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434A - 이형필름 - Google Patents

이형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434A
KR20100131434A KR1020107018229A KR20107018229A KR20100131434A KR 20100131434 A KR20100131434 A KR 20100131434A KR 1020107018229 A KR1020107018229 A KR 1020107018229A KR 20107018229 A KR20107018229 A KR 20107018229A KR 20100131434 A KR20100131434 A KR 2010013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release
inspection
rele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미히로 이사키
카즈히로 쿠누기하라
마사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434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990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434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99024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편광판의 검사를 크로스 니콜법에 의해 실시할 때, 이물이나 결함을 발견하기 어렵게 되거나 이를 놓치기 쉽다고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고도의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이형 필름을 제공한다. (i) 도포 연신법에 의해 설치된 이형층을 편면에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 헤이즈가 7~18%이며, 이형층면측으로부터 반사법으로 측정한 L 값이 7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이형필름. (ii) 도포 연신법에 의해 설치된 이형층을 편면에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의 표면 조도(Ra)가 11~25nm이며, 사상성 값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이형필름.

Description

이형필름{Release Film}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용도 등의 이형필름에 있어서 광학 특성이 뛰어나고 또 필름 검사공정에 있어서 고정밀의 결함 검출이 가능하며 특히 편광판용으로서 매우 적합한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강도, 치수 안정성, 평탄성, 내열성, 내약품성, 광학 특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코스트 퍼포먼스가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도가 다양화함에 따라 필름의 가공 조건 또는 사용 조건이 다양화되고, 편광판용 이형필름에 있어서도 이물 검사시에 이형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입자 성분이 휘점(輝点)이 되어 검사 정밀도(精度)가 저하하는 등의 불편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최근 휴대전화나 퍼스널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종래형의 디스플레이인 CRT에 비해 박형경량화, 저소비 전력, 고화질화가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LCD로 약기한다)의 수요가 현저하게 늘어나고 있고, LCD의 대화면화에 대해서도 그 기술의 성장은 현저하다. LCD의 대화면화의 일례로서 최근에는 30인치 이상의 대형 TV용도로 LCD가 사용되고 있다. 대화면 사이즈의 LCD에 있어서는, LCD 내에 삽입된 백라이트의 휘도 향상 또는 휘도를 향상시키는 필름을 액정 유닛 내에 삽입하는 것 등에 의해 대화면화이면서 또 시인성을 향상시킨 LCD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고휘도 타입의 LCD에서는 디스플레이 중에 존재하는 작은 휘점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고, 디스플레이 중에 삽입되는 편광판, 위상차판 또는 위상차 편광판의 구성 부재에 있어서는 종래의 저휘도 타입 LCD에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던 미소 사이즈의 이물에 있어서도 문제시되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이물 혼입 방지를 도모하는 한편, 만일 이물이 혼입했을 경우에도 결함으로서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검사 정밀도의 새로운 향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입자는 필름의 활성(滑り性), 권취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것이며, 적당한 입경과 배합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소망하는 활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권취특성이 악화되고, 생산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그러나 통상 사용되는 범위의 입경, 배합량으로 했을 경우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편광판용 이형필름으로서 사용되었을 때, 이물 검사공정에서 그 첨가 입자가 휘점이 되어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예를들면 편광판의 결함 검사로서는 크로스 니콜법에 의한 목시 검사가 일반적이고, 일례를 들면 40 인치 이상의 대형 TV용도로 사용하는 편광판 등에서는 크로스 니콜법을 이용한 자동 이물 검사기에 의한 검사도 실시되고 있다. 이 크로스 니콜법은 2매의 편광판을 그 배향 주축을 직교시켜 소광상태로 하고, 이물이나 결함이 있으면 해당 개소가 휘점으로서 나타나므로 목시에 의한 결함 검사가 가능하다. 여기서, 통상 편광판에는 점착제층이 설치되며, 이를 위한 이형 필름으로서 이형층을 설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품을 검사하는 경우, 2매의 편광판 사이에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삽입된 상태에서 크로스 니콜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것에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크로스 니콜법의 검사에 있어서 이물이나 결함을 발견하기 어려워지고 이들을 놓치기 쉽다고 하는 불편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하나의 면에 점착층을 설치하고, 그 점착층의 표면에 이형필름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적층체로서, 편광 특성이 우수하며 또 목시 이물 검사가 용이한 적층체 및 그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이형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편광 특성이 개선된 적층체>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일방의 표면에 점착층을 설치하고, 그 점착층의 표면에 투명한 2축 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한 이형필름을 설치한 적층체로서, 그 적층체는 (1) 그 이형필름에 있어서의 2축 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마이크로파 투과형 분자 배향계로 측정된 배향 주축의 방향과 (2)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90˚로 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특성이 개선된 적층체.
<이형필름>
투명한 2축 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의 표면에 실리콘 코팅에 의한 이형성 부여 처리한 이형필름으로서, 그 2축 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마이크로파 투과형 분자 배향계로 측정한 MOR 값이 1.3~1.8 범위인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검사를 위한 이형필름. 그리고 바람직한 태양으로는 상기 2축 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MOR 값의 최소치와 최대치의 차가 0.2 이하이며 또, 특정 식으로 정의되는 리타데이션 값(R)이 적어도 1200(nm)이다.
그러나 최근 고도의 품질이 요구되는 레벨에 있어서는 이들을 사용해도 결함을 확실하게 발견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 정밀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또한 편광판의 일그러짐(歪み)이나 얼룩짐(ムラ)의 결함을 검사하는 경우, 형광등 하에서 반사목시 검사가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형 필름을 사이에 두고 그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편광판의 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이형 필름이 극단적으로 백색이면 편광판의 결함을 발견하기 어려워지고 이들을 놓치기 쉽다고 하는 불편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7-10102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해결 과제는 편광판의 크로스 니콜법에 의한 검사에 있어서 고도의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구성되는 이형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 구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구성되는 이형필름에 의하면 우수한 필름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편광판용으로서 매우 적합한 이형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연관된 1군의 발명으로 이루어지고 각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요지는 도포 연신법에 의해 설치된 이형층을 편면에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 헤이즈가 7~18%이며, 이형층면측으로부터 반사법으로 측정한 L값이 7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이형필름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요지는 도포 연신법에 의해 설치된 이형층을 편면에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의 표면 조도(粗さ)(Ra)가 11~25nm이며, 사상성 값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이형필름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용 이형필름에 이용되는 필름의 휘점이 극히 적고, 이물 검사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이형필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공업적 가치는 높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압출 금형으로부터 용융압출되는 이른바 압출법에 의해 압출한 용융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냉각한 후, 필요에 따라 연신, 열처리를 실시한 필름이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을 들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호모 폴리에스테르이어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경우는 30몰% 이하의 제 3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이면 좋다. 이러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및 옥시카르복시산(예를들면 P-옥시 안식향산 등)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내후제, 내광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차광제, 항산화제, 형광증백제, 매트화제, 열안정제 및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등을 배합해도 좋다.
필름 중에 배합하는 입자로서는 산화규소, 알루미나, 탄산칼슘, 카올린, 산화티탄 및 특공소 59-52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가교 고분자 미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단독 또는 2 성분 이상을 동시에 사용해도 좋다. 이들 입자를 첨가하는 필름층의 함유량은 통상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6중량%의 범위이다.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필름 표면이 평탄화하고,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표면의 상처가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또는 권취 특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입자의 함유량이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의 조면화 정도가 너무 커져 투명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함유되는 입자의 평균 입경은 통상 0.02~2μm이며, 바람직하게는 0.1~1.8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1.6μm의 범위이다. 입경이 0.02μm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표면이 평탄화하고,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권취 특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입경이 2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용 이형필름으로서 이용되었을 경우 휘점이 되어 이물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필름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층 이상의 적층 필름으로 했을 경우, 표층에만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 경우 표층이란 적어도 표리 어느 쪽의 1층이며, 물론 표리 양층에 입자를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판 제조 공정 중, 특히 검사공정에 있어서의 검사 정밀도 향상을 위해 필름 헤이즈 및 필름의 반사 L값은 상술한 범위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중에 함유하는 입자에 관해서는 탄산칼슘 입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종료 후 중축합 반응 개시전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켜도 좋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랜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랜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용융중합 후 이를 칩화하고 가열 감압하 또는 질소 등 불활성 기류 중에서 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상 중합을 실시해도 좋다.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40d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0~0.90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의 올리고머 함유량의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이루어지는 층의 적어도 편면의 표면에, 이러한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를 공압출 적층한 구조를 갖는 필름이어도 좋고,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경우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이형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올리고머 석출에 의한 휘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내에 있어서 실시예에 기재한 측정법에 의한 배향각의 변동이 3도/5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도/500mm 이하이다. 배향각의 변동이 3도/50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을 검사할 때 편광판의 위치에 의해 투과광 강도가 변동하고 편광판의 안정된 검사의 장해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의 총 두께는 필름으로서 제막 가능한 범위에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6~125μm, 바람직하게는 9~75μm의 범위이다.
<제 1 요지와 관련된 본 발명>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의 헤이즈는 7~18%인 것이 필요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15%이다. 필름의 헤이즈가 7%를 하회하는 경우, 함유할 수 있는 입자의 양이 줄어들어 필름 표면이 극단적으로 평탄화되고,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권취특성이 떨어진다. 필름 헤이즈가 18%를 초과하는 경우, 편광판 제조용 이형필름으로서 이용했을 경우 투과광 검사시 시야가 백탁(白濁)하여 검사에 지장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검사공정에 있어서 검사 정밀도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보다 고도한 검사 용이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 필름의 반사에 기인하는 검사 정밀도의 저하 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지표로서, 반사 L값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필름의 반사 L값에 관해서는 77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다. 필름의 반사 L값이 77을 초과하는 경우, 편광판의 반사광 검사시에 빛의 반사가 너무 강해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제 2 요지와 관련된 본 발명>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에 기재한 측정법에 의한 필름의 사상성 값은 9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필름의 사상성 값이 90%를 하회하는 경우, 편광판용 이형필름으로서 이용했을 경우 투과광에 의한 편광판의 결함 검사 시에 상이 일그러져(歪み) 목시 검사 또는 자동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필름의 표면 조도(Ra)는 11~25nm인 것이 필요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2nm이다. Ra가 25nm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의 평면성이 손상되어 필름이 백색이 되어버려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Ra가 11nm를 하회하는 경우 필름 표면이 극단적으로 평탄화되어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권취특성이 떨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만족하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지만,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에 의해 제조 조건은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상법에 따라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로부터 에스테르화하거나 또는 테레프탈산 디메틸과 에틸렌글리콜을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실시하고, 그 생성물을 중합조로 이송하여 감압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 최종적으로 진공하에서 280℃로 가열하여 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폴리에스테르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극한 점도는 통상 0.40~0.90, 바람직하게는 0.45 내지 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0.70의 범위이다. 극한 점도가 0.40 미만에서는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고, 극한 점도가 0.9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 점도가 높아져 압출기에 부하가 걸리거나 제조 코스트가 드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예를들어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 공지의 방법에 의해 건조한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압출 장치에 공급하고, 각각의 폴리머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다. 이어서 용융한 폴리머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회전 냉각 드럼상에서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가 되도록 급냉 고화하여 실질적으로 비정(非晶) 상태의 미배향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 인가 밀착법 및/또는 액체 도포 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를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화한다. 연신 조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으로 70~145℃에서 2~6배로 연신하고, 종 1축 연신 필름으로 한 후, 횡 방향으로 90~160℃에서 2~6배 연신을 실시하여 150~240℃에서 1~600초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때, 열처리의 최고 온도 존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쿨링 존에 있어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0.1~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재차 종연신, 재차 횡연신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미연신 시트를 면적 배율이 10~40배가 되도록 동시 2축 연신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이형층 형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필름의 요구 특성으로서, 열 주름(シワ)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필름 평면성이 양호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화면 사이즈의 대형화에 따라 화면의 채취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보다 광폭의 이형필름이 필요하게 되는 상황에 있다.
상술한 요구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필름은 도포 연신법(인 라인 코팅)에 의해 이형층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설치되는 것을 필수의 요건으로 한다.
도포 연신법(인 라인 코팅)에 대해서는 이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면 순차 2축연신에 있어서는 특히 1단째의 연신이 종료하고 2단째의 연신 전에 코팅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포 연신법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이형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신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이형층의 두께를 연신 배율에 따라 얇게 할 수가 있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매우 적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필름을 구성하는 이형층은 이형성을 양호와 하기 위해서 에멀젼 타입의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멀젼 타입의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타입이어도 좋고,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유기 수지와의 그라프트 중합 등에 의한 변성 실리콘 타입 등을 사용해도 좋다.
에멀젼 타입의 경화형 실리콘 수지의 구체예로서 아사히화성(旭化成) 와카실리콘(ワッカ―シリコ―ン)제의 Dehesive430, Dehesive440, 아라가와(荒川) 화학제 실리코리스902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이형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 롤 코트, 다이코트, 바 코트, 커텐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공 방식에 관해서는「코팅 방식」마키 서점(書店) 하라사키유우차(原崎勇次) 저 1979년 발행에 기재예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이형층을 형성할 때 경화 조건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도포 연신법(인 라인 코팅)에 의해 이형층을 설치하는 경우 통상 170~280℃에서 3~40초간, 바람직하게는 200~280℃에서 3~40초간을 기준으로 하여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포 연신법(인 라인 코팅) 또는 오프 라인 코팅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를 위한 에너지원으로서는 종래부터 공지의 장치, 에너지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형층의 도공량은 도공성 면에서 통상 0.005~0.5g/m2, 바람직하게는 0.005~0.2g/m2의 범위이다. 도공량이 0.005g/m2 미만인 경우, 도공성 면에서 안정성이 부족해 균일한 도막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0.5g/m2를 초과하여 아츠누리(厚塗り)로 하는 경우에는 이형층 자체의 도막 밀착성, 경화성 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형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필름의 박리력(F)은 20~200mN/c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mN/cm의 범위이다. 박리력(F)이 20mN/cm 미만인 경우, 박리력이 너무 약해져 본래 박리해서는 안되는 단계에서 용이하게 박리해버리는 불편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박리력(F)이 200mN/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력이 너무 커져 박리할 때에 점착제가 변형하거나 또는 점착제가 이형필름 측에 부착하는 등의 불편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이형필름은 이형층의 반대면에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접착층, 대전 방지층, 올리고머 석출 방지층 등의 도포층을 설치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 중「부」는「중량부」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한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극한 점도의 측정:
폴리에스테르 1g을 정칭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50/50(중량비)의 혼합 용매 100ml를 가하여 용해시켜 30℃에서 측정하였다.
(2) 평균 입경(d50):
시마즈(島津) 제작소제 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SA-CP3형)를 이용하여 측정한 등가 구형 분포에 있어서 적산체적분율 50%의 입경을 평균 입경 d50로 하였다.
(3) 필름내에 있어서의 배향각의 변동 측정(도/500mm):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위치로부터 폭방향으로 양단을 향해 500mm 마다의 위치 및, 최양단의 샘플을 잘라내고, 각각 왕자(王子) 계측기사제의 자동 복굴절율계(KOBRA-21ADH)를 이용하여 필름 폭방향 500mm 마다의 배향각의 변동을 구했다. 또 최양단의 위치를 포함한 배향각의 변동을 산출할 때, 샘플 위치 사이가 500mm에 미치지 않는 경우, 비례 계산으로 500mm 마다의 배향각의 변동을 산출한다. 이어서 필름 장수(長手) 방향에 대하여, 3m 길이를 잘라내고, 필름 폭방향에 대하여 중심이 되는 위치로부터 장수 방향으로 500mm 마다(양단 포함), 합계 7개소의 위치로부터 샘플을 잘라내어 배향각을 구했다. 이와 같이 하여 폭방향, 장수 방향에서의 500mm 마다의 배향각의 변동을 구하고, 최대 변동치를 각각 필름의 배향각의 변동으로 하였다. 또한, 측정 시에 모든 샘플에서의 배향각의 기준축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기준 축에 대해서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4) 반사 L값의 측정:
시료 필름을 이용하여 일본전색공업(주) 제 분광색색차계 SE-2000형을 이용하여 JIS Z-8722의 방법에 준해 반사법에 따른 L값을 측정했다.
(5) 필름 헤이즈의 측정:
시료 필름을 JIS-K7105에 준해 일본전색공업사제 적분공식탁도계「NDH-20D」에 의해 필름의 헤이즈를 측정했다.
(6) 사상성 값의 측정:
JIS-K7105에 준해 스가(スガ) 시험기(주)제 사상성 측정기 ICM-1에 의해, 투과법으로 필름의 사상성 값을 측정했다. 또, 값은 광학 빗(くし) 0.125mm의 것을 읽어낸다.
(7) Ra의 측정:
고사카(小坂) 연구소사제 표면조도 측정기 SE3500형을 이용하여 JIS B0601-1994에 준해 측정했다. 또, 측정 길이는 2.5mm로 하였다.
(8) 반사광하에서의 목시 검사성:
형광등 반사하에서 이형필름 부착(付き) 편광판을 10명의 검사원이 목시 관찰하고 반사광하에서의 목시 검사성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또, 측정시에는, 얻어진 이형필름의 단부로부터 필름 폭방향으로, 필름폭에 대하여 50%의 위치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A4사이즈의 샘플을 잘라 실시했다.
<판정 기준>
○: 검사성 특히 양호(검사원 전원이 양호로 판정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
△: 검사성 조금 불량(검사원 10인 중, 2명 이하의 검사원이 불량으로 판정 실용상,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는 레벨)
×: 검사성 불량(검사원 전원이 불량으로 판정 실용상, 문제가 되는 레벨)
(9) 크로스 니콜하에서의 이물 인지성:
이형필름 부착 편광판을 작성할 때, 점착제와 편광 필름의 사이에 50μm 이상의 크기를 갖는 흑색의 금속가루(이물)를 50개/m2가 되도록 혼입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이물을 혼입시킨 편광판 이형필름 상에 배향축이 이형필름 폭방향과 직교하도록 검사용 편광판을 중복하여 맞추고, 편광판측에서 백색광을 조사하여 검사용 편광판에서 10명의 검사원이 목시 관찰하며, 점착제와 편광 필름의 사이에 혼입시킨 이물을 찾아낼 수 있는지 아닌지를 하기 분류로 평가하였다. 또, 측정시에는,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의 필름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이물 인지성 특히 양호(검사원 전원이 양호로 판정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
△: 이물 인지성 조금 불량(검사원 10인 중, 2명 이하의 검사원이 불량으로 판정 실용상,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는 레벨)
×: 이물 인지성 불량(검사원 전원이 불량으로 판정 실용상, 문제가 되는 레벨)
(10) 이형필름의 박리력(F)의 평가:
시료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전공(日東電工)제「No. 502」)의 편면을 붙인 후, 50mm×300mm의 사이즈로 컷트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박리력을 측정한다. 박리력은 인장시험기((주)인데스코제「인데스코 모델 2001형」)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하에서 180°박리를 실시하였다.
(11) 이형특성:
이형필름 부착 편광판에서, 이형필름을 벗겼을 때의 상황에서, 이형특성을 평가하였다.
<이형특성 분류 기준>
○: 이형필름이 깨끗이 벗겨져 점착제가 이형층에 부착하는 현상을 볼 수 없다
△: 이형필름은 벗겨지지만, 빠른 속도로 박리했을 경우에 점착제가 이형층에 부착한다
×: 이형필름에 점착제가 부착한다
상기 판정 기준 중, △ 이상의 것이 실 사용상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레벨이다.
(12) 이형필름의 평면성 평가:
시료 필름을 벽에 매단(吊り下げた) 상태에서 형광등하, 필름의 평면성을 목시 관찰하여 하기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을 실시하였다.
<판정 기준>
○: 필름면에 대하여 기울기 45도 각도로부터 보아도 열주름을 확인할 수 없다(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
×: 필름면에에 대하여 바로 정면으로부터 보아, 열주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실용상, 문제 있는 레벨)
(13) 총합 평가:
시료 필름에 있어서, 하기 판정 기준에 의해 총합 평가를 실시하였다.
<판정 기준>
○: 목시 검사성, 이물 인지성, 이형특성, 평면성의 모두가「○」
△: 목시 검사성, 이물 인지성, 이형특성, 평면성 중 적어도 1 항목이「△」
×: 목시 검사성, 이물 인지성, 이형특성, 평면성 중 적어도 1 항목이「×」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테레프탈산디메틸 100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중량부를 출발 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초산마그네슘 4수염을 가해 반응기에 넣고 반응 개시 온도를 150℃로 하고, 메탄올의 유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 온도를 상승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에틸 애시드 포스페이트를 첨가한 후, 중축합조로 옮겨 삼산화 안티몬 0.04부를 가해 4시간 중축합반응을 실시했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시켜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에서 서서히 감소시켜 최종적으로는 0.3mmHg로 하였다. 반응 개시 후 반응조의 교반 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 점도 0.63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 폴리머를 토출시켜, 폴리에스테르의 칩(A)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의 극한 점도는 0.63이었다.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에틸 애시드 포스페이트를 첨가한 후 평균 입자경 0.8μm의 합성 탄산칼슘 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입자의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함유량이 1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에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 폴리에스테르(B)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B)는 극한 점도 0.63이었다.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첨가 입자를 평균 입자경 1.5μm의 합성 탄산칼슘 입자로,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함유량을 1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 폴리에스테르(C)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C)는 극한 점도 0.63이었다.
<폴리에스테르(D)의 제조>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첨가 입자를 평균 입자경 2.2μm의 실리카 입자로,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함유량을 0.6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폴리에스테르 (B)의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 폴리에스테르(D)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D)는 극한 점도 0.63이었다.
<필름의 제조>
실시예 1a~7a 및 비교예 1a~3a 및: 실시예 1b~7b 및 비교예 1b~3b:
(상기의 부호「a」는 앞서 본 제 1 요지와 관련된 발명에 관한 예이며, 부호「b」는 앞서 본 제 2 요지와 관련된 발명에 관한 예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A) 칩과 폴리에스테르(B)~(D) 칩을 표 1~4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최외층(표층) 및 중간층의 원료로 하고, 2대의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여 290℃로 용융 압출한 후,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해 표면 온도를 40℃로 설정한 냉각 롤상에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100℃에서 종 방향으로 2.8배 연신한 후, 하기 이형제 조성으로 구성되는 이형제를 도포량(건조 후)이 0.060g/m2가 되도록 도포한 후, 텐타내에서 예열 공정을 거쳐 120℃에서 4.9배의 횡연신을 실시한 후, 190℃에서 10초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180℃에서 폭방향으로 10% 이완을 가하고, 폭 3000m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각각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총두께는 38μm, 각각의 층 두께는 4μm/30μm/4μm였다.
또, 비교예 1a와 1b의 필름은 표면 형상이 극단적으로 평탄하게 되어 활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연신, 열처리 후의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할 때, 잘 권취할 수 없고 또, 필름 전면에 상처가 발생하여 제품으로서 성립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형필름의 제조>
비교예 1a 및 비교예 5a 및 비교예 1b 및 비교예 4b 이외의 필름은 하기 이형제 조성-A ~ -C를 도포하였다.
(이형제 조성-A)
경화형 실리콘 수지(Dehesive430:아사히화성 와카실리콘제) 50중량%
경화형 실리콘 수지(Dehesive440:아사히화성 와카실리콘제) 50중량%
(물 희석에 의해 고형분 농도 5중량%로 조제하였다.)
(이형제 조성-B)
경화형 실리콘 수지(실리코리스902:아라가와 화학제) 99중량%
백금 촉매(실리코리스903:아라가와 화학제) 1중량%
(물 희석에 의해 고형분 농도 5중량%로 조제하였다.)
(이형제 조성-C)
경화형 실리콘 수지(Dehesive430:아사히화성 와카실리콘제) 30중량%
경화형 실리콘 수지(Dehesive440:아사히화성 와카실리콘제) 30중량%
박리 조정제(CRA491:아사히화성 와카실리콘제) 40중량%
(물 희석에 의해 고형분 농도 5중량%로 조제하였다.)
비교예 4a 및 4b:
실시예 1(a)(b)에 있어서, 도포 연신법으로 이형제를 도포하는 대신 오프 라인에 의해 하기에 나타낸 이형제 조성으로 이루어진 이형제를 도포량(건조 후)이 0.1g/m2가 되도록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드라이어 설정 온도 180℃에서 5초간 열처리 한 후에 롤상의 이형필름을 얻었다.
(이형제 조성-D)
경화형 실리콘 수지(KS-774: 신에츠(信越) 화학제) 100부
경화제(PL-4: 신에츠 화학제) 10부
MEK/톨루엔 혼합 용매(혼합 비율은1:1) 1500부
<이형필름 부착 편광판의 제조>
편광판에 하기에 나타낸 아크릴 점착제를 건조 후의 두께가 25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130℃의 건조로 내를 30초 통과시킨 후, 이형필름을 점합시키고,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이형필름과 편광 필름이 밀착된 이형필름 부착 편광판을 작성했다.
필름의 점합 방향은 이형필름의 폭방향이 편광 필름의 배향축과 평행이 되도록 하였다.
(아크릴 점착제 도포액)
아크릴 점착제(오리바인(オリバイン) BPS4294:동양 잉크제) 100부
경화제(BPS8515:동양 잉크제) 3부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 용매(혼합 비율은 1:1) 50부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비교예 1a의 필름은 상처가 많아 목시 검사성 및 이물 인지성을 판정할 수가 없었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비교예 1b의 필름은 상처가 많아 목시 검사성 및 이물 인지성을 판정할 수가 없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은 편광판의 여러 가지 검사법에 있어서, 고도의 검사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으며, 편광판용 이형필름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도포 연신법에 의해 설치된 이형층을 편면에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 헤이즈가 7~18%이며, 이형층면측으로부터 반사법으로 측정한 L 값이 7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이형필름.
  2. 도포 연신법에 의해 설치된 이형층을 편면에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의 표면 조도(Ra)가 11~25nm이며, 사상성 값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이형필름.
KR1020107018229A 2008-02-25 2009-02-02 이형필름 KR20100131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43439A JP2009199023A (ja) 2008-02-25 2008-02-25 離型フィルム
JP2008043440A JP2009199024A (ja) 2008-02-25 2008-02-25 離型フィルム
JPJP-P-2008-043440 2008-02-25
JPJP-P-2008-043439 2008-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434A true KR20100131434A (ko) 2010-12-15

Family

ID=4101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229A KR20100131434A (ko) 2008-02-25 2009-02-02 이형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70400A1 (ko)
EP (1) EP2251719A4 (ko)
KR (1) KR20100131434A (ko)
CN (1) CN101946196B (ko)
WO (1) WO2009107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260A (ja) * 2010-02-23 2011-09-08 Mitsubishi Plastics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離型フィルム
JP2011212891A (ja) * 2010-03-31 2011-10-27 Mitsubishi Plastics Inc 離型フィルム
JP2012027231A (ja) * 2010-07-23 2012-02-09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板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027294A (ja) * 2010-07-26 2012-02-09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板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07792B2 (ja) * 2011-08-30 2016-10-12 東レ株式会社 偏光板離型フィルム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偏光板の製造方法
CN106457786B (zh) * 2014-05-30 2018-10-09 日本瑞翁株式会社 复层膜和卷绕体
CN104139588B (zh) * 2014-07-14 2016-03-23 湖北富思特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离型膜
JP6147284B2 (ja) * 2015-03-09 2017-06-14 藤森工業株式会社 剥離性に優れた離型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16B2 (ja) 1979-01-25 1984-02-03 ダイアホイ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320904B2 (ja) 1993-07-19 2002-09-03 帝人株式会社 偏光特性の改善された積層体およびそのための離型フイルム
JP2000239623A (ja) * 1999-02-25 2000-09-0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粘着層保護フィルム
JP2000338327A (ja) * 1999-05-31 2000-12-08 Teijin Ltd 偏光特性の改善された積層体およびそのための表面保護フィルム
JP4216962B2 (ja) * 1999-08-05 2009-01-28 三菱樹脂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KR100454563B1 (ko) * 1999-08-09 2004-11-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실리콘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JP4336427B2 (ja) * 1999-10-01 2009-09-30 帝人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体
JP2001329078A (ja) * 2000-05-24 2001-11-27 Toray Ind Inc 離型フィルム
JP3570546B2 (ja) * 2000-05-29 2004-09-29 東洋紡績株式会社 高分子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2207119A (ja) * 2001-01-05 2002-07-26 Teijin Ltd 偏光板離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191384A (ja) * 2001-12-26 2003-07-08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24072B2 (ja) * 2001-12-26 2006-09-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基材に密着良好な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剥離フィルム
JP2003231214A (ja) * 2002-10-22 2003-08-19 Teijin Ltd 離型フイルム
JP2004174725A (ja) * 2002-11-25 2004-06-24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JP4211532B2 (ja) * 2003-08-08 2009-01-21 三菱樹脂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WO2004081090A1 (ja) * 2003-03-11 2004-09-2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離型フィルム
JP2004346093A (ja) * 2003-03-25 2004-12-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用離型フィルム
JP2004346117A (ja) * 2003-05-20 2004-12-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178163A (ja) * 2003-12-19 2005-07-07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14514B2 (ja) * 2004-12-21 2011-11-16 三菱樹脂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1719A1 (en) 2010-11-17
US20110070400A1 (en) 2011-03-24
WO2009107326A1 (ja) 2009-09-03
CN101946196B (zh) 2012-09-19
EP2251719A4 (en) 2013-09-04
CN101946196A (zh)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9275A1 (en) Polyester film for releas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 having improv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KR20100131434A (ko) 이형필름
JP2009204755A (ja) 液晶偏光板用離型フィルム
JP5242901B2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JP2009184269A (ja) 離型フィルム
WO2008032428A1 (fr) Film de polyester pour pellicule anti-adhésive
JP2009178908A (ja) 離型フィルム
JP5242900B2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JP2009199024A (ja) 離型フィルム
KR20140027103A (ko)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9178933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199023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178920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178929A (ja) 離型フィルム
JP2011212891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178930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204754A (ja) 液晶偏光板用離型フィルム
JP2009161574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JP2009161569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JP2009155621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JP5607992B2 (ja) 偏光板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197894A (ja) 液晶偏光板用離型フィルム
JP2010175620A (ja) 離型フィルム
JP2010169859A (ja) 液晶偏光板用離型フィルム
JP2010169869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