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694A -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694A
KR20210009694A KR1020190086561A KR20190086561A KR20210009694A KR 20210009694 A KR20210009694 A KR 20210009694A KR 1020190086561 A KR1020190086561 A KR 1020190086561A KR 20190086561 A KR20190086561 A KR 20190086561A KR 20210009694 A KR20210009694 A KR 20210009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humidity
chamber
external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서국정
방제우
김도행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694A/ko
Priority to PCT/KR2020/009161 priority patent/WO2021010695A1/ko
Priority to EP20839871.9A priority patent/EP3964640A4/en
Priority to US16/947,114 priority patent/US11492750B2/en
Publication of KR2021000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2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이용하고, 열 교환기의 제어를 통한 건조물의 건조를 통하여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한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챔버; 상기 챔버에서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제1댐퍼; 외부에서 상기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제2댐퍼;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 상기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 상기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 및 내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의류의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 의류의 주름을 펴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의 냄새를 제거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의류 관리기는 증기 압축 열 펌프(Heat pump) 시스템을 갖고, 공기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 의류관리기의 건조 사이클의 경우 건조 종료 판단까지 열 펌프의 동작을 수행하였다. 다만 이 경우 건조물의 수분량이 많을 경우 효율적인 건조 행정에 해당될 수 있으나, 건조 행정이 진행되어 수분 양이 적어지는 시점에서는 전력 대비 건조의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효율적인 전력 소비로 원활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이용하고, 열 교환기의 제어를 통한 건조물의 건조를 통하여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한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챔버; 상기 챔버에서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제1댐퍼; 외부에서 상기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제2댐퍼;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 상기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 상기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 및 내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 및 상기 열 교환기의 구동을 수행하고,
상기 챔버 내부 습도가 기준 습도 미만이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절대 습도가 상기 내부 절대 습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챔버를 통한 상기 제1댐퍼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직접 상기 챔버로 유입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습도가 상기 내부 습도를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상기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외부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주파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기 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는 전력보다 적은 전력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도록 적용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초과하면,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 시작 시점에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여 상기 의류 관리기 내부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의류 관리기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센서 및 상기 의류 관리기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내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고, 상기 외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습도는, 상기 챔버 내부 절대 습도이고,
상기 외부 습도는, 상기 의류 관리기 외부의 절대습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은,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고,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 및 내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 및 상기 열 교환기의 구동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 습도가 기준 습도 미만이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절대 습도가 상기 내부 절대 습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챔버를 통한 상기 제1댐퍼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송풍팬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직접 상기 챔버로 유입 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습도가 상기 내부 습도를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상기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외부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압축기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주파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기 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는 전력보다 적은 전력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도록 적용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초과하면,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열 교환기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는 것은,
건조 행정 시작 시점에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여
상기 의류 관리기 내부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습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는 것은,
내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내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고, 외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습도는, 상기 챔버 내부 절대 습도이고,
상기 외부 습도는, 상기 의류 관리기 외부의 절대습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외부 공기를 이용하고, 열 교환기의 제어를 통한 건조물의 건조를 통하여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하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팬 및 열 교환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a 및 도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기준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회로(Circuit),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챔버(11), 챔버(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50), 그리고 챔버(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기(30)가 구비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챔버(11)을 형성하되,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된다. 본체(10)의 개구(10a)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챔버(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된다. 도어(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힌지, 링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챔버(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챔버(11)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0b), 하면(10b), 좌측면(10c), 우측면(10d), 그리고 후면(10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챔버(11)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개구(10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챔버(11)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0a) 상단에는 후술하는 도어(20)의 배출유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토출 브라켓(16)이 마련될 수 있다. 토출 브라켓(16)은 도어(20)의 배출유로(1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 슬릿(16a)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50)가 마련된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챔버(11)의 상면(10b)에 설치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챔버(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의류 지지부재(5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에는 의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 홀은 의류 지지부재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단의 에어 홀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의 내외측에 공급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 홀은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11)은 제1기류 유입구(11a) 및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1기류 배출구(11b) 및 제2기류 배출구(12b), 그리고 증기 배출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는 챔버(11)의 하면(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는 챔버(11)의 하면(10b)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 배출구(11b)는 챔버(11)의 하면(10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43)는 챔버(11)의 후면(10f)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43)는 제1기류 배출구(11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챔버(11)의 후면(10f)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는 챔버(11)의 상면(10b)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11)의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지지부재(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에어 홀(51)을 통해 의류 지지부재(50)로 전달되어 의류 지지부재(5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되게 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챔버(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은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급수통(15b)은 후술하게 되는 스팀발생장치(4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된다. 급수통(15b)의 물이 스팀발생장치(4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급수통(15b)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기계실(13)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3)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챔버(11)의 하부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필요에 따라 챔버(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의 내부에는 제2 송풍팬(32), 열 교환기(30) 그리고 스팀발생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챔버(1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열 교환기(3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33), 압축기(35), 응축기(34)를 구비하며,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된다.
열 교환기(30)의 증발기(3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35)를 거쳐 응축기(3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33)와 응축기(34)가 열 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제2 송풍팬(32)에 의해 기계실(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
기계실(13)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30)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 및 제2 송풍팬(32)을 연결하는 제1덕트(31)를 포함하고, 제1덕트(31)는 챔버(11)에 연결되어 챔버(11)과 제1덕트(31) 사이를 순환하는 제1순환유로(3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31)는 챔버(11)의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31)의 일단은 챔버(11)의 제1기류 유입구(1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챔버(11)의 제1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31)의 제1덕트 유입구(31a)는 제1기류 유입구(11a)에 연결되고 제1덕트 배출구(31b)는 제1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챔버(11)의 공기는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제1덕트(31)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 배출구(11b)를 통해 챔버(11)로 다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기류 유입구는 챔버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기류 배출구는 챔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류 유입구와 기류 배출구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덕트(31)는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 배출구(11b)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제2 송풍팬(32)은 제1덕트(31) 상에 마련되어 챔버(11)의 공기를 제1덕트(3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기계실(13)은 급수통(15b)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급수통(15b)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부(41)와, 생성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42)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4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분사부(42)는 챔버(11)의 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부(41)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챔버(11)은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1 송풍팬(72)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은 제2덕트(71)를 포함하고, 제2덕트(71)의 내부에는 제1 송풍팬(7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챔버(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챔버(11)과 제2덕트(71)를 순환하는 제2순환유로(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송풍팬(72)는 제2순환유로(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챔버(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챔버(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챔버(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8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탑 커버(80)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제1 송풍팬(72)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송풍팬 (72)은 챔버(11)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송풍모터(72a)와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72b)을 포함할 수 있다. 팬(72b)은 팬 케이스(72c)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팬 케이스(72c)는 챔버(11)의 상면(10b)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74)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74)에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74a)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74a)에 각각 제2 송풍팬(32)이 결합되어 제2덕트(71)의 공기를 제2덕트(71)의 제2기류 배출구(12b)로 이동하게 한다.
제2덕트(71)는 챔버(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일단은 챔버(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에 연결되고 타단은 챔버(11)의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제2덕트 유입구(71a)는 제2기류 유입구(12a)에 연결되고 제2덕트 배출구(71b)는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챔버(11)의 제2기류 배출구(12b)는 제2덕트(71)의 제2덕트 배출구(71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제2덕트 배출구(71b)는 챔버(11)의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되고,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지지부재(50)에 연결되어 제2덕트(71)의 공기가 의류 지지부재(50)로 전달되게 된다.
제2덕트(71)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송풍팬(72)은 챔버(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 유입구(12a)를 통해 흡입하여 제2덕트 배출구(71b) 및 제2기류 배출구(12b)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챔버(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에는 필터부재(60)가 마련된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챔버(11)의 후면(10f)에 형성된다. 챔버(11)의 후면(10f)에는 필터부재(60)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부재 설치부(11c)가 마련된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필터부재 설치부(11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챔버(11)의 내부 공기는 제2덕트(71)로 유입 시 제2기류 유입구(12a)의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제2덕트(7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부재(60)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된 공기는 송풍장치(72)를 통해 제2덕트 배출구(71b) 및 의류 지지부재(5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11)은 의류 관리 시, 의류 지지부재(5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킨다. 이때, 챔버(11)은 제1순환유로(39)와 제2순환유로(70)를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실내 제습 시, 챔버(11)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어(20)에 마련되는 제습유로(100)를 포함한다. 제습유로(100)는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습유로(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의류 관리기 내부 또는 외부에 센서부(240-1, 240-2)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240-1, 240-2)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240-1, 240-2)는 의류 관리기 내부 마련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내부 및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2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도3의 A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어 프레임(310)에는 제습유로(1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 프레임(310)에는 유입유로(11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유로(110)는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여 제1배출구(112)를 통해 챔버(11)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유입유로(110)는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유로덕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구(112)는 유입유로덕트(13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110)는 제1배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댐퍼(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댐퍼(210)는 유입유로덕트(13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제2댐퍼(210)는 제1배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개폐부재(211)와, 제1유로개폐부재(21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모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제2댐퍼(210)로부터 의류 관리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제2 댐퍼(210)로부터 열 교환기를 통하여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는 제2댐퍼(210)로부터 직접 챔버로 유입될 수 있다.
도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는 도3의 B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연결덕트(91)의 내부에는 제2순환유로(70)와의 사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퍼(220)가 마련된다. 제1댐퍼(220)는 탑 커버(80)의 연결유로 홀(81)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제1댐퍼(220)는 연결유로 홀(81)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유로개폐부재(221)와, 제2유로개폐부재(22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모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댐퍼(210)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1댐퍼(22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도5 및 도6을 참고하면, 제1댐퍼와 제2댐퍼는 폐쇄되어 건조 행정을 시작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챔버의 내부 및 외부 온도, 습도에 기초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제어되어 건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의 제어블럭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의류 관리기(1)는 송풍팬(90), 제1 댐퍼(220), 제2 댐퍼(210), 열 교환기(30), 센서부(24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팬은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송풍 팬(72)은 제1 댐퍼(220)와 대응되고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32)과 제2 댐퍼(210)와 대응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30)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퍼(220)는 의류 관리기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댐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댐퍼(210)는 의류 관리기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댐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댐퍼(220)는 제1 송풍팬(72)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기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있어 제1 송풍팬(72)이 구동하면 제1 댐퍼(220)가 개방되어 외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댐퍼(210)는 제2 송풍팬(32)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댐퍼(210)는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송풍팬(32)이 구동되면 외부 공기를 열 교환기(30)로 유도하여 외부 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열 교환기(30)는 공기를 가열하여 챔버(11)에 공급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의류 관리기(1)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40)는 의류 관리기(1) 외부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기(1)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센서부(240)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의류 관리기(1) 외부 절대 습도 및 내부 절대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 챔버 내부 온도 및 내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댐퍼를 개방하여 외기를 건조물의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절대 습도 및 상기 내부 절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댐퍼(220) 및 제2 댐퍼(210)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댐퍼(220)의 개방에 따라 제1 송풍팬(72)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외부 절대 습도 및 내부 절대 습도에 기초하여 열 교환기(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절대 습도가 내부 절대 습도 보다 낮은 경우 외부 공기를 통하여 의류 관리기(1)에 있는 의류를 직접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압축기(35)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절대 습도는 단위 부피당 포함된 수증기의 질량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댐퍼(220) 및 제2 댐퍼(210)를 폐쇄하고, 제2 송풍팬(32)의 구동 및 상기 열 교환기(30)의 구동을 통하여 건조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00)는 건조를 수행함에 따라 전력 대비 건조의 효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챔버의 습도 및 온도를 기초로 건조의 효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챔버의 온도가 40도를 초과하고, 습도가 40%미만인 경우 건조의 효율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챔버의 조건이 이와 같은 상황인 경우 챔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조건은 의류 관리기가 외기를 건조물의 건조에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외부 절대 습도 및 상기 내부 절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댐퍼(220) 및 상기 제2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72)의 구동을 시작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절대 습도가 내부 절대 습도 미만이면,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하다.
제어부(200)는 챔버의 습도 및 온도에 기초하여 댐퍼의 개방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절대 습도가 내부 절대 습도 미만이면, 제1 댐퍼(220) 및 제2댐퍼(210)를 개방 및 제1 송풍팬(72) 및 제2송풍팬(32)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기는 제2 댐퍼(210)를 시작으로 챔버(11)를 거쳐 제1 댐퍼(220)로 흐를 수 있다.
다만 제2송풍팬(32)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공기는 열교환기를 거쳐 가열되지 않고 챔버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댐퍼(220)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의류 관리기(1) 내부로 유입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전력의 효율을 위하여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200)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데 있어 열 교환기(30)를 거치지 않고 제1 송풍팬(72) 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직접 상기 챔버(11)로 유입 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절대 습도가 상기 내부 절대 습도를 초과하면 제1 댐퍼(220)를 폐쇄하고 제2 송풍팬(32) 및 압축기(35)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외부 공기 자체로 원활한 건조 행정이 어려우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열 교환기(30)를 거쳐 공기를 가열하여 챔버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기초로 제어부는 제2 댐퍼(210)로부터 열 교환기(30)를 거쳐 챔버(11)를 통한 상기 제1 댐퍼(220)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공기를 열 교환기(30)를 통하여 챔버(11)에 공급하는 경우 열 교환기(30)를 미리 결정된 소비 전력을 소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열 교환기(30)에 포함된 압축기(35)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시킬 수 있다.
최소 주파수는 댐퍼 개방 전의 건조 행정의 압축기가 소비하는 전력보다 적은 소비전력을 소비하도록 적용되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소 주파수는 열 교환기(30)에 포함된 압축기(35)를 최소 전력으로 구동할 시 적용되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최소 주파수는 압축기를 구동하여 열풍 또는 냉풍 생성이 가능한 낮은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최소 주파수는 압축기(35)의 구동이 가능한 주파수의 범위 중 가장 작은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제1 댐퍼(220) 및 상기 제2 댐퍼(210)를 폐쇄하고, 송풍팬(32, 72) 및 열 교환기(30)를 구동하여 챔버의 건조물을 건조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외부 습도의 미리 결정된 값은 85%로 결정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의류 관리기(1)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건조 행정 시작 시점의 상기 의류 관리기(1) 내부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건조 행정 시작 시점에서 의류 관리기(1) 내부의 절대 습도는 의류 관리기(1)의 외부 절대 습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내부에 마련된 센서부(240)가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의류 관리기(1) 내부의 절대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위하여 제어부는 건조 행정 시작 전 제1댐퍼와 제2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기초로 제어부(200)는 건조 행정 시작 개시 시점의 의류 관리기(1) 내부 절대 습도를 의류 관리기(1) 외부 절대습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240)는 의류 관리기(1)의 내부 뿐만 아니라 의류 관리기(1) 외부에 외부 센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내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내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고, 외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의류 관리기(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1)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류 관리기(1)의 제어부(200)는 제1 송풍팬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직접 상기 챔버로 유입 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 절대 습도가 내부 절대 습도보다 낮은 경우 아래와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관리기의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입유로(110)로 유입된 공기는 제1배출구(112)를 통해 챔버(11)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댐퍼(210)은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열 교환기(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챔버(11)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송풍팬(72, 32)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고 제1댐퍼(220)가 개방될 수 있다.
제1송풍팬(72)이 구동되는 경우,, 제1댐퍼(220)와 제2댐퍼(210)가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열 관리기(3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챔버(11)를 거처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다.
즉, 외부 절대 습도가 의류 관리기 내부 절대 습도 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200)는 외부 공기 그대로 건조물의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도9 내지 도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송풍팬 및 열 교환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a 및 도9b는 외부의 절대 습도가 내부의 절대 습도 보다 높은 경우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9a는 제1송풍팬(72)과 제2송풍팬(32)이 마련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제어부는 외부 공기를 열 교환기를 거쳐 챔버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챔버(11) 내부의 습도에 기초하여 제2댐퍼(210), 제2 송풍팬(32) 및 열 교환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하여 제2댐퍼(210)를 개방하고, 제2 송풍팬(32)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제1 송풍팬(72)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고, 제1송풍팬이 제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1송풍팬이 구동된다면 챔버에서 외부로 공기가 더 빠르게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열 교환기(30)에서 외부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습도가 낮은 공기로 챔버(11)에 토출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송풍팬(32)을 구동하여 상기 제2댐퍼(210)로부터 열 교환기(30)를 통한 챔버(11)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어부(200)는 압축기(35)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열 교환기(30)의 압축기(35)를 구동 주파수를 최소 주파수로 고정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9b를 참고하면, 위와 같은 동작은 하나의 송풍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가 하나의 송풍팬(72)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댐퍼(220)와 제2댐퍼(210)를 개방하고, 제2송풍팬(32)을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송풍팬(32) 구동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의류 관리기 내부로 유입시키고 외부로 토출 시킬 수 있다.도10a 및 도10b는 외부의 절대 습도가 내부의 절대 습도 보다 낮은 경우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0a는 제1송풍팬과 제2송풍팬이 마련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이 경우에 의류 관리기(1)는 외부 공기를 챔버(11) 내부의 건조물을 건조하는데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댐퍼(220) 및 제2댐퍼(210)를 개방하고, 제1 송풍팬(72)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댐퍼(220)를 개방하고 제1 송풍팬(72)의 구동을 개시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외부 공기는 도9와 달리 열 교환기에 유입되지 않고 직접 챔버(11)에 유입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이러한 동작을 기초로 제2댐퍼(210)로부터 챔버(110)를 통한 제1댐퍼(220)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10에서는 외부 공기의 절대습도가 의류 관리기 내부 습도보다 낮기 때문에 외부 공기를 직접 건조물의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위하여 제어부(200)는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외부 공기 자체만으로 건조물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00)는 전력 손실을 막기 위하여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 시킬 수 있다.
한편 도10b를 참고하면, 위와 같은 동작은 하나의 송풍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가 하나의 송풍팬(72)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댐퍼(220)와 제2댐퍼(210)를 개방하고, 제2송풍팬(32)을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공기는 제2댐퍼를 거쳐 열 교환기(3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10a와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외부 절대 습도가 내부 절대 습도 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35)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열 교환기(30)로 유입되지만 가열되지 않고 챔버(11)로 토출 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송풍팬 구동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의류 관리기 내부로 유입시키고 외부로 유출 시킬 수 있다.
도11은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외기를 도입할 경우 효율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댐퍼를 개방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의류 관리기 내부 습도와 온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더라도,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제2송풍 팬(32)을 구동하여 내기를 열 교환기(30)를 거쳐 챔버(11)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값은 85%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댐퍼(220)와 제2댐퍼(21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외부 습도 자체가 높은 경우에는 외기를 건조물에 건조에 이용하기 어려우므로 제어부는 내부 공기를 열 교환기(30)를 거쳐 온도를 상승시켜 챔버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제1댐퍼(220)와 제2댐퍼(210)를 모두 폐쇄하고 내부 공기를 제2 송풍팬(32)을 이용하여 열 교환기(30)로 유입 시켜 가열하여 챔버(11)에 토출 시킬 수 있다.
도9내지 도11은 의류 관리기의 건조 행정이 개시되고 챔버의 온도 및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한 경우 동작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동작들은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수행이 중 의류 관리기 챔버의 온도 및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한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다만 도9내지 도11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건조를 위한 제1댐퍼(220), 제2댐퍼(210), 제1 송풍팬(72), 제2 송풍팬(32) 및 열 교환기(30)의 동작에 제한은 없다.
도12a 및 도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기준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a및 도12b 의류관리기의 건조 행정 시 동작 시 소비입력과 내부 습도 및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2a및 도12b를 참고하면, 열 교환기(30) 소비입력이 가장 높은 501W 동작 시 의류 관리기 습도 변화 량의 기울기는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구간은 소비 입력 대비 건조 행정은 비효율 구간에 해당한다.
한편 이 구간에 진입하면 의류관리기 챔버의 온도는 기준 온도를 초과하고 챔버의 습도는 기준 습도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온도는 40도, 기준 습도는 40%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이 구간에서 열 교환기(30)를 구동하는 대신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하고 제1댐퍼(220) 및 제2댐퍼(210) 개방 및 제1 송풍팬(72)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도12a및 도12b에서 나타나듯이 제어부(200)는 의류 관리기 내부의 습도 변화량(N12)과 의류 관리기의 소비 전력(M12, L12)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의 습도 변화량과 소비 전력의 비율을 기초로 기준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온도와 기준 습도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기의 조건이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12a및 도12b에서는 40분에 해당하는 시간에 전력이 501W소비되는 반면 습도의 변화량이 적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40분에 의류 관리기의 챔버의 조건이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시점은 제어부(200)가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미리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준 시점에 외부 절대 습도와 내부 절대 습도를 기초로 외부 공기를 건조에 이용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제2댐퍼(210) 개방, 제2 송풍팬(32)의 구동 및 열 교환기(30)의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술한 방법을 기초로 결정된 기준 시점에 외부 절대 습도 및 내부 절대 습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준 시점에 상기 제1댐퍼(220) 개방 및 상기 제1 송풍팬(72)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시점에 외부 절대 습도가 내부 절대 습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1댐퍼(220) 및 제2댐퍼(210)를 개방 및 제1 송풍팬(72) 구동을 개시하고,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 송풍팬(32)의 구동 및 압축기(35)의 구동을 중단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공기는 열 교환기(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챔버로 유입되어 건조물의 건조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외부 습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200)는 제2송풍팬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열 교환기(30)로 유입시킬 수 있다.
반면, 외부 절대 습도가 내부 절대 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00)는 기존과 같이 제2 댐퍼(210) 개방, 상가 제2 송풍팬(32)의 구동 및 상기 열 교환기(30)의 구동을 수행하여 챔버(11)안의 건조물을 건조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30)가 최소 전력을 소모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압축기(35)를 최소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12a 및 도12b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동작의 제한은 없다.
도13 및 도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13은 외부 센서 및 내부 센서가 구비된 경우 의류관리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의류 관리기가 건조 행정을 시작하고(1001), 제어부는 기준 온도 이상 및 기준 습도 미만에 해당되는 미리 결정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2).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습도가 너무 높은 경우 외기를 건조에 이용하기 어려우므로,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1003) 댐퍼를 개방하여 외기를 건조물의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제1댐퍼 및 제2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1004). 또한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기 구동을 중단하여(1007) 외기를 통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1005).
다만,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압축기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1006).
도14는 내부 센서가 구비된 경우 의류관리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건조 행정 전, 의류 관리기는 댐퍼를 개방(1011)하여 내부에 마련된 센서를 기초로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1012). 댐퍼를 폐쇄하고(1013) 건조 행정을 개시할 수 있다.(1014)
의류 관리기가 건조 행정을 시작하고(1014), 제어부는 기준 온도 이상 및 기준 습도 미만을 만족하는 미리 결정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15).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습도가 너무 높은 경우 외기를 건조에 이용하기 어려우므로,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1016) 댐퍼를 개방하여 외기를 건조물의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제1댐퍼 및 제2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1017). 또한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하여(1020) 외기를 통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1018).
다만,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압축기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1019).
또한 상술한 동작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의류 관리기에 포함된 송풍팬이 동작할 수 있다. 송풍팬은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 및 외부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의류관리기는 하나의 송풍팬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송풍팬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풍팬은 외부 습도가 내부 습도 보다 낮은 경우 외부 공기를 챔버로 유입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어서 송풍팬은 챔버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송풍팬의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공기는 열 교환기를 거쳐 챔버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팬은 외부 습도가 내부 습도 보다 높은 경우 외부 공기를 열 교환기로로 유입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은 챔버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풍팬은 외부 공기를 유입하지 않고 내부 공기를 순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의류관리장기
10 : 본체
11 : 챔버
30 : 열 교환기
210 : 제1댐퍼
220 : 제2댐퍼

Claims (24)

  1. 챔버;
    상기 챔버에서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제1댐퍼;
    외부에서 상기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제2댐퍼;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
    상기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
    상기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 및 내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 및 상기 열 교환기의 구동을 수행하고,
    상기 챔버 내부 습도가 기준 습도 미만이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의류 관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절대 습도가 상기 내부 절대 습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챔버를 통한 상기 제1댐퍼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의류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직접 상기 챔버로 유입 시키는 의류 관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습도가 상기 내부 습도를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상기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의류 관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외부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주파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기 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는 전력보다 적은 전력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도록 적용되는 주파수인 의류 관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초과하면,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의류 관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 시작 시점에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여
    상기 의류 관리기 내부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는 의류 관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의류 관리기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센서 및 상기 의류 관리기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내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고,
    상기 외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는 의류 관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습도는,
    상기 챔버 내부 절대 습도이고,
    상기 외부 습도는,
    상기 의류 관리기 외부의 절대습도인 의류 관리기.
  13.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고,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 및 내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 및 상기 열 교환기의 구동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 습도가 기준 습도 미만이고,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절대 습도가 상기 내부 절대 습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챔버를 통한 상기 제1댐퍼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송풍팬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직접 상기 챔버로 유입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습도가 상기 내부 습도를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제2댐퍼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를 통한 상기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외부로부터 상기 열 교환기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압축기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주파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기 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는 전력보다 적은 전력을 상기 압축기가 소비하도록 적용되는 주파수인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습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비교하여, 제1댐퍼 및 제2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교환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습도가 미리 결정된 값 초과하면,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열 교환기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는 것은,
    건조 행정 시작 시점에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를 개방하여
    상기 의류 관리기 내부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습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획득하는 것은,
    내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내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고,
    외부 센서가 획득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절대 습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습도는,
    상기 챔버 내부 절대 습도이고,
    상기 외부 습도는,
    상기 의류 관리기 외부의 절대습도인 의류 관리기 제어방법.
KR1020190086561A 2019-07-17 2019-07-17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09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61A KR20210009694A (ko) 2019-07-17 2019-07-17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09161 WO2021010695A1 (ko) 2019-07-17 2020-07-13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EP20839871.9A EP3964640A4 (en) 2019-07-17 2020-07-13 APPAREL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947,114 US11492750B2 (en) 2019-07-17 2020-07-17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61A KR20210009694A (ko) 2019-07-17 2019-07-17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94A true KR20210009694A (ko) 2021-01-27

Family

ID=7421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561A KR20210009694A (ko) 2019-07-17 2019-07-17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92750B2 (ko)
EP (1) EP3964640A4 (ko)
KR (1) KR20210009694A (ko)
WO (1) WO20210106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02A1 (ko) * 2021-08-30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06567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28401A (zh) * 2021-08-05 2023-04-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的控制方法及干衣机
CN113802352B (zh) * 2021-10-19 2022-10-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洗护设备烘干衣物的控制方法及装置
CN114606746A (zh) * 2022-03-30 2022-06-10 馨屋(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干衣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075B1 (ko) * 2003-11-25 2006-01-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건조 방법
KR101108044B1 (ko) * 2004-07-28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783125B2 (ja) * 2005-11-17 2011-09-28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2008104625A (ja) * 2006-10-25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100782377B1 (ko) * 2007-01-23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US9027258B2 (en) * 2010-10-21 2015-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controlled cycle time
KR20120077194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파세코 의류 건조기 및 그 건조방법
EP2733252A1 (en) * 2012-11-16 2014-05-2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ethod of operating a heat pump laundry dryer and heat pump laundry dryer or heat pump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CN105350272B (zh) * 2014-08-19 2019-11-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采用远红外加热的干衣机及其干衣控制方法
KR101613965B1 (ko) 2014-12-08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351369B1 (ko) * 2017-06-22 2022-01-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2647362B1 (ko) * 2017-12-29 2024-03-13 코웨이 주식회사 응축기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02A1 (ko) * 2021-08-30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06567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2750B2 (en) 2022-11-08
WO2021010695A1 (ko) 2021-01-21
EP3964640A4 (en) 2022-07-06
EP3964640A1 (en) 2022-03-09
US20210017699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9694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1831B1 (ko) 세탁 건조기
KR1013510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764344B1 (ko) 의류 건조기
KR10168534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639200B (zh) 衣物护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78022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2634966B (zh) 衣物处理机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82377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KR1023646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558128B (zh) 衣物干燥设备及其控制方法
US20220034023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29654A (ja) 洗濯乾燥機
JP6752568B2 (ja) 衣類乾燥機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US20090205220A1 (en) Dryer and adapter having ducting system
JP4384203B2 (ja) 衣類乾燥機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5164113A (ja) 換気装置
JP6545935B2 (ja) 衣類乾燥機
JP7319028B2 (ja) 衣類乾燥機
JP2005164114A (ja) 浴室用空調装置
JP6889521B2 (ja) 衣類乾燥機
JPH1076100A (ja) 衣類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