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77B1 -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577B1
KR102504577B1 KR1020180022271A KR20180022271A KR102504577B1 KR 102504577 B1 KR102504577 B1 KR 102504577B1 KR 1020180022271 A KR1020180022271 A KR 1020180022271A KR 20180022271 A KR20180022271 A KR 20180022271A KR 102504577 B1 KR102504577 B1 KR 10250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emperature
fan
sensor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599A (ko
Inventor
김도행
석혜준
유상오
최영민
김주대
장용준
옥성민
이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154,07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31289B2/en
Priority to CN201880069484.1A priority patent/CN111279028B/zh
Priority to PCT/KR2018/012087 priority patent/WO2019083209A1/en
Priority to EP18869672.8A priority patent/EP3669023B1/en
Publication of KR2019004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의류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드럼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제1 센서,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드럼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드럼의 회전 속도,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의류 건조기는, 팬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 및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1 행정, 팬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 및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팬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 및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하고, 프로세서는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제1 행정 및 제2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3 행정을 수행하도록 의류 건조기를 제어하며, 제1 속도는 제2 속도 및 제3 속도 보다 크고, 제3 온도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보다 높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 {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TERLIZATION COURSE THEREOF }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젖어있는 피건조물 가령, 의류가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키고 열풍을 일정 시간 동안 피건조물에 가하여 건조 및 살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다만, 종래의 건조기는 피건조물의 상태 즉, 피건조물이 건포인지 또는 습포인지를 구분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살균 행정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살균 품질 및 살균 행정에 대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피건조물의 상태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 행정을 진행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세스로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수용된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드럼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1 행정,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 및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3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의류 건조기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어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 통로가 되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3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며,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건조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어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 통로가 되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압축기 및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드럼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3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피건조물에 대한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행정 또는 상기 제3 행정이 종료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행정 및 상기 제3 행정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수용된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드럼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드럼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1 행정,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드럼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드럼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3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의류 건조기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및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은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드럼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 및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3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정은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제1 속도로 유지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2 행정은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제2 속도로 유지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3 행정은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제3 속도로 유지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다.
여기에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3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며,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3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행정 수행 방법은 상기 제2 행정 또는 상기 제3 행정이 종료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행정 및 상기 제3 행정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은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드럼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3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싱기 제2 행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3 행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세스로 살균 행정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살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트펌프 건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건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의류 건조기(100)(또는,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용된 건조실에 고온 건조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피건조물은 열풍을 통해 건조 및 살균이 가능한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건조물은 옷감, 의류, 타월, 이불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 원단으로 구현된 것을 포함하며, 제한은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로 본체(1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10)는 전면 패널(11), 상면 패널(12) 및 측후면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일측에 형성된 개구(10H, 도 2 참조)를 포함하며, 개구(10H)는 전면 패널(11)에 형성됨으로써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에는 개구(10H)를 개폐하도록 도어(14)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11)의 상단에는 컨트롤 패널(15)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5)은 의류 건조기(100)의 작동을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15-1) 및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5-1)를 통해 의류 건조기(10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부(15-1)는 버튼, 조작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부(15-1)를 통해 의류 건조기(100)의 작동 행정(또는, 작동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동 행정은 살균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2)는 건조기(100)의 동작 정보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2)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100)의 도어(14)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는 개구(10H)가 형성되며, 개구(10H)는 전면 패널(11) 상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드럼(110)은 개구(10H)와 연결됨으로써 개구(10H)를 통해 피건조물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10)은 개구(10H)와 연결된 건조실(미도시)을 구비하며, 개구(10H)를 통해 건조실(미도시)로 투입된 피건조물은 건조실(미도시)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드럼(110)이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실(미도시)로 투입된 피건조물이 텀블링되어 피건조물에 균일하게 열풍이 가해질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의 전면 패널(11)에는 개구(10H)를 개폐하도록 도어(14)가 결합된다.
도어(14)는 전면 패널(11)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개구(10H)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0H)에 인접한 전면 패널(11)의 일측에는 힌지(14-1)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14)는 힌지(14-1)에 연결되어 힌지(14-1)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개구(10H)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4)는 개구(10H)의 형상과 대응하는 원형일 수 있으며, 개구(10H)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피건조물은 도어(14)가 열림으로써 개구(10H)를 통해 드럼(110)의 건조실(미도시)로 투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류 건조기(100)는 드럼(110), 제1 센서(120), 제2 센서(130), 가열부(140), 송풍부(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10)은 피건조물이 수용된다. 이를 위해, 드럼(110)은 피건조물을 수용하기 위한 건조실(미도시)을 구비하며, 피건조물은 건조실(미도시)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10)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드럼(110)의 회전에 따라 건조실(미도시)로 투입된 피건조물이 텀블링되어 피건조물에 균일하게 공기가 가해질 수 있다.
제1 센서(120)는 드럼(110)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한다. 즉, 제1 센서(120)는 드럼(110) 내부에 구비되어,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제1 센서(120)는 건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도 센서는 드럼(110) 내부에 마련된 2 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2 개의 전극 사이의 피건조물이 배치될 때, 2 개의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고, 건조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가령, 펄스 값)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도 센서는 피건조물이 건조할수록 낮은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피건조물이 습할수록 높은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제1 센서(120)는 피건조물의 건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센서(130)는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제2 센서(13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센서는 필터(도 4의 29 또는 도 8의 89)에 배치되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고, 공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온도 센서는 다양한 위치에서 드럼(1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는 드럼(110)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드럼(110)의 개구(11H)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드럼(110)의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열부(140)는 드럼(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이 경우, 가열부(14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드럼(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열부(140)는 유로에 연결되어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압축기(도 4의 46)를 포함하고, 압축기(도 4의 46)를 통해 드럼(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열부(140)는 유로에 연결되어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압축기(도 8의 86) 및 유로를 통해 드럼(11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도 8의 90)를 포함하고, 압축기(도 8의 86) 및 히터(도 8의 90)를 통해 드럼(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송풍부(150)는 드럼(110)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부(150)는 회전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도 4의 41 또는 도 8의 8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의류 건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드럼(110)의 회전 속도,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의류 건조기(100)에 포함된 각종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전송하여 의류 건조기(100)에 포함된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6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G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행정 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세스의 살균 행정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제1 행정 및 제2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3 행정을 수행하도록 의류 건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의류 건조기(100)는 팬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140) 및 송풍부(150)를 제어하는 제1 행정, 팬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140) 및 송풍부(150)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팬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140) 및 송풍부(150)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속도는 제2 속도 및 제3 속도 보다 크고, 제3 온도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가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의류 건조기(100)는 히트펌프 건조기 또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건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의류 건조기(100)가 히트펌프 건조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팬(41)은 회전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팬(41)은 인버터 모터(또는, 모터)(미도시)에 따라 구동된다는 점에서, 인버터 모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팬(41)의 회전 속도는 가변될 수 있다.
팬(41)의 회전에 따라 유로(42)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어, 공기가 드럼(110)으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10)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응축과 가열 과정을 거쳐, 다시 드럼(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유로(42)는 드럼(110)에서 배출되어 드럼(1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 통로가 되며, 팬(41)은 회전을 통해, 드럼(110)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유로(42)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의류 건조기(100)는 냉매를 통해 공기를 응축 및 가열시키는 히트펌프 시스템(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는 냉매 배관(47)을 통해서, EVA(45), 압축기(46), Cond(44), 팽창수단(48) 순서로 흐르면서 순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EVA(45)에서 냉매는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EVA(45)는 냉매와 순환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이 경우, 응축된 수분은 배관(미도시)를 통해 의류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46)는 EVA(45)로부터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여 Cond(44)로 배출한다. 이 경우, 압축기(46)는 인버터 모터(또는, 모터)(미도시)에 따라 구동된다는 점에서, 인버터 모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46)의 회전 속도는 가변될 수 있다. 즉,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또는, 구동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Cond(44)에서 냉매는 열을 방출하여 응축하게 된다. 따라서, Cond(44)는 냉매와 순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순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팽창수단(48)은 Cond(44)로부터 흐르는 냉매를 팽창시켜 EVA(45)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히트펌프 시스템(43)을 통해 순환 공기의 응축 과정과 가열 과정이 수행되며, 이러한 순환 공기는 다시 드럼(110)으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Cond(44)에 의해 가열된 고온, 저습의 공기가 드럼(110) 내의 피건조물을 통과하면서 고온, 고습의 공기가 되고, EVA(45)를 통과하면서 제습되어 저온, 저습의 공기가 되고, 이는 Cond(44)에 의해 고온, 저습의 공기로 가열되어 드럼(110)으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드럼(110)과 EVA(45) 사이에는 공기 중의 보푸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4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류 건조기(100)는 히트펌프 건조기로 구현되어, 도 4와 같은 구성요소를 통해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건조기(110)가 도 4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제1 센서(120)를 통해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S510).
이 경우, 살균 행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의류 건조기(100)에 마련된 조작부(도 1의 15-1)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부(15-1)에 마련된 버튼을 선택하거나, 조작부(15-1)에 마련된 조작 다이얼을 회전시켜 살균 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살균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를 통해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먼저, 팬(도 4의 41) 및 드럼(110)을 구동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압축기(도 4의 46)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가 기설정된 값이 되도록 압축기(4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도 4의 41) 및 드럼(110)을 구동하고,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2890[rpm]의 회전 속도로 팬(41)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46)의 경우, 프로세서(160)는 일정시간 동안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이후 일정시간 동안 증가된 운전 주파수를 유지시키고, 이후 타겟하는 운전 주파수가 될 때까지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타겟하는 운전 주파수는 예를 들어, 75[Hz]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46)는 75[Hz]의 운전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하기 전에, 프리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타겟하는 온도에 빠르게 도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조 및 살균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드럼(110)의 회전에 따라, 드럼(110)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은 텀블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120)는 피건조물이 드럼(110) 내부에서 텀블링되는 동안, 2 개의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고, 프로세서(160)는 이와 같이 센싱된 데이터를 제1 센서(12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고(S520),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530, S540).
이를 위해, 건조기(100)의 메모리(미도시)에는 제1 살균 행정을 위한 제1 살균 알고리즘 및 제2 살균 행정을 위한 제2 살균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제1 살균 알고리즘 또는 제2 살균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값(S1)과 비교하여,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값은 피건조물이 건조한 상태인지 또는 습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이에 따라,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피건조물은 건조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피건조물은 습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S520-Y), 제1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고(S530),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S520-N), 제2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가 펄스 값으로 표현되는 경우, 펄스 값이 50 이하인 경우, 제1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고, 펄스 값이 50 보다 큰 경우, 제2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살균 행정이 다르다는 것은, 살균 행정 시, 건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살균 행정은 제1 살균 프로세스(즉, 제3 행정)를 포함하고, 제2 살균 행정은 건조 프로세스(즉, 제1 행정) 및 제2 살균 프로세스(즉, 제2 행정)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행정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살균 행정별로 살균 프로세스 내의 살균 행정 시, 살균 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프로세스에서는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해 일정 시간 이상 드럼(110) 내부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데,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바탕으로 결정된 살균 행정에 따라, 즉,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에서 살균 행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행정에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수행하고, 제2 살균 행정에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보다 낮은 제2 임계 값이 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살균 행정별로, 어떠한 프로세스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1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살균 행정은 제1 살균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별도의 건조 프로세스를 수행함이 없이, 제1 살균 프로세스만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것은 피건조물이 건포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1 살균 프로세스는 건포 살균 프로세스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1 살균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1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60)는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4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41)을 구동할 수 있다(S610).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를 갖도록 압축기(46)를 구동하고, 팬(4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41)을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160)는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로 압축기(4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41)을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압축기(46) 및 팬(41)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구동 중인 압축기(46)는 이전과 동일한 운전 주파수로 구동하지만, 팬(41)의 회전 속도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팬(4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41)의 회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행정의 시작에 따라 압축기(46)가 75[Hz]의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고, 팬(41)이 289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는 75[Hz]로 유지하지만, 팬(41)의 회전 속도는 2000[rpm]으로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은, 팬(41)에 의한 풍량을 감소시켜 드럼(110) 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S620-Y)(즉, 센싱 데이터=S2), 드럼(110)의 내부 온도를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S630).
즉, 압축기(46)와 팬(41)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 역시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에 도달한 시점부터,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 이상 드럼(110) 내의 공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에 도달하게 되면, 일정시간 동안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1 임계 값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의류 건조기(100)를 제어하여, 드럼(110)의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살균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포의 살균을 위해, 드럼(110) 내부에 70℃ 이상의 공기가 최소 40분 이상 유지되는 조건을 타겟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한편, 제2 센서(130)는 드럼(110) 내부가 아닌 드럼(110) 외부 가령, 필터(29)에 배치되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한다는 점에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보다 낮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일 예로 59℃가 되는 시점부터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여,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59℃ 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일 예로, 70분 동안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59℃ 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드럼(110) 내의 온도는 65분 동안 70℃ 이상이 유지되고 이는 타겟하는 조건을 만족된다는 점에서,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살균을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드럼(110)의 온도는 드럼(110) 내부 또는 드럼(110)의 개구(10H)와 인접한 위치에서 센싱되고, 프로세서(160)는 이를 통해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프로세서(160)가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제어하여, 살균 행정을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축기(46)의 온도는 압축기(46)에 연결된 밸브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압축기(46)에 연결된 밸브에는 온도 센서가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행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압축기(26)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압축기(46)의 자체 온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46)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점차 증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증가하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압축기(46)의 온도가 증가하여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시점에 건포 살균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온도(가령, 70℃)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건포 살균을 위해서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만 유지되면 된다는 점에서,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순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즉, 압축기(26)의 운전 주파수가 일정한 값만큼 낮아지더라도, 고온, 저습의 공기가 드럼(110)으로 유입된다는 점에서, 운전 주파수가 낮아지기 전보다는 낮은 상승폭을 갖지만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운전 주파수를 일정한 값만큼 낮춘 후라도, 압축기(46)의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재차 낮출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낮아진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는 압축기(46)의 온도가 상승하여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조정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건포 살균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온도 이상에서 낮은 상승폭을 갖으며 유지될 수 있고, 압축기(46)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건포 살균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온도(가령, 70℃)보다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낮출 수도 있다.
결국, 프로세서(160)는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제1 살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살균 행정은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다는 것은 피건조물이 습포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2 살균 프로세스는 습포 살균 프로세스로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면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건조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4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41)을 구동할 수 있다(S710).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를 갖도록 압축기(46)를 구동하고, 팬(4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41)을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160)는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로 압축기(4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41)을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압축기(46) 및 팬(41)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건조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구동 중인 압축기(46)는 이전과 동일한 운전 주파수로 구동하고, 구동 중인 팬(41)은 이전과 동일한 회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행정의 시작에 따라 압축기(46)가 75[Hz]의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고, 팬(41)이 289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팬(41)의 회전 속도를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 프로세스에서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는 75[Hz]이고, 팬(41)의 회전 속도는 2890[rpm]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도록, 팬(41) 및 압축기(4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온도는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공기의 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59℃ 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건조 프로세스에서의 기설정된 온도는 일 예로 59℃ 보다 낮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S720-Y)(즉, 센싱 데이터=S3),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값은 피건조물이 건조한 상태인지 또는 습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이에 따라,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피건조물은 건조한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고,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습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건조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서(160)는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4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41)을 구동할 수 있다(S730).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를 갖도록 압축기(46)를 구동하고, 팬(4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41)을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 압축기(46)는 특정한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고 있고 팬(41)은 특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와 동일하게 압축기(46)를 구동하지만, 팬(41)의 회전 속도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팬(4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21)의 회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프로세스에서 압축기(46)가 75[Hz]의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고, 팬(41)이 289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는 75[Hz]로 유지하지만, 팬(41)의 회전 속도는 2000[rpm]으로 낮출 수 있다. 이는 팬(41)에 의한 풍량을 감소시켜 드럼(110) 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하고, 팬(41)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S740-Y)(즉, 센싱 데이터=S4), 드럼(110)의 온도를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S750).
즉, 압축기(46)와 팬(41)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 역시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에 도달한 시점부터,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 이상 드럼(110) 내의 공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에 도달하게 되면, 일정시간 동안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건조기(100)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일정시간이 경과 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살균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포의 살균을 위해, 드럼(110) 내부에 60℃ 이상의 공기가 최소 60분 이상 유지되는 조건을 타겟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한편, 제2 센서(130)는 드럼(110) 내부가 아닌 드럼(110) 외부 가령, 필터(49)에 배치되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한다는 점에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보다 낮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56℃가 되는 시점부터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여,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56℃ 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60)는 일 예로, 70분 동안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56℃ 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드럼(110) 내의 온도는 75분 동안 60℃ 이상이 유지되고 이는 타겟하는 조건을 만족된다는 점에서,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살균을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드럼(110)의 온도는 드럼(110) 내부 또는 드럼(110)의 개구(10H)와 인접한 위치에서 센싱되고, 프로세서(160)는 이를 통해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예서는, 프로세서(160)가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 이상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압축기(26)의 운전 주파수를 제어하여, 살균 행정을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축기(46)의 온도는 압축기(46)에 연결된 밸브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압축기(46)에 연결된 밸브에는 온도 센서가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행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압축기(46)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압축기(46)의 자체 온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46)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점차 증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증가하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압축기(46)의 온도가 증가하여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시점에 건포 살균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온도(가령, 60℃)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건포 살균을 위해서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만 유지되면 된다는 점에서,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순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즉,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가 일정한 값만큼 낮아지더라도, 고온, 저습의 공기가 드럼(110)으로 유입된다는 점에서, 운전 주파수가 낮아지기 전보다는 낮은 상승폭을 갖지만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운전 주파수를 일정한 값만큼 낮춘 후라도, 압축기(46)의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재차 낮출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낮아진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는 압축기(46)의 온도가 상승하여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조정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는 건포 살균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온도 이상에서 낮은 상승폭을 갖으며 유지될 수 있고, 압축기(46)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건포 살균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온도(가령, 60℃)보다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를 일정 값만큼 낮출 수도 있다.
결국, 프로세서(160)는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의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제2 살균 프로세스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동안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 이상에서 일정시간 이상 유지된 경우,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추가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동안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 이상이 되었지만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은 경우, 추가로 필요한 시간만큼만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동안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살균 프로세스를 통해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 이상에서 일정시간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 행정 시,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3 온도 이상으로 일정 시간 유지하고,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2 온도 이상으로 일정 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온도는 제2 온도와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3 온도는 제2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는 59℃이고, 제2 온도는 56℃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 살균 행정을 제어하는 온도가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살균 행정을 제어하는 온도보다 높은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살균 프로세스는 피건조물이 건포인 경우에 수행되는데 반해, 제2 살균 프로세스는 피건조물이 습포인 경우에 수행된다. 따라서, 제1 살균 프로세스에 비해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드럼(110) 내에는 습한 공기가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습한 공기에 의해 열전달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결국,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살균 행정을 위한 온도를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살균 행정을 위한 온도보다 낮게 설정하더라도, 타겟하는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다. 이와 같이, 피건조물이 건포 또는 습포 인지에 따라 살균 행정을 위한 온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는 점에서, 살균 행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의류 건조기(100)가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건조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팬(81)은 회전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팬(81)은 인버터 모터(또는, 모터)(미도시)에 따라 구동된다는 점에서, 인버터 모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팬(81)의 회전 속도는 가변될 수 있다.
팬(81)의 회전에 따라 유로(82)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어, 공기가 드럼(110)으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10)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응축과 가열 과정을 거쳐, 다시 드럼(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유로(82)는 드럼(110)에서 배출되어 드럼(1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 통로가 되며, 팬(81)은 회전을 통해, 드럼(110)에서 공기를 배출시켜, 유로(82)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건조기(100)는 냉매를 통해 공기를 응축 및 가열시키는 히트펌프 시스템(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는 냉매 배관(87)을 통해서, EVA(85), 압축기(86), Cond(84), 팽창수단(88) 순서로 흐르면서 순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EVA(85)에서 냉매는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EVA(85)는 냉매와 순환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이 경우, 응축된 수분은 배관(미도시)를 통해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86)는 EVA(85)로부터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여 Cond(44)로 배출한다. 이 경우, 압축기(86)는 인버터 모터(또는, 모터)(미도시)에 따라 구동된다는 점에서, 인버터 모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86)의 회전 속도는 가변될 수 있다. 즉, 압축기(46)의 운전 주파수(또는, 구동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Cond(84)에서 냉매는 열을 방출하여 응축하게 된다. 따라서, Cond(84)는 냉매와 순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순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팽창수단(88)은 Cond(84)로부터 흐르는 냉매를 팽창시켜 EVA(85)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히트펌프 시스템(83)을 통해 순환 공기의 응축 과정과 가열 과정이 수행되며, 이러한 순환 공기는 다시 드럼(110)으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Cond(84)에 의해 가열된 고온, 저습의 공기가 드럼(110) 내의 피건조물을 통과하면서 고온, 고습의 공기가 되고, EVA(85)를 통과하면서 제습되어 저온, 저습의 공기가 되고, 이는 Cond(84)에 의해 고온, 저습의 공기로 가열되어 드럼(110)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히터(90)는 유로(82)를 통해 드럼(11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즉, 히터(90)는 Cond(84)를 통과하여 히터(9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드럼(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드럼(110)과 EVA(85) 사이에는 공기 중의 보푸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8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류 건조기(100)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건조기로 구현되어 도 8과 같은 구성을 통해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의류 건조기(100)가 히트펌프 시스템(83) 및 히터(90)라는 2 개의 열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조기(100)를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건조기라 명명하였다.
한편, 이하에서는, 의류 건조기(110)가 도 8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제1 센서(120)를 통해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S910).
이 경우, 살균 행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건조기(100)에 마련된 조작부(도 1의 15-1)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부(15-1)에 마련된 버튼을 선택하거나, 조작부(15-1)에 마련된 조작 다이얼을 회전시켜 살균 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살균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를 통해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먼저, 팬(도 8의 81) 및 드럼(110)을 구동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압축기(도 8의 86)를 구동하고, 히터(도 8의 9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히터(90)를 온시키고, 압축기(86)의 운전 주파수가 기설정된 값이 되도록 압축기(8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81) 및 드럼(110)을 구동하고,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2890[rpm]의 회전 속도로 팬(81)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86)의 경우, 프로세서(160)는 일정시간 동안 압축기(86)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이후 일정시간 동안 증가된 운전 주파수를 유지시키고, 이후 타겟하는 운전 주파수가 될 때까지 압축기(86)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타겟하는 운전 주파수는 예를 들어, 75[Hz]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86)는 75[Hz]의 운전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하기 전에, 프리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타겟하는 온도에 빠르게 도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조 및 살균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드럼(110)의 회전에 따라, 드럼(110)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은 텀블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120)는 피건조물이 드럼(110) 내부에서 텀블링되는 동안, 2 개의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할 수 있고, 프로세서(160)는 이와 같이 센싱된 데이터를 제1 센서(12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고(S920),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930, S940).
이를 위해, 건조기(100)의 메모리(미도시)에는 제1 살균 행정을 위한 제1 살균 알고리즘 및 제2 살균 행정을 위한 제2 살균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제1 살균 알고리즘 또는 제2 살균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값(S5)과 비교하여,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값은 피건조물이 건조한 상태인지 또는 습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이에 따라,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피건조물은 건조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피건조물은 습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S920-Y), 제1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고(S930),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S920-N), 제2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S940).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센싱된 데이터가 펄스 값으로 표현되는 경우, 펄스 값이 50 이하인 경우, 제1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고, 펄스 값이 50 보가 큰 경우, 제2 살균 행정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살균 행정이 다르다는 것은, 살균 행정 시, 건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살균 행정은 제1 살균 프로세스(즉, 제3 행정)를 포함하고, 제2 살균 행정은 건조 프로세스(즉, 제1 행정) 및 제2 살균 프로세스(즉, 제2 행정)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행정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살균 행정 별로 살균 프로세스 내의 살균 행정 시, 살균 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프로세스에서는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해 일정 시간 이상 드럼(110) 내부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데,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바탕으로 결정된 살균 행정에 따라, 즉,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에서 살균 행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행정에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수행하고, 제2 살균 행정에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보다 낮은 제2 임계 값이 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살균 행정별로, 어떠한 프로세스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1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살균 행정은 제1 살균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별도의 건조 프로세스를 수행함이 없이, 제1 살균 프로세스만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것은 피건조물이 건포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1 살균 프로세스는 건포 살균 프로세스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살균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1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히터(90)를 구동하고, 압축기(86)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81)을 구동할 수 있다(S1010).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160)는 히터(90)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로 압축기(8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81)을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구동 중인 압축기(86)는 오프시키지만, 히터(90)는 계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팬(81)의 회전 속도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팬(8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81)의 회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행정의 시작에 따라 팬(81)이 270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팬(81)의 회전 속도는 2000[rpm]으로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은, 팬(81)에 의한 풍량을 감소시켜 드럼(110) 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S1020-Y)(즉, 센싱 데이터=S6), 히터(90)의 온/오프를 통해 드럼(110)의 온도를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S1030).
즉, 히터(90)와 팬(81)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 역시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에 도달한 시점부터,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 이상 드럼(110) 내의 공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에 도달하게 되면, 일정시간 동안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1 임계 값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건조기(100)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90)는 드럼(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는 점에서, 프로세서(160)는 히터(9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의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드럼(110)의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히터(90)을 온 또는 오프시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히터(90)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의 공기의 온도가 점차 증가하여 기설정된 임계 값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90)를 오프시키고, 히터(90)가 오프되어 드럼(110)의 공기의 온도가 점차 감소하여 기설정된 임계 값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90)를 온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살균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포의 살균을 위해, 드럼(110) 내부에 70℃ 이상의 공기가 최소 40분 이상 유지되는 조건을 타겟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한편, 제2 센서(130)가 드럼(110) 내부가 아닌 드럼(110) 외부 가령, 필터(89)에 배치되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경우,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보다 낮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59℃가 되는 시점부터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고, 히터(90)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점차 증가하여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71℃가 되면 히터(90)를 오프시키고, 히터(90)가 오프된 후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점차 감소하여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68℃가 되면 히터(90)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과정을 대략 70분 정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드럼(110) 내의 온도는 65분 동안 70℃ 이상이 유지되고 이는 타겟하는 조건을 만족된다는 점에서,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살균을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드럼(110)의 온도는 드럼(110) 내부 또는 드럼(110)의 개구(10H)와 인접한 위치에서 센싱되고, 프로세서(160)는 이를 통해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예서는, 프로세서(160)가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결국, 프로세서(160)는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제1 살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제2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살균 행정은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다는 것은 피건조물이 습포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2 살균 프로세스는 습포 살균 프로세스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참조하면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건조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8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81)를 구동할 수 있다(S1110).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압축기(86)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를 갖도록 압축기(86)를 구동하고, 팬(8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81)을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프로세서(160)는 히터(90)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로 압축기(86)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81)을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건조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 시작에 따라 구동 중인 압축기(86)는 이전과 동일한 운전 주파수로 구동하고, 구동 중인 팬(81)은 이전과 동일한 회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행정의 시작에 따라 압축기(86)가 65[Hz]의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고, 팬(81)이 270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압축기(86)의 운전 주파수를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팬(81)의 회전 속도를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 프로세스에서 압축기(86)의 운전 주파수는 65[Hz]이고, 팬(81)의 회전 속도는 2700[rpm]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의 온도는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드럼(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9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중에, 드럼(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90)를 오프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히터(90)의 구동은 유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도록,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온도는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공기의 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59℃ 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건조 프로세스에서의 기설정된 온도는 일 예로 59℃ 보다 낮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S1120-Y)(즉, 센싱 데이터=S7),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값은 피건조물이 건조한 상태인지 또는 습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이에 따라,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피건조물은 건포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피건조물은 습포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건조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서(160)는 히터(90)를 구동하고, 압축기(86)을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81)를 구동할 수 있다(S1130).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팬(8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41)을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 히터(90)는 오프된 상태이고, 압축기(86)는 특정한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고 있고 팬(81)은 특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86), 팬(81) 및 히터(9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구동 중인 압축기(86)를 오프시키지만, 히터(90)를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팬(81)의 회전 속도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팬(8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81)의 회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프로세스에서 팬(81)이 270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팬(81)의 회전 속도는 2000[rpm]으로 낮출 수 있다. 이는 팬(41)에 의한 풍량을 감소시켜 드럼(110) 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시작하고, 압축기(86)를 오프시키고 히터(90)를 온시키고, 팬(81)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S1140-Y)(즉, 센싱 데이터=S8), 히터(90)의 온/오프를 통해 드럼(110)의 온도를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S1150).
즉, 히터(90)와 팬(81)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 역시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에 도달한 시점부터,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 이상 드럼(110) 내의 공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에 도달하게 되면, 일정시간 동안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의류 건조기(100)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90)는 드럼(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는 점에서, 프로세서(160)는 히터(9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드럼(110) 내의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2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드럼(110)의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히터(90)을 온 또는 오프시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히터(90)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의 공기의 온도가 점차 증가하여 기설정된 임계 값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90)를 오프시키고, 히터(90)가 오프되어 드럼(110)의 공기의 온도가 점차 감소하여 기설정된 임계 값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90)를 온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살균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포의 살균을 위해, 드럼(110) 내부에 60℃ 이상의 공기가 최소 60분 이상 유지되는 조건을 타겟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한편, 제2 센서(130)는 드럼(110) 내부가 아닌 드럼(110) 외부 가령, 필터(49)에 배치되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경우,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는 드럼(110) 내부의 온도보다 낮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56℃가 되는 시점부터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고, 히터(90)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점차 증가하여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71℃가 되면 히터(90)를 오프시키고, 히터(90)가 오프된 후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점차 감소하여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68℃가 되면 히터(90)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과정을 대략 70분 정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드럼(110) 내의 온도는 75분 동안 60℃ 이상이 유지되고, 이는 타겟하는 조건을 만족된다는 점에서, 피건조물에 대한 살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살균을 위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드럼(110)의 온도는 드럼(110) 내부 또는 드럼(110)의 개구(10H)와 인접한 위치에서 센싱되고, 프로세서(160)는 이를 통해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예서는, 프로세서(160)가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 이상이 되면 살균을 위한 행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결국, 프로세서(160)는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의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제2 살균 프로세스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동안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 이상에서 일정시간 이상 유지된 경우, 제2 살균 프로세스를 추가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동안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 이상이 되었지만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은 경우, 추가로 필요한 시간만큼만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살균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동안 드럼(110) 내부의 온도가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살균 프로세스를 통해 살균 행정을 위해 타겟하는 온도 이상에서 일정시간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 행정 시,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3 온도 이상으로 일정 시간 유지하고,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제2 온도 이상으로 일정 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온도는 제2 온도와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3 온도는 제2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온도는 59℃이고, 제2 온도는 56℃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 살균 행정을 제어하는 온도가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살균 행정을 제어하는 온도보다 높은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살균 프로세스는 피건조물이 건포인 경우에 수행되는데 반해, 제2 살균 프로세스는 피건조물이 습포인 경우에 수행된다. 따라서, 제1 살균 프로세스에 비해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드럼(110) 내에는 습한 공기가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습한 공기에 의해 열전달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결국,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살균 행정을 위한 온도를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살균 행정을 위한 온도보다 낮게 설정하더라도, 타겟하는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다. 이와 같이, 피건조물이 건포 또는 습포 인지에 따라 살균 행정을 위한 온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는 점에서, 살균 행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살균 프로세스에서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하고 히터로만 가열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주변 환경에 강인한 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의류 건조기(100)가 저온의 환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살균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프로세스(즉, 제3 행정) 또는 제2 살균 프로세스(즉, 제2 행정)이 종료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는 제1 및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이 종료될 때, 압축기(46)는 특정한 운전 주파수로 구동되고 있고, 팬(41)은 특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압축기(46) 및 팬(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압축기(46)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팬(41)의 회전 속도는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팬(4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41)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살균 프로세스 또는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팬(41)은 200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쿨링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팬(41)의 회전 속도는 2890[rpm]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팬(41)에 의한 풍량을 증가시켜 드럼(110) 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낮추기 위함이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임계 값이 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살균 행정은 종료될 수 있다.
즉, 팬(41)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점차 감소하게 되므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 역시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임계 값에 도달하면, 구동 중인 팬(41) 및 드럼(110) 등의 구동을 중단시켜 쿨링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이 54℃인 경우, 쿨링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살균 행정 또는 제2 살균 행정이 종료될 때, 히터(90)가 구동되고 있고, 팬(81)은 특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이러한 히터(90) 및 팬(81)의 구동 상태를 고려하여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히터(90) 및 팬(8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히터(90)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팬(81)의 회전 속도는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팬(81)을 구동시키는 인버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팬(81)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살균 프로세스 또는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팬(81)은 2000[rpm]의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쿨링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되면, 팬(81)의 회전 속도는 2700[rpm]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팬(81)에 의한 풍량을 증가시켜 드럼(110) 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낮추기 위함이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임계 값이 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살균 행정은 종료될 수 있다.
즉, 팬(81)의 구동에 따라, 드럼(110) 내부의 온도를 점차 감소하게 되므로,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 역시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임계 값에 도달하면, 구동 중인 팬(81) 및 드럼(110) 등의 구동을 중단시켜 쿨링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3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값이 54℃인 경우, 쿨링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결국 전체적인 살균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살균 행정을 수행할 때, 그에 대한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제1 살균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 제1 살균 프로세스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제1 살균 프로세스에서, 제2 센서(130)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살균 행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살균 행정에 소요되는 시간(가령, 제1 살균 프로세서에서의 살균 행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 쿨링 프로세스에서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60)는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 건조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제2 센서(130)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살균 행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살균 행정에 소요되는 시간(가령, 제2 살균 프로세서에서의 살균 행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 쿨링 프로세스에서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의류 건조기(100)가 각 행정 별로, 팬의 회전 속도 및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의류 건조기(100)는 팬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140) 및 송풍부(150)를 제어하는 제1 행정, 팬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140) 및 송풍부(150)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팬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부(140) 및 송풍부(150)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속도는 제2 속도 및 제3 속도 보다 크고, 제3 온도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의류 건조기(100)는 각 행정에서, 팬의 회전 속도가 아닌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드럼의 회전 속도 및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건조기(100)는 드럼(110)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드럼(110) 및 가열부(140)를 제어하는 제1 행정, 드럼(110)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드럼(110) 및 가열부(140)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드럼(110)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드럼(110) 및 가열부(140)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속도는 제2 속도 및 제3 속도 보다 크고, 제3 온도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20)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제1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3 행정을 수행하도록 의류 건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건조 프로세스, 제1 살균 프로세스 및 제2 살균 프로세스에서 드럼(110)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르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팬의 회전 속도는 일정할 수 있으며, 이 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은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드럼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를 통해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한다(S1210).
그리고,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제1 행정 및 제2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3 행정을 수행한다(S1220).
여기에서, 제1 행정은 팬의 회전 속도가 제1 속도로 유지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제2 행정은 팬의 회전 속도가 제2 속도로 유지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제3 행정은 팬의 회전 속도가 제3 속도로 유지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제1 속도는 제2 속도 및 제3 속도 보다 크고, 제3 온도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보다 높다.
여기에서, S1220 단계는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3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드럼의 온도를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S1220 단계는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제2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S1220 단계는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하고,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제2 행정을 시작하고 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S1220 단계는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드럼의 온도를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S1220 단계는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3 행정을 시작하여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히터를 구동하고,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하고,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드럼의 온도를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S1220 단계는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제2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S1220 단계는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하고,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제2 행정을 시작하여 히터를 구동하고,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S1220 단계는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행정 또는 상기 제3 행정이 종료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는, 제2 행정 및 제3 행정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 제1 행정은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제2 행정은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제3 행정은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속도는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제3 온도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류 건조기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행정 수행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건조기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건조기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건조기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의류 건조기 110 : 드럼
120 : 제1 센서 130 : 제2 센서
140 : 가열부 150 : 송풍부
160 : 프로세서

Claims (26)

  1.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수용된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드럼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1 행정;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 및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3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의류 건조기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은, 의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어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 통로가 되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3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며,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의류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는, 의류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의류 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의류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어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 통로가 되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압축기; 및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드럼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3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행정을 수행하는, 의류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피건조물에 대한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는, 의류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의류 건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행정 또는 상기 제3 행정이 종료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의류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행정 및 상기 제3 행정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보다 높은, 의류 건조기.
  14.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수용된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드럼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드럼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1 행정;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드럼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2 행정;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드럼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3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3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의류 건조기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은, 의류 건조기.
  15. 팬 및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에 있어서,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드럼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 및 상기 제2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3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정은,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제1 속도로 유지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2 행정은,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제2 속도로 유지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3 행정은,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제3 속도로 유지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은, 살균 행정 수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3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며,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3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의류 건조기에 포함된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1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3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행정을 진행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행정에서 기설정된 운전 주파수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팬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행정을 시작하여 상기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팬을 구동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2 임계 값이 되면,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드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정 또는 상기 제3 행정이 종료되면, 쿨링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살균 행정 수행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프로세스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행정 및 상기 제3 행정에서의 팬의 회전 속도보다 높은, 살균 행정 수행 방법.
  26.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에 있어서,
    살균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드럼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에서 검출된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행정을 수행한 후 제2 행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3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싱기 제2 행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2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3 행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3 속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3 온도 이상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은, 살균 행정 수행 방법.
KR1020180022271A 2017-10-26 2018-02-23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 KR10250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54,070 US10731289B2 (en) 2017-10-26 2018-10-08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course thereof
CN201880069484.1A CN111279028B (zh) 2017-10-26 2018-10-15 干衣机和用于执行其灭菌过程的方法
PCT/KR2018/012087 WO2019083209A1 (en) 2017-10-26 2018-10-15 DRYER AND ITS METHOD FOR PERFORMING A STERILIZATION PROGRAM
EP18869672.8A EP3669023B1 (en) 2017-10-26 2018-10-15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cour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0449 2017-10-26
KR1020170140449 2017-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599A KR20190046599A (ko) 2019-05-07
KR102504577B1 true KR102504577B1 (ko) 2023-03-02

Family

ID=6665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271A KR102504577B1 (ko) 2017-10-26 2018-02-23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69023B1 (ko)
KR (1) KR102504577B1 (ko)
CN (1) CN111279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2171A1 (de) * 2020-04-06 2021-10-07 Herbert Kannegiesser Gmbh Verfahren zum Desinfizieren von biologisch kontaminierten Gegenständen
DE102021106619A1 (de) * 2021-03-18 2022-09-22 Miele & Cie. Kg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s Hygieneprogramms
CN114438761A (zh) * 2021-12-10 2022-05-0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干衣设备的控制方法、装置、干衣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791A (ja) 2001-11-12 2003-05-20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2004121321A (ja)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2006136448A (ja) 2004-11-11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999266B1 (ko) 2008-05-15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52394A (ja) 2014-09-03 2016-04-14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849B1 (ko) * 2005-08-31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253641B1 (ko) * 2006-04-17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336419B1 (en) * 2009-11-18 2012-12-05 Panasonic Corporation Clothes dryer
CN104862937B (zh) * 2010-07-09 2017-07-14 Lg电子株式会社 用于运行衣物处理设备的方法
JP4952833B2 (ja) * 2010-08-25 2012-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1337820B1 (ko) * 2010-12-23 2013-12-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살균방법
WO2015078523A1 (en) * 2013-11-29 2015-06-04 Arcelik Anonim Sirketi Heat pump type laundry dryer with improved operational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03656B1 (ko) * 2014-12-15 202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791A (ja) 2001-11-12 2003-05-20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2004121321A (ja)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2006136448A (ja) 2004-11-11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999266B1 (ko) 2008-05-15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52394A (ja) 2014-09-03 2016-04-14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9023B1 (en) 2022-08-17
EP3669023A4 (en) 2020-08-12
CN111279028B (zh) 2023-03-07
EP3669023A1 (en) 2020-06-24
KR20190046599A (ko) 2019-05-07
CN111279028A (zh)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289B2 (en)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course thereof
EP293568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KR102504577B1 (ko) 의류 건조기 및 그의 살균 행정 수행 방법
WO200711141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ying method thereof
JP6486037B2 (ja) 洗濯乾燥機
EP2287392A2 (en) Dry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8141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2209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100050467A1 (en) Steam dryer control method
CN112020580B (zh) 干衣机及其控制方法
US20190390395A1 (en) Dryer and drying method thereof
US20220064848A1 (en) Dryer control method
JP5934617B2 (ja) 衣類乾燥装置
JP6460308B2 (ja) 洗濯乾燥機
JP7173719B2 (ja) 衣類乾燥機
JP7345082B2 (ja) 衣類乾燥機
KR20220162387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017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466093B2 (ja) 衣類乾燥機
KR20210037131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0088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085793A (ja) 衣類乾燥機
JP2011206397A (ja) 洗濯乾燥機
KR20090126136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104143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