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103A -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103A
KR20140027103A KR1020137023257A KR20137023257A KR20140027103A KR 20140027103 A KR20140027103 A KR 20140027103A KR 1020137023257 A KR1020137023257 A KR 1020137023257A KR 20137023257 A KR20137023257 A KR 20137023257A KR 20140027103 A KR20140027103 A KR 2014002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layer
releas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사 사이토
유카 카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0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0089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0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017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07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009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07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00898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Abstract

이형 필름이 접착된 상태의 편광판 등의 부재에 관하여, 클리어감이 우수하고, 왜곡이나 얼룩과 같은 결함이나 이물 유무의 검사를 크로스 니콜법에 의한 육안 검사로 행하는 경우에 검사성이 우수하며, 또, 생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3층 이상의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편측의 표층은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가교 입자를 함유하고, 적어도 편면의 최외층에는 실리콘계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

Description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Mold releasing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광학 용도의 광학 검사에 유리한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강도, 치수안정성, 평탄성, 내열성, 내약품성, 광학특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비용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용도가 다양화됨에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공 조건이나 사용조건이 다양화하여, 편광판용의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 이물 검사시, 이형 필름 중의 입자 성분이 휘점으로 되어, 검사 정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다.
근년, 휴대전화나 퍼스널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서, 종래형의 디스플레이인 CRT에 비하여, 박형경량화, 저소비전력, 고화질화가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수요가 현저하게 신장되고 있고, LCD의 대화면화에 관해서도 그 기술의 성장은 현저하다. LCD의 대화면화의 일례로서, 최근에는, 30 인치 이상의 대형 TV 용도에 LCD가 사용되고 있다. 대화면화된 LCD에 있어서는, LCD 내에 조립된 백라이트의 휘도를 높이는 것이나, 휘도를 향상시키는 필름을 액정 유닛 내에 조립하는 것 등에 의해, 대화면이고 밝은 LCD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 이와 같은 소위 고휘도 타입의 LCD에서는, 디스플레이 중에 존재하는 작은 휘점이 문제로 되는 경우가 많고, 디스플레이 중에 조립되는 편광판, 위상차판 또는 위상차 편광판이라 하는 구성 부재에 있어서는, 지금까지의 저휘도 타입의 LCD에서는 문제로 되지 않았던 것과 같은 미소한 사이즈의 이물이 문제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이물의 혼입을 방지하는 한편, 만일 이물이 혼입된 경우라도 결함으로서 확실하게 인지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검사 정도의 향상도 중요하게 되어 오고 있다.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입자는 필름의 미끄럼성, 권취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 사용되는 것이고, 적절한 입경과 배합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소망하는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기도 하고, 권취 특성이 악화되기도 하여, 그 결과, 생산성의 악화를 초래하여 버린다. 그러나, 통상 사용되는 범위의 입경, 배합량으로 한 경우,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용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되었을 때에 이물 검사 공정에서 당해 입자가 휘점으로 되어, 검사에 지장을 가져오는 것이 문제로 되어 있다.
예컨대 편광판의 결함검사로서는, 크로스 니콜법(crossed Nicol method)에 의한 육안검사가 일반적이고, 또한 예컨대 40 인치 이상의 대형 TV 용도에 사용하는 편광판 등에서는, 크로스 니콜법을 이용한 자동이물 검사기에 의한 검사도 실시되고 있다. 이 크로스 니콜법에 의하면, 2매의 편광판을 그의 배향 주축을 직교시켜서 소광상태로 하고, 이물이나 결함이 있으면 이것이 휘점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육안에 의한 결함 검사, 또는, 라인 센서 카메라 등에 의한 자동결함검사가 가능하다. 여기서, 통상, 편광판에는 점착제층이 제공되고, 그를 위한 이형 필름으로서 이형층을 설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품을 검사할 경우, 2매의 편광판 사이에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샌드위치된 상태로 크로스 니콜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것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크로스 니콜법 검사에 있어서, 이물이나 결함이 보이기 어렵게 되고, 그들을 놓치기 쉽게 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에 관하여, 2매의 편광판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샌드위치시켰을 때, 리타데이션값이 어느 범위 내인 경우에 검사성이 향상한다고 하는(특허문헌 1 참조)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근년의 고도 품질을 요구하는 레벨에 있어서는 이들을 사용하여도 결함을 확실하게 밝혀내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또, 편광판의 왜곡이나 얼룩이라는 결함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형광등 하에서의 반사 육안 검사가 행해지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이형 필름을 통하여, 그 아래에 제공되어 있는 편광판의 검사를 행하기 위하여, 이형 필름이 극단적으로 백색이면, 편광판의 결함이 보기 어렵게 되고, 이들을 놓치기 쉽게 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에 관하여, 사용되는 이형 필름에 있어서, 내부 헤이즈 만은 입상감이 남아 있게 되는 것이 있어 불충분하지만(특허문헌 2 참조), 이 내부 헤이즈를 포함하는 필름의 투명성이 중요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것에서 나타낸,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이물 발생 원인의 하나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올리고머(이후, OL이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가 고려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저분자성 승화물로 보여지는 OL은 제조 공정 내에서 필름 표면에 석출하고, 필름과 접촉하는 롤 등에 부착하여 이물로 된다. 또, 이물을 저감하기 위하여, 롤에 부착한 올리고머를 제거하는 작업을 행하지만, 생산효율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2000-338327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 2009-2143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실시된 것이고, 그 해결과제는, 편광판의 크로스 니콜법에 의한 광학 검사에 있어서, 고도의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구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3층 이상의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편측의 표층은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가교 입자를 함유하며, 적어도 편면의 최외층에는 실리콘계 이형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형 필름이 접착된 상태의 편광판 등의 부재에 관하여, 클리어감이 우수하고, 왜곡(찌그러짐)이나 얼룩과 같은 결함이나 이물 유무의 검사를 크로스 니콜법에 의한 육안 검사로 행하는 경우에 검사성이 우수하며, 또, 그 이형 필름에 있어서의 공정 오염이나 점착제로의 이물 경감 능력이 우수하며, 또한 생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공업적 가치는 높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라는 것은, 압출금형으로부터 용융압출되는, 소위 압출법에 의해 압출한 용융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냉각한 후, 필요에 따라서, 연신, 코팅, 열처리를 실시한 필름이고, 그후, 이형층을 도포 가공한 필름이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라는 것은,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지방산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방향족 디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산 글리콜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PEN) 등이 예시된다. 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에스테르이어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30몰% 이하의 제3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이면 좋다.
이와 같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복시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및 옥시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한쪽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네오펜틸 글리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내후제, 내광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차광제, 항산화제, 형광증백제, 매트화제, 열안정제 및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필름에 배합할 입자로서는,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탄산 칼슘, 카올린, 산화티탄 등의 무기 입자나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에틸렌, 유기 실리콘 등의 유기 입자를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로서는, 폴리에스테르와 친화성이 높은 스티렌계 유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고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배합하는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1.4 ㎛ 범위이다. 평균입경이 0.5 ㎛ 미만인 입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충분한 이활성의 부여가 될 수 없어,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권취 특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다. 또, 평균입경이 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에 의한 보이드의 형성이 크게 되고, 또 입상감도 크게 되어, 투명성을 손상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입경이라는 것은, 후술한 바와 같이, 등가구형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체적분율 50%의 입경(d50)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입자를 3층 이상의 적층 필름의 적어도 표리 어느 1층에 첨가한다. 물론, 표리 양층에 입자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층 필름으로한 경우의 입자의 배합량은, 표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미만, 또한 바람직하게는 5~8 중량% 범위이다. 단, 입자의 함유량이 극단적으로 적은 경우는, 투명성은 높게 되지만 필름 표면을 적합한 정도의 조면으로 할 수 없고,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처가 생기기 쉽거나, 권취 특성이 열등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입자의 함유량이 극도로 많은 경우에는, 필름 표면의 조면화의 정도가 너무 크게 되어 투명성이 손상된다.
또, 사용되는 입자의 입도분포는 샤프한 물질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입도분포의 샤프함을 나타내는 지표인 입도분포치가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입도분포치라는 것은, 입도분포치 d25/d75(d25, d75는 입자군의 적산체적을 대입자측으로부터 계산하고, 각각 총 체적의 25%, 75%에 상당하는 입경(㎛)을 나타냄)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다. 입도분포치가 2.0을 초과하는 경우, 투명성이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후 중축합 반응 개시 전의 단계에서 에틸렌 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을 진행하여도 좋다. 또 벤트 부착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에틸렌 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해진다.
폴리에스테르는, 용융 중합 후 이것을 칩화하고, 가열 감압하 또는 질소 등 불활성 기류 중에 필요에 따라서 또한 고상중합을 실시하여도 좋다.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40 d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0~0.90 dL/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총 두께는, 필름으로서 제막가능한 범위에 있다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4~300 ㎛, 바람직하게는 25~188 ㎛ 범위이다.
이어,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만족하는 한, 이하의 예시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지만,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에 따라 제조 조건은 상이하다. 상법에 따라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에스테르화하거나, 또는, 테레프탈산 디메틸과 에틸렌 글리콜을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키고, 그의 생성물을 중합조로 이송하고, 감압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 최종적으로 진공하에서 280℃로 가열하여 중합반응을 진행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얻는다.
이어, 예컨대 상기와 같이 하여 얻고, 공지의 수법에 의해 건조한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 압출장치에 공급하고, 각각의 폴리머의 융점 이상인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다. 이어서, 용융한 폴리머를 금형으로부터 압출하고, 회전냉각 드럼 상에서 글래스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로 되도록 급랭고화하여, 실질적으로 비정(非晶) 상태의 미배향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와 회전냉각 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인가밀착법 및/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를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화한다.
연신 조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70~145℃에서 2~6배로 연신하여 종1축 연신 필름으로 한 후, 횡방향으로 90~160℃에서 2~6배 연신을 행하고, 150~240℃에서 1~600초간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열처리의 최고 온도 존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쿨링 존에 있어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0.1~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서 재종연신, 재횡연신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연신 시트를 면적배율이 10~40배로 되도록 동시 이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도포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서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미연신 시트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 1축 연신 필름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 이축 연신 필름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미연신 필름 또는 1축 연신 필름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 후, 필름으로 열처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도포층을 건조 경화하는 방법이 경제적이다. 또, 도포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도포방법의 몇 개를 병용한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연신 시트 표면에 제1층을 도포하여 건조하고, 그후, 1축 방향으로 연신 후, 제2층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하라사키 유지저, 진서점, 1979년 발행, 「코팅방식」에 나타내는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로드 코터, 에어 덕트 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포액은, 통상, 안전성이나 위생성의 관점에서 물을 주된 매체로 하여 조정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을 주된 매체로 하는 한에서, 물로의 분산을 개량할 목적 또는 조막성능을 개량할 목적에서 소량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유기 용매는, 주된 매체인 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물에 용해하는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시간 방치로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한 유탁액(에멀젼)이면, 물에 용해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여도 좋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도포층에 바인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바인더 폴리머라는 것은, 고분자 화합물 안전성 평가 플로우 스킴(소화 60년 11월 화학물질 심의회 주최)에 준하여,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 이상인 고분자 화합물이고, 또 조막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포층 중의 성분의 분석은, 예컨대, TOF-SIMS 등의 표면분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인라인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술한 일련의 화합물을 수용액 또는 수분산체로 하여, 고형분 농도가 0.1~50 중량% 정도를 기준으로 조정한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하는 요령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물로의 분산성 개량, 조막성 개량 등을 목적으로 하여, 도포액 중에는 소량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여도 좋다. 유기 용매는 1종류만이어도 좋고, 적당히 2종류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도포에 의해 필름 표면에 도포층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올리고머의 석출을 방지할 수 있고, 당해 층이 폴리비닐 알코올을 통상 1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90 중량% 함유한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유량이 10 중량% 미만에서는, 올리고머 봉지(封止)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 알코올은, 통상의 중합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고,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합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40000의 것이 사용된다. 중합도가 100 이하인 경우, 도포층의 내수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검화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7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99.9몰% 이하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검화물이 실용상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필름의 도포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이외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바인더 수지를 병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비닐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드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의 골격 구조가 공중합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복합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복합 구조를 지닌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그라프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그라프트 폴리우레탄, 비닐 수지 그라프트 폴리에스테르, 비닐 수지 그라프트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성분의 배합량은, 도포층에 대한 중량부로 50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의 도포층 중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교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가교반응성 화합물로서는, 메틸올화 또는 알킬올화된 요소계, 멜라민계, 구아나민계, 아크릴 아미드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화합물, 폴리아민류,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지르코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금속 킬레이트, 유기 산 무수물, 유기 과산화물, 열 또는 광반응성의 비닐 화합물이나 감광성 수지 등의 다관능 저분자 화합물 및 고분자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가교반응성 화합물은, 주로 접착용이 수지층에 포함되는 수지가 갖는 관능기와 가교반응하는 것으로, 접착용이 수지층의 응집성, 표면경도, 내찰상성, 내용매성, 내수성을 개량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용이 수지의 관능기가 수산기인 경우, 가교반응성 화합물로서는, 멜라민계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 산 무수물 등이 바람직하고, 접착용이 폴리에스테르의 관능기가 유기산 및 그의 무수물인 경우, 가교반응성 화합물로서는 에폭시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며, 접착용이 수지의 관능기가 아민류인 경우, 가교반응성 화합물로서는 에폭시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고, 접착용이 수지에 포함되는 관능기와 가교반응 효율이 높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알킬올 또는 알콕시알킬올화된 멜라민계 화합물인 메톡시메틸화멜라민, 부톡시메틸화멜라민 등이 예시되며, 멜라민의 일부에 요소 등을 공축합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가교반응성 화합물은 반응성 관능기가 1 분자 중에 2 관능 이상 반드시 포함되는 한에서, 저분자량 화합물이어도,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 중합체 어느 것이어도 좋다. 가교반응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접착용이 수지층에 대한 중량부로 50 중량부 이하, 또한 30 중량부 이하, 특히 15 중량부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용이 수지층 중에는, 필요에 따라서 도포층의 미끄럼성 개량을 위하여 불활성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불활성 입자로서는, 무기 불활성 입자, 유기 불활성 입자가 있고, 무기 불활성 입자로서는, 예컨대, 실리카졸, 알루미나 졸, 탄산 칼슘,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불활성 입자로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에 의한 단독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미립자, 또는 이들과 가교 성분을 복합시킨 가교 입자로 대표되는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 불활성 입자는 연화온도 또는 분해온도가 약 200℃ 이상, 더욱 250℃ 이상, 특히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입자의 평균입경(d)은, 접착용이 수지층의 평균 막 두께를 (L)로 했을 때, 1/3≤d/L≤3, 더욱 1/2≤d/L≤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도포층은,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소포제, 도포성 개량제, 증점제, 저분자 대전방지제, 유기계 윤활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발포제, 염료, 안료 등의 첨가제를 소량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필름의 도포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 만에 형성하여도 좋고, 양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편면 만에 형성하는 경우, 그 반대 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도포층을 형성시켜 다른 특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포액의 필름으로의 도포성 및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도포 전의 필름에 화학처리나 방전처리 등을 실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제공되는 도포층의 막 두께는, 통상 0.002~1.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5 g/m2, 또한 바람직하게는 0.01~0.2 g/m2 범위이다. 막 두께가 0.002 g/m2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1.0 g/m2를 초과하는 경우는, 외관이나 투명성, 필름의 블록킹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 오프라인코팅 또는 인라인코팅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와 자외선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은, 바인더 수지와 가교제를 임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층이 긴밀하게 배리어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OL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의 OL을 극력, 점착제에 부착시키지 않는, 또 앞의 가공 공정 내에서 나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OL 봉지층의 층구성은, 양면이 바람직하고, 용도에 따라서, 적어도 편면에 도포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포층 상(狀)으로 제공된 이형층은, 이형성을 갖는 재료를 함유하고 있다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에 의하면 이형성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타입이어도 좋고,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유기 수지와의 그라프트 중합 등에 의한 변성 실리콘 타입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경화형 실리콘 수지의 종류로서는, 부가형·축합형·자외선 경화형·전자선 경화형·무용매형 등 어느 경화반응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경화형 실리콘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신에츠 가가쿠고교 (주) 제조 KS-774, KS-775, KS-778, KS-779H, KS-847H, KS-856, X-62-2422, X-62-2461, 다우·코닝·아지아 (주) 제조 DKQ3-202, DKQ3-203, DKQ3-204, DKQ3-205, DKQ3-210, 도시바 실리콘(주) 제조 YSR-3022, TPR-6700, TPR-6720, TPR-6721, 도레이·다우 코닝(주) 제조 SD7220, SD7226, SD722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형층의 박리성 등을 조정하기 위하여 박리 콘트롤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이형층 중에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을 첨가하는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이형층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는, 리버스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바 코트, 닥터 블레이드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의 도포량은, 통상 0.01~1 g/m2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이형층이 제공되어 있지 않은 면에는, 접착층, 대전방지층, 올리고머 석출방지층 등의 도포층을 제공하여도 좋고, 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또, 점착제층 또는 이형층의 도막의 건조 및/또는 경화(열경화, 전리방사선 경화 등)는, 각각 개별 또는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는, 80℃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 경화 조건으로서는, 80℃ 이상이고 10초 이상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80℃ 미만 또는 경화 시간이 10초 미만이면 도막의 경화가 불완전하고, 도막이 탈락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을 아름답게 하거나 또는 강인하게 하기 위해, 전이금속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 중의 전이금속계 촉매 함유량은, 통상 0.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 범위이다. 도포층 중의 전이금속계 촉매 함유량이 0.5 중량% 보다 낮은 경우, 박리력의 문제나, 도포층에서의 경화 반응이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면상(面狀) 악화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고, 한편, 도포층 중의 전이금속계 촉매의 함유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들고, 또, 반응성이 높아지고, 겔 이물이 발생하는 등의 공정 문제가 생겨 버리는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상의 올리고머 함유량의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층의 적어도 편측의 표면에,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를 공압출 적층한 구조를 갖는 필름이어도 좋고,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경우,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이형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석출한 올리고머에 의한 휘점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져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후술하는 측정법에 있어서의 필름의 투명도는 83.5% 이상일 필요가 있고, 8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투명도가 83.5%를 하회하는 경우, 필름의 투명감이 저하한다. 필름의 투명도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하여, 예컨대, 사용하는 입자의 종류, 입경, 첨가량,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필터의 강화, 필름 제조 조건(필름연신 온도, 연신 배율), 필름 제조 라인에서 사용하는 롤의 평활화 등, 각종의 조건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 이형층의 표면 조도(Ra)는, 9.0 nm 이상이고, 12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Ra가 9.0 nm를 하회하는 경우, 필름 표면이 극단적으로 평탄하게 되어,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권취 특성이 열등하다. 또, 필름의 Ra가 22 nm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의 평면성이 손상되는 수가 있고, 필름이 뿌옇게 되어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Ra의 상한은 22 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명도, 거칠기의 범위를 만족하기 위한 수단은, 임의의 입도분포의 범위를 지니는, 적절한 유기 입자를 사용하여, 배합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공정의 광학 검사 등으로 이물이나 광 간섭색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이형 필름을 마이크로파 방식 분자 배향계로 측정한 MOR_C 치의 최적화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MOR_C치는 1.5~3.0이고, 바람직하게는 1.8~2.7, 더욱 바람직하게는 2.1~2.4이다. MOR_C치가 3.0보다 큰 경우에는, 이형층의 균일성이 결여되기도 하고, 광학 검사에 있어서, 광간섭색이 보이기 쉽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MOR_C치가 1.5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형 필름 자체의 생산수율이 악화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MOR_C치의 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은, 제막시에 소망하는 필름 두께에 대하여, 연신 조건을 창의적으로 연구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 OL(올리고머)이라는 것은, 열처리 후, 결정화되어 필름 표면에 석출하는 저분자량 물 중의 환상 삼량체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열처리(180℃, 10분간)한 후, 도포층 표면으로부터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의해 추출되는 OL량은, 3.0 m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0 mg/m2 이하이다. OL이 3.0 mg/m2를 초과하는 경우, 공정 오염이 있고, 점착제 접착시켰을 때, 이물이 발생하고, 제품의 수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OL 봉지 효과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은, 인라인코팅의 박막 형성을 긴밀하게 하도록 재료를 예의 연구하여, 선정하는 것과 그의 도포층의 두께를 생산성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로 두껍게 하는 등의 연구를 하는 것에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초과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의 측정: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성인 다른 폴리머 성분 및 안료를 제거한 폴리에스테르 1g을 정칭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 50/50(중량비)의 혼합용매 100 ml를 가하여 용해시켜, 30℃에서 측정하였다.
(2) 평균입경 (d50: ㎛)의 측정:
원심침강식입도분포 측정장치(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사 제조 SA-CP3형)을 사용하여 측정한 등가구형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중량 기준) 50%의 값을 평균 입경으로 하였다.
(3)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과율 측정:
JIS K7105에 준하여, 일본전색공업사 적분구식 탁도계 NDH-300A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다음과 같은 기준에서 판단한다.
(4)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열수축율 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종장 방향(이후, MD라 약칭)과 횡폭 방향(이후, TD라 약칭)으로 각각 임의 길이 L(cm)로 샘플링한다. 이어서, 그 샘플을 오븐에서 160℃, 5분의 가열을 행하고, 그 샘플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길이 l(cm)를 측정한다. 이 조작을 3회 행하여, 평균치를 가열수축율의 값으로서 채용한다. 하기 식으로 가열수축율은 산출할 수 있다.
가열수축율(%)={(L-l)/L}×100
(5) 이형 필름의 박리력(F)의 평가:
시료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우 덴코우 제조 「No.502」)의 편면을 부착한 후, 50 mm × 300 mm 사이즈로 컷트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박리력을 측정한다. 박리력은 인장시험기((주) 인테스코 제조 「인테스코 모델 2001형」)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300 mm/분의 조건하, 180°박리를 행하였다.
(6) 앵커 (인라인코팅)층 표면으로부터 추출되는 OL의 측정:
미리, 미열처리의 이형 필름을 공기 중, 180℃에서 10분간 가열한다. 그후, 열처리한 상기 필름을 상부가 열려 있는 종횡 10 cm, 높이 3 cm의 상자 내면에 가능한한 밀착시켜 상자형의 형상으로 한다. 도포층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도포층 면이 내측으로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방법으로 작성한 상자 중에 DMF(디메틸포름아미드) 4 ml를 넣어 3분간 방치한 후, DMF를 회수한다. 회수한 DMF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시마즈제작소 제조: LC-7A)에 공급하여, DMF 중의 OL량을 구하고, 그 값을 DMF를 접촉시킨 필름 면적으로 나누어, 필름 표면 OL량(mg/m2)으로 한다.
DMF 중의 올리고머량은, 표준 시료 피크 면적과 측정 시료 피크 면적의 피크 면적비로부터 구하였다(절대검량선법). 표준시료의 작성은, 미리 분취한 OL(환상 삼량체)를 정확하게 칭량하고, 정확하게 칭량한 DMF에 용해시켜 작성하였다. 표준시료의 농도는, 0.001~0.01 mg/ml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이동상 A: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2% 아세트산 수용액
컬럼: 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MCI GEL ODS 1HU』
컬럼 온도: 40℃
속도: 1ml/분
검출파장: 254 nm
(7)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필름 투명도의 측정:
필름 투명도는,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 제조의 투명도 측정기(TM-1D 소수점 이하 2자리형: 광원 파장 546±5 n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8)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부 헤이즈의 측정
내부 헤이즈는, 스가 시험기 제조의 헤이즈미터(HZ-2)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9)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2차원 표면조도(Ra)의 측정:
Ra는, 고사카연구소사 제조 표면조도 측정기(SE3500형)를 이용하여, JIS B0601-1994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길이는 2.5 mm로 하였다.
(10)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3파장 형광등하에서의 클리어감 관찰:
필름에 3파장 형광등 광을 투과시켜 필름의 클리어감을 육안 관찰하였다. 필름의 클리어감(투명도, 선명도, 입자감 등)은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3파장 형광등하에서의 입자감 관찰 판정기준>
(클리어감 높음) A>B>C (클리어감 낮음)
상기 판정 기준 중, B 이상의 것이 실용상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는 레벨이다.
(1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상처내기 어려움의 평가:
필름 표면의 상처 개수를 세고, 상처내기 어려움을 3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A4 사이즈의 필름으로 실시하였다.
<상처내기 어려움 판정 기준>
(상처내기 어려움) A > B > C (상처 내기 쉬움)
상기 판정 기준 중, A 만이 실용상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는 레벨이다.
(1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마이크로파 분자배향계에 의한 MOR_C치 측정:
왕자계측기기 주식회사 제조의 마이크로파 방식분자배향계를 이용하여, 투과 마이크로파 강도 패턴으로부터 MOR_C치를 구하였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판단한다.
A: 2.0~2.5
B: 1.5~1.9, 또는 2.6~3.0
C: 1.5%보다 낮고, 또는 3.0보다 높다
(13) 실용 특성:
<편향판 검사에 있어서의 육안검사성>
편광판 검사를 고려에 넣고, 필름 상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드라이어 온도 120℃, 라인 속도 30 m/분의 조건에서 얻은 이형 필름의 폭방향이, 편광 필름의 배향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점착제를 통하여 이형 필름을 편광 필름에 밀착시켜 편광판으로 하고, 형광등 반사하에서 편광판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반사광하에서의 육안검사성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측정 시에는 A4 사이즈의 샘플을 절출하여 실시하였다.
「판정기준」
A: 검사성 양호
B: 거의 문제없이 검사될 수 있음
C: 검사성 불량
A 및 B의 것이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이다.
<편향판 검사에 있어서의 이물 인지 검사성>
편광판 검사를 고려에 넣고, 필름 상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드라이어 온도 120℃, 라인 속도 30 m/분의 조건에서 얻은 이형 필름의 폭방향이, 편광 필름의 배향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점착제를 통하여 이형 필름을 편광 필름에 밀착시켜 편광 필름에 밀착시켜 편광판으로 하였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을 작성할 때, 점착제와 편광 필름 사이에 50 ㎛ 이상의 크기를 지닌 흑색의 금속분(이물)을 50개/m2로 되도록 혼입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이물을 혼입시킨 편광판 이형 필름 상에 배향축이 이형 필름 폭방향과 직교하도록 검사용의 편광판을 중첩시키고, 편광판측으로부터 백색광을 조사하고, 검사용의 편광판으로부터 육안에 의해 관찰하며, 크로스 니콜하에서 점착제와 편광 필름의 사이에 혼입시킨 이물을 볼 수 있는지 여부를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측정시에는, 얻어진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와 양단부의 계 3개소로부터 각각 A4 사이즈의 샘플을 절출하여 실시하였다.
「판정기준」
A: 이물 인지성 양호
B: 비교적 문제없이 이물 인지할 수 있음.
C: 이물 인지성 불량
A 및 B 만의 것이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이다.
<이형 특성>
점착층을 갖는 적층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벗겼을 때의 상황으로부터, 이형 특성을 평가하였다.  
A: 이형 필름이 예쁘게 박리되며, 점착제가 이형층에 부착하는 현상이 보이지 않음
B: 이형 필름은 박리되지만, 빠른 속도로 박리한 경우에 점착제가 이형층에 부착된다.
C: 이형 필름에 점착제가 부착된다.
(14) 종합 평가:
조막성, 생산성, 검사특성 등, 모두를 고려에 넣은 평가를 실시한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판단한다.
A: 생산하여도 충분히 제품으로서 공급될 수 있다.
B: 생산성이 좋고, 또 광학 검사에서의 문제 빈도가 적다.
C: 생산성이 나쁘고, 또 광학 검사에서의 문제가 다발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는, 이하와 같이 하여 준비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테레프탈산 디메틸 100 중량%와 에틸렌 글리콜 60 중량%를 출발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아세트산 마그네슘 4수염을 가하여 반응기에 넣고, 반응 개시온도를 150℃로 하며, 메탄올의 증류제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온도를 상승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에틸 애시드 포스페이트를 첨가한 후, 중축합조로 옮기고, 삼산화 안티몬 0.04부를 가하여, 4시간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으로부터 서서히 감소시켜, 최종적으로는 0.3 mmHg로 하였다. 반응개시후, 반응조의 교반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점도 0.64dL/g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 폴리머를 토출시켜 폴리에스테르의 칩(A)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의 극한점도는 0.64 dL/g이었다.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
테레프탈산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 글리콜 60 중량부를 출발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아세트산 마그네슘 4수염을 가하여 반응기에 넣고, 반응 개시온도를 150℃로 하여, 메탄올의 증류제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온도를 상승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에틸 애시드 포스페이트를 첨가한 후, 중축합조로 옮기고, 삼산화 안티몬 0.04부를 가하여, 4시간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으로부터 서서히 감소시켜, 최종적으로는 0.3 mmHg로 하였다. 반응개시후, 반응조의 교반동력의 변화에 의해, 고유점도 0.45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시키고, 질소가압하 폴리머를 토출시켜, 폴리에스테르의 칩(B)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45이었다.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
이 폴리에스테르 칩을 고상중축합법에 의해 고유점도를 상승시켰다. 예비결정화조에서 170℃의 질소분위기에서 0.5시간 처리한 후, 불활성 가스를 흘리는 탑식건조기를 이용하여, 200℃의 온도하에서 수분율이 0.005%로 될때까지 건조시켰다. 그후 고상 중합조로 보내고, 240℃에서 3시간, 고상 중합을 행하여 고유점도 0.70의 폴리에스테르(C)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D)의 제조)
폴리에스테르(C)를 제조할 때, 고상중합조에서 5시간 고상 중합을 행하여, 고유점도 0.80의 폴리에스테르(D)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서, 에틸 애시드 포스페이트를 첨가한 후, 평균 입자경 1.4 ㎛의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 가교 입자의 에틸렌 글리콜 슬러리를 입자의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함유량이 0.5 중량%로 되도록 첨가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E)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E)는 극한점도 0.62 dL/g이었다.
(폴리에스테르(F)의 제조)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방법에서, 첨가 입자를, 평균 입자경 2.7 ㎛의 실리카 입자에,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함유량을 0.3 중량%로 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F)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F)는 극한점도 0.61 dL/g이었다.
(폴리에스테르(G)의 제조)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방법에서, 첨가 입자를, 평균 입자경 3.2 ㎛의 실리카 입자에,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함유량을, 0.6 중량%로 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G)를 얻었다. 평균입경 은 레이저법에 의해 구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G)는 극한점도 0.62 dL/g이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상기 폴리에스테르(A), (D)칩과 폴리에스테르(E), (F), (G) 칩을,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최외층(표층) 및 중간층의 원료로 하고, 2대의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고, 280℃에서 용융 압출한 후, 정전인가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4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냉각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100℃에서 종방향으로 2.8배 연신한 후, 텐터에 걸고, 텐터 내에서 예열 공정을 거쳐 120℃에서 5.1배의 횡연신을 실시한 후, 220℃에서 10초간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그후 180℃에서 폭방향으로 4%의 이완을 가하여, 폭 4000 mm의 마스터롤을 얻었다. 이 마스터 롤의 끝으로부터 1400 mm의 위치부터 슬릿을 행하여, 코어에 1000m 권취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전체 두께는 50 ㎛(층구성: 표층 2.5 ㎛/중간층 45 ㎛/표층 2.5 ㎛)이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하기에 나타내는 이형제 조성-A로 이루어지는 이형제를 도포량(건조후)이 0.1 g/m2로 되도록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드라이어 온도 120℃, 라인 속도 30 m/분의 조건에서 롤 상의 박리력이 21 mN/cm, 투명도가 84.9%, 이형층 면의 Ra가 9.5 nm, MOR_C치가 2.5, OL양이 0.95 mg/m2인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형제 조성-A>
경화형 실리콘 수지(KS-847H: 신에츠가가쿠 제조) 20부
촉매(PL-50T: 신에츠가가쿠 제조) 0.3부(1.5 중량%)
MEK/톨루엔 혼합용매(혼합비율은 1:1)
금회 새롭게 필름의 평가에 도입한 투명도라고 하는 지표는, 종래의 투명성의 지표인 내부 헤이즈보다도, 더욱 육안 검사에 의한 클리어감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방법으로 편향판을 작성하고, 광학 특성의 검사성과 박리 특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이형 필름은 반사에 의한 검사성 양호, 이물 인지성 양호이고, 또 편광판이 예쁘게 박리되며, 점착제가 이형층에 부착하는 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평가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형 필름 부착 편광판의 제조>
편광판에 하기에 나타내는 아크릴 점착제를, 건조 후의 두께가 25 ㎛로 되도록 도포하고, 130℃의 건조로 내를 30초로 통과시킨 후, 이형 필름을 접합시켜 점착제를 통하여 이형 필름과 편광 필름이 밀착된 이형 필름 부착 편광판을 작성하였다. 필름의 접합 방향은, 이형 필름의 폭방향이, 편광필름의 배향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행하였다.
● 아크릴 점착제 도포액
아크릴 점착제(오리바인 BPS429-4: 도요우 잉크 제조) 100부     
경화제(BPS8515: 도요우 잉크 제조)          3부
MEK/톨루엔 혼합용매(혼합비율은 1:1)        50부
Figure pct00001
실시예 2 및 비교예 1~8:
실시예 1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시의 연신배율, 필름 두께, 표층의 입자 함유 폴리에스테르 종, 표층의 입자 함유 폴리에스테르의 배합량을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정리해서 하기 표 2~4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의 종방향으로 2.8배 연신한 후, 이 종연신 필름의 편면에, 이어서 하기 도포제를 도포량(건조후)이 0.03 g/m2로 되도록 도포하고, 그후, 텐터에 걸고, 텐터 내에서 예열 공정을 거쳐 120℃에서 5.1배 횡연신을 실시한 후, 220℃에서 1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그후 180℃에서 폭방향으로 4%의 이완을 가하여, 폭 4000 mm의 마스터 롤을 얻었다. 이 마스터롤의 끝으로부터 1400 mm의 위치에서부터 슬릿을 행하여, 코어에 1000m 권취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전체 두께는 50 ㎛(층구성: 표층 2.5 ㎛/중간층 45 ㎛/표층 2.5 ㎛)이었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 예는 이하와 같다.
(화합물 예)
● 검화도 88몰% , 중합도 350의 폴리비닐 알코올바인더 폴리머: 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N-메틸올 메타크릴 아미드 = 45/45/5/5(몰비)의 유화중합체(유화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바인더 폴리머: B
● 가교제 헥사메톡시멜라민 가교제: C
● 입자 콜로이달 실리카(평균입경: 70 nm): D
고형분 배합비: A/B/C/D=30/24/42/4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공면에, 이형제 조성-A로 이루어지는 이형제를 도포량(건조후)이 0.1 g/m2로 되도록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드라이어 온도 120℃, 라인 속도 30 m/min의 조건에서 롤상의 박리력이 21 mN/cm, 투명도가 84.9%, 이형층 면의 Ra가 9.5 nm, MOR_C치가 2.5, OL량이 0.96 mg/m2인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정리해서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이형제 조성-A>
경화형 실리콘 수지(KS-847H: 신에츠가가쿠 제조)    20부
촉매(PL-50T: 신에츠가가쿠 제조)    0.3부(1.5 wt%)
MEK/톨루엔 혼합용매(혼합비율은 1: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은, 편광판 기재용도 등에서 필요한 광학 검사법에서, 고도의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고, 또, 그의 이형 필름에 있어서의 공정 오염이나 점착제로의 이물 경감 성능을 실현한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3층 이상의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편측의 표층은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가교 입자를 함유하고, 적어도 편면의 최외층에는 실리콘계 이형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이형층의 표면 조도(Ra)가 9.0 nm 이상이고, 이형 필름의 투명도가 83.5% 이상이고 MOR치가 1.5~3.0인 이형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에 폴리비닐 알코올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얻어진 도포층을 갖는 이형 필름.
KR1020137023257A 2011-06-13 2012-06-07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027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0767A JP2013000899A (ja) 2011-06-13 2011-06-13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JP-P-2011-130767 2011-06-13
JPJP-P-2011-130769 2011-06-13
JPJP-P-2011-130766 2011-06-13
JP2011130768A JP2013001717A (ja) 2011-06-13 2011-06-13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30769A JP2013000900A (ja) 2011-06-13 2011-06-13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JP-P-2011-130768 2011-06-13
JP2011130766A JP2013000898A (ja) 2011-06-13 2011-06-13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CT/JP2012/064650 WO2012173033A1 (ja) 2011-06-13 2012-06-07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103A true KR20140027103A (ko) 2014-03-06

Family

ID=4735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257A KR20140027103A (ko) 2011-06-13 2012-06-07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27103A (ko)
CN (1) CN103502007A (ko)
WO (1) WO2012173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84B1 (ko) * 2011-10-19 2017-08-0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89717B1 (ko) * 2017-06-29 2020-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69658A1 (ja) * 2017-10-06 2019-04-11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モールド成形用離型フィルムおよびモールド成形法
CN114654851B (zh) * 2020-12-24 2024-02-13 爱思开迈克沃有限公司 聚酯膜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1606B2 (ja) * 2000-10-02 2011-03-02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231214A (ja) * 2002-10-22 2003-08-19 Teijin Ltd 離型フイルム
JP2007211073A (ja) * 2006-02-08 2007-08-23 Toray Ind Inc 離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33919A (ja) * 2008-03-26 2009-10-15 Toray Ind Inc 帯電防止性離型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02007A (zh) 2014-01-08
WO2012173033A1 (ja)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548B1 (ko) 기재가 없는 양면 점착 시트
KR101707863B1 (ko) 이형 필름
JP2012159548A (ja) 偏光板用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178163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90762A1 (ja) 離型フィルム
WO2011105441A1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離型フィルム
KR20100131434A (ko) 이형필름
KR20140027103A (ko)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9178908A (ja) 離型フィルム
JP2012137567A (ja) 偏光板用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199024A (ja) 離型フィルム
JP5591005B2 (ja)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89589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
JP2009178929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178920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178933A (ja) 離型フィルム
JP2005014545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178930A (ja) 離型フィルム
JP2011212891A (ja) 離型フィルム
JP2011245739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
JP2011224904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
JP2012027232A (ja) 偏光板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173014A (ja) 光学基材用粘着シート
JP2013001718A (ja)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234657A (ja) 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