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414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414A
KR20180081414A KR1020170002609A KR20170002609A KR20180081414A KR 20180081414 A KR20180081414 A KR 20180081414A KR 1020170002609 A KR1020170002609 A KR 1020170002609A KR 20170002609 A KR20170002609 A KR 20170002609A KR 20180081414 A KR20180081414 A KR 2018008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egree
controlling
compressor
temperatur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허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414A/ko
Priority to CA2990673A priority patent/CA2990673C/en
Priority to US15/861,814 priority patent/US10604887B2/en
Priority to EP18150402.8A priority patent/EP3346051B1/en
Publication of KR2018008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06F58/40Control of the initial heating of the drying chamber to its operating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5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D06F2058/2854
    • D06F2058/2864
    • D06F2058/289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임펠러,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냉매가 증발하도록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냉매가 응축되도록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관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팽창밸브,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코스설정단계;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제1제어단계;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어명령과 다른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제2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의류의 건조 및 세탁이 가능한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열풍)를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장치들이 있었다.
히프펌프는 주변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냉매를 응축시켜 주변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의류처리장치가 위치한 환경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일정한 건조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의류처리장치가 저온 조건(의류처리장치가 추운 지방에 설치되었거나 추운 계절에 작동하는 경우)에서 작동될 경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히트펌프를 통해 의류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까지 높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 및 의류를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시키기 어려운 문제를 야기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에 따라 히트펌프 및 팬의 출력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에 상관없이 히트펌프의 출력이나 팬의 출력을 높여 저온조건에서도 성능저하가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임펠러,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냉매가 증발하도록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냉매가 응축되도록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관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팽창밸브,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코스설정단계;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제1제어단계;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어명령과 다른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제2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제어단계는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최대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단계는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모두 최대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단계는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1차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1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1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2차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상기 2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2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종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상기 2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기준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 재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시간의 경과 전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종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단계는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1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단계는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개시 후 1분 내지 2분 이내에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1차 건조도 측정단계 및 2차 건조도 측정단계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극이 의류에 의해 연결될 때 전류가 흐르게 되는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1차 건조도 측정단계 및 2차 건조도 측정단계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극이 의류에 의해 연결될 때 출력되는 전류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에 따라 히트펌프 및 팬의 출력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에 상관없이 히트펌프의 출력이나 팬의 출력을 높여 저온조건에서도 성능저하가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압축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 상기 드럼으로 가열되지 않은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7)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의류를 상기 드럼(3)에 투입하거나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는 캐비닛 투입구(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캐비닛 투입구(11)는 도어(1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캐비닛(11) 또는 상기 도어(13)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41),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31),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에서 드럼바디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리프터(33, 의류의 교반수단)로 구비되는데,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드럼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5),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15)에는 상기 드럼바디(31)의 전방면에 삽입되는 전방지지부(157)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바디(31)의 후방면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지지부(17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15)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와 상기 드럼바디(31) 내부를 연통시키는 투입구(15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51)는 상기 전방지지부(15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부(15)는 연결부(153)를 통해 캐비닛(1)의 전방면에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153)는 상기 투입구(151)를 감싸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53)에는 상기 투입구(151)를 통해 드럼바디(31)에서 인출된 공기가 상기 연결부(153)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배기구(155)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5)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구동부(5)가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모터(51),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바디(3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5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열풍공급부(7)는 공기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덕트(71),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팬(751, 753),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71)는 상기 드럼(3)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유로로, 일단은 제1지지부에 구비된 배기구(15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구(17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덕트(7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751), 상기 덕트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751)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7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73)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739), 상기 덕트(7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매관(739)에 고정된 증발기(731),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매관에 고정된 응축기(733), 상기 증발기(731)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733)로 이동시키는 압축기(735), 상기 냉매관(739)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응축기(733)에서 배출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팽창밸브(73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731)는 상기 덕트(71)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므로, 상기 증발기(731)를 통과한 냉매는 냉매관(739) 내부에서 증발하고, 상기 응축기(733)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열을 방출하므로, 상기 응축기(733)를 통과한 냉매는 냉매관 내부에서 응축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731)를 통과한 공기는 냉각되고, 상기 응축기(733)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된다.
상기 압축기(735)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어떤 방식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왕복동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및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등이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2는 로터리 압축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압축기(735)는 내부에 챔버(735b)가 구비된 하우징(735a),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가압부(735d),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는 압축기 모터, 상기 가압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챔버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73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35a)에는 냉매관(739)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731)에서 배출된 냉매를 챔버(735b)로 안내하는 챔버유입구, 냉매관(739)에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챔버의 외부로 배출하는 챔버배출구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735d)는 압축기 모터의 회전축(735e)에 의해 상기 챔버(735b) 내부에서 편심회전을 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압축기(735)에서 증발기(731)에서 배출된 냉매는 격벽(735c)에 의해 챔버(735b) 내부에 형성된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735d)가 회전축(735e)에 의해 회전하면, 냉매는 상기 가압부(735d)에 의해 격벽(735c)을 향해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냉매는 격벽(735c)과 가압부(735d) 사이에서 압축되며, 압축된 냉매는 챔버배출구 및 냉매관(739)를 통해 응축기(733)로 공급된다.
상술한 구조의 압축기(735)에서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한다는 의미는 압축기 모터의 회전수(회전축의 회전수, 가압부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압축기의 회전수가 높으면 가압부(735d)의 회전수가 높아져 냉매관(739)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이동속도가 빨라질 것이다. 상기 압축기(735), 팽창밸브(737), 팬 모터(753) 및 구동부(5)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뿐만 아니라 세탁도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뿐만 아니라 세탁도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상술한 제1지지부(15) 및 제2지지부(17)는 생략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터브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덕트(71)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터브의 전방면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면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드럼바디(31)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도 감지부(8)가 구비된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8)는 의류에 포함된 물의 양이나 함수율(의류의 질량에 대한 물의 비율)을 측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건조도 감지부(8)가 상기 제1지지부(15)에 고정되는 제1단자(81), 상기 제1지지부(15)에 고정되며 상기 제1단자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단자(8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단자(81)는 전원의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단자(83)는 전원의 음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8)는 상기 드럼바디(31) 내부의 의류에 물이 많이 포함돼 있을수록 의류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이 비교적 작아질 것이므로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될 것이다.
물에 젖은 의류가 두 단자(81, 8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 두 단자(81, 83)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가 두 단자(81, 83)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또는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하는 전압의 크기)를 실험을 통해 측정된 건조도 별 전류의 크기(또는 전압의 크기)와 비교하도록 구비되면,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는 의류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드럼바디(3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의류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상기 온도감지부(91)가 덕트(71)에 구비되어 드럼바디(3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코스가 설정되는 코스설정단계(S10), 상기 드럼(3)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S11, S13, S15)를 포함한다.
상기 코스설정단계(S10)는 사용자가 입력부(141)를 통해 의류처리장치가 실행 가능한 다수의 건조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이며, 상기 건조코스는 의류의 건조를 위해 압축기, 팽창밸브 및 팬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제어데이터)가 포함된 제어명령 또는 제어명령의 집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코스의 선택을 위해 코스설정단계에서 입력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임펠러(751)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735)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팽창밸브(737)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제어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코스설정단계(S10)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입력부(141)를 통해 제어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부(141)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단계를 개시한다.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팬을 작동시키는 단계(S11), 히트펌프(73)를 작동시키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단계(S11)는 제어부가 팬 모터(753)를 작동시켜 상기 임펠러(751)를 회전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히트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S13)는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735) 및 팽창밸브(737)를 제어하여 증발기 및 응축기를 통해 덕트(71) 내부의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덕트(71)를 통해 드럼으로 공급되는 열풍과 의류의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5)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바디(31)를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진행 중 본 발명은 상기 온도감지부(9)를 통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S20)를 실행하는데, 상기 온도측정단계(S2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코스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제어명령(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임펠러(751), 상기 압축기(735) 및 상기 팽창밸브(737)를 제어하는 제1제어단계(S40)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온도측정단계(S20)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코스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상기 제어명령과 다른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임펠러(751), 상기 압축기(735) 및 상기 팽창밸브(737)를 제어하는 제2제어단계(S60)를 진행한다.
상기 제1제어단계(S40)는 건조도 감지부(8)를 통해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도 측정단계, 측정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1기준건조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 측정된 건조도가 제1기준건조도 이상이면 포량(의류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43)를 포함한다.
측정된 건조도가 제1기준건조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는 상기 두 개의 전극(81, 83)이 의류에 의해 연결될 때 출력되는 전류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건조도가 제1기준건조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는 상기 두 개의 전극(81, 83)이 의류에 의해 연결될 때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하는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43)는 상기 히트펌프(73)의 작동을 종료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측정된 건조도가 제1기준건조도 이상임에도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지 않고 상기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43)에서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히트펌프의 작동을 유지하는 것은 건조도 감지부(8)의 오류나 기타의 문제로 의류의 건조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설정된 목표건조도에 도달하지 못한 채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기준시간은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한 시간을 통해 포량을 추정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포량이 많을수록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상기 기준시간 설정단계(S43)에서 제어부가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기준시간을 설정한다면, 포량에 따라 증가하는 기준시간의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기준시간 설정단계(S43)에서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하면(S45), 본 발명 제어방법은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를 진행한다. 상기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는 상기 압축기(735)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압축기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 및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기준개방도(예: 최대 개방도와 최소 개방도의 중간 값)로 변경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735)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압축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가압부(735d)의 회전을 종료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온도측정단계(S20)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진행되는 제2제어단계(S60)는 상기 코스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제어명령(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을 변경하는 단계(S61) 및 변경된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임펠러(751), 압축기(735) 및 팽창밸브(737)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제어명령을 변경하는 단계(S61)는 코스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최대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명령을 변경하는 단계(S61)는 코스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일부를 최대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모두 최대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코스설정단계(S10)를 통해 입력한 제어데이터에도 불구하고 임펠러(751)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압축기(735)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팽창밸브(737)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각 데이터의 최대 값으로 변경하여 임펠러,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것은 히트펌프의 출력과 팬의 출력을 최대화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위치된 공간의 온도가 낮더라도 건조성능이 저하(건조시간 증가, 건조도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변경된 제어데이터를 통해 임펠러, 압축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동안 제2제어단계(S60)는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도 측정단계(1차 건조도 측정단계), 1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1기준건조도 이상(S62)이면,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63)를 진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시간 설정단계(S63)는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로, 상기 기준시간 설정단계(S63)에서 제어부는 건조도 감지부(8)에서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기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제어단계(S60)는 상기 기준시간의 종료 전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도 측정단계(2차 건조도 측정단계) 및 상기 2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2기준건조도 이상(S64)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4)를 포함한다.
상기 제2기준건조도는 상기 제1기준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로 설정되며,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이상이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미만이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제어단계(S60)는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5)를 진행한다.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미만이고,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제어단계(S60)는 기준시간을 증가시키는 추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 재설정 단계(S67)를 진행한다.
이후 제2제어방법(S60)은 상기 추가신간의 경과 전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64)하고, 상기 추가신간의 경과 전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이상이면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를 진행한다.
상술한 제2제어단계(S60)는 의류처리장치가 저온 조건에서 작동할 경우, 히트펌프 및 팬의 출력을 최대화하여 건조시간이 증가하거나 의류가 목표건조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상술한 온도측정단계(S20) 및 제2제어단계(S60)는 열풍공급단계(S11, S13, S15)의 개시 후 곧바로 개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온도측정단계(S20)는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개시와 함께 개시되거나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개시 후 1분 내지 2분 이내에 개시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제어단계(S60)는 온도측정단계(S20) 및 온도비교단계(S30)의 완료 후 곧바로 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에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팬의 작동을 종료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한다면 본 발명은 상기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를 통해 의류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 낮출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70)의 완료 후 본 발명 제어방법은 팬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80) 및 드럼의 회전을 종료하는 단계(S90)를 진행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투입구
13: 도어 141: 입력부 143: 표시부
15: 제1지지부 151: 투입구 153: 연결부
155: 배기구 157: 전방지지부 17: 제2지지부
171: 후방지지부 173: 유입구 3: 드럼
31: 드럼바디 33: 리프터 5: 구동부
7: 열풍공급부 71: 덕트 73: 히트펌프
731: 증발기 733: 응축기 735: 압축기
737: 팽창밸브 739: 냉매관 751: 임펠러
753: 팬 모터 8: 건조도 감지부 81: 제1전극
83: 제2전극 9: 온도감지부

Claims (9)

  1.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임펠러,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냉매가 증발하도록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냉매가 응축되도록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관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상기 증발기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팽창밸브,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코스설정단계;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제1제어단계;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어명령과 다른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제2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단계는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최대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단계는
    상기 코스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모두 최대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임펠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단계는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1차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1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1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2차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상기 2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2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간의 경과 전 상기 2차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기준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 재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시간의 경과 전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단계는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건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조도가 상기 제1기준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단계는 상기 열풍공급단계의 개시 후 1분 내지 2분 이내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1차 건조도 측정단계 및 2차 건조도 측정단계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극이 의류에 의해 연결될 때 전류가 흐르게 되는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도 측정단계, 상기 1차 건조도 측정단계 및 2차 건조도 측정단계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극이 의류에 의해 연결될 때 출력되는 전류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002609A 2017-01-06 2017-01-0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81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09A KR20180081414A (ko) 2017-01-06 2017-01-0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A2990673A CA2990673C (en) 2017-01-06 2018-01-03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5/861,814 US10604887B2 (en) 2017-01-06 2018-01-04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8150402.8A EP3346051B1 (en) 2017-01-06 2018-01-05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09A KR20180081414A (ko) 2017-01-06 2017-01-0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14A true KR20180081414A (ko) 2018-07-16

Family

ID=6093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609A KR20180081414A (ko) 2017-01-06 2017-01-0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04887B2 (ko)
EP (1) EP3346051B1 (ko)
KR (1) KR20180081414A (ko)
CA (1) CA299067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77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368A1 (en) * 2018-02-23 2019-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733572B (zh) * 2019-03-20 2023-08-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加热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1261910A1 (en) * 2020-06-24 2021-12-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172399A1 (en) * 2020-06-24 2023-05-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1261918A1 (en) * 2020-06-24 2021-12-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370746B (zh) * 2022-01-13 2023-0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式烟草烘干机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902B1 (ko) * 2005-12-06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JP5274184B2 (ja) 2008-09-30 2013-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EP2691568B1 (en) * 2011-03-29 2017-12-27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for a clothes dryer
KR102025181B1 (ko) * 2013-04-03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120591B (zh) * 2013-04-24 2018-05-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控制方法
JP6200241B2 (ja) 2013-08-23 2017-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乾燥装置
US10391705B2 (en) 2014-05-09 2019-08-27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KR102290758B1 (ko) * 2014-09-29 202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MX368554B (es) * 2014-12-19 2019-09-26 Mabe Sa De Cv Metodo de secado con ahorro de energia.
DE102015205483A1 (de) 2015-03-26 2016-11-03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Hygieneprogrammes in einem 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und hierzu geeigneter Trock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77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0673C (en) 2020-01-07
EP3346051B1 (en) 2021-03-24
EP3346051A1 (en) 2018-07-11
US10604887B2 (en) 2020-03-31
US20180195230A1 (en) 2018-07-12
CA2990673A1 (en)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141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0584440B2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10544542B2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495548B1 (en) Control method of clothes drier
KR2021000941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6220743A (ja) 衣類乾燥機
US11377780B2 (en)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a laundry dryer
EP3553224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9898311B (zh) 干燥机及其控制方法
KR102504577B1 (ko)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
EP3901356A1 (en) Dryer control method
KR20180083540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9898310B (zh) 干燥机及其控制方法
JP2014054377A (ja) 乾燥装置
EP333623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466093B2 (ja) 衣類乾燥機
EP4212664A1 (en) Dryer with a heat pump and a water container comprising an electrode and process for its operation
KR101565405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37131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52450A (ja) 洗濯乾燥機
JP2004321689A (ja) 乾燥装置
JP2010268943A (ja) 衣類乾燥機
KR20180090130A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JP2011104145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