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844B1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844B1
KR102483844B1 KR1020200180536A KR20200180536A KR102483844B1 KR 102483844 B1 KR102483844 B1 KR 102483844B1 KR 1020200180536 A KR1020200180536 A KR 1020200180536A KR 20200180536 A KR20200180536 A KR 20200180536A KR 102483844 B1 KR102483844 B1 KR 10248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laundry treatment
temperature
treatment apparatus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895A (ko
Inventor
서진호
박재용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8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되 교류전류의 주파수 조정을 통해 압축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압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팬, 및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간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a) 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b) 단계,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는 (c) 단계,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을 조정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증발기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ARATUS FOR LAUNDARY TREATMEN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데 통상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며, 이때 히프펌프장치는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냉매를 응축시켜 주변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다시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기 위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 및 응축기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 팬이 마련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로 유입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공기 온도가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지역의 위치나 계절 변화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가 일정한 건조성능을 발휘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일 예로,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저온인 경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까지 높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의류 건조시간을 증가시켜 결국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고온인 경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까지 높이는 데에는 용이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오히려 압축기의 부하가 증가되어 과열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가 약 18~25℃의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의류처리장치가 고온의 환경에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양의 의류를 건조할 때 요구되는 건조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이 요구되고, 반대로 의류처리장치가 저온의 환경에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양의 의류를 건조할 때 요구되는 건조시간보다 더 긴 시간이 요구되어, 의류처리장치 주변의 공기 온도에 따라 건조시간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처리실 내 수용된 의류의 건조 등을 위해 운전할 때,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압축기나,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 등으로부터 소음이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하는 소음은 사용자가 수면 중이나 주변 환경이 조용한 저녁이나 밤에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122094 B1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기 온도와 무관하게 의류처리실 내 의류에 대한 건조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되 교류전류의 주파수 조정을 통해 압축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압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팬, 및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간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a) 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b) 단계,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는 (c) 단계,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을 조정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증발기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은 상기 외부 온도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팬은 복수의 팬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팬은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단계, 및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팬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c) 단계는,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압축기는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최대 개도율로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d) 단계는, 기 설정된 제2 시간을 주기로 상기 히트펌프운전 종료시까지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를 재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획득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재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을 조정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증발기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재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이 낮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고, 반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이 높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이 낮은 대역의 개방범위를 선택하고, 반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이 높은 대역의 개방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는, 인접한 압축기운전범위와 일부 중첩되는 대역을 갖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는, 인접한 운전범위와 일부 중첩되는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d) 단계는, 상기 토출냉매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은 낮추고, 반대로 상기 토출냉매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은 높이며, 상기 유입냉매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은 낮추고, 반대로 상기 유입냉매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은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 내 설치된 다른 전기기기에 의해 측정된 온도측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제습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되 교류전류의 주파수 조정을 통해 압축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압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팬, 및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간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할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을 조정하고, 상기 증발기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은 상기 외부 온도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 운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팬은 복수의 팬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팬이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팬의 구동 RPM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의 외기 온도와 무관하게 의류처리실 내 의류에 대한 건조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압축기가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신뢰구간에서 건조성능을 유지한채 작동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 구체적으로 기계실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의류처리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을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압축기 구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주변 가전기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팬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의류처리장치의 팬 제어방법을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 제어방법을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유량조절밸브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의류처리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140)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넷(10)이나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가 의류처리실(11)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 물론, 공기토출구(12)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의류처리실(11) 내부,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의 내측 후면에는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부(13)가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100)와 스팀분사부(13)는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호스를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100)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100)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100)의 급수구(17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장치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10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섬프에 집수하고,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응축수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실(11)에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100)(또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히트펌프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장치(100)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히트펌프장치와 유사하게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포함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할 수 있다.
냉매는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순환하고,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 내 습기는 제거되고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히트펌프장치(100) 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흐름을 갖도록 증발기(110) 또는 응축기(120) 주변, 구체적으로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 팬(105)이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110)는 순환공기유로(101)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고,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공기가 증발기(110)를 통과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된다.
압축기(130)는 증발기(110)와 응축기(12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압축기(13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증발기(11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3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와 같이 회전운동하는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의 회전운동은 동력변환장치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압축기(13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유량은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른 구동부의 회전수(RPM)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압축기(130)에 포함된 구동부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구동부의 회전수(RPM)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압축기(13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유량은 구동부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응축기(120)는 증발기(110)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 간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되고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압축기(130)를 거쳐 응축기(120)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증발기(110)와 응축기(120)는 주변 공기에 대한 열교환장치의 기능을 하게 되어, 의류처리실(11)로부터 인출되어 히트펌프장치(100)의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되어 공기배출구(101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4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응축기(120)에서 증발기(110)로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개도율(開度率)을 조절하여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100)는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 내 습도를 제거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 내의 공기는 기계실(20)의 전단 상부를 통해 기계실(20) 내 덕트를 통해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되고,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공기배출구(101b)를 통해 다시 의류처리실(11)로 배출되는 유로를 가지며, 이러한 공기유로 상에 마련된 팬(105)의 구동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공기 유로 상, 특히 의류처리실(11)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덕트 상에는 필터(미도시)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공기 중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기계실(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에 건조코스와 같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팬(105)을 구동시켜,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순환공기유로(101)를 따라 순환케하되, 이때 순환공기유로(10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열교환되어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압축기의 제어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의류처리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을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20), 압축기(130)는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단계(S130),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40) 및 상기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제어하되,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이용하여, 먼저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선택하여 해당 운전범위 내 최대 구동 RPM으로 구동한 다음, 기 선택된 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할 수 있다.
운전하는 의류처리장치(1)의 온도환경에 따라 압축기(130)에 대한 제어를 달리 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온도환경과 무관하게 건조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의류처리장치(1)가 저온의 환경에 설치되어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순환공기유로(10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증발기(110)에서 흡수하는 열량이 적고, 압축기(13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시점은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의 시점보다 상대적으로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30)에서 배출하는 냉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시점이 늦어지면,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에 대한 건조시간이 길어져, 만약 건조코스에서 건조시간이 정해져 있다면 해당 건조시간 내 의류를 충분히 건조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가 고온의 환경에 설치되어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순환공기유로(10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증발기(110)에서 흡수하는 열량이 많고, 압축기(13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시점은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의 시점보다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30)에서 배출하는 냉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시점이 빨라지면,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에 대한 건조시간이 짧아져, 만약 건조코스에서 건조시간이 정해져 있다면 의류에 대한 건조가 완료되었음에도 건조운전을 지속하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운전을 달리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건조코스와 같은 제어명령이 입력되어 제어부가 히트펌프장치(100)의 운전을 시작할 때,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의류처리장치(1) 주변의 외부 온도를 획득하기 위한 구제적인 수단이나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에 설치되어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의류처리실(1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의류처리실(11)은 이를 둘러싼 도어(40)나 캐비넷(10)이 단열재로 충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1)가 운전하지 않으면,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온도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의류처리장치(1) 주변의 가전기기에 의해 측정된 온도측정값을 수신하여 이를 근거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전기기는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된 공간 내 설치된 장치로서, 일 예로 정수기(2), 냉장고(3), 또는 온도계(4) 등일 수 있다(도 7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주변 가전기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주변의 다른 가전기기와 직접 일대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 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신호를 중개하는 허브(H)완 연결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는 허브(H)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N) 내 정수기(2), 냉장고(3), 또는 온도계(4) 등과 허브(H)를 매개로 연결되어, 의류처리장치(1)는 허브(H)를 통해 같은 공간 내 마련된 다른 가전기기들에 의해 측정된 온도측정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허브(H)에는 네트워크(N)를 이루고 있는 각종 노드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수집하는 서버(S)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의류처리장치(1)는 서버(S)가 수집한 온도측정값을 전달받음으로써, 주변의 외기온도를 획득할 수도 있다.
결국,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는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측정하여 추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가 외부 온도를 획득(S110)한 이후, 제어부는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30)는 구동부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구동부의 회전수(RPM)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압축기(130)로부터의 토출냉매온도만을 이용하여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결정한 다음, 기 설정된 제1 시간(T1)동안 상기 결정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운전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른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은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다. 하기 표 1의 압축기 운전범위의 단위는 Hz이나 압축기의 구동부의 회전수(RPM)에 상응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양태를 가리킬 수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압축기의 구동 RPM의 용어와 구동 Hz는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외기온도 압축기 운전범위
5℃ 이상 ~ 23℃ 미만 50Hz ~ 70Hz
23℃ 이상 ~ 35℃ 미만 40Hz ~ 60Hz
35℃ 이상 30Hz ~ 50Hz
즉,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는 복수 개로, 각 운전범위의 대역폭은 동일하게 설정하되, 인접한 압축기운전범위는 일부가 중첩되는 대역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을수록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는 구동부의 회전수(RPM)가 낮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도록 하고,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을수록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는 구동부의 회전수(RPM)가 높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선택한 다음, 해당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최대 RPM으로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압축기(130)가 구동되도록 운전할 수 있다(S130).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구동 RPM이 포함된 운전범위 내에서도 최대 RPM으로 구동하여, 신속하게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승온시켜 건조시간이 정해져 있더라도 건조시간 내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구동 RPM이 포함된 운전범위 내에서도 최대 RPM으로 구동하여 건조시간이 정해져 있더라도 건조시간 내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되, 한정된 운전범위 내에서만 압축기(130)가 구동되어 에너지 낭비가 과도하게 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14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냉매유로(102)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매온도측정센서(111, 13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냉매온도측정센서(111, 131)는 순환냉매유로(102) 상에서 압축기(130)의 출구측과 유량조절밸브(140)의 출구측 등에 마련되어 냉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 중 특히 압축기(130) 출구측의 냉매 온도는 압축기의 과부하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압축기(130)의 신뢰성, 나아가 히트펌프장치(100)의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도 3의 미설명 도면부호 115, 125는 순환공기유로(101), 구체적으로 열교환기의 공기유입측과 공기배출측 각각에 마련되어, 순환공기유로(10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돌아와, 제어부는 압축기(130)의 출구측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고,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에 대응하는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가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최적의 온도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통상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공기의 온도는 약 60℃ ~ 70℃이다.
다만,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재순환되는 온도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와 상관하기 때문에, 제어부가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른 운전범위 내의 구동 RPM으로 운전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시간(T1) 경과 후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근거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S150)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외기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경우, 냉매의 온도 상승율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압축기(130)가 높은 RPM의 운전범위에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외기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경우, 냉매의 온도 상승율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압축기(130)가 낮은 RPM의 운전범위에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제어부는 필요 이상으로 압축기(130)를 구동시켜 고온의 열풍 공급으로 인한 의류 손상이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며, 외부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가 최적의 범위 내에서만 구동하도록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하기 위해,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에 대응하는 압축기(130)의 구동 RPM은 하기 표 2와 같다.
외기온도 압축기 토출냉매온도 압축기 구동 주파수
5℃ 이상 ~ 23℃ 미만 80℃ 미만 70Hz
100℃ 이상 ~ 105℃ 미만 50Hz
23℃ 이상 ~ 35℃ 미만 80℃ 미만 60Hz
100℃ 이상 ~ 105℃ 미만 40Hz
35℃ 이상 80℃ 미만 50Hz
100℃ 이상 ~ 105℃ 미만 30Hz
제어부는 상기 표 2와 같이 기 설정된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의 범위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선택된 압축기 운전범위 내 구동 RPM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40)와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근거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150)를 기 설정된 제2 시간을 주기로 하여, 히트펌프운전 종료시, 즉 건조시간 종료시까지 반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선택(S120)하고, 먼저 제1 시간(T1)동안 기 선택된 운전범위 내 최대 구동 RPM으로 압축기(130)가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시간(T1)이 초과하였는지 판단(S131)한 다음, 제1 시간(T1)이 도과하였을 때에는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획득(S140)하고,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근거로 기 선택된 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S150)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코스를 운전하고 있을 때, 건조코스의 건조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즉 히트펌프장치의 운전시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S151)하고, 건조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을 때에는 제2 시간(T2)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152)함으로써, 제2 시간(T2)을 주기로 압축기(130)의 현재 구동 RPM을 유지하거나,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재획득(S140)하고 재획득한 토출냉매온도에 대응하는 압축기(130)의 구동 RPM으로 조정(S150)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건조운전시작부터 제1 시간(T1)까지는 운전범위(BW1 ~ BW3) 중 어느 하나의 최대 구동 RPM으로 운전하되, 제1 시간(T1) 초과 이후에는 제2 시간(T2)을 주기로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해당 운전범위(BW1 ~ BW3)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다시 획득하는 단계(S110), 재획득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복수의 압축기 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는 단계(S120) 및 압축기(130)가 기 재선택된 압축기 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도 4 및 5에 도시된 단계 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제어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팬의 제어방법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팬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의류처리장치의 팬 제어방법을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팬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팬(105)의 복수의 팬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220), 팬(105)은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단계(S230),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와 응축기(120)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40) 및 상기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팬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순환공기유로(101)를 따라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인 팬(105)의 구동 RPM을 제어하되,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이용하여, 먼저 팬(105)의 운전범위를 선택하여 해당 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한 다음, 기 선택된 운전범위 내에서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할 수 있다.
운전하는 의류처리장치(1)의 온도환경에 따라 팬(105)에 대한 제어를 달리 함으로써, 팬(10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가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의 건조 등을 위해 운전할 때,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압축기(130)나,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105)으로부터 소음이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하는 소음은 사용자가 수면 중이나 주변 환경이 조용한 저녁이나 밤에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온도에 따라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코스 등에 따라 운전할 때 히트펌프장치(100)를 원활하게 동작시키되 팬(105)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팬(105)의 구동 RPM을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 및 열교환기의 상하류측단의 공기 온도차를 근거로 조정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의 건조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팬(105)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팬(105)의 구동 RPM을 낮추면 팬(10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줄일 수 있지만,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제습 가열된 공기의 풍량은 감소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리프레쉬하는 경우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 의류처리실(11) 내 제습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압축기(13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압축기(130)의 작동압력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팬(105)의 구동 RPM을 높임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리프레쉬할 때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팬(10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압축기(13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팬(105)의 구동 RPM을 하기와 같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팬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팬(105)의 운전을 달리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건조코스와 같은 제어명령이 입력되어 제어부가 히트펌프장치(100)의 운전을 시작할 때,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의류처리장치(1) 주변의 외부 온도를 획득하기 위한 구제적인 수단이나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에 설치되어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거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의류처리장치(1) 주변의 가전기기에 의해 측정된 온도측정값을 수신하여 이를 근거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므로,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가 외부 온도를 획득(S210)한 이후, 제어부는 팬(105)의 운전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S220).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팬(105)은 회전수(RPM)를 조절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팬(105)의 운전범위를 결정한 다음, 기 설정된 제1 시간(T1)동안 상기 결정된 팬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운전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른 팬(105)의 운전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 표 3과 같은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다.
외기온도 팬 운전범위
5℃ 미만 1400 RPM ~ 1600 RPM
5℃ 이상 ~ 13℃ 미만 1220 RPM ~ 1420 RPM
13℃ 이상 ~ 23℃ 미만 1040 RPM ~ 1240 RPM
23℃ 이상 ~ 33℃ 미만 860 RPM ~ 1060 RPM
33℃ 이상 ~ 43℃ 미만 680 RPM ~ 880 RPM
43℃ 이상 500 RPM ~ 700 RPM
즉, 팬(105)의 운전범위는 복수 개로, 각 운전범위의 대역폭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인접한 팬운전범위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대역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을수록 팬(105)의 운전범위는 회전수(RPM)가 높은 대역의 팬운전범위를 선택하도록 하고,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을수록 팬(105)의 운전범위는 회전수(RPM)가 낮은 대역의 팬운전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을수록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구동부의 회전수(RPM)가 높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압축기(130)의 구동 RPM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 경우 제어부는 팬(105)의 구동 RPM이 높은 운전범위에서 구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압축기(130)의 작동압력이 낮아지게 유도하여 압축기(130)가 과부하상태가 아닌 안정적인 신뢰구간에서 운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을수록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는 구동부의 회전수(RPM)가 낮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감소시킴에 따라 에너지 낭비가 과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압축기(130)에 걸리는 부하의 수준이 높지 않아, 팬(105)의 구동 RPM을 낮추어 팬(10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라 팬(105)의 운전범위를 선택한 다음, 해당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최대 RPM으로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팬(105)이 구동되도록 운전할 수 있다(S230).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구동 RPM이 포함된 운전범위 내에서도 최대 RPM으로 구동하여, 압축기(130)의 구동에 따라 승온되는 공기가 의류처리실(11)로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건조시간이 정해져 있더라도 건조시간 내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아서 상대적으로 낮은 구동 RPM이 포함된 운전범위를 결정하더라도 해당 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하여, 건조시간이 정해져 있더라도 건조시간 내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수 있도록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와 무관하게 건조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열교환기, 즉 증발기(110)와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측단과 배출측단 각각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24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공기유로(10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온도측정센서(115, 125)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온도측정센서(115, 125)는 순환공기유로(101) 상에서 증발기(110)의 입구측과 응축기(120)의 출구측 각각에 마련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 중 응축기(120) 출구측에서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압축기(130)의 작동여부나 그 온도에 대응하는 압축기(130)의 작동압력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증발기(110)의 입구측과 응축기(120)의 출구측 각각에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 공기의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함으로써, 압축기(130)가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신뢰구간에서 작동하도록 함은 물론,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에 대한 건조성능은 유지하면서 팬(10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코스에 따라 운전하는 경우, 히트펌프장치(100)가 운전을 시작하게 되며, 히트펌프장치(100)가 구동하게 되면,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응축기(120)에서 가열되어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기 때문에, 증발기(110)에 유입되는 공기 온도와 응축기(120)에서 유출되는 공기 온도 간에는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로부터 유입된 공기 내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량의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증발기(110)에서 냉매가 대량으로 증발되어 냉매에는 다량의 잠열이 포함되게 되며, 이 냉매가 응축기(120)로 이송되어 응축하면서 공기를 가열하는 경우, 다량의 잠열이 방출되어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수분이 적게 함유된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실(11)로부터 히트펌프장치(100)로 유도되는 공기 내 수분의 함유량에 따라 열교환기 전후단의 공기 온도차이는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기 선택된 팬 운전범위 내에서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절할 수 있다(S250).
구체적으로, 열교환기 전후단의 공기 온도차가 상대적으로 작을수록, 의류처리실(11)로부터 유래된 공기 내 수분 함유량이 적은, 즉 건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부는 팬(105)의 구동 RPM을 낮출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 의류가 히트펌프장치(100)의 운전으로 건조되어, 의류처리실(11)의 공기 내 수분 함유량 역시 낮아지는 경우, 증발기(110)에서 냉매가 상대적으로 적은양이 증발되어 상대적으로 적은양의 잠열이 포함되게 되며, 이 냉매가 응축기(120)로 이송되어 응축하면서 공기를 가열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양의 잠열이 방출되어 공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와 응축기(120)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 간의 온도 차이는 작아질 수 있다.
제어부가 열교환기의 전후단 온도차에 따라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할 수 있으나, 기 선택된 팬 운전범위 내에서만 구동 RPM이 조정되어, 건조성능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팬(10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하기 위해, 열교환기 전후단 온도차에 대응하는 팬(105)의 구동 RPM은 하기 표 4와 같을 수 있다.
외기온도 열교환기 전후단 온도차 팬 구동 RPM
5℃ 이하 5℃ 미만 1600 RPM
5℃ 이상 ~ 10℃ 미만 1500 RPM
10℃ 이상 1400 RPM
5℃ 이상 ~ 13℃ 미만 5℃ 미만 1420 RPM
5℃ 이상 ~ 10℃ 미만 1320 RPM
10℃ 이상 1220 RPM
13℃ 이상 ~ 23℃ 미만 5℃ 미만 1240 RPM
5℃ 이상 ~ 10℃ 미만 1140 RPM
10℃ 이상 1040 RPM
23℃ 이상 ~ 33℃ 미만 5℃ 미만 1060 RPM
5℃ 이상 ~ 10℃ 미만 960 RPM
10℃ 이상 860 RPM
33℃ 이상 ~ 43℃ 미만 5℃ 미만 880 RPM
5℃ 이상 ~ 10℃ 미만 780 RPM
10℃ 이상 680 RPM
43℃ 이상 5℃ 미만 700 RPM
5℃ 이상 ~ 10℃ 미만 600 RPM
10℃ 이상 500 RPM
제어부는 상기 표 4와 같이 기 설정된 열교환기의 전후단 온도차 범위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선택된 팬 운전범위 내 구동 RPM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공기와 응축기(120)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40)와 열교환기 전후단의 온도차를 근거로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250)를 기 설정된 제2 시간(T2)을 주기로 하여, 히트펌프운전 종료시, 즉 건조시간 종료시까지 반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라 팬(105)의 운전범위를 선택(S220)하고, 먼저 제1 시간(T1)동안 기 선택된 운전범위 내 최대 구동 RPM으로 팬(105)가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시간(T1)이 초과하였는지 판단(S231)한 다음, 제1 시간(T1)이 도과하였을 때에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의 유출입단 공기의 온도를 획득(S240)하고, 열교환기 전후단의 온도차를 근거로 기 선택된 운전범위 내에서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S250)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코스를 운전하고 있을 때, 건조코스의 건조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즉 히트펌프장치의 운전시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S251)하고, 건조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을 때에는 제2 시간(T2)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252)함으로써, 제2 시간(T2)을 주기로 팬(105)의 현재 구동 RPM을 유지하거나, 열교환기 전후단의 온도차를 재산출(S240)하고 재산출한 열교환기 전후단의 온도차에 대응하는 팬(105)의 구동 RPM으로 조정(S250)할 수 있다.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예도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것과 유사한 제어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일 예로,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건조운전시작부터 제1 시간(T1)까지는 운전범위(BW1 ~ BW3) 중 어느 하나의 최대 구동 RPM으로 운전하되, 제1 시간(T1) 초과 이후에는 제2 시간(T2)을 주기로 열교환기 전후단의 온도차에 따라 해당 운전범위(BW1 ~ BW3)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다시 획득하는 단계(S210), 재획득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팬(105)의 복수의 팬 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는 단계(S220) 및 팬(105)이 기 재선택된 팬 운전범위 내에서 열교환기 전후단의 온도차에 따라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도 8 및 9에 도시된 단계 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제어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유량조절밸브의 제어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 제어방법을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0 및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320), 유량조절밸브(140)는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는 단계(S330),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유입냉매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340) 및 상기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응축기(120)에서 증발기(110)로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인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제어하되,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이용하여, 먼저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를 선택하여 해당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한 다음, 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운전하는 의류처리장치(1)의 온도환경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에 대한 개도율 제어를 달리함으로써, 히트펌프장치(100)의 제습 건조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낮추면,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히트펌프장치(100)가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는 성능을 낮출 수 있고, 반대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높이면,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히트펌프장치(100)가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결국, 제어부는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절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의 건조도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위치나 계절 변화 등에 따라 변화없이, 히트펌프장치(100)가 일정한 건조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할 때, 팬(105)의 구동 RPM과 연동하여 작동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코스에 따라 운전할 때, 의류의 손상이나 에너지 낭비 없이 압축기(13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신뢰구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 제습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압축기(13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압축기(130)의 작동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낮추어 압축기(130)의 작동압력을 조절하여 압축기(130)가 신뢰구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의류처리실(11) 내 온도가 낮거나 습도가 높은 경우 의류의 건조도를 신속히 높이기 위해 압축기(130)의 작동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순환냉매유로(102) 상에서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늘리기 위해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위치나 계절 변화 등에 따라 변화없이, 압축기(13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히트펌프장치(100)가 일정한 건조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하기와 같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량조절밸브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달리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건조코스와 같은 제어명령이 입력되어 제어부가 히트펌프장치(100)의 운전을 시작할 때,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S310).
의류처리장치(1) 주변의 외부 온도를 획득하기 위한 구제적인 수단이나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에 설치되어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거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의류처리장치(1) 주변의 가전기기에 의해 측정된 온도측정값을 수신하여 이를 근거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므로,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가 외부 온도를 획득(S310)한 이후, 제어부는 유량조절밸브(140)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320).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는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를 결정한 다음, 기 설정된 제1 시간(T1)동안 상기 결정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 구동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른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 표 5와 같은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다.
외기온도 팬 운전범위
5℃ 미만 350 step
5℃ 이상 ~ 23℃ 미만 90 step ~ 20 step
23℃ 이상 ~ 43℃ 미만
43℃ 이상 45 step ~ 20 step
즉,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는 복수 개로, 각 운전범위의 대역폭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인접한 개방범위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대역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을수록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는 개도율이 높은 대역의 개방범위를 선택하도록 하고,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을수록 유량조절밸브(140)의 운전범위는 개방범위가 낮은 대역의 개방범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을수록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구동부의 회전수(RPM)가 높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압축기(130)의 구동 RPM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 경우 제어부는 개방범위가 높은 개방범위에서 유량조절밸브(140)를 개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압축기(130)의 작동압력이 낮아지게 유도하여 압축기(130)가 과부하상태가 아닌 안정적인 신뢰구간에서 운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을수록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는 구동부의 회전수(RPM)가 낮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감소시킴에 따라 에너지 낭비가 과도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높여 건조 성능이 낮아지도록 하지 않고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를 선택한 다음, 해당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최대 개도율로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유량조절밸브(140)가 개방 구동되도록 운전할 수 있다(S330).
유량조절밸브(14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개도율이 포함된 개방범위 내에서도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여,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압축기(130)의 구동에 따라 공기가 충분히 승온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개도율이 포함된 개방범위 내에서도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여, 에너지 낭비가 과도하게 되지 않도록 하되, 건조시간이 정해져 있더라도 건조시간 내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수 있도록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와 무관하게 건조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증발기(110)의 냉매유입측단에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34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냉매유로(102)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매온도측정센서(111, 13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냉매온도측정센서(111, 131)는 순환냉매유로(102) 상에서 증발기(110)의 입구측과 응축기(120)의 출구측 각각에 마련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열교환기 중 증발기(110)의 입구측 냉매는 대체로 액상의 상태로, 증발기(110)를 통과한 후의 냉매는 기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발기(110)의 입구측 냉매 온도가 낮으면, 증발기(110)에 유입되는 냉매의 기화량이 적기 때문에,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높임으로써 냉매의 유량 및 압력을 증가시켜, 증발기(110)의 냉매 기화량을 증가시키고, 결국 히트펌프장치(100)의 성능을 높여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충분히 가열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증발기(110)의 입구측의 온도가 높으면 증발기(110)에 유입되는 냉매의 기화량이 충분하여,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낮춰 냉매의 유량 및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히트펌프장치(100)의 성능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압축기(130)가 과부하가 아닌 신뢰구간에서 작동하되 히트펌프장치(100)의 에너지 낭비를 과도하지 않게 하고 건조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는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S350).
제어부는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냉매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함으로써, 증발기(110)의 냉매 기화량을 증가시켜 미기화 상태의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130)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압축기(130)의 고장 문제를 해소하고,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와 무관하게 건조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되, 에너지 낭비가 과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110)의 냉매가 유입되는 측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130)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부는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높여 증발기(110)에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 및 압력을 높여 액상의 냉매를 밀어내어 증발기(110) 내 액상의 냉매 양을 감소케할 수 있다.
반대로 증발기(110)의 냉매가 유입되는 측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냉매의 미기화 문제의 발생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히트펌프장치(100)의 과도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건조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낮출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하기 위해, 증발기(110)의 냉매 유입단의 온도에 대응하는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은 하기 표 6과 같을 수 있다.
외기온도 증발기 유입냉매온도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
5℃ 미만 6℃ 미만 350 step
6℃ 이상 ~ 16℃ 미만 90 step
16℃ 이상 ~ 19℃ 미만 45 step
19℃ 이상 20 step
5℃ 이상 ~ 23℃ 미만 6℃ 미만 350 step
6℃ 이상 ~ 16℃ 미만 90 step
16℃ 이상 ~ 19℃ 미만 45 step
19℃ 이상 20 step
23℃ 이상 ~ 43℃ 미만 6℃ 미만 350 step
6℃ 이상 ~ 16℃ 미만 90 step
6℃ 이상 ~ 19℃ 미만 45 step
9℃ 이상 20 step
제어부는 상기 표 6와 같이 기 설정된 증발기(110)의 냉매 유입측단의 온도에 대응하는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증발기(110)의 냉매 유입측단의 온도를 근거로 조정하지 않고, 증발기(110)의 유입 냉매 온도와 압축기(130)의 유출 냉매 온도 간의 차이를 근거로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는,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340)와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를 근거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단계(S350)를 기 설정된 제2 시간(T2)을 주기로 하여, 히트펌프운전 종료시, 즉 건조시간 종료시까지 반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를 선택(S320)하고, 먼저 제1 시간(T1)동안 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유량조절밸브(140)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시간(T1)이 초과하였는지 판단(S331)한 다음, 제1 시간(T1)이 도과하였을 때에는 증발기(110)의 냉매 유입단의 온도를 획득(S340)하고,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를 근거로 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S350)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코스를 운전하고 있을 때, 건조코스의 건조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즉 히트펌프장치의 운전시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S351)하고, 건조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을 때에는 제2 시간(T2)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352)함으로써, 제2 시간(T2)을 주기로 유량조절밸브(140)의 현재 개도율을 유지하거나, 증발기(110)의 냉며 유입단의 온도를 재획득(S340)하고 재획득한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에 대응하는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로 조정(S350)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예도 압축기(130)나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것과 유사한 제어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a 내지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건조운전시작부터 제1 시간(T1)까지는 개방범위(BW1 ~ BW3) 중 어느 하나의 최대 개도율로 운전하되, 제1 시간(T1) 초과 이후에는 제2 시간(T2)을 주기로 증발기(110)의 냉매 유입단의 온도에 따라 해당 개방범위(BW1 ~ BW3) 내에서 개도율이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다시 획득하는 단계(S310), 재획득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는 단계(S320) 및 유량조절밸브(140)가 기 재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증발기(110)의 냉매 유입단의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0 및 11에 도시된 단계 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제어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유량조절밸브(140)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422, S423), 압축기(130)는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S432)하고, 유량조절밸브(140)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는 단계(S433), 그리고 압축기(130)는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S462)하고, 유량조절밸브(140)는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단계(S4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452)와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를 근거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462)를 기 설정된 제2 시간을 주기로 하여, 히트펌프운전 종료시, 즉 건조시간 종료시까지 반복할 수 있고, 유량조절밸브(140)에 대한 제어 역시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453)와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를 근거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단계(S463)를 기 설정된 제2 시간을 주기로 하여, 히트펌프운전 종료시, 즉 건조시간 종료시까지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453 및 S463 단계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가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증발기(110)의 냉매 유입측단의 온도를 근거로 조정하지 않고, 증발기(110)의 유입 냉매 온도와 압축기(130)의 유출 냉매 온도를 획득하고, 그 온도차를 근거로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제어하되,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이용하여, 먼저 압축기(130)의 운전범위를 선택하여 해당 운전범위 내 최대 구동 RPM으로 구동한 다음, 기 선택된 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함으로써, 운전하는 의류처리장치(1)의 온도환경에 따라 압축기(130)에 대한 제어를 달리 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온도환경과 무관하게 건조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가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응축기(120)에서 증발기(110)로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인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제어하되,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를 이용하여, 먼저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방범위를 선택하여 해당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한 다음, 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함으로써, 운전하는 의류처리장치(1)의 온도환경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에 대한 개도율 제어를 달리함으로써, 히트펌프장치(100)의 제습 건조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팬(105)의 구동 RPM을 기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는 단계(S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팬(105)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 운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별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압축기(130)의 토출 냉매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S462)하기 전에, 그리고 증발기(110)의 유입 냉매 온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S463)하기 전에, 제어부가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를 재획득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를 재획득하고, 재획득한 외기 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함과 동시에, 유량조절밸브(140)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할 수 있다. 결국, 압축기(130)는 상기 재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압축기(130)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압축기(130)의 구동 RPM을 조정하고, 유량조절밸브(140)는 증발기(110)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재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S462, S463)할 수 있다.
일단 히트펌프장치(100)가 운전을 시작할 때 제1 시간동안 유량조절밸브(140)가 최대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에서 압축기(130)가 최대 RPM으로 구동한 다음, 압축기(130)의 구동 RPM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할 때,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를 다시한번 재획득하고 그 조정범위를 재설정함으로써, 제1 시간 동안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온도 환경에 발생하였을 수 있는 변화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앞선 실시예(도 13 참조)에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 온도에 따라 팬(105)의 복수의 팬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421), 팬(105)은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단계(S431),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와 응축기(120)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40) 및 상기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S4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어부가 열교환기의 유출입 공기 온도에 따라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S461)하기 전에, 제어부가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를 재획득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를 재획득하고, 재획득한 외기 온도에 따라 팬(105)의 복수의 팬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할 수 있고, 팬(105)은 상기 재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열교환기의 유출입 공기 온도에 따라 팬(105)의 구동 RPM을 조정(S461)할 수 있다.
일단 히트펌프장치(100)가 운전을 시작할 때 제1 시간동안 유량조절밸브(140)가 최대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에서 압축기(130)와 팬(105)이 최대 RPM으로 구동한 다음, 압축기(130)와 팬(105)의 구동 RPM과 유량조절밸브(140)의 개도율을 조정할 때, 의류처리장치(1)의 외기 온도를 다시한번 재획득하고 그 조정범위를 재설정함으로써, 제1 시간 동안 의류처리장치(1)의 주변 온도 환경에 발생하였을 수 있는 변화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넷
11: 의류처리실 12: 공기토출구
13: 스팀분사부 20: 기계실
31: 급수통 32: 배수통
40: 도어 100: 히트펌프장치
101: 순환공기유로 101a: 공기유입구
101b: 공기배출구 102: 순환냉매유로
105: 팬 110: 증발기
111: 냉매온도측정센서 115: 공기온도측정센서
120: 응축기 125: 공기온도측정센서
130: 압축기 131: 냉매온도측정센서
140: 유량조절밸브

Claims (16)

  1.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내부에 마련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되 교류전류의 주파수 조정을 통해 압축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압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팬, 및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간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a) 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b) 단계;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는 (c) 단계;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을 조정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증발기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을 조정하는 (d)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와 다른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와 다른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이 조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를 재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재획득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외부 온도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팬은 복수의 팬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팬은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단계; 및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팬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압축기는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기 설정된 제2 시간을 주기로 상기 히트펌프운전 종료시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이 낮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고, 반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이 높은 대역의 압축기운전범위를 선택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이 낮은 대역의 개방범위를 선택하고, 반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이 높은 대역의 개방범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는, 인접한 압축기운전범위와 일부 중첩되는 대역을 갖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는, 인접한 개방범위와 일부 중첩되는 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토출냉매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은 낮추고, 반대로 상기 토출냉매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은 높이며,
    상기 유입냉매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은 낮추고, 반대로 상기 유입냉매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은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 내 설치된 다른 전기기기에 의해 측정된 온도측정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제습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내부에 마련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되 교류전류의 주파수 조정을 통해 압축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압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팬, 및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간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히트펌프운전을 시작할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 최대 개도율로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을 조정하고, 상기 증발기의 유입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을 조정하되,
    상기 선택된 압축기운전범위와 다른 압축기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개방범위와 다른 개방범위 내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율이 조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를 재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재획득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복수의 압축기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복수의 개방범위 중 어느 하나를 재선택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외부 온도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팬은 복수의 팬운전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팬이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 최대 RPM으로 구동 운전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팬운전범위 내에서 상기 팬의 구동 RPM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80536A 2020-12-22 2020-12-2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8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36A KR102483844B1 (ko) 2020-12-22 2020-12-2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36A KR102483844B1 (ko) 2020-12-22 2020-12-2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95A KR20220089895A (ko) 2022-06-29
KR102483844B1 true KR102483844B1 (ko) 2022-12-30

Family

ID=8227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36A KR102483844B1 (ko) 2020-12-22 2020-12-2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8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977B1 (ko) * 2001-09-04 2005-11-2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열펌프식 급탕 장치
JP2010259852A (ja) * 2010-08-25 2010-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衣類乾燥機
JP2018031567A (ja) * 2016-08-26 2018-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20034183A (ja) * 2018-08-27 2020-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094B1 (ko) 2009-06-26 2012-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98857B1 (ko) * 2014-08-13 201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128958A (ko) * 2016-05-16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977B1 (ko) * 2001-09-04 2005-11-2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열펌프식 급탕 장치
JP2010259852A (ja) * 2010-08-25 2010-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衣類乾燥機
JP2018031567A (ja) * 2016-08-26 2018-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20034183A (ja) * 2018-08-27 2020-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95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070201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25221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35552B1 (ko) 의류 건조기
US10584440B2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11041765B (zh) 洗干一体机及其控制方法
US20150259848A1 (en) Method for treating clothes in a dryer
JP5256960B2 (ja) 物品洗浄乾燥装置
WO2006009774A2 (en)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KR20090105080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61163A (ja) 衣類乾燥機
JP2008200082A (ja) 衣類乾燥機
JP2008188147A (ja) 洗濯乾燥システム
US20230087630A1 (en)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control method
JP4384203B2 (ja) 衣類乾燥機
AU2021229880A1 (en)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dryer
JP2007143712A (ja) 洗濯乾燥機
JP2017176562A (ja) 洗濯乾燥機
CN107208350A (zh) 用于求取洗涤物特性的方法和适用于此的冷凝干燥机
KR2022008989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8384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8385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195341A (zh) 一种冷凝式烘干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10169885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3153934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