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639A -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 Google Patents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639A
KR20110000639A KR1020107021020A KR20107021020A KR20110000639A KR 20110000639 A KR20110000639 A KR 20110000639A KR 1020107021020 A KR1020107021020 A KR 1020107021020A KR 20107021020 A KR20107021020 A KR 20107021020A KR 20110000639 A KR20110000639 A KR 20110000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oller
drive
roller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124B1 (ko
Inventor
디르크 호프만
토마스 호스터
오토 융
하르디 레스마이스터
카를-하인쯔 쉬테
Original Assignee
게브르. 파이퍼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025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006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게브르. 파이퍼 아게 filed Critical 게브르. 파이퍼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0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4Mills with pressed pendularly-mounted rollers, e.g. spring pres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06Ring or disc drive gear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판(1), 분쇄용 롤러(M)들, 및 분쇄판(1)에 작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부(A)들을 포함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및 그러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분쇄용 롤러, 및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매칭 구동부(A)는 작동 중에 맞대임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판(1)의 반경방향 베어링에 영향을 주는 반경방향 힘이 적게 생성된다.

Description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Roller grinding mill}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는 수백년 이상 알려져 왔으며 전세계에 걸쳐서 이용되고 있다.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는 매우 광범위한 설계형태로서 존재한다. 예를 들어 1902년의 DE 153 958 C 에는 스프링 압력 하에서 여덟개의 분쇄용 원추부(grinding cone)들이 안착된 회전하는 분쇄판(grinding plate)을 구비한 원추형 밀링장치(cone mill)가 개시되어 있다.
현대의 밀링장치들은 높은 밀링 출력(milling output)을 달성하기 위하여 큰 직경과 무거운 중량을 갖는 분쇄용 롤러를 이용한다. 특허문헌 DE 198 26 324 C, DE 196 03 655 A, 및 EP 0 406 644 B 을 참조하라. 이와 같은 형태의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는 디자인, 제어, 및 에너지 경제성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갖기 때문에 실제에 있어서 매우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현재의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를 위한 주요 적용 영역은 시멘트 산업계 및 화력 발전 분야이다. 시멘트 산업계에서는, 시멘트 원재료의 생산 뿐만 아니라 클링커 분쇄(clinker grinding) 및 석탄 분쇄를 위하여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이용된다.
열교환기 및 클링커 냉각기(clinker cooler)로부터의 화로 배출 가스(furnace exhaust gas)는, 회전식 가마(kiln) 및 하소 설비(calcining installation)와 조합되어, 분쇄 적치물(grinding stock)을 건조하는데에 이용되고 또한 분쇄된 적치물을 공압식으로 이송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발전 플랜트에서는, 석탄을 미세하게 분쇄하고, 가능하다면 중간의 벙커(bunker)를 이용하지 않고서 분립기 공기(classifier air)의 도움을 받아 보일러로 직접 공급하기 위하여,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이용된다.
현대의 대형 밀링장치들은 최대 10 MW의 구동 동력 수준을 필요로 한다. 물론, 관련된 베어링 및 구동부들, 특히 전동부가 특수한 설계형태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치(teeth), 샤프트 베어링(shaft bearing), 통합식 축방향 쓰러스트 베어링(integrated axial thrust bearings), 및 그들의 전동부 하우징 내의 지지부들이 특히 큰 부하를 받는다. 6 MW 까지의 구동 동력 수준을 위하여는, 원형의 형상으로 인하여 원형의 분쇄판에 매칭되는 유성 베벨 기어 전동부(planetary bevel gear transmissions)가 현재의 기술로서 정립되어 있는데; 그것은 기반(foundation)에 정적 및 동적의 분쇄력을 전달한다. 문헌 DE 35 07 913 A 또는 DE 37 12 562 C 을 참조하라. 유체동력학 및/또는 유체정역학적인 윤활이 제공된 피봇식 패드 베어링(pivoted-pad bearings)이 축방향 쓰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이용되는바; 문헌 DE 33 20 037 C 을 참조하라.
그러나 그들의 디자인, 공간 절약성은 현저한 단점들을 갖는다. 단 하나의 구성요소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구동부 전체가 분해되어야 한다. 유성 전동부의 기어들을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매우 어렵고, 종종 구동부가 완전히 분해되기 전에는 그 검사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상기 단점은 특히 불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구동부들은 특수한 디자인(설계 형태)을 갖기 때문에, 교체 부품의 입수에는 그에 따라 긴 시간, 예를 들어 수 주 또는 수 개월이 소요되는데, 이것은 교체 부품을 적치해 두는 것은 그 특수한 설계형태로 인하여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만족스럽지 못한 사실이다.
종래 기술의 구동부 설계형태의 다른 단점은, 소위 보수 구동부(maintenance drive)라 불리는 것인데, 이것은 어떤 보수 및 수리 작업 중에 분쇄판을 회전시키지만, 그것은 1차 전동부(primary transmission) 자체가 기능하는 동안에만 기능한다.
자연히, 이러한 부적절성과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이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문헌 DE 39 31 116 C 에는 수직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분쇄판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용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분쇄판의 하측 부분에 연결된 크라운 기어를 갖는 것이다. 또한, 두 개의 대각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부들이 제공되는데, 그 각각은 구동 모터와 기어 감속기(gear reducer)를 포함한다. 각 기어 감속기는 분쇄판의 크라운 기어와 맞물리는 두 개의 피니언(pinion)들을 구비한다.
문헌 DE 76 29 223 U 에는 분쇄판 아래에 배치된 링 기어(ring gear)를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밀링장치 하우징의 베이스에 고정된 네 개의 유압 모터들의 피니언들은 링 기어와 맞물린다.
이러한 다중-모터 구동부 개념의 이론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실제에 있어서 크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유압식 구동부의 경우에는, 전기식 구동부에 비하여 낮은 효율과, 유압 구성요소들의 낮은 가용성 및 수명이 단점이다. 전술된 이중 구동부 개념의 전기 모터들 및 기어 감속기는. 작업 중에 상당한 과잉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데, 그러한 과잉 토크는 전동부가 파괴점(point of destruction)에 이르도록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의 고장이 발생하는 때에는 필요한 용량(capacity)으로 밀링 작업을 지원하지 못한다.
그러나,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증가하는 용량과 함께 증가한 것은 필요한 구동 동력 수준만이 아니고, 분쇄판에서 구르는 분쇄용 롤러들의 갯수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문헌 DE 103 43 218 B4 에는 단일의 구동부와 6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그 설계형태는 두 개의 대각 방향으로 대향된 분쇄용 롤러들이 동시에 외향 피봇(pivot out)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밀링 장치는 남아 있는 네 개의 활성인 분쇄용 롤러들에 의하여 충만한 밀링 출력의 80%를 낼 수 있도록 의도되어 있다. 이 설계형태에 있어서의 단점은, 하나의 분쇄용 롤러만이 고장난 때에도 언제나 두 개의 분쇄용 롤러들이 외향 피봇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헌 DE-OS 21 24 521 에도 6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문헌 DE 197 02 854 A1 에는 네 개의 분쇄용 롤러들이 구비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각 분쇄용 롤러는 개별의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고, 그 구동부는 전기 모터 및 기어 감속기를 포함한다. 분쇄판 자체는 구동부를 갖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구동부들 또는 하나 이상의 분쇄용 롤러들의 비활성화(deactivation)를 위한 대비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구동부들 및 적어도 두 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 밀링장치에서는 단일의 분쇄용 롤러가 비활성화된 때에 분쇄판의 반경방향 베어링에서 반경방향 베어링에 과도한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낮은 힘만이 발생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갖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위에서 언급된 DE 103 43 218 B4 에서와는 달리, 두 개의 대각방향으로 대향된 분쇄용 롤러들이 아니라 단일의 분쇄용 롤러만이 분리된다면, 남아 있는 분쇄용 롤러들에 의하여 생성되는,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인 힘 성분이 분쇄판에 작용한다. 이 반경방향의 힘 성분은 축방향으로, 특히 분쇄판의 반경방향 베어링에 상당한 정도의 부하를 가한다. 따라서, 분쇄판의 베어링은 상당히 큰 크기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분쇄판이 원주 주위로 배분된 복수의 구동부들에 의하여 구동되고 또한 매칭 구동부(matching drive)가 분쇄용 롤러와 동일한 때에 비활성화된다면, 그와 같은 것이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매우 적은 정도로만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매칭 구동부"라는 용어는 비활성화 시에 최소의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minimal resultant radial force)만이 일어나도록 하는 구동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구동부에 문제가 있는 때에는 매칭되는 분쇄용 롤러가 비활성화된다면 동일하게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분쇄용 롤러가 고장나고 그에 대응하는 구동부가 분리된 때에, 밀링 출력은 그에 따라서 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현재, 접촉력(contact force)을 증가시키고 분립기 공기를 증대(boosting)시킴에 의하여 밀링 출력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구동부를 제거함에 의하여 달성되는 보상 효과를 무효화(nullify)시킬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안은 필요한 처리량(throughput)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쇄용 롤러들의 접촉력을 증가시킴과 함께, 남아 있는 구동부들의 구동력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판에는 크라운 기어가 장착되며, 그 크라운 기어에 구동부가 작용한다.
분쇄용 롤러들을 분쇄 트랙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들어올리고 또한 그들을 밀링장치로부터 외향으로 피봇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들은 밀링장치 하우징 옆에 있는 브라켓들 상의 로커 아암들에 의하여 장착된다.
구동부의 비활성화는, 예를 들어 전력인 구동 에너지를 스위치 오프(switching off)시켜서 전동부와 모터가 공회전하도록 함에 의해서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가 분쇄판으로부터 분리된다면 더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들은 이를 위하여 레일들 또는 운반부들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놀랍게도, 구동부 및 분쇄용 롤러가 비활성화되는 때에 남아 있는 반경방향 힘 성분은, 분쇄용 롤러들 및 구동부들 간의 각도가 변경된다면 더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들의 각도 위치가 밀링장치의 중심 주위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분쇄용 롤러 또는 구동부가 고장나는 때에 발생하는 반경방향 힘 성분을, 남아 있는 분쇄용 롤러들 자체가 반대의 힘 성분을 발생시킴에 의하여 보상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용 롤러들은 접선방향 위치에 대해 회전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분쇄용 롤러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구동부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경제적인 실시예는, 모듈 형태로 제작되는 구동부들 및 로커 아암들을 구비한 분쇄용 롤러들을 제공한다. 밀링 장치 운용자의 바램에 따라서 더 많거나 적은 수의 롤러 모듈들 또는 구동 모듈들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분쇄용 롤러들, 로커 아암들, 모터들, 및 전동부들과 같은 밀링장치 구성요소들이 대량 생산될 수 있고 또한 수리를 위하여 적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분쇄용 롤러들이 고장나는 때에 발생하는 반경방향 힘 성분을 보상하여 분쇄판 베어링의 과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9 의 특징을 구비한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남아 있는 구동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도 위치가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이 최소로 되도록 변경되는 때에, 그 결과적인 방경방향 힘 성분의 추가적인 감소가 얻어진다.
반경방향 힘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지막 가능성은, 남아 있는 분쇄용 롤러들을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이 최소로 되는 각도로 설정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적어도 두 개의 구동부들 및 적어도 두 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밀링장치에서는 단일의 분쇄용 롤러가 비활성화된 때에 분쇄판의 반경방향 베어링에서 반경방향 베어링에 과도한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낮은 힘만이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바, 그 도면들은 개략적인 것이다.
도 1 은 6 개의 개별 구동부들, 및 브라켓들 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6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밀링장치의 작동 중에 다양한 작동 상태에서 생성되는 반경방향 힘을 도시하며;
도 3 은 5개의 구동부들 및 5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밀링장치의 작동 중에 생성되는 반경방향 힘을 도시하고;
도 4 는 네 개의 구동부들 및 네 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작동 중에 다양한 작동 상태 하에서 생성되는 반경방향 힘을 도시하며;
도 5 는 세 개의 구동부들 및 세 개의 분쇄용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다양한 작동 상태 하에서 받는 반경방향 힘을 도시한다.
도 1 에는 회전하는 분쇄판(1)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그것의 분쇄 트랙에서는 6개의 분쇄용 롤러(M)들이 구른다. 분쇄판(1)은 축방향 베어링 및 반경방향 베어링(3)에 의하여 지지된다. 각 분쇄용 롤러(M)는 외부 브라켓(5) 상의 로커 아암(4)에 의하여 장착되어서, 각 분쇄용 롤러(M)는 분쇄 트랙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또한 밀링장치로부터 외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것은 밀링 작업을 계속하면서 분쇄용 롤러의 수리 또는 보수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6개의 분쇄용 롤러(M)들 사이에 보이는 것은 6개의 구동부(A)들인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인 모터와 전동부를 포함한다. 모든 구동부(A)는 분쇄판(1)에 부착된 크라운 기어(미도시)에 작용한다.
분쇄판(1)으로부터 구동부(A)를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구동부는 운반부 또는 레일(미도시) 상에 장착된다.
도 2(a) 에는 도 1 의 밀링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6개의 분쇄용 롤러들이 구르는 분쇄판이 도시되어 있다. 그 분쇄판은 원주 주위로 분포된 6개의 구동부(A)들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와 같이 대칭적인 구성에서는 모든 반경방향 힘들이 서로 상호 간에 보상하기 때문에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R)은 0 으로 된다.
도 2(b) 에는 도 2(a) 의 밀링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하나의 분쇄용 롤러(M)가 외향으로 피봇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크기 R1 의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이 발생된다.
도 2(c)에는 분쇄용 롤러(M)에 부가하여 인접한 "매칭"되는 구동부(A)가 비활성화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은 R1 보다 작은 R2(R2 < R1)로 감소된다.
도 2(d)에는 도 2(c)에서의 작용에 부가하여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된 구동부의 각도 위치가 변경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반경방향 힘 R3 은 거의 0 으로 감소된다.
도 3(a) 에는 분쇄판에서 구르는 5개의 분쇄용 롤러(M)들을 구비하고 또한 5개의 구동부(A)들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설정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칭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 R 은 0 이다.
도 3(b)에는 분쇄용 롤러(M)들 중의 하나가 외향으로 피봇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 R1 이 발생된다.
도 3(c) 에는 분쇄용 롤러(M)에 부가하여 인접한 "매칭"되는 구동부(A)도 비활성화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은 R1 보다 작은 R2(R2 < R1)로 감소된다.
도 3(d) 에는 도 3c 의 작용에 부가하여,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된 구동부의 각도 위치가 변경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반경방향 힘(R3)은 거의 0 으로 감소된다.
도 4(a) 에는 네 개의 구동부(A)들에 의하여 분쇄판이 구동되고 또한 분쇄판에서 구르는 네 개의 분쇄용 롤러(M)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대칭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 R 은 0 이다.
도 4(b) 에는 분쇄용 롤러(M)들 중의 하나가 외향 피봇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크기 R1 의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이 발생된다.
도 4(c) 에는 분쇄용 롤러(M)에 부가하여 인접한 구동부(A)도 비활성화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은 R1 보다 작은 R2(R2 < R1)로 감소된다.
도 4(d)에는 도 4(c)의 작용에 부가하여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된 구동부의 각도 위치가 변경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반경방향 힘(R3)은 거의 0 으로 감소된다.
도 5(a) 에는 세 개의 구동부(A)들에 의하여 분쇄판이 구동되고 또한 분쇄판에서 구르는 세 개의 분쇄용 롤러(M)들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대칭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 R 은 0 이다.
도 5(b) 에는 분쇄용 롤러(M)들 중의 하나가 외향 피봇된 경우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크기(R1)인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이 발생된다.
도 5(c) 에는 분쇄용 롤러(M)에 부가하여 인접한 구동부(A)도 비활성화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 성분은 R1 보다 작은 R2(R2 < R1)로 감소된다.
도 5(d)에는 도 5(c)의 작용에 부가하여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된 구동부의 각도 위치가 변경된 때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반경방향 힘(R3)은 거의 0 으로 감소된다.
도 2(a) 내지 도 5(d)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분쇄판이 대응되는 개수의 구동부들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분쇄용 롤러들의 개수에 무관하게 모든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에 단 하나의 분쇄용 롤러 및 하나의 구동부만이 비활성화될 수 있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원리는 복수의 분쇄용 롤러들과 "매칭"되는 구동부들이 비활성화되는 때에도 적용되는바, 이 경우에는 반경방향으로 반대측에 있는 유니트만이 비활성화될 필요는 없는데, 이것은 짝수 개의 분쇄용 롤러 및 구동부들이 제공된 경우에 가능할 것이다.
1: 분쇄판
3: 반경방향 베어링
4: 로커 아암
5: 외부 브라켓
M: 분쇄용 롤러

Claims (11)

  1. 하우징(housing);
    분쇄 트랙(grinding track)을 구비한 분쇄판(grinding plate; 1);
    분쇄 트랙에서 구르는 분쇄용 롤러(M)들로서, 맞대임(engagement)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수 있는 분쇄용 롤러들;
    분쇄판(1)을 위한 축방향 베어링(axial bearing);
    분쇄판(1)을 위한 반경방향 베어링(radial bearing; 3); 및
    모터와 전동부(transmission)를 구비하고 분쇄판(1)을 구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부(A)들;을 포함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로서,
    구동부(A)들은 작업 계속 중에 비활성화될 수 있고,
    맞대임으로부터 벗어나게 된 분쇄용 롤러(M)를 위한 "매칭"되는 구동부("matching" drive; A)가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매칭"되는 구동부(A)는 그것의 비활성화시에 최소의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R)만이 발생되는 구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쇄판(1)에는, 구동부(A)의 작용을 받는 크라운 기어(crown gear)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쇄용 롤러(M)들은 로커 아암(rocker arm; 4)들에 의하여 브라켓(bracket; 5)들에 분리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A)들은 운반부(carriage)들 또는 레일(rail)들 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A)의 각도 위치(angular position)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용 롤러(M)들은 각도를 갖도록 설정(set)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A)들의 개수는 분쇄용 롤러(M)들의 개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구동부(A)들 및 로커 아암(4)들을 구비한 분쇄용 롤러(M)들은 각각 모듈 형태로 미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9. 적어도 두 개의 구동부(A)들에 의한 작용을 받고 또한 적어도 두 개의 분쇄용 롤러(M)들이 구르는 분쇄판(1)을 구비한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작동방법으로서, 분쇄용 롤러(M)가 들어올려진 때에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R)이 최소로 되도록 특정 구동부(A)가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작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남아 있는 구동부(A)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도 위치는,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R)이 최소로 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작동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남아 있는 분쇄용 롤러(M)들 중 적어도 하나는, 결과적인 반경방향 힘(R)이 최소로 되도록 각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의 작동방법.
KR1020107021020A 2008-03-20 2009-03-10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KR101374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5141.6 2008-03-20
DE102008015141A DE102008015141A1 (de) 2008-03-20 2008-03-20 Wälzmühle
PCT/EP2009/001691 WO2009115210A1 (de) 2008-03-20 2009-03-10 Wälzmüh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39A true KR20110000639A (ko) 2011-01-04
KR101374124B1 KR101374124B1 (ko) 2014-03-13

Family

ID=4060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020A KR101374124B1 (ko) 2008-03-20 2009-03-10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72168B2 (ko)
EP (1) EP2252403B1 (ko)
JP (1) JP5683450B2 (ko)
KR (1) KR101374124B1 (ko)
CN (1) CN101977690B (ko)
DE (1) DE102008015141A1 (ko)
DK (1) DK2252403T3 (ko)
ES (1) ES2505141T3 (ko)
PL (1) PL2252403T3 (ko)
RU (1) RU2483804C2 (ko)
WO (1) WO2009115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9541B4 (de) * 2008-08-25 2010-05-12 Polysius Ag Rollenmühle
DE102010016011A1 (de) * 2010-03-18 2011-09-22 Polysius Ag Rollenmühle
FR2977170B1 (fr) * 2011-06-29 2013-08-09 Cie Engrenages Et Reducteurs Messian Durand Dispositif d'entrainement pour broyeur, et broyeur correspondant
DE102011079555B4 (de) * 2011-07-21 2020-12-24 Renk Ag Antriebsanordnung für eine Vertikal-Rollenmühle
PL3056278T3 (pl) * 2015-02-10 2019-11-29 Flender Gmbh Układ przekładni do młyna pionowego
CN105080665A (zh) * 2015-09-06 2015-11-25 李国良 立磨
US20200189069A1 (en) * 2018-12-14 2020-06-18 Midwest Hardfacing Llc Grinding roll wheel with tungsten carbide
CN110026275B (zh) * 2019-04-23 2021-05-11 唐山盾石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混合瓦推力轴承及其使用方法
US20230059893A1 (en) 2020-01-14 2023-02-23 Gebr. Pfeiffer Se Roller Mill Having Grinding Rollers Set At An Angl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3958C (ko)
DE2124521B2 (de) 1971-05-18 1979-10-18 Horst Dipl.-Ing. 4044 Kaarst Brundiek Walzenschüsselmühle
JPS5228875A (en) * 1975-07-29 1977-03-04 Nippon Kogaku Kk <Nikon> Mask
JPS5814821B2 (ja) * 1977-08-22 1983-03-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ウルミル
SU1007724A1 (ru) * 1981-11-10 1983-03-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Цемен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Валкова мельница
JPS59138445U (ja) * 1983-03-03 1984-09-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ロ−ラミル
JPS59137445U (ja) * 1983-03-07 1984-09-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歯車変速機のシフト反転機構
DE3320037C1 (de) 1983-06-03 1984-11-15 Fritz Sauerwald Fabrik für Getriebebau, 5600 Wuppertal Walzenschüsselmühlengetriebe
JPS6128470A (ja) * 1984-07-17 1986-02-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竪型ミル
DE3507913C2 (de) 1985-03-06 1995-07-20 Thyssen Industrie Antrieb, insbesondere Antrieb für Mühlen, vorzugsweise zur Aufmahlung von Kohle
CH672603A5 (ko) 1987-04-09 1989-12-15 Maag Zahnraeder & Maschinen Ag
DE3801728C2 (de) * 1988-01-21 1998-07-02 Krupp Polysius Ag Rollenmühle
DE3921986C1 (ko) 1989-07-04 1990-10-25 Loesche Gmbh, 4000 Duesseldorf, De
DE3931116C2 (de) 1989-09-18 1994-02-03 Krupp Polysius Ag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 Rollenmühle
DE19603655A1 (de) 1996-02-01 1997-08-07 Loesche Gmbh Wälzmühle
DE19702854A1 (de) 1997-01-27 1998-07-30 Krupp Polysius Ag Verfahren und Rollenmühle zur Zerkleinerung von Mahlgut
DE19826324C1 (de) 1998-06-12 1999-08-05 Pfeiffer Ag Geb Walzenschüsselmühle
JP2000279832A (ja) * 1999-03-30 2000-10-10 Ube Ind Ltd 砕砂製造用竪型粉砕機
JP2000317326A (ja) * 1999-05-07 2000-11-21 Babcock Hitachi Kk ローラミル
CN1259142C (zh) * 2000-09-29 2006-06-14 徐毅茹 滚磨机
JP2002292297A (ja) * 2001-03-30 2002-10-08 Kurimoto Ltd 竪型ミル
EP1675683B1 (de) * 2003-09-12 2011-03-02 Loesch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älzmüh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ement
DE10343218B4 (de) 2003-09-12 2006-05-04 Loesche Gmbh Sicherheitssystem für eine Wälzmüh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ement
CN100491075C (zh) * 2004-12-23 2009-05-27 天津工业大学 一种行星滚磨机
DE102004062400B4 (de) * 2004-12-23 2006-10-26 Loesche Gmbh Wälzmühle in Modulbauweise
DE102005030145B4 (de) * 2005-06-28 2007-10-04 Loesche Gmbh Sicherheitssystem für eine Wälzmühle
DE102006061328B4 (de) * 2006-12-22 2014-01-16 Gebr. Pfeiffer Ag Wälzmühle
DE102007006092A1 (de) * 2007-02-07 2008-08-14 Polysius Ag Verfahren zur Zerkleinerung von Mahlgut mit einer Rollenmühle
US7637446B2 (en) * 2007-08-29 2009-12-29 Flsmidth A/S Roller mill for grinding solid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15141A1 (de) 2009-11-05
PL2252403T3 (pl) 2014-11-28
RU2483804C2 (ru) 2013-06-10
CN101977690A (zh) 2011-02-16
US20110068203A1 (en) 2011-03-24
RU2010142908A (ru) 2012-04-27
JP2011514256A (ja) 2011-05-06
ES2505141T3 (es) 2014-10-09
WO2009115210A1 (de) 2009-09-24
DK2252403T3 (da) 2014-10-13
EP2252403A1 (de) 2010-11-24
EP2252403B1 (de) 2014-07-02
JP5683450B2 (ja) 2015-03-11
CN101977690B (zh) 2012-08-29
KR101374124B1 (ko) 2014-03-13
US8172168B2 (en)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124B1 (ko) 롤러식 분쇄용 밀링장치
RU2452577C2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истирающих мельниц
CA2776828A1 (en) Pelletizing press for producing pellets
AU2012292578B2 (en) Continuous conveyor for transporting heavy bulk material or articles
US20160230842A1 (en) Gearing arrangement for a vertical mill
US7731116B2 (en) Roller mill safety system
US5616098A (en) Reduction mechanism for mill and mill having the same
US20210071646A1 (en) Flange arrangement, flanged hub, stop member, gear unit, electric motor, wind turbine and industrial application
JP5647156B2 (ja) ローラミル
US8196276B2 (en) Multi-functional rotary turn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SU871818A1 (ru) Валкова мельница
CA2778366A1 (en) Roller mill
CN103191803A (zh) 立式辊磨机
JP3105405B2 (ja) 竪型粉砕機
SU1187875A1 (ru) Роликотарельчата мельница
CN219631479U (zh) 一种燃煤电厂磨煤机自动下料装置
CN218013296U (zh) 一种火力发电磨煤机驱动装置和火力发电机组
Langenbeck A seminal advance in vertical mill design by an integrated drive train
JPH0871440A (ja) 竪型粉砕機
JP2956879B2 (ja) 竪型粉砕機用減速機の分解点検整備方法
US7566016B2 (en) Pulverizer with keyless main shaft
Tigges Implementation of large-scale equipment in cement production plants
CN117427732A (zh) 一种磨辊驱动的立式辊磨及其粉磨方法
JP3016438U (ja) 円筒型破砕機
CN1562488A (zh) 碾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