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685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685A
KR20160111685A KR1020150036660A KR20150036660A KR20160111685A KR 20160111685 A KR20160111685 A KR 20160111685A KR 1020150036660 A KR1020150036660 A KR 1020150036660A KR 20150036660 A KR20150036660 A KR 20150036660A KR 20160111685 A KR20160111685 A KR 2016011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inlet temperature
inlet
hea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346B1 (ko
Inventor
남완식
도영진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46B1/ko
Priority to EP16160666.0A priority patent/EP3070201B8/en
Priority to US15/072,554 priority patent/US10119221B2/en
Priority to PCT/KR2016/002683 priority patent/WO2016148521A1/en
Priority to CN201610152929.5A priority patent/CN105986451B/zh
Priority to JP2017549024A priority patent/JP6697477B2/ja
Publication of KR2016011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환경에 따라 건조수행이 제어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처리챔버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와, 상기 처리챔버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인 인릿온도를 측정하는 인릿온도센서와,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하기 위한 히트펌프유닛과, 상기 스팀유닛, 상기 송풍유닛 및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팀유닛을 예열하면서 상기 송풍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인릿온도센서가 측정한 예열 인릿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작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bric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환경에 따라 건조수행이 제어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이러한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의류 재생 장치에 수납된 의류는 그 의류를 오염시킨 냄새 입자가 제거되거나, 구김이 제거되어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환경에 따라 건조수행이 제어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처리챔버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와, 상기 처리챔버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인 인릿온도를 측정하는 인릿온도센서와,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하기 위한 히트펌프유닛과, 상기 스팀유닛, 상기 송풍유닛 및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팀유닛을 예열하면서 상기 송풍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인릿온도센서가 측정한 예열 인릿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을 예열하며 상기 처리챔버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인 예열 인릿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유닛이 상기 처리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유닛의 구동을 중지한 후 상기 송풍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를 기준으로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히트펌프유닛이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스팀유닛의 예열시 처리시 공기를 순환하는 송풍팬모듈을 작동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조건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조건에 따라 건조를 수행하는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건조가 수행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조건에 따라 히트펌프유닛의 압축기 운전속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건조가 수행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조건과 히트펌프유닛이 작동될 때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 내의 온도에 따라 히트펌프유닛의 구동 중지여부를 판단하여 효율적으로 건조가 수행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각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12)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처리챔버(12)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40)과,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유닛(30)과, 송풍유닛(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값인 인릿온도를 측정하는 인릿온도센서(39)와, 송풍유닛(30)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처리챔버(12) 내로 토출하기 위한 히트펌프유닛(50)과, 스팀유닛(40), 송풍유닛(30) 및 히트펌프유닛(5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구획시키는 분리판(11)이 구비되고, 분리판(11)의 상측에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12)가 형성되며, 분리판(11) 하측에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사이클챔버(14)가 형성된다.
케이스(10)에는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20)가 구비된다.
처리챔버(12)에는 의류가 거치되고, 스팀 또는 공기 순환, 건조 등을 통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냄새를 탈취한다.
사이클챔버(14)에는,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유닛(30)과, 처리챔버(12)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40)과, 처리챔버(1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유닛(50)과, 각 유닛(30)(40)(5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설치된다.
송풍유닛(30)은 제어유닛(60)의 제어에 따라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송풍유닛(30)으로 흡입된 공기는 히트펌프유닛(50)으로 토출된다.
송풍유닛(30)은, 팬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히트펌프유닛(50)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팬모듈(32)과, 송풍팬모듈(32)의 흡입 측에 설치되어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송풍팬모듈(32)으로 안내하는 인릿덕트(34)를 포함한다.
인릿덕트(34)의 일측은 처리챔버(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송풍팬모듈(32)과 연결된다. 인릿덕트(34) 내부에는 인릿덕트(34)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값인 인릿온도를 측정하는 인릿온도센서(39)가 구비된다. 인릿온도센서(39)는 처리챔버(12)로부터 인릿덕트(34)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값인 인릿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60)에 전달한다.
송풍팬모듈(32)의 일측은 인릿덕트(34)와 연결되고 타측은 히트펌프유닛(50)과 연결된다. 송풍팬모듈(32)은 시로코 팬(sirrocco fan)과 덕트 및 모터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된다.
스팀유닛(40)은 제어유닛(60)의 제어에 따라 처리챔버(12)에 스팀을 공급한다. 스팀유닛(4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고, 별도의 급수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킨다.
스팀유닛(40)에서 발생된 스팀은 처리챔버(12)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유닛(40)에서 발생된 스팀은 히트펌프유닛(50)의 유로를 통해 처리챔버(12)로 유동된다. 즉, 스팀유닛(40)은 히트펌프유닛(5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유닛(40)은 물을 가열하는 가열기(41)를 포함한다. 스팀유닛(40)은 제어유닛(60)의 제어에 따라 가열기(41)를 먼저 가열하는 예열을 수행한 후 스팀을 발생한다.
히트펌프유닛(50)은 제어유닛(60)의 제어에 따라 송풍유닛(30)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처리챔버(12) 내로 토출한다. 히트펌프유닛(50)은 가열된 공기를 처리챔버(12)로 공급한다.
히트펌프유닛(50)은 압축기(51), 응축기(53), 증발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되고, 내부에 응축기(53)가 배치되며 유로를 형성하는 히트펌프유로(55)를 포함한다.
압축기(51)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든다. 응축기(53)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송풍유닛(30)으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가열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고,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하여 압축기(51)로 회수한다.
히트펌프유로(55)는 일측이 송풍유닛(30)의 송풍팬모듈(32)과 연결되고 타측이 처리챔버(12)와 연결된다. 히트펌프유로(55) 내부에는 응축기(53)가 배치된다.
사이클챔버(14)의 전방에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모듈(70)이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릿덕트(34) 전방 측에 탱크모듈(70)이 설치되는 탱크모듈프레임(71)이 설치된다.
탱크모듈(70)은 스팀유닛(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와, 처리챔버(12)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 저장하는 드레인탱크(90)를 포함한다. 급수탱크(80)는 스팀유닛(40)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고, 드레인탱크(90)는 처리챔버(12)와 연결되고, 처리챔버(12) 또는 히트펌프유닛(50)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된다.
제어유닛(60)은 인릿온도센서(39) 로부터 인릿온도를 전달받는다. 제어유닛(60)은 사용자의 설정이나 인릿온도에 따라 스팀유닛(40), 송풍유닛(30) 및 히트펌프유닛(50)을 제어하여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가 처리되는 각 행정을 설정된 코스에 따라 수행한다. 의류가 처리되는 각 행정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유닛(60)은 스팀유닛(40)을 예열하면서 송풍유닛(30)을 작동하여 인릿온도센서(39)가 측정한 예열 인릿온도를 기준으로 히트펌프유닛(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유닛(60)은, 예열 인릿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히트펌프유닛(50)이 송풍유닛(30)이 흡입한 공기를, 예열 인릿온도가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보다 천천히 가열하도록 히트펌프유닛(50)을 제어한다.
즉, 제어유닛(60)은, 예열 인릿온도가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51)를 기설정된 제1운전속도로 구동하고, 예열 인릿온도가 기준인릿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압축기(51)를 제1운전속도보다 낮은 기설정된 제2운전속도로 구동한다.
제어유닛(60)은 히트펌프유닛(50)이 공기를 가열할 때 인릿온도센서(39)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를 예열 인릿온도와 비교하여 히트펌프유닛(50)을 제어한다. 즉, 제어유닛(60)은 건조 인릿온도와 예열 인릿온도의 차에 따라 히트펌프유닛(50)의 구동을 중지한다.
제어유닛(60)은, 예열 인릿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 히트펌프유닛(50)을 구동하여 송풍유닛(30)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처리챔버(12) 내로 토출할 때 인릿온도센서(39)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히트펌프유닛(50)의 구동을 중지하고, 예열 인릿온도가 기준인릿온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히트펌프유닛(50)을 구동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처리챔버(12) 내로 토출할 때 건조 인릿온도와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차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히트펌프유닛(50)의 구동을 중지한다. 이 때, 제2기준온도차는 제1기준온도차보다 작다.
즉, 제어유닛(60)은, 압축기(51)를 제1운전속도로 구동할 때 인릿온도센서(39)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압축기(51)의 운전을 종료하고, 압축기(51)를 제2운전속도로 구동할 때 인릿온도센서(39)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압축기(51)의 운전을 종료한다. 이 때, 제2기준온도차는 제1기준온도차보다 작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각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코스에서의 각 행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행정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면, 제어유닛(60)은 스팀유닛(40)의 가열기(41)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기(41)를 예열하는 예열(S210) 행정을 수행한다.
예열(S210) 행정시 제어유닛(60)은 송풍유닛(30)의 송풍팬모듈(32)을 작동한다. 송풍팬모듈(32)이 작동할 때 인릿온도센서(39)는 송풍유닛(30)의 인릿덕트(34)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예열 인릿온도를 제어유닛(60)에 전달한다.
가열기(41)의 예열이 완료되면 제어유닛(60)은 스팀(S220) 행정을 수행한다. 제어유닛(60)은 급수탱크(80)의 물을 스팀유닛(40)에 공급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처리챔버(12) 내로 스팀을 공급한다. 제어유닛(60)은 송풍팬모듈(32)을 작동하여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순환한다. 스팀(S220) 행정시 히트펌프유닛(50)은 작동되지 않는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유닛(60)은 스팀유닛(40)의 작동을 멈춰 스팀(S220) 행정을 종료한다.
스팀(S220) 행정후 제어유닛(60)은 대기(S230) 행정 및 냉각(S240) 행정을 수행한다. 제어유닛(60)은 스팀유닛(40)이 작동을 멈춘 후에 송풍팬모듈(32)을 비교적 낮은 RPM으로 회전하며 스팀이 의류에 충분이 작용되도록 대기(S230) 행정을 수행한다.
제어유닛(60)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송풍팬모듈(32)을 비교적 높은 RPM으로 회전하며 처리챔버(12) 내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각(S240) 행정을 수행한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유닛(60)은 냉각(S240) 행정을 종료한다.
냉각(S240) 행정후 제어유닛(60)은 송풍팬모듈(32)을 구동하며 히트펌프유닛(50)의 압축기(51)를 구동하여 처리챔버(12) 내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S250) 행정을 수행한다.
건조(S250) 행정의 압축기(51) 운전조건과 건조(S250) 행정의 종료 조건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열(S210) 행정시 제어유닛(60)은 송풍팬모듈(32)을 작동하고 인릿온도센서(39)는 송풍유닛(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값인 예열 인릿온도 T1을 측정한다(S310). 송풍팬모듈(32) 작동과 동시에 측정된 예열 인릿온도 T1는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실내온도와 비슷하므로 제어유닛(60)은 예열 인릿온도 T1을 기준으로 건조(S250) 행정시 히트펌프유닛(50)을 제어한다.
제어유닛(60)은 예열 인릿온도 T1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 T_in 보다 낮은지 판단한다(S320). 기준인릿온도 T_in는 고온환경에 대응되도록 섭씨 45도로 설정된다.
제어유닛(60)은 예열 인릿온도 T1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 T_in 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51)를 기설정된 제1운전속도 V1로 구동하여 건조(S250) 행정을 수행한다(S330). 제1운전속도 V1은 상온환경일 때의 건조 수행에 대응되어 송풍유닛(30)이 흡입한 공기를 히트펌프유닛(50)이 비교적 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비교적 높게 설정된다.
압축기(51)를 제1운전속도 V1로 운전하며 인릿온도센서(39)는 송풍유닛(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값인 건조 인릿온도 T2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S340). 인릿온도센서(39)는 측정된 건조 인릿온도 T2를 제어유닛(60)에 전달한다.
제어유닛(60)은 건조(S250) 행정시 인릿온도센서(39)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차 ΔD1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한다(S350). 건조 인릿온도 T2는 압축기(51)가 구동될 때 인릿온도센서(39)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온도값이며, 예열 인릿온도 T1은 예열(S210) 행정시 인릿온도센서(39)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이다. 제1기준온도차 ΔD1는 상온환경일 때의 건조 수행에 대응되어 히트펌프유닛(50)이 가열된 공기를 비교적 오랫동안 처리챔버(12)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크게 설정된다.
제어유닛(60)은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제1기준온도차 ΔD1보다 작은 경우 지속적으로 건조 인릿온도 T2를 측정하여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차 ΔD1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한다.
제어유닛(60)은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제1기준온도차 ΔD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압축기(51)의 운전을 종료하고 송풍팬모듈(32)의 구동을 정지하여 건조(S250) 행정을 종료한다(S390).
제어유닛(60)은 예열 인릿온도 T1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 T_in 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압축기(51)를 기설정된 제2운전속도 V2로 구동하여 건조(S250) 행정을 수행한다(S360). 제2운전속도 V2는 고온환경일 때의 건조 수행에 대응되어 송풍유닛(30)이 흡입한 공기를 히트펌프유닛(50)이 비교적 천천히 가열할 수 있도록 비교적 낮게 설정된다. 즉, 제2운전속도 V2는 제1운전속도 V1보다 낮게 설정된다.
압축기(51)를 제1운전속도 V2로 운전하며 인릿온도센서(39)는 송풍유닛(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값인 건조 인릿온도 T2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S370). 인릿온도센서(39) 는 측정된 건조 인릿온도 T2를 제어유닛(60)에 전달한다.
제어유닛(60)은 인릿온도센서(39)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차 ΔD2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한다(S380). 건조 인릿온도 T2는 압축기(51)가 구동될 때 인릿온도센서(39)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온도값이며, 예열 인릿온도 T1은 예열(S210) 행정시 인릿온도센서(39)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이다. 제2기준온도차 ΔD2는 고온환경일 때의 건조 수행에 대응되어 히트펌프유닛(50)이 가열된 공기를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처리챔버(12)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비교적 작게 설정된다. 즉, 제2기준온도차 ΔD2는 제1기준온도차 ΔD1보다 작게 설정된다.
제어유닛(60)은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제2기준온도차 ΔD2보다 작은 경우 지속적으로 건조 인릿온도 T2를 측정하여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차 ΔD2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한다.
제어유닛(60)은 건조 인릿온도 T2와 예열 인릿온도 T1의 차가 제2기준온도차 ΔD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압축기(51)의 운전을 종료하고 송풍팬모듈(32)의 구동을 정지하여 건조(S250) 행정을 종료한다(S39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케이스 12: 처리챔버
14: 사이클챔버 20: 도어
30: 송풍유닛 39: 인릿온도센서
40: 스팀유닛 50: 히트펌프유닛
60: 제어유닛 70: 탱크모듈
80: 급수탱크 90: 드레인탱크

Claims (10)

  1.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처리챔버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
    상기 처리챔버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유닛;
    상기 송풍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인 인릿온도를 측정하는 인릿온도센서;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하기 위한 히트펌프유닛; 및
    상기 스팀유닛, 상기 송풍유닛 및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팀유닛을 예열하면서 상기 송풍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인릿온도센서가 측정한 예열 인릿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이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상기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보다 천천히 가열하도록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할 때 상기 인릿온도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할 때 상기 인릿온도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상기 기준인릿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할 때 상기 인릿온도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제2기준온도차는 상기 제1기준온도차보다 작은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유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송풍유닛으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압축기를 기설정된 제1운전속도로 구동하고,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상기 기준인릿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압축기를 기설정된 제2운전속도로 구동하고,
    상기 제2운전속도는 상기 제1운전속도보다 낮은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압축기를 상기 제1운전속도로 구동할 때 상기 인릿온도센서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압축기를 상기 제2운전속도로 구동할 때 상기 인릿온도센서가 측정한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제2기준온도차는 상기 제1기준온도차보다 작은 의류처리장치.
  7.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을 예열하며 상기 처리챔버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인 예열 인릿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스팀유닛이 상기 처리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스팀유닛의 구동을 중지한 후 상기 송풍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열 인릿온도를 기준으로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히트펌프유닛이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처리챔버 내로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이 상기 송풍유닛이 흡입한 공기를,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상기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보다 천천히 가열하도록 상기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유닛이 구동될 때 상기 송풍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인 건조 인릿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의 차에 따라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구동을 중지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인릿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예열 인릿온도가 상기 기준인릿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건조 인릿온도와 상기 예열 인릿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온도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히트펌프유닛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제2기준온도차는 상기 제1기준온도차보다 작은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KR1020150036660A 2015-03-17 2015-03-17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5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660A KR101685346B1 (ko) 2015-03-17 2015-03-17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160666.0A EP3070201B8 (en) 2015-03-17 2016-03-16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5/072,554 US10119221B2 (en) 2015-03-17 2016-03-17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6/002683 WO2016148521A1 (en) 2015-03-17 2016-03-17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610152929.5A CN105986451B (zh) 2015-03-17 2016-03-17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7549024A JP6697477B2 (ja) 2015-03-17 2016-03-17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660A KR101685346B1 (ko) 2015-03-17 2015-03-17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85A true KR20160111685A (ko) 2016-09-27
KR101685346B1 KR101685346B1 (ko) 2016-12-20

Family

ID=5554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660A KR101685346B1 (ko) 2015-03-17 2015-03-17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19221B2 (ko)
EP (1) EP3070201B8 (ko)
JP (1) JP6697477B2 (ko)
KR (1) KR101685346B1 (ko)
CN (1) CN105986451B (ko)
WO (1) WO201614852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05A (ko) * 2017-12-29 2019-07-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분 공급 수조의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KR20190081706A (ko) * 2017-12-29 2019-07-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응축기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KR20190101729A (ko) * 2018-02-23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US11150676B2 (en) 2019-07-04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22045558A1 (ko) * 2020-08-24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20435A1 (ko) * 2021-04-13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55723A1 (ko) * 2021-06-02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158B2 (en) * 2017-05-11 2022-05-03 Coway Co., Ltd.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CN107560088B (zh) * 2017-09-19 2019-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
CN107576023B (zh) * 2017-09-19 2019-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柜式空调器的控制方法
CN108070995B (zh) * 2018-01-24 2019-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泵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热泵洗衣机
KR20200025946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JP7370528B2 (ja) * 2018-12-27 2023-10-30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衣類乾燥機
CN112011983A (zh) * 2019-05-28 2020-12-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及控制方法
CN112481967A (zh) * 2019-08-20 2021-03-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柜式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10106196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BE1029707B1 (de) * 2021-08-23 2023-03-20 Miele & C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s Reinigungsprozesses für ein Reinigungsgerät und Reinigungsgerät
CN117845582A (zh) * 2022-09-30 2024-04-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护理机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946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0083A (ko) * 2009-06-26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757A (en) * 1976-06-30 1978-01-11 Hitachi Ltd Controller for dryer
JPS60220100A (ja) * 1984-04-13 1985-11-02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5305484A (en) 1988-01-13 1994-04-26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JPH03126497A (ja) * 1989-10-12 199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JP2527635B2 (ja) * 1990-07-04 1996-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JPH04132597A (ja) * 1990-09-26 1992-05-06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布団乾燥機
US6189346B1 (en) 1997-07-25 2001-02-20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04121321A (ja) *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乾燥機能付き洗濯機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US20060288608A1 (en) * 2005-06-23 2006-12-28 Carow James P Automatic clothes dryer
US20080148493A1 (en) * 2006-12-20 2008-06-26 Sog Kie Hong Method for controlling a fabric processing apparatus
KR20080076652A (ko) * 2007-02-16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8539694B2 (en) 2007-08-03 2013-09-2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306714B1 (ko) * 2007-08-0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3614B1 (ko) * 2007-08-03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R2920160B1 (fr) * 2007-08-24 2009-10-09 Brandt Ind Sas Procede de limitation d'un pic de temperature d'un generateur de vapeur d'une machine a secher le linge et machine a secher le linge
JP2010104579A (ja) * 2008-10-30 2010-05-13 Toshiba Corp 洗濯機
JP5648348B2 (ja) * 2010-07-15 2015-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ふとん乾燥機
JP5755036B2 (ja) * 2011-06-09 2015-07-29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RU2536030C2 (ru) * 2012-02-06 2014-12-2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2014018452A (ja) * 2012-07-19 2014-02-03 Panasonic Corp ドラム式乾燥機
EP2733257B1 (en) * 2012-11-16 2021-10-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071479B2 (ja) * 2012-11-29 2017-02-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946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0083A (ko) * 2009-06-26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05A (ko) * 2017-12-29 2019-07-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분 공급 수조의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KR20190081706A (ko) * 2017-12-29 2019-07-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응축기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KR20190101729A (ko) * 2018-02-23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US11150676B2 (en) 2019-07-04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22045558A1 (ko) * 2020-08-24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20435A1 (ko) * 2021-04-13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55723A1 (ko) * 2021-06-02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8305A (ja) 2018-03-29
US20160273153A1 (en) 2016-09-22
WO2016148521A1 (en) 2016-09-22
CN105986451B (zh) 2018-08-24
KR101685346B1 (ko) 2016-12-20
JP6697477B2 (ja) 2020-05-20
EP3070201A1 (en) 2016-09-21
EP3070201B8 (en) 2017-12-06
CN105986451A (zh) 2016-10-05
EP3070201B1 (en) 2017-11-01
US10119221B2 (en)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4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8022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718950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3510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765235B1 (en) Laundry dryer
US8863403B2 (en) Misting control method of clothing dryer
US20050115120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 ironing
CN105463762A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10009694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79927A (ja) 衣類乾燥機
KR20190000617A (ko) 의류 처리 장치
JP2013081638A (ja) 衣類乾燥機
KR10248385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019654A (ja) 衣類乾燥機
JP2017079926A (ja) 衣類乾燥機
KR2022010580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036424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