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083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0083A KR20110000083A KR1020090057440A KR20090057440A KR20110000083A KR 20110000083 A KR20110000083 A KR 20110000083A KR 1020090057440 A KR1020090057440 A KR 1020090057440A KR 20090057440 A KR20090057440 A KR 20090057440A KR 20110000083 A KR20110000083 A KR 201100000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pm
- compressor
- fan
- air
- operating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2—Preventing or reducing nois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 및 팬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팬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팬의 RPM을 조절하여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소음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등을 건조하는 처리를 하는 경우에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을 줄이면서도 의류처리장치의 본래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 및 팬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팬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팬의 RPM을 조절하여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깅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 및 팬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팬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팽창밸브를 제1 정도로 개방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 및 팬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팬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팽창밸브를 제1 정도로 개방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팬의 RPM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팬의 rpm 및/또는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소음을 줄이면서도, 의류처리장치의 본래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 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향해 공기, 열풍, 스팀, 미스트(mist) 또는 수분 등을 제공하여 세탁대상물의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탈취(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방지 또는 세탁대상물을 따스하게 데우는(warming)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대상물은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이하, 먼저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을 구비한 캐비넷(10), 수용공간(12)으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도 2 참조, 22), 캐비넷(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지센서(도 2 참조, 40, 42) 및 공기공급장치(22)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도 2 참조, 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스팀발생장치가 제어된다.
캐비넷(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 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1)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 등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의류(1)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캐비넷(10)의 내부에 공기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이 구비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공기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공기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에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고온에 의해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2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 공기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기공급장치로서 히트펌프를 채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공급장치에 해당하는 히트펌프(22)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21)를 통해 덕트(29)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원은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공급원을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노즐(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 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34)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34)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도 1 참조, 100)는 캐비넷(도 1 참조, 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지센서(50, 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온도감지센서는 캐비넷(10)의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50) 및 캐비넷(10)의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52)를 구비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제어부는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또는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공기공급장치(22) 및 팬(32)의 구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1 센서(50)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히트펌프(22)를 구성하는 응축기(28)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기(28)에서 공기가 가열되어 팬(32)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므로, 응축기(28)의 후단에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제1 센서(50)가 팬(32)에서 공 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센서(50)의 위치는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즉 응축기(28)의 후단부에는 어디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응축기(28)에서 가열된 공기를 바로 측정할 수 있는 응축기(28)의 직후단에 설치된다.
한편, 제2 센서(52)는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히트펌프(22)를 구성하는 증발기(24)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를 통하여 히트펌프(22)를 지나게 되므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29)의 내부를 따라 증발기(24)의 전단에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면,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센서(52)가 보다 정확하게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기계실(20)의 공기유입구(21)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공기유입구(21)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공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바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선택된 코스에 따라 히트펌프로 이루어진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장치(22)에서 제습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팬(32)을 구동시켜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의류처리장치(100)를 구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소음은 팬(32) 소 음, 압축기(26) 소음, 순환팬(34) 소음 등 다양한 소음으로 이루어지지만, 팬(32)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비중이 크게 된다. 이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팬(32)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며, 특히, 의류처리장치(100)를 저녁, 또는 밤에 구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팬(32)의 RPM을 줄이게 되면 수용공간(12)으로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의류 등을 충분히 건조, 리프레쉬 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소음을 줄이면서도 원하는 건조성능을 만조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에 제공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S310),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S330) 및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S35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가 구동을 하는 경우에 팬(32)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팬(32)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팬(32)의 RPM을 줄이는 것으로서 가능하다. 그런데, 팬(32)의 RPM을 줄이게 되면 소음을 줄일 수 있지만, 공기공급장치(22)를 통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수용공간(12) 내부의 대상물을 건조시키거나, 리프레쉬하는 경우에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공기공급장치(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압축기(26)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즉, 압축기의 용량이 가변적인 경우에는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더라도 그에 따라 압축기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압축기의 용량이 고정적인 경우에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압축기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어 압축기의 작동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의 작동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압축기가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적정 작동압력 구간(이하, '신뢰구간'이라 한다)을 벗어날 수 있다. 압축기의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압축기가 고장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팬(32)의 RPM을 줄이는 경우에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머무르도록 하는 제어방법이 필요한 바, 이하 살펴본다.
먼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어부는 선택된 코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용공간(1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팬(32)을 제1 RPM으로 회전시켜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제습 및/또는 가열된 공기를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제1 RPM은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RPM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소음이 100 내지 150 db 이상 발생하게 되면 사 용자에게 일반적으로 용인될 수 없는 수치에 해당한다. 상기 소음은 팬(32)이 대략 1200 RPM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제어방법에서는 대략 1200RPM을 한계RPM으로 정의하고, 제1 RPM을 대략 1000 RPM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제어방법에서는 팬(32)을 상기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제습 및/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팬(31)의 RPM을 평상시보다 줄이게 되면 공기공급장치(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상승하여 신뢰구간을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머무르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 살펴본다.
팬(32)을 구동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에 이어서, 제어부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여 소정기준과 비교하게 된다(S330).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은 압축기(26)에 직접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압력센서를 압축기(26)에 구비하는 것은 의류처리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 비용을 상승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조업체로서는 의류처리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서를 새로이 구비하는 대신에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압축기(26)의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전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지센서(50, 52)를 구비하게 되며, 제1 센서(50)는 히트펌프(22)를 구성하는 응축기(28)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센서(52)는 히트펌프(22)를 구성하는 증발기(24)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공기공급장치(2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압축기(26)가 비교적 고온에서 동작하게 되므로,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비교적 높게 된다. 결국, 제어부는 공기공급장치(2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공급장치(2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제1 온도감지센서(50)를 이용하여 감지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공급장치(2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와 이에 대응하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기입된 테이블을 제어부의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감지된 공기의 온도에 대응하는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읽음으로써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는 본 제어방법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는 경우에 압축기의 압력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압축기의 압력을 나타낸다. 또한, 세로축에서 P1은 전술한 신뢰구간의 경계값을 나타낸다. 즉, 압축기가 P1보다 작은 작동압력으로 동작을 하게 되면 안정적으로 구동하고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공급장치(22)가 구동하여 압축기(26)가 동작하게 되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는 압축기(26)가 동작하게 됨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팬(32)의 RPM을 줄여서 팬(32)이 회전하게 되므로, 압축기(26)의 압력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제어부는 압축기의 작동압력이 상승하여 신뢰구간인 P1에 근접하게 되면, 팬(32)의 RPM을 조절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조절하게 된다(S35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P1에 근접하게 되면 제어부는 팬(32)의 RPM을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P1에 도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P1보다 작은 P2에 도달하는 경우에 팬(32)의 RPM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P2는 P1에 비하여 예를 들어 10% 감소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P2에 도달하게 되면(시간 t1), 팬(32)의 RPM을 조절한다. 제어부는 팬(32)의 RPM을 소정량만큼 증가시키게 된다. 팬(32)의 RPM, 즉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공급장치(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하강하게 된다. 이는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P2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팬(32)의 RPM을 소정량만큼 증가시키게 되며,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팬(32)의 RPM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소정량만큼 증가시키게 되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60 rpm정도씩 증가시키게 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은 팬(32)의 RPM을 증가시키게 되면 하강하게 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는 압축기(26)가 계속하여 구동함에 따라 작동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은 다시 P2에 도달할 수 있다(시간 t2). 이 경우, 제어부는 다시 팬(32)의 RPM을 소정량만큼 증가시키게 되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하강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팬(32)의 RPM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반복하게 되면, 팬(32)의 RPM은 계속해서 증가하게 되며, 한계RPM에 도달하게 된다. 팬(32)의 RPM이 한계RPM보다 커지게 되면,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팬(32)에서 발생하게 되므로, 팬(32)의 RPM은 한계RPM 까지 증가된다.
한편,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다시 상승하여 P2에 도달하여 팬(32)의 RPM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팬(32)의 RPM이 한계RPM을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는 공기공급장치(22)의 구동을 멈추고 청각 또는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압축기(26)가 신뢰구간을 벗어났음을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팽창밸브를 이용하여 제어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팬(32)을 제1 RPM으로 설정하고, 팽창밸브를 제1 정도로 개방하여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S410),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여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S430) 및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압축기(26)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 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S450)를 포함한다.
먼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어부는 팬(32)을 소정 RPM, 예를 들어 제1 RPM으로 회전시켜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제습 및/또는 가열된 공기를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공기공급장치(22)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히트펌프의 팽창밸브를 제1 정도로 개방하여 공기공급장치(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팬(32)의 RPM은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RPM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내지 150 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략 1200RPM 이하의 RPM, 또는 전술한 제1 RPM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팽창밸브는 제1 정도(first degree)로 개방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정도는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 등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특별한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어부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여 소정기준과 비교하게 된다(S430).
제어부는 압축기의 작동압력이 상승하여 신뢰구간인 P1에 근접하게 되면,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조절하게 된다(S450).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P2에 도달하게 되면,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소정량만큼 감소시키게 된다.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감소시키게 되면, 히트펌프(22)의 냉매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은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감소시키게 되면 하강하게 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는 압축기(26)가 계속하여 구동함에 따라 작동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은 다시 P2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다시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감소시키게 되어,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하강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반복하게 되면, 팽창밸브는 소정량씩 계속해서 닫히게 된다. 팽창밸브가 닫히게 되면 냉매의 유량이 줄어 압축기의 작동압력이 감속하게 되지만, 반면에 냉매의 유량이 줄어 히트펌프(22)에서 제습 및/또는 가열된 공기를 생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팽창밸브를 닫게 되면, 더 이상 제습 및/또는 가열된 공기를 생성하는 것이 곤란한 한계(이하, 이 경우의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한계 개방도'라 한다.)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공기공급장치(22)의 구동을 멈추고 청각 또는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압축기(26)가 신뢰구간을 벗어났음을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제어방법에서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팬 및 팽창밸브를 모두 이용하여 제어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크게 히트펌프를 구동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510),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감지하여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530), 팬의 RPM을 조절하는 단계(S550) 및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단 계(S570)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는 히프펌프(22)를 구동하여 수용공간(12)으로 제습 및/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S510). 이 경우, 제어부는 팬(32)의 RPM을 제1 RPM으로 설정하고, 팽창밸브를 제1 정도로 개방하여 히트펌프(22)를 구동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여 소정기준과 비교한다(S530). 이 경우,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제1 설정온도는 전술한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의 신뢰구간인 P1에 대응하는 온도, 바람직하게는 P2에 대응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공기의 온도(T)를 제1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P1 또는 P2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는 공기의 온도(T)가 제1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먼저 팬(32)의 RPM을 조절한다(S55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팬의 RPM 및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모두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기에 앞서서 먼저 팬의 RPM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처음부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줄이게 되면, 히트펌프의 냉매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히트펌프에 의해 공기를 제습 및/또는 가열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의류 등을 건조 또는 리프레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낮추는 경우에 먼저 팬의 RPM 을 조절하며, 이어서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어부는 팬(32)의 RPM을 소정량만큼 증가시키게 되며(551), 증가된 RPM이 한계RPM 이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553). 팬의 RPM을 조절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의류의 건조도가 원하는 기준 건조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555). 감지된 의류의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히트펌프(22)를 오프하게 되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는 수용공간에 건조도센서를 구비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직접 감지하거나, 또는 온도감지센서(50, 52)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50, 52)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전술한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서 측정한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센서(50)에서 측정된 온도(T1), 제2 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T2) 및 상기 T1 및 T2의 온도차이(△T)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시간경과에 따른 건조도(%)를 나타낸다. 건조도에서 0%는 구동 초기에 건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며, 10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가 완료되어 수분이 모두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을 살펴보면,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초기에 T1 은 대략 30℃, T2 는 20℃ 이므로 △T는 대략 10℃에 해당한다. 즉, 구동초기에 히트펌프(22)로 유입된 공기는 응축기(28)에서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되므로, 제1 및 제2 센서(50, 52)에서 감지된 온도차이는 상기와 같이 대략 10℃정도에 해당한다.
이어서, 시간이 경과하여 히트펌프(22)가 계속해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온도차이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즉,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경우,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 공기는 의류의 수분을 빼앗아 수분을 함유하여 기계실(20)의 히트펌프(22)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수분을 다량 함유한 공기가 히트펌프(22)로 유입되면, 다량의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하여 증발기(24)에서 냉매가 대량으로 증발되어 냉매에는 다량의 잠열이 포함된다. 즉, 수분이 적게 포함된 공기에 비하여 증발기(24)에서 증발된 냉매에 포함되는 잠열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량의 잠열을 포함한 냉매가 응축기(28)로 이동하여 응축하면서 공기를 가열하는 경우, 다량의 잠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수분이 적게 함유된 공기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고온으로 가열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용공간(12)에 거치된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건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응축기(28)를 통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차이(△T)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 8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차이(△T)의 곡선이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조가 진행되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이 적어지게 되는 경우, 즉 의류의 건조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응축기(28)에서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차츰 내려가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히트펌프(22)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 된 수분의 양이 적어짐에 따라, 증발기(24)에서 증발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잠열의 양도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28)에서 응축되어 방출되는 잠열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응축기(28)에서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상기 내용은 도 8에서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도가 대략 40%를 넘어가게 되면, 온도차이(△T)의 곡선이 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용에서 제어부는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서 측정한 온도차이(△T)에 의해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온도차이(△T)가 작아질수록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차이를 입력하고,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차이(△T)와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온도차이를 10℃로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차이(△T)를 상기 기준온도차이인 10℃와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차이(△T)가 기준온도차이보다 작게 되면 히트펌프(22)의 구동을 멈추고 건조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준온도차이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에 변형되어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준온도차이를 10℃로 설정하게 되면, 도 8에서 대략 건조도는 60%에 해당하게 되며, 기준온도차이를 5℃로 설정하게 되면, 도 8에서 대략 건조도는 70%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기준온도차이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건조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의류의 건조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차이(△T)에 의해 건조도를 판별하는 경우에 구동 초기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온도차이(△T)를 기준온도차이와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초기에서 중반부까지는 온도차이(△T)가 늘어나다가, 구동 중반기를 넘어서게 되면서 온도차이(△T)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동초기부터 상기와 같이 측정된 온도차이(△T)와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제어를 하게 되면, 구동초기에 건조가 완료되지않은 상태에서 구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히트펌프(22)가 구동을 하고 소정시간, 예를 들어 적어도 10분 이상이 경과한 후에 상기와 같이 측정된 온도차이(△T)와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는 단계(S530)에서 공기의 온도(T)가 제1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바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S555)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팬의 RPM이 한계 RPM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팬(32)의 RPM을 조절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낮추는 것이 곤란하다. 이는 팬(32)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기준 소음 이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조절하게 된다(S570).
팽창밸브를 조절하는 단계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여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571),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줄이는 단계(S573),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한계 개방도와 비교하는 단계(S575) 및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S577)를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공기의 온도(T)를 제1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이 P1 또는 P2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공기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소정량만큼 줄이게 되며(S573), 개방도가 한계 개방도에 도달하여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575). 상기 단계에 대해서는 도 4의 실시예와 설명이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감지하는 단계(S571)에서 공기의 온도(T)가 제1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26)의 작동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바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S577)로 넘어가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는 히트펌프를 구동하여 공기를 공급하기에 앞서 공기의 온도를 제2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 제어부는 공기의 온도(T)를 제2 설정온도와 비교하게 된다(S501). 여기서, 제2 설정온도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장소, 지역, 기후, 계절, 날씨 등에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40℃로 설정된다.
제어부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2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공급장치(22)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가 비교적 높다고 판단하여, 팬(32)의 RPM을 한계 RPM으로 설정(S502)하여 히트펌프(22)를 구동하게 된다(S503). 상기와 같이 히트 펌프(22)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되는 이유는 의류처리장치의 주변 온도가 매우 높거나, 또는 의류처리장치가 연속하여 의류를 건조 또는 리프레쉬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도 팬(32)의 PRM을 제1 RPM으로 설정하여 구동하게 되면, 높은 공기 온도에 비하여 공기의 유량이 적게 되어 압축기(26)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공기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팬의 RPM을 한계 RPM으로 설정하여 팬의 RPM을 조절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팽창밸브를 조절하는 단계(S570)로 넘어간다.
한편, 공기의 온도(T)가 제2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이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압축기의 압력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및
도 8은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9)
-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 및 팬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팬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상기 압축기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팬의 RPM을 조절하여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RPM은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팬의 RPM을 소정량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팬의 RPM을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행하지 않는 한계 RPM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 및 팬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팬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팽창밸브를 제1 정도로 개방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상기 압축기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정도는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개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소정만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행하지 않는 한계 개방도까지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 및 팬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팬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팽창밸브를 제1 정도로 개방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단계;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소정기준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상기 압축기의 감지된 작동압력이 소정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팬의 RPM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감지된 작동압력이 신뢰구간에 포함되도록 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단계는상기 팬의 RPM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팬의 RPM을 조절하는 단계가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1 RPM은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RPM이고, 상기 제1 정도는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개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의 작동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팬의 RPM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팬의 RPM을 소정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팬의 RPM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팬의 RPM을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행하지 않는 제2 RPM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팽창밸브를 소정만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소정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행하지 않는 한계 개방도까지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7440A KR101122094B1 (ko) | 2009-06-26 | 2009-06-26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CN2010101745831A CN101824738B (zh) | 2009-06-26 | 2010-04-30 |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7440A KR101122094B1 (ko) | 2009-06-26 | 2009-06-26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083A true KR20110000083A (ko) | 2011-01-03 |
KR101122094B1 KR101122094B1 (ko) | 2012-03-19 |
Family
ID=4268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7440A KR101122094B1 (ko) | 2009-06-26 | 2009-06-26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2094B1 (ko) |
CN (1) | CN101824738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48521A1 (en) * | 2015-03-17 | 2016-09-22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180081414A (ko) * | 2017-01-06 | 2018-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WO2022045558A1 (ko) * | 2020-08-24 | 2022-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17861B (zh) * | 2011-12-19 | 2017-09-26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干衣温度检测控制方法及干衣机 |
CN112147920A (zh) * | 2019-06-27 | 2020-12-29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用于衣物护理设备的控制方法 |
KR20220089892A (ko) | 2020-12-22 | 2022-06-29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220089894A (ko) | 2020-12-22 | 2022-06-29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220089893A (ko) | 2020-12-22 | 2022-06-29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483844B1 (ko) | 2020-12-22 | 2022-12-30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220141627A (ko) * | 2021-04-13 | 2022-10-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7476A (ja) * | 1994-10-21 | 1996-05-14 | Sharp Corp | ドラム式全自動洗濯機 |
JPH08131692A (ja) * | 1994-11-08 | 1996-05-28 | Tokyo Gas Co Ltd | 衣類乾燥機 |
KR0137491B1 (ko) * | 1995-12-21 | 1998-05-15 | 배순훈 | 식기건조기의 열풍 제어자치 및 그 제어방법 |
CN1766208A (zh) * | 2004-10-27 | 2006-05-03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一种烘干机及其烘干控制方法 |
KR100662479B1 (ko) * | 2006-01-03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
KR100672604B1 (ko) * | 2006-03-27 | 2007-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
2009
- 2009-06-26 KR KR1020090057440A patent/KR1011220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4-30 CN CN2010101745831A patent/CN10182473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48521A1 (en) * | 2015-03-17 | 2016-09-22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160111685A (ko) * | 2015-03-17 | 2016-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10119221B2 (en) | 2015-03-17 | 2018-11-06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180081414A (ko) * | 2017-01-06 | 2018-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WO2022045558A1 (ko) * | 2020-08-24 | 2022-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824738A (zh) | 2010-09-08 |
CN101824738B (zh) | 2011-12-14 |
KR101122094B1 (ko) | 2012-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2094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US11718950B2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1366280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30477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US8261389B2 (en) |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AU2011318852B2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107157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14777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443614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20230414062A1 (en) |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147618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090100803A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0901511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0782375B1 (ko) |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 |
KR101295381B1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7119936A (zh) | 护鞋装置及其控制方法 | |
KR10147618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00007342A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05118093A (ja) | 衣類乾燥装置 | |
KR2009010080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00007343A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16052450A (ja) | 洗濯乾燥機 | |
KR20220105809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