스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6은 승강 장치의 마스트의 중간부의 횡단면도이며, 도 7은 승강 장치의 마스트의 상부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의 좌우 방향 및 도 6 및 도 7의 상하 방향을 ‘마스트 대향 방향’이라고 하고, 도 6 및 도 7의 좌우 방향을 ‘마스트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라고 한다.
마스트(11)는 주로 마스트 본체(17)와 내측 커버(18)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트 본체(1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이며, 단면이 중공(中空)인 대략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마스트 본체(17)의 상단부에는 상부 프레임(21)이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하부 프레임(22)이 장착되어 있다.
내측 커버(18)는 수지 등의 박판이며, 마스트 본체(17)의 내측면(17a)(마스트 대향 방향의 대향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내측 커버(18)는 마스트 본체(17)의 내측면(17a)과의 사이의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내측 커버(18)의 정면 부분(마스트 대향 방향의 대향측의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8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8a)에 의해 내측 커버(18)의 내외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승강 장치(7)의 구동 기구(13)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 기구(13)는 체인 구동식의 기구로서, 주로 체인(23)과 상측 스프로킷(sprocket)(24)과 하측 스프로킷(25)과 구동 장치(26)를 가지고 있다. 상측 스프로킷(24)은 상부 프레임(21) 내에 배치되고, 하측 스프로킷(25)은 하부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체인(23)은 순환식 롤러 체인으로서, 상측 스프로킷(24)과 하측 스프로킷(25)에 감겨져 있다. 체인(23)은 내측 커버(18) 내의 공간과 마스트 본체(17)의 중공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체인(2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제 1 체인 부재(23A) 및 제 2 체인 부재(23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체인 부재(23A) 및 제 2 체인 부재(23B)는 각각이 2 열의 체인 부재이며, 롤러, 부싱(bushing), 내측 플레이트(내측 링크), 외측 플레이트(외측 링크),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스프로킷(24)은 제 1 상측 스프로킷(24A) 및 제 2 상측 스프로킷(24B)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 스프로킷(25)도 동일하다(도시하지 않음).
구동 장치(26)는 하부 프레임(22)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 장치(26)는, 예를 들면 모터를 포함하고 있고, 하측 스프로킷(25)으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구동 장치(26)가 하측 스프로킷(25)으로 동력을 전달하면, 체인(23)이 상측 스프로킷(24)과 하측 스프로킷(25) 사이를 순환한다.
체인(23)에서 내측 커버(18) 내를 통과하는 부분에는 이동 블록(32)이 매달아져 있다. 체인(23)에서 마스트 본체(17)의 중공 내를 통과하는 부분에는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29)가 매달아져 있다. 카운터 웨이트(29)의 중량은 반송할 카세트를 실은 승강대(12)와 밸런스가 잡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마스트 본체(17)의 내측면(17a)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1)에는 상술한 이동 블록(32)이 계합되어 있다. 이동 블록(32)은 가이드 부재(31)에 의해 전후 좌우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31)에 따른 상하 이동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 블록(32)은 접속 부재(33)를 개재하여 지지 프레임(16)에 연결되어 있다. 접속 부재(33)는 내측 커버(18)의 슬릿(18a) 내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이동 블록(32)에는 체인 장착부(34)가 2 개소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체인(23)이 상하로 고정되어 매달려 있다.
또한, 슬릿(18a)의 폭(마스트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은 제 1 상측 스프로킷(24A) 및 제 2 상측 스프로킷(24B)의 간격보다 좁다.
마스트 본체(17)의 개구부에는 복수의 팬 필터 유닛(fan filter unit)(35)이 장착된다. 팬 필터 유닛(35)은 팬과 고성능 필터를 구비하고 있어, 마스트 본체(17) 내의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마스트(11) 밖으로 더스트(dust)가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공기를 배출한다.
(5) 슬릿 차폐 구조
승강 장치(7)는 마스트(11)의 내측 커버(18)의 슬릿(18a)을 차폐하기 위한 더스트 누설 억제 구조(4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마스트 본체(17)에 내측 커버(18)를 설치함으로써, 체인(23)의 얽힘 방지 효과 외에, 이동 블록(32)과 체인(23)의 승강에 의해 발생된 진애를 확산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단, 내측 커버(18)에는 접속 부재(33)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릿(18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진애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에 서술하는 더스트 누설 억제 구조(40)가 채용되어 있다.
더스트 누설 억제 구조(40)는, 주로 체인(23)에 고정된 판상(板狀) 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체인 부재(23A) 및 제 2 체인 부재(23B)의 서로 가까운 쪽의 열에 있는 서로 가까운 쪽의 내측 플레이트(41)에 판상 부재(42)가 고정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판상 부재(42)는 마스트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양단이 상술한 2 개의 내측 플레이트(41)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상 부재(42)의 양단이 체인(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내측 플레이트(41)에는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부(43)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43)에는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부싱(bushing)(44)이 볼트(45) 및 너트(4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부싱(44)의 선단에는 상술한 판상 부재(42)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판상 부재(4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이며,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판상 부재(42)의 장변(좌우 방향 폭)은 대략 제 1 체인 부재(23A) 및 제 2 체인 부재(23B) 사이에 대응하고 있다. 판상 부재(42)의 단변은 대략 체인의 링크 하나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판상 부재(42)끼리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체인 및 상부 스프로킷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마스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서는, 체인(23)에서 내측 커버(18) 내에서 슬릿(18a)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부분에 장착된 판상 부재(42)를 설명한다. 판상 부재(42)는 내측 커버(18)의 슬릿(18a)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방에 있는 제 1 단부(42a)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에 있는 다른 판상 부재(42)의 상방에 있는 제 2 단부(42b)에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판상 부재(42)가 연속해서 배치되고, 양단이 슬릿(18a)으로부터 마스트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외측에 있다. 즉, 복수의 판상 부재(42)가 슬릿(18a)의 대부분을 덮고 있다.
또한, 판상 부재(42)는 슬릿(18a)에 근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판상 부재(42)와 내측 커버(18)의 간극은 슬릿(18a)으로부터 나오는 진애의 양이 허용 범위가 될 정도라면 그 이상 작지 않아도 좋다.
판상 부재(42)는 체인(23)에서 슬릿(18a)을 통과하는 부분 전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 부재(33)가 통과하는 부분에는 판상 부재(4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스트 누설 억제 구조(40)는 캐터필러(caterpillar)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판상 부재(42)로 구성되어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부품의 종류도 적다. 또한, 복수의 판상 부재(42)는 체인 구동에 맞추어 순환 수송될 뿐이므로, 그렇게 많은 메인터넌스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 부분이 적기 때문에 벨트 방식에 비해 더스트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승강 체인에 캐터필러 형상의 부가 장치를 장착하여 슬릿을 가리는 커버로 함으로써, 종래의 커버 벨트 방식에 비해 공간 절약이 된다.
(6) 특징
승강 장치(7)는 마스트(11)와 승강대(12)와 체인(23)과 접속 부재(33)와 판상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트(11)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8a)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대(12)는 마스트(11)를 따라 승강 가능하다. 체인(23)은 마스트(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승강대(12)를 구동시키기 위한 순환식의 부재이다. 접속 부재(33)는 슬릿(18a)을 통과하여 체인(23)과 승강대(12)를 접속시킨다. 판상 부재(42)는 체인(23)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슬릿(18a)을 덮고 있다.
이 승강 장치(7)에서는 체인(23)에 고정된 판상 부재(42)에 의해 슬릿(18a)을 덮기 때문에, 마스트(11)의 슬릿(18a)으로부터 진애가 외부로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슬릿(18a)을 덮는다’라고 하는 것은 체인(23)이 슬릿(18a)과 대향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판상 부재(42)가 체인(23)과 슬릿(18a) 사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슬릿(18a)으로부터 누설되는 파티클 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슬릿(18a)을 덮는다’라고 하는 것은 슬릿(18a)의 일부만을 덮는 것도 포함하고 있으며, 슬릿(18a)의 전부를 덮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인(23)은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 1 체인 부재(23A) 및 제 2 체인 부재(23B)를 가지고 있고, 판상 부재(42)는 제 1 체인 부재(23A) 및 제 2 체인 부재(23B)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승강 장치(7)에서는 판상 부재(42)의 양단이 체인(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체인(23)은 복수의 내측 플레이트(41)를 가지고 있고, 판상 부재(42)는 내측 플레이트(41)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승강 장치(7)에서는 판상 부재(42)가 체인(23)의 각 내측 플레이트(4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체인(23)이 이동할 때에 판상 부재(42)가 체인(23)의 움직임을 쉽게 방해하지 못한다.
(7)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1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판상 부재(42A)는 내측 커버(18)의 슬릿(18a)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방에 있는 제 1 단부(42c)가 하방에 있는 다른 판상 부재(42A)의 상방에 있는 제 2 단부(42d)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판상 부재(42B)는 내측 커버(18)의 슬릿(18a)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방에 있는 제 1 단부(42e)가 하방에 있는 다른 판상 부재(42B)의 상방에 있는 제 2 단부(42f)에 외측으로부터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체인의 종류 및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 개의 체인이 아니라 1 개의 체인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1 개의 체인 플레이트에 판상 부재가 고정된다. 또한, 더블 롤러 체인이 아니라 싱글 롤러 체인이어도 좋고, 3 열 이상의 다열 롤러 체인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판상 부재는 스페이서로서의 부싱에 의해 슬릿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체인 자체가 충분히 슬릿에 가까운 경우에는, 부싱을 이용하지 않고 판상 부재를 직접 체인에 고정해도 좋다.
판상 부재의 형상, 개수, 배치 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판상 부재는 고정 부분으로부터 체인 연장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판상 부재는 고정 부분으로부터 체인 연장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판상 부재가 고정되는 체인의 부재는 내측 플레이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상 부재는 체인의 모든 링크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링크 하나 간격으로 판상 부재가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판상 부재의 길이를 링크 두 개의 길이로 함으로써, 판상 부재끼리의 간극을 없애거나 또는 줄이게 된다.
본 발명은 마스트 내에 배치된 체인에 의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이동 재치 장치
5 : 기대
7 : 승강 장치
8 : 이동 재치기
9 : 바퀴
10 : 레일
11 : 마스트
12 : 승강대
13 : 구동 기구
15 : 승강대 본체
16 : 지지 프레임
17 : 마스트 본체
17a : 내측면
18 : 내측 커버
18a : 슬릿
21 : 상부 프레임
22 : 하부 프레임
23 : 체인
23A : 제 1 체인 부재
23B : 제 2 체인 부재
24 : 상측 스프로킷
24A : 제 1 상측 스프로킷
24B : 제 2 상측 스프로킷
25 : 하측 스프로킷
26 : 구동 장치
29 : 카운터 웨이트
31 : 가이드 부재
32 : 이동 블록
33 : 접속 부재
34 : 매달린 체인 장착부
35 : 팬필터 유닛
40 : 더스트 누설 억제 구조
41 : 내측 플레이트
42 : 판상 부재(슬릿 덮개 부재)
43 : 돌기부
44 : 부싱
45 : 볼트
46 : 너트

Claims (3)

  1.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이 형성된 마스트(mast)와,
    상기 마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대와,
    상기 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승강대를 구동시키기 위한 순환식의 체인과,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체인과 상기 승강대를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와,
    상기 체인의 외주부에 고정된 슬릿 덮개 부재
    를 구비한 승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체인 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슬릿 덮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체인 부재 간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복수의 링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슬릿 덮개 부재는 상기 링크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판상(板狀) 부재를 가지고 있는 승강 장치.
KR1020100045834A 2009-06-29 2010-05-17 승강 장치 KR101345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3481A JP4962535B2 (ja) 2009-06-29 2009-06-29 昇降装置
JPJP-P-2009-153481 200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73A true KR20110001873A (ko) 2011-01-06
KR101345744B1 KR101345744B1 (ko) 2013-12-30

Family

ID=4338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834A KR101345744B1 (ko) 2009-06-29 2010-05-17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62535B2 (ko)
KR (1) KR101345744B1 (ko)
CN (1) CN101934918B (ko)
TW (1) TW2011003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0906A (zh) * 2019-02-01 2019-04-26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中空内腔的电梯井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9346B (zh) * 2012-08-22 2016-06-22 青岛丰东热处理有限公司 叉车式离子渗氮炉钟罩的升降和移动装置
JP6432876B2 (ja) 2014-08-11 2018-12-05 村田機械株式会社 昇降装置と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昇降台の高さ保持方法
CN104534088B (zh) * 2014-12-26 2017-02-01 苏州威尔特铝合金升降机械有限公司 一种桅柱式升降机构的防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3856A (fr) * 1972-01-14 1973-05-02 Ingold & Co Hans Installation de transport tridimensionnelle
CH615888A5 (ko) * 1977-04-19 1980-02-29 Masyc Ag
JPH037108A (ja) * 1989-06-05 1991-01-14 Murakoshi Seiko:Kk 組立枠
JPH0646881Y2 (ja) * 1989-06-09 1994-11-3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移動体の位置決めマーク
JPH04350008A (ja) * 1991-02-12 1992-12-04 Murata Mach Ltd クリーン倉庫内で使用される物品搬入搬出装置
JPH04350007A (ja) * 1991-02-12 1992-12-04 Murata Mach Ltd クリーン倉庫内で使用される物品搬入搬出装置
JPH0564105U (ja) * 1992-01-30 1993-08-2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の防塵装置
JP3267932B2 (ja) * 1998-05-20 2002-03-25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装置
JP3835377B2 (ja) * 2001-11-28 2006-10-18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3968569B2 (ja) * 2002-05-21 2007-08-29 株式会社アテックス 昇降装置
JP4523341B2 (ja) * 2004-06-10 2010-08-11 株式会社イシダ バケットコンベア
JP2007069996A (ja) * 2005-09-02 2007-03-22 Daihatsu Motor Co Ltd 走行設備
JP2009046279A (ja) * 2007-08-22 2009-03-05 Murata Mach Ltd 走行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0906A (zh) * 2019-02-01 2019-04-26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中空内腔的电梯井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34918A (zh) 2011-01-05
CN101934918B (zh) 2014-06-25
JP4962535B2 (ja) 2012-06-27
KR101345744B1 (ko) 2013-12-30
TW201100312A (en) 2011-01-01
JP2011006240A (ja)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44B1 (ko) 승강 장치
JP5133328B2 (ja) 噛合チェーン式垂直搬送機
CN114401910B (zh) 输送系统以及保管部
JP2007197164A (ja) 垂直搬送装置
JP2018028232A (ja) 昇降装置
JP2019182624A (ja) 自動倉庫
KR101416433B1 (ko) 이동 재치 장치
JP2008114969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マスト内浄化装置
TWI603026B (zh) 用於固持基底的設備
JP5914022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5424849B2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CN217625867U (zh) 一种物料箱输送装置
CN214086491U (zh) 稳定输送型顶升移载机
CN217575781U (zh) 一种盒状物输送机构
KR100536434B1 (ko) 카세트 보관 시스템
CN220222245U (zh) 一种换层用的单臂式提升机
JP7147236B2 (ja) 搬送装置
TWI836140B (zh) 搬運系統及保管部
CN220810724U (zh) 料箱转运装置和具有其的搬运机器人
JP2006062846A (ja) 移載装置
JP2004043105A (ja) 自動倉庫用クレーン
KR20180037555A (ko) 클린룸용 스택커
JP4855881B2 (ja) ロータリーラックにおける荷移載時の位置決め装置
CN117002977A (zh) 顶升横移装置
JP2005022470A (ja) 荷台自動昇降式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