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311A -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311A
KR20100133311A KR1020100054996A KR20100054996A KR20100133311A KR 20100133311 A KR20100133311 A KR 20100133311A KR 1020100054996 A KR1020100054996 A KR 1020100054996A KR 20100054996 A KR20100054996 A KR 20100054996A KR 20100133311 A KR20100133311 A KR 2010013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lever
shift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090B1 (ko
Inventor
요시오 아사미
Original Assignee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가 시프트 레버 위치의 종, 횡렬 센서의 센서 신호 이상을 판단하면,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가 이상인 센서 신호를 보정한다.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가 이 보정 신호와 다른 센서 신호의 조합을 정상이라고 판단하였을 때는 이 조합에 기초하여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보정 신호와 다른 센서 신호의 조합을 이상이라고 판단하였을 때는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8)가 이상인 센서 신호를 보정한다.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9)가 이 보정 신호와 다른 센서 신호의 조합을 정상이라고 판단하였을 때는 이 조합에 기초하여 시프트 위치를 확정한다.

Description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AN ASSURANCE APPARATUS FOR DETECTING SHIFT POSITION OF TRANSMISSION}
본 발명은 종래의 2009년 6월 11일자 일본특허출원 제 2009-139839호에 기초하며, 그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변속기의 변속단을 변경하기 위해서 시프트 레버를 조작하였을 때, 제어 수단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새롭게 설정된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이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변속단을 설정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프트 위치의 검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새롭게 설정된 시프트 위치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판단하여, 이 시프트 위치의 변속단을 설정할 수 있는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형 자동차 등의 대형 차량에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에어(압축 공기)에 의해 변속기의 시프트 동작을 행하는 전기-공기식 변속기를 구비하는 차량이, JP-A-10-278608(이하, 문헌 1이라고 함)에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변속기의 변속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 시프트 레버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시프트 레버 유닛은 변속 조작을 행하기 위한 시프트 레버와, 이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문헌 1에 기재된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유닛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전진 1 내지 5속(1, 2, 3, 4, 5), 후진(R), 및 뉴트럴(N1, N2, N3)의 9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시프트 위치가 각각 3개의 X 좌표 센서(도 10에서, 실렉트 위치 센서; 횡렬 센서; SeA, SeB, SeC)와 3개의 Y 좌표 센서(도 10에서, 시프트 위치 센서; 종렬 센서; SiA, NE, SiB)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트랜스미션 컨트롤러(변속기의 전자 제어 장치)에 입력된다. 트랜스미션 컨트롤러는 각 센서로부터 입력된 시프트 위치의 전기 신호를 X-Y 좌표(X 좌표 센서(SeA, SeB, SeC)의 각 검출 신호와 Y 좌표 센서(SiA, NE, SiB)의 각 검출 신호의 조합)에서 포착하여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판단한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변속기를 판단한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변속단에 설정한다.
그런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회로는 다양하게 고려되지만, 이 센서 회로의 일 예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센서 회로가 고려된다. 이 센서 회로는 전원(전원 전압(Vbat(V)))과, 5개의 저항(R1 ,R2 ,R3, R4, R5(kΩ))과, 센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 스위치의 검출 신호로서 센서의 출력 전압(V)이 사용된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스위치가 오프일 때는 센서 회로로부터 양의 온·오프 기준 전압(V0(V))보다 높은 전압(Vout1(V)(Vout1>V0))이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로 출력되고, 또한, 센서 스위치가 온일 때는 센서 회로로부터 온·오프 기준 전압(V0(V))보다 낮은 양의 전압 Vout2(V)(Vout2<V0)이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로 출력된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는 이들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센서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동시에, 판단한 각 센서의 온/오프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변속기(A)를 판단한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변속단에 설정한다.
그러나, 이렇게 센서의 온·오프를 온·오프 기준 전압(V0(V))을 기초로 판단한 것으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쇼트, 혹은 전원과 센서 스위치 사이에서 단선이 생기면, 센서 스위치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센서의 출력 전압(Vout3(V))이 Vout1(V)보다 높아진다(Vbat>Vout3>Vout1).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센서 스위치가 온이라도, 트랜스미션 컨트롤러는 이 출력 전압(Vout3(V))에 기초하여 센서가 오프라고 오판단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접지(GND) 쇼트가 생기면, 센서 스위치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센서의 출력 전압(Vout4(V))이 Vout2(V)보다 낮아진다(Vout1>Vout4>O).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센서 스위치가 오프라도, 트랜스미션 컨트롤러는 이 출력 전압(Vout4(V))에 기초하여 센서가 온이라고 오판단할 우려가 있다. 이렇게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가 오판단하면,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는 변속기(A)를, 시프트 레버로 조작된 변속단에 설정할 수 없게 된다.
[특허문헌 1]
JP-A-10-278608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가 정상 또는 이상인 것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센서의 검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는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는 시프트 레버를 제 1 방향과 이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함으로써 변속이 행해지는 변속기에 사용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소정수의 제 1 방향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2 방향의 제 2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소정수의 제 2 방향 센서와,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상기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확정하는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을 가지는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로서, 상기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은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 이상을 판단하는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에 대하여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와,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를 가지고,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 중,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방향 센서의 다른 어느 방향 센서도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방향 센서의 1개가 레버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이상인 센서 신호가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되는 동시에, 상기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는 시프트 레버를 제 1 방향과 이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함으로써 변속이 행해지는 변속기에 사용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소정수의 제 1 방향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2 방향의 제 2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소정수의 제 2 방향 센서와,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상기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확정하는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을 가지는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로서, 상기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이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 이상을 판단하는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 후의 새로운 조작 후 레버 위치의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로서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 중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전의 조작전 레버 위치보다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레버 위치의 센서 신호에 대해서만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와,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를 가지고,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 센서에 의해 상기 조작전 레버 위치의 제 1 레버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방향 센서에 의해 상기 조작전 레버 위치의 제 2 레버 검출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의 어느 한쪽이 레버 비검출 신호로 보정되는 동시에 레버 비검출 신호로 보정된 레버 검출 신호가 속하고 또한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가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되고, 또한 상기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는 시프트 레버를 제 1 방향과 이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함으로써 변속이 행해지는 변속기에 사용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소정수의 제 1 방향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2 방향의 제 2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소정수의 제 2 방향 센서와,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상기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확정하는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을 가지는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로서, 상기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이,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 이상을 판단하는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와,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제 1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 후의 새로운 조작 후 레버 위치의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로서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 중,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전의 조작전 레버 위치보다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레버 위치의 센서 신호에 대해서만 제 2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와, 상기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제 2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를 가지고,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 중,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방향 센서의 다른 어느 방향 센서도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방향 센서의 1개가 레버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이상인 센서 신호가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이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제 2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는 상기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이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조작전 레버 위치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라고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에 의하면,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제 1 방향 센서 및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제 1 방향 센서 및 제 2 방향 센서 중,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방향 센서의 다른 어느 방향 센서도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방향 센서의 1개가 레버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이상인 센서 신호를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하는 동시에,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여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가 정상 또는 이상인 것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센서의 검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에 의하면,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제 1 방향 센서 및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제 1 방향 센서에 의해 조작전 레버 위치의 제 1 레버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동시에 제 2 방향 센서에 의해 조작전 레버 위치의 제 2 레버 검출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제 1 레버 검출 신호 및 제 2 레버 검출 신호의 어느 한쪽이 레버 비검출 신호로 보정되는 동시에 레버 비검출 신호로 보정된 레버 검출 신호가 속하고 또한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 중, 레버 비검출 신호로 보정된 레버 검출 신호의 제 1 및 제 2 방향에 인접하는 센서 신호가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되고, 또한 상기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여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가 정상 또는 이상인 것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센서의 검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2개의 보정을 조합함으로써, 센서의 검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2개의 보정에 의해서도, 상술한 센서 신호의 조합이 이상인 경우에는 확정 가능한 시프트 조작전의 레버 위치를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라고 확정하고 있다. 따라서, 센서 신호 이상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실하게 확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의 복수의 변속단의 시프트 위치 및 시프트 레버의 각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예의 종, 횡렬 센서의 온·오프의 판단 및 센서 신호 이상의 판단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는 제 1 보정 처치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b는 제 1 보정 처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a는 제 1 보정 처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b는 제 1 보정 처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a는 제 2 보정 처치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b는 제 2 보정 처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제 2 보정 처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의 복수의 변속단의 시프트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복수의 변속단의 시프트 위치 및 시프트 레버의 각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종래의 센서 회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종래의 종, 횡렬 센서의 온·오프의 판단 및 센서 신호 이상의 판단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이 예의 복수의 변속단의 시프트 위치 및 시프트 레버의 각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의 변속기(TM)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1)는 시프트 레버 위치 검출 장치(2)를 구비하는 시프트 레버 유닛(시프트 레버 등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부는 도시 생략)과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 내에 설정된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3)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경우, 시프트 레버 유닛은 상술한 문헌 1에 기재된 시프트 레버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시프트 레버 위치 검출 장치(2)의 센서 회로는 상술한 도 11에 도시하는 센서 회로와 같다. 따라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시프트 레버 유닛 및 센서 회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1)는 메뉴얼 시프트 변속기(매뉴얼 시프트 트랜스미션)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의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상술한 도 10에 도시하는 종래의 시프트 위치와 같고, 전진 1 내지 5속(1, 2, 3, 4, 5), 후진(R), 및 뉴트럴(N1, N2, N3)의 9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시프트 레버 위치 검출 장치(2)는 시프트 레버의 9개의 레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6개 설치되어 있다. 그 경우, 이들의 시프트 레버 위치 검출 장치(2)는 제 1 방향의 레버 위치를 검출하는 3개의 제 1 방향 센서, 및 이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의 레버 위치를 검출하는 3개의 제 2 방향 센서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각 제 1 방향 센서는 각각 X 방향의 레버 위치를 검출하는 X 좌표 센서(도 2에서, 횡렬 센서; SeA, SeB, SeC)이며, 또한, 각 제 2 방향 센서는 각각 X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의 레버 위치를 검출하는 Y 좌표 센서(도 2에서, 종렬 센서; SiA, NE, SiB)이다.
그리고, 9개의 레버 위치가 각각 3개의 횡렬 센서(SeA, SeB, SeC)와 3개의 종렬 센서(SiA, NE, SiB)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에 입력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각 시프트 위치가 도 10에 도시하는 예의 그것들과 좌우 반대 배치로 되어 있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각 시프트 레버 위치 검출 장치(2)의 각 센서 스위치(예를 들어, 홀 소자)가 각각 각 종, 횡렬 센서(SiA, NE, SiB ; SeA, SeB, SeC)에 대응한다. 또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진 1 내지 7속(1, 2, 3, 4, 5, 6, 7), 후진(R), 및 뉴트럴(N1, N2, N3, N4)의 12 위치 등, 다양한 시프트 위치가 설계 가능하다. 그 경우, 설정된 여러 가지 시프트 위치마다의 X-Y 좌표값에 대응하여 종, 횡렬 센서가 각각 1개씩 설치된다. 또한, 변속기(TM)는 설정된 여러 가지의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변속단에 설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시프트 위치에서 설명한다.
각종 횡렬 센서(SiA, NE, SiB: SeA, SeB, SeC)는 각각 이들의 온 (ON)·오프(OFF) 작동에 기초한 출력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적인 센서 신호(센서 출력:Vout)를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에 출력한다. 그 경우, 각종 횡렬 센서(SiA, NE, SiB ; SeA, SeB, SeC)는 시프트 레버를 검출하였을 경우 온 신호(레버 검출 신호)의 센서 신호를 출력하고, 시프트 레버를 검출하지 않을 경우 오프 신호(레버 비검출 신호)의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는 각 횡렬 센서(ScA, SeB, SeC)의 각 온 신호와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온 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X-Y 좌표에서 포착하여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확정한다. 그리고, 확정한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함으로써, 변속기(TM)를 확정한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변속단에 설정한다.
이하, 이 예의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트랜스미션 컨트롤러(TC)는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3)과 변속기 제어 수단(4)을 구비한다.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3)은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8), 및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9)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는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출력 전압(Vout(V))을 온·오프 기준 전압(V0(V))보다 높은 이상 판단용 제 1 기준 전압(V1(V)) 및 온·오프 기준 전압(V0(V))보다 낮은 이상 판단용 제 2 기준 전압(V2(V))과 비교하여,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온·오프를 각각 판단한다.
즉,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출력 전압(Vout(V))이 각각, 도 3에 도시하는 온·오프 기준 전압(V0(V)) 이상이고 또한 이 온·오프 기준 전압(V0(V))보다 높게 설정된 이상 판단용 제 1 기준 전압(V1(V)) 이하일 때,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는 각각, 이들의 센서 신호가 정상이라고 하여 오프라고 판단된다. 또한,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출력 전압(Vout(V))이 각각, 온·오프 기준 전압(V0(V))보다 낮고 또한 이 온·오프 기준 전압(V0(V))보다 낮게 설정된 이상 판단용 제 2 기준 전압(V2(V)) 이상일 때,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는 각각, 이들의 센서 신호가 정상이라고 하여 온이라고 판단된다.
그 경우, 이상 판단용 제 1 기준 전압(V1(V))은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센서 신호인 각 출력 전압(Vout(V))이 이상하게 높고, 분명히 전원 쇼트 또는 단선시 등의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값으로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이상 판단용 제 2 기준 전압(V2(V))은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출력 전압(Vout(V))이 이상하게 낮고, 분명히 GND 쇼트시 등의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값으로 적절하게 설정된다.
한편,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는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출력 전압(Vout(V)) 중, 어떤 센서의 출력 전압(Vout(V))이 상술한 이상 판단용 제 1 기준 전압(V1(V))보다 높을 때, 그 센서의 센서 신호가 전원 쇼트 또는 단선시 등의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또한 어떤 센서의 출력 전압(Vout(V))이 상술한 이상 판단용 제 2 기준 전압(V2(V))보다 낮을 때, 그 센서의 센서 신호가 GND 쇼트시 등의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그 경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는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의 센서 신호 이상을 판단하였을 때는 이상 신호를 경보 장치(10)로 출력한다. 이로써, 경보 장치(10)는 센서 신호 이상의 경보를 출발한다.
그리고,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는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센서 신호의 모든 정상을 판단하였을 때는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중, 온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횡렬 센서와 동일하게 각 종렬 센서(SiA, NE, SiB) 중, 온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종렬 센서의 조합으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확정한 시프트 위치의 신호를 변속기 제어 수단(4)에 출력한다.
또한,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는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가 출력하는 각 센서 신호 중, 적어도 1개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또한 다른 센서 신호의 모두가 정상이라고 판단하였을 때는 각 센서 신호를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이상 신호를 경보 장치(10)에 출력한다.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는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로부터의 이상 신호에 대하여, 각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한다. 이 제 1 보정 처치는 이상이라고 판단한 센서 신호를 우선 오프 신호로 간주하고, 시프트 위치가 판단 가능하면 이상인 센서 신호를 오프 신호라고 확정하는 동시에 시프트 위치가 판단 불가능이면 이상인 센서 신호를 온 신호로 간주하는 보정 처치이다. 그리고,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는 제 1 보정 처치의 실시 후, 각 센서 신호를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로 출력한다.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는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로부터 입력되는 각 횡렬 센서(SeA, SeB, SeC)의 각 센서 신호(제 1 보정 처치가 실시된 센서 신호를 포함함)에 기초하여, 각 횡렬 센서(SeA, SeB, SeC)의 정상인 각 센서 신호의 어느 1개가 온이며, 또한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정상인 각 센서 신호의 어느 1개가 온일 때는 상술한 각 종, 횡렬 센서(SiA, NE, SiB ; SeA, SeB, SeC)의 모든 센서 신호가 정상인 경우와 같고, 온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종, 횡렬 센서(SiA, NE, SiB ; SeA, SeB, SeC)의 각 센서 신호의 조합으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확정한 시프트 위치의 신호를 변속기 제어 수단(4)으로 출력한다.
또, 각 종, 횡렬 센서(SiA, NE, SiB ; SeA, SeB, SeC)의 정상인 각 센서 신호의 어느 1개만이 온 신호일 때는 각종 횡렬 센서(SiA, NE, SiB ; SeA, SeB, SeC) 중, 이 온 신호의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는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다른 열의 센서이다. 그리고, 이상이고 오프 신호라고 간주한 센서 신호가 그 센서 신호가 원래 정상이면 온이라고 판단하고, 정상인 온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센서 신호와 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의 조합으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확정한 시프트 위치의 신호를 변속기 제어 수단(4)으로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어떤 1개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이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한 제 1 보정 처치의 실시 후에,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제 1 보정 처치가 실시된 센서 신호와 다른 정상인 모든 센서 신호의 상태(온·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확정된다.
도 4a는 제 1 보정 처치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제 1 보정 처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a는 제 1 보정 처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제 1 보정 처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한 제 1 보정 처치의 예로서, 예를 들어, 도 4a, 도 4b 및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예가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예의 제 1 보정 처치에서는 예를 들어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다른 종, 횡렬 센서(NE, SiB ; SeA, SeB, SeC)의 각 센서 신호는 모두 정상이라고 한다. 또,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전원 쇼트, 전원과 센서 스위치 사이의 단선, 및 GND 쇼트의 적어도 1개이다. 그 경우, 종렬 센서(SiA)의 센서 출력(Vout(V))이 이상 판단용 제 1 기준 전압(V1(V))보다 높을 때는 전원 쇼트 또는 단선에 의한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이 센서 출력(Vout(V))이 이상 판단용 제 2 기준 전압(V2(V))보다 낮을 때는 GND 쇼트에 의한 이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정상인 센서 신호 중, 종렬 센서(NE)의 센서 신호와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의 2개의 센서 신호(즉 입력)가 모두 온(ON) 신호이며, 다른 센서 신호(즉 입력)는 모두 오프(OFF) 신호라고 한다. 이 경우,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 및 오프 신호의 어느 신호인지는 불명(?)이다. 즉, 각 센서로부터의 직접의 센서 신호만으로는 센서 입력이 불분명하므로, 시프트 레버 위치는 판단 불능이다.
그래서, 제 1 보정 처치로서, 이상인 센서 신호가 오프 신호로 간주된다. 그리고, 횡렬 센서(SeA) 및 종렬 센서(NE)의 정상인 센서 신호가 온 신호이며, 또한 다른 정상인 센서 신호가 오프 신호이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전원 쇼트 또는 단선에 의한 이상(▲) 및 GND 쇼트에 의한 이상(■)의 어느 이상이라도 N1이라고 확정된다. 따라서, 이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보다 정확한 시프트 위치(N1)에 확정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예의 제 1 보정 처치에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다른 종, 횡렬 센서(NE, SiB ; SeA, SeB, SeC)의 각 센서 신호는 모두 정상이라고 한다. 또한, 이 도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정상인 센서 신호 중,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입력)만이 온 신호이며, 다른 센서 신호(입력)는 모두 오프 신호라고 한다. 이 경우,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 및 오프 신호의 어느 신호인지는 불명(?)이다.
그래서, 제 1 보정 처치로서, 우선 종렬 센서(SiA)의 이상인 센서 신호가 오프 신호라고 간주된다. 한편, 정상인 신호 중, 횡렬 센서(SeA)의 정상인 센서 신호만이 온 신호이며, 다른 정상인 신호는 오프 신호이다. 그런데, 시프트 레버는 시프트 위치의 어느 1개에 설정되기 때문에, 횡렬 센서의 어느 1개와 종렬 센서의 어느 1개가 모두 온 신호로 된다. 그러나, 종렬 센서(SiA)의 이상인 센서 신호가 오프 신호라고 간주되면, 온 신호는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만으로 된다. 따라서,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는 온 신호라고 판단된다. 즉,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전원 쇼트 또는 단선에 의한 이상(▲) 및 GND 쇼트에 의한 이상(■)의 어느 이상이라도 R이라고 확정된다. 이렇게, 이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보다 정확한 시프트 위치(R)에 확정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하는 예의 제 1 보정 처치에서는 2개의 횡렬 센서(SeB, SeC)의 센서 신호 및 1개의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다른 종, 횡렬 센서(NE, SiB ; SeA)의 각 센서 신호는 모두 정상이라고 한다. 그 경우, 도시한 예에서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전원 쇼트, 전원―센서 간의 단선, 혹은 GND 쇼트의 적어도 1개이다. 한편, 횡렬 센서(SeB)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전원 쇼트 혹은 전원-센서 간의 단선이며, 또한 횡렬 센서(SeC)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GND 쇼트이다. 또, 횡렬 센서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종렬 센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이상의 원인이라도 좋다.
또한, 이 도 5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정상인 센서 신호 중,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입력)만이 온 신호이며, 다른 센서 신호(입력)는 모두 오프 신호라고 한다. 이 경우,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 및 오프 신호의 어느 신호인지는 불명(?)이지만, 횡렬 센서(SeB, SeC)의 각 센서 신호(입력)는 횡렬 센서(SeA)가 온 신호이기 때문에 오프 신호라고 판단된다.
그래서, 제 1 보정 처치로서, 우선 종렬 센서(SiA)의 이상인 센서 신호가 오프 신호라고 간주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상술한 도 4b에 도시하는 예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는 온 신호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횡렬 센서(SeA)가 온 신호이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전원 쇼트 또는 단선에 의한 이상(▲) 및 GND 쇼트에 의한 이상(■)의 어느 이상이라도 R이라고 확정된다. 이렇게, 이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보다 정확한 시프트 위치(R)에 확정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예의 제 1 보정 처치에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횡렬 센서(SeB, SeC)의 센서 신호 및 1개의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다른 종, 횡렬 센서(NE, SiB ; SeA)의 각 센서 신호는 모두 정상이라고 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정상인 센서 신호의 모두가 오프 신호라고 한다. 이 경우, 종렬 센서(SiA) 및 횡렬 센서(SeB, SeC)의 각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 및 오프 신호의 어느 신호인지는 불명(?)이다. 이 때문에,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하더라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확정 불능이다.
그리고,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는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에 의해서 제 1 보정 처치가 실시된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시프트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확정한 센서 신호를 변속기 제어 수단(4)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는 제 1 보정 처치가 실시된 센서 신호에서는 시프트 위치를 확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때는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가 출력하는 각 센서 신호를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8)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이상 신호를 경보 장치(10)로 출력한다.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8)는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로부터의 이상 신호에 대하여, 각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보정 처치를 실시한다. 이 제 2 보정 처치는 시프트 레버의 현재의 시프트 위치(현 위치)가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확정 가능한 상태로부터, 시프트 레버가 새로운 위치(신 위치)로 시프트되었을 때, 이 신 위치에 있어서의 센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 그 이상인 센서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처치이다. 이 제 2 보정 처치에서는 시프트 레버의 현 위치의 종횡 양 이웃하는 시프트 위치의 센서 신호의 어느 하나만을 보정하고, 다른 센서 신호에 대해서는 무시한다. 즉,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이, 통상, 현 위치부터 2단 건너뛰어 시프트되는 일은 없는 경우가 많은 것, 및 급격한 변속이 행해지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보정 대상의 시프트 위치의 센서 신호는 현 위치의 종횡 양 이웃하는 시프트 위치의 센서 신호로 하고 있다.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9)는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8)로부터 입력되는 각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센서 신호(제 2 보정 처치가 실시된 센서 신호를 포함함)에 기초하여, 신 위치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한다. 그 경우, 각 횡렬 센서(SeA, SeB, SeC)의 센서 신호의 어느 1개가 온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각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센서 신호의 어느 1개가 온이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온인 횡렬 센서 및 종렬 센서의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시프트 위치의 신 위치가 확정된다. 그리고,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9)는 확정한 시프트 위치의 신호를 변속기 제어 수단(4)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보정 처치가 실시되어도, 센서 신호가 이상이며 시프트 위치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한 제 2 보정 처치의 실시 후에,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9)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제 2 보정 처치가 실시된 센서 신호와 다른 정상인 모든 센서 신호의 상태(온·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확정된다.
도 6a는 제 2 보정 처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제 2 보정 처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제 2 보정 처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예의 제 2 보정 처치에서는 1개의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 및 2개의 횡렬 센서(SeB, SeC)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다른 종, 횡렬 센서(NE, SiB ; SeA)의 각 센서 신호는 모두 정상이라고 한다. 그 경우, 도시 예에서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전원 쇼트, 전원-센서 간의 단선, 혹은 GND 쇼트의 적어도 1개이다. 한편, 횡렬 센서(SeB)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전원 쇼트 혹은 전원-센서 간의 단선이며, 또 횡렬 센서(SeC)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GND 쇼트이다. 또, 횡렬 센서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종렬 센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이상의 원인이라도 좋다.
또, 이 도 6a에 도시하는 예의 시프트 레버의 현 위치에서는 정상인 센서 신호 중, 종렬 센서(NE)의 센서 신호(입력) 및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이며, 다른 종렬 센서(SiB)의 센서 신호(입력)는 오프 신호라고 한다. 따라서, 이 때에는 시프트 레버의 현 위치는 N1이라고 확정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가 이 현 위치(N1)로부터 다른 시프트 위치로 시프트되었을 때, 신 위치에서의 종렬 센서(NE)의 센서 신호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바뀌고, 다른 정상인 센서 신호는 바뀌지 않았다고 한다. 이 경우, N1로부터 종횡으로 인접하지 않는 시프트 위치의 횡렬 센서(SeC)는 판정 외로서 무시된다. N1로부터 세로로 인접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 및 오프 신호의 어느 신호인지는 불명(?)이다. 그러나, 종렬 센서의 다른 센서(NE, SiB)의 각 센서 신호가 정상이고 또한 오프이므로, N1에 인접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다른 이상인 센서 신호는 모두 오프 신호로 간주된다. 이로써, 종횡 6개의 모든 센서 신호가 판단되는 동시에,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이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의 새로운 시프트 위치는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가 전원 쇼트 또는 단선에 의한 이상(▲) 및 GND 쇼트에 의한 이상(■)의 어느 이상이라도 R이라고 확정된다. 이렇게, 이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2 보정 처치를 실시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보다 정확한 시프트 위치(R)에 확정된다.
도 6b에 도시하는 예의 제 2 보정 처치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1개의 종렬 센서(SiA)의 센서 신호 및 2개의 횡렬 센서(SeB, SeC)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다른 종, 횡렬 센서(NE, SiB ; SeA)의 각 센서 신호는 모두 정상이라고 한다. 그 경우, 각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도, 도 6a에 도시하는 예와 같다.
또, 이 도 6b에 도시하는 예의 시프트 레버의 현 위치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정상인 센서 신호 중, 종렬 센서(NE)의 센서 신호(입력) 및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이며, 다른 종렬 센서(SiB)의 센서 신호(입력)는 오프 신호라고 한다. 따라서, 이 때에도, 시프트 레버의 현 위치는 N1이라고 확정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가 이 현 위치(N1)로부터 다른 시프트 위치로 시프트되었을 때, 신 위치에서의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바뀌고, 다른 정상인 센서 신호는 바뀌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도, N1로부터 종횡으로 인접하지 않는 시프트 위치의 횡렬 센서(SeC)는 판정 외로서, 무시된다. N1로부터 가로로 인접하는 횡렬 센서(SeB)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 및 오프 신호의 어느 신호인지는 불명(?)이다. 그러나, 횡렬 센서의 다른 센서(SeA)의 센서 신호가 정상이고 또한 오프이므로, N1에 인접하는 횡렬 센서(SeB)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다른 이상인 센서 신호는 모두 오프 신호로 간주된다. 이로써, 종횡 6개의 모든 센서 신호가 판단되는 동시에, 종렬 센서(NE)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이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의 새로운 시프트 위치는 횡렬 센서(SeB)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더라도 N2로 확정된다. 이렇게, 이 이상인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2 보정 처치를 실시함으로써,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가 보다 정확한 시프트 위치(N2)에 확정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의 제 2 보정 처치에서는 2개의 종렬 센서(SiA, SiB)의 센서 신호 및 2개의 횡렬 센서(SeB, SeC)의 센서 신호가 이상이고, 다른 종, 횡렬 센서(NE, SeA)의 각 센서 신호는 모두 정상이라고 한다. 그 경우, 종렬 센서(SiA) 및 횡렬 센서(SeB, SeC)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도 6a에 도시하는 예와 같고, 또한, 종렬 센서(SiB)의 센서 신호 이상의 원인은 도 6a에 도시하는 예의 종렬 센서(SiA)의 경우와 같다.
또, 이 도 7에 도시하는 예의 시프트 레버의 현 위치에서는 정상인 센서 신호인 종렬 센서(NE)의 센서 신호(입력) 및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라고 한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의 현 위치는 N1이라고 확정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가 이 현 위치(N1)로부터 다른 시프트 위치로 시프트 되었을 때, 신 위치에서의 횡렬 센서(NE)의 센서 신호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바뀌고, 다른 정상인 센서 신호는 바뀌지 않았다고 한다. 이 경우에도, N1로부터 종횡으로 이웃하지 않는 시프트 위치의 횡렬 센서(SeC)는 판정 외로서 무시된다. N1로부터 세로로 이웃하는 2개의 종렬 센서(SiA, SiB)의 센서 신호(입력)가 온 신호 및 오프 신호의 어느 신호인지는 모두 불명(?)이다. 따라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는 온 신호는 횡렬 센서(SeA)의 센서 신호만으로 되므로, 제 2 보정 처치를 실시할 수 없다. 이렇게, 이 예의 경우에는 제 2 보정 처치에 의한 새로운 시프트 위치의 확정은 불가능해진다.
도 8은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서, 우선 스텝 S1에서 센서 신호가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S2에서 정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의 조합의 시프트 레버 위치에 시프트 위치가 확정된다. 스텝 S1에서 센서 신호가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3에서 센서 신호가 이상이더라도,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이 아닌, 즉 시프트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 S2의 처리로 이행된다.
스텝 S3에서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4에서 이상의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1 보정 처리가 실시된다. 이어서, 스텝 S5에서 이상인 센서 신호에 제 1 보정 처리가 실시되어도,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S2의 처리로 이행된다. 스텝 S5에서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6에서 이상의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2 보정 처리가 실시된다. 그 다음에, 스텝 S7에서 이상인 센서 신호에 제 2 보정 처리가 실시되더라도,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S2의 처리로 이행된다. 스텝 S7에서 시프트 위치의 확정이 불능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8에서 확정되기 직전의 시프트 레버 위치로 시프트 위치가 확정된다.
이렇게 하여, 각 센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시프트 레버 위치로 시프트 위치가 확정된다.
이렇게 이 예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에 의하면,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5)에 의해,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횡렬 센서(SeA, SeB, SeC) 및 종렬 센서(SiA, NE, SiB) 중,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횡, 종 센서(SeA, SeB, SeC ; SiA, NE, SiB)가 속하는 센서의 다른 어느 센서도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속하지 않는 센서의 1개가 온 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에 의해, 이상인 센서 신호를 온 신호로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한다. 그리고,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에 의해,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에서 제 1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여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가 정상 또는 이상인 것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센서의 검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7)에 의해,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6)에서 제 1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이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횡렬 센서(SeA, SeB, SeC)의 온 신호와 종렬 센서(SiA, NE, SiB)의 각 온 신호가 확인된다. 그리고, 횡, 종렬 센서(SeA, SeB, SeC ; SiA, NE, SiB)의 어느 것에도 온 신호가 확인된 경우에는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8)에 의해 이들의 온 신호의 어느 한쪽을 오프 신호로 보정하는 동시에, 오프 신호로 보정된 온 신호가 속하고 또한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 중, 오프 신호로 보정된 온 신호의 가로, 세로 방향에 인접하는 센서 신호의 1개를 온 신호로 보정하는 제 2 보정 처치를 실시한다. 또한,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9)에 의해,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8)에서 제 2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및 이 보정 신호 이외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여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가 정상 또는 이상인 것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센서의 검출 신호가 이상인 경우에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2개의 제 1 보정 처치 및 제 2 보정 처치에 의해서도, 상술한 센서 신호의 조합이 이상인 경우 혹은 제 1 및 제 2 보정 처치가 실시 불가능한 경우에는 확정 가능한 시프트 조작전의 레버 위치(현 위치)를 시프트 레버의 새로운 시프트 위치(신 위치)로 확정하고 있다. 따라서, 센서 신호 이상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실하게 확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의 복수의 변속단의 시프트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를 메뉴얼 시프트 변속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는 오토매틱 변속기(오토매틱 트랜스미션)에 적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가 설정되는 시프트 위치로서, 후진(R), 뉴트럴(N), 드라이브(D), 및 호울드(H)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프트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수의 시프트 위치에 대응하는 변속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진 변속단에서는 드라이브(D)에 더하여, 전진 1속 혹은 2속 등의 드라이브(D)보다 큰 감속비의 변속단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횡렬 센서로서 2개의 센서(SeA, SeB)가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종렬 센서로서 4개의 센서(SiA, NE, SiB, SiD)가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2개의 횡렬 센서(SeA, SeB)의 각 센서 신호 및 4개의 종렬 센서(SiA, NE, SiB, SiD)의 각 센서 신호의 조합으로, 시프트 레버의 각 레버 위치가 검출되는 동시에, 검출된 레버 위치에 대응하여 시프트 위치가 확정된다.
이 예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예와 같다. 또한, 이 예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의 작용 효과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예와 같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3개의 횡렬 센서와 3개의 종렬 센서의 조합에 의한 예와 2개의 횡렬 센서와 4개의 종렬 센서의 조합에 의한 예를 제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이상의 횡렬 센서와 복수의 종렬 센서의 조합, 혹은 복수의 횡렬 센서와 1개 이상의 종렬 센서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시프트 레버를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함으로써 변속이 행해지는 변속기에 사용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소정수의 제 1 방향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2 방향의 제 2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소정수의 제 2 방향 센서와,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상기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확정하는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을 갖는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로서,
    상기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은,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 이상을 판단하는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에 대하여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 및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를 가지고,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 중,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방향 센서의 다른 어느 방향 센서도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방향 센서의 1개가 레버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이상인 센서 신호가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되는 동시에, 상기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2. 시프트 레버를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함으로써 변속이 행해지는 변속기에 사용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소정수의 제 1 방향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2 방향의 제 2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소정수의 제 2 방향 센서와,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상기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확정하는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을 갖는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로서,
    상기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은,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이상을 판단하는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 후의 새로운 조작 후 레버 위치의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로서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 중,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전의 조작전 레버 위치보다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레버 위치의 센서 신호에 대해서만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 및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방향 센서에 의해 상기 조작전 레버 위치의 제 1 레버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방향 센서에 의해 상기 조작전 레버 위치의 제 2 레버 검출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의 어느 한쪽이 레버 비검출 신호로 보정되는 동시에 레버 비검출 신호로 보정된 레버 검출 신호가 속하고 또한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가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되고, 또한 상기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3. 시프트 레버를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함으로써 변속이 행해지는 변속기에 사용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소정수의 제 1 방향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제 2 방향의 제 2 방향 레버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레버 검출 신호 또는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소정수의 제 2 방향 센서와, 상기 제 1 레버 검출 신호, 상기 제 1 레버 비검출 신호, 상기 제 2 레버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레버 비검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확정하는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을 가지는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로서,
    상기 시프트 위치 확정 수단은,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 이상을 판단하는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에 대하여 제 1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와,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 후의 새로운 조작 후 레버 위치의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로서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된 센서 신호 중,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전의 조작전 레버 위치보다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레버 위치의 센서 신호에 대해서만 보정 처치를 실시하는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 및
    상기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의 이상을 판단하는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를 가지고,
    상기 센서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의 각 센서 신호의 적어도 1개가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 센서 및 상기 제 2 방향 센서 중,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방향 센서의 다른 어느 방향 센서도 레버 비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방향 센서의 1개가 레버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 의해, 이상인 센서 신호가 레버 검출 신호로 보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제 1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이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이들의 센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정 신호 이상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센서 신호 보정 처치부에서 보정 처치된 보정 신호,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는 다른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 및 이상인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센서가 속하지 않는 어느 방향 센서의 센서 신호의 조합이 이상이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조작전 레버 위치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라고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KR1020100054996A 2009-06-11 2010-06-10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KR101094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9839 2009-06-11
JP2009139839A JP5227901B2 (ja) 2009-06-11 2009-06-11 変速機のシフト位置判断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311A true KR20100133311A (ko) 2010-12-21
KR101094090B1 KR101094090B1 (ko) 2011-12-15

Family

ID=4350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996A KR101094090B1 (ko) 2009-06-11 2010-06-10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27901B2 (ko)
KR (1) KR101094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3357B2 (ja) * 2012-03-07 2016-03-0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レンジ検出スイッチ
KR101833629B1 (ko) * 2016-07-19 2018-02-28 현대다이모스(주) Dct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07039A (ko) 2017-06-28 2020-01-21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시프터의 이상 진단 장치 및 시프터의 이상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2432U (ja) * 1983-05-25 1984-12-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変速段表示装置
JPH10278608A (ja) * 1997-04-01 1998-10-20 Jidosha Kiki Co Ltd チェンジレバーユニット
JP3940778B2 (ja) * 1998-12-17 2007-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セレクトレバーのポジションスイッチ
JP4242576B2 (ja) 2001-07-17 2009-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平版印刷版用原版及び平版印刷版の製版方法
JP2005172119A (ja) * 2003-12-10 2005-06-30 Denso Corp レンジ位置検出スイッチ
JP5062411B2 (ja) 2007-10-29 2012-10-3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27901B2 (ja) 2013-07-03
KR101094090B1 (ko) 2011-12-15
JP2010285056A (ja)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184B2 (en) Shift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vehicle and shift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1094090B1 (ko) 변속기의 시프트 위치 판단 확정 장치
US9249877B2 (en) Position diagnostic test for a shift-by-wir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JP4565574B2 (ja) 異常検出装置
JP2017100696A (ja) 車両の故障診断方法
JP2011235798A (ja) チェンジレバーの位置検出装置および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WO2011034052A1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5724936B2 (ja) シフトポジション判定装置
US20160262596A1 (en) Endoscope apparatus
JP2006256547A (ja) 電子制御装置
JP4752848B2 (ja) 電流検出装置及び電流検出方法
JP5429223B2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検出装置
KR101734826B1 (ko) Trs 신호선 오연결 판정 장치
JP2009125917A (ja)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US20080319705A1 (en) Method For Reliable Position Monitoring
JP4439388B2 (ja) 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4900435B2 (ja) 欠陥画素出力信号補正方法
KR100448392B1 (ko) 차량의 연료량 센서 고장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021264A (ja) デジタル出力保持装置
JP4445321B2 (ja) 信号入力装置並びに、安全センサ
JP4634188B2 (ja) 短絡検出回路、検出センサ
JP6625964B2 (ja) 昇降機制御装置および昇降機制御方法
KR0136992B1 (ko) 마그네트밸브 및 램프점검방법 및 회로
KR20170071040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JP2007019735A (ja) 電子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サージ吸収素子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